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055A - 가압체를 구비하는 압축 시일 - Google Patents

가압체를 구비하는 압축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055A
KR20190040055A KR1020197008433A KR20197008433A KR20190040055A KR 20190040055 A KR20190040055 A KR 20190040055A KR 1020197008433 A KR1020197008433 A KR 1020197008433A KR 20197008433 A KR20197008433 A KR 20197008433A KR 20190040055 A KR20190040055 A KR 2019004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ressing
pressure
axial direction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683B1 (ko
Inventor
랄프 쿠르츠
Original Assignee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4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체(2)와 조임 볼트(4)를 조임으로써 탄성체(2)에 대해 압축될 수 있는 가압체(9,10)를 갖는 압축 시일(1)에 관한 것이고 결과적으로 탄성체(2)는 라인에 밀봉된다. 가압체(9,10)는 탄성체(2)의 조임 상태에 도달했을 때 표시 영역(18)에서 가시화될 수 있는 표시 요소(11)를 포함한다. 가압체(9,10)는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13, 14)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체 부분(13,14)은 서로에 대해 조임 볼트(4)의 종축(7)과 평행한 축 방향(3)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탄성체(2)가 조여진 상태일 때 조여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 대해 수정된 상대 위치를 취하고, 그것은 표시 요소(11)에서 판독될 수 있다. 가압체(9,10)는 다중 부분이고 압축하는 가압체 부분(9)과 표시 가압체 부분(10)을 포함한다. 압축하는 가압체 부분(9)은 조임 볼트가 조여질 때 넓은 면적에 걸쳐 조임 볼트(4)에 의해 탄성체(2)에 대해 압축되고,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13, 14)과 표시 요소(11)를 포함하고,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조임볼트(4)의 종축(7)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대해 회전 불가하게 고정되는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압축하는 가압체 부분(9) 위에 있다.

Description

가압체를 구비하는 압축 시일
본 발명은 탄성체(elastomer body), 가압체(press body) 및 조임 볼트를 포함하는 라인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압축 시일(press seal)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압축 시일은 조임 볼트가 탄성체와 라인에 평행하게 교차하고 각각 서로 반대쪽에 있는 탄성체의 두 전면 각각에 하나의 가압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임 볼트를 조임으로써 가압체는 조임 볼트의 축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고, 탄성체는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되며, 거기에 수직으로 라인, 그리고, 예컨대, 예를 들어 코어 드릴링의 벽 개구의 아래쪽(soffit)에 접촉한다. 이는 가능한 압축 시일을 보여 주는 것이며 요지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EP 2 829 781 A1에서 표시 요소(display element)를 포함하는 가압체를 갖는 압축 시일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표시 요소로부터 탄성체 상으로 전달된 힘을 판독 할 수 있다. 이 표시 요소는 다른 방식으로 설계되거나 탄성체에 결합될 수 있지만, 표시 영역은 항상 가압체의 상부 측에 있고, 즉 조임 볼트의 축 방향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가압체 위에서 축 방향을 따라 본 평면 모습에서 판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표시 요소를 갖는 가압체를 구비하는 특히 유리한 압축 시일을 제공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가압체를 갖는 압축 시일에 의해 해결되는데, 표시 요소는 적절한 조임 상태에 도달할 때, 조임 볼트의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노출된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가시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그리고, 동시에 사용 양태 뿐 아니라 장치와 방법 양태와 관련된 모든 개시 내용의 대상이며, 적어도 암묵적으로 개시 내용은 모든 청구항 카테고리와 관련된다.
가압체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표시 영역은 가압체의 사용 특성을 확대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축 시일의 접근성이 제한되는 경우, 예를 들어 각각의 라인이 바닥 가까이 있는 벽을 통과하거나 다른 제한된 공간 조건 하에 있을 때에도, 측면에서 비스듬히 보는 방향에서와 같은 조립 검사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기술자가 가압체의 윗면을 보기 위해 무릎을 꿇을 필요가 없으며, 대신 위에서(기술자 기준 시스템에서 위, 가압체 기준 시스템에서는 측 방향) 비스듬하게 표시 영역을 볼 수 있고, 이는 어쨌든 설치 과정 동안의 전형적인 관찰 방향이다.
"종축" 주위에서 조임 볼트는 조여지는 과정에서 회전한다. 조임 볼트의 나사산은 그것의 종축 주위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시일은 조임 볼트의 나사 머리가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가압체와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나사 머리와 가압체 사이에 와셔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와셔는 조임 볼트의 부분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나사 머리를 구동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외부 육각 연결부와 같은 다각형 내부 또는 외부 윤곽이 제공될 수 있다. 조임 볼트는 그 나사산에 의해 종축(“축 방향”이라 함)에 평행한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한 가압체에 체결된다. 조임 볼트는 예를 들어 반대쪽 가압체에 삽입되거나 금속 가압체에 용접된 너트와 결합할 수 있는 외부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대편 가압체는 사출 성형 부품이며, 금속 너트가 반대편 가압체에 탈착 불가능한 방식의 삽입물로 성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위"와 "아래"라는 용어는 특별히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의 개시에 적용되는 조임 볼트의 종축과 평행하게 놓인 축 방향과 관련되며; 여기서 조임 볼트가 조여지는 동안 “아래로” 돌아가면서, 조임 볼트는 정의상 “위에서” 가압체로 힘을 전달한다.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측면" 배열을 언급하는 것은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관련되며, "측 방향"이라고도 한다. 가압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은 "바깥쪽"이며, 가압체 쪽으로 향하는 것이 "안쪽"이 된다.
표시 영역은 가압체에서 측 방향으로, 예를 들어 가압체의 측 방향 외측 표면에 배치되며, 이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종축을 포함하는 단면 평면에서 볼 수 있듯이 예를 들어 종축에 대해 45 °, 35 ° 또는 25 ° 이하(언급된 순서대로 점점 더 바람직한)로 기울어지며; 기술적 실무에서 가능한 한, 평행 연장이 가능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5° 또는 10° 정도의 작은 기울기 또한 가능하다. 측면 표시 영역에서 가시화되는 표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표시 영역이 노출되는 그 측 방향의 표시 영역으로 이동되고 표시 영역으로의 운동 동안 가시화된다.
이러한 세부 사항과는 별도로, 표시 영역은 가압체로부터 떨어진 측 방향 바깥쪽으로 노출되며; 이 방향에서, 그것은 가압체 자체에 의해 덮이지 않으며, 이상적으로 탄성체에 의해서도 덮이지 않는다. 노출의 결과로 기술자는 표시 영역(즉, 정확하게는 반대편 측 방향)을 측 방향에서 볼 수 있다. 대응하는 시선은 반드시 조임 볼트의 종축과 교차할 필요는 없으며 평행하게 오프셋 될 수 있지만(청구항 1의 기준은 종축에 수직인 방향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종축에 수직한 직선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표시 영역은 조임 볼트의 종축에 수직인 시선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인이 탄성체로 밀봉될 수 있는 "관통 개구"는 예를 들어 벽 또는 바닥 요소의 관통 개구가 될 수 있지만, 또한 튜브 요소 예를 들어 라인이 내부에서 유도되는 보호 튜브 또는 라인의 장착을 위한 장착 요소 내의 관통 개구일 수도 있다. 관통 개구는 예를 들어 벽, 바닥, 튜브 또는 장착 요소 자체의 재질에 따라 "정의"될 수 있지만, 또한 관통 개구에 프레임 또는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체가 거기에 결합될 수 있다.
"라인"은 특히 전기 또는 전력 공급 라인, 예를 들어 가스, 물, 열 또는 오일 라인으로서의 공급 라인, 통신 또는 데이터 라인일 수 있으며, 특히 섬유 기반일 수 있고, 또한 이 용어는 그러한 라인을 수용하기 위한 빈 튜브에 관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라인은 라인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탄성체는 바람직하게는 고리형으로 배열된다(안쪽으로 라인에 대해, 그리고, 바깥쪽으로 관통 개구의 아래쪽에 대해 밀봉). 이러한 세부 사항과 독립적으로, 탄성체에 대해 가압될 수 있는 가압체는 탄성체에 바람직하게는 직접 접촉하고, 탄성체에 접촉 영역을 갖는다(그러나 일반적으로 탄성체에 대해 간접적으로 가압될 수도 있다). 표시 요소에 의해 가시화되는 탄성체가 조여진 상태에서, 탄성체는 라인에서 밀봉 접촉을 가지지만, 다른 한편으로 조임이 너무 크지 않아 라인 또는 탄성체의 손상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가압체는 접촉 압력을 측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고, 즉 탄성체를 라인에 대해 가압하기 위해 탄성체를 측 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탄성체와 가압체는 관통 개구에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가압체는 조임 볼트를 조이는 것에 의해 측 방향으로 넓어져서 라인에 대해 탄성체를 가압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탄성체는 축 방향 압축에 의해 조여지고, 결과적으로 측 방향으로 라인과 접촉한다(또한 전술한 설명과 종래 기술에 대한 언급 참조). 이 경우 조임 볼트는 표시 요소를 갖는 가압체 뿐만 아니라, 탄성체 및 축 방향의 반대편에 배열된 가압체(바람직하게는 표시 요소를 갖지 않는 반대편 가압체)와도 교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이 제공되는 가압체의 측벽은 적어도 표시 영역에서 적어도 반투명한(속이 비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속을 볼 수 있고),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각각 어떠한 착색제도 갖지 않는 아크릴 유리나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 요구되는 조임에 도달하면, 표시 요소는 반투명 또는 투명성으로 반대편 외부 표면에서 볼 수 있는 내부의 측벽과 접촉한다. 표시 영역에서 적어도 반투명한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빛을 투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70% 또는 80% 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가능한 상한은 예를 들어 99%, 95% 또는 90% 이하이다(각각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 대한 평균).
그러나, 일반적으로, 표시 영역은 예를 들어 측벽을 가로질러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일 수도 있다. 이에 비해, 반투명/투명 재료는 기본적으로 바깥쪽이 폐쇄된 가압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먼지의 유입 또는 예를 들어 곤충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측벽은 검사창을 형성하는 표시 영역에서만 반투명/투명할 수 있지만, 그러나 또한 전체적으로 반투명/투명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압체는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을 포함하고, 이 가압체 부분들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여진 상태가 원하는 대로 도달하면, 그것들은 표시 요소에 의해 나타나는 초기 상태(조임 볼트의 조임의 시작)와 비교하여 그들은 상이한 상대 위치에 있다. 이 상대 운동은 반드시 연속적이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그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재료 다리가 파손되거나 찢어질 때와 같이 갑자기(“디지털 방식으로”) 두 가압체 부분이 해당 상대 위치에 이르게 될 수도 있다. 표시 요소는 예를 들어 가압체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컬러 캡슐일 수 있어서, 컬러 내용물은 캡슐이 터진 후 측면에서 가시화될 수 있고, 컬러 내용물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한 영역에서는 반투명한 측벽의 내부에 접촉한다.
일반적으로 가압체 부분의 상대적인 운동은 반드시 축 방향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축 방향의 방향 성분이 있어야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가압체 부분은 축방향으로만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압체 부분은 적어도 어느 정도 탄성 방식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 요소를 거쳐 장착되며, 예를 들어 점탄성 기여 또한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변형 요소는 탄성 요소(압축 시일의 탄성체와는 별개이고, 즉 탄성체와 다중 부분임)이다. 변형 요소는 가압체 부분 사이에 배열되고 조임 볼트가 조여질 때 축 방향으로 압축되어, 측 방향으로 넓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형 요소는 조임 볼트를 감싸고, 조임 볼트의 종축을 주위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한다(원주 방향으로 폐쇄됨). 종축에 수직인 단면 평면에서, 변형 요소는 링의 형상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원형 링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형 요소는 또한 표시 요소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변형 요소 및 표시 요소는 서로 다중 부분일 수 있으며, 표시 요소는 예를 들어 표시 핀 또는 일반적으로 딱딱한 표시 보디일 수 있으며, 이는 측 방향으로 넓어지는 변형 요소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나올 수 있고 표시 영역에 가시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형 요소 자체가 표시 요소이고, 조임 상태에 도달할 때 변형 요소의 측면 외측 표면이 표시 영역에서 가시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표시 영역에 나타나는 변형 요소의 부분은 명확하게 가시적인 색, 즉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변형 요소에 적용되는 신호 색, 예를 들어 황색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압체는 두 개의 가압체 부분 사이에 압축된 변형 요소가 비대칭적으로 넓어지도록, 즉 제1 측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보다 제1 측 방향으로 더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조여지지 않은 초기 상태로부터 조여진 상태까지, 변형 요소는 예를 들어 제2 측 방향보다 제1 측 방향으로 적어도 10%, 20%, 30%, 40% 또는 50% 더 넓어질 수 있으며, 비록 제2 측 방향으로의 확대를 위한 가능한 상한 역시 예를 들어 500 %, 400 % 또는 300 % 이하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제2 측 방향의 확대는 또한 완전히 차단될 수도 있다. 어떤 의미에서 변형은 제1 방향으로 유도되며(예를 들어 제2 방향에서의 제한에 의해); 제1 방향에서 표시 영역이 배치되고, 이 방향으로의 변형을 지원하여 마침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축 시일 전면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추가적인 이점은 예를 들어 공간을 절약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설계를 아래에서 “비대칭 변형”이라고 한다.
비대칭 변형은 표시 영역의 측면 배열과는 독립적으로 개시되는 것이며, 즉 상부 표시 영역만 구비하는 가압체의 경우에 대해서도 개시된다.
상세하게는, 다음 구성이 개시된다: 탄성체, 가압체 및 조임 볼트를 구비하는 관통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라인에 대해 시일하기 위한 압축 시일이며, 탄성체가 조여지고 라인과 밀봉식으로 접촉하도록 가압체는 조임 볼트를 조임으로써 탄성체에 대해 압축될 수 있고, 가압체는 탄성체가 조여진 상태에 도달했을 때 가압체의 표시 영역에 보이는 표시 요소를 포함하고, 가압체는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을 포함하며, 가압체 부분은 조임 볼트의 종축과 평행한 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대 운동은 조여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 비해 탄성체가 조여진 상태에 있을 때 가압체 부분이 상이한 상대 위치에 있도록 변형 요소에 의해 지지되며, 이 상대 위치는 표시 요소를 통해 판독될 수 있고, 조임 볼트가 조여질 때 축 방향으로 압축되고 그것에 수직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변형 요소(바람직하게는 동시에 표시 요소이지만, 일반적으로 다중 부분 표시 요소로 바꿀 수도 있음)는 축 방향으로 가압체 부분 사이에 배열되며, 가압체는 축 방향으로 압축될 때 변형 요소가 축 방향 및 제1 측 방향에 수직인 제2 측 방향보다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측 방향으로 더 많이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다.
비대칭 변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측면 표시 영역이 포함되든지 되지 않든지와 독립적으로), 가압체는 제2 방향으로 변형 요소의 확장을 제한하는 정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체 부분 중 하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부 가압체 부분이 정지부를 형성한다. 가압체의 측벽, 바람직하게는 하부 가압체 부분의 측벽은 정지부를 형성하고, 표시 영역은 이 측벽의 다른 위치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압체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반투명,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재료로 전체가 제작되며; 상세한 설명은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2개의 가압체 부분 및 변형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하나의 조각이고, 각 조각은 파손 없이 더 이상 분리될 수 없으며; 서로에 대하여, 조각들은 바람직하게는 다중 부분이며, 이들은 분리되어 구성되고 그 후 조립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반투명한 재료로 전체적으로 만들어진 가압체 부분은, 비록 측면 표시 영역을 갖는 것이 선호되지만, 반드시 측면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것일 필요는 없다. 이 실시예, “적어도 반투명한 재료로 전체적으로 이루어진 가압체 부분”은 또한 측 방향 표시 영역과는 독립적으로 개시되어야 하고, 예를 들어 상부 표시 영역만 구비하는 가압체에, 즉 일반적으로 말하면 “탄성체가 조여진 상태에 이르렀을 때 탄성체의 표시 영역에서 가시화되는 표시 요소”와 조합하여; 그러나 측면 표시 요소와 별도로, 청구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하나 또는 다수와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 개시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비대칭 변형과의 조합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압체는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 표시 영역을 상부측에 추가로 포함하고, 조여진 상태에 도달할 때 표시 요소는 표시 영역에서 가시화된다. 청구항 제1항의 측면 표시 영역과 독립적으로 개시된 특징의 경우와 같이, 비록 상부측에만 배치된 하나 이상의 표시 영역이 가능할지라도, 바람직하게는 이 상부 표시 영역은 측면 표시 영역에 추가로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표시 영역은, 측 방향 및/또는 상부 배치와 독립적으로, 적어도 반투명하고 동일 연속 재료로 제조되지만 덜 반투명한 다른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된 각각의 검사창이다. 두 개의 영역들은 같은 재료로 형성되며, 이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둘러싸는 영역에 비해 검사창 영역에서의 감소된 재료의 두께로 인해, 감소된 반투명성을 갖는 영역에서 더 적은 투과성을 가진다(두께는 표시 영역의 관찰 방향을 의미함).
또한 표시 영역의 측면 배열과 독립적으로 개시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압체는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 및 표시 가압체 부분을 포함하는 (서로 “다중 부분”인 이 부품들은 분리되어 형성되고 조립된다) 다중 부분이다. 가압하는 가압체는 접촉 영역에서 조임 볼트에 의해 탄성체에 대해 가압되고, 표시 가압체 부분은 표시 요소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을 포함한다.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압축 시일의 구성요소 일 수 있으며, 표시 가압체 부분이 개조된다. 유리하게는, 한 종류의 표시 가압체 부분이 상이한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과 결합할 수 있어서, 상이한 압축 시일 타입은 변형의 가시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세부 사항과는 별도로, 표시 가압체 부분은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에 회전 불가하게 연결된 시트를 가지며, 두 부분은 조립된 상태에서 조임 볼트의 종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대응하는 상대 회전이 잠김). 예를 들어 측면 표시 영역이 적절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개조된 표시 가압체 부분이 규정된 방향을 가질 때, 예를 들어 이것은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잠금장치는 또한 측면 표시와 독립적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 표시 영역을 원하는 대로 배열하기 위해 전술한 “비대칭 변형”(상부측에서만 표시될 수도 있음)과 조합하여 고려될 수 있다. 나아가 조여지는 동안 조임 볼트와 함께 회전하는 표시 가압체 부분은 또한 압축 시일의 전면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불리할 수 있으며, 공간의 최적 사용은 특정 회전 위치에서만 달성될 수 있다(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 참조).
상세하게는 다음 내용이 개시된다: 탄성체, 가압체 및 조임 볼트를 구비하는 관통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라인에 대해 시일하기 위한 압축 시일이며, 탄성체가 조여지고 라인과 밀봉식으로 접촉하도록 가압체는 조임 볼트를 조임으로써 탄성체에 대해 압축될 수 있고, 가압체는 탄성체가 조여진 상태에 도달했을 때 가압체의 표시 영역에 보이는 표시 요소를 포함하고, 가압체는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을 포함하며, 조여지지 않은 초기 상태와 비교하여 탄성체가 조여진 상태에 있을 때 가압체 부분들이 상이한 상대 위치에 있도록 가압체 부분은 조임 볼트의 종축과 평행한 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이러한 상대 위치는 표시 요소를 통해 판독될 수 있고, 가압체는 다중 부분이며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과 표시 가압체 부분을 포함하며,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의 영역은 조임 볼트가 조여지는 동안 조임 볼트에 의해 탄성체에 대해서 가압되고, 표시 가압체 부분은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과 표시 요소를 포함하며, 표시 가압체 부분은 조임 볼트의 종축 주위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시트를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에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면 표시 영역을 갖거나 갖지 않고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표시 가압체 부분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 스터드(stud)를 포함하고, 조임 볼트는 스터드의 자유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스터드는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의 관통 구멍에 회전 불가하게 연결된 스터드를 보유하는 외부 윤곽을 구비하며, 관통 구멍은 대응하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윤곽을 갖는다. 여기서 다각형 윤곽이 바람직하고, 육각형 윤곽이 특히 바람직하다. 외부 윤곽이 형성된 스터드를 포함하는 표시 가압체 부분은, 기존의 압축 시일들은 자주 윤곽이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갖는 가압체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개조의 관점에서 이점이 있다. 비록 조임 볼트가 맞물리는(예를 들어 플랜지 너트에 의해)(단면에) 윤곽이 형성된 관통 구멍만이 가압체에 필요할지라도, 자주 나사 머리가 배치되는 반대편 가압체가 동일하게, 즉, 윤곽이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갖도록 구성되며, 이는 제조과정에서 처리해야 할 다른 부품들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압축 시일을 갖는 세트에 관한 것으로, 가압체들은 각각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 및 표시 가압체 부분을 포함하며, 세트의 압축 시일들은 각각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의 설계가 상이하지만, 동일하게 구성된 표시 가압체 부분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상이한 유형의 압축 시일이 동일한 유형의 표시 가압체 부분으로 개조되고, 압축 시일은 적어도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에 관해서 상이하고, 바람직하게는 그것들의 탄성체들에 관해서도 상이하다.
이 경우에도, 표시 가압체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드를 포함하고, 스터드의 외부 윤곽은 각각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에 회전 불가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상기 설명을 참조하면, 각각의 표시 가압체 부분은 비록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렇게 조립될 필요는 없다.
이 복수의 압축 시일들을 구비하는 세트인 이 실시예는 또한 표시 영역의 측 방향 배열과 독립적으로 개시되어야 하며, 여기서 압축 시일은 여기에 개시된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내용은 각각의 관통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라인을 각각 밀봉하기 위한 복수의 압축 시일을 갖는 세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압축 시일은 각각의 탄성체, 각각의 가압체 및 각각의 조임 볼트를 구비하며, 각각의 탄성체가 조여지고 각 라인에 밀봉식으로 접촉하도록 각 가압체는 각각의 조임 볼트를 조임으로써 각각의 탄성체에 대해 압축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가압체는 각각의 탄성체가 조여진 상태에 도달할 때 각각의 가압체의 각각의 표시 영역에 보이는 각각의 표시 요소를 포함하고, 가압체들은 각각 다중 부분이고 각각 가압체 부분 및 표시 가압체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의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의 영역은 조여지는 동안 각각의 조임 볼트에 의해 각각의 탄성체에 대하여 압축되고, 그리고 각각의 표시 가압체 부분은 각각의 표시 요소와 각각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표시 가압체 부분은 각각의 조임 볼트의 종축 방향과 평행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스터드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조임 볼트는 각각의 스터드와 교차하고 각각의 스터드로부터 돌출하며, 각각의 스터드는 각각의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에서의 형상 결합에 의해서, 즉, 대응하는 내부 윤곽을 갖는 각각의 관통 구멍 안에서 각각의 스터드를 원주 방향으로 보유하는 외부 윤곽을 가지며, 세트의 압축 시일들은 그들의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에 관해서는 다르지만 동일하게 구성된 표시 가압체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라인에 대해 배치하고 시일링하기 위해 여기서 개시된 압축 시일 또는 각 압축 시일들의 세트를 사용하는 방법과 관련한다.
이하,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며, 또한 개별적인 특징의 상이한 조합은 본 발명과 관련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은 본 발명의 모든 범주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면은 다음을 도시한다:
도 1은 측면 및 상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회전 불가하게 연결 표시 가압체 부분을 보유하는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을 갖는 압축 시일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압축 시일의 표시 가압체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다시 도 1에 따른 압축 시일의 표시 가압체 부분의 측단면도로서, 단면 평면은 도 2와 비교해서 90° 회전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압축 시일의 표시 가압체 부분을 축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압축 시일의 표시 가압체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은 압축 시일(1)의 단면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축 방향(3)에서, 탄성체(2)는 탄성체(2)의 전면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가압체 사이에 보유되고, 가압체는 더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임 볼트(4)(압축 시일은 복수의 조임 볼트를 포함하며, 이들 중 하나는 도면에서 볼 수 있다)를 조임으로써 축 방향(3)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탄성체(2)는 축 방향(3)으로 압축되고, 그것은 반경 방향으로 그 측면 표면(5)이 관통 개구(도시하지 않음)의 아래쪽과 접촉하고, 또한 그것은 안내되는 라인과 접촉한다(역시 도시하지 않음). 라인들(이 경우 4개의 라인까지)을 위해 제공된 탄성체(2)의 관통 개구는 초기에, 라인을 통과시키기 이전에, 폐쇄되어 있고, 즉 각각의 블라인드 플러그(6a) 및 상이한 라인 직경에 대한 적응을 위한 복수의 쉘(6b)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조임 볼트(4)의 종 축(7)에 평행하게 놓여진 축 방향(3)에 대하여, 가압체는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과 표시 가압체 부분(10)으로 구성된다. 표시 가압체 부분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며,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은 조임 볼트(4)를 조임으로써 발생한 조이는 힘을 큰 접촉 영역에 걸쳐 탄성체(2)에 전달한다. 탄성체가 적절한 조여진 상태에 도달하는 것(재료가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지나치게 변형되지 않더라도 양호한 밀봉 접촉)을 압축 시일(1)의 장착 동안 기술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표시 요소(11)를 포함한다(도 2 및 도 3 참조).
표시 요소(11)는 조임 볼트의 종축(7)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탄성 링이다. 이 탄성 링은 또한 변형 요소(12)로 역할을 하며,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13a, b)은 모두 표시 가압체 부분(10)에 속하며, 제1 가압체 부분(13a)과 제2 가압체 부분(13b)의 축 방향의 상대 이동은 변형 요소를 통해 중단된다. 조임 볼트가 조여지면, 제2 가압체 부분(13b)에 작용하며, 제2 가압체 부분은 결과적으로 제1가압체 부분(13a) 쪽으로 변위된다. 결과적으로 변형 요소(12)는 압축 시일(1)의 탄성체(2)가 조여질 때 점차적으로 변형되고, 변형 요소는 축 방향(3)으로 압축된다(일반적으로 탄성체를 조이기 위해 인가되는 조이는 힘의 일부가 변형 요소(12)를 변형시킨다).
그 치수 및 재료 특성과 관련하여, 변형 또는 표시 요소(11,12)는 탄성체(13a)의 측벽(15)에서 그 내부 표면(16)에서 접촉할 때까지,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설계되고, 탄성체(2)의 조여진 상태에 도달할 때, 조이는 힘은 밀봉하기에 충분하나 재료의 손상을 회피한다. 영역 (15a)에서, 측벽(15)은 투명한 재료(염색제가 없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고, 영역(15a)은 검사창을 형성한다. 이 영역(15a)은 2-성분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나머지 측벽(15b)과 일체형이다.
검사창은 축 방향으로 한정된 영역과 또한 원주 방향(종축(7) 주위의 원주를 참조)에 제공되고, 이는 감소된 높이를 갖는 측벽(15)의 해당 부분에 걸쳐서만, 즉 도 3의 도면 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만 연장하고 그를 초과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된다. 표시 요소(12)가 내부 표면(16)과 접촉할 때, 이는 반대 외부 표면(17)에서 투명 영역(15)에 보여질 수 있다. 이는 표시 요소(11)를 신호 색상, 예를 들어 황색으로 제공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측벽(15)의 투명 영역(15a)인 측면 표시 영역(18)뿐만 아니라 축 방향(3) 상방으로 노출된 상부 표시 영역(20)을 갖는다. 도 4에 따른 평면도에서, 이 상부 표시 영역(20)은 기술자가 압축 시일(1) 상의 축 방향으로 바라보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다. 제2 가압체 부분(14)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투명한 재료는 상부 표시 영역(20)에서 현저히 감소된 벽 두께를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표시 요소(11)는 거기에서 잘 보인다.
상세하게는 표시 요소(11)는 측면 표시 영역(18)보다 상부 표시 영역(20)에 다소 더 일찍 나타난다. 한편으로, 이것은 탄성체(2)의 두 개의 상이한 조여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표시 영역(18, 20)이 기본적으로 동일한 조여진 상태를 나타내야 하는 경우, 상부 표시 영역(20)은 측면 표시 영역(18)과 반경 방향으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압체 부분(14)의 축 방향 벽 두께는 가능한 한 제1 가압체 부분(13)의 측벽(15)에 근접하여 반경 방향 외측에서만 감소된다.
도 1에 따른 사시도로부터, 그리고 특히 단면도 및 평면도로부터,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비대칭 설계를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4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도 2 및 도 3의 단면도 모두 도면 평면에 수직이고, 도 2의 단면은 수평으로 놓이고 도 3의 단면은 수직으로 놓인다(그들은 종축(7)을 각각 포함한다). 표시 가압체 부분(10)의 비대칭 설계로 인해, 변형 또는 표시 요소(11,12)의 반경 방향 확장은 비교적으로 큰 반경 단면에 대해 제1 측 방향(30)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반면에 그것에 직각인(도 3의 도면 평면에 수직인) 제2 측 방향(31)에서는 다소 일찍 제한된다.
어떤 의미에서, 변형은 제1 측 방향(30)으로 유도된다. 이는 변형 요소의 전체 변형이 너무 커지지 않으면서 양호한 가시화를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변형 요소(12)가 변형 요소(12)의 종축(7) 주위로의 회전 대칭 확장의 경우와 같이 동일한 방사상 확대(표시 영역을 향하여)를 달성하는데 조임 볼트(4)를 조이기 위해서 가해지는 조이는 힘의 더 작은 부분이 필요하다. 제2 측 방향(31) 및 그것에 대향하는 측 방향뿐만 아니라 제1 측 방향(30)에 대향하는 측 방향에서(약 270°의 원주 각도에 걸쳐), 변형 요소(12)의 확장은 안쪽으로 변위되어 그곳에 정지부(32)를 형성하는 측벽(15)에 의해 제한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동일한 표시 가압체 부분(10)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한다. 기본적으로, 도 2의 기하학적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측면 표시 영역(18)을 갖는 회전 대칭 표시 가압체 부분(10) 또한 설계될 수 있다. 표시 또는 변형 요소(11, 12)는 동시에 전체 원주에 걸쳐 측벽(15)에 반경 방향으로 접촉할 것이며, 표시 또는 변형 요소(11, 12)는 지금까지 논의된 표시 가압체 부분(10)의 경우와 동일한 변형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다소 더 엄격한 설계를 요구할 것이다. 이러한 회전 대칭 설계의 경우에, 제1 가압체 부분(13)은 전체적으로 투명할 수 있고, 제2 가압체 부분(14)은 필요에 따라 투명할 수 있다(도 2에서와 같은 반경방향 치수의 경우, 상부 표시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5의 비대칭 설계는 또한 압축 시일(1)의 전면에서 제한된 공간만 이용 가능하더라도 상부측에서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점이 있다.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복수의 종래 압축 시일들에 배치되기 위해 추가로 구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제1 가압체 부분(13)의 일부인 축 방향으로 돌출된 스터드(50) (도 5 참조)를 포함하며, 도 3 및 도 5를 함께 참조한다. 이 스터드(50)는 외부 윤곽을 가지며, 이 윤곽은 여기서는 육각형이다. 이 외부 윤곽은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 내의 조임 볼트(4)를 위한 관통 개구의 내부 윤곽과 상호보완적이다. 이 스터드(50) 및 이에 따라 전체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에서 회전 불가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유리하게,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은 이러한 개조를 위해 구체적인 방식으로 설계되거나 재설계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어쨌든, 일반적인 가압체들은 단면에 내측 윤곽이 있는 관통 개구를 가지며, 여기서 너트는 회전 불가하게 연결되어 유지되고, 조임 볼트(4)는 너트와 결합한다(도 1의 압축 시일(1)의 경우, 관찰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 배면측 전면에서). 마주 보는 전면들에 배치된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은 서로에 대해 대칭(거울 대칭)이고, 표시 가압체 부분(10)이 없는 압축 시일(1)의 경우에, 구동을 위한 내부 결합부를 갖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조임 볼트 머리는 내측 윤곽을 갖는 관통 개구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이 경우에,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이 관통 개구에 위치하고 회전 불가하게 연결되어 유지되어, 표시 영역(18,20)을 포함하는 표시 가압체 부분(10)의 부분은 조임 볼트(4)가 조여질 때 회전하지 않으며, 즉 라인 또는 관통 개구를 향해 회전하지 않는다. 대응하는 표시 가압체 부분(10)과 함께, 또한 공간 절약 설계로 인해 복수의 상이한 압축 시일(1)이 개조될 수 있다.

Claims (15)

  1. 관통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라인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압축 시일(1)이며,
    탄성체(2),
    가압체(9, 10), 및
    조임 볼트(4)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2)가 조여지고 라인에 밀봉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체(9, 10)는 상기 조임 볼트(4)를 조임으로써 상기 탄성체(2)에 대해 가압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체(9, 10)는 상기 탄성체(2)가 조여진 상태에 도달할 때 상기 가압체(9, 10)의 표시 영역(18)에서 볼 수 있게 되는 표시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체(9, 10)는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13,14)을 포함하며, 조여지지 않은 초기 상태와 비교하여 상기 탄성체(2)가 조여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가압체 부분(13, 14)이 상이한 상대 위치에 있도록, 상기 가압체 부분(13, 14)은 상기 조임 볼트(4)의 종축(7)에 평행한 축 방향(3)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상이한 상대 위치는 상기 표시 요소(11)를 통해 판독될 수 있고,
    상기 가압체(9,10)은 다중 부분이고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과 표시 가압체 부분(1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의 영역은 조여지는 동안 상기 조임 볼트(4)에 의해 상기 탄성체(2)에 대해 가압되고, 상기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상기 제1 및 제2 가압체 부분(13, 14)과 상기 표시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상기 조임 볼트(4)의 종축(7) 주위의 회전에 대해 고정된 시트를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에 가지는 압축 시일(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18)은 상기 가압체(9,10)에서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조임 볼트(4)의 종축(7)에 수직인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압축 시일(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9,10)의 상기 표시 영역(18)이 제공되는 측벽(15)은 상기 표시 영역(18)에서 적어도 반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2)가 조여진 상태일 때 상기 표시 요소(11)는 상기 측벽(15)의 내부 표면(16)과 접촉하며 상기 측벽(15)의 대향 외부 표면(17)에서 보이는 압축 시일(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변형 요소(12)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체 부분(13,14)의 상대 운동은 가압체 부분(13,14) 사이에서 상기 조임 볼트(4)의 종축(7)에 평행한 축 방향(3)으로 배열된 상기 변형 요소(12)에 의해 지원되며, 조임 볼트(4)가 조여질 때 변형 요소(12)는 축 방향(3)으로 압축되고 축방향에 수직으로 넓어지는 압축 시일(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요소(12)가 상기 조임 볼트(4)의 종축(7)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조임 볼트(4)를 둘러싸는 압축 시일(1).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요소(12)는 또한 상기 표시 요소(11)인 압축 시일(1).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가 조여지고 상기 변형 요소(12)가 상기 축 방향(3)으로 압축될 때, 상기 변형 요소(12)가 상기 축 방향(3)과 제1 측 방향(30)에 수직인 제2 측 방향(31)보다 상기 축 방향(3)에 수직인 제1 측 방향(30)으로 더 넓어지도록 가압체(9,10)가 구성된 압축 시일(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9,1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체 부분(13,1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 정지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32)는 상기 탄성체(2)가 조여지고 상기 변형 요소(12)가 상기 축 방향(3)으로 압축될 때 변형 요소(12)의 상기 제2 측 방향(31)으로 넓어짐을 제한하는 압축 시일(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가압체 부분(13,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반투명한 재료로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압축 시일(1).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또한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과 조합하여, 상기 가압체(9,10)는 그 상부측에 상부 표시 영역(2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상부 표시 영역은 상기 조임 볼트(4)의 종축(7)에 평행하게 놓인 상기 축 방향(3)으로 상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탄성체(2)의 조여진 상태에 도달할 때 상기 가압체(9,10)의 상기 표시 요소(11)를 상기 상부 표시 영역(20)에서 볼 수 있게 되는 압축 시일(1).
  11. 제1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또한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과 조합하여, 상기 표시 영역(20)은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임 볼트(4)의 종축(7)에 평행하게 놓인 축 방향(3)으로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상부 표시 영역(20)을 형성하고, 탄성체(2)의 조여진 상태에 도달할 때 상기 가압체(9,10)의 상기 표시 요소(11)가 상기 상부 표시 영역(20)에서 볼 수 있게 되는 압축 시일(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18) 또는 상기 표시 영역들(18, 20)은 각각 검사창이며, 각각의 검사창(18, 20)은 적어도 반투명한 재료의 투명 영역(15a)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 영역(15a)은 오직 반투명한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반투명한 영역은 적어도 반투명한 동일한 연속 재료로 형성되는 압축 시일(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상기 조임 볼트(4)의 종축(7)에 평행하게 놓인 축 방향(3)으로 연장된 스터드(5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볼트(4)는 상기 표시 가압체 부분(10)과 교차하고 상기 스터드(50)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스터드(50)는 상기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의 관통 구멍에 형상 결합에 의해 상기 스터드(50)를 원주 방향으로 보유하는 외부 윤곽을 가지고, 상기 관통 구멍은 대응하는 내부 윤곽을 갖는 압축 시일(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압축 시일(1)을 구비하는 세트이며, 상기 가압체(9,10)는 각각 다중 부분이고 각각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과 표시 가압체 부분(10)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의 영역은 각각의 상기 조임 볼트(4)가 조여지는 동안 각각의 상기 조임 볼트(4)에 의해 각각의 상기 탄성체(2)에 대해 가압되고, 각각의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각각의 상기 표시 요소(11) 및 각각의 상기 표시 영역(18)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표시 가압체 부분(10)은 각각의 상기 조임 볼트(4)의 종축(7)과 평행한 축 방향(3)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스터드(50)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조임 볼트(4)는 각각의 상기 스터드(50)와 교차하고 각각의 상기 스터드(50)로부터 돌출되며, 각각의 상기 스터드(50)는 각각의 상기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9)에서의, 즉 내부 윤곽에 대응하는 각각의 관통 구멍에서의 형상 결합에 의해 각각의 상기 스터드(50)를 원주방향으로 보유하는 외부 윤곽을 가지고, 상기 세트의 압축 시일(1)은 그들의 상기 가압하는 가압체 부분들(9)에 관해서 상이하지만 동일하게 구성된 상기 표시 가압체 부분(10)들을 구비하는 복수의 압축 시일(1) 세트.
  15. 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라인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 시일(1) 또는 제14항에 따른 세트의 용도.
KR1020197008433A 2016-08-30 2017-08-30 가압체를 구비하는 압축 시일 KR102401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020317.0A EP3290765B1 (de) 2016-08-30 2016-08-30 Pressdichtung mit presskörper
EP16020317.0 2016-08-30
PCT/EP2017/025245 WO2018041414A1 (de) 2016-08-30 2017-08-30 Pressdichtung mit presskör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055A true KR20190040055A (ko) 2019-04-16
KR102401683B1 KR102401683B1 (ko) 2022-05-26

Family

ID=5687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433A KR102401683B1 (ko) 2016-08-30 2017-08-30 가압체를 구비하는 압축 시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612697B2 (ko)
EP (1) EP3290765B1 (ko)
JP (1) JP7038123B2 (ko)
KR (1) KR102401683B1 (ko)
CN (1) CN109906334B (ko)
AU (1) AU2017318182B2 (ko)
CA (1) CA3034953A1 (ko)
NZ (1) NZ751714A (ko)
PL (1) PL3290765T3 (ko)
SG (1) SG11201901785VA (ko)
WO (1) WO2018041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1731B (zh) * 2019-08-28 2020-10-13 中船重工(青岛)海洋装备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海洋平台电缆穿舱件的内嵌式封堵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738A (ko) * 2013-07-22 2016-03-28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8668A (en) * 1967-08-14 1970-09-15 Thunderline Corp Modular inter-wall seal unit
JPS4926531B1 (ko) 1969-08-18 1974-07-10
US4457517A (en) * 1983-07-22 1984-07-03 Rodun Development Corporation Pipe flange protector with elastomeric self-centering rib
JPS6388729U (ko) 1986-11-28 1988-06-09
US5297691A (en) 1989-02-16 1994-03-29 Bottcher William R Closure plug an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to maintain a fire-rated barrier
US5249604A (en) 1991-05-13 1993-10-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Tube plug for plugging a tube
US5437310A (en) 1994-08-05 1995-08-01 Expando Seal Tools, Inc. Plug assembly
DE19515237C2 (de) 1995-04-29 1997-04-24 Krohne Messtechnik Kg Justiervorrichtung
WO1996035904A1 (de) 1995-05-10 1996-11-14 Dsi Rohrleitungsbau-Zubehör Gmbh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s ringraumes
US6003557A (en) 1997-12-17 1999-12-21 The Lee Company Removable sealing plug
DE50005270D1 (de) 2000-11-21 2004-03-18 Hauff Technik Gmbh & Co Kg Dichtungsvorrichtung für Kabel- und Rohrdurchgänge
US6869081B1 (en) * 2002-12-20 2005-03-22 Jjenco, Inc. Constant seating stress gasket system
EP1751456A1 (en) * 2004-06-02 2007-02-14 GL Tool and Manufacturing Co. Inc. A bulkhead connector
DE102005028558B3 (de) * 2005-06-21 2007-01-04 Uponor Innovation Ab Pressfitting für ein Rohr
CN1904451B (zh) * 2005-07-29 2010-05-05 科迈公司 直观指示管子联接器的挤压状态的圆环及安装有该圆环的联接器
US20070075504A1 (en) * 2005-10-03 2007-04-05 Ralf Kurz Device for delimiting two spaces relative to each other in a liquid-tight or gas-tight fashion
SE0600420L (sv) * 2006-02-24 2007-05-02 Roxtec Ab Förfarande för att kontrollera kompressionen hos en kompressionsenhet placerad i en ram, samt kompressionsindikator använd vid ett sådant förfarande
SE532255C2 (sv) * 2008-05-14 2009-11-24 Roxtec Ab Tätningssystem samt metod för montering av detsamma
EP2131085B1 (de) 2008-06-06 2011-01-12 Hauff-Technik GmbH & Co. KG Leitungsdurchführung mit Schichtenfolge
US20100289256A1 (en) * 2009-05-18 2010-11-18 Dennis Shumard Pipe insertion indicator and method of use
ES2479617T3 (es) * 2011-05-10 2014-07-24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Dispositivo de sellado de cables actuado por una palanca de leva
ES2954125T3 (es) * 2017-03-02 2023-11-20 Hauff Technik Gmbh & Co Kg Uso de un sistema de sellado a compresión para insertar en una abertu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738A (ko) * 2013-07-22 2016-03-28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95396A1 (en) 2019-06-27
SG11201901785VA (en) 2019-04-29
AU2017318182B2 (en) 2023-03-09
CN109906334B (zh) 2021-03-09
EP3290765A1 (de) 2018-03-07
PL3290765T3 (pl) 2020-07-13
CN109906334A (zh) 2019-06-18
KR102401683B1 (ko) 2022-05-26
NZ751714A (en) 2021-07-30
EP3290765B1 (de) 2020-01-15
CA3034953A1 (en) 2018-03-08
JP2019526766A (ja) 2019-09-19
US10612697B2 (en) 2020-04-07
AU2017318182A1 (en) 2019-04-04
JP7038123B2 (ja) 2022-03-17
WO2018041414A1 (de)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6227A (ko) 케이블 글랜드
CN101035953B (zh) 卫生盥洗台配件
US8826941B2 (en) Port closing device for compressor
CN108139290B (zh) 用于改进的管状螺纹部件的压力测试用塞盖
KR20150032727A (ko) 나사 풀림 방지 구조
ITBS20090197A1 (it) Raccordo ad innesto rapido
KR20190040055A (ko) 가압체를 구비하는 압축 시일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US20150369377A1 (en) Gland and packing assembly for ball valve and associated process of assembly
US9709205B2 (en) Press seal having a press body
US2701075A (en) Safety device
ES2747851T3 (es) Alivio de la presión por sobrecarrera en un resorte de gas
US9845904B2 (en) Loosening-preventing device for pipe fitting
KR200482815Y1 (ko) 배관용 와셔플러그
JP3920491B2 (ja) 溶融紡糸用スピニングパック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US11320080B2 (en) Connection device
KR100634413B1 (ko)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
KR101595272B1 (ko) 볼 밸브 스템의 돌발 이탈 방지구조 및 설치 방법
JP6947515B2 (ja) 過行程指示装置を備えたガスシリンダアクチュエータ
KR20080005468U (ko) 튜브 피팅
KR101748938B1 (ko) 볼트 체결 검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볼트 조립체
KR20180032418A (ko) 간섭방지 기능이 부가된 유압식 스터드볼트
KR200319826Y1 (ko) 유압식 너트
KR200394858Y1 (ko) 금형의 냉각수 누수방지장치
CN107514413A (zh) 工艺孔铆接堵塞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