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933A -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933A
KR20160033933A KR1020140124777A KR20140124777A KR20160033933A KR 20160033933 A KR20160033933 A KR 20160033933A KR 1020140124777 A KR1020140124777 A KR 1020140124777A KR 20140124777 A KR20140124777 A KR 20140124777A KR 20160033933 A KR20160033933 A KR 20160033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hole
air
couple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1425B1 (ko
Inventor
박송근
Original Assignee
박송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송근 filed Critical 박송근
Priority to KR102014012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4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부에 수용물이 보관되도록 포장재로 밀봉되고, 포장재 일 측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포장재 내부의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포장재 내측에 배치되고, 중심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 주변에 결합되는 내부캡; 포장재 외측에 배치되고, 중심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캡과 결합되어 상기 통공을 밀폐시키는 외부캡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유입공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수분을 빨아들이는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와 배출공 사이의 공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Air emitting device for packing materials}
본 발명은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재 외부로부터 포장재 내부에 수납되는 수용물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포장재로 사용되는 비닐봉투의 종류에는 PVC, PE, PP 등이 대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품 포장재는 모두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재질 선정에 신경써야만 하고, 또한 제조 및 관리에 있어서 식약청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비닐 포장재는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류 뿐만 아니라, 동물이 먹는 사료나, 비료, 퇴비, 또는 화학제품 등의 포장에 사용될 수 있으며, 외기를 차단하고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포장을 하는 과정에서 포장재를 실링하거나 봉합함에 따라서 포장재 내부에 기체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기체가 들어간 상태의 포장재는 상하좌우로 볼록한 상태로 적층되기 때문에 이를 적재할 때, 내부에 기체가 가득 찬 상태의 포장재는 높은 층으로 쌓는데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적정 수준 이상으로 적층하게 되는 경우 적재된 포장재들이 무너질 염려가 있고, 때문에 안전한 적층상태를 유지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포장재 내부에 수납된 수용물이 발효 또는 부패하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포장재가 수용하는 적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포장재가 터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는 발생된 가스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거나 이를 흡입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가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기에 포함된 수분이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내부에 수용물이 보관되도록 포장재로 밀봉되고, 포장재 일 측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포장재 내부의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포장재 내측에 배치되고, 중심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 주변에 결합되는 내부캡; 포장재 외측에 배치되고, 중심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캡과 결합되어 상기 통공을 밀폐시키는 외부캡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유입공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수분을 빨아들이는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와 배출공 사이의 공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부는 상기 유입공 또는 배출공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수용공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캡은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일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공 주변의 포장재에 접촉하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캡은 상기 수용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일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와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제2플랜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재 또는 제2플랜지부재 중 일 측에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부재와, 상기 돌기부재에 대응하여 타 측에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된 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는 수분을 흡수하면서 두께 또는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는 열가소성 폴리 올레핀계 수지와, 에틸렌 비닐 알콜(EVOH), 폴리 비닐 알콜(PVA), 고흡수성 수지(SAP), 산화폴리에틸렌 수지(PEO), 폴리에스터 수지 및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 면에 식별 가능한 유색의 인쇄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와 수용부재의 내주면 사이에는 표면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윤활유가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에 따르면,
첫째, 포장재 내부에 유입되거나 주입된 가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둘째, 포장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습도가 높은 장소에 포장재가 적층된 경우에 밸브부 내부의 흡수부재가 수분을 흡수하고 팽창하면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넷째, 구조적으로 단순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포장재 내부 수용물을 운반,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가 포장재 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공기의 이동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흡수부재의 부피가 증가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내부캡 및 외부캡의 내측면을 각각 정면에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내부캡 및 외부캡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가 포장재 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의 분리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는 포장재의 일 측면에 장착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포장재 상에 상기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가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포장재는 내부에 수납된 수용물을 완전히 밀봉시킬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 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yl Chlori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질을 용도별로 설명하면 폴리에틸렌(LDPE, LLDPE)는 농업용, 공업용, 중포장용(중량물 포장재) 등으로 주로 사용되며 신장율, 광투과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은(HDPE) 마?이나 시장에서 사용되는 봉투로써 강인성 우수하며, 폴리프로필렌은(PP) 식품 포장에 주로 사용되고 형태 유지성, 위생성, 고광택성 등이 우수한 특징을 제공한다. 또한 폴리염화비닐은(연질 PVC) 앨범, 다이어리 표지, 레쟈 등에 주로 사용되며 탄성, 유연성, 난연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포장재는 밀봉 시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는 포장재 내부에서 포장재의 일 측에 형성된 통공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내부캡(110)과, 포장재 외부에서 상기 내부캡(1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외부캡(120)과, 상기 내부캡(110)과 외부캡(120) 사이에 개재되어 포장재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밸브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캡(110)은 수용부재(111)와 제1플랜지부재(115)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재(111)는 내부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되고, 저면 중심에는 유입공(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부재(115)는 상기 수용부재(111)의 일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부캡(12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부캡(120)은 상기 수용부재(111) 내부에 억지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 배출공(122)이 형성되는 결합부재(121)와, 상기 결합부재(121)의 상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재(115)와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재(1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랜지부재(115)와 제2플랜지부재(124)는 포장재의 통공을 중심으로 내외부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통공 주변의 포장재를 가압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공 내측에 상기 수용부재(111)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재(115)와 제2플랜지부재(124)가 마주하도록 접촉하는 면 사이에만 포장재가 가압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밸브부(130)는 상기 내부캡(110)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공(113)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필름부재(131)와, 상기 외부캡(120)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122)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35)와, 상기 필름부재(131)와 탄성부재(13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용공간(112)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재(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부(130)는 상기 유입공(113) 또는 배출공(122)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수용공간(112)의 내부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밸브부(130)가 상기 수용공간(112)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필요하고, 또한 상기 유입공(113) 또는 배출공(122)을 통하여 상기 내부캡(110) 또는 외부캡(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입공(113) 보다는 상기 필름부재(131)의 단면적이 커야만 상기 필름부재(131)가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유입공(113)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133)와 탄성부재(135)는 서로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부(130) 조립 시, 상기 내부캡(110)과 외부캡(120)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131)를 장착하고, 상기 흡수부재(133)와 탄성부재(135)가 접착된 상태를 일체형으로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부재(131)와 수용부재(111)의 내주면 사이에서 접촉하는 부분에는 서로 표면장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윤활유가 도포된다. 여기서 윤활유는 대기 상에서 쉽게 증발하지 않고, 점성이 있는 유체의 한 재료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식품용 식용유와 같이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면서 수납물에 해를 끼치지 않고, 유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부재(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 면에 식별 가능한 유색의 인쇄 패턴(132)이 형성된다. 상기 인쇄 패턴(132)은 상기 밸브부(130)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작업자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상기 필름부재(131)를 구비하였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가 겹쳐서 장착되었는지 여부도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흡수부재(133)는 열가소성 폴리 올레핀계 수지에 에틸렌 비닐 알콜(EVOH, Ethylene Vinyl Alcohol), 폴리 비닐 알콜(PVA, Poly Vinyl Alcohol), 고흡수성 수지(SAP, Super Absorbent Polymer), 산화폴리에틸렌 수지(PEO, Poly Ethylene Oxide), 폴리에스터 수지(polyester resin) 및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개를 첨가제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재질로도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흡수부재(133)는 아트필터지와 같은 폴리머의 일종으로 상기 수용부재(111) 내부 또는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이고, 이에 따라 포장재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흡수부재(133)는 은나노 항균처리 및 무세균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35)는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통기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다. 물론 탄성력을 가지면서 통기성을 가진 재료라면 어떠한 재질로도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공기의 이동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흡수부재(133)의 부피가 증가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공간(112) 내부에서 상기 밸브부(130)는 전체적으로 상기 외부캡(120)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포장재 내부의 공기가 상기 유입공(11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때 공기가 흘러 나가는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포장재 내부의 공기가 상기 유입공(113)을 통해 상기 내부캡(110) 안쪽으로 유입되면, 상기 수용공간(112) 내부에는 상기 밸브부(130)가 상기 외부캡(120) 방향으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캡(110) 내측면과 필름부재(13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130)는 상기 수용공간(112)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이때 발생하는 여유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탄성부재(135)를 통과하면서 상기 배출공(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탄성부재(135)는 예컨대 숫벨크로(velclo)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아무리 촘촘한 구성일지라도 공기는 쉽게 지나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공간(112) 내부에서 상기 밸브부(130)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부캡(110)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포장재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출공(122)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때 공기가 흘러 들어가는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배출공(122)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탄성부재(135) 영역을 지나고, 상기 밸브부(130)의 측방향으로까지 유동이 가능하지만, 이때 상기 밸브부(130)는 상기 배출공(122)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유입공(113)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포장재 내부로 공기의 유입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방향은 포장재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공간(112) 내부에서 상기 밸브부(130)는 상기 내부캡(110)과 외부캡(120) 내측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는 상기 흡수부재(133)가 수분을 흡수하면서 두께 또는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흡수부재(133)를 중심으로 상기 필름부재(131)와 탄성부재(135)를 양 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밸브부(130)가 상기 유입공(113)을 가압하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더 이상 상기 흡수부재(133)가 수분을 흡수할 수 없는 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유입공(113)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빗물 등이 포장재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포장 과정에서 기존에 포장재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고, 또한 포장재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이 완료된 포장재를 적층하는데 용이하고, 포장재 내부의 수용물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내부캡(110) 및 외부캡(120)의 내측면을 각각 정면에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2에 나타낸 내부캡(110) 및 외부캡(120)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플랜지부재(115)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1돌기부재(116)와, 상기 제1돌기부재(116)와 이격되도록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서 내부로 파이도록 형성된 제1안내홈(11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플랜지부재(124)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2돌기부재(126)와, 상기 제2돌기부재(126)와 이격되도록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서 내부로 파이도록 형성된 제2안내홈(127)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제1플랜지부재(115)와 제2플랜지부재(124)가 접촉하면서 포장재를 가압함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밀페장치가 포장재로부터 미끄러짐이 발생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재(115)와 제2플랜지부재(124) 사이에 돌기부재와 안내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돌기부재(116)는 상기 제2안내홈(127)에 대응하고, 상기 제2돌기부재(126)는 상기 제1안내홈(11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돌기부재(116)와 제2안내홈(127)은 상기 제2돌기부재(126)와 제1안내홈(117)이 제공하는 기능과 동일하며, 복수구조가 아닌 단일구조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돌기부재(116)와 제2돌기부재(126)는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포장재와의 마찰력을 증재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캡(110)과 외부캡(120)이 결합되면서 상기 제1플랜지부재(115)와 제2플랜지부재(124)가 접촉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돌기부재(116)는 제2안내홈(127)에 삽입되고, 상기 제2돌기부재(126)는 제1안내홈(117)에 삽입되면서 포장재를 효과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포장재 상에 상기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100)를 보다 효과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 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110 : 내부캡 111 : 수용부재
112 : 수용공간 113 : 유입공
115 : 제1플랜지부재 116 : 제1돌기부재
117 : 제1안내홈 120 : 외부캡
121 : 결합부재 122 : 배출공
124 : 제2플랜지부재 126 : 제2돌기부재
127 : 제2안내홈 130 : 밸브부
131 : 필름부재 132 : 인쇄 패턴
133 : 흡수부재 135 : 탄성부재

Claims (8)

  1. 내부에 수용물이 보관되도록 포장재로 밀봉되고, 포장재 일 측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포장재 내부의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포장재 내측에 배치되고, 중심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 주변에 결합되는 내부캡;
    포장재 외측에 배치되고, 중심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캡과 결합되어 상기 통공을 밀폐시키는 외부캡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유입공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수분을 빨아들이는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와 배출공 사이의 공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밸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유입공 또는 배출공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수용공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은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일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공 주변의 포장재에 접촉하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캡은 상기 수용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일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와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제2플랜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재 또는 제2플랜지부재 중 일 측에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부재와, 상기 돌기부재에 대응하여 타 측에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된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수분을 흡수하면서 두께 또는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열가소성 폴리 올레핀계 수지와, 에틸렌 비닐 알콜(EVOH), 폴리 비닐 알콜(PVA), 고흡수성 수지(SAP), 산화폴리에틸렌 수지(PEO), 폴리에스터 수지 및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 면에 식별 가능한 유색의 인쇄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와 수용부재의 내주면 사이에는 표면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윤활유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KR1020140124777A 2014-09-19 2014-09-19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KR10164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77A KR101641425B1 (ko) 2014-09-19 2014-09-19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77A KR101641425B1 (ko) 2014-09-19 2014-09-19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933A true KR20160033933A (ko) 2016-03-29
KR101641425B1 KR101641425B1 (ko) 2016-07-20

Family

ID=5566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777A KR101641425B1 (ko) 2014-09-19 2014-09-19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90U (ko) * 2016-06-07 2017-12-15 구자관 비닐봉투 장착용 공기배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43B1 (ko) 2019-06-03 2019-11-04 소윤섭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976U (ja) * 1991-09-25 1993-04-20 明星食品株式会社 即席食品用容器
KR20060034679A (ko) * 2005-12-27 2006-04-24 조순철 진공포장용 비닐팩
KR200440557Y1 (ko) * 2007-12-26 2008-06-17 박송근 한 방향으로만 흐름이 가능한 밸브
KR101267907B1 (ko) * 2012-03-13 2013-05-30 김부연 포장봉지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976U (ja) * 1991-09-25 1993-04-20 明星食品株式会社 即席食品用容器
KR20060034679A (ko) * 2005-12-27 2006-04-24 조순철 진공포장용 비닐팩
KR200440557Y1 (ko) * 2007-12-26 2008-06-17 박송근 한 방향으로만 흐름이 가능한 밸브
KR101267907B1 (ko) * 2012-03-13 2013-05-30 김부연 포장봉지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90U (ko) * 2016-06-07 2017-12-15 구자관 비닐봉투 장착용 공기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425B1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3585B2 (en)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with predetermined humidity and related method
RU2598442C2 (ru) Гибкий упак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KR102609237B1 (ko) 의료 및/또는 약품 제품용 용기
US20080031553A1 (en) Package for food
WO2015076780A1 (en) A vented rigid gas sterilization packaging tray
KR20050042016A (ko) 포장체용 분위기 개량성 테이프, 분위기 개량성 테이프가부착된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 분위기 개량성 테이프가부착된 포장 용기, 결합구 및 결합구가 부착된 포장체
US20150374871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volatile substances
BR112012018869B1 (pt) válvula de ventilação unidirecional para um recipiente estanque a ar e recipiente estanque a ar
KR20170074882A (ko) 블리스터팩용 적층체, 이를 이용한 블리스터팩, 및 블리스터팩 포장체, 및 이의 적층체의 제조방법
TWI663994B (zh) 藥劑揮發袋及收納其之藥劑揮發容器
KR101641425B1 (ko)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US20200039197A1 (en) Oxygen absorptive film, packaging laminated body and packaging body using oxygen absorptive fil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s using packaging body
JP2012240329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KR20200124219A (ko) 틈새를 가진 의료 및/또는 의약 제품들을 위한 용기
CA2806377A1 (en) Flexible container with liquid block
KR102015144B1 (ko) 곤포재
JP2006289198A (ja) 吸湿インジケータ機能付き乾燥剤
KR20060001934A (ko) 발효식품 포장용 합성수지재 봉지
JP2015003753A (ja) 容器及び固形物含有容器
JP2005350099A (ja) 乾燥剤入り包装容器
RU65022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олимерная упаковка
WO2022196526A1 (ja) 液体充填容器
JP3171472U (ja) 除菌消臭剤パック
WO1992005089A1 (en) Package for liquid-containing products
KR20100018861A (ko)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