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027A - 헤모클립 - Google Patents

헤모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027A
KR20160036027A KR1020160032513A KR20160032513A KR20160036027A KR 20160036027 A KR20160036027 A KR 20160036027A KR 1020160032513 A KR1020160032513 A KR 1020160032513A KR 20160032513 A KR20160032513 A KR 20160032513A KR 20160036027 A KR20160036027 A KR 2016003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bars
nipping
hemoclip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558B1 (ko
Inventor
한희상
Original Assignee
한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상 filed Critical 한희상
Priority to KR102016003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5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Abstract

본 발명의 헤모클립(100)은 내측에 가이드장공(111)을 형성한 절곡부(110)와, 상기 절곡부(110)에 일체로 상하에 대응하는 협지바(121)를 형성하되 상하 협지바(121)의 상호 마주하는 상하 협지면(122) 표면에 가압돌기(123)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가압부(120), 및 상기 가압부(120)의 상하 협지바(121) 단부에 걸림돌기(132)와 가이드홈(131)을 일체로 각각 형성하여 결착하는 결합부(130)로 구성하므로; 시술한 환부에 결착되어 지혈하는 헤모클립이 견고하게 결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좌우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환부를 지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모클립{Hemo clip}
본 발명은 헤모클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시경을 통해 시술한 환부에 결착되어 지혈하는 헤모클립이 견고하게 결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좌우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환부를 지혈하는 헤모클립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내시경은 신체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관체에 신체 내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광학기기가 장착되어 검사자 또는 환자의 입이나 항문에 삽입시켜 검사가 이루어지고, 검사를 통해 용종 등의 생체 이상조직이 발견되면 올가미 등의 제거 클립을 관체에 도입시켜 생체조직을 제거하고, 제거된 조직의 환부에 지혈 클립을 결착하여 지혈하는 시술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의 지혈 클립은 체내에서 제거된 생체조직에서 나오는 피를 용이하게 지혈하도록 집게형태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집게를 이용해 지혈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공개되어 있다. 그 예로써, 종래에는 특허등록 제918723호 결착장치 및 특허등록 제832957호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가 공개되어 시술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처치구는 와이어에 연결된 지혈 클립을 도입관 내부로 삽입시킨 후, 와이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헤모클립을 진퇴시켜 환부에 결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헤모클립은 인체의 다양한 조직을 결착할 때 좌우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정확한 위치에 결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환자의 시술한 환부에 결착되어 지혈하는 헤모클립이 견고하게 결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좌우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환부를 지혈할 수 있도록 하는 헤모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헤모클립은 내측에 가이드장공을 형성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 일체로 상하에 대응하는 협지바를 형성하되 상하 협지바의 상호 마주하는 상하 협지면 표면에 가압돌기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하 협지바 단부에 걸림돌기와 가이드홈을 일체로 각각 형성한 결합부로 구성하되, 상하의 가압돌기를 각각 지그재그로 배열하여 돌출시키고 상측 가압돌기와 하측 가압돌기가 엇갈리게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모클립은 탄성체로 형성한 헤모클립의 상하 협지바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하 협지바를 가압하여 가이드홈에 걸림돌기를 결착하여 결합시키면 협지바의 협지면이 환부를 가압하여 지열 함과 동시에 상하 협지면에 형성한 가압돌기가 엇갈리게 환부를 가압하여 환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하 협지면에 형성한 가압돌기가 엇갈리게 환부를 가압하여 환부를 굴곡지게 하면서 지지하므로 헤모클립이 좌우로 밀려 결착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헤모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헤모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헤모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결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헤모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헤모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임의로 확개시켜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헤모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모클립(100)은 내측에 가이드장공(111)을 형성한 절곡부(110)와, 상기 절곡부(110)에 일체로 상하에 대응하는 협지바(121)를 형성하되 상하 협지바(121)의 상호 마주하는 상하 협지면(122) 표면에 가압돌기(123)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가압부(120), 및 상기 가압부(120)의 상하 협지바(121) 단부에 걸림돌기(132)와 가이드홈(131)을 일체로 각각 형성한 결합부(130)로 구성한다.
상기 절곡부(110)는 내측에 가이드장공(111)을 형성하여 원활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부(120)는 절곡부(110)에 일체로 상하에 대응하는 협지바(121)를 형성하고 상하 협지바(121)의 상호 마주하는 상하 협지면(122) 표면에 가압돌기(123)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상하의 가압돌기(123)를 각각 지그재그로 배열하여 돌출시키고 상측 가압돌기(123)와 하측 가압돌기(123)가 엇갈리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하 협지바(121)의 협지면(122)이 환자의 시술한 환부를 가압하면 협지면(122)이 가압함과 동시에 가압돌기(123)가 상하에서 지그재그로 눌러 견고하게 결착하여 헤모클립(100)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130)는 하부 협지바(121)의 단부 중앙에 가이드홈(131)을 형성하고 상부 협지바(121)의 단부 중앙에 걸림돌기(132)를 형성하여 가이드홈(131)에 대응하도록 하여 걸림돌기(132)가 가이드홈(131)에 끼워짐과 동시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헤모클립(100)의 탄성체로 형성하여 걸림돌기(132)가 가이드홈(131)에 걸려 결합상태에서 협지바(121)의 협지면(122)에 밀착되게 하되 환자의 시술한 환부를 끼우는 경우 탄성에 의해 견고하게 효율적으로 가압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헤모클립을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의 입이나 항문에 삽입시켜 검사가 이루어지고, 검사를 통해 용종 등의 생체 이상조직이 발견되면 올가미 등의 제거 클립을 관체에 도입시켜 생체조직을 제거하고, 제거된 조직의 환부에 헤모클립(100)을 결착하여 지혈하는 시술을 진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환부를 탄성체로 형성한 헤모클립(100)의 상하 협지바(121)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하 협지바(121)를 가압하여 가이드홈(131)에 걸림돌기(132)를 결착하여 결합시키면 협지바(121)의 협지면(122)이 환부를 가압하여 지열 함과 동시에 상하 협지면(122)에 형성한 가압돌기(123)가 엇갈리게 환부를 가압하므로 견고하게 환부를 지지하여 효율적으로 지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하 협지면(122)에 형성한 가압돌기(123)가 엇갈리게 환부를 가압하여 환부를 굴곡지게 하면서 지지하므로 좌우로 밀려 환부의 결착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헤모클립 110 : 절곡부
111 : 가이드장공 120 : 가압부
121 : 협지바 122 : 협지면
123 : 가압돌기 130 : 결합부
131 : 가이드홈 132 : 걸림돌기

Claims (1)

  1. 내측에 가이드장공(111)을 형성한 절곡부(110)와, 상기 절곡부(110)에 일체로 상하에 대응하는 협지바(121)를 형성하되 상호 마주하는 상하 협지바(121)에 가압돌기(123)를 다수개 형성한 가압부(120) 및 상기 가압부(120)의 상하 협지바(121) 단부에 걸림돌기(132)와 가이드홈(131)을 일체로 각각 형성하여 결착하도록 하는 결합부(130)로 구성한 헤모클립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123)는 판 형상으로 돌출되고, 가압부(120)는 상하 협지바(121)의 상호 마주하는 상하 협지면(122) 표면에 가압돌기(123)를 협지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하면서 각각의 협지면(122)에서 가압돌기(123)를 지그재그로 배열하여 상호 엇갈리게 형성하고, 협지면(122)이 환자의 시술 부위를 가압하면 사각 판형의 상측 가압 돌기(123)와 하측 가압 돌기(123)가 상기 시술 부위를 엇갈리게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시술 부위를 굴곡지도록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로 밀려 결착 위치가 틀어지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클립.
KR1020160032513A 2016-03-18 2016-03-18 헤모클립 KR10181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513A KR101812558B1 (ko) 2016-03-18 2016-03-18 헤모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513A KR101812558B1 (ko) 2016-03-18 2016-03-18 헤모클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29064A Division KR20150039172A (ko) 2015-03-02 2015-03-02 헤모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027A true KR20160036027A (ko) 2016-04-01
KR101812558B1 KR101812558B1 (ko) 2017-12-27

Family

ID=5579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513A KR101812558B1 (ko) 2016-03-18 2016-03-18 헤모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783B1 (ko) * 2018-08-14 2019-10-14 (주)유원메디텍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6223B2 (en) 2004-01-22 2008-02-05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Ligating clip with integral cutting guide
EP1876971A1 (en) * 2005-03-24 2008-01-16 Pilling Weck Incorporated Reduced closure force ligating clip
US9445820B2 (en) 2007-12-31 2016-09-20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Ligation clip with flexible clamping fea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783B1 (ko) * 2018-08-14 2019-10-14 (주)유원메디텍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WO2020036325A1 (ko) * 2018-08-14 2020-02-20 (주)유원메디텍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558B1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42915B2 (ja) 外科用クリップ
JP5641812B2 (ja) 外科用ステープル
KR101619500B1 (ko) 개량된 피부 스트레칭 폐쇄 장치
KR101820517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이펙터 구조
US20060190015A1 (en) Clipping device
JP2008307383A (ja) 外科手術用ファスナー
KR20160115163A (ko) 외과용 클립
JP2005007151A (ja) 受動的外科用クリップ
KR101026933B1 (ko) 혈관 문합 장치
KR102058581B1 (ko) 내시경용 지혈클립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US20120316593A1 (en) Re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y
KR101812558B1 (ko) 헤모클립
WO2012150553A1 (en) Instrument for stretching/expanding skin tissue
KR20140112209A (ko) 헤모클립
KR101841013B1 (ko) 피부조직 거상술용 수술 도구
KR10179363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0963442B1 (ko) 복강경 수술용 봉합 기구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캐비넷
KR20150039172A (ko) 헤모클립
KR101598968B1 (ko) 헤모클립 보관케이스
EP3510943A1 (en) Suture needle for uterine hemostatic compression
KR20220080625A (ko) 내시경용 결찰장치
KR20140136262A (ko) 헤모클립 보관케이스
KR102383542B1 (ko) 신장 실질 결속 구조체, 신장 실질 결속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장 실질 결속 기기, 신장 실질 결속 구조체를 제공하는 어플라이어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신장 복원 키트
KR102115663B1 (ko)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