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120B1 - 철근 지지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철근 지지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120B1
KR100939120B1 KR1020070061431A KR20070061431A KR100939120B1 KR 100939120 B1 KR100939120 B1 KR 100939120B1 KR 1020070061431 A KR1020070061431 A KR 1020070061431A KR 20070061431 A KR20070061431 A KR 20070061431A KR 100939120 B1 KR100939120 B1 KR 10093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699A (ko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유)선일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일건설 filed Critical (유)선일건설
Priority to KR1020070061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120B1/ko
Publication of KR2008011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시 철근이 일정 간격으로 배설될 수 있도록 철근을 지지하는 철근 지지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지지 스페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배근대상 철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지지홈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며, 하단은 본체의 하면을 통해 개방되고,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본체의 내측으로 인입된 인서트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 스페이서는 철근이 적정 간격으로 배설되도록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 결합되는 달대볼트의 설치가 일정 간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철근 지지 스페이서 {reinforcing rod spac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 스페이서의 제1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철근 지지 스페이서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철근 지지 스페이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철근 지지 스페이서에 달대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 스페이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철근 지지 스페이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철근 지지 스페이서 11; 본체
20; 인서트부 30; 나사캡 부재
40; 간격유지부
본 발명은 철근 지지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시 철근이 일정 간격으로 배설될 수 있도록 철근을 지지하는 철근 지지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시에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철근 콘크리트 공법이 사용되는데, 철근 콘크리트 공법은 콘크리트 거푸집을 만들고, 거푸집에 철근을 배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철근이 매설 되도록 한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공법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철근간의 간격이 적정 간격을 유지해야하며, 철근의 상하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도 일정 두께로 확보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철근을 배설할 때, 적정 간격으로 철근을 이격 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로웠다.
그리고 철근 배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철근 받침대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철근 받침대는 철근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들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철근의 지지 기능만을 가질 뿐 적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철근 받침대는 주로 원통형 또는 다각 기둥형이고 상면에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홈들이 형성된 형태가 있었다.
그리고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건물의 천정을 구성하는 경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는 배선을 지지하거나 천정을 마감하기 위한 석고보드를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달대볼트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달대볼트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이루어지거나, 달대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인서트를 콘 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매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근을 적정 간격으로 배설하기 용이하도록 일정간격 이격 설치가 용이한 철근 지지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차지하는 체적을 최소화 하고, 필요에 따라 고정부재 또는 달대볼트의 설치가 용이한 철근 지지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 스페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배근대상 철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지지홈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며, 하단은 본체의 하면을 통해 개방되고,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본체의 내측으로 인입된 인서트부를 구비한다.
인서트부의 내주면에는 달대볼트 또는 기타 결합부재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인서트부는 본체를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부재나 기타 건축 자재들이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철근 지지 스페이서는 인서트부의 중공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와, 중공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중공을 따라 머리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주면에 나사산 이 형성된 하부가 열린 수용홈을 갖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나사캡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철근 지지 스페이서는 인서트부의 중공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와, 중공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중공을 따라 머리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되, 인서트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지지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바디부를 갖는 고정핀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체는 상부가 열린 내부 공간을 갖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외주면이 테이퍼져 있으며, 지지홈은 본체의 상부에 철근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고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지지홈과, 제1 지지홈에 지지되는 철근과 교차되게 지지되는 철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에 제1 지지홈보다 하방으로 더 깊게 형성된 한쌍의 제2 지지홈이 마련되어 있고, 인서트부는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돌출부분을 가지며, 복수개의 본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인서트부의 돌출부분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1 링부재 및 제2 링부재와, 제1, 제2 링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일정길이를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간격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 스페이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 스페이서(10)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 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 스페이서(1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철근(2)을 지지하는 것이다. 철근 지지 스페이서(10)의 설치지점에서 철근(2)들이 상호 교차되므로 철근 지지 스페이서(1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면 이에 따라 철근(2)도 적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설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지지 스페이서(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철근 지지 스페이서(10)는 본체(11)와, 본체(11)의 내측에 마련되는 인서트부(20)와, 인서트부(20)의 상측에 결합되는 나사캡부재(30) 및 간격유지부(40)를 갖는다.
본체(11)는 상부가 열린 내부공간을 갖는 속이 빈 원통형이다. 본체(11)는 속이 빈 통형의 철근 지지체(11a)와, 상기 철근 지지체(11a)의 내면에 마련된 보강재(15)를 구비한다.
철근 지지체(11a)는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어서, 상단의 외경이 하단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철근 지지체(11a)의 상부에는 배설되는 철근(2)이 지지될 수 있는 제1, 제2 지지홈(13,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지지홈(13)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근(2)이 지지될 수 있도록 철근 지지체(11a)의 상단 외경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인입되어 있으며, 제2 지지홈(14)은 제1 지지홈(13)에 지지되는 철근(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근(2)이 지지될 수 있도록 철근 지지체(11a)의 상부에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제2 지지홈(14)에 지지되는 철근(2)이 제1 지지홈(13)에 지지되는 철근(2)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지지되는 각각의 철근의 지지높이를 고려하여 제2 지지홈(14)이 제1 지지홈(13)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홈(14)의 하방으로 후술하는 간격유지부(40)의 연결부재(43)가 본체(11)를 관통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43)의 외경에 대응되는 관통홈(44)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보강재(15)는 철근 지지체(11a)의 내면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데, 소정 높이를 가지며 철근 지지체(11a)의 내측면으로부터 철근 지지체(11a)의 중심을 향해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보강재(15)는 인서트부(20)와 철근 지지체(11a)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1)와 인서트부(20)가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인서트부(20)는 본체(11)의 하부에 내측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원통형의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의 상부에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원통부(22)를 포함하며, 원통부(22)와 베이스부(21)에는 원통부(22)의 상면으로부터 베이스부(21)의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1)의 상면은 본체(11)의 보강재(15)의 하면과 접촉하고, 원통부(22)의 하부는 보강재(15)의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원통부(22)는 보강재(15)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일정 높이 더 높게 연장되므로 인서트부(20)에는 본체(11)의 내부공간을 향해 노출된 일정높이의 돌출부분(h)이 형성된다. 돌출부분(h)의 상단의 높이는 제2 지지홈(14)의 하단보다 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와 인서트부(20)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는 달리 분리된 상태로 따로 제작한 후, 별도의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를 이용해 체결할 수도 있다.
나사캡부재(30)는 인서트부(20)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생된 후, 철근 지지 스페이서(10)에 달대볼트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서트부(20)의 중공(23)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1 머리부(31)와, 제1 머리부(31)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중공(23)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 바디부(33)를 갖는다.
제1 머리부(31)는 콘크리트 타설시 인서트부(20)의 중공(23) 및 제1 바디부(33)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가 막혀있다. 나사캡부재(30)가 인서트부(20)에 결합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양생된 콘크리트에 의해 나사캡부재(30)가 인서트부(20)에 결합되어 나사캡부재(30)가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달대볼트를 나사결합할 때 나사캡부재(30)가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달대볼트와 나사캡부재(30)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1 바디부(33)는 외경이 인서트부(20)의 중공(23)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1 바디부(33)의 길이는 제1 바디부(33)의 하단이 본체(11)의 하단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바디부(33)는 하부가 열린 수용홈(34)이 제1 바디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바디부(33)의 내측 으로 인입 형성되어 있는데, 이 수용홈(34)의 내주면에는 달대볼트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다.
간격유지부(40)는 복수개의 본체(11)를 이격 설치할 때, 본체(11)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인서트부(20)에 결합되는 제1, 제2 링부재(41,42)와, 제1, 제2 링부재(41,4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43)를 포함한다.
제1, 제2 링부재(41,42)는 인서트부(20)의 돌출부분(h)에 끼움결합되어야 하므로, 내경이 원통부(22)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1, 제2 링부재(41,42)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일정한 길이의 내경을 갖는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43)는 일정 길이를 갖는다. 연결부재(43)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본체(11)를 이격 설치하면 설치되는 복수개의 본체(11)들은 연결부재(43)의 이격 거리만큼 상호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설치되는 복수개의 본체(11)가 일정 거리로 이격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43)가 제1, 제2 링부재(41,4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연결부재(43)는 규격화된 여러 길이로 제작되고, 제1, 제2 링부재(41,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43)의 길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연결부재(43)가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단위연장부들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단위연장부를 가감함으로써 연결부재(43)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지지 스페이서(10)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제작되면, 인서트부(20)가 인서트몰딩을 통해 결합된 복수개의 본체(11)를 거푸집 상부에 위치시킨다. 나사캡부재(30)를 인서트부(20)에 결합시킨 다음 인서트부(20)의 돌출부분(h)에 제1, 제2 링부재(41,42)를 끼우고 연결부재(43)의 연장길이만큼 본체(11)를 이격시키면 본체(11)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다.
설치된 본체(11)의 제1, 제2 지지홈(13,14)에 지지되도록 철근(2)을 배설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시킨다.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나사캡부재(30)의 제1 머리부(31)에 의해 콘크리트가 인서트부(20)의 중공으로 인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본체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철근 지지 스페이서(10)가 차지하는 체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철근 지지 스페이서(10)가 차지하는 체적이 크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생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면에는 철근 지지 스페이서(10)의 하부가 노출되는데, 달대볼트(4)를 노출된 철근 지지 스페이서(10)의 중공으로 밀어넣고 회전시키면 달대볼트(4)가 나사캡부재(30)의 수용홈(34)에 나사결합된다.
철근 지지 스페이서(10)가 간격유지부(40)에 의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이에 지지되는 철근(2)들도 일정 간격으로 배설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이 안정적으로 양생될 수 있으며, 철근 지지 스페이서(10)에 결합되는 달대볼트(4) 역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후속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달대볼트(4)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캡부재(30)가 인서트부(20)에 별도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인서트부(20)의 상부가 폐쇄되어 있고, 하방으로 개방된 인서트부(20)의 내부 중공(23)에 달대볼트(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철근 지지 스페이서(5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철근 지지 스페이서(50)는 본체(11)와 인서트부(20), 본체(11)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부(40) 및 본체(11)를 지지체(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5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11)와, 인서트부(20) 및 간격유지부(40)의 형태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본체(11), 인서트부(20) 및 간격유지부(40)와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철근 지지 스페이서(50)는 수직상으로 연장된 지지체(3)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수직상으로 설치된 거푸집 또는 벽체에 본체(11)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핀(51)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핀(51)은 인서트부(20)의 중공(23)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머리부(52)와, 인서트 부재의 중공(23)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제2 머리부(52)의 하방으로 중공(23)을 따라 연장되고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제2 바디부(56)를 갖는다.
제2 머리부(52)의 단부는 제2 바디부(56)를 지지체(3)로 삽입할 때 망치 또 는 햄머를 이용하여 타격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바디부(56)는 중공(23)을 통해 본체(1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데, 본체(11)의 하방을 통해 돌출되어 일정길이가 지지체(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인서트부(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부는 지지체(3)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뾰족하다.
고정핀(51)을 이용해 본체(11)를 지지체(3)에 고정시키면 철근(2)을 별도의 결속부재를 통해 본체(11)에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함으로써 철근(2)이 적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핀(51)이 타격부재로 타격을 하여 지지체(3)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고정핀(51)은 이와는 달리 제2 바디부(56)가 스크류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머리부(52)는 제2 바디부(56)를 전동공구 등으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회전력을 통해 지지체(3)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 스페이서는 철근이 적정 간격으로 배설되도록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 결합되는 달대볼트의 설치가 일정 간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배근대상 철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지지홈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며, 하단은 상기 본체의 하면을 통해 개방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인입된 인서트부와;
    상기 인서트부의 중공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와, 상기 중공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중공을 따라 상기 머리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가 열린 수용홈을 갖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나사캡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본체를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부재나 기타 건축 자재들이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홈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철근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고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지지홈과, 상기 제1 지지홈에 지지되는 철근과 교차되게 지지되는 철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제1 지지홈보다 하방으로 더 깊게 형성된 한쌍의 제2 지지홈을 구비하되,
    상기 본체는 상부가 열린 내부 공간을 갖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외주면이 테이퍼져 있으며,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돌출부분을 가지고,
    복수개의 상기 본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상기 인서트부의 돌출부분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1 링부재 및 제2 링부재와, 상기 제1, 제2 링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일정길이를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간격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지지 스페이서.
KR1020070061431A 2007-06-22 2007-06-22 철근 지지 스페이서 KR10093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431A KR100939120B1 (ko) 2007-06-22 2007-06-22 철근 지지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431A KR100939120B1 (ko) 2007-06-22 2007-06-22 철근 지지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699A KR20080112699A (ko) 2008-12-26
KR100939120B1 true KR100939120B1 (ko) 2010-01-28

Family

ID=4037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431A KR100939120B1 (ko) 2007-06-22 2007-06-22 철근 지지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790A (ko) * 2012-09-11 2015-07-22 이노바티브 플라스트 아이 바스트 에이비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386B (zh) * 2019-06-17 2024-02-02 中鼎(河南)建筑研究院有限公司 一种非焊接装配式网架板
CN114517576A (zh) * 2022-03-25 2022-05-20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清水混凝土建筑施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433U (ja) * 1991-11-06 1993-06-01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パネル等における補強用鉄筋支持スペーサ
KR20030071698A (ko) * 2003-08-12 2003-09-06 병 철 오 다용도 기능의 천정구조물 설치용 인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433U (ja) * 1991-11-06 1993-06-01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パネル等における補強用鉄筋支持スペーサ
KR20030071698A (ko) * 2003-08-12 2003-09-06 병 철 오 다용도 기능의 천정구조물 설치용 인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790A (ko) * 2012-09-11 2015-07-22 이노바티브 플라스트 아이 바스트 에이비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KR102173186B1 (ko) * 2012-09-11 2020-11-02 이노바티브 플라스트 아이 바스트 에이비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699A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818A (en) Anchor bolt positioning system for concrete foundations
KR102108417B1 (ko)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84149B1 (ko) 건축물의 원심력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그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제조방법 및 철근콘크리트 기둥시공방법
KR100939446B1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101615200B1 (ko)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그의 체결 방법
CA2454069C (en) Structure of pile head joint portion and pile head fitting tubular body
KR100939120B1 (ko) 철근 지지 스페이서
KR100776774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KR100774885B1 (ko) 기초구조물에 매립되는 조립식 앵커 볼트 구조 및 이를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KR100991341B1 (ko) 프리캐스트 기초 및 말뚝과 프리캐스트 기초의 연결구조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130010529A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KR200442013Y1 (ko) 벽체 관통 스리브 구조
KR1015935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기둥을 이용한 기둥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KR100837263B1 (ko) 강합성 말뚝 제작방법
KR20190077888A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KR100819504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콘크리트복합체와 지지구조물의 연결방법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8100488A (ja) 免震構造、ベースプレートおよび下部基礎部材の構築方法
KR101270502B1 (ko) 구조물용 논 슬리브 피씨부재
KR200281867Y1 (ko) 철근받침대
KR100763406B1 (ko) 휀스용 포스트
KR102381592B1 (ko)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