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799A -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 Google Patents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799A
KR20160031799A KR1020140121981A KR20140121981A KR20160031799A KR 20160031799 A KR20160031799 A KR 20160031799A KR 1020140121981 A KR1020140121981 A KR 1020140121981A KR 20140121981 A KR20140121981 A KR 20140121981A KR 20160031799 A KR20160031799 A KR 20160031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low
pile
support dis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725B1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엔테이지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테이지, 김영호 filed Critical (주)엔테이지
Priority to KR1020140121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7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0Piles comprising both precast concrete portions and concrete portions cast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이나 PHC 파일과 같은 중공이 형성된 파일의 중공부 내경에 따라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중공부의 형상에 따라 가변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어 내부에 속채움 콘크리트를 타설시 타설물이 기초파일의 중공부 틈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중앙부 중공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는 지지 디스크와; 상부에 지지 디스크를 관통하여 지지 디스크의 상부로 돌출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일정 크기를 갖도록 지지 디스크의 하부에 형성되는 튜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Pile Cap with Inflatable Tube}
본 발명은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이나 PHC 파일과 같은 중공이 형성된 파일의 중공부 내경에 따라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중공부의 형상에 따라 가변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어 내부에 속채움 콘크리트를 타설시 타설물이 기초파일의 중공부 틈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PHC 또는 강관 말뚝에 있어서, 확대기초와의 강결합을 위하여 국내 도로교설계기준에서는 확대기초에 말뚝을 100mm 매입하고 말뚝 상단 머리부에 보강근을 배치하여 확대기초와 결합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때, 말뚝 중공부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근은 일정 깊이로 정착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말뚝 내부에 거푸집 판이 설치된다.
이에 말뚝을 소정 높이를 남기고 절단한 다음 말뚝 내부에 일정 깊이까지 콘크리트로 채우고 수직 보강 철근을 배치하여 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채우기 위해서는 말뚝 속에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속채움 깊이 즉, 속 거푸집(말뚝)의 위치는 강관 말뚝일 경우 통상적으로 [철근 직경 x 35배 + 100mm]로 정하고 있으며, PHC 말뚝일 경우 속 거푸집의 위치는 [강선직경 x 50배 + 철근직경 x 35배] 이상을 확보하도록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말뚝 내부로 설치되는 말뚝 중공부 내의 속 거푸집은 필요에 따라 더욱 깊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중공 말뚝의 내부를 구조 보강 단면으로 활용하기 위해서이며, 종래에는 원형 판 형태에 달고리를 만들어서 깊게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깊이가 깊을수록 설치작업의 곤란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PHC 말뚝은 원심 성형 방식으로 제작되므로 말뚝 내부 중공부가 정확하게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하나 양생중에 중력하중에 의하여 옆으로 확장되는 타원형 중공 단면 형태로 제작되어 말뚝 내부 원형의 속 거푸집판을 현장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09-0040021호 "중공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용 캡"(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파일 안에 위치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밑으로 새지 않게 지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지지판(110)과, 콘크리트 지지판(110)에 일체로 연장되게 다수가 형성되고 콘크리트 지지판(110)을 파일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150)와, 파일의 절단면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지지판(110)에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덮개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PHC 말뚝과 같은 경우 말뚝 내부 중공부가 정확하게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타원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공장제작된 원형의 콘크리트 지지판(110)을 현장에서 사용하면, 말뚝의 중공부를 폐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직경 500mm PHC파일의 경우 속채움 콘크리트 깊이가 φ9.2(강선) x 50배 + D19(보강근) x 35배, 약 1125mm로, 달고리 설치 수량과 길이나 중공부 내부에 속 거푸집판이 정확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이 곤란하여 시공성, 경제성 손실이 발생한다.
특허공개 제2009-0040021호 "중공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용 캡"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일의 중공의 형상이 정원(正圓)의 단면을 갖지 않더라도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중공부의 형상에 따라 튜브의 형상이 가변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시 타설물이 기초파일의 중공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판 형상으로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는 지지 디스크와; 상부에 지지 디스크를 관통하여 지지 디스크의 상부로 돌출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일정 크기를 갖도록 지지 디스크의 하부에 형성되는 튜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튜브의 외주면에는 마찰 증대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마찰 증대 돌기는 하부 단면이 넓고 상부 단면이 좁도록 외주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튜브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 링이 1개 또는 그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튜브는 높이방향의 일정부위가 요입되는 요입부가 1개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지 디스크는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지 디스크의 상부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삽입관이 다수개 형성되고, 삽입관은 상부면에서 길이방향 하부로 일정깊이로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지 디스크의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단부가 지지 디스크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형성되는 길이조절 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은 파일의 중공의 형상이 정원(正圓)의 단면을 갖지 않더라도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중공부의 형상에 따라 튜브의 형상이 가변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시 타설물이 기초파일의 중공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사용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튜브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지지 디스크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사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파일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은 중공이 형성된 파일의 중공의 내부에 일정 깊이 인입되어 중공을 폐합하도록 하여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중공의 내부로 타설물이 인입되지 않도록 하며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시간 동안에 지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일정 크기를 갖는 튜브(20)와, 튜브(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판 형상의 지지 디스크(10)로 이루어진다.
지지 디스크(10)는 파일(5)의 중공(51) 내측에 끼워져서 콘크리트 타설물을 정위치에 떠받쳐 주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하부에 구성되는 튜브(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디스크(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지지 디스크(10)의 크기는 도 1a(a)에서와 같이, 중공(5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a(b)에서와 같이, 중공(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공(51)의 직경보다 큰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공(51)의 폐합 등에 유리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디스크(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오목하고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b에서와 같이 지지 디스크(10)는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튜브(20)에 공기 주입시에 튜브(20)와 최대한 많은 면적이 밀착되도록 하여 상부의 타설물과 중량을 아치구조와 같이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튜브(20)에 공기를 주입하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지지 디스크(10)는 튜브(20)의 팽창에 따라 절개홈(12) 부분이 벌어지면서 최대한 확장되게 되며 튜브(20)와 밀착하게 된다.
지지 디스크(10)가 파일(5)의 중공(51)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지 디스크(10)는 평면상 원형을 이루며 파일(5)의 중공(51)의 단면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지지 디스크(10)의 외주연에는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개된 절개홈(12)이 형성된다.
절개홈(12)에 의하여 지지 디스크(10)의 외주연이 분할되며, 절개홈(12)에 의하여 분할되는 지지 디스크(10)의 외주연은 파일(5)의 중공(51)의 내경의 단면 크기에 맞추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중공(51)의 내경에 맞도록 가변적으로 변형되어 중공(51)을 더욱 효과적으로 폐합시키도록 하면서 지지 디스크(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물이 지지 디스크(10)의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1차로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 디스크(10)는 평면상 원형이 파일(5)의 중공(51)의 단면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질 경우 상부 타설물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디스크(10)의 하부에는 일정 크기를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20)가 구성되는데, 상부 중앙부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21)가 형성된다. 주입구(21)는 지지 디스크(10)를 관통하여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로 돌출하도록 하여 파일(5)의 중공(51)에 일정 깊이 삽입한 후에도 주입구(21)를 통하여 튜브(20)로 공기의 주입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 디스크(10)와 튜브(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 디스크(10)와 튜브(20)가 별도로 형성될 경우에는 지지 디스크(10)의 중앙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튜브(20)의 주입구(21)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로 돌출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구성할 수 있다.
주입구(21)는 일방향 즉 튜브(20)의 내부로만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고 외부로는 공기의 유출이 불가능한 자전거 튜브의 밸브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일방향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 디스크(10)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나 강재, 목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튜브(20)는 내부에 공기주입시 팽창이 가능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5)의 중공(51)의 상단부에서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1)을 삽입하고, 튜브(20)는 주입구(21)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튜브(20) 자체가 팽창하게 되면서 튜브(20)의 외주면이 파일(5) 중공(51)의 외주면에 밀착하게 되어 마찰력에 의하여 삽입된 위치에서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공(51)의 상부로 콘크리트 타설물이 타설되면 지지 디스크(10)에 의하여 하부로 타설물이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고, 다시 팽창된 튜브(20)가 중공(51)의 내벽에 밀착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1)이 고정된 중공(51)의 일정 깊이에서 더이상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지지 디스크(10)의 상부의 타설물이 지지 디스크(10)의 하부로 유출되더라도 파일(5)의 중공(51)의 내벽에 밀찰되는 튜브(20)에 의하여 타설물이 더이상 하부로 내려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2b(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디스크(10)의 직경의 크기가 중공(5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파일(5) 시공 후 파일(5)의 중공(51)에 콘크리트 타설물을 채우기 이전 단계에서 파일(5)의 상단부에 지지 디스크(10)를 설치하여 중공(51)의 상부의 덮개 역할을 하여 낙하사고나 작업자의 실족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b(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디스크(10)의 외주연을 절곡하여 중공(51)의 내부로 인입하고 지지 디스크(10)의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을 타설할 수도 있으며, 이때 지지 디스크(10)의 외주연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절곡하거나 하부로 절곡(미도시)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튜브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5)의 중공(51)의 내벽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튜브(20)의 외주면에는 마찰 증대 돌기(22)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찰 증대 돌기(22)는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상기의 마찰 증대 돌기(22)는 하부 단면이 넓고 상부 단면이 좁도록 외주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로 콘크리트 타설물이 타설되어 압력이 증대될 때에도 하부의 면적이 넓어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여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튜브(20)에는 미끄럼방지 링(25)이 1개 또는 그 이상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 링(25)은 공지의 다양한 고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탄성을 갖는 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1개 또는 그 이상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 링(25)은 별도의 링을 독립적으로 끼워서 구성하거나, 튜브(20)와 일체로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 링(25)은 기성의 일방 링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단면이 넓고 상부 단면이 좁도록 외측단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로 콘크리트 타설물이 타설되어 압력이 증대될 때에도 하부의 면적이 넓어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여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0)는 높이방향의 일정부위가 요입되는 요입부(23)가 1개 이상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요입부(23)를 형성하면 요입부(23)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요입부(2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a)가 형성되게 되며, 튜브(2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고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이 타설되면 도 5b에서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23a)가 중공(51)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변형되면서 마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지지 디스크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면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중앙부에 관통하여 파일(5)의 내부에 설치하는 수직 보강근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관(13)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하며, 삽입관(13)에는 삽입관(13)의 상부면에서 길이방향 하부의 일정깊이로 삽입구(131)가 형성되도록 하여 삽입구(131)에 수직 보강근을 삽입하여 수직 보강근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삽입관(13)의 삽입구(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삽입관(13)은 삽입되는 보강근의 단면 형상에 따라 사각형, 각형, 직사각의 판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돌기(14)가 형성되도록 하여, 철근의 하단부를 고정돌기(14)와 고정돌기(14)의 사이에 끼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돌기(14)는 일정간격으로 동일 원주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 디스크(10)는 도 6b(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6b(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오목하고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고정돌기(14)를 형성하면, 철근을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면에 원하는 위치에 끼우기만 하면 고정이 되기 때문에, 철근의 설치위치의 선정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해지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의 사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형성되는 길이조절 자(30)가 형성되도록 하여, 파일(5)의 중공(51)의 내부로 인입되는 깊이를 길이조절 자(30)를 통하여 파악하여 정확한 삽입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1)은 튜브(20)의 팽창 압력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파일(5)과의 별도의 고정 수단을 필요하지 않지만, 높이 조절이나, 제거시에 용이하도록 로프, 와이어 및 끈 등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고정 보조 수단(6)을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면에 일단을 고정하고, 파일(5)의 상단에 타단을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중공 파일(5)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1)에 있어서, 파일(5)의 내부면과 튜브(20) 사이에 5mm 전후의 작은 관을 두어 시공단계에서 우수에 의하여 중공부에 물이 차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은 파일의 중공의 형상이 정원(正圓)의 단면을 갖지 않더라도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중공부의 형상에 따라 튜브의 형상이 가변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시 타설물이 기초파일의 중공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10 : 지지 디스크
12 : 절개홈
13 : 삽입관
14 : 고정돌기
20 : 튜브
21 : 주입구
22 : 마찰 증대 돌기
23 : 요입부
25 : 미끄럼방지 링
30 : 길이조절 자
5 : 파일
51 : 중공

Claims (9)

  1. 원판 형상으로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개된 절개홈(12)이 형성되는 지지 디스크(10)와;
    상부에 지지 디스크(10)를 관통하여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로 돌출되는 주입구(21)가 형성되며 주입구(21)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일정 크기를 갖도록 지지 디스크(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튜브(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튜브(20)의 외주면에는 마찰 증대 돌기(22)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3. 청구항 2에 있어서,
    마찰 증대 돌기(22)는 하부 단면이 넓고 상부 단면이 좁도록 외주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4. 청구항 1에 있어서,
    튜브(20)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 링(25)이 1개 또는 그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5. 청구항 1에 있어서,
    튜브(20)는 높이방향의 일정부위가 요입되는 요입부(23)가 1개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10)는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7.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삽입관(13)이 다수개 형성되고, 삽입관(13)은 상부면에서 길이방향 하부로 일정깊이로 삽입구(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8.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돌기(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9.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단부가 지지 디스크(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형성되는 길이조절 자(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KR1020140121981A 2014-09-15 2014-09-15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KR101732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981A KR101732725B1 (ko) 2014-09-15 2014-09-15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981A KR101732725B1 (ko) 2014-09-15 2014-09-15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99A true KR20160031799A (ko) 2016-03-23
KR101732725B1 KR101732725B1 (ko) 2017-05-08

Family

ID=5564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981A KR101732725B1 (ko) 2014-09-15 2014-09-15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7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8246B2 (ja) * 1988-09-08 1997-10-27 東急建設株式会社 エキスパンジョイント型枠および工法
JP4249046B2 (ja) * 2004-01-30 2009-04-02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支持力増加方法、シートパイル基礎の施工方法、シートパイル基礎、橋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725B1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7574B2 (en) Concrete anchor
KR101627268B1 (ko) 파일의 두부보강용 파일캡
KR100795437B1 (ko) 항두막이 장치
KR100685442B1 (ko) 항두막음 장치
US20120325983A1 (en) Template assembly for conduit installation
WO2008007863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pier segment hav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steel duct
KR101732725B1 (ko) 중공 파일용 튜브 거푸집
KR101321917B1 (ko)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부력방지장치
KR100791263B1 (ko) 볼트식 파일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49148Y1 (ko) 파일캡
KR20090117440A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200446475Y1 (ko) 원형 또는 타원형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보조거푸집
KR100939120B1 (ko) 철근 지지 스페이서
KR101072738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KR101604072B1 (ko) 개량형 원터치식 중공슬래브 구조
KR101561592B1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및 두부 보강 방법
KR100947591B1 (ko) 파일캡
KR10142649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413039B1 (ko) 중공재 부력 방지 장치
KR20160014092A (ko) 철근용 안전캡
JP4657667B2 (ja) 止栓
KR20090027918A (ko) 원추형 기초용기
KR20150053583A (ko) 철근용 안전캡
KR20120003067A (ko) 철근 스페이서
KR20140147186A (ko) 회전을 이용한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