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413B1 -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413B1
KR100634413B1 KR1020050059522A KR20050059522A KR100634413B1 KR 100634413 B1 KR100634413 B1 KR 100634413B1 KR 1020050059522 A KR1020050059522 A KR 1020050059522A KR 20050059522 A KR20050059522 A KR 20050059522A KR 100634413 B1 KR100634413 B1 KR 10063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piece
reservoir tank
master cylinder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5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being integral with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26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저버 탱크측의 결합구조인 결합편이 탄성변형되면서 결합핀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개시된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측 및 리저버탱크측의 결합편과 결합핀에 탑가공을 하지 않고도 쉽게 조립할 수 있고, 결합핀과 결합편에 스크류가공을 요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Fixing structure between master cylinder and reservoir tank}
도 1은 종래 마스터실린더와 오일탱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리저버탱크 31 : 제1결합편
32 : 제2결합편 33 : 제3결합편
34 : 결합핀 34a: 스토퍼
본 발명은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 세하게는
마스터실린더는 상부에 설치되는 리저버탱크로부터 실린더 내부로 공급된 오일을 가압하여 각 휠의 실린더로 전달함으로써 브레이크에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마스터 실린더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의 실린더(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된 제1피스톤(12)과 제2피스톤(13)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피스톤(12)과 제2피스톤(13)사이의 공간은 제1압축실(14)을 형성하게 되고, 제2피스톤(13)과 실린더의 막혀있는 단부 사이의 공간은 제2압축실(1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11)의 상부측에는 리저버탱크(20)안의 오일이 실린더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1오일포트(16)가 마련되며, 실린더의 하부측에는 제1압축실(14) 및 제2압축실(15)에서 압축된 오일이 각 휠실린더(미도시)측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오일포트(17)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리저버탱크(20)는 내부에 오일이 수용되는 몸체(21)와, 상기 마스터실린더의 제1오일포트(16)와 연결되도록 몸체의 하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출구포트(22)와, 외부로부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입구포트(23)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포트(23)에는 몸체내부의 오일을 밀폐시키는 마개(23a)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최초 출고시 또는 오일교환시에 블리딩 작업을 통해 마스터실린더와 각 휠실린더(미도시)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블리딩작업에 의해 리저버탱크로부터 마스터실린더 내부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은 상당한 고압이므로, 그로밋에 의한 체결력만으로 리저버탱크와 마스터실린더를 결합할 경우 제1오일포트와 출구포트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실린더(10)와 리저버탱크(20)에는 고정수단이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수단은 제1오일포트(16) 사이의 실린더 외주로부터 리저버탱크(20)측으로 연장되며 일측에는 제1체결공(24a)이 마련된 제1결합편(24)과, 상기 제1결합편(24)의 전후면을 감싸도록 상기 각 출구포트(22) 사이의 외주로부터 마스터실린더(10)측으로 연장되며 제2체결공(25a)을 구비하는 제2결합편(25)과, 상기 제1결합편(24)과 제2결합편(25)을 체결시키도록 제1 및 제2체결공(24a)(25a)에 체결되는 스크류 형태의 결합핀(26)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체결방식은, 상기 결합핀(26)이 제1 및 제2체결공(24a)(25a)에 고정될 때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2결합편(25)과 결합핀(26)에 각각 스크류 형성을 위한 탭가공을 요하며, 결합핀(26)을 체결공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공정을 요한다.
따라서, 탭가공을 위한 공정과, 결합핀의 조립공정 및 조립을 위한 설비가 요구되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터 실린더측 및 리저버탱크측의 결합편과 결합핀에 탑가공을 하지 않고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리저버탱크와 마스터 실린더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탱크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3결합편, 상기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과 제3결합편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과 제3체결공, 상기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사이에 상기 제3결합편을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사이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결합핀이 상기 제3체결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이 상기 결합핀의 양단을 지나면서 양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핀의 양단이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핀은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의 두 내측부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두 외측부 사이의 간격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은 상기 제1체결공,제2체결공 및 제3체결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 분리되지 않도록 그 일측 외주연에 상기 제1체결공,제2체결공 및 제3체결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은 끝단에 내측부로 경사진 테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와 리저버 탱크(30)의 결합구조는 리저버탱크(3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과, 마스터 실린더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3결합편(33)과, 상기 제1결합편(31),제2결합편(32) 및 제3결합편(33) 각각에 형성된 제1체결공(31a), 제2체결공 (32a)및 제3체결공(33a)에 결합되는 결합핀(34)을 포함한다.
리저버탱크(3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편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으로 이루어지며,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에는 각각 제1체결공(31a)과 제2체결공(32a)이 형성된다.
마스터 실린더측에 형성된 제3결합편(33)은 상기 제1결합편(31)과 제2결합편(32)사이에 삽입 결합되며,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 사이에 결합 되었을 때 상기 제1체결공(31a) 및 제2체결공(32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체결공(33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터실린더와 오일탱크간의 결합구조는 리저버탱크의 하부에 형성된 두 개의 결합편(31)(32)사이에 마스터실린더측의 제3결합편(33)이 위치되고 결합핀(34)이 제1,2,3체결공(31a)(32a)(33a)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결합핀(34)은 다른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갖는 스토퍼(34a)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의 외측간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결합편과 결합핀이 체결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마스터 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는 차량장착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3결합편(33)에 결합핀(34)을 끼운 상태에서 리저버탱크측의 제1결합편(31)과 제2결합편(32)을 결합핀(34)에 탄성변형을 이용한 억지끼움으로 결합한다.
리저버탱크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변형이 용이하므로 조립시 결합편(31)(32)은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제1,2결합편(31)(32)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결합핀(34)이 제1체결공 (31a)및 제2체결공(32a)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의 끝단은 결합편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31b)(32b)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핀(34)을 제3체결공(33a)에 끼운 상태에서 리저버탱크의 제1,2결합편(31)(32)이 하강하면서 제1,2결합편(31)(32) 끝단의 테이퍼(31b)(32b)와 결합핀(34)이 접하면서 테이퍼(31b)(32b)의 경사진 면을 따라 제1,2결합편(31)(32)이 결합편의 길이만큼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결합핀(34)의 양단이 제1,2체결공(31a)(32a)에 이르면 결합핀(34)의 양단이 제1,2체결공(31a)(32a)에 삽입되면서 벌어졌던 제1,2결합편(31)(32)은 원래의 형상대로 탄성변형되면서 체결과정이 끝나게 된다.
결합핀(34)에는 스토퍼(34a)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핀(34)이 다시 각 체결공(31a)(32a)(33a)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의 내측에 해당되는 영역 중에 상기 제1,2,3체결공(31a)(32a)(33a)보다 큰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일단 결합이 이루어지면 결합핀(34)은 제1,2,3체결공(31a)(32a)(33a)사이에서 회동을 할 수 는 있으나, 스토퍼(34a)에 의해 회동범위는 제한되고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실린더와 리저버 탱크간의 결합구조는 끼움결합되므로 결합편과 결합핀에 복잡한 형상의 스크류 가공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시에도 단순히 결합핀을 체결공에 끼운 상태에서 리저버 탱크의 결합편을 하강시켜 탄성변형을 이용해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조립과정이 매우 간단해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브레이크 시스템의 리저버탱크와 마스터 실린더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탱크(3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3결합편(33), 상기 제1결합편(31)과 제2결합편(32)과 제3결합편(33)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체결공(31a)과 제2체결공(32a)과 제3체결공(33a), 상기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사이에 상기 제3결합편(33)을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결합핀(34)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사이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결합핀(34)이 상기 제3체결공(3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이 상기 결합핀(34)의 양단을 지나면서 양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핀(34)의 양단이 상기 제1체결공(31a) 및 제2체결공(32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저버탱크와 마스터 실린더간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34)은 상기 제1결합편(31)과 상기 제2결합편(32)의 두 내측부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두 외측부 사이의 간격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34)은 상기 제1체결공(31a),제2체결공(32a) 및 제3체결공(33a)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 분리되지 않도록 그 일측 외주연에 상기 제1체결공(31a),제2체결공(32a) 및 제3체결공(33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34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저버탱크와 마스터 실린더간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31) 및 제2결합편(32)은 그 단부에 상기 내측부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테이퍼(31b)(3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저버탱크와 마스터실린더간의 결합구조.
KR1020050059522A 2005-07-04 2005-07-04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 KR10063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522A KR100634413B1 (ko) 2005-07-04 2005-07-04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522A KR100634413B1 (ko) 2005-07-04 2005-07-04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4413B1 true KR100634413B1 (ko) 2006-10-16

Family

ID=3762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522A KR100634413B1 (ko) 2005-07-04 2005-07-04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378B1 (ko) * 2008-01-16 2012-08-08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의 마스터실린더 조립체
CN104968542A (zh) * 2013-01-25 2015-10-07 卢卡斯汽车股份有限公司 机动车制动系统的流体储器和主制动缸之间的联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378B1 (ko) * 2008-01-16 2012-08-08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의 마스터실린더 조립체
CN104968542A (zh) * 2013-01-25 2015-10-07 卢卡斯汽车股份有限公司 机动车制动系统的流体储器和主制动缸之间的联接装置
CN104968542B (zh) * 2013-01-25 2017-09-08 卢卡斯汽车股份有限公司 机动车制动系统的流体储器和主制动缸之间的联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6658A (ko) 유압 유닛용 유압 블록
US20210283966A1 (en) Vibration-damping device body and vibration-damping device
JP4124819B2 (ja) スリップ制御される自動車ブレーキ装置の油圧装置
KR100634413B1 (ko)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탱크간의 결합구조
DE102004048487A1 (de) Bremsfluidsteuervorrichtung
KR20190085875A (ko) 경량 홀 플러그
KR10113720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구조
CN100513851C (zh) 法兰
CN1682065A (zh) 用于流体插入系统中的旋紧部件的适配器中间环
US808303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llipers for disc brakes with forced cap
US6568718B1 (en) Junction for flexible tube for high pressure fluids
ITTO20080422A1 (it) Ammortizzatore per porte di mobili in particolare utilizzante uno smorzatore staccabile
CN209892678U (zh) 一种平衡式气弹簧
US6971570B2 (en) Striker assembly for a nailer
CN208670269U (zh) 一种快插式管路支架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CN205769562U (zh) 转向节整体更换式主销
KR200380541Y1 (ko) 파이프 연결구조
ATE216022T1 (de) Anschluss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türfeststellers mit einem kraftwagentürscharnier
MX2014010178A (es) Superficie de acoplamiento oblicua en un montaje de valvula.
KR100809808B1 (ko) 볼조인트 일체형 스티어링 너클 조립체
CN219806673U (zh) 一种胎压传感器、轮胎及车辆
KR200495513Y1 (ko) 파이프와 파이프의 결속구조
KR101711372B1 (ko) 너클 조립구조
KR20190136663A (ko) 피스톤과 랙의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