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610B1 -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 Google Patents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610B1
KR100954610B1 KR1020090099602A KR20090099602A KR100954610B1 KR 100954610 B1 KR100954610 B1 KR 100954610B1 KR 1020090099602 A KR1020090099602 A KR 1020090099602A KR 20090099602 A KR20090099602 A KR 20090099602A KR 100954610 B1 KR100954610 B1 KR 10095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acking
arc
shap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한
Original Assignee
영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퍼와 패킹을 일체로 형성하되, 스토퍼가 서로 분리된 호형 스토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저렴한 제작비로 제작 공정이 간소화되며, 조립 작업이 간편하게 되며, 아울러 수밀성능 및 관 이탈방지력이 매우 높은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링 형태의 패킹 ; 호 형태를 가지되, 호의 내측을 향하여 고정용 이빨이 돌출 형성되며, 호의 외측에 압착용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의 링 형태의 일측면을 따라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호형 스토퍼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패킹은, 링 형태를 이루는 본체 패킹부와, 상기 본체 패킹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호형 스토퍼 사이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간 패킹부로 형성되며 ; 상기 호형 스토퍼는, 상기 본체 패킹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본체 걸림턱을 구비한 본체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간 패킹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스토퍼간 걸림턱을 구비한 스토퍼간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PACKING DEVICE WITH STOPPER FOR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관과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음관에 장착되어, 이음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와 관의 이탈을 막아주기 위한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음관의 구조를 설명한다.
관과 관을 서로 연결할 때, 이음관을 이용하여 관(1)을 연결하게 된다.
도 1은 이음관 본체(10)의 일측과 관(1)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음관 본체(10)에 관(1)의 일단부가 삽입되며, 이음관 본체(10)의 내부 외측단부에는 패킹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킹 수용부에 패킹(11)이 장착되며, 장착된 패킹(11)의 외측에 와샤(12)와 스토퍼(13)가 순차적으로 장착된다.
이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4) 및 너트(16)에 의하여 압착판(15)이 이음관 본체(10)를 향하여 조여지면, 스토퍼(13)가 압착판(15)의 내주면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와샤(12)를 매개로 패킹(11)이 압착된다.
이때 스토퍼(13)는 "C"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압착판(15)에 의하여 압착될 때 "C"의 개방된 부위가 좁혀지면서 압착된다.
이와 같은 이음관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와샤(12)가 없을 경우, 스토퍼(13)가 압착될 때 패킹(11) 또한 압착되면서 패킹(11)의 일부가 스토퍼(13)의 "C"의 개방된 부위로 튀어나오면서 패킹(11)이 스토퍼(13)에 의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음관 구조에서는 링 형태의 와샤(12)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음관 구조에서는 반드시 3개의 부품, 즉 패킹(11), 와샤(12), 스토퍼(13)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그 유지 관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도 번거롭게 된다.
또한 이음관의 중심을 향한 스토퍼(13)의 내측에는 고정용 이빨이 돌출되나, 스토퍼(13)가 압착되는 과정에서 고정용 이빨이 관(1)의 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고정용 이빨이 마모되어 이탈방지력이 훼손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구경 관을 연결하기 위한 스토퍼(13)의 경우, 스토퍼(13)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이빨을 스토퍼(13)의 주조 제작과정에서 성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토퍼(13) 본체를 주조 제작한 후 고정용 이빨을 성형하기 위하여 선반가공 및 절개 작업 등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매우 높게 된다.
또한 "C" 형태의 스토퍼(13)는 압착된 후에도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복원력이 잔존하며, 이러한 탄성복원력은 스토퍼(13)의 이탈방지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토퍼와 패킹을 일체로 형성하되, 스토퍼가 서로 분리된 호형 스토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저렴한 제작비로 제작 공정이 간소화되며, 조립 작업이 간편하게 되며, 아울러 수밀성능 및 관 이탈방지력이 매우 높은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링 형태의 패킹 ; 호 형태를 가지되, 호의 내측을 향하여 고정용 이빨이 돌출 형성되며, 호의 외측에 압착용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의 링 형태의 일측면을 따라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호형 스토퍼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패킹은, 링 형태를 이루는 본체 패킹부와, 상기 본체 패킹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호형 스토퍼 사이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간 패킹부로 형성되며 ; 상기 호형 스토퍼는, 상기 본체 패킹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본체 걸림턱을 구비한 본체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간 패킹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스토퍼간 걸림턱을 구비한 스토퍼간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호형 스토퍼는 상기 패킹의 제작시 인서트 몰딩되어 상기 패킹에 일체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스토퍼와 패킹을 일체로 형성하되, 스토퍼가 서로 분리된 호형 스토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저렴한 제작비로 제작 공정이 간소화되며, 조립 작업이 간편하게 되며, 아울러 수밀성능 및 관 이탈방지력이 매우 높은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 기준 단면 도이며, 도 6은 도 2의 호형 스토퍼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를 사용한 이음관의 조립을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개념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가 적용된 다른 형태의 이음관의 개념 종단면도이다.
본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100)는 크게 패킹(110)과 복수의 스토퍼(120)로 이루어진다.
본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100)의 설명에서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100)는 링 또는 슬리브 형태를 가진다.
패킹(110)은 링 형태를 가진다.
아울러 패킹(110)의 링 형태의 일측면(도 2에서는 상측면)을 따라 복수의 호형 스토퍼(120)가 마련된다.
호형 스토퍼(120) 각각은 호 형태를 가지되, 호의 내측을 향하여 고정용 이빨(121)이 돌출 형성되며, 아울러 호의 외측에 압착용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호형 스토퍼(120)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며, 또한 복수의 호형 스토퍼(120)는 패킹(110)의 링 형태의 일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링 형태를 이루게 된다.
패킹(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를 이루게 되는 본체 패킹부(111)와, 본체 패킹부(111)의 일측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되 복수의 호형 스토퍼(120) 사이로 돌출 형성되어 호형 스토퍼(120)와 대응되는 단면구조를 가진 스토퍼간 패킹부(1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패킹(110)의 구조에 대하여, 호형 스토퍼(120)는 패킹(110)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본체 패킹부(111)를 향하여 하부로 돌출 형성되되 본체 걸림턱(123a)을 구비한 본체 결합부(123)와, 스토퍼간 패킹부(112)를 향하여 링 형태를 따라 좌우로 돌출 형성되되 스토퍼간 걸림턱(124a)을 구비한 스토퍼간 결합부(12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100)의 제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호형 스토퍼(120)를 주조 제작한다.
호형 스토퍼(120)의 구조는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정밀주조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대구경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호형 스토퍼(120)의 각 부위는 정밀주조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호형 스토퍼(120)가 제작된 후 패킹(110)을 제작한다.
패킹(110)을 제작할 때 패킹 제작용 금형에 호형 스토퍼(120)들을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배치시켜, 패킹(110)이 제작되면서 패킹(110)과 호형 스토퍼(120)가 서로 일체화된다.
이때 호형 스토퍼(120)에 형성된 본체 결합부(123) 및 스토퍼간 결합부(124)는 호형 스토퍼(120)가 패킹(110)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100)의 제작은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완료 되며 또한 그 제작비가 저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100)는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이므로 이음관에의 조립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아울러 3개의 부품(즉 패킹(11), 와샤(12), 스토퍼(13))을 이용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오직 하나의 부품을 이용하므로 그 보관 및 유지 등이 매우 간편하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100)가 종래의 패킹(11), 와샤(12), 스토퍼(13) 대신에 장착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100)를 제외한 부위의 설명은 도 1과 동일하다.
도 10은 도 7의 압착판(15) 대신 압착용 너트(17)를 이용하였다.
도 7의 압착판(15) 혹은 도 10의 압착용 너트(17)가 이음관 본체(10)로 조여지게 될 때 압착판(15) 또는 압착용 너트(17)의 내주면이 본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100)의 호형 스토퍼(120)의 압착용 경사면(122)을 압착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의 경우 압착판(15)이 볼트(14)에 의하여 이음관 본체(10)측으로 조여지게 되며, 도 10의 경우 압착용 너트(17)가 이음관 본체(10)에 나사결합되면서 이음관 본체(10)측으로 조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착판(15) 혹은 압착용 너트(17)에 의하여 압착용 경사면(122)이 압착되는 호형 스토퍼(120)는, 패킹(110)이 이음관 본체(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패킹(110)을 압착하게 된다. 이때 패킹(110)의 압착되는 부위는 본체 패킹부(111)는 물론이며, 스토퍼간 패킹부(112) 또한 압착된다.
패킹(110)의 수밀성은 그 압축정도에 비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샤(12)가 없는 관계로 패킹(110)의 부피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본체 패킹부(111)와 스토퍼간 패킹부(112)로 인하여 패킹(110)의 부피가 극대화되어, 패킹(110)의 압축가능한 양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패킹장치(110)의 수밀기능이 극대화된다.
또한 호형 스토퍼(120)는 관(1)의 원주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고정용 이빨(121)의 손상의 문제가 없게 되며, 아울러 종래의 "C" 형 구조의 형상 복원력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패킹장치(110)의 관 이탈방지력 또한 극대화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관과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음관에 장착되어, 이음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와 관의 이탈을 막아주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이음관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 기준 단면도,
도 6은 도 2의 호형 스토퍼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를 사용한 이음관의 조립을 위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개념 종단면도,
도 10은 본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가 적용된 다른 형태의 이음관의 개념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패킹장치 110 : 패킹
111 : 본체 패킹부 112 : 스토퍼간 패킹부
120 : 스토퍼 121 : 고정용 이빨
122 : 압착용 경사면 123 : 본체 결합부
124 : 스토퍼간 결합부

Claims (4)

  1. 링 형태의 패킹 ;
    호 형태를 가지되, 호의 내측을 향하여 고정용 이빨이 돌출 형성되며, 호의 외측에 압착용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의 링 형태의 일측면을 따라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호형 스토퍼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패킹은, 링 형태를 이루는 본체 패킹부와, 상기 본체 패킹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호형 스토퍼 사이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간 패킹부로 형성되며 ;
    상기 호형 스토퍼는, 상기 본체 패킹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본체 걸림턱을 구비한 본체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간 패킹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스토퍼간 걸림턱을 구비한 스토퍼간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스토퍼는 상기 패킹의 제작시 인서트 몰딩되어 상기 패킹에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90099602A 2009-10-20 2009-10-20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KR10095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02A KR100954610B1 (ko) 2009-10-20 2009-10-20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02A KR100954610B1 (ko) 2009-10-20 2009-10-20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610B1 true KR100954610B1 (ko) 2010-04-26

Family

ID=4222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602A KR100954610B1 (ko) 2009-10-20 2009-10-20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6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91A (ko) * 2018-01-23 2019-07-31 (주)와이디아이 밀림손상 방지형 이음관 어셈블리용 스토퍼
KR20200104641A (ko) 2019-02-27 2020-09-04 (주)와이디아이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1013U (ko) * 1978-03-24 1979-10-01
JPS60185790U (ja) 1984-05-21 1985-12-09 クロダイト工業株式会社 管継手部における管離脱防止装置
KR20080074642A (ko) * 2007-02-09 2008-08-13 정혁모 콜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12396B1 (ko) * 2009-03-19 2009-08-14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1013U (ko) * 1978-03-24 1979-10-01
JPS60185790U (ja) 1984-05-21 1985-12-09 クロダイト工業株式会社 管継手部における管離脱防止装置
KR20080074642A (ko) * 2007-02-09 2008-08-13 정혁모 콜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12396B1 (ko) * 2009-03-19 2009-08-14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91A (ko) * 2018-01-23 2019-07-31 (주)와이디아이 밀림손상 방지형 이음관 어셈블리용 스토퍼
KR102016506B1 (ko) 2018-01-23 2019-10-21 (주)와이디아이 밀림손상 방지형 이음관 어셈블리용 스토퍼
KR20200104641A (ko) 2019-02-27 2020-09-04 (주)와이디아이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KR102215624B1 (ko) * 2019-02-27 2021-02-15 (주)와이디아이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770B2 (ja) パイプ要素を継合するための継手
FI87264C (fi) Roerkoppling
JP5747207B2 (ja) 管継手
KR20120079439A (ko) 신속한 연결 파이프이음 시스템
US2451354A (en) Pipe coupling
JP2018517106A (ja) 耐螺合解除式迅速連結型結合具
US20210095803A1 (en) Quick-insertion coupling joint
US8226128B2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KR100954610B1 (ko)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WO2004104453A3 (en) Self restraining gasket and pipe joint
JP2001187996A (ja) 管接続部用補強継手
JP2016200159A (ja) 管継手
JP2004340365A (ja) 流体管の離脱防止装置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CN105074307A (zh) 具有防水结构的管接头
JP6135326B2 (ja) 密封構造及び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US2120184A (en) Pipe joint or coupling
JP2014005868A (ja) 押輪および継手および弁
KR20190021677A (ko) 이탈 방지용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JP5592751B2 (ja) 管継手の離脱防止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押輪
JP5877454B1 (ja) 金型冷却水流路遮断装置
KR20023929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2120723B1 (ko) 차량용 이종 재질 호스 연결소켓 조립구조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