KR200463847Y1 - 차량 진출입 차단기 - Google Patents

차량 진출입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47Y1
KR200463847Y1 KR2020080009361U KR20080009361U KR200463847Y1 KR 200463847 Y1 KR200463847 Y1 KR 200463847Y1 KR 2020080009361 U KR2020080009361 U KR 2020080009361U KR 20080009361 U KR20080009361 U KR 20080009361U KR 200463847 Y1 KR200463847 Y1 KR 200463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fixed
tension
vehic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738U (ko
Inventor
홍준표
Original Assignee
홍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준표 filed Critical 홍준표
Priority to KR2020080009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4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진출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는 차단기를 구동수단과 연계되어 작동되는 회동조절 움직도르래 또는 장력조절 움직도르래 등을 갖는 회동수단 및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각 구동부품에 전달되는 부하(負荷)를 군일하게 분산시켜 고장(故障)의 원인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유지 및 보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차량, 진출입, 차단레버, 구동수단, 감지센서, 회동도르래, 장력조절도르래, 회동조절 움직도르래, 장력조절 움직도르래, 부하(負荷)분산, 에너지 절감.

Description

차량 진출입 차단기{VEHICLE ENTRANCE AND EXIT QUARANTINE APPARATUS}
본 고안은 차량 진출입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통제용 차단레버를 구동시키는 회동수단 및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진출입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진출입 차단기는 아파트, 빌딩, 오피스텔, 학교, 병원, 상가, 주차장, 군/경 보안시설 또는 철도 건널목 등에서 차량의 통제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진출입 차단기는 차량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차단레버를 소정반경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바, 구동수단은 차단레버와 벨트 또는 체인 등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차단레버를 소정반경으로 회동되게 하면서 차량을 통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진출입 차단기에 의하면, 차단레버의 부하(負荷)가 차량 진출입 차단기를 구성하는 부품들에 그대로 전달되어 잦은 고장을 일으키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훼손된 부품 등의 교환 및 수리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차단레버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부품에 전달되는 부하(負荷)를 분산시켜 고장(故障)의 원인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유지 및 보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경제성을 갖도록 한 차량 진출입 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차량의 진출입로 일측 소정위치에 입설된 내부가 빈 통형상의 기체(機體)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는 차단레버와, 상기 차단레버의 일측에서 지지프레임의 소정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일단은 상기 차단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양단부에 회동조절 도르래가 설치된 회동바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레버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기체에 상기 회동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고정안내홈을 갖는 구동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수단의 하부에 수용 장착되며, 차량의 진출입 여부감지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회동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을 연결할 수 있게, 일단은 상기 회동조절 도르래를 각각 경유하면서 소정위치에 고정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의 고정안내홈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회동바의 회동을 돕기 위한 회동와이어를 포함하는 차량 진출입 차단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동수단의 인접위치에는, 상기 회동와이어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와이어를 걸림안내하여 부하(負荷)를 분산시키는 회동조절 움직도르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의 인접 위치에는, 상기 회동수단과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인접위치에서 고정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 고정봉과, 일단이 상기 실린더 고정봉에 결합 설치되는 실린더와, 회동봉에 일측이 고정설치되며 타측에 장력조절 도르래가 구비된 장력조절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 소정위치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봉과, 상기 실린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와이어 고정봉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부위가 상기 장력조절바의 상기 장력조절 도르래에 의해 걸림안내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에는,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걸림안내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장력조절 움직도르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일단부가 와이어 고정봉에 고정되고 끝단부가 고정바에 고정되며, 장력조절 움직도르래에 의해 걸림안내되는 장력조절와이어의 소정부위에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무게추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출입 차단기에 의하면, 적은 힘으로도 차단레버를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각 구성부품에 전달되는 부하(負荷)를 분산시켜 고장(故障)의 원인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유지 및 보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경제적인 이익을 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진출입로에 차량 진출입 차단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출입 차단기(100)는, 기체(機體, 110)상에 설치되어 구동축(132)을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130)과, 구동수단(130)과 연결되어 차단레버(102)를 소정반경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150) 및 구동수단(130)과 인접설치되어 회동수단(150)과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수단(1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10)상에 지지되게 설치된 고정프레임(120)에 고정설치된다. 구동수단(130)의 일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34)에 의해 분할구획된 제1,2고정안내홈(136a, 136b)을 갖는 구동축(132)이 구비된다. 제1,2고정안내홈(136a, 136b)에는 회동와이어(160)의 일단이 고정된다.
구동수단(130)은 기체(1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차량(200)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수단(130)은 감지센서(131)로부 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축(132)을 소정반경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수단(130)은 감속모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기체(110)상에는 구동수단(130)과 대면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140)이 구비된다. 지지프레임(140)의 저부(低部) 소정위치에는 관통형성된 이동안내홈(142)을 형성하여 장력조절 와이어(178)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프레임(140)의 측벽(144)에는 다수개의 고정체(146)가 고정설치된다. 지지프레임(140)의 소정위치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200)의 진출입을 차단하는 차단레버(102)를 소정반경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150)이 마련된다.
회동수단(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40)에 설치되는 회동봉(152)과, 회동봉(152)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회동바(154)와, 구동수단(130)의 회동력을 회동바(154)에 전달하는 회동와이어(160)로 구성될 수 있다.
회동봉(152)은 지지프레임(140)의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봉(152)의 어느 일단은 지지프레임(140)의 측벽(144)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하고, 그 일단부에는 회동바(154)가 설치되게 한다.
회동바(154)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중심부가 회동봉(152)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된다. 회동바(154)의 양단부에는 회동조절 도르래(154a)가 설치된다. 회동바(154)는 지지프레임(140)의 측벽(144)으로부터 간섭되지 않는 판체 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회동와이어(160)는 일단이 격벽(134)에 의해 분할구획된 구동축(132)에 고정된다. 이 경우, 회동와이어(160) 중 어느 하나는 구동축(132)의 제1고정안내홈(136a)에 감겨지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고(예를 들어, 구동축(132)에 회동와이어(160)가 감기는 쪽), 다른 하나는 제2고정안내홈(136b)에 한 바퀴정도 감겨진 상태로 고정되게 함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구동축(132)으로부터 회동와이어(160)가 풀리는 쪽). 물론, 이와는 반대로 회동와이어(160)는 제1,2고정안내홈(136a, 136b)에 고정상태를 달리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제1,2고정안내홈(136a, 136b)측에는 대략 'ㅏ'자 형상의 와이어 지지체(137)를 서로 180°정도의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설치한다. 와이어 지지체(137)는 제1,2고정안내홈(136a, 136b)으로부터 회동와이어(160)를 고정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동와이어(160)의 타단은 지지프레임(140)의 고정체(146)에 고정설치된다. 회동와이어(160)는 소정부위가 회동조절 도르래(154a)에 걸림안내되면서 구동수단(130)으로부터의 회동력을 회동바(154)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회동바(154)를 소정반경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회동바(154)와 연결된 회동봉(152)이 회동되면서 차단레버(102)를 구동하게 된다. 이 경우, 회동와이어(160)의 운동거리를 회동조절 도르래(154a)의 1/2 회동범위 이내에서 차단레버(102)가 적절한 회동반경(예를 들어, 90°정도)으로 회동하여 차량(200)의 진출입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회동바(154)와 고정체(146) 사이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부양(空中浮揚)된 상태에서 소정간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조절 움직도르래(158)가 설치될 수 있다. 회동조절 움직도르래(158)는 회동바(154)의 양단부에 구비된 회동조절 도르래(154a)에 걸림안내되는 소정길이를 갖는 제1걸림안내 와이어(158a)에 연결되어 고정체(146)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회동와이어(160)는 소정부위가 회동조절 움직도르래(158)에 걸림안내되는 구조를 이루어 고정체(146)에 고정설치된다. 이에 의해, 매우 적은 힘으로도 차단레버(102)의 회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동조절 도르래(154a)와 회동와이어(160) 간의 마찰을 없애 회동와이어(160)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에 걸리는 부하(負荷)를 분산시켜 고장(故障)발생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장력조절수단(17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130)과 인접 위치에 설치된다. 장력조절수단(170)은 회동수단(150)과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장력조절수단(170)은 고정프레임(120)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 고정봉(172)과, 실린더 고정봉(172)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실린더(174)와, 회동봉(152)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장력조절바(176)와, 장력조절 와이어(178)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봉(156)과, 와이어 고정봉(156)과 실린더(174)를 서로 연결하는 장력조절 와이어(178)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 고정봉(172)은 구동수단(130)의 인접위치에 배치되며, 고정프레임(12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게 설치된다.
실린더(174)는 실린더 고정봉(172)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실린더(174)의 타단에는 돌설된 고정축(174a)이 마련된다. 고정축(174a)의 일단부에는 장력조절 와이어(178)를 고정하는 고정핀(174b)이 끼움결합된다.
장력조절바(176)는 지지프레임(140)의 내측에 위치되고, 일측이 회동봉(152) 에 고정설치된다. 장력조절바(176)는 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력조절바(176)의 타측에는 장력조절 도르래(176a)가 구비된다.
장력조절 도르래(176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 와이어(178)의 소정부위를 걸림안내하면서 장력을 조절되게 한다.
와이어 고정봉(156)은 지지프레임(140)의 내측 소정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와이어 고정봉(156)은 원형 또는 사각막대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봉(156)은 장력조절 와이어(178)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장력조절 와이어(178)는 일단이 실린더(174)에 고정되고 타단이 와이어 고정봉(156)에 고정설치된다. 장력조절 와이어(178)는 소정부위가 장력조절 도르래(176a)에 걸림안내되면서 실린더(174) 및 장력조절바(176) 간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장력을 조절하면서 회동바(154)를 소정반경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회동바(154)와 연결된 회동봉(152)이 회동되면서 차단레버(102)를 구동하게 된다.
장력조절바(176) 및 와이어 고정봉(156)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부양(空中浮揚)된 상태에서 소정간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장력조절 움직도르래(179)가 설치될 수 있다. 장력조절 움직도르래(179)는 장력조절바(176)의 일단부에 구비된 장력조절 도르래(176a)에 걸림안내되는 소정길이를 갖는 제2걸림안내 와이어(179a)에 연결되어 고정바(159)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장력조절와이어(178)는 소정부위가 장력조절 움직도르래(179)에 걸림안내되는 구조를 이 루어 고정바(159)에 고정설치된다. 이에 의해, 매우 적은 힘으로도 장력을 조절하면서 차단레버(102)의 회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력조절 도르래(176a)와 장력조절 와이어(178) 간의 마찰을 없애 장력조절 와이어(178)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에 걸리는 부하(負荷)를 분산시켜 고장(故障)발생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장력조절수단(1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 와이어(178)의 소정부위에서 서로 연장되게 연결된 다수개의 무게추(178a)를 구비하여 그 끝단부를 고정바(159)에 고정하는 구조로도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장력조절 와이어(178)의 일단부는 와이어 고정봉(156)에 고정되고 끝단부는 고정바(159)에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소정부위가 장력조절 움직도르래(179)에 의해 걸림안내된다.
상기한 제1,2걸림안내 와이어(158a, 179a), 회동와이어(160) 또는 장력조절 와이어(178) 등은 피아노 강선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진출입로에 차량 진출입 차단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량 진출입 차단기, 102 : 차단레버,
110 : 기체(機體), 120 : 고정프레임,
130 : 구동수단, 131 : 감지센서,
132 : 구동축, 134 : 격벽,
136a : 제1고정안내홈, 136b : 제2고정안내홈,
140 : 지지프레임, 142 : 이동안내홈,
144 : 측벽, 146 : 고정체,
150 : 회동수단, 152 : 회동봉,
154 : 회동바, 154a : 회동조절 도르래,
156 : 와이어 고정봉, 158 : 회동조절 움직도르래,
158a : 제1걸림안내 와이어, 159 : 고정바,
160 : 회동와이어, 170 : 장력조절수단,
172 : 실린더 고정봉, 174 : 실린더,
174a : 고정축, 174b : 고정핀,
176 : 장력조절바, 176a : 장력조절 도르래
178 : 장력조절 와이어, 178a : 무게추,
179 : 장력조절 움직도르래, 179a : 제2걸림안내 와이어,
200 : 차량.

Claims (6)

  1. 차량의 진출입로 일측 소정위치에 입설된 내부가 빈 통형상의 기체(機體)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는 차단레버;
    상기 차단레버의 일측에서 지지프레임의 소정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일단은 상기 차단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양단부에 회동조절 도르래가 설치된 회동바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레버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기체에 상기 회동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고정안내홈을 갖는 구동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수단의 하부에 수용 장착되며, 차량의 진출입 여부감지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회동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을 연결할 수 있게, 일단은 상기 회동조절 도르래를 각각 경유하면서 소정위치에 고정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의 고정안내홈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회동바의 회동을 돕기 위한 회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의 인접위치에는,
    상기 회동와이어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와이어를 걸림안내하여 부하(負荷)를 분산시키는 회동조절 움직도르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인접 위치에는,
    상기 회동수단과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인접위치에서 고정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 고정봉과, 일단이 상기 실린더 고정봉에 결합 설치되는 실린더와, 회동봉에 일측이 고정설치되며 타측에 장력조절 도르래가 구비된 장력조절바와, 지지프레임의 내측 소정위치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봉과, 상기 실린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 고정봉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부위가 상기 장력조절바의 상기 장력조절 도르래에 의해 걸림안내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와이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에는,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걸림안내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장력조절 움직도르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차단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일단부가 와이어 고정봉에 고정되고 끝단부가 고정바에 고정되며, 장력조절 움직도르래에 의해 걸림안내되는 장력조절와이어의 소정부위에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무게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차단기.
KR2020080009361U 2008-07-15 2008-07-15 차량 진출입 차단기 KR200463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61U KR200463847Y1 (ko) 2008-07-15 2008-07-15 차량 진출입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61U KR200463847Y1 (ko) 2008-07-15 2008-07-15 차량 진출입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738U KR20100000738U (ko) 2010-01-25
KR200463847Y1 true KR200463847Y1 (ko) 2012-12-03

Family

ID=4419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361U KR200463847Y1 (ko) 2008-07-15 2008-07-15 차량 진출입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104B1 (ko) * 2015-05-27 2016-07-08 이기곤 차량 차단기
CN109853427A (zh) * 2019-04-01 2019-06-07 深圳市创腾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通道闸机芯的固定板
CN113283862B (zh) * 2021-05-18 2023-06-23 深圳市蕾奥规划设计咨询股份有限公司 出入境通关车辆及司机跨境联合查验系统及其查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09B1 (ko) 2006-08-23 2007-03-20 주식회사 포스트엠비 차단기 바의 구동방향이 전환되는 것이 용이한 차량 안전차단기
KR100798490B1 (ko) 2007-12-03 2008-01-2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로변 매입형 보도 및 차도 겸용 차단기
KR100844289B1 (ko) 2007-03-21 2008-07-09 (주)고려다이나믹스 차량차단기의 게이트바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09B1 (ko) 2006-08-23 2007-03-20 주식회사 포스트엠비 차단기 바의 구동방향이 전환되는 것이 용이한 차량 안전차단기
KR100844289B1 (ko) 2007-03-21 2008-07-09 (주)고려다이나믹스 차량차단기의 게이트바 구동장치
KR100798490B1 (ko) 2007-12-03 2008-01-2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로변 매입형 보도 및 차도 겸용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738U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43913B (zh) 悬索铁道系统及其运行方法
US6485225B1 (en) Barrier apparatus having magnetic components
US4503637A (en) Sliding door system
EP2682319B1 (en)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EP2996920B1 (en) Platform screen gate system
KR200463847Y1 (ko) 차량 진출입 차단기
US7490556B2 (en) Cableway installation with rotatable cableway transport devices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PT1125028E (pt) Portão de cabo.
EP3071507B1 (en) Lift assembly with load cells
KR100836204B1 (ko)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KR102035159B1 (ko) 지하 통로 출입구용 차수장치
KR20090015168A (ko) 상하 레일 이동식 조명장치
CN112252828B (zh) 一种绿色建筑施工设备
US20030173041A1 (en) Method for guiding a flexible screen material handling rolling door counterweight
KR20100018745A (ko) 출입구의 차단장치
KR20033756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기둥조립체 및 상기 기둥조립체를구비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CN103492305B (zh) 电梯的门开闭装置
JP2009091820A (ja) 扉用滑走装置
KR20140141894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0971664B1 (ko) 미닫이문 링크장치
KR100650780B1 (ko) 주행차량 감속을 위한 도로구조
CN117228571B (zh) 一种卷扬自动张紧机构
KR100405329B1 (ko) 주차장치
KR20140083453A (ko) 5방향 궤도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