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783B1 -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 Google Patents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783B1
KR102031783B1 KR1020180094969A KR20180094969A KR102031783B1 KR 102031783 B1 KR102031783 B1 KR 102031783B1 KR 1020180094969 A KR1020180094969 A KR 1020180094969A KR 20180094969 A KR20180094969 A KR 20180094969A KR 102031783 B1 KR102031783 B1 KR 10203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ation
leg
clip
protrusion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욱
한성호
신현석
최복록
박한솔
이예철
박재형
Original Assignee
(주)유원메디텍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메디텍,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유원메디텍
Priority to KR102018009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783B1/ko
Priority to PCT/KR2019/008989 priority patent/WO20200363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적 수술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혈관 등의 조직을 결찰하여 혈액 등의 체액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폴리머 재질의 의도된 변형특성을 이용한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의 구조에 따른 결찰 성능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결찰클립은 각 후단이 힌지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서 상향 볼록한 암레그와 이에 대응하도록 상향 볼록한 수레그의 각 선단에 구비된 암헤드와 수헤드가 탄성과 회유에 의해 체결되면서 암레그와 수레그 사이에 놓여진 혈관을 결찰하는 폴리머 결찰클립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슬릿을 사이에 둔 내측힌지부와 외측힌지부 및, 결찰클립의 내부 혈관 접촉면과 동일 선상의 내측힌지부가 결찰시, 슬릿 공간ㅇ서 변형될 때, 변형 접힘의 가압수단으로 외측 힌지부에 돌출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A CLIP FOR SURGICAL OPERATION WITH HIGH LIGATION FORCE UNIFORMITY USED POLYMER MATERIALS}
본 발명은 혈관이나 다른 도관 등의 조직을 결찰(結紮, ligation)하기 위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과적 수술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혈관 등의 조직을 결찰하여 혈액 등의 체액이 누수되지 않고 수술후 회복과정에서 혈관 또는 도관으로부터 이탈방지를 위한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 과정중에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환자의 과다한 출혈을 방지하여 수술시야를 유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한 다른 합병증의 발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혈관을 결찰시켜야 한다. 그 외에도 종양을 제거하거나 기관(organ)의 영역을 구분하여 제거하고자 할 때 그 조직을 분리하기 전에 특정 혈관을 결찰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혈관의 결찰수단으로는 혈관 주위를 봉합사로 봉합시키거나 클립으로 결찰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고전적인 혈관결찰법인 봉합사로 혈관을 봉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을 위한 환부의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고 수술시간이 길어지며 세밀한 작업이 요구되고, 봉합된 실이 풀려질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다양한 재질의 클립에 의한 결찰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종래에 대표적으로 사용되어 온 결찰클립으로는, 탄탈럼(tantalum) 또는 타이타늄(titanium) 재질로 비좁은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형성된 금속성 지혈클립(hemostatic clip)이 있다. 이러한 금속성 지혈클립은 혈관의 결찰후 인체에 남게 되는데, 생체조직에 아무런 해를 주지 않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재질 자체가 변형(가공경화)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금속성 결찰클림으로 사용하고 있는 바, 입구가 열려 있는 금속성 지혈클립은 1회 변형에 의해 결찰력이 한정되므로 일정한 장력을 계속 유지하지 못하고, 수술 및 회복 중에 혈관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금속성 지혈클립이 가지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분자수지의 적정한 변형물성인 회유성(복원성)을 이용한 폴리머 결찰클립이 제안되고 있으며, 도 1은 그 예의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115163에 의해 공개된 외과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상기의 폴리머 결찰클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이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는 제1다리부재(100)와 힌지부(300)를 중심으로 접어지도록 상기 제1다리부재(1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다리부재(200)와, 제1다리부재(100)의 단부에 형성된 제1잠금부재(140) 및, 제2다리부재(200)의 단부에 형성된 제2잠금부재(240)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300)는 제1다리부재(100)와 제2다리부재(200)의 클립작용이 유연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슬릿(33)(300)을 사이에 둔 내측연결부(310)와 외측연결부(32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1다리부재(100)와 제2다리부재(200)의 각 안쪽 면(110,210)에는 결찰된 혈관이 슬리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410,420)가 구비된다.
이러한 폴리머 결찰클립은 어플라이어라는 전용도구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혈관의 결찰시에는 암수구조를 가지는 제1잠금부재(140)와 제2잠금부재(240)가 록킹되면서 제1다리부재(100)와 제2다리부재(200)가 혈관을 가압하여 그 내부의 체액이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즉 결찰클립을 어플라이어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혈관에 접근시켜 클립의 제1,2다리부재(100,200) 사이에 혈관을 끼운 다음, 어플라이어를 당겨서 결찰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폴리머 결찰클립은 힌지부(300)에서 변형이 시작되어 제1,2다리부재(100,200) 사이로 혈관이 눌러지고 제1,2잠금부재(140,240)의 암수구조에 의해 탄력적으로 잠금된다
이와 같이 폴리머 결찰클립의 변형시작점은 한지부(300)에서 시작되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연결부(310)에서 시작되어 그 변형이 각 다리부재(100,200)로 이어진 후 제1,2잠금부재(140,240)에 의해 잠금된다. 그런데 내측연결부(310)는 곡선형상을 가지는 각 다리부재(100,200)들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결찰과 동시에 변형될 때, 내측연결부(310)의 변형 방향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폴리머 클립은 사출성형에 의하여 플라스틱류의 물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힌지부 구조는 활(Bow)형상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내측힌지의 변형방향은 일정하게 아래로 진행한다. 즉, 내측연결부의 변형은 두께 만큼 슬릿사이에서 진행하다가 정지하므로 힌지부 주위는 암수헤드부에 비하여 불안정한 결찰을 초래한다.
이로 인하여 힌지부(300)에 근접한 부분의 양 다리부재(100,200) 사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갭(Gap)이 발생하면서 이에 놓여진 혈관을 충분히 눌러주지 못함으로써 이를 통해 체액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기도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1,2다리부재(100,200) 사이에 결찰된 혈관이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돌기(410,420)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혈관의 좌우방향을 구속하는 돌기(410,420)의 단부 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혈관이 어느 일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그 구속이 쉽게 풀려 슬라이딩 되는 등 결찰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6-0115163 A
본 발명은 결찰클립의 레그가 잠금되었을 때 상기 레그 사이에 혈관을 충분히 결찰시키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레그 내측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힘 분포를 유도함으로써 결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찰의 안정성 확보와 더불어 수평방향에 대한 슬립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제작성이 우수한 외과수술용 결찰클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각 후단이 힌지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서 상향 볼록한 암레그와 이에 대응하도록 상향 볼록한 수레그의 각 선단에 구비된 암헤드와 수헤드가 탄성 체결되면서 암레그와 수레그 사이에 놓여진 혈관을 결찰하는 폴리머 결찰클립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슬릿을 사이에 둔 내측힌지부와 외측힌지부 및, 내측힌지부의 접힘면이 외측힌지부의 가압수단(의도된 변형유도 및 추가적인 변형의 진행방지 돌출구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접힘면 가압수단은 외측힌지부에서 슬릿을 향해 돌출된 가압돌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돌기는 힌지의 종단중앙선을 기준으로 수레그 쪽에 위치해야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종단중앙선과 슬릿의 수레그쪽 단부 사이의 중앙 아래 쪽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결찰클립의 암레그와 수레그의 각 내면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결찰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결찰돌기는 각 레그 내면의 길이방향 중심가상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어긋나게 위치하면서 암레그의 결찰돌기와 수레그의 결찰돌기가 서로 맞물려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결찰돌기의 외측단부면은 역사면으로 구성시켜 보다 높은 결찰력이 발휘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혈관을 결찰할 때 결찰클립에 의해 혈관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져 결찰클립 내부에 놓여지는 혈관의 위치와 관계없이 균일한 결찰력이 이루어지므로 수술과정 중에 신속하고 정확한 결찰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높은 결착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혈관이 수평방향으로 슬립되는 일 없이 결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수술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결찰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결찰클립에 부정교합(GAP)이 발생한 상태 및 이에 대한 본 발명 결찰클립의 비교예에 관한 각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찰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결찰클립의 힌지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결찰클립의 결찰돌기 부분의 확대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접힘면 가압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접힘면 가압수단의 유무에 따른 내측힌지부의 면압분포에 관한 구조해석의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결찰돌기형상에 따른 혈관의 면압을 구조해석하한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체를 실험하는 과정중의 초기 셋팅단계와 최종 결과의 측정치를 산출한 단계의 각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찰클립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결찰클립의 힌지(30)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결찰클립의 결찰돌기(50) 부분에 대한 각 확대 평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결찰클립은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관을 결찰하는 암레그(11)와 수레그(21), 상기 암레그(11)와 수레그(21)의 각 선단에 구비되어 혈관이 결찰된 상태에서 암레그(11)와 수레그(21)를 잠금하는 암헤드(12)와 수헤드(22) 및, 암레그(11)와 수레그(21)의 각 후단을 일체로 연결하면서 이들 암레그(11)와 수레그(21)의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30)로 이루어진다.
암레그(11)는 상향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레그(21) 역시 암레그(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향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들 암레그(11)와 수레그(21) 사이에 놓여진 혈관을 탄성력으로 결찰한다.
상기 암레그(11)와 수레그(21)의 각 내면에는 결찰시 전진방향으로 혈관 외벽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고 결찰된 혈관에서 결찰클립이 수평방향으로 슬립다운(Slip down)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찰돌기(50)가 구비된다.
암레그(11)와 수레그(21)를 연결하는 힌지(30)는 암레그(11)와 수레그(21)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내측힌지부(31)와 외측힌지부(32) 및 이들 사이의 슬릿(33)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서는 그 외에 내측힌지부(31)의 접힘면 가압수단, 예컨대 의도된 변형유도 및 추가적인 변형의 진행방지를 위한 돌출구조의 수단이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크게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 내측힌지부(31)의 접힘면(34)이라 함은 내측힌지부(31)의 슬릿(33) 반대쪽인 암레그(11)와 수레그(21)의 각 내면이 연결된 부분을 의미한다.
혈관을 결찰한 상태로 암레그(11)과 수레그(21)가 잠금되었을때 내측힌지부(31)가 아래로 처지면서 내측힌지부(31)의 접힘면(34)에 비정상적인 큰 공극(갭)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전체 힌지부(30) 주위는 암레그(11)와 수레그(21) 사이에 부정교합이 발생하게 되는 바, 상기 접힘면 가압수단은 도 6에서와 같이 아래로 처지는 내측힌지부(31)의 하부쪽을 상향 가압하여 면압을 증가시킴으로서 상기 접힘면(34)에 부정교합을 가지게 하는 상기한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은 접힘면 가압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와 접힘면 가압수단이 구비된 경우를 비교한 내측힌지부(31)의 면압분포에 관한 구조해석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전자의 면압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후자의 면압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접힘면 가압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한 (a)의 경우는 내측힌지부(31)의 가압 분포되는 면압은 1.621e-01인 것임에 대하여 접힘면 가압수단이 구비된 (b)의 경우는 내측힌지부(31)에 가압 분포되는 면압은 1.841e-01으로 약 13.57% 증가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접힘면 가압수단은 내측힌지부(31)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접힘면(34)에서 암레그(11)와 수레그(21)가 정교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족하는 것이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외측힌지부(32)에서 슬릿(33)을 향해 가압돌기(40)를 돌출시키는 것이다. 가압돌기(40)로 이루어지는 접힘면 가압수단은 그 구성이 단순하여 결찰클립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정확한 가압력을 가지게 한다.
외측힌지부(32)에 구비되는 가압돌기(40)는 내측힌지부(31)의 하부쪽을 상항 가압시키는 것인 바, 그 위치는 힌지(30)의 종단중앙선(O-O)을 기준으로 하부, 즉 수레그(21) 쪽에 위치해야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단중앙선(O-O)과 슬릿(33)의 수레그(21)쪽 단부 사이의 중앙 아래쪽에 위치시킨다.
아울러 상기 가압돌기(4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상으로 구성시켜 내측힌지부(31)에 대한 가압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때, 내측힌지부(31)가 중심축 방향으로 변형되게 유도하며, 아래쪽으로 추가적인 변형진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혈관결착을 위하여 암레그(11)와 수레그(21)를 접게 되면 내측힌지부(31)쪽의 슬릿(33)은 그 폭이 대략 70~80% 정도 감소한다. 따라서 가압돌기(40)의 반원형상의 중점(Q)은 외측힌지부(3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호(h)의 선상에 위치시키되, 그 반경(R)은 상기 중점(Q)에 위치한 슬릿(33)의 초기 폭 대비 0.3 내지 0.6배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예컨대 반경이 0.3배미만인 경우에는 내측힌지부(31)에 대한 가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그 가압의 정도가 미미할 수 있으며, 반경이 0.6배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가압정도가 너무 커 내측힌지부(31)가 측면으로 비틀리는 등 힌지(30)에 요구되지 않는 변형이 발생될 여지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압돌기(40)는 내측힌지부(31)를 상향 가압함으로써 직접적으로는 레그(11,21) 후단의 접힘면(34)에서의 면압을 증가시키는 것이나, 다른 한편으로는 그 가압력이 암레그(11)와 수레그(21) 전체에 영향을 주어 결찰클립의 결찰력을 증대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하여 후술하는 결착돌기(Teeth)의 형상에 대한 보완적인 관계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실험예를 통해 다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레그(11)와 수레그(21)의 각 내면에는 결찰된 혈관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결찰력을 가지도록 하는 결찰돌기(50)가 구비된다.
상기 결찰돌기(50)는 암레그(11)와 수레그(21)의 각 내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레그(11,21) 내면의 길이방향 중심가상선(K)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한 쌍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면서 암레그(11)의 결찰돌기(50)와 수레그(21)의 결찰돌기(50)가 서로 맞물려지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결찰돌기(50)는 도 5의 (b)에서와 같이 외측단부면을 역사면(51)으로 구성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슬립방지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8은 결찰된 혈관이 수술후 회복기간 중에 수축하거나 결찰클립의 결찰력이 감소되어 수평방향으로 당겨졌을 때 결찰돌기(50)의 외측단부면과의 걸림부위에 위치한 혈관의 면압을 역사면(51)의 각도에 따라 비교한 각 구조해석의 결과로서, (a)는 역사면(51)을 형성시키지 아니한 경우, (b)는 외측단부면의 가상수직면 길이(L1)와 하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길이(L2)의 비가 20:3인 경우, (c)는 외측단부면의 가상수직면 길이(L1)와 하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길이(L2)의 비가 20:4인 경우, (d)는 외측단부면의 가상수직면 길이(L1)와 하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길이(L2)의 비가 20:5인 경우를 각 나타낸 것이다.
이에 의하면 위 (a)의 경우는 혈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6.351e-01이나, (b)의 경우는 6.657e-01, (c)의 경우는 6.701-e01, (d)의 경우는 6.884e-01을 나타내어 역사면(51)의 각(α)이 커질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찰돌기(50)의 외측단부면을 역사면(51)으로 구성시키는 경우, 그리고 그 역사면(51)의 각도(α)가 클 수록 혈관이 슬립에 저항하는 능력이 증대된다. 그러나 역사면(51)의 각도(α)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혈관에 발생된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여 혈관에 찢김이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외측단부면의 가상수직면 길이(L1)와 하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길이(L2)의 비는 20:5를 초과하지 않도록 역사면(51)의 각도(α)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결찰클립은 힌지(30)에 구성되는 접힘면 가압수단과 레그(11,21)의 내면에 형성되는 결착돌기(Teeth)의 형상적 구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일하면서 높은 결찰력을 가지게 한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힘면 가압수단은 암레그(11)와 수레그(21) 전체에까지 영향을 주어 결찰클립의 결찰력을 증대시킨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 의뢰하여 슬림저항능력시험(Lateral Pull-off Test)을 실시하였으며, 각 실험체는 다음과 같다.
실험체 1 : 세계 최고의 슬립저항력(21N이상)을 가진 것으로 인정된 미국의 W사의 결찰클립(XL형으로 접힘면 가압수단과 역사면(51)이 구비되지 아니한 결찰돌기(50) 형성)
실험체 2 내지 5 :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것으로서, 외측힌지부(32)에 가압돌기(40)가 형성되되, 그 위치는 힌지(30)의 종단중앙선(O-O)과 슬릿(33)의 수레그(21)쪽 단부 사이의 중앙에 가압돌기(40)가 형성되는 것으로 그 가압돌기(40)의 반경은 슬릿(33)의 초기 폭이 통상적으로 0.7~0.8mm인 것을 감안하여 0.45mm, 0.40mm, 0,35mm, 0.3mm로 각 설정하고, 결착돌기의 역사면(51)은 경사각이 없는 것과 L1:L2의 비가 20:3, 20:4, 20:5의 것이 순차적으로 상기 가압돌기(40)의 규모에 대응되도록 구성하였다.
실험방법은, ① 5cm PVC 튜브 상단을 PUSH-PULL 게이지(IMADA, JAPEN) 상단 지그에 고정 → ② PVC 튜브 하단 약 5mm에 결찰클립을 결찰 → ③ 2000pps(1mm/s)의 속도로 결찰클림이 PVC 튜브에서 완전히 빠질 때까지 PUSH-PULL 게이지를 잡아 당김 → ④ 결찰한 결찰클립을 지그 하단 부분에 집어 넣어 암레그(11) 및 수레그(21) 부분이 지그에 걸리도록 장착(이때 하단 지그는 PVC 튜브에 힘을 가하지 않고 결찰클립의 레그부분만 걸릴 수 있을 정도로 벌려줌) → ⑤ 결찰클립이 PVC 튜브에서 완전히 빠진 후, PUSH-PULL 게이지의 Peak값을 계측하는 방법에 의해 각 실험체의 슬립저항능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1과 같다. 도 9는 상기한 실험 과정중의 초기 셋팅단계와 최종 결과의 측정치를 산출한 단계에서의 각 사진이다.
구분 실험체 1
(대조군 W사)
실험체 2
(R 0.45, 20:0))
실험체 3
(R 0.40, 20:3)
실험체 4
(R 0.35, 20:4)
실험체 5
(R 0.30, 20:5)
1 16.7 29.8 33.9 26.0 23.7
2 23.3 38.7 23.5 37.3 22.5
3 22.4 26.7 36.0 27.1 25.8
4 24.4 24.9 28.3 28.9 30.1
5 24.0 22.4 35.2 42.5 24.0
6 24.2 43.8 33.8 32.0 24.7
7 21.8 41.0 31.3 40.9 22.4
8 24.7 43.9 27.6 27.3 31.0
9 23.6 42.1 26.9 37.0 39.1
10 24.9 34.4 29.7 22.1 39.9
Avg 23.0 34.8 30.6 32.1 28.3
(단위 N)
위 실험결과 본 발명에 의한 결찰클립은 모두 미국의 W사의 결찰클립에 비하여 높은 슬립저항능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슬립저항능력의 크기는 결찰돌기(50)의 역사면(51)의 경사각(α) 보다도 가압돌기(40)의 규격에 의해 지배를 받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가압돌기(40)의 반경을 크게 형성시킨 것은 결찰돌기(50)의 역사면(51) 각도를 크게 형성시킨 것보다 큰 결찰력을 가진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돌기(40)는 각 레그(11,21)의 후단에 위치한 접힘면(34) 뿐만 아니라 레그(11,21) 전체에 대한 결찰력을 증대시키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물론 결찰돌기(50)의 역사면(51) 각도(α)가 클수록 결찰력이 커질 것임은 앞의 구조해석을 통해서 확인한 바 있다.
따라서 가압돌기(40) 등의 접힘면 가압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은 힌지(30) 부근을 포함은 레그(11,21) 전체에 대하여 균일하고 높은 결찰력을 가지게 하여 혈관의 결찰위치와 관계없이 결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며, 결찰돌기(50)의 역사면(51) 각도(α)를 조정함으로써 결찰력의 크기를 보다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 암레그 12; 암헤드
21; 수레그 22; 수헤드
30; 힌지 31; 내측힌지부
32; 외측힌지부 33; 슬릿
34; 접힘면 40; 가압돌기
50; 결찰돌기 51; 역사면

Claims (8)

  1. 각 후단이 힌지(30)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서 상향 볼록한 암레그(11)와 이에 대응하도록 상향 볼록한 수레그(21)의 각 선단에 구비된 암헤드(12)와 수헤드(22)가 탄성 체결되면서 암레그(11)와 수레그(21) 사이에 놓여진 혈관을 결찰하는 폴리머 결찰클립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슬릿(33)을 사이에 둔 내측힌지부(31)와 외측힌지부(32) 및, 내측힌지부(31)의 접힘면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힘면 가압수단은, 외측힌지부(32)에서 슬릿(33)을 향해 돌출된 반원형상의 가압돌기(40)로서, 그 중점(Q)은 외측힌지부(3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호(h)의 선상에 위치하고 반경(R)은 상기 중점(Q)에 위치한 슬릿(33) 폭의 0.3 내지 0.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40)는 힌지(30)의 종단중앙선(O-O)을 기준으로 수레그(21) 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40)는 상기 종단중앙선(O-O)과 슬릿(33)의 수레그(21)쪽 단부 사이의 중앙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그(11)와 수레그(21)의 각 내면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결찰돌기(50)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결찰돌기(50)는 각 레그(11,21) 내면의 길이방향 중심가상선(K)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어긋나게 위치하면서 암레그(11)의 결찰돌기(50)와 수레그(21)의 결찰돌기(50)가 서로 맞물려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찰돌기(50)의 외측단부면은 역사면(5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찰돌기(50)의 역사면(51)의 형상은, 외측단부면의 가상수직면 길이(L1)와 하면에서의 내측으로 들어간 길이(L2)의 비가 20:3 ~ 2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KR1020180094969A 2018-08-14 2018-08-14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KR10203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69A KR102031783B1 (ko) 2018-08-14 2018-08-14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PCT/KR2019/008989 WO2020036325A1 (ko) 2018-08-14 2019-07-19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69A KR102031783B1 (ko) 2018-08-14 2018-08-14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783B1 true KR102031783B1 (ko) 2019-10-14

Family

ID=6817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969A KR102031783B1 (ko) 2018-08-14 2018-08-14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1783B1 (ko)
WO (1) WO20200363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4091A (zh) * 2020-12-15 2021-03-16 福建省立医院 一种肌腱减张吻合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003493D0 (en) * 2020-03-11 2020-04-29 Robinson Healthcare Ltd An umbilical cord clamp
FR3118572B1 (fr) * 2021-01-07 2023-03-31 Peters Surgical Agrafe chirurgicale pour pincer un tissu biologique
FR3118571A1 (fr) * 2021-01-07 2022-07-08 Peters Surgical agrafe chirurgicale pour pincer un tissu biologique
FR3118573A1 (fr) * 2021-01-07 2022-07-08 Peters Surgical agrafe chirurgicale pour pincer un tissu biologi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4700A1 (en) * 2010-03-09 2011-09-15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Narrow Profile Surgical Ligation Clip
KR20160036027A (ko) * 2016-03-18 2016-04-01 한희상 헤모클립
KR20160115163A (ko)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외과용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29B1 (ko) * 2013-02-20 2014-03-26 (주)유원메디텍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GB201312476D0 (en) * 2013-07-12 2013-08-28 Price Invena Aps Improved clamp for use in a cutting device
KR20180074398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혈관 결찰을 위한 외과용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4700A1 (en) * 2010-03-09 2011-09-15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Narrow Profile Surgical Ligation Clip
KR20160115163A (ko)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외과용 클립
KR20160036027A (ko) * 2016-03-18 2016-04-01 한희상 헤모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4091A (zh) * 2020-12-15 2021-03-16 福建省立医院 一种肌腱减张吻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325A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783B1 (ko) 높은 결찰력의 균일성을 가진 폴리머 재질의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US11490897B2 (en) Surgical clip for laparoscopic procedures
US20230190300A1 (en) Surgical ligation clip
US7326223B2 (en) Ligating clip with integral cutting guide
JP2022050701A (ja) ポリマー結紮クリップ
US57529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reinforced surgical fastener suture line
US20190099188A1 (en) Tissue Compression Device with Fixation and Tension Straps
US20070118161A1 (en) Non-snag polymer ligating clip
US201601749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patent hemostasis in arteries
WO2001076487A1 (en) Surgical suturing clamp
WO2019089440A1 (en) Latching wire clip
CA2747665C (en) Styptic device
CN212996610U (zh) 能够可靠夹持的标记钛夹及钛夹组件
KR20230059824A (ko) 생물학적 조직 및/또는 보철 재료에 접착제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
JP2019513472A (ja) バルブ体を有する送達カテーテル
CN210330654U (zh) 结扎夹
CN107981908B (zh) 一种抗偏移的组织夹
WO2020078264A1 (zh) 一种小管腔吻合器及其使用方法
US20220354496A1 (en) Sideways or tangentially applicable surgical clip for bleeding control
RU2240735C1 (ru) Клипса для обтурации полых протяженных органов
CN211674415U (zh) 一种多级卡扣结扎夹
CN216675831U (zh) 一种具有预定位功能的结扎夹
US20080249557A1 (en) Screw for Vascular Occlusion
CN213722225U (zh) 带闭合缓冲结构的结扎夹
CN110840511A (zh) 一种能够可靠夹持的标记钛夹及钛夹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