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850A -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850A
KR20160031850A KR1020140122110A KR20140122110A KR20160031850A KR 20160031850 A KR20160031850 A KR 20160031850A KR 1020140122110 A KR1020140122110 A KR 1020140122110A KR 20140122110 A KR20140122110 A KR 20140122110A KR 20160031850 A KR20160031850 A KR 20160031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olyol
powder
emuls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942B1 (ko
Inventor
이성천
박병규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2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9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 유화제, 및 분체를 포함하면서, 상기 유화제는 C20-40 파레스(pareth)-1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효능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 효능 물질의 제형 내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발림성, 영양감, 밀착성, 도포 후 제형의 밀폐성이 매우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을 현저하게 상승시킨다.

Description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designed for improved topical delivery of effective compounds}
본 발명은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효능 물질의 조성물 내 안정성을 높이고, 기존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발림성, 영양감, 밀착성, 및 밀폐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며, 기능성 효능 물질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의 개발에 있어 기능성 효능 물질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 시키기 위한 제형 기술이 많이 연구되어 왔으나 그 효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일반적인 크림 또는 에센스 등의 화장료 제형을 포함하는 유화 제형은 O/W와 W/O 제형으로 사용감이 좋고 수분감이 있는 장점이 있지만 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피부와의 친화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도포 후 수분이 피부의 표면에서 휘발되면서 기능성 효능 물질을 함유한 제형의 밀폐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타겟 부위 피부에 기능성 효능 물질의 효과적인 전달이 어렵다. 더 나아가 유화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하여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침투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어왔지만 상기 단점을 보완하지는 못하였다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45, 89-121 (2000))].
또한 기존의 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기능성 효능 물질이 경시에 따라 석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피부에 보다 효과적인 화장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능성 효능 물질을 조성물 내에 안정하게 함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능성 효능 물질을 제형 내에 안정하게 함유하면서, 사용감이 우수하며 제형의 밀폐성이 높아 기능성 효능 물질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올, 유화제를 포함하면서, 상기 유화제는 C20-40 파레스(pareth)-1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효능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능성 효능 물질을 제형 내에 안정하게 함유하면서 제형의 밀폐성이 높아 기능성 효능 물질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기능성 효능 물질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폴리올을 다량 함유하면서 특정한 유화제를 함께 함유하는 경우 기능성 효능 물질이 제형 내 안정화되고 제형의 밀폐성, 발림성, 피부 밀착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효능 물질은 주름 개선 기능성 효능 물질 또는 피부 미백 기능성 효능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틴(genistein), 글리시테인(glycitein), 아데노신(adenosine), 폴리다틴(polydatin), 레티놀(retinol), 세드롤(cedrol),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감마-아미노부티릭애씨드(γ-Aminobutyric acid),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알부틴(arbutin), 메이그리스난(macelignan), 아세틸피토스핑고신(acetylphytosphingosine),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하이드록시아니솔(hydroxyanisole),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코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및 레티노이드(retinoids)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기능성 효능 물질은 다이드제인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기능성 효능 물질은 다량의 폴리올과 함께 화장료 제형에 함유됨으로써 경시에 따라 석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기능성 효능 물질을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하게 용해시키기 위해 함유되며,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피이지-400,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메칠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에틸헥산디올, 솔비톨,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폴리부틸렌글라이콜-10,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4, 폴리글리세린-6, 폴리글리세린-10, 폴리글리세린-20, 폴리글리세린-40, 소르베스-5, 소르베스-6, 소르베스-20, 소르베스-30, 소르베스-40, 이노시톨, 말티톨, 말토스, 만난, 만니톨, 만노스, 락티톨, 락토스,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G-글루코사이드, 디치아옥탄디올, 프룩토오스, 글루카민, 메칠글루카민, 글루코스, 1,2,6-헥산치올, 메칠글루세스-10, 메칠글루세스-20, 오조니즈드글리세린, 피탄트리올, 치오글리세린, 트레이톨, 트리메칠올프로판, 및 자일리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은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피이지-400,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피이지-400, 및 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목적상 기능성 효능 물질의 화장료 제형 내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이 4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능성 효능 물질의 제형 내 안정화 효과가 떨어지며, 80 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끈적임이 심해져 피부 사용감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점도가 낮은 폴리올을 다량 함유함으로 인한 화장료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고 끈적이는 사용감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유화제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화제로는 C12-22 지방알코올, C14-22 카르복실산, 알킬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 히드릭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레시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은 폴리올을 유화(겔화)시키는 능력이 미약하며, 본 발명자들은 다량의 폴리올과 함께 C20-40 파레스(pareth)-1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때 폴리올의 유화 효과(겔화)가 현저하게 우수해지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상기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는 C14-22 알코올과 C12-20 알킬글루코시드의 혼합물을 의미하며, 이들은 65:35 내지 95:5,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90:10, 더욱 바람직하게는 75:25 내지 85:15, 가장 바람직하게는 80:20의 중량비(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C14-22 알코올 및 C12-20 알킬글루코시드가 80:20(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로 혼합될 때 유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도 1은 폴리올 및 겔화 능력을 가진 유화제의 유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화제는 C20-40 파레스(pareth)-10 및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의 혼합물이 함유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목적상 폴리올의 유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상기 혼합물의 C20-40 파레스-10 및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의 중량비는 0.5~4:1, 바람직하게는 1~3:1,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1, 가장 바람직하게는 2:1(C20-40 파레스-10 :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이다. C20-40 파레스(pareth)-10의 함량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수록 제형의 안정이 나빠지며 미끌거리는 사용감이 나타나고,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의 함량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경우에도 제형 안정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낮은 밀도의 매트릭스로 인해 경도가 낮아지며 안정성이 떨어지며,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매트릭스가 더 높은 밀도로 형성되어 폴리올 겔의 안정성이 증가하지만 경도 상승으로 인해 사용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의 끈적이는 사용감을 개선하고 폴리올 겔 제형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카, 탈크, 마이카, 실리콘 파우더, 티타늄 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틴 옥사이드, 크로뮴 옥사이드,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 바륨, 황산 바륨, 탄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및 산화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체로 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및 실리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폴리올의 사용감 개선 및 겔 제형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상기 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및 실리카의 혼합물은 99:1 내지 95:5, 더욱 바람직하게는 99:1 내지 97:3, 가장 바람직하게는 98:2의 중량비(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실리카)로 혼합된 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98:2의 중량비로 혼합된 분체를 사용하였을 때 폴리올의 사용감 개선 및 겔 제형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체가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감 개선 및 제형 안정화 효과가 미약하며, 5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제조 시 유동성 저하와 제형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 당김 등의 사용감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항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염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프루페나믹산, 이부프로펜, 벤지다민,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및 알부틴 등의 합성 항염제; 및 아카시아, 굴피나무열매, 자작나무 수액, 애기수영, 대황, 백봉령, 및 곽향 등의 천연 추출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물 대신 다량의 폴리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물을 5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피이지-400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올; C20-40 파레스(pareth)-1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효능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및 실리카가 혼합된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폴리올 40 내지 80 중량%, 유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분체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 유화제, 및 분체를 해당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목적상 기능성 효능 물질의 화장료 조성물 내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며 화장료의 발림성, 영양감, 밀착성 및 밀폐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s1) 기능성 효능 물질; 폴리올; 및 유화제로 C20-40 파레스(pareth)-1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기능성 효능 물질, 폴리올, 및 유화제의 혼합물에 분체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효능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능성 효능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폴리올과 함께 특정한 유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제형 내에 안정하게 겔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겔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효능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발림성, 영양감, 밀착성, 도포 후 제형의 밀폐성이 매우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을 현저하게 상승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 효능 물질의 조성물 내 안정성을 높이고 피부 전달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각종 화장품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겔화 원리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폴리올을 겔화시키는 능력을 가진 유화제들에 의하여, 겔화된 폴리올이 응집되어 겔화된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각 실시예와 비교예 조성물의 밀폐력을 실험을 통하여 10분 동안 측정 후 결과를 기록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의 제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75~80℃의 온도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10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혼합 후 같은 온도에서 분체를 투입 후 1000rpm으로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냉각하여 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물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올 함유 화장료인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과 함량을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다이드제인 0.4 0.4 0.4 0.4 0.4 0.4
C20-40 파레스(pareth)-10 6.0 - 4.0 - - -
C14-22 알코올/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 6.0 2.0 - - -
베헤닐 알코올 - - - 6.0 -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 - - 6.0 -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 - - - - 6.0
프로판디올 24.0 24.0 24.0 24.0 24.0 24.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5.0 15.0 15.0 15.0 15.0 15.0
피이지-400 10.0 10.0 10.0 10.0 10.0 10.0
부틸렌글라이콜 4.5 4.5 4.5 4.5 4.5 4.5
글리세린 4.5 4.5 4.5 4.5 4.5 4.5
방부제 0.6 0.6 0.6 0.6 0.6 0.6
항염제 5.0 5.0 5.0 5.0 5.0 5.0
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29.4 29.4 29.4 29.4 29.4 29.4
실리카 0.6 0.6 0.6 0.6 0.6 0.6
제조 실험 결과, 실시예 1~3의 경우 흰색 불투명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진 반면, 비교예 1~3의 경우 겔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흰색 불투명 액상의 조성물이 얻어졌다.
비교예 4로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으로 일반적인 W/O 크립타입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비교예4
다이드제인 0.4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4.0
디메치콘 1.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2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
정제수 26.1
글리세린 5.0
디피지 20.0
방부제 1.5
항염제 2.0
비교예 5로는 하기 표 3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으로 일반적인 O/W 크립타입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비교예5
다이드제인 0.4
정제수 74.6
글리세린 3.0
프로판디올 3.0
세테아릴알코올 1.0
스테아릴알코올 5.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마카다미아 오일 2.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4.0
헥실라우레이트 3.0
방부제 1.5
항염제 1.5
[실험 평가예]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감, 밀폐력,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사용감 평가
25-45세 전문 여성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를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바를 때 느끼는 발림성, 영양감, 밀착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기준 중 발림성은 피부에 펴 발리는 느낌으로 피부에 부드럽게 발리는 성질로 끈적임, 흘러내림이 없이 발리는 것을 포함한다. 영양감은 피부에 도포 시 피부에 영양과 보습을 부여하는 느낌을 말한다. 밀착성은 피부에 도포 시 조성물이 피부 표면에 얇게 발려 피부에 달라 붙는 느낌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기준은 화장료로서의 사용 가치를 높여주며 특히 탄력감과 밀착성은 기능성 화장료의 중요한 특징이 될 수 있다.
<평가기준>
24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18-23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10-17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10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X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발림성 X X X
영양감 X X X X
밀착성 X X X
전반적인 만족도 X X X
상기 표 4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비교평가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실시예 1~3)이 발림성, 영양감, 밀착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나머지 조성물(비교예 1~5)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가지 유화제가 혼합 사용된 실시예 3은 전반적으로 사용감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화제가 존재하지 않는 폴리올 조성물인 비교예 1~3은 발림성, 영양감, 및 밀착감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4~5는 각각 밀착성과 영양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밀폐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밀폐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조성물의 밀폐력은 각각의 조성물을 적당량 취하여 피부 모사포에 도포한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방치하며 1분 마다 조성물의 질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조성물의 밀폐력 비교 평가는 도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을 함유한 조성물 비교예 4, 5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이 휘발되어 질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폴리올을 함유한 나머지 조성물은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질량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무수 폴리올 제형이 피부 도포 시에 더 뛰어난 밀폐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조성물의 안정성을 측정하고 하기 표 5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안정성은 각 조성물을 실온, 45℃, 0℃, 및 사이클(cycle) 오븐에서 4주 동안 상 안정도를 육안 관찰하여 층분리, 침전, 및 기능성 유효 물질의 석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사이클은 -10℃, 0℃, 25℃, 37℃, 및 45℃에서 각각 6시간씩 순환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 안정, △: 약간 분리, X:분리 또는 침전 발생, ▲: 석출)
실온 45℃ 0℃ 사이클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상기 표 5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물을 포함한 조성물인 비교예 4, 5는 실온과 고온에서는 안정함을 보였지만 0℃ 또는 사이클 조건에서 효능 물질이 석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비교예의 조성물은 기능성 효능 물질이 불안정한 상태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 비교예 1~3의 경우 모든 조건에서 석출이 일어나지 않았고 비교예1 내지 3에서 약간의 분리를 관찰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폴리올을 겔화하여 얻은 조성물이 각 조건에서 다른 조성물보다 매우 안정하며 기능성 효능 물질을 매우 안정한 형태로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4)

  1.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유화제는 C20-40 파레스(pareth)-1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효능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효능 물질은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틴(genistein), 글리시테인(glycitein), 아데노신(adenosine), 폴리다틴(polydatin), 레티놀(retinol), 세드롤(cedrol),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감마-아미노부티릭애씨드(γ-Aminobutyric acid),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알부틴(arbutin), 메이그리스난(macelignan), 아세틸피토스핑고신(acetylphytosphingosine),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하이드록시아니솔(hydroxyanisole),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코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및 레티노이드(retinoid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피이지-400,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메칠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에틸헥산디올, 솔비톨,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폴리부틸렌글라이콜-10,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4, 폴리글리세린-6, 폴리글리세린-10, 폴리글리세린-20, 폴리글리세린-40, 소르베스-5, 소르베스-6, 소르베스-20, 소르베스-30, 소르베스-40, 이노시톨, 말티톨, 말토스, 만난, 만니톨, 만노스, 락티톨, 락토스,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G-글루코사이드, 디치아옥탄디올, 프룩토오스, 글루카민, 메칠글루카민, 글루코스, 1,2,6-헥산치올, 메칠글루세스-10, 메칠글루세스-20, 오조니즈드글리세린, 피탄트리올, 치오글리세린, 트레이톨, 트리메칠올프로판,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C20-40 파레스(pareth)-10 및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가 0.5~4:1의 중량비(C20-40 파레스-10 :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분체를 포함하며,
    상기 분체는 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및 실리카의 혼합물, 실리카, 탈크, 마이카, 실리콘 파우더, 티타늄 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틴 옥사이드, 크로뮴 옥사이드,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 바륨, 황산 바륨, 탄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의 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겔(gel)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피이지-400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올;
    C20-40 파레스(pareth)-1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효능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분체로 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및 실리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효능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폴리올 40 내지 80 중량%, 유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분체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s1) 기능성 효능 물질; 폴리올; 및 유화제로 C20-40 파레스(pareth)-1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기능성 효능 물질, 폴리올, 및 유화제의 혼합물에 분체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효능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122110A 2014-09-15 2014-09-15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2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110A KR101621942B1 (ko) 2014-09-15 2014-09-15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110A KR101621942B1 (ko) 2014-09-15 2014-09-15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850A true KR20160031850A (ko) 2016-03-23
KR101621942B1 KR101621942B1 (ko) 2016-05-17

Family

ID=5564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110A KR101621942B1 (ko) 2014-09-15 2014-09-15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9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4970A (zh) * 2018-04-25 2018-08-31 广州暨南生物医药研究开发基地有限公司 一种代谢及外排双抑制型的安五脂素纳米乳及其制备方法
US10456343B2 (en) 2017-01-26 2019-10-29 L'oreal Microemulsion compositions comprising polydatin and method of use
KR20220065152A (ko) * 2020-11-12 2022-05-20 주식회사 라피끄 순수비타민 c를 고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118580A1 (fr) * 2020-12-31 2022-07-08 L'oreal Composition pour le soin des matières kératineus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59B1 (ko) 2004-09-09 2012-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소수성 다공성 파우더 및 수용성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보습용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6343B2 (en) 2017-01-26 2019-10-29 L'oreal Microemulsion compositions comprising polydatin and method of use
CN108464970A (zh) * 2018-04-25 2018-08-31 广州暨南生物医药研究开发基地有限公司 一种代谢及外排双抑制型的安五脂素纳米乳及其制备方法
CN108464970B (zh) * 2018-04-25 2020-11-03 广州暨南生物医药研究开发基地有限公司 一种代谢及外排双抑制型的安五脂素纳米乳及其制备方法
KR20220065152A (ko) * 2020-11-12 2022-05-20 주식회사 라피끄 순수비타민 c를 고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118580A1 (fr) * 2020-12-31 2022-07-08 L'oreal Composition pour le soin des matières kératine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942B1 (ko)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346B1 (ko)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74210B1 (ko)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WO201519530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topical application of a benefit agent including powder to liquid particles and a second powder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1293A (ko) 워터 드롭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6264A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3483A (ko) 화장품용 천연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0664A (ko) 2액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42535B1 (ko)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WO2011090094A1 (ja) 外用剤組成物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2938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2496032B1 (ko) 에어로졸 화장료
TW202308591A (zh) 化妝料
EP3075375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184179A (ja) 皮膚化粧料
KR102029652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306410A (ja) 粉末含有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2646279B1 (ko)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238381A (ja) 化粧料組成物
JP2020015699A (ja) 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