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961A - 의료인 단말,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인 단말,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961A
KR20160035961A KR1020150042601A KR20150042601A KR20160035961A KR 20160035961 A KR20160035961 A KR 20160035961A KR 1020150042601 A KR1020150042601 A KR 1020150042601A KR 20150042601 A KR20150042601 A KR 20150042601A KR 20160035961 A KR20160035961 A KR 20160035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terminal
video call
medical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204B1 (ko
Inventor
김지현
김영국
최기환
박시영
박현정
황용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3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의료인 단말의 화상 통화 방법에 있어서, 환자 단말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및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화상 통화 화면은,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 의료인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 환자 관련 정보, 및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환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의료인 단말,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 {MEDICAL CARE PROVIDER TERMINAL, PATIENT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ALL THEREBY}
본 발명은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를 하는 의료인 단말, 의료인 단말과 화상 통화를 하는 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 진료란 일반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의료 정보와 의료 서비스를 전달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된다. 환자가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거나, 환자와 의료인이 대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등에 의료 정보 및 전문적 조언을 원격에 위치하는 환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환자 진료뿐만 아니라 의료 행정, 의학 교육, 자문 및 의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된다. 즉, 원격 진료는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의학 영상, 동영상, 환자 기록 등의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고, 의료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술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원격 진료를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환자와 의료인이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가지고 서로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의료인은 환자의 영상과 음성을 통해 환자의 질병 상태를 진료할 수 있으며, 환자는 의료인의 영상과 음성을 통해 질병 관리상의 주의점, 질병의 호전 정도 등을 알 수 있다.
원격 진료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환자와 의료인이 보다 효율적으로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 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은 환자 단말과 의료인 단말 사이의 화상 통화 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 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은 환자가 자신의 질병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 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은 의료인이 환자에 대한 처방, 지시 등을 쉽게 내릴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방법은,
의료인 단말의 화상 통화 방법에 있어서, 환자 단말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상기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통화 화면은, 상기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 상기 의료인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 상기 환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방법은,
환자 단말의 화상 통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환자의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예약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 이전에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환자가 화상 통화를 승인한 경우, 의료인 단말과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 장치는,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를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부; 및상기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통화 화면은, 상기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 상기 의료인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 상기 환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 장치는,
의료인 단말과 화상 통화를 하는 환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 단말의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예약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 이전에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출력된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환자가 화상 통화를 승인한 경우, 상기 의료인 단말과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 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에 의하면, 환자 단말과 의료인 단말이 화상 통화 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 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에 의하면, 환자는 자신의 질병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의료인은 환자에 대한 처방, 지시 등을 쉽게 내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과 의료인 단말을 포함하는 화상 통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환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환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알림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환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상 통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은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와 화상 통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의료인으로부터 환자 관련 정보의 공유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와 화상 통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의료인으로부터 화이트 보드의 공유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와 화상 통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의료인으로부터 인체 모형을 포함하는 이미지 템플릿의 공유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와 화상 통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와 화상 통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110)과 의료인 단말(130)을 포함하는 화상 통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통화 시스템은 환자 단말(110), 의료인 단말(130) 및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단말(110)은 환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PDA 또는 테블릿 PC 등의 다양한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인 단말(130)은 의사, 간병인 또는 간호사 등의 의료 전문가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PDA 또는 테블릿 PC 등 다양한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50)는 환자 단말(110)과 의료인 단말(130) 사이의 화상 통화를 중개한다. 서버(150)는 환자 단말(110) 또는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및 정지 영상 데이터 등을 상대방 단말로 전송한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환자 단말(110)과 의료인 단말(130)이 서버(150)없이 일대일로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환자 단말(1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110)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3은 환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된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4는 환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된 알림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환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된 화상 통화 화면(31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S210 단계에서, 환자 단말(110)은 외부 서버(150)로부터 환자의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한다.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는 환자의 화상 통화가 언제로 예정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는 의료인 단말(13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환자 단말(110)은 의료인 단말(130)에 의해 외부 서버(150)에 저장된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외부 서버(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는 화상 통화가 예정된 일시, 화상 통화를 담당하는 의료인 및 담당 의료인의 진료 과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는 하나의 예시일뿐이며,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는 화상 통화가 예정된 일시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S220 단계에서, 환자 단말(110)은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예약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 이전에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환자 단말(110)은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프린터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소정 시간 간격은 환자 단말(11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환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화상 통화가 7월 11일 오후 2시에 예정되어 있는 경우, 환자 단말(110)은 7월 11일 오후 1시 50분에 미리 화상 통화가 예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환자 단말(110)은 도 4에 도시된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데, 환자는 도 4에 도시된 알림 정보에서 '예'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의료인 단말(130)과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환자 단말(110)은 출력된 알림 정보에 따라 환자가 화상 통화를 승인한 경우, 의료인 단말(130)과 화상 통화를 연결한다.
환자 단말(110)이 의료인 단말(130)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되면, 화상 통화 화면이 환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되는 화상 통화 화면(310)은 환자 단말(110)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312)과 의료인 단말(130)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3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통화 화면(310)은 채팅 입력창(31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는 채팅 입력창(318)을 통해 의료인과 채팅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보면, 화상 통화 화면(310)은 정지 영상 촬영 메뉴(316)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환자에 의해 정지 영상 촬영 메뉴(316)가 선택되면, 환자 단말(110)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은 환자의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환자 단말(110)은 환자의 정지 영상을 의료인 단말(130) 또는 외부 서버(150)로 전송함으로써, 의료인이 환자의 정지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의료인은 환자의 질환 부위의 정지 영상을 전송해달라고 환자에게 요청할 수 있고, 환자는 정지 영상 촬영 메뉴(316)를 선택하여 질환 부위를 촬영한 후, 촬영된 정지 영상을 의료인에게 전송함으로써, 의료인은 검사하고자 하는 환자의 관심 부분을 더욱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정지 영상 촬영 메뉴(316)가 화상 통화 화면(310)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환자는 다양한 입력, 예를 들어, 음성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환자 단말(110)에 구비된 버튼 입력 등을 통해 자신의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화상 통화 화면(310)은 화이트 보드 공유 요청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에 의해 화이트 보드 공유 요청 메뉴가 선택되면, 환자 단말(110)은 화상 통화 화면(310) 내에 화이트 보드를 포함시켜 의료인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110)은 화이트 보드에 대한 필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 단말(110)은 환자에 의해 화이트 보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의료인 단말(130)과 공유함으로써, 환자는 의료인과 서로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환자에 대한 화상 통화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환자 단말(110)과 의료인 단말(130)을 화상 통화 연결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화상 통화가 예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환자는 환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된 의료인 목록으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을 하고자 하는 의료인을 선택할 수 있고, 환자 단말(110)은 해당 의료인의 의료인 단말(130)로 화상 통화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6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600)은 통신부(610), 출력부(630), 메모리(650) 및 제어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메모리(65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610), 출력부(630) 및 메모리(650) 중 적어도 하나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610)는 의료인 단말(130) 또는 외부 서버(150)와 통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통신부(610)는 외부 서버(150)로 환자의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서버(150)로부터 환자의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한다. 외부 서버(150)에 저장된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가 의료인 단말(130)에 의해 변경된 경우, 통신부(610)는 변경된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외부 서버(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10)는 환자가 선택한 의료인의 의료인 단말(130)로 화상 통화를 요청할 수도 있다.
출력부(630)는 화상 통화 스케쥴에 포함된 예약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 이전에 알림 정보를 출력하여, 환자에게 화상 통화가 예약되어 있다는 것을 알린다. 출력부(63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 다양한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30)는 환자 단말(600)이 의료인 단말(130)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된 경우, 화상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650)는 외부 서버(150)로부터 전송된 화상 통화 스케쥴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650)는 화상 통화 연결이 가능한 의료인 목록 및 의료인 목록에 포함된 의료인 단말(130)들의 연결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연결 식별 정보는 의료인 단말(130)들 각각의 전화번호, IP 번호 등 의료인 단말(130)들 각각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670)는 통신부(610), 출력부(630) 및 메모리(65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환자 단말(600)은 환자로부터 소정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수신부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 환자로부터 소정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입력 수신부가 환자로부터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의료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통신부(610)는 환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인의 의료인 단말(130)로 화상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수신부가 환자로부터 정지 영상의 촬영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환자 단말(600)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은 환자의 정지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부(610)는 환자의 정지 영상을 의료인 단말(130) 또는 외부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수신부가 환자로부터 화이트 보드의 공유 입력을 수신하면, 출력부는 화이트 보드 화면을 화상 통화 화면에 포함시키고, 환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의료인 단말(130)과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인 단말(1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130)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710 단계에서, 의료인 단말(130)은 환자 단말(110)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을 수신한다.
S720 단계에서, 화상 통화 요청에 대해 의료인이 승낙을 하면, 의료인 단말(130)은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를 연결한다.
S730 단계에서, 의료인 단말(130)는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의료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한다.
의료인 단말(130)은 환자 관련 정보를 소정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할 수 있으며, 소정 프로그램은 전자 차트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통화 화면은,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 의료인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 환자 관련 정보, 및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환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인 단말(130)은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된 경우, 의료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 중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축소시키고, 화상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의료인 단말(130)이 환자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또는 대부분의 영역에 표시하고 있는 중에,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되면, 자동적으로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축소시키고,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다.
의료인 단말(130)이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되면,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페이지를 별도로 팝업(pop-up)시키지 않고, 화상 통화 화면을 환자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소정 프로그램에 임베딩된(embedded)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의료인은 환자와 화상 통화를 하는 도중에도 환자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소정 프로그램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UI(user interface) 기술 개발 언어로 사용한 플렉스(Flex)의 레이아웃은 비율로 조정되므로, 화상 통화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도 전자 차트 프로그램 등의 소정 프로그램의 폭(width)은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소정 프로그램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플렉스의 아이프레임(iFrame) 형태의 틀 안에 액티브 엑스(Active-X) 객체를 호출하여 같은 페이지 내의 화면에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화상 통화를 진행하면서도 소정 프로그램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의료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에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된 경우, 의료인 단말(130)은 화상 통화 연결이 된 환자의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소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서, 환자 관련 정보와 화상 통화 화면 각각을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통화 화면에 포함된 공유 영역은 환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며, 공유 영역은 의료인의 선택에 따라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 의료인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 환자 관련 정보, 및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종래의 화상 통화 방법에 의하면, 환자와 의료인은 서로의 동영상이 표시되는 화상 통화 화면만을 통해 원격 진료를 수행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방법에 의하면, 의료인은 전자 차트 프로그램에 임베딩된 화상 통화 화면을 통해 전자 차트를 보면서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원격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의료인 단말(130)은 환자 단말(110)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한해,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를 할 수 있으며, 구현예에 따라서는, 의료인 단말(130)에 표시된 환자 목록 중 의료인에 의해 화상 통화 연결을 하고자 하는 환자가 선택된 경우, 해당 환자의 환자 단말(110)로 화상 통화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8은 의료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810)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9은 의료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810)와 화상 통화 화면(83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환자 관련 정보(810)는 전자 차트 프로그램 등의 소정 프로그램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며, 처방 정보, 간호 정보, 바이탈 사인 정보 등 환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인 단말(130)은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된 경우, 환자 관련 정보(810)가 표시된 영역을 축소시키고, 디스플레이(800)의 일부 영역에 화상 통화 화면(830)을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통화 화면(830)은 환자 단말(110)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833) 및 의료인 단말(130)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834)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영역(831)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인은 화상 통화 화면(830)에 포함된 텍스트 입력창(832)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여 환자와 채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의 화상 통화 화면(830)은 비디오 탭 메뉴(835), 화면 공유 탭 메뉴(836) 및 지시 공유 탭 메뉴(837)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의료인에 의해 비디오 탭 메뉴(835)가 선택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통화 화면(830)의 공유 영역(831)에는 제 1 동영상(833) 및 제 2 동영상(834)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의료인으로부터 환자 관련 정보(810)의 공유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의료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810)와 화상 통화 화면(83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기능 탭 메뉴들(835, 836, 837) 중 의료인에 의해 화면 공유 탭 메뉴(836)가 선택되면, 의료인 단말(130)은 의료인이 공유하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프레임(812)을 디스플레이(800)에 표시하고, 의료인은 선택 프레임(812)을 조절하여 환자 관련 정보(810)가 표시된 영역 중 환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의료인 단말(130)은 화상 통화 화면(830)의 공유 영역(831)에 표시된 제 1 동영상(833) 및 제 2 동영상(834) 중 적어도 하나 대신 의료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나타내는 화면(840)을 공유 영역(831)에 표시한다. 의료인 단말(130)은 의료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나타내는 화면(840)에 대한 필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료인은 필기 기능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환자의 상태 정보를 보다 쉽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탭 메뉴(835)에서 화면 공유 탭 메뉴(836)로 전환하였을 때에도, 환자와의 화상 통화는 유지될 수 있다. 즉, 의료인에 의해 화면 공유 탭 메뉴(836)에서 비디오 탭 메뉴(835)로 다시 전환되면, 제 1 동영상(833) 및 제 2 동영상(834) 중 적어도 하나가 공유 영역(831)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의료인으로부터 화이트 보드의 공유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의료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810)와 화상 통화 화면(83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인 단말(130)은 의료인으로부터 지시 공유 탭 메뉴(837)가 선택된 경우, 화상 통화 화면(830)의 공유 영역(831)에 화이트 보드(850)를 표시한다. 의료인 단말(130)은 공유 영역(831)에 표시된 화이트 보드(850)에 대한 필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료인 단말(130)은 화이트 보드(850)를 통해 의료인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환자 단말(110)과 공유한다.
도 12는 의료인으로부터 인체 모형을 포함하는 이미지 템플릿의 공유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의료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810)와 화상 통화 화면(83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의료인이 지시 공유 탭 메뉴(837)를 선택한 상태에서, 인체 모형을 포함하는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한 경우, 의료인 단말(130)은 화상 통화 화면(830)의 공유 영역(831)에 이미지 템플릿(860)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의료인 단말(130)은 이미지 템플릿(860)에 대한 필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인은 환자에게 환자의 질병과 관련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탭 메뉴들(835, 836, 837)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탭이 의료인에 의해 선택된 경우, 그에 대응하는 기능이 의료인 단말(130)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화상 통화 화면(830)에 포함된 탭 메뉴들(835, 836, 837)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의료인은 다양한 입력, 예를 들어, 음성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또는 의료인 단말(130)에 구비된 버튼 입력 등을 통해 의료인 단말(130)의 기능 및 공유 영역(831)에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의료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된 환자 관련 정보(810)와 화상 통화 화면(83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된 탭 메뉴들(835, 836, 837) 중 어느 하나의 탭 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탭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이 하나의 공유 영역(831)에 표시될 수 있지만, 구현예에 따라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탭 메뉴(835), 화면 공유 탭 메뉴(836) 및 지시 공유 탭 메뉴(837) 각각이 별개의 레이어(layer)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비디오 탭 메뉴(835), 화면 공유 탭 메뉴(836) 및 지시 공유 탭 메뉴(837) 각각의 공유 영역(831)은 서로간에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될 수 있다.
탭 메뉴들(835, 836, 837) 중 어느 하나의 탭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탭 메뉴의 레이어가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되고, 선택된 탭 메뉴의 공유 영역(831)에는 선택된 탭 메뉴에 대응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14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을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1400)은 디스플레이(1410), 통신부(1450) 및 제어부(1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7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10) 및 통신부(1450) 중 적어도 하나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10)는 소정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10)는 CRT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PDP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FE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VFD 디스플레이, DLP 디스플레이, PFD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50)는 환자 단말(110)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를 연결한다. 통신부(1450)는 외부 서버(150)로 의료인 단말(1400)의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등을 전송하고, 외부 서버(150)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50)는 의료인으로부터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환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환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환자 단말(110)로 화상 통화를 요청할 수도 있다.
제어부(1470)는 디스플레이(1410) 및 통신부(14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70)는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된 경우,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디스플레이(1410)의 일부 영역에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70)는 환자 단말(110)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된 경우, 디스플레이(1410) 중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축소시키고, 화상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1410)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통화 화면은,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 의료인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 환자 관련 정보, 및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환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단말 장치(1400)는 사용자의 소정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수신부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스피커 또는 프린터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70)는 입력 수신부를 통해 의료인으로부터 환자 관련 정보의 공유 입력이 수신되면,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영역 중 의료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화상 통화 화면의 공유 영역에 표시하여 환자 단말(110)과 공유한다. 제어부(1470)는 공유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던 내용 대신 의료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공유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70)는 환자 단말(110)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환자의 정지 영상이 촬영된 경우, 촬영된 정지 영상을 디스플레이(14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70)는 의료인으로부터 인체 모형을 포함하는 이미지 템플릿의 공유 입력이 수신된 경우, 공유 영역을 통해 환자 단말(110)과 이미지 템플릿을 공유할 수 있고, 의료인으로부터 화이트 보드의 공유 입력이 수신되면, 공유 영역에 화이트 보드를 표시하고, 의료인이 화이트 보드에 입력한 데이터를 환자 단말(110)과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600: 환자 단말
130, 1400: 의료인 단말
150: 서버

Claims (19)

  1. 의료인 단말의 화상 통화 방법에 있어서,
    환자 단말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상기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통화 화면은, 상기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 상기 의료인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 상기 환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화면은,
    상기 환자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임베딩된(embedd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된 경우, 상기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축소시키고, 상기 화상 통화 화면을 상기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방법은,
    상기 의료인으로부터 상기 환자 관련 정보의 공유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영역 중 상기 의료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상기 공유 영역에 표시하여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방법은,
    상기 의료인으로부터 이미지 템플릿의 공유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공유 영역에 상기 이미지 템플릿을 표시하여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방법은,
    상기 의료인으로부터 화이트 보드의 공유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영역에 화이트 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인이 화이트 보드 내에 입력한 데이터를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복수의 탭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탭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유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던 내용을 상기 제 1 동영상, 상기 제 2 동영상, 상기 환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방법은,
    상기 의료인으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을 하고자 하는 환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환자 단말로 화상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방법은,
    상기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상기 환자의 정지 영상이 촬영된 경우, 상기 촬영된 정지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방법.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화상 통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를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부; 및상기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화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통화 화면은, 상기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 동영상, 상기 의료인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 동영상, 상기 환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화면은,
    상기 환자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임베딩된(embedd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 단말과 화상 통화 연결이 된 경우, 상기 의료인 단말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축소시키고, 상기 화상 통화 화면을 상기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인 단말 장치는,
    상기 의료인으로부터 상기 환자 관련 정보의 공유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영역 중 상기 의료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상기 공유 영역에 표시하여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인 단말 장치는,
    상기 의료인으로부터 인체 모형을 포함하는 이미지 템플릿의 공유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영역에 상기 이미지 템플릿을 표시하여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인 단말 장치는,
    상기 의료인으로부터 화이트 보드의 공유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영역에 화이트 보드를 표시하고, 상기 의료인이 화이트 보드에 입력한 데이터를 상기 환자 단말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복수의 탭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탭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유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던 내용을 상기 제 1 동영상, 상기 제 2 동영상, 상기 환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인 단말 장치는,
    상기 의료인으로부터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환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환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환자 단말로 화상 통화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상기 환자의 정지 영상이 촬영된 경우, 상기 촬영된 정지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단말 장치.
KR1020150042601A 2014-09-24 2015-03-26 의료인 단말,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 KR101763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94,886 US20160088257A1 (en) 2014-09-24 2014-09-24 Medical care provider terminal, patient terminal, and video call method thereof
US14/494,886 2014-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61A true KR20160035961A (ko) 2016-04-01
KR101763204B1 KR101763204B1 (ko) 2017-08-01

Family

ID=5552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601A KR101763204B1 (ko) 2014-09-24 2015-03-26 의료인 단말,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88257A1 (ko)
KR (1) KR101763204B1 (ko)
CN (1) CN1054509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803A1 (ko) *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플라잉닥터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9553B2 (en) * 2015-01-27 2018-07-10 Catholic Health Initiatives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ly integrated care delivery
CN106791677A (zh) * 2016-12-30 2017-05-31 天津骏飞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传感网医疗呼叫定位设备
US20180316964A1 (en) * 2017-04-28 2018-11-01 K, Online Inc Simultaneous live video amongst multiple users for discovery and sharing of information
WO2018211895A1 (ja) * 2017-05-18 2018-11-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活支援システム、生活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550389A (zh) * 2018-03-02 2018-09-18 深圳前海康博士网络技术有限公司 照护装置
US11670427B2 (en) * 2018-12-04 2023-06-06 Mycare Integrated Software Solutions, LLC Remote healthcar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910098B2 (en) * 2018-12-11 2021-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summarization of medical imaging studies
US10798338B1 (en) 2019-08-21 2020-10-06 American Well Corporation Single point devices that connect to a display device
CN113329201B (zh) * 2020-02-28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增强的视频通话方法和系统、电子设备
BE1028937B1 (nl) * 2020-12-22 2022-07-19 Rods&Cones Holding Bv Contactloos configureren van een videoconferentie in steriele omgevingen
CN112911025B (zh) * 2021-05-08 2021-08-13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基于互联网的护理服务方法及系统
CN113949906A (zh) * 2021-12-01 2022-01-18 深圳市佰慧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联网共享的视频预览回放系统及管理方法
CN114374761A (zh) * 2022-01-10 2022-04-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803A1 (ko) *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플라잉닥터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88257A1 (en) 2016-03-24
KR101763204B1 (ko) 2017-08-01
CN105450974A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204B1 (ko) 의료인 단말,환자 단말 및 이들에 의한 화상 통화 방법
Wong et al. Patient 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e of virtual care
US10652504B2 (en) Simple video communication platform
Mahoney Telehealth, telemedicine, and related technologic platforms: current practice and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US11205306B2 (en) Augmented reality medical diagnostic projection
US11676689B2 (en) Interactive electronic communications and control system
Sirilak et al. A new procedure for advancing telemedicine using the HoloLens
WO2010118327A2 (en) Targeted health care content delivery system
CN109478425A (zh) 按需全点远程医疗会诊的系统和方法
US20130298082A1 (en) Clinical photographic recordkeep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14027850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management of one or more subjects
WO20181749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healthcare delivery
US20220171879A1 (en) Privacy controls for managing group telehealth sessions
Ng et al. Assessing the availability of teleconsultation and the extent of its use in Malaysian public primary care clinics: cross-sectional study
US20140278345A1 (en) Medical translator
JP2019133270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支援装置及び支援方法
US20190130358A1 (en) Screen shar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remote medical care
JP2019057169A (ja) サーバ、医師装置、指導者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遠隔診療支援方法
US20230164200A2 (en) Method for remote consultation and related apparatus
Mongkolnam et al. Stay in Touch: Multimedia delivery for elderly people
Krupinski et al. Telehealth and virtual care
JP2019133271A (ja) 遠隔診療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US20230266872A1 (en) Intelligent surgical display system and method
Glauser et al. Letter to the editor regarding “Implementation and workflow of a telehealth clinic in neurosurg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R20170082959A (ko) 상황정보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 전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