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770A - 곡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곡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770A
KR20160032770A KR1020140122842A KR20140122842A KR20160032770A KR 20160032770 A KR20160032770 A KR 20160032770A KR 1020140122842 A KR1020140122842 A KR 1020140122842A KR 20140122842 A KR20140122842 A KR 20140122842A KR 20160032770 A KR20160032770 A KR 20160032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s
display device
sub
liquid crystal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084B1 (ko
Inventor
이희환
안규수
우수완
황인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2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084B1/ko
Priority to US14/806,069 priority patent/US9563088B2/en
Priority to CN201510578043.2A priority patent/CN105427749B/zh
Publication of KR2016003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곡면 표시 장치는 표시 기판, 대향 기판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은 다수의 화소 영역들을 갖고, 상기 표시 기판은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 제1 변을 갖는다. 상기 대향 기판은 상기 표시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대향 기판은 상기 표시 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표시 기판 및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의 일 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에 대해 경사진다.

Description

곡면 표시 장치{CURV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곡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의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표시장치는 티브이, 모니터 및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정보처리장치들에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휘어진 형상을 가져 곡면의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곡면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곡면 표시 장치는 곡면의 표시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입체감, 몰입감 및 임장감이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품질이 향상된 곡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곡면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대향 기판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은 다수의 화소 영역들을 갖고, 상기 표시 기판은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 제1 변을 갖는다. 상기 대향 기판은 상기 표시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대향 기판은 상기 표시 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표시 기판 및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의 일 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에 대해 경사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메인의 에지에 발생되는 프린지 필드의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도메인의 상기 에지에서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제어하는 제어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도메인의 상기 에지에서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곡면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면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이 갖는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화소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 및 이들에 정의되는 액정 배향 방향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패널의 화소영역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패널의 화소영역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 패널의 화소 영역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패널의 화소 영역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표시장치(5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곡면표시장치(5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갖고, 상기 곡면표시장치(500)는 곡면의 형상을 갖는 표시 영역(DA)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시청자의 시청 포인트(VP)가 상기 곡면표시장치(500)의 전방에 정의될 수 있고, 상기 곡면표시장치(500)의 전방에서 상기 표시 영역(DA)은 오목한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 표시 장치(500)는 표시 패널(300)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300)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휘어져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커브드(curved)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300)에 제1 변(E1) 및 제2 변(E2)이 정의될 때, 상기 제1 변(E1)은 상기 표시 패널(300)의 장변일 수 있고, 상기 제2 변(E2)은 상기 표시 패널(300)의 단변일 수 있다. 상기 제2 변(E2)은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인 제2 방향(D2)과 나란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표시장치(500)는 상기 표시패널(300)과 결합되는 다수의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재들은 상기 표시패널(300)과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300)을 상기 제1 방향(D1)으로 커브드 시키고, 상기 다수의 부재들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커브드된 상기 표시 패널(300)의 형상을 유지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부재들은 상기 표시 패널(300)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580) 및 상기 수납부재(580)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 패널(300)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300)이 상기 커버 부재(510) 및 상기 수납 부재(580)와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표시 패널(300)은 플랫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300)이 상기 커버 부재(510) 및 상기 수납 부재(580)와 결합된 경우에, 상기 표시 패널(300)은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면 표시 장치(500)에서 상기 표시 패널(300)의 휘어진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 부재(580) 및 상기 커버 부재(510) 각각은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부재(580)에서 상기 표시 패널(300)의 배면과 마주하는 바닥부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커버 부재(510)에서 상기 표시 패널(300)의 상기 제1 변(E1)을 커버하는 부분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300)은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곡면 표시 장치(500)는 상기 표시 패널(300) 측으로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표시 패널(300)과 함께 상기 수납 부재(58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면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300)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300)이 플랫한 상태 및 상기 표시 패널(300)의 커브드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300)은 표시 기판(100), 상기 표시 기판(100)과 마주하는 대향 기판(200), 상기 표시 기판(100)과 상기 대향 기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LC), 및 실런트(ST)를 포함한다. 상기 실런트(ST)는 상기 표시 기판(100)의 에지 또는 상기 대향 기판(200)의 에지를 따라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실런트(ST)에 의해 상기 표시 기판(100)은 상기 액정층(LC)을 사이에 두고 상기 대향 기판(2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300)이 플랫한 상태에서 커브드된 상태로 변화되면, 상기 표시 기판(100) 보다 작은 곡률 반경으로 휘어지는 상기 대향 기판(200)에 부분적으로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들뜸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 기판(100) 및 상기 대향 기판(200) 간의 정렬이 어긋나는 오정렬(mis-alignment)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300)이 플랫할 때 상기 오정렬이 발생되지는 않으나, 상기 표시 패널(300)이 커브드될 때 상기 오정렬이 발생될 수 있고, 본래 플랫한 형상을 갖는 상기 표시 패널(300)을 이와 결합되는 수납 부재(도 1a의 580) 및 커버 부재(도 1a의 510)의 지지력으로 상기 표시 패널(300)이 휘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오정렬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오정렬에 의해 상기 표시 기판(100)을 기준으로 상기 대향 기판(200)이 쉬프트된 방향을 쉬프트 방향으로 정의하면, 이 실시예에서 상기 오정렬이 발생되는 위치 및 상기 쉬프트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300)에 제1 영역(MA1) 및 제2 영역(MA2)이 정의되고, 상기 제1 영역(MA1)은 표시 영역(도 1의 DA)의 좌측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MA2)은 상기 표시 영역의 우측 영역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영역(MA1) 및 상기 제2 영역(MA2) 각각에 상기 오정렬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MA1)에서 상기 쉬프트 방향은 제1 쉬프트 방향(SD1)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MA2)에서 상기 쉬프트 방향은 제2 쉬프트 방향(SD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쉬프트 방향(SD1)은 상기 제1 영역(MA1)에서 대략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300)의 좌측 에지를 향할 수 있고, 상기 제2 쉬프트 방향(SD2)은 상기 제2 영역(MA2)에서 대략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300)의 우측 에지를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정렬이 발생되더라도 제1 배향막(도 3b의 110)에 의해 선 경사된 액정분자들의 각각의 선 경사 방향 및 제2 배향막(도 3b의 210)에 의해 선 경사된 액정분자들의 각각의 선 경사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300)이 갖는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표시 패널(300)은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나, 도 3a에서는 상기 다수의 화소들 중 하나가 그 예로서 도시되고, 나머지 화소들에 대한 도시는 생략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300)은 표시 기판(100), 대향 기판(200) 및 액정층(LC)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판(100)은 제1 베이스 기판(S1), 게이트 라인(GL), 제1 데이터 라인(DL1), 제2 데이터 라인(DL2),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화소 전극(PE) 및 제1 배향막(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S1)은 유리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과 같이 광 투과 특성을 갖는 절연기판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상기 제1 베이스 기판(S1) 위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 측으로 게이트 신호를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소 영역(PA)은 제1 서브 화소 영역(PA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배치되는 제1 서브 화소 전극(PE1)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에 배치되는 제2 서브 화소 전극(PE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들(DL1, DL2)은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절연되어 상기 제1 베이스 기판(S1)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은 제1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제2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 PE2)의 일 측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 PE2)의 타 측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들(DL1, DL2)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 PE2)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상기 게이트 라인(GL),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 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 신호가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제1 게이트 전극(GE1), 액티브 패턴(AP), 제1 소오스 전극(SE1) 및 제1 드레인 전극(DE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GE1)은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액티브 패턴(AP)은 상기 제1 절연막(L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게이트 전극(GE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오스 전극(SE1)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액티브 패턴(AP)과 접촉되고,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은 상기 소오스 전극(SE1)과 이격되어 상기 액티브 패턴(AP)과 접촉된다.
제2 절연막(L2)은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를 커버하고, 컬러 필터(CF) 및 차광층(BM)은 상기 제2 절연막(L2) 위에 배치된다. 상기 컬러 필터(CF)는 상기 제1 내지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차광층(BM)은 비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을 커버한다.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은 상기 컬러 필터(CF)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은 상기 제2 절연막(L2)을 관통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과 접촉된다.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상기 게이트 라인(GL),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2)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 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 신호가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제2 게이트 전극(GE2), 제2 소오스 전극(SE2) 및 제2 드레인 전극(DE2)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 측으로 상기 제1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 측으로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와 상이한 상기 제2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 PE2)이 서로 다른 데이터 신호들로 구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서 서로 다른 계조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향막(110)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 PE2) 위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층(LC)과 접촉된다. 상기 제1 배향막(110)은 상기 액정층(LC)의 제1 선 경사 액정들(PL1)을 제1 베이스 기판(S1)에 대해 선 경사(pre-tilt)되도록 배향시킨다.
상기 대향기판(200)은 제2 베이스 기판(S2), 공통 전극(CE) 및 제2 배향막(31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베이스기판(S2)은 유리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투과 특성을 갖는 절연기판일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CE)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S2)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 PE2)과 함께 상기 액정층(LC)에 작용하는 전계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2 배향막(310)은 상기 액정층(LC)의 제2 선 경사 액정들(PL2)을 제2 베이스 기판(S2)에 대해 선 경사(pre-tilt)되도록 배향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은 제1 가로 줄기부(HS1), 제2 가로 줄기부(HS2), 제1 도메인 연결부(LP1), 제1 세로 줄기부(VS1), 제2 세로 줄기부(VS2) 및 제1 내지 제4 가지부들(B1, B2, B3, B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은 제3 가로 줄기부(HS3), 제4 가로 줄기부(HS4), 제2 도메인 연결부(LP2), 제3 세로 줄기부(VS3), 제4 세로 줄기부(VS4) 및 제5 내지 제8 가지부들(B5, B6, B7, B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의 크기는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의 크기와 상이하나,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 PE2)은 서로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PE1, PE2) 중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PE1)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PE2)의 구조의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는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 상기 제1 가지부들(B1) 및 상기 제2 가지부들(B2)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세로 줄기부(VS2)는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 상기 제3 가지부들(B3)들 및 상기 제4 가지부들(B4)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세로 줄기부들(VS1, VS2)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표시 패널(300)이 휘어지는 제1 방향(D1)과 교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는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 상기 제1 가지부들(B1) 및 상기 제2 가지부들(B2)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는 제1 및 제2 도메인들(도 4의 DM1, DM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는 상기 제2 세로 줄기부(VS2), 상기 제3 가지부들(B3) 및 상기 제4 가지부들(B4)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세로 줄기부(VS2)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는 제3 및 제4 도메인들(도 4의 DM3, DM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메인 연결부(LP1)는 제2 도메인(도 4의 DM2) 및 제3 도메인(도 4의 DM3)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및 제3 가지부들(B2, B3)을 연결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도메인 연결부(LP1)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도메인 연결부(LP1)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 각각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 또는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지부들(B2)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 또는 상기 제1 세로 줄기부(VS1)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 각각 및 상기 제2 가지부들(B2)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가지부들(B1)은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에 대해 상기 제2 가지부들(B2)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가지부들(B1) 각각이 연장된 방향은 상기 제2 가지부들(B2) 각각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지부들(B3)은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 또는 상기 제2 세로 줄기부(VS2)와 연결되고, 상기 제4 가지부들(B4)은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 또는 상기 제2 세로 줄기부(VS2)와 연결된다. 상기 제3 가지부들(B3) 각각 및 상기 제4 가지부들(B4)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가지부들(B3)은 상기 제2 가로 줄기부(HS2)에 대해 상기 제4 가지부들(B4)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가지부들(B3) 각각이 연장된 방향은 상기 제4 가지부들(B4) 각각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화소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 및 이들에 정의되는 액정 배향 방향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4를 참조하면, 화소 영역(PA)은 제1 서브 화소 영역(PA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 각각에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이 정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 각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은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의 도메인들의 크기는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의 도메인들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의 상기 도메인들의 형상들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의 상기 도메인들의 형상들과 일대일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의 상기 도메인들에 정의되는 액정 배향 방향들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의 상기 도메인들에 정의되는 액정 배향 방향들과 일대일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정의된 상기 도메인들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PA2)에 정의된 상기 도메인들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제1 내지 제4 가지부들(B1, B2, B3, B4)이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내지 제4 가지부들(B1, B2, B3, B4)의 형상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에서 정의되는 상기 액정 배향 방향들은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에서 정의되는 상기 액정 배향 방향들은 서로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도메인(DM1)에서는 화소 전극(PE) 및 공통 전극(CE) 간에 형성되는 전계에 응답하여 액정층(도 3B의 LC)의 액정 분자들은 제1 액정 배향 방향(DR1)으로 배향되고, 상기 제1 액정 배향 방향(DR1)은 상기 제1 가지부들(B1) 각각과 나란하되 대략적으로 제1 가지부들(B1) 각각의 단부로부터 제1 가로 줄기부(HS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계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1 도메인(DM1)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 각각의 장축 방향이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액정 배향 방향(DR1)과 나란해지도록 상기 액정 분자들이 배향된다.
상기 제2 도메인(DM2)에서는 상기 액정 분자들은 제2 액정 배향 방향(DR2)으로 배향되고, 상기 제2 액정 배향 방향(DR2)은 상기 제2 가지부들(B2) 각각과 나란하되 대략적으로 제2 가지부들(B2)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가로 줄기부(HS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계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2 도메인(DM2)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 각각의 장축 방향이 평면상에서 상기 제2 액정 배향 방향(DR2)과 나란해지도록 상기 액정 분자들이 배향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액정 배향 방향들(DR1, DR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3 도메인(DM3)에서 제3 액정 배향 방향(DR3)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4 도메인(DM4)에서 제4 액정 배향 방향(DR4)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계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3 도메인(DM3)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 각각의 장축 방향이 평면상에서 상기 제3 액정 배향 방향(DR3)과 나란해지도록 상기 액정 분자들이 배향되고, 상기 제4 도메인(DM4)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 각각의 장축 방향이 평면상에서 상기 제4 액정 배향 방향(DR4)과 나란해지도록 상기 액정 분자들이 배향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 각각은 평면상에서 표시 패널(300)의 제1 변(E1)에 경사진 장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 중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들(DM1, DM2)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도메인(DM1)은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및 제2 단변(SS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장변(LS2)은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고, 상기 제1 장변(LS1)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에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2 도메인(DM2)은 제3 장변(LS3), 제4 장변(LS4), 제3 단변(SS3) 및 제4 단변(SS4)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장변(LS3)은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고, 상기 제4 장변(LS4)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에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1 장변(LS1)은 상기 제1 가지부들(B1)의 에지들을 연결한 곧은 제1 점선(SL1)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4 장변(LS4)은 상기 제4 가지부들(B4)의 에지들을 연결한 곧은 제2 점선(SL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4 장변들(LS1, LS4) 각각 및 상기 제1 변(E1)이 형성하는 예각(a1)은 3도 내지 20도일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예각(a1)은 상술한 범위 내에서 아래 관계식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관계식]
θ = sin-1 (연결부 간격/ 오정렬 길이)
상기 연결부 간격(L1)은 상기 제2 도메인(DM2) 및 상기 제3 도메인(DM3) 간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오정렬 길이는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쉬프트 방향으로 표시 기판(도 2의 100) 및 대향 기판(도 2의 200) 간에 발생된 오정렬의 길이로 정의된다. 상기 관계식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오정렬 길이가 약 35마이크로미터이고, 상기 연결부 간격(L1)이 약 6마이크로미터인 경우에, 상기 예각(a1)은 약 9.6도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변들(SS1, SS2) 각각은 제2 방향(D2)과 나란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변(SS1)은 상기 제2 단변(SS2)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단변들(SS3, SS4) 각각은 상기 제2 방향(D2)과 나란할 수 있고, 상기 제3 단변(SS3)은 상기 제4 단변(SS4)보다 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4 장변들(LS1, LS4) 각각이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경우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부들(B1)에 의해 상기 제1 장변(LS1)과 인접하여 제1 프린지 필드(PF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린지 필드(PF1)는 상기 제1 가지부들(B1) 각각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도메인(DM1)의 내측을 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 장변(LS1)이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한 경우에, 상기 제1 도메인(DM1)의 에지에서 대략적으로 상기 제1 변(E1)과 수직인 프린지 필드(PF0)가 발생되고, 상기 프린지 필드(PF0) 및 상기 제1 액정 배향 방향(DR1) 간에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적으로 45도일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장변(LS1)이 상기 제1 변(E1)에 대해 경사진 경우에, 상기 제1 도메인(DM1)의 에지에서 대략적으로 상기 프린지 필드(PF0)와 제1 각도(a11)를 형성하는 상기 제1 프린지 필드(PF1)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린지 필드(PF1) 및 상기 제1 액정 배향 방향(DR1)이 형성하는 각도는 대략적으로 45도에서 상기 제1 각도(a11)를 뺀 만큼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지부들(B2)에 의해 상기 제4 장변(LS4)과 인접하여 제2 프린지 필드(PF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린지 필드(PF2)는 상기 제2 가지부들(B2) 각각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2 도메인(DM2)의 내측을 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4 장변(LS4)이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한 경우에, 상기 제2 도메인(DM2)의 에지에서 대략적으로 상기 제1 변(E1)과 수직인 프린지 필드(PF0)가 발생되고, 상기 프린지 필드(PF0) 및 상기 제2 액정 배향 방향(DR2)이 형성하는 각도는 대략적으로 45도일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4 장변(LS4)이 상기 제1 변(E1)에 대해 경사진 경우에, 상기 제2 도메인(DM2)의 에지에서 대략적으로 상기 프린지 필드(PF0)와 제2 각도(a12)를 형성하는 상기 제2 프린지 필드(PF2)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프린지 필드(PF2) 및 상기 제2 액정 배향 방향(DR1)이 형성하는 각도는 대략적으로 45도에서 상기 제2 각도(a12)를 뺀 만큼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들(DM1, DM2) 각각에 상기 프린지 필드(PF0)가 발생된 경우보다 상기 제1 및 제2 프린지 필드들(PF1, PF2)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프린지 필드(PF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도메인(DM1)의 에지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 각각의 장축을 상기 제1 액정 배향 방향(DR1)으로 용이하게 배향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프린지 필드(PF2)를 이용히여 상기 제2 도메인(DM2)의 에지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 각각의 장축을 상기 제2 액정 배향 방향(DR2)으로 용이하게 배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들(DM1, DM2)의 에지들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제어하는 제어력이 향상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들(DM1, DM2)의 투과율이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패널(301)의 화소영역(PA)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패널(301)의 하나의 화소가 도시되고, 화소 영역(PA)의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정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정의된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정의된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4 도메인들(DM1, DM4)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301)의 제1 변(E1)에 대해 경사진 장변을 갖고, 상기 제2 및 제3 도메인들(DM2, DM3) 각각의 장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도메인(DM1)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1 장변(LS11)을 갖고, 상기 제4 도메인(DM4)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2 장변(LS12)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도메인들(DM2, DM3)이 갖는 장변들 각각은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다.
상기 제1 및 제4 도메인들(DM1, DM4)이 상기 제1 및 제2 장변들(LS11, LS12)을 갖는 경우에,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4 도메인(DM1, DM4)의 에지들에서 작용하는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 분자들의 배향이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패널(302)의 화소영역(PA)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패널(302)의 하나의 화소가 도시되고, 화소 영역(PA)의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정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정의된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정의된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및 제3 도메인들(DM2, DM3) 각각은 평면상에서 표시패널(302)의 제1 변(E1)에 대해 경사진 장변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4 도메인들(DM1, DM4) 각각의 장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도메인(DM2)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1 장변(LS21)을 갖고, 상기 제3 도메인(DM3)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2 장변(LS22)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4 도메인들(DM2, DM3)이 갖는 장변들 각각은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다.
상기 제2 및 제3 도메인들(DM2, DM3)이 상기 제1 및 제2 장변들(LS21, LS22)을 갖는 경우에,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및 제3 도메인(DM2, DM3)의 에지들 각각에서 작용하는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 분자들의 배향이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 패널(303)의 화소 영역(PA)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 패널(303)의 하나의 화소가 도시되고, 화소 영역(PA)의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정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정의된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정의된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도메인들(DM1, DM2, DM3) 각각은 평면상에서 표시 패널(303)의 제1 변(E1)에 대해 경사진 장변을 갖고, 상기 제4 도메인들(DM4) 각각의 장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도메인(DM1)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1 장변(LS31)을 갖고, 상기 제2 도메인(DM2)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2 장변(LS32)을 갖고, 상기 제3 도메인(DM3)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3 장반(L33)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4 도메인(DM4)이 갖는 장변들 각각은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도메인들(DM1, DM2, DM3)이 상기 제1 내지 제3 장변들(LS31, LS32, LS33)을 갖는 경우에,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도메인들(DM1, DM2, DM3)의 에지들 각각에서 작용하는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 분자들의 배향이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패널(304)의 화소 영역(PA)에 정의되는 다수의 도메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곡면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 패널(304)의 하나의 화소가 도시되고, 화소 영역(PA)의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정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PA1, PA2)에 정의된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PA1)에 정의된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DM1, DM2, DM3, DM4)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제3 및 제4 도메인들(DM2, DM3, DM4) 각각은 평면상에서 표시 패널(304)의 제1 변(E1)에 대해 경사진 장변을 갖고, 상기 제1 도메인(DM1)의 장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도메인(DM2)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1 장변(LS41)을 갖고, 상기 제3 도메인(DM3)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2 장변(LS42)을 갖고, 상기 제4 도메인(DM4)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E1)과 경사진 제3 장반(L43)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도메인(DM1)이 갖는 장변들 각각은 상기 제1 변(E1)과 나란하다.
상기 제2 내지 제4 도메인들(DM2, DM3, DM4)이 상기 제1 내지 제3 장변들(LS41, LS42, LS43)을 갖는 경우에,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지 제4 도메인들(DM2, DM3, DM4)의 에지들 각각에서 작용하는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 분자들의 배향이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500: 곡면 표시 장치 DM1~DM8: 제1 도메인 내지 제8 도메인
PA1: 제1 서브 화소 영역 PA2: 제2 서브 화소 영역
PE1: 제1 서브 화소 전극 PE2: 제2 서브 화소 전극
DR1~DR4: 제1 내지 제4 액정 배향 방향들 300: 표시 패널

Claims (16)

  1. 다수의 화소 영역들을 갖고,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 제1 변을 갖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표시 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 대향 기판; 및
    상기 표시기판 및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에 다수의 도메인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의 일 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의 장변은 상기 제1 변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 각각은 상기 장변과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단변들을 갖고, 상기 두 개의 단변들의 길이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한 제2 변을 갖고, 상기 제1 변은 상기 표시 기판의 장변이고, 상기 제2 변은 상기 표시 기판의 단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은 제1 서브 화소 영역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을 갖고, 상기 다수의 도메인들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들 각각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도메인, 제2 도메인, 제3 도메인 및 제4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에 대해 경사진 장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도메인들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에 대해 경사진 장변을 갖고, 상기 제2 및 제3 도메인들 각각의 장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도메인들 각각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에 대해 경사진 장변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4 도메인들 각각의 장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변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은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 각각에 배치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 기판은 상기 화소 전극과 마주하여 상기 화소 전극과 함께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의 일부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들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도메인들에서 상기 전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이 배향되는 액정 배향 방향들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서브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서브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서브 화소 전극 측으로 제1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서브 화소 전극 측으로 제2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데이터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1 도메인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지부들;
    상기 제2 도메인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지부들;
    상기 제3 도메인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가지부들;
    상기 제4 도메인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4 가지부들;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메인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가로 줄기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및 제4 가지부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도메인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가로 줄기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가로 줄기부,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과 연결되는 제1 세로 줄기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로 줄기부, 상기 제3 및 제4 가지부들과 연결되는 제2 세로 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굴곡진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표시 장치.
KR1020140122842A 2014-09-16 2014-09-16 곡면 표시 장치 KR102242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842A KR102242084B1 (ko) 2014-09-16 2014-09-16 곡면 표시 장치
US14/806,069 US9563088B2 (en) 2014-09-16 2015-07-22 Curved display device
CN201510578043.2A CN105427749B (zh) 2014-09-16 2015-09-11 曲形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842A KR102242084B1 (ko) 2014-09-16 2014-09-16 곡면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770A true KR20160032770A (ko) 2016-03-25
KR102242084B1 KR102242084B1 (ko) 2021-04-21

Family

ID=5545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842A KR102242084B1 (ko) 2014-09-16 2014-09-16 곡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63088B2 (ko)
KR (1) KR102242084B1 (ko)
CN (1) CN1054277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186A (ko) * 2014-10-16 2016-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201734605A (zh) * 2016-03-18 2017-10-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陣列基板以及曲面液晶顯示面板
KR102480893B1 (ko) * 2016-04-04 2022-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498495B1 (ko) * 2016-05-03 2023-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20044557A1 (ja) * 2018-08-31 2020-03-05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5204A (ja) * 2005-12-15 2006-03-3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80047519A (ko) * 2001-10-12 2008-05-2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67089A (ko) * 2007-12-19 2009-06-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86880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359B1 (ko) * 2004-11-17 201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투과형 표시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4829501B2 (ja) * 2005-01-06 2011-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322314B (en) * 2005-04-27 2010-03-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thereof
US7656487B2 (en) * 2005-07-01 2010-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94269B1 (ko) * 2006-05-24 201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8096840A (ja) 2006-10-13 2008-04-24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JP4600463B2 (ja) * 2007-11-21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054656B2 (ja) * 2008-10-28 2012-10-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KR20100085518A (ko) * 2009-01-21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기판,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표시기판의 제조 방법
KR101644525B1 (ko) 2009-07-20 2016-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8259249B2 (en) * 2009-10-12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display substrate
CN102629047B (zh) 2011-07-12 2014-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单元、阵列基板、液晶面板及显示设备
KR101947128B1 (ko) 2012-06-25 2019-02-13 솔브레인멤시스(주) 프로브 카드 조립체
KR20140091100A (ko) * 2012-12-26 2014-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액정 표시 장치
KR20140147299A (ko) 2013-06-19 2014-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70436B1 (ko) 2013-07-02 2020-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147520B1 (ko) 2013-07-29 2020-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KR102106816B1 (ko) 2013-08-02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044293A (ko) 2013-10-16 2015-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159739B1 (ko) 2013-08-02 2020-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106812B1 (ko) 2013-08-27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10712596B2 (en) 2013-08-02 2020-07-14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102073283B1 (ko) 2013-09-13 2020-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136608B1 (ko) 2013-09-11 2020-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915733B1 (ko) 2013-08-02 2018-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KR102094741B1 (ko) 2013-08-12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152925B1 (ko) 2013-10-30 2020-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브드 액정표시패널
KR102172231B1 (ko) 2013-11-14 2020-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35720B1 (ko) 2013-12-17 2021-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 패널
KR102134857B1 (ko) 2013-12-17 2020-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 장치
KR102256566B1 (ko) 2013-12-18 2021-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81626A (ko) 2014-01-06 2015-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519A (ko) * 2001-10-12 2008-05-2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2006085204A (ja) * 2005-12-15 2006-03-3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90067089A (ko) * 2007-12-19 2009-06-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86880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27749B (zh) 2021-05-07
CN105427749A (zh) 2016-03-23
KR102242084B1 (ko) 2021-04-21
US9563088B2 (en) 2017-02-07
US20160077388A1 (en)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76856A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47520B1 (ko) 곡면표시장치
KR102162367B1 (ko) 곡면 표시 장치
KR20150047399A (ko) 액정표시패널
KR102204058B1 (ko) 곡면 표시 장치
KR102242084B1 (ko) 곡면 표시 장치
KR20160103603A (ko) 액정표시장치
US887300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113379A (ko) 곡면 표시 장치
JP2016200635A (ja) 液晶表示装置
KR20150097890A (ko) 곡면 표시 장치
KR10207328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58477A (ko)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86007A (ko) 곡면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29436A (ko) 표시장치
US94709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5004906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3d image system
KR10210681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24680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31898B1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20160069558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243976B1 (ko) 곡면 표시 장치
KR101274958B1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US11630338B2 (en)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WO2021161659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アレイ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