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738A -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 - Google Patents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738A
KR20160033738A KR1020167004000A KR20167004000A KR20160033738A KR 20160033738 A KR20160033738 A KR 20160033738A KR 1020167004000 A KR1020167004000 A KR 1020167004000A KR 20167004000 A KR20167004000 A KR 20167004000A KR 20160033738 A KR20160033738 A KR 20160033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body portion
compression body
elastomeric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775B1 (ko
Inventor
크리스토스 델리코스타스
랄프 쿠르츠
Original Assignee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03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16L55/13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the closure device being a plug fixed by radially deforming th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관과 밀봉 접촉하기 위한 엘라스토머 보디(91) 및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가 도관과 밀봉 접촉하도록 조임 볼트(212)를 조임으로써 엘라스토머 보디(91) 상에 압축될 수 있는 압축 보디(1)를 갖는 압축 시일에 관한 것이다. 압축 보디(1)는 조임 볼트(212)가 조여질 때 엘라스토머 보디(91)에 전달되는 힘이 판독될 수 있는 판독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COMPRESSION SEAL WITH COMPRESSION BODY}
본 발명은 도관과 밀봉 접촉하기 위한 엘라스토머 보디, 압축 보디, 및 상기 압축 보디를 조이기 위한 조임 볼트를 갖는 압축 시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관 방향을 따라서 두 개의 압축 보디 사이에서 압축되고 그 결과 그에 수직한 방향으로 도관 및 예를 들어 벽 개구의 하단, 즉 예를 들어 코어 드릴링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엘라스토머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압축 시일을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 중 하나일 뿐이며, 적용을 예시하지만 후술되는 발명을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엘라스토머 보디와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의 유리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과제는 도관과 밀봉 접촉하기 위한 엘라스토머 보디, 압축 보디 및 상기 압축 보디를 조이기 위한 조임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 보디는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가 상기 도관과 밀봉 접촉하도록 상기 조임 볼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압축될 수 있으며, 추가로 상기 압축 보디는 상기 조임 볼트의 상기 조임 중에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에 전달되는 힘이 판독될 수 있는 판독 부재를 포함하는 압축 시일에 의해 해결된다.
압축 시일을 예를 들어 벽 또는 플로어 요소를 통해서 이송되는 도관 상의 조립 부위에 장착하는 설치자에게 있어서, 상기 판독 부재는 압축 보디로부터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전달되는 힘, 즉 압축 보디의 접촉 압력과, 그로 인해 엘라스토머 보디에 의해 도관 상에 초래되는 접촉 압력을 유리하게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치자는 엘라스토머 보디가 도관과 밀봉 접촉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판독 부재는 적용 시에 표류할 수 없는 압축 보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즉 적어도 압축 시일의 조립된 상태에서 분리될 수 없도록 구조적으로 압축 보디에 통합된다. 한편, 이것은 취급을 간단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이는 압축 시일이 장착될 때 판독 부재가 실제로 이용 가능하도록 보장하며, 이는 적용 시의 오류 위험을 감소시킨다.
압축 보디로부터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전달되는 접촉 압력의 시각화는 도관에서 엘라스토머 보디의 밀봉 접촉을 체크하는 것과 관련한 것이며, 이는 엘라스토머 보디와 도관 사이의 접촉 압력이 압축 보디로부터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전달되는 접촉 압력과 연관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제로 압축 시일과 도관의 조합이 종종 도관의 직경이 최적 범위를 벗어나도록, 즉 너무 작도록 선택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밀봉 접촉을 위해서는, 엘라스토머 보디의 증가된 변형이 요구된다. 압축 보디로부터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전달되는 압력을 나타내는 판독 부재는 이러한 경우에도 엘라스토머 보디와 도관 사이의 접촉에 대한 평가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압축 보디와 엘라스토머 보디 사이의 접촉 압력이 엘라스토머 보디와 도관 사이의 접촉 압력에도 종속되기 때문이다.
도관은 예를 들어 벽이나 플로어 요소 내의 또는 일반적으로 튜브 요소 내의, 예를 들어 실제 도관이 인도되는 보호 튜브 내의 또는 도관 장착을 위해 제공되는 장착 요소 내의 관통-개구일 수 있는 "관통-개구"가 형성되는 표면에 대해 밀봉될 수 있다. 관통-개구는 예를 들어 벽, 플로어, 튜브 또는 장착 요소 자체의 재료에 "형성"될 수 있지만, 프레임 또는 슬리브 또한 관통-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엘라스토머 보디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도관"은 특히 전기 라인, 예를 들면 가스, 물 또는 오일 라인과 같은 매체 라인, 또는 특히 광섬유 기초의 통신 라인일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라인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 튜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관은 도관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원형이고, 특히 바람직하게 이것은 관통-개구에 대해서도 적용되며, 추가로 바람직하게 엘라스토머 보디는 환형 공간에 배치된다(그리고 도관에 대해 내측으로 및 관통-개구가 형성되는 표면에 대해 외측으로 밀봉한다).
본 발명의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는 동등하게 압축 시일, 대응 압축 보디와 각각의 방법 및 사용 방법에 관한 하기 설명 및 종속항에 제공되며, 암묵적으로 본 발명은 모든 청구항 카테고리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축 보디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변형 부재를 거쳐서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제1 압축 보디 부분 및 제2 압축 보디 부분을 포함한다. 조립된 압축 시일에서, 조임 볼트는 제1 압축 보디 부분과 접촉하고, 엘라스토머 보디를 도관에 대해 압축하기 위해 조여질 때 제1 압축 보디 부분 상에 힘을 전달한다("조임"은 조임 볼트의 조임에 관한 것이며 이는 엘라스토머 보디의 변형을 초래한다). 조임 볼트의 "힘 전달 접촉"은 일반적으로 압축 보디에 제공되는 나사산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이는 압축 보디에 대한 조임 볼트의 접촉 영역에서 발생한다(예를 들어 와셔가 "조임 볼트"의 부분으로 간주된다).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압축 시일이 조립될 때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한다.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두 가지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것은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하지만 기본적으로 그 위에 접촉 압력을 전혀 전달하지 않는 압축 보디 부분일 수 있고, 압축 보디 부분은 판독 핀(예를 들면, 도 2 및 도 7 참조)으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판독 부재이며; 이러한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이하에서 "판독 압축 보디 부분"으로 지칭된다. 판독 압축 보디 부분은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비교적 작은 접촉면을 가지며, 예를 들면 압축 보디의 접촉면 전체에 대해 20%, 15% 또는 10% 이하의 접촉면을 갖는다.
판독 압축 보디 부분은, (나머지) 압축 보디의 접촉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판독 압축 보디 부분 상에 압축되고 판독 압축 보디 부분을 통상적으로 압축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엘라스토머 보디에 의해 초기 상태에 비해서 다른 상대 위치로 이동된다. 어떤 의미에서, 나머지 압축 보디의 접촉면은 판독 압축 보디 부분의 구역에 "구멍"을 가지며, 조여지는 엘라스토머 보디는 상기 구멍을 통해서 어느 정도 압축될 수 있고; 따라서 엘라스토머 보디는 압축 보디 "내로" 팽창될 수 있으며, 나머지 압축 보디의 접촉면을 포함하는 단면 평면에 의해 교차되고, 엘라스토머 보디는 그에 따라 판독 압축 보디 부분을 변위시킨다.
한편,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또한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접촉 압력을 실제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바(예를 들면 도 3 및 도 5 참조), 즉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큰 접촉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엘라스토머 보디의 변형 및 도관에 대한 그 접촉을 초래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응하는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으로 지칭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큰" 접촉면의 면적은 투영 압축 보디 영역의 면적의 50% 이상, 점점 더 바람직한 순서로 60%, 70%, 80% 또는 90% 이상에 달하며; 여기에서 투영 압축 보디 영역은 전체 압축 보디를 도관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수직 투영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추가 설명 없이 "제2 압축 보디 부분" 또는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제1 및 제2)이 언급될 때, 이것은 양 옵션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판독 압축 보디 부분"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특징부는 양 옵션에 관하여 개시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제1 압축 보디 부분과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도관 방향으로, 특히 바람직하게 도관 방향으로만,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조임 볼트는 특히 바람직하게 도관 방향으로만 압축 보디와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조임 볼트는 특히 바람직하게 도관 방향으로만 엘라스토머 보디와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조임 볼트와 압축 보디 사이의 접촉면은 도관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압축 보디, 특히 제2 압축 보디 부분과 엘라스토머 보디 사이의 접촉면은 도관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보디의 "부품"은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보디와 조임 볼트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면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관 방향에 수직하게 놓이거나, 및/또는 이러한 부품/이러한 부품들 내에 부분적으로 유지되는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압축 보디 부분과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상호 결합할 수 있고, 이 결합은 정지부처럼 서로에 대한 상대 이동성을 제한할 수 있으며(도 3 참조); 제1 압축 보디 부분과 제2 압축 보디 부분의 서로에 대한 상대 이동성을 제한하는 정지부는 또한 압축 보디 부분의 결합과 무관하게 바람직할 수 있다(도 2 참조).
변형 부재는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이 엘라스토머 보디에 전달되는 접촉 압력에 따라서 상호 다른 상대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엘라스토머 보디에 전달되는 접촉 압력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특정 압력에 도달하면, 상대 위치는 (조여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의 상대 위치와 다르다. 상대 위치 및 엘라스토머 보디에 전달된 접촉 압력은 따라서 판독 부재에서 판독될 수 있는 바, 즉 적어도 최소 접촉 압력의 정성적 특징으로서 판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압축 보디 부분과 제2 압축 보디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은, 변형 요소를 통한 그 장착 시에, 반드시 연속적으로 발생하지는 않으며, 변형은 특정 힘에 도달했을 때 갑작스럽게("디지털 방식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상대 이동은 예를 들어 대체로 강성인 변형 요소에 의해, 예를 들면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 사이의 재료 브리지에 의해 봉쇄될 수 있으며; 특정 압력에서 강성 변형 요소는 파괴되거나 찢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비가역적이게 될 변형 이후에,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은 다른 상대 위치를 가지며 따라서 특정 힘에의 도달이 판독 부재에서 판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은 또한 단일 피스일 수 있는 바, 즉 그 사이에 물질 계면이 없는 모놀리식(monolithic)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힌지 종류일 수 있는 연결 구역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은 다중-피스이며(비 모놀리식); 더 바람직하게 변형 부재는 각각 양 압축 보디 부분을 갖는 다중 피스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탄성 변형 부재가 제공되는 바, 즉 조임 볼트의 조임 중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거되면 (과도한 응력 레벨이 전혀 인가되지 않는 한) 그 초기 상태로 돌아가는 변형 부재가 제공되며; 따라서, "탄성적으로"는 일반적으로 가역적임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탄성 변형 부재는 도관과 밀봉 접촉하는 엘라스토머 보디가 아니며(엘라스토머 보디 역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 그와 다른 부분, 즉 엘라스토머 보디에 대한 다중-피스 부분이다(그것과 모놀리식이 아님).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을 압축 보디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탄성 변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어, 조임 볼트의 조임 및 그에 따른 압축 시일의 적절한 장착 중에 엘라스토머 보디에 전달되는 압력이 압축 시일의 반복된 장착의 경우에도, 예를 들면 관통되는 도관의 교체의 경우에도 평가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탄성 변형 요소를 엘라스토머 보디로부터 결합해제된 별개의 부분으로서 제공함으로써, 압축 보디는 상이한 힘 수치의 판독을 위해 매우 쉽게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이 하나의 상대 위치만 판독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도, 이 상대 위치는 탄성 변형 요소(그 크기 및/또는 기계적 특성)에 따라서 상이한 힘 수치에 도달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제조 중에 제공되어야 하는 상이한 부분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여기에서 "힘 수치"는 개별 수치가 판독될 수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여기에 설명되는 기계적 측정 방법에 기초하여 접근 가능한 구역에 관한 것이다.
"탄성 변형 부재"는 예를 들어 1 GPa 이하의 영율(Young's modulus)을 가질 수 있고, 점점 더 바람직한 순서로 0.5 GPa, 0.2 GPa, 0.1 GPa, 0.08 GPa, 0.06 GPa, 0.04 GPa, 0.02 GPa 또는 0.01 GPa 이하의 영율을 가질 수 있으며; 가능한 하한은 예를 들어 0.0001 GPa 또는 0.0005 GPa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성 변형 요소는 예를 들어 조임 볼트에 의해 또는 후술되는 판독 핀에 의해 교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판독 부재는 상대 위치에서 제1 압축 보디 부분의 관통 구멍을 교차하는 판독 핀으로서 제공되고; 이것은 초기 상태에서 이미 (조임 볼트의 조임 전에) 관통 구멍을 반드시 교차하지 않아야 하며, 아마도 대신에 상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즉 특정 힘에 도달할 때까지는 교차하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관통 구멍에는 개방 인디케이터가 제공되고, 바람직하게 개방 인디케이터는 관통-개구가 상대 위치에서 판독 핀에 의해 개방되도록 관통-개구를 폐쇄하며, 이는 예를 들어 압축 시일의 장착 이전의 더러워짐을 방지할 수 있다. 개방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관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도포된 필름 또는 충전재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개방 인디케이터는 제1 압축 보디 부분과 일체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재료 브리지(미리결정된 파괴 지점)에 의해 제1 압축 보디 부분에 연결되며 이는 분리를 간단하게 만든다. 바람직하게, 개방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1 압축 보디 부분과 동시에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 노력을 감소시킨다.
제1 압축 보디 부분에 제공되는 개방 인디케이터와 무관하게, "제2 압축 보디 부분이 판독 핀을 포함한다"는 것은 판독 핀이 제2 압축 보디 부분에 제공되고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의 경우에 그것에 대해 정해진 상대 위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도관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대한 판독 핀의 수직 투영은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이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비해 상당히 작은 면적, 예를 들어 그 20%, 15% 또는 10% 이하에 달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판독 핀은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과 일체이다.
판독 압축 보디 부분의 경우에, 판독 핀을 "포함하는"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판독 핀 자체이다. 도관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대한 판독 핀의 수직 투영은 판독 압축 보디 부분이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비해서 대응적으로 큰 면적, 예를 들어 적어도 그 50%, 75% 또는 100%에 달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투영 면적은 예를 들어 도관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하는 안내 스터브(stub)가 판독 핀에 제공될 때 접촉면보다 훨씬 클 수 있으며, 안내 스터브는 정지부일 수도 있다(그것이 바람직함). 또한 상기 면적 관계와 무관하게, 판독 핀으로서 제공되는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바람직하게 제1 압축 보디 부분에서의 정지부에 의해 그 상대 이동이 제한되며, 그와 함께 압축 보디 부분에 유지된다.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의 경우에 또한 판독 압축 보디 부분의 경우에, 판독 핀은 도관 방향에 수직하게 취해지는, 1.5mm 이상이 바람직하고, 3mm 이상 및 4.5mm 이상이 더 바람직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그와 무관한 상한은 예를 들어 1.5cm 또는 1cm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직경"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원형 형태를 의미하지 않으며, 최소 및 최대 범위의 평균값(바람직한 원형 형태의 경우에는 원 직경에 해당)을 의미한다.
탄성 변형 부재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 변형 부재는 동시에 판독 부재이며 따라서 제1 압축 보디 부분과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 사이의 상대 위치는 도관 방향에 수직한 탄성 변형 부재의 변형으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조임 볼트가 조여질 때, 제1 압축 보디 부분과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은 도관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되며, 여기에서 도관 방향에 대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탄성 변형 부재는 도관 방향으로 압축되고 그것에 수직하게 팽창된다(그러나, 일반적으로, 탄성 변형 부재는 압축 보디 부분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될 때 인장 부하를 받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도관 방향에 수직한 탄성 변형 부재의 팽창은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에서 또는 바람직하게 제1 압축 보디 부분에서 정해진 기준점에서 판독될 수 있다.
탄성 변형 부재는 예를 들어, 판독되어야 할 힘이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전달될 때, 탄성 변형 부재의 외경이 그 비변형 상태에서의 변형 부재의 외경에 비해 20% 이상 증가하도록, 점점 더 바람직한 순서로 40%, 60%, 80% 이상 증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수치에 있어서, 압축 보디는 예를 들어 (판독되어야 할) 힘에 도달했을 때 외경이 예를 들어 2mm 이상 증가하도록, 점점 더 바람직한 순서로 3mm, 4mm, 5mm, 6mm, 7mm, 8mm, 9mm 또는 10mm 이상 증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능한 상한은 예를 들어 5cm 또는 3cm일 수 있으며 (그것과 무관하게) 상기 퍼센티지 인용의 경우에 예를 들어 200% 또는 150%일 수 있다.
판독 부재로서 제공되는 탄성 변형 부재를 갖는 압축 보디의 실시예에서, 제1 압축 보디 부분에는 창이 제공되며, 도관 방향에 수직한 탄성 변형 부재의 변형은 창에서 판독될 수 있다. "창"은 외부 림(도관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외측에 놓이는)에 대해 내측으로 예를 들어 제1 압축 보디 부분의 직경의 5%, 10% 또는 15% 이상 변위되는 구역이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이 구역은 외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폐쇄되는 바, 즉 제1 압축 보디 부분에 관통 구멍으로서 제공된다.
압축 보디는 예를 들어, 도관 방향에 수직하게 팽창되고 창에서 보이는 탄성 변형 부재가 소정의 힘 수치를 나타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힘 수치가 판독될 수 있는 바, 즉 도관 방향에 수직한 탄성 변형 부재의 다양한 팽창 상태가 판독될 수 있다. 이들 힘 수치는 예를 들어 도관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특정 구역에서 판독될 수 있으며(상태는 예를 들어 "빈 상태", "절반-충전(semi-filled) 상태", "충전 상태"), 상기 구역은 예를 들어 2mm, 4mm, 6mm 또는 8mm 이상 연장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창에 눈금이 제공된다.
눈금을 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는 바, 즉 상이한 힘 수치가 눈금에서, 즉 판독 부재를 거쳐서 판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금은 판독 부재 자체에, 특히 전술한 판독 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압축 보디 부분에 대한 그 상이한 상대 위치가 예를 들어 제1 압축 보디 부분의 에지에서 판독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탄성 변형 부재가 동시에 판독 부재인 경우에, 눈금은 또한 제1 압축 보디 부분에, 특히 창에 제공될 수 있거나,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보디에 대한 접촉면과 반대쪽에 제공될 수 있다. 눈금에서는, 예를 들어 세 개 이상의 상이한 힘 수치가 판독될 수 있다(이는 세 개 이상의 정해진 마크를 포함해야 함).
압축 시일의 구성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조임 볼트는 엘라스토머 보디와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힘 판독 부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보디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엘라스토머 보디의 전면에는 다른 압축 보디가 제공되고, 다른 압축 보디는 힘 판독 부재를 전혀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 보디(및 압축 보디)와 교차하는 조임 볼트를 조임으로써, 양 전면에 제공되는 두 개의 압축 보디는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며, 그로 인해 엘라스토머 보디는 도관 방향으로 압축되고, 따라서 도관 방향에 수직하게 팽창되며 도관 및 관통-개구가 형성되는 영역과 밀봉 접촉한다.
힘 판독 부재를 갖는 압축 보디의 제공은 각각 단일 피스인 것이 바람직한 복수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으로 조립되는 엘라스토머 보디의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은 도관 방향으로 엘라스토머 보디와 교차하는 복수의 조임 볼트에 의해 연결된다. 밀봉될 관통 구멍의 원주방향으로 취해지는 크기에 따라서, 압축 시일은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을 추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그 대응 크기가 적응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제로는 이 크기 적응에도 불구하고 엘라스토머 보디 변형에 의한 상이한 거리 보상이 상기 조임 중에, 즉 도관과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영역 사이의 상이한 거리로 인해 필요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또한, 엘라스토머 보디의 밀봉 접촉을 보장하기에 필요한 힘은 상당히 커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 kN, 9 kN 또는 17 kN 이상에 달할 수 있으며; 가능한 상한은 예를 들어 72 kN, 32 kN 또한 26 kN일 수 있다. 한편, 대응적으로 큰 힘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계적 방법에 의해 매우 양호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 큰 힘의 모니터링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약간의 초과가 엘라스토머 보디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듈형 압축 시일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은 상호 쌍으로 상보적이고, 바람직하게는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압축 시일이 각각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에 각각 조립될 때 두 개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바로 인접한다. 도관 방향으로 볼 때, 바로 인접하는 두 개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은 도관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중첩 구역에서 중첩되며; 도관 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 도관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조임 볼트는 중첩 구역과 교차하며 따라서 두 개의 이웃하는 인접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과 교차하는 바, 즉 이들을 연결한다.
도관 방향으로 취한 엘라스토머 보디의 길이와 관련하여, 중첩 구역은 바람직하게, 도관 방향으로 취한 엘라스토머 보디 길이의 중심에, 예를 들면 그 30%와 70% 사이, 40%와 60% 사이, 또는 45%와 55%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에 있어서 조임 볼트에 의해 교차되는 부분은 대응적으로 길며 이는 안정적인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단수/복수의 조임 볼트에 의해 도관 방향으로 교차되는 엘라스토머 보디의 경우에, 도관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대한 엘라스토머 보디의 수직 투영으로부터 얻어지는 엘라스토머 보디의 투영 면적은 단일의 접촉 영역 또는 복수의 압축 보디인 경우의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 영역에 의해 점점 더 바람직한 순서로 50%, 60%, 70% 또는 80% 이상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이 엘라스토머 보디에 구비하는 접촉 영역과 관련하여, 이 접촉 영역은 도관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대한 제1 압축 보디 부분의 수직 투영으로부터 얻어지는 투영된 압축 보디 부분 영역의 면적의 125% 이상, 점점 더 바람직한 순서로 110%, 120%, 130% 또는 140% 이상에 달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관 방향에 수직한 방향과 관련하여,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은 따라서 제1 압축 보디 부분보다 크며, 처음에 비교적 작은 영역을 거쳐서 조임 볼트로부터 제1 압축 보디 부분에 전달된 힘을 "확장"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의 특징부와 무관하게, 즉 판독 부재가 제공되는 것과 무관하게 역시 발명으로 간주되고 그에 따라 개시되는 압축 시일 세트에 관한 것이다. 압축 시일 세트의 압축 보디는 조임 볼트에 의해 접촉되는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접촉의 다른 가능성에 관해서는, 제1 압축 보디 부분에 관한 상기 설명을 참조) 및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을 포함하며, 후자의 압축 보디 부분은 도관 방향에 비스듬하게,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접촉 영역에서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하고;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은 상호 다중-피스인 바, 즉 모놀리식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시일 세트에서, 이 세트의 압축 보디는 한편으로 상이한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을 가지며; 이들 압축 보디는 엘라스토머 보디에 대한 상이한 접촉 영역, 즉 예를 들어 5%, 10%, 15% 또는 20% 이상 상이한 접촉 영역을 갖는다(쌍-관점의 비교에 있어서, 퍼센티지 인용은 더 작은 접촉 영역과 관련하여 평가됨). 한편, 상기 압축 시일 세트의 압축 보디의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은 상호 동일하다. 따라서, 조임 볼트에 대한 "계면"은 엘라스토머 보디에 대한 복수의 "계면"과 호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설치자는 접촉 영역을 현장에서의 특정 상황에 적응시킬 수 있다. "압축 시일 세트" 실시예는 앞선 단락 이전의 단락에 개시된 접촉 영역의 치수와 조합되어 특히 유리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관련하여 특징부 "판독 부재"와 무관하게 개시되어야 한다.
전술했듯이,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으로서 제공되는 제1 압축 보디 부분 및 제2 압축 보디 부분의 쌍은 방금 기술한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 및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의 쌍일 수도 있으며(두 개가 상호 다중-피스인 한); 따라서, 대응 압축 보디는 (동일한 제1 압축 보디 부분 및 상이한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을 갖는) 압축 시일 세트의 부분일 수도 있다. 제1 압축 보디 부분 및 프레싱 압축 보디 부분에 대해 전술한 모든 특징부는 또한 이러한 세트와 관련하여 개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탄성 변형 부재를 거쳐서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제1 압축 보디 부분 및 제2 압축 보디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압축 시일 세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제1 압축 보디 부분은 상호 동일하며, 이는 제2 압축 보디 부분에 대해서도 적용되지만; 압축 보디는 제공되는 탄성 변형 부재에 있어서 각각 다르다. 따라서, 탄성 변형 부재는 예를 들어 상이한 영율을 가질 수 있거나 및/또는 바람직하게 특히 도관 방향으로 취한 크기와 관련하여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압축 보디 세트에 있어서, 상이한 힘 수치가 조정되며, 여기에서는 (제1 압축 보디 부분 및 제2 압축 보디 부분이 각각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힘 수치가 동일한 상대 위치에 도달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탄성 변형 부재는 다중-피스 방식으로 (복수의 변형 부재 부분으로) 조립되며 따라서 도관 방향으로 취한 크기는 변형 부재 부분을 추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청구항들 중 하나에 따른 압축 시일용 압축 보디로서, 조임 볼트를 조일 때 엘라스토머 보디에 전달되는 힘이 판독될 수 있는 판독 부재를 포함하는 압축 보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압축 보디를 압축 시일 용으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압축 시일/압축 보디를 위한 전술한 모든 특징부는 또한 이러한 사용과 관련하여 개시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더 상세히 설명되며, 개별 특징부는 다른 조합으로 본 발명에 적합할 수도 있으며 그에 맞게 개시되어야 한다. 추가로, 이하에서는 또한, 본 발명이 모든 상이한 청구항 카테고리에 관련되어야 한다.
도 1은 압축 보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압축 보디의 종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보디의 대체 실시예의 종단면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종단면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종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의 종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모듈 방식으로 조립되는 압축 시일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의 도시도이며, 압축 보디는 도관 방향에 대해 양쪽에 배치된다.
도 1은 압축 보디(1)의 사시도이며, 엘라스토머 보디에서의 접촉 영역과 반대되는 쪽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압축 보디(1)에는 도관 방향(2)으로 연장되는 관통-개구가 제공되며, 관통-개구에는 압축 시일이 조립될 때 조임 볼트가 배치된다. 압축 보디(1)가 엘라스토머 보디에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해, 도 9와 대응 설명을 참조한다.
도 2는 압축 보디(1)의 종단면도이며, 본 발명에 따라 압축 보디(1)에 통합되는 판독 핀(21)을 도시한다. 압축 보디(1)는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22), 및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23)으로 조립되며, 상기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22, 23)은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없는 방식으로 형태-끼워맞춤에 의해 연결되는 바, 즉 도관 방향(2)으로 연장되고 돌출부(25) 뒤에서 결합하는 텅(24)에 의해 연결된다.
압축 시일이 조립될 때, 조임 볼트(212)는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22)의 접촉 영역(26)과 접촉하며, 이 접촉 영역은 도관 방향(2)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23)은 접촉 영역(27)에서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한다. 여기에서, "조임 볼트"(212)는 단부에 육각 헤드를 갖는 나사식 샤프트와 와셔 전체이다.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22)과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23) 전체가 "제1 압축 보디 부분"이다(도 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압축 보디(1) 내에 삽입되는 판독 핀(21)은 이 경우에 "제2 압축 보디 부분", 즉 판독 압축 보디 부분이며,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하지만 접촉 영역(27)에 비해서 작은 접촉 영역(28a)을 갖는다. 조임 볼트를 조임으로써 엘라스토머 보디가 도관 방향으로 압축될 때(도 9에 관한 설명 참조), 엘라스토머 보디는 판독 핀(21)이 보유되는 압축 보디(1)의 개구 내로 점점 더 팽창한다. 도면에서, 엘라스토머 보디는 판독 핀(21)을 상방으로, 즉 탄성 변형 요소(29)의 힘에 대항하여 푸시한다.
판독 핀(21)이 배치되는 제1 압축 보디 부분(22, 23)의 구멍은 접촉 영역(27, 28a)과 반대쪽에서 아직 폐쇄되어 있다. 개방 인디케이터(210)로서 제공되는 마개는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22)과 일체이며, 감소된 재료 두께를 갖는 원주방향 구역이 제거를 간단하게 만드는 미리결정된 파괴 지점(211)으로서 제공된다. 특정 힘에 도달하면, 즉 판독 핀(21)의 특정 상대 위치에서는, 개방 인디케이터(210)가 밀려나가며, 판독 핀(21)은 따라서 그 힘에 도달되었음을 나타낸다.
판독 핀(21)이 추가로 탄성 변형 부재(29)를 거쳐서 제1 압축 보디 부분(22, 23)에 장착되지 않고, 마개(210)가 변형 부재(29)(이 경우 비탄성)가 되는 한 마개(210)에 의해서만 초기 위치에 유지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그러나, 탄성 변형 부재(29)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 바, 그 이유는 압축 보디(1)가 다른 탄성 변형 부재(29)에 의해 다른 힘 수치에 적합해질 수 있기 때문이며, 상기 부분들은 그 밖에는 구조적으로 동일하다(따라서 동일한 몰드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압축 보디(1)에는, 도면 평면에 수직하게 놓이고 조임 볼트(21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거울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두 개의 판독 핀(21)이 제공된다. 단순화를 위해, 도면에서는, 우측에만 도면부호가 제공되며 설명은 주로 그것에 관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보디(1)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며;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을 지칭한다.
도 3에 따른 압축 보디(1)는 제1 압축 보디 부분(31) 및 상기 제1 압축 보디 부분에 대해 도관 방향(2)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압축 보디 부분(32)으로 조립된다.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31, 32)의 이동 가능성은 탄성 변형 부재(29)를 거쳐서 탄성적으로 장착된다[도 2에서와 같이, 압축 보디(1)에는 두 개의 판독 부재가 거울 평면에 대칭적으로 조립되며, 간명함을 위해 그 중의 하나만 참조한다].
압축 시일이 조립될 때, 조임 볼트(212)는 제1 압축 보디 부분(31)에서 접촉 영역(26)과 접촉하며 제2 압축 보디 부분(32)은 접촉 영역(28b)에서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한다. 조임 볼트(212)를 조이고 압축 보디(1)를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압축함으로써, 탄성 변형 부재(29)는 접촉 영역(28b)을 거쳐서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전달되는 힘에 의해 도관 방향(2)으로 점점 더 압축된다. 여기에서, 제1 압축 보디 부분(31)과 제2 압축 보디 부분(32)은 도관 방향(2)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되며, 제2 압축 보디 부분(32)에 제공된 판독 핀(33)은 초기 위치와 다른 상대 위치에 도달하면 개방 인디케이터(210)를 개방시킨다. 개방 인디케이터(210)는 제1 압축 보디 부분(31)과 일체이며, 감소된 두께를 갖는 재료 브리지(211)를 거쳐서 나머지 제1 압축 보디 부분(31)에 연결된다. 초기 상태에서, 개방 인디케이터(210)는 판독 핀(33)이 안내되는 제1 압축 보디 부분(31)의 개구를 폐쇄한다.
조임 볼트(212)의 제거 시에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31, 32)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즉 개별 부분의 취급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압축 보디 부분(32)에 제공된 텅(34)은 제1 압축 보디 부분(31)에 제공된 돌출부(35) 뒤에 결합된다. 제1 압축 보디 부분(31)과 제2 압축 보디 부분(32)은 적소에 로크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보디(1)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조임 볼트가 없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조임 볼트(212)가 삽입된 상태의 종단면 측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압축 보디 부분(31)과 제2 압축 보디 부분(32)이 제공되고, 제1 압축 보디 부분은 조임 볼트(212)를 위한 접촉 영역(26)을 가지며 제2 압축 보디 부분은 엘라스토머 보디를 위한 접촉 영역(28b)을 갖는다.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31, 32)은 조임 볼트(212)에 의해 교차되는 탄성 변형 부재(51)를 거쳐서 장착될 때 도관 방향(2)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축 보디 부분(31)에는, 도관 방향(2)으로 제2 압축 보디 부분(32)을 향해서 연장되는 원주방향 돌출부(52)가 제공되며, 이는 조여지는 상태에서 제2 압축 보디 부분(32)의 상보형 리세스(53)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조임 볼트(212)를 조일 때,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31, 32)은 도관 방향(2)으로 서로를 향해서, 즉 탄성 변형 부재(51)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된다. 도 5에 도시된 상황에서, 특정 힘에 도달하고 그로 인해 상대 위치에 도달되면, 탄성 변형 부재(51)는 이미 도관 방향(2)으로 압축되고 그것에 수직하게 팽창된다(조여지지 않을 때, 탄성 변형 부재는 도관 방향에 수직하게 대략 조임 볼트(212)의 와셔만큼 멀리 연장된다.
도관 방향에 수직한 팽창으로 인해, 탄성 변형 부재(51)는 제1 압축 보디 부분(31)에 제공된 창(41)(도 4)에서 볼 수 있으며, 창은 도관 방향으로 압축 보디를 ("위로부터") 바라보는 설치자에게 특정 힘에 도달됨을 나타낸다. 한편,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31, 32)의 이동 가능성은 돌출부(52) 및 리세스(53)에 의해 안내되며; 다른 한편으로, 리세스(53)에 결합되는 돌출부(52)는 탄성 변형 부재(51)를 외측에서 커버하여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판독 부재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압축 보디(1)에 대응하는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는 더 큰 접촉 영역(27)을 갖는 다른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23)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힘이 더 큰 면적을 거쳐서 엘라스토머 보디에 전달되며 이는 압축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보디가 압축 보디 사이에서 "눌려삐져나오는(squeezing out)"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 영역(27)을 증가시키기 위해, 원주방향 접촉 영역 돌출부(71)가 도 2의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에 비해서 도 7의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23)에 몰딩되며, 상기 돌출부는 나머지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23)에 대해 바(72)에 의해 안정화되고 따라서 힘을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전달한다.
접촉 영역(27)의 크기는 별도로 하고, 즉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23)은 별도로 하고, 도 2 및 도 7에 따른 압축 보디(1)는 다르지 않으며;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압축 보디(1)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시일 세트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실시예와 어떤 유사성을 갖는, 즉 제1 압축 보디 부분(31)과 제2 압축 보디 부분(32)으로 조립되는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압축 보디 부분(31, 32)은 탄성 변형 부재(29)를 거쳐서 장착되고 도관 방향(2)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각각의 판독 핀(33)에 각각 (그와 교차하여) 제공되는 개별 탄성 변형 부재가 없으며, 대신에 탄성 변형 부재(29)가 제공되고 이는 조임 볼트(212)에 의해 교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접촉 영역(28b)은 조임 볼트(212)를 조일 때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압축되고, 두 개의 압축 보디 부분(31, 32)은 탄성 변형 부재(29)의 힘에 대항하여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상대 위치에 도달하면 판독 핀(33)이 개방 인디케이터(210)를 분리시키며 따라서 설치자는 힘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다.
판독되어야 하는 힘에 따라서, 추가 탄성 변형 부재(29)가 탄성 변형 부재(29)에 추가될 수 있는 바, 즉 도관 방향(2)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방 인디케이터(210)와 판독 핀(33)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며 따라서 개방 인디케이터가 분리될 때까지 더 많은 힘이 엘라스토머 보디 상에 전달되어야 한다.
도 9는 압축 시일의 부분, 즉 조임 볼트(212)에 의해 교차되는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을 도시하며, 압축 보디(1)는 도관 방향(2)에 대해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의 양쪽에 제공된다. 상부 사시도에서 보이는 압축 보디(1)는 판독 부재를 전혀 구비하지 않으며, 전술한 압축 보디(1)(판독 부재 구비)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압축 시일은 상호 상보적인 복수의 이러한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두 개의 추가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이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에 배치되어 그것에 연결되며, 추가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 중 하나는 앞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뒤에 배치된다. 대응 배치로 인해,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의 폐쇄 체인이 초래되며 이것은 도 9에서 상부 좌측에 있게 될 것이다.
상호 바로 인접하여 놓이는 두 개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은 도관 방향(2)에 수직하게 배향되는 중첩 구역(92)에서 상호 접촉하며, 중첩 구역과 교차하는 [따라서 두 개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과 교차하는] 조임 볼트(21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을 상호 유지시키는 조임 볼트(212)를 조임으로써, 엘라스토머 보디는 도관 방향으로 압축되고 그것에 수직하게 팽창되는 바, 즉 도관(도시되지 않음) 및 벽 개구의 하단(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보디(1)는 최적의 밀봉 접촉에 필요한 힘에 도달했음을 나타낸다.

Claims (15)

  1. 압축 시일이며,
    도관과 밀봉 접촉하기 위한 엘라스토머 보디(91),
    압축 보디(1) 및
    상기 압축 보디(1)를 조이기 위한 조임 볼트(212)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 보디(1)는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가 상기 도관과 밀봉 접촉하도록 상기 조임 볼트(212)를 조임으로써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1) 상에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 보디(1)는 상기 조임 볼트(212)의 상기 조임 중에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91)에 전달되는 힘이 판독될 수 있는 판독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압축 시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보디(1)는 제1 압축 보디 부분(22, 23, 31), 제2 압축 보디 부분(21, 32) 및 변형 부재(29, 51)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축 보디 부분(22, 23, 31)은 상기 조임 볼트(212)가 상기 조임 중에 상기 제1 압축 보디 부분(22, 23, 31) 상에 힘을 전달하도록 상기 조임 볼트(212)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압축 보디 부분(21, 32)은 접촉면(28a, 28b)에서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추가로 상기 제1 압축 보디 부분(22, 23, 31)과 상기 제2 압축 보디 부분(21, 32)은 베어링으로서 상기 변형 부재(29, 51)를 거쳐서 상호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91)에 전달되는 상기 힘에 따라서 상대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대 위치는 상기 판독 부재에서 판독될 수 있는 압축 시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29, 51)는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91)와 상이한 압축 시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부재로서 판독 핀(21, 33)이 제공되고, 상기 판독 핀(21, 33)은 상기 제2 압축 보디 부분(21, 32)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 보디(1)는 상기 상대 위치에서 상기 판독 핀(21, 33)이 상기 제1 압축 보디 부분(22, 23, 31) 내의 관통 구멍을 통해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압축 시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에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폐쇄하는 개방 인디케이터(210)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 인디케이터(210)는 상기 상대 위치에서 상기 판독 핀(21, 33)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압축 시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28b)은 상기 압축 보디의 투영 면적의 50% 이상에 달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투영 면적은 상기 도관 방향(2)에 수직한 평면에 대한 전체 압축 보디(1)의 수직 투영으로부터 얻어지는 압축 시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28b)의 상기 면적은 압축 보디 부분의 투영 면적의 125% 이상에 달하며, 상기 압축 보디 부분 투영 면적은 상기 도관 방향(2)에 수직한 평면에 대한 상기 제1 압축 보디 부분(31)의 수직 투영으로부터 얻어지는 압축 시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51)는 탄성 변형 부재(51)이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51)는 그 자체가 상기 판독 부재이며, 상기 상대 위치는 상기 도관 방향(2)에 수직한 상기 탄성 변형 부재(51)의 상기 변형으로부터 판독될 수 있는 압축 시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 보디 부분(31)에 창(41)이 제공되며, 상기 도관 방향에 수직한 상기 탄성 변형 부재(51)의 상기 변형은 상기 창에서 판독될 수 있는 압축 시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보디(1)에는 눈금이 제공되며,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91)에 전달되는 복수의 힘 수치는 상기 판독 부재에 의해 상기 눈금에서 판독될 수 있는 압축 시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91)는 상호 상보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은 조립 상태에서 상기 도관 방향(2)으로 볼 때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이 원주 방향으로 그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바로 인접하는 다른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91)과 각각 중첩하도록, 즉 상기 도관 방향(2)에 비스듬히 배향된 중첩 구역(92)에서 각각 중첩하도록 조립되고, 바로 인접하는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 부분들은 상기 각각의 중첩 구역(92)과 교차하는 조임 볼트(21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압축 시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 시일을 복수 구비하는 압축 시일 세트이며,
    상기 압축 시일은 각각 상기 조임 볼트(212)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22) 및 상기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에 대해 다중 부분인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23)을 구비하는 압축 보디(1)를 갖고,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은 접촉면(27, 28b)에서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축 시일 세트의 상기 압축 보디(1)는 상이한 엘라스토머 보디-접촉-압축 보디 부분(23)을 갖지만 동일한 조임 볼트-접촉-압축 보디 부분(22)을 갖는 압축 시일 세트.
  13. 선택적으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추가의 어느 한 항과 조합되기도 하는, 제3항에 따른 압축 시일을 복수 구비하는 압축 시일 세트이며,
    상기 압축 시일 세트의 상기 압축 보디(1)의 상기 제1 압축 보디 부분(22, 23, 31) 및 상기 제2 압축 보디 부분(21, 32)은 각각 상호 동일하지만, 상기 압축 시일 세트의 상기 압축 보디(1)는 상이한 탄성 변형 부재(29, 51)를 구비하는 압축 시일 세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 시일 용으로 구성된 압축 보디(1)이며,
    상기 압축 보디(1)는 상기 조임 볼트(212)의 상기 조임 중에 상기 엘라스토머 보디(91)에 전달되는 힘이 판독될 수 있는 판독 부재를 포함하는 압축 보디(1).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 시일 용 또는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압축 시일 세트용의 제14항에 따른 압축 보디(1)의 용도.
KR1020167004000A 2013-07-22 2014-06-10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 KR102143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77472.1 2013-07-22
EP13177472.1A EP2829781B1 (de) 2013-07-22 2013-07-22 Presskörper für eine Pressdichtung und Pressdichtung
PCT/EP2014/062041 WO2015010822A1 (de) 2013-07-22 2014-06-10 Pressdichtung mit presskör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738A true KR20160033738A (ko) 2016-03-28
KR102143775B1 KR102143775B1 (ko) 2020-08-12

Family

ID=4887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000A KR102143775B1 (ko) 2013-07-22 2014-06-10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09205B2 (ko)
EP (2) EP2829781B1 (ko)
JP (1) JP6416252B2 (ko)
KR (1) KR102143775B1 (ko)
CN (1) CN105492814B (ko)
AU (1) AU2014295406B2 (ko)
CA (1) CA2919578C (ko)
DK (1) DK3025080T3 (ko)
ES (1) ES2711110T3 (ko)
PL (1) PL2829781T3 (ko)
WO (1) WO20150108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055A (ko) * 2016-08-30 2019-04-16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가압체를 구비하는 압축 시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9599A1 (de) 2015-10-09 2017-04-13 Poloplast Gmbh & Co Kg Quetschflansch mit Montagekontrolle
DE202016005211U1 (de) 2016-08-30 2017-12-01 Hauff-Technik Gmbh & Co. Kg Pressdichtung mit Presskörper
CN109004600B (zh) * 2018-07-27 2021-03-16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可自适应安装面倾角的穿墙式接头的实现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8668A (en) * 1967-08-14 1970-09-15 Thunderline Corp Modular inter-wall seal unit
JPS4926531U (ko) * 1972-06-05 1974-03-07
JPS6388729U (ko) * 1986-11-28 1988-06-09
WO1996035904A1 (de) * 1995-05-10 1996-11-14 Dsi Rohrleitungsbau-Zubehör Gmbh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s ringraumes
EP1211450A1 (de) * 2000-11-21 2002-06-05 Hauff-Technik GmbH & Co. KG Dichtungsvorrichtung für Kabel- und Rohrdurchgäng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6531B1 (ko) * 1969-08-18 1974-07-10
US5297691A (en) * 1989-02-16 1994-03-29 Bottcher William R Closure plug an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to maintain a fire-rated barrier
US5249604A (en) * 1991-05-13 1993-10-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Tube plug for plugging a tube
US5437310A (en) * 1994-08-05 1995-08-01 Expando Seal Tools, Inc. Plug assembly
DE19515237C2 (de) * 1995-04-29 1997-04-24 Krohne Messtechnik Kg Justiervorrichtung
US6003557A (en) * 1997-12-17 1999-12-21 The Lee Company Removable sealing plug
ATE495402T1 (de) * 2008-06-06 2011-01-15 Hauff Technik Gmbh & Co Kg Leitungsdurchführung mit schichtenfol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8668A (en) * 1967-08-14 1970-09-15 Thunderline Corp Modular inter-wall seal unit
JPS4926531U (ko) * 1972-06-05 1974-03-07
JPS6388729U (ko) * 1986-11-28 1988-06-09
WO1996035904A1 (de) * 1995-05-10 1996-11-14 Dsi Rohrleitungsbau-Zubehör Gmbh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s ringraumes
EP1211450A1 (de) * 2000-11-21 2002-06-05 Hauff-Technik GmbH & Co. KG Dichtungsvorrichtung für Kabel- und Rohrdurchgä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055A (ko) * 2016-08-30 2019-04-16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가압체를 구비하는 압축 시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829781T3 (pl) 2015-12-31
JP2016525200A (ja) 2016-08-22
AU2014295406B2 (en) 2018-08-09
CN105492814B (zh) 2018-05-04
KR102143775B1 (ko) 2020-08-12
CA2919578C (en) 2021-05-04
EP3025080A1 (de) 2016-06-01
JP6416252B2 (ja) 2018-10-31
EP2829781A1 (de) 2015-01-28
US9709205B2 (en) 2017-07-18
CN105492814A (zh) 2016-04-13
ES2711110T3 (es) 2019-04-30
DK3025080T3 (en) 2019-03-04
AU2014295406A1 (en) 2016-02-11
EP3025080B1 (de) 2018-11-14
US20160195210A1 (en) 2016-07-07
EP2829781B1 (de) 2015-07-15
CA2919578A1 (en) 2015-01-29
WO2015010822A1 (de)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3738A (ko)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
ES2745488T3 (es) Célula de carga hermética con protección contra sobrecargas
US8634688B2 (en) Housing for an optical fiber cable assembly
CN107014557B (zh) 物理量测定装置
US9557206B2 (en) Adjustable fluid level verification apparatus
KR20140131340A (ko) 요소, 바람직하게는 구성요소 내의 보어 내로 삽입하기 위한 밀폐 요소
US20180283968A1 (en) Device for the non-intrusive measurement of the pressure of a fluid
US11384874B2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US20130133432A1 (en) Pressure sensor assembly
JP6921860B2 (ja) センサ装置、特に圧力センサ
ES2665332T3 (es) Brida de compresión con control de montaje
WO2019182753A1 (en) Pressure sensor unit with circular gasket
WO2015162113A1 (en)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JP4758817B2 (ja) 逆流防止弁
US11346737B2 (en)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US9645030B2 (en) Pressure measurement sensor head
CN108303209B (zh) 用于压力传感器的o形环内密封件
JP2021011903A (ja) フッ素樹脂成形体
KR100954610B1 (ko)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US20190344067A1 (en) Coupling Component And Fluid Coupling
JP2020183884A (ja) センサ装置及びセンサ装置のブッシュ
KR101575274B1 (ko) 압력계 설치구조
US10107702B2 (en) Pressure sensor and pressurized fluid apparatus comprising such a sensor
JP4452288B2 (ja) アンギュラピンを有する金型装置
US20220403935A1 (en) Seal assembly and seal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