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186B1 -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186B1
KR102173186B1 KR1020157009429A KR20157009429A KR102173186B1 KR 102173186 B1 KR102173186 B1 KR 102173186B1 KR 1020157009429 A KR1020157009429 A KR 1020157009429A KR 20157009429 A KR20157009429 A KR 20157009429A KR 102173186 B1 KR102173186 B1 KR 10217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foundation
feeder device
release
spac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790A (ko
Inventor
스테판 앤더슨
Original Assignee
이노바티브 플라스트 아이 바스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1251020A external-priority patent/SE538843C2/sv
Priority claimed from SE1350832A external-priority patent/SE539162C2/sv
Application filed by 이노바티브 플라스트 아이 바스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이노바티브 플라스트 아이 바스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50084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3Circular and spherical spa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피더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화된 분배에 적용되고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로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콘크리트용 파운데이션 서포트 면 상에 놓이는 하부 베어링 면, 복수의 서포트 지점에서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 제1 서포트 면, 및 하부 베어링 면을 제1 서포트 면에 연결하는 외주 측벽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주 측벽은 하부 베어링 면에서 제1 서포트 면으로 각도 α를 가지고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제1 서포트 면의 형상은 지지되는 보강 그리드에 있는 메쉬보다 크다. 본 발명의 장점은 분배를 위한 휴대 또는 자동 피더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분배가 자동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보강 그리드가 스페이서 위치와 무관하게 파운데이션 스페이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추가적인 장점은 스페이서가 적층 가능하다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운데이션 스페이서{FOUNDATION SPAC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보강 그리드(Reinforcement grid) 지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stackable foundation spacer)에 관한 것이다. 적층가능 스페이서는 피더 장치(Feeder Device)를 사용하여 자동화된 분배에 적용된다. 그래서 스페이서의 사이즈와 형상은 스페이서들이 지표면 상에 랜덤하게 놓여진 경우에도 신뢰성 있는 지지를 보강 그리드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스페이서는 휴대용(hand-held) 피더 장치의 사용에 의해 손으로(manually) 분배되거나 또는 반자동 또는 자동 피더 장치에 의해 분배될 수 있다. 스페이서의 위치가 결정적이지는 않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비용 효율적인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이러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분배하는 피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은 강도를 증가시키고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몇 종류의 보강제를 구비한다. 보강제는 단독 보강 바(리바(rebar)), 보강 그리드 또는 다른 종류의 섬유 또는 다른 것이 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넓은 면적이 커버되는 경우 스틸 재질의 보강 바로 제조된 보강 그리드이다. 작은 면적에 대하여 또는 그리드 보완제로서, 단독 보강 스틸 바가 이용된다.
건축물에서 요구하는 물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강제는 다른 높이에 위치한다. 이 높이는 마무리된 건축물 내의 보강제 주위의 콘크리트 커버를 만든다. 보강 스페이서는 미리 정해진 높이에서 보강제 포지셔닝(positioning) 작업을 간략히 하고 콘크리트가 매립될 때까지 공정에 걸쳐 그것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타입은 예를 들어, 규제, 주위 환경, 자연 자원 또는 심미적 옵션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콘크리트 커버는 보강 물질과 완료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표면 간의 최소 간격으로 정의된다. 요구와 다른 콘크리트 커버는 건축물의 강도 및 수명 사이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콘크리트 커버에 대한 요구는 지역 규제에 의해 정해질 수 있고 건축물의 타입 및 주위 환경에 의존하여 가변될 수 있다. 콘크리트 커버의 하나의 목적은 건축물에 부정적인 영향에 의한 부식이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습기가 보강 스틸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부식은 그것의 확장을 통해, 인접한 콘크리트를 천천히 부술 것이고, 이는 더 많은 습기가 스틸에 도달하도록 유발하여 결국 부식 과정을 가속시킨다. 기간이 경과하면서 이는 건출물 강도를 약하게 할 것이다.
보강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보강 스페이서가 사용된다. 이는 종종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콘크리트가 보강제와 스페이서를 완전히 아우르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설계된다. 최종 건축물에 있는 에어 포켓은 반드시 피해져야 한다. 스페이서의 형상에 의존하여, 콘크리트가 부어졌을 때 에어가 사라지는 탈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몇 종류의 구멍을 구비하여야 한다.
보강 스페이서들은 서로다른 재료들로 제조된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스페이서이지만, 스틸, 콘크리트 또는 다른 재료들이 또한 이용된다. 플라스틱 스페이서는 취급의 용이성, 경량, 일반적으로 저가와 같이 다른 재료들에 비하여 몇가지 장점을 가지며, 그 제조 공정이 빠르고 원하는 형상으로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 스페이서는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재료는 무겁게 하고 외형은 작업을 보다 복잡하게 한다. 이들은 플라스틱이 허용되지 않을 때 주로 사용된다. 스틸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2개 층의 보강 그리드 사이와 같이 건축물 내부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로서 주로 사용된다. 스틸 스페이서는 부식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그라운드면 상에는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다.
적용 분야에 의존하여, 보강 스페이서는 2개의 주요 그룹, 즉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및 벽 스페이서(wall spacer)로 나뉜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기초(foundation)/ 그라운드 플레이트(ground plate) 내에 보강제를 포지셔닝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 반면 벽 스페이서는 벽 및 천장(vault) 내에 보강제를 포지셔닝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주된 차이점은 그들이 사용되는데 의도된 아래에 놓인 표면의 타입이다.
벽 스페이서는 얇은 레그(leg) 및/또는 작은 피트(feet)로 설계된다. 거푸집 면(formwork surface)은 일반적으로 단단하고 평평하며, 스페이서가 거푸집 면을 넘어뜨리거나 표면을 뚫고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와주는 몰드가 된다. 거푸집이 제거될 때, 스페이서 피트는 보이게 된다. 더 진행되지 않는 벽 또는 천장에서, 이러한 피트는 벽 면에 보일 것이고, 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벽 스페이서는 최소한의 피트를 갖도록 설계되고 또한 콘크리트를 둘러싸는 것과 같이 거의 항상 착색된다. 낮은 가시성이 주된 요구이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거푸집 면이 거친 모래, 자갈, 그릿(grit) 또는 다른 배수 재료 바닥이나 그라운드와 같은 부드럽고/부드럽거나 울퉁불퉁한 것으로 분류될 때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그라운드를 향한 스페이서의 베어링 면은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스페이서가 종종 그라운드에 안정적으로 서있도록 하고 그라운드를 파헤치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큰 직경을 갖는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주로 그라운드 플레이트 및 기초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스페이서는 아래쪽으로 향하고 보이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심미적인 중요이 없다. 아래에 놓인 면을 펀칭하지 않도록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베이스 플레이트 영역이 충분히 크고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넘어질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것은 중요하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디자인 및 사용되는 방법의 차이점에 기인하여 2개의 서브 그룹으로 분류된다. 하나의 타입은 그라운드 스페이서(ground spacer)로 칭해진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탑(top)에서 작은 지지 면적 및 큰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다. 작은 지지 면적에 기인하여, 각각의 플레이트는 보강제를 지지하기 위하여 정확한 위치에 놓여야만 한다. 그라운드 스페이서는 저렴하게 보여지지만, 이를 갖는 작업은 시간 소모적이다. 다른 타입은 리니어 스페이서(linear spacer)이다. 이들은 길고 좁다. 이들은 긴 지지 영역 상의 어디든지 보강제를 지지하고 그러므로 정확한 포지셔닝이 요구되지 않는다. 종종 2미터인 그들의 길이에 기인하여, 스페이서를 놓는 작업 시간을 짧게 한다.
이러한 양 타입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수작업으로 지지 그라운드 상에 위치하는데, 그라운드 스페이서는 정확한 위치에 놓여야만 한다. 리니어 스페이서는 종종 2미터 길이로 제공되고 종종 나란히 놓인다. 그들은 상대적으로 무겁다.
US 6775954는 사용 전에 조립되어야만 하는 3개 부분을 포함하는 리니어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개시한다. AU 2006100538는 벽 스페이서로 사용하기 위한 스몰 피트를 갖는 리니어 벽 스페이서를 개시한다. 스페이서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특정 베이스 세그먼트는 피트에 부착될 수 있다. US 4942714는 리니어 벽 스페이서를 개시한다. US 2005005564는 와이어 메쉬 또는 단일 보강 바의 고정적 유지(fixedly retaining)를 위한 상부 리시빙부(upper receiving section)를 갖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개시한다.
DE 2821078는 조립식 벽 모듈을 생산하는데 적용되는 원형 벽 스페이서를 개시하는데, 스페이서는 몰드 상에 랜덤하게 놓일 수 있다. 보강 그리드 내 하나의 사각면(single square)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스페이서는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벽 스페이서처럼, 레그와 피트는 얇고, 토양이나 EPS(extruded polystyrene)와 같은 절연체와 같은 부드러운 언더라잉 거푸집 면(underlying formwork surface) 상에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보강재의 무게 및 걷는 작업자로부터 작은 피트는 지지면 내로 침강할 것이고, 부정확한 콘크리트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DE 2809430는 랜덤하게 위치될 수 있는 유사한 벽 스페이서를 개시한다.
그러므로 개선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에 대한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고, 자동화된 분배에 적용되는 향상된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홀딩하기 위한 용기(magazine)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분배하기 위한 피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에 대한 해결수단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에 관한 청구항 제1항, 용기에 관한 청구항 제10항 및 피더 장치에 관한 청구항 제12항의 특징부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청구항들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용기 및 피더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 및 다른 변형예를 포함한다.
자동화된 분배에 적용되고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에 있어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콘크리트용 그라운드 면 상에 놓이는 하부 베어링 면, 복수의 접촉 위치에서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 제1 서포트 면, 및 하부 베어링 면을 제1 서포트 면에 연결하는 외주 측벽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목적은 외주 측벽이 하부 베어링 면에서 제1 서포트 면으로 각도 α를 가지고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제1 서포트 면의 형상이 지지되는 보강 그리드에 있는 메쉬보다 큰 것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자동화된 분배에 적용되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사이즈 및 형상에 기인하여,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쉽게 콘크리트로 쉽게 채워지고 받아들여 질 수 있고, 랜덤하게 위치할 수 있고 보강 그리드를 계속 지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의 포지셔닝이 결정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스페이서의 분배는 피더 장치를 사용하여 시간 절약 방식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보강 그리드는 결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에 부착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형상은 스페이서가 서로서로 적층되도록 허용하며, 이송 및 저장동안 공간을 절약한다. 수동 및 자동 모두의 스페이서의 핸들링은 또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 제2 상부 서포트 면 및 하부 베어링 면을 제2 상부 서포트 면에 연결하는 내측벽을 더 포함하고, 내측벽은 하부 베어링 면에서 제2 서포트 면으로 각도 β를 가지고 안쪽으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강도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보강 그리드에 대한 가능한 접촉 위치의 수가 증가된다. 내측벽의 각도는 외측벽의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외형이 원형이다. 대칭 형상을 사용함으로써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핸들링이 간소화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외형이 120도의 분기 각도를 갖는 3개의 반구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에 대하여 요구되는 재료의 양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자동화된 분배에 사용되는 중앙 개구를 더 포함한다. 중앙 개구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스택이 중앙 개구를 통하여 휴대용 피더 장치에 삽입되도록 하고, 피더 장치는 가늘고 긴 바디(elongated body)를 포함한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피더 장치에 있는 릴리스 기구 작동에 의해 하나씩 릴리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제1 서포트 면은 외측 확장 외측 림(outwardly extending outer rim)을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강도 및 딱딱함이 향상된다. 외측 확장 림은 또한 피더 장치의 릴리스 기구와 협력으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자동화된 분배를 유리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제2 서포트 면은 내측 확장 내측 림(inwardly extending inner rim)을 포함하고, 이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내측 확장 내부 림은 중앙 개구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내부 림은 또한 피더 장치의 릴리스 기구와 협력으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자동화된 분배를 유리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외측벽과 내측벽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벽을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부하 용량(load carrying capacity) 및 단단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복수의 파운데이션이 적층될 때 다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베어링 면(2)을 지지하는 복수의 리지(ridge)를 외측벽 및/또는 내측벽(4,11)의 내측 상에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적층될 때 서로서로 부착되지 않을 것이고, 분배될 때 하나씩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스페이서에 대한 명확한(well-defined) 수직 간격이 얻어진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제2 상부 서포트 면 및 내부 벽을 포함할 때, 동일한 높이를 갖는 리지가 또한 외측벽의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내벽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용기에서 적층된다. 이 방식에서 복수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핸들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용기는 릴리스 기구에 실장되도록 되어져, 하나의 스페이서가 그때 용기로부터 릴리스될 수 있다. 릴리스 기구는 예를 들어 용기를 이송하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릴리스 레버를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 사용자는 쉬운 방식으로 선택된 위치에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릴리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분배하기 위한 피더 장치가 제공된다. 피더 장치는 복수의 적층가능 보강 스페이서를 지지하기 위한 바디, 그 때 하나의 보강 스페이서를 릴리스하기 위한 릴리스 기구 및 피더 장치를 홀드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한다. 릴리스 기구는 사용자에 의한 손으로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릴리스되도록 하는 각각의 시간에 눌려지는 릴리스 레버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더의 로딩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용기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피더 장치의 바디는 종방향이고 로드와 같은 형상으로, 중앙 개구의 사용에 의해 적층가능 스페이서를 통하여 삽입된다. 핸들은 피더 장치의 꼭대기에 배열되고 스페이서 스택이 있는 피더 장치를 홀드하기 위해 적용된다. 릴리스 기구는 피더 장치의 반대쪽 끝, 즉 피더 장치의 바닥 부분에 배열된다. 릴리스 그립은 사용자가 스페이서를 원하는 위치에 릴리스할 수 있도록 핸들에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릴리스 기구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내부 면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내부 림에서 동작한다. 왔다갔다하는 것에 의해,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의도된 파운데이션 영역에 쉽고, 인체공학적(ergonomic)이고 및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분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더 장치는 휠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려질 수 있는 작은 카트를 닯았다. 피더 장치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원하는 위치에 릴리스 하기 위해 릴리스 그립을 갖는 핸들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릴리스 기구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외부 면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외측 림에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피더 장치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릴리스 할 수 있는 반자동 릴리스 기구를 구비한다. 간격은 바람직하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한 예로, 간격은 피더 장치의 휠의 회전에 의존, 즉 간격은 피더 장치가 주행하는 간격에 의존한다. 피더 장치는 바람직하게 반자동이고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당겨지거나 밀려진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피더 장치는 제1 릴리스 기구로부터 측면에 있는 제2 릴리스 기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릴리스 기구는 유사하다. 이 방식에서, 2열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동시에 분배될 수 있다. 양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릴리스 기구로 동시에 릴리스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릴리스 기구의 릴리스 위치를 예를 들어 릴리스 간격의 절반 길이로 서로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여, 오프셋(offset)을 갖는 2개의 동일한 열이 얻어진다. 또한 각 릴리스 기구의 미리 정해진 간격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여, 다른 간격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갖는 2개의 열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2개의 릴리스 기구간의 간격은 2열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간의 간격이 세팅될 수 있도록 옆에서 조정될 수 있다. 2개의 릴리스 기구에 대한 적합한 조정 간격은 0.7~1.3미터이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사이즈 및 보강 그리드의 사이즈에 의존하여, 다른 조정 간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피더 장치는 완전히 자동식이고 자주식(self-propelled)이다. 이 예에서, 피더는 작업 지점을 안내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위치시킨다. 안내는 작업 지점에 위치된 국부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또는 차동 GSP 네비게이션 시스템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스택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파운데이션 스택을 지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용 용기(Magazine)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용 반자동 피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개시되는 추가의 변형예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 간주되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데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1)는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그라운드 면에 놓이는 제1 베이링 면(2)를 포함한다. 이 그라운드 면은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울퉁불통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거친 모래, 자갈, 그릿 또는 다른 배수의 바닥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스페이서가 안정적으로 있고 부드러운 그라운드 면 내로 침강하지 않도록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제1 베어링 면은 상대적으로 커야만 한다. 그라운드 면은 또한 큰 베어링 면의 장점이 있도록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EPS(expanded polystyrene)일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복수의 위치에서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외주 서포트 면(3)을 더 포함한다. 그러므로 스페이서의 사이즈 및 상부 서포트 면의 외주(10)는 보강 그리드에 있는 메쉬보다 크다. 이 방식으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관련된 보강 그리드에 위치하는 것에 무관하게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항상 보강그리드를 지지할 수 있다. 외주 측벽(4)는 제1 베어링 면을 제1 서포트 면(3)에 연결한다. 외주 측벽(4)은 제1 베어링 면에서 제1 서포트 면으로 각도 α를 가지고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다.
측벽의 경사각은 1-30도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15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방식으로, 스페이서는 생산하기 쉽고 몇몇의 스페이서가 서로서로 적층될 수 있으며, 이는 자동화되고 시간 효율적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분배를 위한 전제 조건이다. 작은 각은 더 딱딱하고 더 강한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큰 각은 요구되는 재료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측벽의 바깥쪽 경사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상부 부분이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하부 부분보다 더 크게 한다. 이 방식에서 보강 그리드는 항상 지지될 수 있고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베이스가 보강 그리드의 메쉬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재료가 절약된다. 경사진 측벽 사용의 추가 장점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서로서로 적층될 수 있다는 것이고, 이송 및 저장동안 추가적으로 공간을 절약한다. 제1 베어링 면은 더 적은 재료가 사용되고 몰딩되는 콘크리트를 강화시킬 복수의 개구를 구비한다. 개구는 콘크리트가 몰드에 부어질 때 파운데이션 아래 울퉁불퉁한 영역을 채우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흐르도록 하고, 결국 콘크리트 몰드에 형성되는 기공을 방지할 것이다. 여기서 스페이서의 중심은 큰 중앙 개구(7)를 구비한다. 또한 측벽은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개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서포트 면(3)은 측벽(4)로부터 바깥족으로 연장되는 림(5)을 구비한다. 림은 본 예에서 상부 서포트 면을 구성할 것이다. 림의 외측 둘레(10)는 그러므로 서포트 면의 사이즈를 설정한다. 서포트 면의 사이즈는 지지되는 보강 그리드에 있는 메쉬보다 크다. 원형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의 바깥쪽 직경은 그러므로 보강 그리드의 메쉬 사이즈보다 크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다른 형상을 가질 때 림의 외측 한계(outer limit)는 파운데이션 어떻게 위치되는 것에 무관하고, 보강 그리드의 메쉬보다 클 것이다. 스페이서가 메쉬를 통과하는 것없이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보강 그리드를 항상 지지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에 의해,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랜덤하게 그라운드 면 상에 분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확한 포지셔닝은 요구되지 않으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피더는 스페이서를 반자동 또는 완전 자동으로 분배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림은 또한 보강 그리드에 대한 지지 면적을 증대시킬 것이고 또한 보강 그리드가 서포트 면을 뚫고 나가거나(cut through)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림은 방해없이 완전한 스페이서 주변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서포트 면이 평평하고 하나의 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강 바를 위한 어떠한 홀딩 수단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데 주로 의도된다. 물론 다른 타입의 적합한 보강 구조를 지지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랜덤하에 놓일 수 있고 계속 보강 그리드를 지지할 것이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보강재가 사용되고 재료와 관계없이 그라운드, 거푸집 또는 다른 표면으로부터 올려지는 어떠한 기초/그라운드 플레이트의 보수, 개조 및 재건축하는데 사용된다.
게다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또한 다른 방식, 예를 들어 기초 내에 있는 2개층의 그리드 사이 또는 벽 요소 내에 있는 2개 층의 그리드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사용자에 의해 하나씩 위치에 놓이게 되는 수분배, 그리고 반자동 또는 완전 자동 분배 모두에 적합하다. 그들이 수동으로 놓일 때,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스택은 특정한 용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이송될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사이즈 및 디자인은 그들이 랜덤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고 계속하여 보강 그리드에 대하여 양호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주어진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요구되는 스페이서의 수를 규정하는 데에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가짐으로써, 보강 그리드가 항상 각각의 스페이서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정확한 수와 각 스페이서의 정확한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스페이서에 대한 디자인 및 형상은 가변적일 수 있으나, 요구되는 기능성을 제공하고 사용되는 스페이서 재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약간 중요한 측면이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가 스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측벽은 경사져야만 한다. 바깥쪽 경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하부 베어링 면이 서포트 면보다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내에 콘크리트의 채움은 또는 효과적이다. 상부 서포트 면은 지지되는 보강 그리드에 있는 메쉬의 사이즈에 의존하여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사이즈를 결정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강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서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상호 연결 벽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호 연결 벽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적층되는 것을 막지 않는다.
도 2에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변형예가 나타나 있고, 도 3은 도 2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단면이 나타나 있고, 도 4에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다른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외형은 120도의 분기 각도를 갖는 3개의 반구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형상 또한 가능하지만, 이 형태는 보강 그리드에 대하여 복수의 서포트 지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더 많은 서포트 지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또한 제2 서포트 면(6)을 구비한다. 제2 서포트 면은 원주형의 내측벽(11)을 통하여 베어링 면(2)에 연결되고, 각도 β를 가지고 안쪽으로 경사져 있다. 각도 β는 각도 α와 동일할 수 있으며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내측벽이, 베어링 면에서 제2 서포트 면으로, 안쪽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를 각각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서포트 면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안정화하는 것을 돕고 추가의 서포트 면을 제공하여, 보강 그리드의 무게가 많은 서포트 지점에 분산된다. 제2 서포트 면(6)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중앙에 배열되고 중앙 개구(7)을 구비한다. 제2 서포트 면(6) 및 중앙 개구(7)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중심축을 둘러싸고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을 가지고 하나 또는 양자가 배열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2 서포트 면은 스페이서의 중앙에 위치하고 중앙 개구에 인접하여 내측 확장 내부 림(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서포트 면을 확장한다. 피더 장치의 바디가 중앙 개구를 통하여 맞춰질 수 있도록 중앙 개구(7)의 사이즈는 휴대용 피더 장치의 사이즈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피더 장치에 의해 홀드될 수 있고 피더 장치의 바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피더 장치의 피더 기구가 또한 요구한다면 내측 확장 내부 림(14)는 또한 제2 서포트 면(6)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적층될 수 있도록 오프셋 간격은 리지(12)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 내측벽 및 외측벽은 또한 계속 적층가능한 스페이서에 추가의 딱딱함을 제공하는 아치형의 중간 보강벽(8)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스페이서는 3개의 큰 개구(9) 및 몇몇 작은 개구를 구비한다. 또한 외측벽의 내측은 스페이서의 적층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되어 있는 작은 리지(12)를 구비할 수 있다. 리지의 높이는 적층되었을 때 리지 상에 있을 다른 스페이서의 베어링 면이 되고, 스페이서들이 함게 누를 때 서로서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스페이서의 적층을 보다 쉽게 한다. 리지는 높이에서의 간격, 즉 스페이서들간의 수직 간격을 추가 정의한다. 명확한 수직 간격은 예를 들어 전용 용기로부터 또는 피더 장치로부터, 적층된 스페이서의 피딩을 간소화하는데 유리하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제2 상부 서포트 면 및 내벽을 포함할 때, 동일한 높이를 갖는 리지가 또한 외측벽의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내벽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상부 서포트 면(3,6)이 평평하고 또한 하나의 편에 위치하고 또한 보강 바를 위한 어떠한 홀딩 수단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주로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랜덤하게 놓일 수 있고 계속 보강 그리드를 지지할 것이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분배될 수 있음에도 피더 장치에 의해 주로 분배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랜덤하게 놓여지고 결코 정확하게 포지셔닝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시간 효율적이고 사용이 쉽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놓은데 현재 가장 빠른 작업 방법인리니어 스페이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피더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분배하는 시간은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도 5는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 복수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에서, 외형은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120도의 분기 각도를 갖는 3개의 반구 부분을 포함한다. 외측벽은 각도 α를 가지고 바깥쪽으로 경사져있다. 외형은 클로버잎 형상과 약간 닯았다. 형상이 지지되는 보강 그리드 내에 있는 메쉬보다 크다면 다른 형상도 물론 가능하다. 한 예로,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20cm의 메쉬 사이즈(21)를 갖는 보강 그리드(20)에 의도된다. 그러므로 서포트 면의 외형은 20*20 cm의 정사각형보다 크다. 이 방식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그리드가 스페이서 상에 어떻게 포지셔닝되는지에 관계없이 항상 보강 그리드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어긋나게 정렬된(misaligned) 스페이서에 기인하여 보강 그리드는 떨어질 수 없을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복수의 서포트 지점에서 보강 그리드를 항상 지지할 것이고,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와 보강 그리드의 포지션 간의 관계에 무관하게, 보강 그리드 및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항상 복수의 서포트 지점을 가질 것이다.
도 6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1)의 스택(13)을 나타낸 것이다. 스페이서의 스택 더미는 이송 및 저장 동안 공간을 절약한다. 스페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특정한 용기에서 스택될 수 있다. 도시된 용기(40)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스택(13)을 홀드하도록 된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판매되고 용기 내로 이송될 수 있거나, 작업 위치에서 용기에 놓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는 의도된 사용에 의존하여 예를 들어 플라스틱, 카드보드, 골판지 또는 심지어 금속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충 시스템(replacement system)의 일종으로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기는 필링 스테이션에서 채워지고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그라운드 면에 분배되는 작업 지점으로 옮겨진다. 용기는 그후 리필을 위하여 필링스테이션으로 복귀한다. 이 방식에서, 비용 효과적인 이송 시스템이 얻어진다. 용기는 또한 하나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스페이서 스택으로부터 릴리스하기 위한 릴리스 기구(41)에 실장될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릴리스는 예를 들어 레버(42)를 사용하여 작업자에 의해 손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사용자는 용기를 들고 걸어다닐 수 있으며 적절한 위치에서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릴리스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정확한 공간을 규정하는 규제가 없기 때문에, 스페이서가 어디에 위치하는 것에 대한 결정은 종종 사용자의 경험에 의한다. 이 타입의 릴리스 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보강 그리드가 적절한 지지를 받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7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와 같은 적층가능 보강 스페이서를 분배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더 장치(3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스택(13)을 갖고 있는 휴대용 피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피더 장치(30)는 걸어다니면서 홀딩하고 한 손으로 피더 장치를 작동시키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의도된다. 피더 장치는 가늘고 길며 로드 또는 유사한 요소가 될 수 있는 바디(36)을 포함한다. 바디의 외형은 원형이 될 수 있고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형상은 4각, 6각 또는 8각과 같은 대칭형이나, 3각형 또는 5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도 또한 가능하다. 대칭 형상은 바디의 형상이 적층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내부 중앙 개구(7)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대칭 혀앙은 피더 장치에 스페이서의 로딩을 편리하게 한다.
피더 장치는 하나의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릴리스하기 위한 릴리스 기구(31) 및 피더 장치를 홀드하기 위한 핸들(33)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피더 장치는 릴리스 기구(31)를 작동시키기 위한 릴리스 그립(32)를 포함한다. 피더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핸들로 홀드된다. 사용자는 핸들 및 릴리스 그립을 서로 앞쪽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릴리스 기구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움직임은 피더 장치의 하단에 있는 릴리스 기구(31)를 작동시킨다. 다른 방식으로 릴리스 기구를 작옹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한 예로, 릴리스 기구는 하중 스프링(spring-loaded)이고 릴리스 기구는 핸들을 빠르게 위로 당김에 의해 작동되된다. 이러한 당김 행위는 하중 스프링 릴리스 기구의 스프링 힘을 극복할 것이고, 단일 스페이서를 릴리스할 것이다. 다른 예로, 릴리스 기구는 레버를 작동하는 것에 의해 작동되고, 이는 와이어에 의한 릴리스 기구를 차례로 작동시킨다.
릴리스 기구(31)는 제1 릴리스 수단(38) 및 제2 릴리스 수단(39)를 구비한다. 제1 릴리스 수단(38) 및 제2 릴리스 수단(39)는 유사하고, 제2 릴리스 수단(39)은 수직 방향으로 제1 릴리스 수단 상에 배치된다. 제1 릴리스 수단과 제2 릴리스 수단의 거리는 2개의 적층된 스페이서 간의 간격과 일치한다. 이 방식에서, 단일 스페이서는 릴리스 기구가 작동될 때 릴리스될 수 있다. 제1 릴리스 수단(38)은 단일 스페이서 아니면 모든 스페이서를 홀드하도록 되는 제1 위치(34)에 배치된다. 제2 릴리스 수단(39)은 남아있는 복수의 스페이서 스택을 홀드하도록 되는 제2 위치(35)에 배치된다.
릴리스 수단(38,39)는 그들이 홀드 위치에 있을 때 바디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한 예로, 제1 릴리스 수단은 바깥쪽으로 돌출될 것이고, 릴리스 기구가 유휴(idle)일 때 모든 스페이서를 홀드할 것이다. 여기서는 핸들 및 릴리스 그립을 서로 당김에 의해 릴리스 기구가 작동할 때, 제2 릴리스 수단(39)는 바깥쪽으로 돌출될 것이고, 제2 릴리스 수단은 스페이서들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릴리스 기구를 추가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릴리스 수단(38)은 바디와 정렬되고 단일의 스페이서가 릴리스되도록 복귀(retract)할 것이다. 나머지 스페이서들은 이제 제2 릴리스 수단(39)에 의해 홀드될 것이다. 릴리스 기구를 릴리스, 즉 핸들 및 릴리스 그립이 서로 서로로부터 유휴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하기 위해 릴리스 그립을 릴리스 하는 것에 의해, 제1 릴리스 수단은 바깥쪽으로 돌출될 것이고, 모든 스페이서를 홀드할 수 있을 것이다. 리턴 스프링(37)은 유휴 위치에 릴리스 그립을 복귀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모든 스페이서를 홀드하고 있는 제2 릴리스 수단은 복귀하여 모든 스페이서가 제1 위치로 떨어지고 그들은 제1 릴리스 수단에 의해 홀드된다.
다른 예로, 제1 릴리스 수단(38)은 1차 복귀할 것이고 그리하여 릴리스 기구가 작동할 때 바디와 정렬된다. 이 방식에서 단일 스페이서는 릴리스될 것이고 제1 위치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릴리스 그립을 추가로 작동하는 것에 의해, 제1 릴리스 수단은 다시 돌출할 것이고 그리하여 제2 릴리스 수단은 복귀할 것이고 스페이서 스택이 제2 위치로부터 릴리스된다. 스페이서 스택은 떨어질 것이고 그리하여 제1, 스택에 있는 가장 아래의 스페이서가 제1 위치에 도달할 것이고 제1 릴리스 수단에 의해 홀드될 것이다. 다른 스페이서들은 릴리스 그립이 다시 릴리스될 때까지 제1 스페이서 상에 지탱할 것이다. 리턴 스프링(37)은 유휴 위치에 릴리스 그립이 복귀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릴리스 수단이 다시 돌출되는 것을 유발할 것이고, 그래서 남아있는 스페이서 스택을 홀드한다. 제1 릴리스 수단은 이제 단지 최하부 스페이서를 홀드할 것이다. 릴리스 그립의 다음 작동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1 릴리스 수단에 의해 홀드된 단일 스페이서는 릴리스 될 것이고 단일 스페이서의 로딩이 반복된다.
스페이서 스택에 있는 모든 스페이서가 릴리스되었을 때, 새로은 스페이서 스택이 피더 장치 상에 로딩된다. 이는 릴리스 그립을 피드인 위치(feed-in position)까지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되고, 양 릴리스 수단은 동시에 복귀하거나 느슨하게 된다. 이것은 양 릴리스 수단이 외측 바디 면에 정렬되도록 해주고, 그리하여 피더 장치가 새로운 스페이서 스택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피더 장치가 스페이서 스택에 삽입될 때, 릴리스 그립은 피드인 위치로부터 복귀하고, 그리하여 스페이서 스택이 피딩 장치에 의해 홀드된다. 사용자는 이제 스페이서 분배를 계속할 수 있다.
피더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만, 릴리스 수단이 스페이서를 스페이서의 내부 서포트 면, 예를 들어 내부 림 상에 홀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에서,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휴대용 피더 장치가 얻어진다. 릴리스 수단은 느슨해지거나 부하스프링이 될 수 있는 볼 또는 캐치(catch)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스 그립의 작동은 로드나 와이어에 의해 릴리스 기구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더 장치가 새로운 스페이서 스택에 삽입될 때 복귀하도록 릴리스 수단은 부하 스프링이 되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릴리스 그립을 피드인 위치에 제공하는 장점은 모든 스페이서를 동시에 릴리스하기 쉽다는 것이고, 예를 들어 종료된 또는 다른 사이즈가 사용될 때 스페이서 분배를 할 수 있다.
도 10은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용 피더 장치(50)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피더 장치(50)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의도된 반자동 피더이다. 피더 장치는 바퀴달린 카트와 닯았으며 바디(57) 및 적어도 하나의 릴리스 기구(51)를 구비한다. 릴리스 기구(51)는 용기(40)에 실장되는 릴리스 기구(41)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홀딩 및 릴리스하기 위한 외측 림을 사용하도록 되어진 다른 타입의 릴리스 기구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52) 및 휠(56) 상의 피더 롤에 의해 피더 장치를 당기거나 민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릴리스 레버(55) 사용에 의해 손으로 릴리스되거나 미리 정해진 간격에 있는 스페이서를 릴리스하여 스페이서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포지셔닝되도록 할 수 있다. 피더 장치의 릴리스 위치 간의 거리는 다이얼 등등으로 세팅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피더 장치는, 피더 장치의 각 사이드에 하나씩, 2개의 릴리스 기구를 구비한다. 릴리스 기구 간의 거리는 조정될 수 있어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측면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한 타입의 보강 그리드에 대한 적합한 거리는 0.7~1.3미터의 간격에 있다. 적층된 스페이서(130)는 상기로부터 피더 장치의 홀더(53)에 놓인다. 스페이서는 용기로부터 홀더 내로 로딩될 수 있다. 홀더로서 용기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스페이서는 릴리스 기구로부터 아래족으로 릴리스된다. 피더 장치는 의도된 사용에 의존하여 2개 이상의 휠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피더 장치는 4개의 휠을 포함하지만, 수동으로 당겨지는 피더 장치에 대하여는 2개의 휠도 충분하다. 도시된 피더 장치는 또한 바디(57) 상에 구비되고 추가의 스페이서 스택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 영역(54)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 있는 스페이서들은 릴리스 레버(55)를 당김에 의해 릴리스된다. 피더의 각 사이드 상에 복수의 릴리스 기구를 갖는 피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으며, 제1 릴리스 기구가 비었을 때 하나의 릴리스 기구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분배를 계속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피더의 재로딩이 간소화된다.
릴리스 기구는 한 예로 피더 장치의 휠(56)에 연결되어, 릴리스 위치 간의 거리가 쉽게 설정될 수 있다. 목적하는 거리를 얻기 위해 휠에 직접 연결되는 기계적 카운터, 예를 들어 릴리스 기구 상에 레버를 치는 축방향 이동 탭(axially movable tap) 또는 전자 회전 센서(electronic rotation sensor)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거리 후, 피더 장치가 스페이서를 그라운드로 드롭한다.
피더 장치의 하나의 장점은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를 분배하는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인 장점은 사용자에 대한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가 놓이는 매 시간 구부려야만 한다. 피더 장치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바로서서 걸을 수 있다.
반자동 피더가 아마도 더 비용 효율적이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에도, 피더 장치가 완전 자동으로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피더 장치는 자주식이고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르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어, 스페이서가 넓은 면적에서 자동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자동 피더 장치의 가이드는 예를 들어 레이저 또는 차동 GPS 시스템과 같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 가이드 시스템으로, 피더 장치가 비었을 때 피더 장치를 필링 스테이션으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방식에서, 피더 장치는 매우 큰 면적 상에 그리고 무인 밤샘에 사용될 수 있다.
휠의 회전을 측정하고 경로를 따르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피더 장치가 외부 가이드 시스템없이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르도록 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간단한 피더 장치 가이드 시스템은 휠의 미끄러짐에 대한 보상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잘 포장된 그라운드에 적합할 수 있다.
자동 피더 장치를 프로그래밍하는 한가지 방법은 건축물 도면(construction drawing)을 피더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도입하는 것이다. 제어 시스템은 스페이서를 어디에 놓을 지를 연산하고 준비가 되었을 때, 사용자가 시작 버튼을 누를 수 있고 피더 장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스페이서 분배를 시작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많은 추가의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 있다.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어떠한 사이즈도 가질 수 있으며 어떠한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형상 또한 가능하다.
1: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2: 하부 베어링 면
3: 제1 서포트 면
4: 외측벽
5: 외측 림
6: 제1 서포트 면
7: 중앙 개구
8: 아치 모양 벽
9: 하부 개구
10: 외측 둘레(외주)
11: 내측벽
12: 리지(Ridge)
13: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스택
14: 내부 림
20: 보강 그리드
21: 메쉬
30: 피더 장치
31: 릴리스 기구
32: 릴리스 그립
33: 핸들
34: 제1 위치
35: 제2 위치
36: 바디
37: 리턴 스프링
38: 제1 릴리스 수단
39: 제2 릴리스 수단
40: 용기(Magazine)
41: 릴리스 기구
42: 레버
50: 피더
51: 릴리스 기구
52: 핸들
53: 홀더
54: 저장 영역
55: 레버
56: 휠
57: 바디

Claims (31)

  1. 피더 장치의 바디가 스페이서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맞추고 피더 장치의 릴리스 기구(Release mechanism)가 스페이서를 릴리스하는 피더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화된 분배(automated distribution)에 적용되고, 보강 그리드(20)를 지지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1)로서, 상기 파운데이션 스페이서(1)는 콘크리트용 파운데이션 서포트 면 상에 놓이는 하부 베어링 면(lower bearing surface)(2), 복수의 컨택 위치에서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 제1 서포트 면(3), 및 상기 하부 베어링 면(2)을 상기 제1 서포트 면(3)에 연결하는 외주 측벽(4)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 측벽(4)은 하부 베어링 면(2)에서 제1 서포트 면(3)으로 각도 α를 가지고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제1 서포트 면(3)의 형상이 지지되는 보강 그리드(20)에 있는 메쉬(21)보다 크며, 상기 파운데이션 스페이서(1)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자동화된 분배에 사용되는 중앙 개구(7)를 포함하고,
    상기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상기 보강 그리드를 지지하는 제2 서포트 면(6) 및 상기 하부 베어링 면(2)을 상기 제2 서포트 면(6)에 연결시키는 내측벽(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11)은 하부 베어링 면(2)에서 상기 제2 서포트 면(6)으로 각도 β를 가지고 안쪽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외형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외형이 120도의 분기 각도(dividing angle)를 갖는 3개의 반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트 면이 외측 확장 외측 림(outwardly extending outer rim)(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트 면이 내측 확장 내측 림(inwardly extending inner rim)(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상기 외주 측벽(4)과 내측벽(11)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벽(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는 외주 측벽 및/또는 내측벽(4, 11)의 내측 상에, 복수의 파운데이션이 적층될 때 다른 파운데이션 스페이서의 베어링 면(2)을 지지하는 복수의 리지(ridge)(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1)를 분배하는데 적용되는 피더 장치(30)로서, 상기 피더 장치(30)는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들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복수의 적층가능 파운데이션 스페이서들(1)을 지지하기 위한 바디(36), 그 때 하나의 보강 스페이서(1)를 릴리스하기 위한 릴리스 기구(31) 및 피더 장치(30)를 홀드하기 위한 핸들(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장치는 손으로 상기 릴리스 기구을 작동시기키 위한 릴리스 그립(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기구(31)은 하중 스프링(spring-loaded)이고 릴리스 기구는 릴리스 기구의 스프링의 힘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프링 핸들(33)을 위로 당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6)는 종방향 로드(longitudinal ro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6)의 외형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기구(31)은 제1 위치(34)에 있는 제1 릴리스 수단(38) 및 제2 위치(35)에 있는 제2 릴리스 수단(3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기구가 홀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릴리스 수단(38)은 하나의 스페이서를 홀드하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릴리스 수단(39)은 하나를 제외한 모든 스페이더를 홀드하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기구가 홀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릴리스 수단(38)은 모든 스페이서들을 홀드하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릴리스 수단(39)은 복귀(retrac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제1 위치(34)와 제2 위치(35) 간의 거리가 2개의 적층된 스페이서들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기구가 스페이서를 릴리스하도록 작동될 때 상기 릴리스 기구는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제1 위치(34)로부터 릴리스되도록 상기 제1 릴리스 수단(38)을 1차 복귀시키고, 상기 제1 릴리스 수단을 돌출시키고 그 후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제2 위치(35)로부터 상기 제1 위치(34)로 릴리스되도록 상기 제2 릴리스 수단(39)을 복귀시키도록 배열되는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기구가 스페이서를 릴리스하도록 작동될 때 상기 릴리스 기구는 먼저 상기 제2 위치(35)에서 하나를 제외한 모든 스페이서를 홀드하도록 상기 제2 릴리스 수단(39)을 돌출시키고 이후 하나의 스페이서가 제1 위치(34)로부터 릴리스되도록 상기 제1 릴리스 수단(38)을 복귀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릴리스 수단이 스페이서를 홀드할 때 각각의 릴리스 수단(38,39)이 상기 바디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장치는 양 릴리스 수단(38,39)을 복귀시키도록 된 피드-인 위치(feed-in position)를 구비하여, 그들이 바디에 동시에 얼라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57009429A 2012-09-11 2013-09-10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KR102173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251020-2 2012-09-11
SE1251020A SE538843C2 (sv) 2012-09-11 2012-09-11 Staplingsbar fundamentdistans samt magasin för sådana distanser
SE1350832-0 2013-07-03
SE1350832A SE539162C2 (sv) 2013-07-03 2013-07-03 Mataranordning för staplingsbara armeringsdistanser
PCT/SE2013/051047 WO2014042577A1 (en) 2012-09-11 2013-09-10 Foundation spa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790A KR20150084790A (ko) 2015-07-22
KR102173186B1 true KR102173186B1 (ko) 2020-11-02

Family

ID=5027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429A KR102173186B1 (ko) 2012-09-11 2013-09-10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359764B2 (ko)
EP (1) EP2904172B1 (ko)
JP (1) JP6240675B2 (ko)
KR (1) KR102173186B1 (ko)
AU (1) AU2013316153B9 (ko)
BR (1) BR112015005182A2 (ko)
CA (1) CA2883925C (ko)
DK (1) DK2904172T3 (ko)
EA (1) EA029530B1 (ko)
ES (1) ES2953375T3 (ko)
FI (1) FI2904172T3 (ko)
IN (1) IN2015DN02825A (ko)
NZ (1) NZ706454A (ko)
PL (1) PL2904172T3 (ko)
WO (1) WO2014042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9162C2 (sv) * 2013-07-03 2017-04-25 Innovativ Plast I Väst Ab Mataranordning för staplingsbara armeringsdistanser
SE539746C2 (en) * 2015-07-08 2017-11-14 Innovativ Plast I Väst Ab Stackable wall spacer for supporting a reinforcement grid in concrete constructions
NL1041505B1 (en) * 2015-10-07 2017-04-26 Wavin Bv Inspection chamber for a pipe structure for drainage or sewerage.
AU2018206763B2 (en) * 2018-04-08 2020-06-25 Aus Chairs Pty Ltd Reinforcing Spac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1078A1 (de) * 1978-05-13 1979-11-22 Hellco Metallwarenfabrik Hans Abstandhalter fuer bewehrungsmatten
US20060027592A1 (en) * 2004-06-17 2006-02-09 Flamingo Angelo L Marker holder and dispensing device
KR100939120B1 (ko) * 2007-06-22 2010-01-28 (유)선일건설 철근 지지 스페이서
WO2010068995A1 (en) * 2008-12-18 2010-06-24 Veal Businesses Pty Ltd Installing bar chairs
JP2011026876A (ja) * 2009-07-28 2011-02-10 Sekisui Techno Seikei Kk 配筋用スペーサ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9911A (en) * 1932-11-21 1934-11-06 Erich O Steudel Cake plate
NL147503B (nl) 1970-02-12 1975-10-15 Attema Kunststoffenind Stapelbare afstandhouder voor gewapend beton.
SE7116444A0 (sv) * 1971-12-22 1973-06-25 Sandqvist Sune Allan Fixerings- och distanshållningsanordning för armeringsstänger
US3821426A (en) * 1972-04-27 1974-06-28 Procter & Gamble Package of frangible connectible products and means for retaining crumbs thereof
JPS5220115Y2 (ko) * 1972-05-29 1977-05-10
SE364337B (ko) * 1972-06-26 1974-02-18 C O Malmen
AT316091B (de) * 1972-08-30 1974-06-25 August Keller Abstandhalter für Betonarmierungen
DE2556507A1 (de) * 1975-12-16 1977-06-30 Huebner Handel Huewa Abstandhalter zum stuetzen von bewehrungen in betonbauteilen und dergleichen
DE2649345A1 (de) 1976-10-29 1978-05-03 Herbert Weisener Montagegeraet zum befestigen von abstandhaltern an baustahlarmierungseisen
US4211327A (en) * 1978-06-29 1980-07-08 Pinckney Molded Plastics, Inc. Stack and nest container
US4974244A (en) * 1988-08-04 1990-11-27 Angelo M. Torrisi Sample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for X-ray spectroscopic analysis
US5291715A (en) * 1991-01-25 1994-03-08 Basile Frank M Suspension device for concrete reinforcements
US5791095A (en) * 1995-01-12 1998-08-11 Sorkin; Felix L. Chair for use in construction
US5729949A (en) 1996-09-09 1998-03-24 Hartzheim; G. Douglas Slab on grade chair
US6282860B1 (en) * 1998-05-08 2001-09-04 Jose G. Ramirez Wire mesh support
AU2003200226A1 (en) 2002-02-22 2003-09-11 Ezychair Pty Ltd Reinforcement supports and their installation
US8505772B2 (en) * 2004-07-27 2013-08-13 New Rule Products, Inc. Ferrule package and method of packaging and loading ferrules
US20100024346A1 (en) * 2008-07-31 2010-02-04 Strahin Kiel E Reinforcement bar support
US9057544B2 (en) * 2009-02-20 2015-06-16 Elie Rothschild Solar panel mounting system
US8345411B2 (en) * 2010-05-21 2013-01-0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upport member
ES1074576Y (es) 2011-03-23 2011-08-23 Villena Antonio Rico Separador para armaduras de hierr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1078A1 (de) * 1978-05-13 1979-11-22 Hellco Metallwarenfabrik Hans Abstandhalter fuer bewehrungsmatten
US20060027592A1 (en) * 2004-06-17 2006-02-09 Flamingo Angelo L Marker holder and dispensing device
KR100939120B1 (ko) * 2007-06-22 2010-01-28 (유)선일건설 철근 지지 스페이서
WO2010068995A1 (en) * 2008-12-18 2010-06-24 Veal Businesses Pty Ltd Installing bar chairs
JP2011026876A (ja) * 2009-07-28 2011-02-10 Sekisui Techno Seikei Kk 配筋用スペー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904172T3 (da) 2023-07-31
US20150218816A1 (en) 2015-08-06
EP2904172A4 (en) 2016-08-03
JP2015533961A (ja) 2015-11-26
BR112015005182A2 (pt) 2017-08-22
ES2953375T3 (es) 2023-11-10
KR20150084790A (ko) 2015-07-22
IN2015DN02825A (ko) 2015-09-11
EP2904172B1 (en) 2023-06-07
AU2013316153B2 (en) 2017-02-23
JP6240675B2 (ja) 2017-11-29
CA2883925A1 (en) 2014-03-20
WO2014042577A1 (en) 2014-03-20
NZ706454A (en) 2017-03-31
US9359764B2 (en) 2016-06-07
AU2013316153A1 (en) 2015-04-02
EA201590536A1 (ru) 2015-06-30
EA029530B1 (ru) 2018-04-30
EP2904172A1 (en) 2015-08-12
FI2904172T3 (fi) 2023-07-31
CA2883925C (en) 2020-04-07
PL2904172T3 (pl) 2023-10-16
AU2013316153B9 (en) 2017-06-29
CN104822887A (zh)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186B1 (ko) 파운데이션 스페이서
CN107735535B (zh) 用于支承混凝土建筑中的加固件的可堆叠的墙壁间隔件
CN104822887B (zh) 地基间隔件
EP3017124B1 (en) Feeder device
SE538843C2 (sv) Staplingsbar fundamentdistans samt magasin för sådana distanser
NZ738091B2 (en) Stackable wall spacer for supporting reinforcement in concrete constru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