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443A - 조류퇴치용 반사필름 - Google Patents

조류퇴치용 반사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443A
KR20160034443A KR1020140124728A KR20140124728A KR20160034443A KR 20160034443 A KR20160034443 A KR 20160034443A KR 1020140124728 A KR1020140124728 A KR 1020140124728A KR 20140124728 A KR20140124728 A KR 20140124728A KR 20160034443 A KR20160034443 A KR 20160034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film
film
reflection
piece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규
신동일
정상섭
정용채
서영진
금근수
Original Assignee
(주) 팜텍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팜텍21 filed Critical (주) 팜텍21
Priority to KR102014012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443A/ko
Publication of KR20160034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반사필름(10)의 표면을 절개하여 관통형성되는 통기공(11)과, 일단부가 상기 반사필름(10) 상에 연결되어, 접힘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사편(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반사필름에 형성된 반사편이 흔들리며 빛을 산란시켜줌과 동시에 서로 스치며 불규칙적인 소음을 발생시켜 접근하는 조류의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므로 방제효과가 개선되고, 반사편이 필름의 폭을 확장시켜 식별성이 개선되면서도 반사필름 표면에 형성된 통기공이 공기접촉면적을 줄여 풍압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류퇴치용 반사필름{Reflective film for combating bird}
본 발명은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의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여 유해조류의 접근방지효과가 개선되는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에 관한 것이다.
조류의 접근 방지를 위한 인간의 방제활동은 농경생활과 더불어 지속되어 왔으며, 특히 산업화와 과학문명의 발전으로 인간의 활동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농작물의 손실외에도 조류배설물에 의한 주변환경의 오염, 공항주변에 접근한 조류와의 충돌로 인한 비행기 사고처럼 다양한 방면에서 문제가 나타나고 있어 조류퇴치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과실을 비롯한 각종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농가의 경우,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지 못할 경우 작물생산에 치명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으므로 예전부터 조류를 위협할 수 있는 천적의 모형이나 반사경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해 왔으며, 여기에 방조망이나 방조봉지를 설치하거나 각종 기피제를 도포하여 조류의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끈끈이나 포획망과 같은 조류 포획을 목적으로 하는 기구를 추가로 설치하여 조류의 피해를 막고 있으나 설치의 번거로움과 비용부담으로 인해 넓은 장소에는 적용이 힘든 문제가 있으며, 포획방식의 경우 무분별한 조류의 포획이 생태환경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어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시공이 간편한 반사테이프를 이용해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시각을 자극함으로써 접근을 방지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85-0005825호는 이러한 방조용 증착필름의 일례를 제시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필름에 알루미늄 증착층과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색층을 증착시켜 내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일반적인 반사테이프의 문제점인 탈색에 의한 반사효율 저하와 풍우를 견디지 못하는 낮은 내구성의 개선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반사필름을 이용한 종래의 방제 방식은 폭이 좁은 반사필름의 특성상 빛의 반사 범위가 제한적이므로 반사광에 노출되지 않은 조류가 작물에 쉽게 접근하여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반사광의 증가를 위해 필름의 표면적을 넓힐 경우 필름이 풍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우려가 높아 면적 확장이 제한되므로 식별성이 떨어져 조류 퇴치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는 물품의 특성상 풍압에 의해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변형이 발생하므로, 성능유지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과 소리, 움직임이 복합적으로 표현되어 조류의 접근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넓은 반사면적을 가지면서도 풍압에 의한 변형이 감소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는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반사필름(10)의 표면을 절개하여 관통형성되는 통기공(11)과, 일단부가 상기 반사필름(10) 상에 연결되어, 접힘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사편(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사필름(10)에는 통기공(11)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보강부재(15)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필름(10)은 표면에 축광부(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편(13)은 단부가 복수개로 절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1)과 반사편(13)은 반사필름(10)을 부분절개하여 형성되는 것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반사필름에 형성된 반사편이 흔들리며 빛을 산란시켜줌과 동시에 서로 스치며 불규칙적인 소음을 발생시켜 접근하는 조류의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므로 방제효과가 향상되고, 반사편이 필름의 폭을 확장시켜 식별성이 개선되면서도 반사필름 표면에 형성된 통기공이 공기접촉면적을 줄여 풍압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의 반사편과 통기공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에 보강부재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에 축광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용 반사필름의 반사편이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빛과 소리, 움직임이 복합적으로 표현되어 조류의 접근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넓은 반사면적을 가지면서도 풍압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도록 통기공(11)과 반사편(13)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필름(10)은 각종 필름(OPP, CPP, PET, 다층 구조의 PE필름 등)에 착색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반사소재를 증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서로 인접한 과수의 줄기나 별도의 지주대에 느슨하게 감겨져 가이드를 형성하며 바람에 흔들려 반사광을 표현하는 것으로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반사필름(10)은 표면을 절개하여 관통형성되는 통기공(11)과, 일단부가 상기 반사필름(10) 상에 연결되는 반사편(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공(11)은 가공 및 권취과정에서 커팅날을 이용해 간편하게 절개되며, 반사필름(10)의 표면적을 줄여, 실외에 설치된 반사필름(10)에 풍압이 가해졌을 때 변형이나 끊어지는 현상을 감소시켜주므로, 반사필름(10)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원거리에서의 식별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통기공(11) 형성을 위해 절개된 반사필름(10)의 조각은 후술하는 반사편(13)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편(13)은 일단부가 상기 통기공(11) 상에 연결되어, 접힘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별도의 필름부재로 개별 제작되어 반사필름(10)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가공의 편의성과 소재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반사편(13)의 일단부가 통기공(11)에 연결되도록 반사필름(10)을 부분절개 가공하여 하여 반사필름(10)상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부분 절개된 반사필름(10)을 이용해 반사편(13)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단부가 반사필름(10) 상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반사필름(10)의 가공 및 권취과정에서 한번의 커팅작업으로 반사편(13)과 통기공(11)이 동시에 성형되어 가공성이 개선되며, 반사필름(10)이 설치되었을 때, 절개된 반사편(13)이 자중에 의해 반사필름(10)의 전면이나 후면으로 분리되며 자연스럽게 아래로 처지며 매달린 형상을 취하게 된다. 참고로 반사편과 통기공을 형성하는 커팅처리된 절개선의 단부에는 반사편이 처지고 흔들리는 과정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찢겨지지 않도록 원형의 타공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반사편(13)들은 바람이 불면 서로 다른 양상으로 흔들리며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광을 입체적으로 표현해주어 반사광의 사각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며, 이 과정에서 바람에 흔들리는 반사편(13)이 인접한 반사편(13)이나 반사필름(10)과 서로 스치며 발생하는 소리가 반사광과 함께 조류를 자극하게 되므로, 반사편(13)이 흔들리는 움직임과 입체적인 반사광 및 소리가 복합적으로 표현되어 조류의 접근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반사편(13)은 반사필름(10)의 상하폭을 확장시켜 원거리에서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사필름(10)은 아래로 처진 각각의 반사편(13)의 길이(L)만큼 상하 폭이 확장되므로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사필름(10)의 폭을 좁게 가공하더라도 원거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매달려진 반사편(13)이 용이하게 식별되어 조류의 접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반사편(13)은 절개형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형상을 표현함으로써 식별성을 효과적으로 높여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화살표 형상의 반사편(13)을 도시하고 있으나 절개형상을 달리하여 각종 새나 동물과 같은 다양한 형상표현이 가능하므로, 반사필름(10)이 조류퇴치목적과 더불어 주변환경을 개선하는 장식부재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필름(10)은 통기공(11)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보강부재(15)가 구비된다. 보강부재(15)는 낚시줄과 같이 질기고 쉽게 끊어지지 않는 합성수지사나 가공이 용이한 금속강선을 채택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통기공(11)으로부터 이격되는 반사필름(10)의 상단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반사편(13)의 분리로 폭이 좁아진 반사필름(10)의 인장강도를 보강해주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15)가 반사필름(10)의 인장강도를 보강해주므로 설치된 반사필름(10)에 작업자나 조류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끊어지지 않아 사용 편의성이 개선되며,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반사필름(10)의 일측을 완전히 절개하는 형태로 반사편(13)을 가공하여 반사편(13)의 폭을 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원거리에서 반사필름(10)의 식별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필름(10)은 표면에 축광부(17)가 형성된다. 축광부(17)에는 빛을 흡수하여 어두운 곳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유화 아연계(ZnS:Cu)안료나 스트론튬알루마트(SrAl2O4:Eu,Dy)와 같은 축광도료가 도포되며, 빛이 없는 깊은 밤에 저장된 빛을 발산하여 주변에서 반사필름(10)의 식별이 가능하게 해준다. 이때, 상기 축광부(17)는 반사필름(10)이 본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반사편(11)과 반사필름(1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사편(13)은 단부가 복수개로 절개 가공된다. 도 6a와 같이 절개된 반사편(13)의 단부는 풍압에 밀려 흩날리며 빛의 반사효과와 접촉소음을 더욱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도 6b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절개가공할 경우 반사편(13)이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늘어나며 식별력이 개선되며, 입체적인 반사광의 표현이 가능해진다.
10 : 반사필름 11 : 통기공
13 : 반사편 15 : 보강부재
17 : 축광부

Claims (5)

  1. 반사필름(10)의 표면을 절개하여 관통형성되는 통기공(11)과,
    일단부가 상기 반사필름(10) 상에 연결되어, 접힘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사편(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용 반사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필름(10)은 통기공(11)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보강부재(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용 필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필름(10)은 표면에 축광부(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용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편(13)은 단부가 복수개로 절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용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11)과 반사편(13)은 반사필름(10)을 부분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용 필름.
KR1020140124728A 2014-09-19 2014-09-19 조류퇴치용 반사필름 KR20160034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28A KR20160034443A (ko) 2014-09-19 2014-09-19 조류퇴치용 반사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28A KR20160034443A (ko) 2014-09-19 2014-09-19 조류퇴치용 반사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443A true KR20160034443A (ko) 2016-03-30

Family

ID=5566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728A KR20160034443A (ko) 2014-09-19 2014-09-19 조류퇴치용 반사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44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9507A1 (en) * 2016-08-07 2018-02-15 Lechman Pavol Outer protective mural band for buildings
KR20190028877A (ko) * 2017-09-11 2019-03-20 황승규 조류 접근방지용 보호장치
KR102297679B1 (ko) * 2021-02-26 2021-09-02 박경희 조류 충돌 방지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511185B1 (ko) 2022-02-21 2023-03-21 네이쳐홀릭 주식회사 조류 충돌 방지용 기능성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9507A1 (en) * 2016-08-07 2018-02-15 Lechman Pavol Outer protective mural band for buildings
KR20190028877A (ko) * 2017-09-11 2019-03-20 황승규 조류 접근방지용 보호장치
KR102297679B1 (ko) * 2021-02-26 2021-09-02 박경희 조류 충돌 방지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511185B1 (ko) 2022-02-21 2023-03-21 네이쳐홀릭 주식회사 조류 충돌 방지용 기능성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5988B2 (en) Insect visual attractant
KR20160034443A (ko) 조류퇴치용 반사필름
JP6785284B2 (ja) 捕虫器
CN105010281A (zh) 一种诱捕装置及其组装方法
DE202019005441U1 (de) Insektenfangvorrichtung
DE102015110500A1 (de) Insektenfalle
CN214629272U (zh) 仿柑橘实蝇诱捕器
KR20180084422A (ko) 유해충 포집 박멸 기능을 구비한 나뭇가지 유인 줄 고정 기구
Khan Warning sounds and color for reducing bird and bat mortality at wind turbines
CN203897098U (zh) 一种白星花金龟立体式多层诱虫器
CN206275020U (zh) 宽幅高效诱捕有害昆虫装置
DE202015005940U1 (de) Schädlingsfalle zur Bekämpfung der Kirschessigfliege
CN103688913B (zh) 大中型害虫用粘虫箱
CN204860708U (zh) 一种树木防虫罩
DE202013004544U1 (de) Multifunktions-Illuminationsvorrichtungen zru natürlichen Anlockung und bzw. oder Vertreibung von Ungeziefer und Nagern aller Art
CN212345050U (zh) 一种蚊蝇捕捉器
CN210124163U (zh) 一种防止金槐虫害的装置
CN213153574U (zh) 一种夜间飞蛾诱捕器
KR102616728B1 (ko) 야생 동물 퇴치기
US20170172126A1 (en) Fishing using sonic-visual stimulators method
JP3157640U (ja) 有害小動物の忌避具
JP2005151960A (ja) 赤色系色相の野外用軟質農業シート
JPH0731355A (ja) 防虫・防鳥用プレート
CN206196750U (zh) 一种林木捕虫装置
CN205431708U (zh) 柑橘大实蝇诱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