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442B1 - 항두막음 장치 - Google Patents

항두막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442B1
KR100685442B1 KR1020050130383A KR20050130383A KR100685442B1 KR 100685442 B1 KR100685442 B1 KR 100685442B1 KR 1020050130383 A KR1020050130383 A KR 1020050130383A KR 20050130383 A KR20050130383 A KR 20050130383A KR 100685442 B1 KR100685442 B1 KR 10068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spacer
concrete pile
suppor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병 균 임
임상훈
Original Assignee
병 균 임
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병 균 임, 임상훈 filed Critical 병 균 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두막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말뚝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주벽부에서 강선이 노출되도록 하는 장치와 별도의 연결철근을 사용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전자의 장치는 강선을 노출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콘크리트 말뚝의 강도를 저하시킬 염려가 있으며, 후자의 장치는 받침판의 지지가 견고하지 않게 되어 연결철근의 지지상태가 미흡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상단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을 콘크리트 말뚝에 지지하는 막음판 지지수단과; 상기 중공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중공부 상단으로 돌출되며 그 하단이 상기 막음판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철근과; 상기 연결철근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과; 상기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상단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철근의 중단부를 지지하여 연결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기초바닥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말뚝을 정밀한 상태로 일체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항두막음 장치{Device for Blocking Hollow of Precast Concrete Pile}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상태 저면 사시도,
도 4는 막음판의 사시도,
도 5는 막음판과 막음판 지지수단의 결합 과정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9는 막음판과 연결철근의 결합상태 확대 종단면도,
도 10은 막음판 지지수단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시공과정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상태 저면 사시도,
도 15는 막음판의 사시도,
도 16은 막음판과 막음판 지지수단의 결합 과정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7은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20은 막음판과 연결철근의 결합상태 확대 종단면도,
도 21은 막음판 지지수단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시공과정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막음판 200, 700 : 막음판 지지선재
220, 740 : 걸침고리 230, 750 : 연결보스
300 : 연결철근 400 :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
410 : 조임돌기 500, 800 : 스페이서
510, 810 : 스페이서 몸체 520, 820 : 동심유지용 지지부
530 : 연결철근중단 지지부 600, 900 : 스페이서 지지편
본 발명은 항두막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두에 삽입되는 연결철근을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기초바닥 타설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항두막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건축구조물을 건설하는 경우 터파기를 한 다음, 콘크리트 말뚝을 타입 설치하여 지상구조물의 하중이 콘크리트 말뚝을 통하여 지지층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말뚝은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주벽부와, 이 콘크리트 주벽부에 매설된 강선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말뚝을 타입 설치한 후에는 콘크리트 말뚝용 상단부 일정 부위(대략 30cm)의 콘크리트 주벽부를 제거하여 콘크리트 주벽부에 매설된 강선이 30cm정도 노출되도록 하고, 노출된 강선에 항두막이를 결속한 후 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 상단부위(약 15cm)에 콘크리트(C급 콘크리트)를 채워 콘크리트 말뚝 상단을 막은 다음 기초철근을 배근하여 기초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종래 콘크리트 말뚝의 콘크리트 주벽부에 매설된 강선의 상단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주벽부를 제거하는 과정은 콘크리트 말뚝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구멍을 뚫는 단계, 구멍의 상부를 절단해내는 단계, 콘크리트 주벽부의 주위를 커팅하는 단계, 커팅된 부위의 윗부분을 파쇄기로 절취하여 강선이 노출되도록 하 는 단계 및, 날망치로 정다듬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또한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상단 부위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과정에서는 막이캡의 받침판을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상단에서 일정한 깊이로 삽입하고 받침판을 복수개의 고정철선으로 상기 강선에 결속하여 지지하는 단계와, 터파기된 바닥면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받침판의 상부의 중공부에 막음 콘크리트를 채우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이후, 기초바닥 철근을 배근한 다음, 기초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 말뚝의 상단 중공부가 막음 콘크리트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기초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생콘크리트가 중공부로 흘러들어가서 그 부위에서 함몰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강선이 노출되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강선과 콘크리트 말뚝 상단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여러 장비와 공구를 사용하여 여러 단계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그 작업과정에서 충격에 의하여 콘크리트 말뚝의 상단이 손상되고 수직 균열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말뚝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등 내구성 유지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선이 손상되었을 경우 콘크리트 말뚝과 기초바닥 콘크리트가 일체로 작용하지 않아 수평하중에 의한 내진에 심각한 문제를 드러내게 된다.
또한 막이캡을 설치함에 있어서도 고정철선의 하단을 받침판의 가장자리에 결속하고 그 상단에 고리를 만들어 강선에 걸어서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받침판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아 중공부 내면과 받침판의 외주부 사이 틈새로 막음 콘크리트가 흘러내려가게 되어 콘크리트 채움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콘크리트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 문제점 중 막이캡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0186133호와 같은 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 막이캡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의 막이캡을 사용하더라도 강선을 노출시키는 작업과 관련한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 20-0400702호와 같이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를 가로막는 캡과, 이 캡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콘크리트 말뚝의 상단에 얹혀지는 제1 지지판과, 캡과 제1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지지판 및, 캡과 제1, 제2 지지판에 지지되는 철근으로 구성된 기초공사용 파일의 캡 조립체가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말뚝은 형틀에 강선망을 거치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형틀을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콘크리트의 충전이 이루어져 일정한 살두께의 주벽부와 중공부를 가지도록 성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레이턴스가 콘크리트 말뚝 내부에 침전, 응고되어 있어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캡과 제2 지지판을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에 삽입하는 작업이 여의치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캡은 강판을 사용하여 가장자리를 찢어서 변형되도록 한 것이므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누출되며, 레이턴스가 침전, 응고된 중공부 형상에 따라 자유로이 변형되지 않아 찌그러짐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페이스트의 누출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판으로 된 캡과 제1 및 제2 지지판에 철근을 용접하여 결합하는 것이므로 용접열에 의해 철근의 강도가 급격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철근이 녹으면서 철근단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지지판은 콘크리트 말뚝의 상단면에 단순히 얹혀지는 것이므로 콘크리트 말뚝 상단면과 제1 지지판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며, 이 공극 내에 콘크리트의 완벽한 충전이 되지 않아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의한 침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강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체 중량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출원인)는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10-2005-0110608호의 항두막음 장치를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다.
위 출원발명의 항두막음 장치는 받침판이 연결철근을 통해 연결철근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지지대에 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연결철근과 막음 콘크리트의 하중이 온전히 받침판에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받침판이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의 정위치로 유지되지 못하고 밑으로 내려가게 되는 경우 막음 콘크리트의 타설과 연결철근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철근의 지지상태가 불안정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막음 콘크리트 타설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막음 콘크리트 타설은 작업자가 각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채워 넣어 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별도의 공기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철근을 받침판과 지지대에 지지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쐐기를 박아 넣어야 하므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이 번거롭게 되며,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부적정 시공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받침판과 지지대 및 쐐기 등의 사출성형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말뚝의 강선을 노출시키지 않고 별도의 연결철근을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에 설치함에 있어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도 막음판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연결철근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기초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말뚝이 정밀한 상태로 일체화되도록 한 항두막음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막음 콘크리트의 타설공정을 생략하여 공기가 단축되도록 한 항두막음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막음판과 스페이서 및 연결철근의 조립이 신속, 간편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도록 한 항두막음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항두막음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상단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을 콘크리트 말뚝에 지지하는 막음판 지지수단과; 상기 중공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중공부 상단으로 돌출되며 그 하단이 상기 막음판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철근과; 상기 연결철근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과; 상기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상단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철근의 중단부를 지지하여 연결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두막음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상태 저면 사시도, 도 4는 막음판의 사시도, 도 5는 막음판과 막음판 지지수단의 결합 과정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9는 막음판과 연결철근의 결합상태 확대 종단면도, 도 10은 막음판 지지수단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시공과정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 상단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는 막음판(100)과; 상기 막음판(100)을 콘크리트 말뚝(10)에 지지하는 막음판 지지수단과; 상기 중공부(13)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중공부(13) 상단으로 돌출되며 그 하단이 상기 막음판(100)에 고정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6개)의 연결철근(300)과; 상기 연결철근(3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과; 상기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 상단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지지하여 연결철근(300)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500) 및; 상기 스페이서(500)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막음판(100)은 상기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판부(110)와, 이 원판부(11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절개선(121)에 의해 분할되어 그 외곽 직경이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 내경과 같게 형성되는 절곡편(120)과, 이 절곡편(12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절개선(131)에 의하여 분할되어 그 외곽 직경이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성접촉편(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판부(110)의 하면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1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절곡편(120)은 측면에서 볼 때 원판부(110)의 평면에 대하여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막음판(100)을 중공부(13)에 삽입하였을 때 절곡되면서 각 절곡편(120)이 서로 겹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접촉편(130)들은 각 절곡편(120)과 같은 평면상에 형성되며, 막음 판(100)이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에 삽입될 때 중공부(13)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절곡편(120)이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함과 아울러 자체 탄성에 의하여 중공부(13)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탄성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판부(110)의 외주부와 절곡편(120)의 내주부 사이에는 절곡선(122)이 형성되고, 절곡편(120)의 외주부와 탄성접촉편(130)의 내주부 사이에는 절곡선(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막음판 지지수단은 상기 원판부(1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막음판 지지선재(200)와, 이 막음판 지지선재(200)의 하단에 형성된 탄성후크(210)와, 상기 막음판 지지선재(2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걸침고리(220) 및, 상기 막음판 지지선재(200)의 하단의 탄성후크(210)가 삽입연결이 복수개(도시예에서는 120도 간격으로 3개)의 연결보스(230)로 구성된다.
상기 막음판 지지선재(200)와 걸침고리(220)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걸침고리(220)에는 보강철선(221)이 매립된다. 즉, 막음판 지지선재(200)와 걸침고리(220)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걸침고리(220)에 보강철선(221)을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후크(210)는 한 쌍의 탄성편(211)과, 이들 한 쌍의 탄성편(211)의 하단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후크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후크(210)의 탄성편(211)의 상단부에는 탄성후크(210)가 연결보스(230)에 삽입되었을 때 연결보스(230)의 상단을 감싸는 이탈방지편(214)이 형성된다. 이 이탈방지편(214)은 연결보스(230)의 상단면에 걸리는 멈춤부(214a)와 이 멈 춤부(214a)의 외측단부에서 하향 절곡되는 연결보스(230)의 상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절곡부(214b)로 구성된다.
상기 후크부(212)의 외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고 수평방향으로 좁은 안내돌조(213)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보스(230)의 내주면 상반부에는 안내돌조(213)를 안내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길고 수평방향으로 좁은 후크안내홈(231)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안내홈(231)에 대응하여 상기 후크부(212)와 이탈방지편(214)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고 수평방향으로 좁은 회전방지돌기(215)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안내홈(231)은 탄성후크(210)가 연결보스(2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후크부(212)에 형성된 안내돌조(213)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탄성후크(210)가 연결보스(23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는 회전방지돌기(215)와 함께 탄성후크(210)와 막음판 지지선재(200)의 회전방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안내돌조(213)와 회전방지돌기(215)는 각각 양측 후크부(212)와 양측 탄성편(211) 중 어느 한 쪽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후크안내홈(231)도 연결보스(230)의 어느 한 쪽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탄성후크(210)가 연결보스(230)에 삽입되었을 때 탄성편(211)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탄성후크(210)가 벌어져서 후크부(212)가 연결보스(23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보다 안전한 연결과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한 쌍의 탄성편(211) 사이에 끼워지는 쐐기(2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보스(230)의 상단 내주면은 깔때기형으로 형성하여 탄성후크(210)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보스(230)의 상단에는 탄성후크 (210)의 이탈방지편(214)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돌기(23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철근(300)은 13mm 규격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은 상기 막음판(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의 조임돌기(410)를 가지는 원통형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9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상기 조임돌기(410)들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가상원통의 직경은 상단부에서는 연결철근(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하여 하단부에서는 연결철근(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연결철근(300)을 위에서 아래로 박아 넣었을 때 조임돌기(410)가 연결철근(300)에 의해 눌리면서 쐐기 역할을 하여 연결철근(300)의 하단이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는 그 상단의 내경을 연결철근(300)의 외경보다 크게 하고, 하단의 내경을 연결철근(300)의 외경과 같게 함으로써 연결철근(300)을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박아 넣을 연결철근(300)이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500)는 상기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 내경보다 작은 원에 내접하는 링형의 스페이서 몸체(510)와, 이 스페이서 몸체(510)의 외주에서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13)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동심유지용 지지부(520)와, 상기 스페이서 몸체(510)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연결철근(300)의 중단부가 지지되는 연결 철근중단 지지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몸체(510)는 링형(ring type)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연결철근(300)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각을 가지는 링형, 예컨대 연결철근(300)이 6개인 경우 6각 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심유지용 지지부(520)와 연결철근중단 지지부(530)는 각각 상기 스페이서 몸체(510)의 외주부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동심유지용 지지부(520)와 연결철근중단 지지부(53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서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심유지용 지지부(520)는 스페이서 몸체(510)의 외주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편(521)과, 이 연장편(521)의 선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 내주면에 접촉하는 접촉편(5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편(522)의 하단 모서리 부분은 스페이서(500)를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에 삽입할 때 중공부(13) 내주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따기부(52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철근중단 지지부(530)는 스페이서 몸체(510)의 내주측에서 연장되어 연결철근(3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탄성지지편(531)과, 이 탄성지지편(531)의 개구부측에 형성되어 탄성부(531)에 삽입된 연결철근(30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멈춤돌기(532)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지지편(531)의 자유단부에는 이 탄성지지편(510)에 대하여 T자형으로 연장되어 연결철근(300)을 안내하는 연결철근중단 안내편(533)이 형성된다. 상 기 연결철근중단 안내편(533)의 내측단부는 연결철근(300)의 원활한 안내를 위하여 만곡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지지수단은 상기 걸침고리(220)의 하단에서 콘크리트 말뚝(1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스페이서 지지편(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지지편(600)은 상기 막음판 지지선재(200)와 걸침고리(2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에 의한 항두막음 과정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막음판(100), 막음판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막음판 지지선재(200), 연결철근(300), 스페이서(5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막음판 지지선재(200)의 하단을 막음판(100)에 연결하고, 연결철근(300)을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원통형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스페이서(500)의 연결철근중단 지지부(530)에 끼워 지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막음판(100)과 막음판 지지선재(20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5와 같이 막음판 지지선재(200)의 하단에 형성된 탄성후크(210)를 막음판(100)에 형성된 연결보스(230)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 관통시켜 탄성후크(210)의 후크부(212)가 연결보스(230)의 하단에 걸리도록 한다.
탄성후크(210)를 연결보스(23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후크부(212)에 형성된 안내돌조(213)가 연결보스(230)의 내주면 상반부에 형성된 후크안내홈(231)에 안내되어 연결보스(230)에 대한 탄성후크(21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탄 성후크(210)가 연결보스(2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한 쌍의 탄성편(211)이 안쪽으로 오그라졌다가 후크부(212)가 연결보스(230)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한 쌍의 탄성편(211)이 자체 탄성으로 복원되면서 후크부(212)가 연결보스(230)의 하단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후크(210)가 연결보스(23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탄성후크(210)의 상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편(214)을 구성하는 멈춤부(214a)가 연결보스(230)의 상단에 맞닿게 되고 절곡부(214b)가 연결보스(230)의 상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되어 탄성후크(210)가 연결보스(23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며, 탄성편(211)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215)가 연결보스(230)의 후크안내홈(231)에 삽입되어 수평회전이 방지되므로 탄성후크(210)를 통한 막음판(100)과 막음판 지지선재(200)의 연결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탄성후크(210)가 연결보스(23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이탈방지편(214)의 멈춤부(214a)는 구속돌기(233)의 상단에 걸쳐지게 되고 절곡부(214b)는 구속돌기(233)의 외측면을 감싸게 되면서 이탈방지편(214)이 구속돌기(233)에 의해 구속된다.
한편, 탄성후크(210)는 탄성편(211)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상술한 연결상태가 유지되는데 한 쌍의 탄성편(211) 사이에 쇄기(240)를 끼우는 것에 의하여 보다 안전한 연결과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스페이서(500)의 연결철근중단 지지부(530)에 지지함에 있어서는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탄성지지편(531)과 멈춤돌기(532)의 사 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탄성지지편(531)이 벌어지면서 연결철근(300)이 스페이서 몸체(510)의 내주면과 탄성지지편(531) 사이로 삽입되고, 일단 삽입된 상태에서는 연결철근(300)의 외주면이 멈춤돌기(532)에 걸려서 임의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연결철근(300)을 스페이서 몸체(510)의 내주면과 탄성지지편(531)의 사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탄성지지편(531)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연결철근중단 안내편(533)이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안내하게 되므로 연결철근중단 지지부(530)에 대한 연결철근(30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그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500)는 상기 걸침고리(220)에 형성된 스페이서 지지편(600)에 걸쳐서 스페이서(500)가 밑으로 빠져 들어가는 일이 없도록 지지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항두막음 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말뚝(10)의 항두를 막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의 (a)와 같이 터파기한 바닥(B)에 타입된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를 절단하여 도 11의 (b)와 같이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가 터파기한 바닥(B)에서 110mm정도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종래 기술과는 달리 콘크리트 말뚝(10)의 콘크리트 주벽부(11)와 함께 강선(12)도 절단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절단작업을 완료한다.
즉, 종래 기술에서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구멍을 뚫는 단계, 구멍(1)의 상부를 절단해내는 단계, 콘크리트 주벽부(11)의 주위를 커팅하는 단계 및 날망치로 다듬는 단계를 모두 생략하고 한번의 절단작업으로 진행되므로 그 공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11의 (c)와 같이 조립 완료된 본 발명의 항두막이 장치를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 설치한다.
이때 막음판(100)은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 중공부(13)에 삽입되며, 그 하단에 막음판(100)이 결합된 막음판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걸침고리(220)는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 걸쳐져서 막음판(100)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연결철근(300)은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서 중공부(13) 안으로 400mm 정도 삽입되고,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에서 300mm 정도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막음판(100)은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 중공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접촉편(130)이 중공부(13)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어 마찰저항이 생기게 되고, 제조과정에서 콘크리트 말뚝(10) 내부에 침전된 레이턴스로 인한 부정형의 형상에서도 중공부(13) 내주면의 형상에 따라 도 9와 같이 절곡편(120)과 탄성접촉편(130)이 위로 절곡되면서 중공부(13)에 대한 막음판(100)의 삽입 설치 과정에 원활하게 이루지게 된다.
상기 원판부(110)의 외주부와 절곡편(120)의 내주부 사이에는 절곡선(122)이 형성되고, 절곡편(120)의 외주부와 탄성접촉편(130)의 내주부 사이에는 절곡선(1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곡편(120)과 탄성접촉편(130)들이 절곡선(122,132)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절곡된다.
이때 절곡편(120)들은 도 4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원판부(110)의 평면에 대 하여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에 삽입되어 상방으로 절곡될 때 절곡편(120)들이 서로 겹쳐지면서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절곡편(120)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된다.
다음, 도 11의 (d)와 같이 터파기한 바닥(B)에 버림 콘크리트(30)를 타설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항두막이 장치는 콘크리트 말뚝(10)에 막음판(100)의 지지상태가 막음판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막음판 지지선재(200)와 탄성후크(210) 및 걸침고리(2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막음판(100)의 상부측 중공부(13)에 별도로 막음 콘크리트를 타설할 필요가 없다.
버림 콘크리트(30)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11의 (e)와 같이 버림 콘크리트(30)의 상부에 기초바닥 철근(40)을 배근한다. 이때 기초바닥 철근(40)은 연결철근(300)보다 긁은 철근이 사용된다.
다음, 콘크리트 말뚝(10) 위에 기초바닥 콘크리트(50)를 타설한다.
이때 기초바닥 콘크리트(50)는 막음판(100)의 상부측 중공부(13)에도 채워지게 되어 기초바닥 콘크리트(50)와 콘크리트 말뚝(10), 연결철근(300) 및 기초바닥 철근(40)이 일체화된다.
도 12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상태 저면 사시도, 도 15는 막음판의 사시도, 도 16은 막음판과 막음판 지지수단의 결합 과정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7은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20은 막음판과 연결철근의 결합상태 확대 종단면도, 도 21은 막음판 지지수단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시공과정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는 도 12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 상단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는 막음판(100)과; 상기 막음판(100)을 콘크리트 말뚝(10)에 지지하는 막음판 지지수단과; 상기 중공부(13)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중공부(13) 상단으로 돌출되며 그 하단이 상기 막음판(100)에 고정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6개)의 연결철근(300)과; 상기 연결철근(3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과; 상기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 상단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지지하여 연결철근(300)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800) 및; 상기 스페이서(800)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라는 점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막음판 지지수단과, 스페이서(800) 및 스페이서 지지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을 달리하는 것이다.
상기 막음판(10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막음판 지지수단은 상기 막음판(100)의 원판부(110)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막음판지지선재(700)와, 이 막음판지지선재(7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걸침고리(740) 및, 상기 막음판(100)에 형성되어 막음판지지선재(700)의 하단이 연결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120도 간격으로 3개)의 연결보스(750)로 구성된다.
상기 막음판지지선재(700)와 걸침고리(740)는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막음판지지선재(700)와 걸침고리(740)를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막음판지지선재(700)는 하나의 철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하단이 연결보스(750)에 연결되는 하단철선(710)과, 상단이 상기 걸침고리(740)에 연결되는 상단철선(720) 및, 상기 하단철선(710)과 상단철선(720)을 연결하는 중단철선(730)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철선(710)의 상단과 상단철선(720)의 상, 하단 및 중단철선(730)의 상, 하단에는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711)(721,722)(731,732)가 형성되며, 상기 걸침고리(740)의 하단에는 상단철선(720)의 상측 연결고리(721)에 연결되는 연결고리(74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리(711)(721,722)(731,732)(741)들은 각각 하단철선(710), 상단철선(720)과 중단철선(730) 및 걸침고리(740)를 구성하는 철선들을 절곡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단철선(710), 상단철선(720) 및 중단철선(730)의 연결고리(711)(721,722)(731,732)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속철선(713)(723,724)(733,734)으로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철선(710)의 하단에는 연결보스(750)의 내경보다 큰 굵기를 가지는 걸림부(71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보스(750)는 철선삽입공(75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상기 걸림부(712)가 걸리는 걸림홈(75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철근(300)은 13mm 규격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은 상기 막음판(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의 조임돌기(410)를 가지는 원통형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20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상기 조임돌기(410)들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가상원통의 직경은 상단부에서는 연결철근(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하여 하단부에서는 연결철근(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연결철근(300)을 위에서 아래로 박아 넣었을 때 조임돌기(410)가 연결철근(300)에 의해 눌리면서 쐐기 역할을 하여 연결철근(300)의 하단이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는 그 상단의 내경을 연결철근(300)의 외경보다 크게 하고, 하단의 내경을 연결철근(300)의 외경과 같게 함으로써 연결철근(300)을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박아 넣을 연결철근(300)이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800)는 상기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 내경보다 작은 원에 내접하는 링형의 스페이서 몸체(810)와, 이 스페이서 몸체(810)의 외주에서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13)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동심유지용 지지부(820)와, 상기 스페이서 몸체(810)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연결철근(300)의 중단부가 지지되는 연결철근중단 지지부(830)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몸체(810)는 링형(ring type)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연결철근(300)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각을 가지는 링형, 예컨대 연결철근(300)이 6개인 경우 6각 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심유지용 지지부(820)와 연결철근중단 지지부(830)는 각각 상기 스페이서 몸체(810)의 외주부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동심유지용 지지부(820)와 연결철근중단 지지부(83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서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심유지용 지지부(820)는 스페이서 몸체(810)의 외주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편(821)과, 이 연장편(821)의 선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 내주면에 접촉하는 접촉편(8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편(822)의 하단 모서리 부분은 스페이서(800)를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에 삽입할 때 중공부(13) 내주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따기부(82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철근중단 지지부(830)는 스페이서 몸체(810)의 외주측에서 연장되어 연결철근(3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탄성지지편(831)과, 이 탄성지지편(831)의 개구부측에 형성되어 탄성부(831)에 삽입된 연결철근(30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멈춤돌기(832)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지지편(831)의 자유단부에는 이 탄성지지편(810)에 대하여 T자형으로 연장되어 연결철근(300)을 안내하는 연결철근중단 안내편(83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철근중단 안내편(833)의 내측단부는 연결철근(300)의 원활한 안내를 위하여 만곡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지지수단은 상기 걸침고리(740)의 하단에서 콘크리트 말뚝(1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스페이서 지지편(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지지편(900)은 상기 걸침고리(740)의 연결고리(74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 하단부를 연장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에 의한 항두막음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와 같이 막음판(100), 막음판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막음판 지지선재(700), 연결철근(300), 스페이서(8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 13과 같이 막음판 지지선재(700)의 하단을 막음판(100)에 연결하고, 연결철근(300)을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원통형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스페이서(800)의 연결철근중단 지지부(830)에 끼워 지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항두막음 장치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막음판(100)과 지지선재(70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16과 같이 상기 지지선재(700)의 하단, 즉 하단철선(710)의 하단을 막음판(100)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막음판(100)에 형성된 연결보스(750)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그 하단부를 절곡하여 연결보스(750)의 내경보다 굵은 걸림부(712)를 형성함으로써 하단철선(710)이 연결보스(750)에서 위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연결철근(300)의 하단을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위에서 아래로 박아 넣어 연결철근(300)의 하단이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압입,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조임돌기(410)가 그 내측단을 연결하는 가상원통의 직경은 상단부에서는 연결철근(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연결철근(300)의 하단을 박아 넣는 과정에서 조임돌기(410)가 연결철근(300)에 의해 눌리면서 쐐기 역할을 하여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400)에 대한 연결철근(300)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스페이서(800)의 연결철근중단 지지부(830)에 지지함에 있어서는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탄성지지편(831)과 멈춤돌기(832)의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탄성지지편(831)이 벌어지면서 연결철근(300)이 스페이서 몸체(810)의 외주면과 탄성지지편(831) 사이로 삽입되고, 일단 삽입된 상태에서는 연결철근(300)의 외주면이 멈춤돌기(832)에 걸려서 임의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연결철근(300)을 스페이서 몸체(810)의 외주면과 탄성지지편(831)의 사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탄성지지편(831)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연결철근중단 안내편(833)이 연결철근(300)의 중단부를 안내하게 되므로 연결철근중단 지지부(830)에 대한 연결철근(30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800)는 상기 걸침고리(740)에 형성된 스페이서 지지편 (900)에 걸쳐지게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항두막음 장치를 콘크리트 말뚝(10)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2의 (a)와 같이 터파기한 바닥(B)에 타입된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를 절단하여 도 22의 (b)와 같이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가 터파기한 바닥에서 110mm정도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종래와는 달리 콘크리트 말뚝(10)의 콘크리트 주벽부(11)와 함께 강선(12)도 절단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절단작업을 완료한다.
즉, 종래 기술에서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구멍을 뚫는 단계, 구멍(1)의 상부를 절단해내는 단계, 콘크리트 주벽부(11)의 주위를 커팅하는 단계, 커팅된 부위의 윗부분을 파쇄기로 절취하여 강선(12)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날망치로 다듬는 단계를 모두 생략하고 한번의 절단작업으로 진행되므로 그 공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22의 (c)와 같이 도 13과 같이 조립완료된 본 발명의 항두막음 장치를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 설치한다.
이때 막음판(100)은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 중공부(13)에 삽입되며, 막음판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그 하단에 막음판(100)이 결합된 걸침고리(740)는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 걸쳐져서 막음판(100)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연결철근(300)은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부에서 중공부(13) 안으로 400mm 정도 삽입되고,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14)에서 300mm 정도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막음판(100)은 콘크리트 말뚝(10)의 상단 중공부(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접촉편(130)이 중공부(13)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어 마찰저항이 생기게 되고, 제조과정에서 콘크리트 말뚝(10) 내부에 침전된 레이턴스로 인한 부정형의 형상에서도 중공부(13) 내주면의 형상에 따라 도 20과 같이 절곡편(120)과 탄성접촉편(130)이 위로 절곡되면서 중공부(13)에 대한 막음판(100)의 삽입 설치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원판부(110)의 외주부와 절곡편(120)의 내주부 사이에는 절곡선(122)이 형성되고, 절곡편(120)의 외주부와 탄성접촉편(130)의 내주부 사이에는 절곡선(1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곡편(120)과 탄성접촉편(130)들이 절곡선(122,132)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절곡된다.
이때 절곡편(120)들은 도 15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원판부(110)의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말뚝(10)의 중공부(13)에 삽입되어 상방으로 절곡될 때 절곡편(120)들이 서로 겹쳐지면서 상하방향에서 볼 때 절곡편(120)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된다.
다음, 도 22의 (d)와 같이 터파기한 바닥에 버림 콘크리트(30)를 타설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항두막음 장치는 콘크리트 말뚝(10)에 막음판(100)의 지지상태가 막음판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막음판 지지선재(700)와 걸침고리(740)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막음판(100)의 상부측 중공부(13)에 별도의 막음 콘크리트를 타설할 필요가 없다.
버림 콘크리트(30)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22의 e와 같이 버림 콘크리트(30) 의 상부에 기초바닥 철근(40)을 배근한다. 이때 기초바닥 철근(40)은 연결철근(300)보다 굵은 철근이 사용된다.
다음 콘크리트 말뚝(10) 위에 기초바닥 콘크리트(50)를 타설한다.
이때 기초바닥 콘크리트(50)는 막음판(100)의 상부측 중공부(13)에도 채워지게 되어 기초바닥 콘크리트(50)와 콘크리트 말뚝(10), 연결철근(300) 및 기초바닥 철근(40)이 일체화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항두막음 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 말뚝의 강선을 노출시키지 않고 별도의 연결철근을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에 설치함에 있어서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도 막음판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연결철근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기초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말뚝이 정밀한 상태로 일체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두막음 장치에 의하면, 막음판과 연결철근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별도의 막음 콘크리트의 타설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두막음 장치에 의하면, 막음판과 스페이서 및 연결철근의 조립이 신속, 간편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두막음 장치에 의하면, 막음판과 스페이서와 지지선재를 사출성형하여 조립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상단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을 콘크리트 말뚝에 지지하는 막음판 지지수단과;
    상기 중공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중공부 상단으로 돌출되며 그 하단이 상기 막음판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철근과;
    상기 연결철근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과;
    상기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상단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철근의 중단부를 지지하여 연결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두막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 지지수단은,
    상기 막음판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막음판 지지선재와, 이 막음판 지지선재의 상단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말뚝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걸침고리 및, 상기 막음판에 형성되어 막음판 지지선재의 하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두막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 지지수단은, 상기 막음판 지지선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보스에 삽입 관통되는 탄성후크와, 상기 연결보스의 상단을 감 싸는 이탈방지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두막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 지지선재와 걸침고리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침고리에는 보강철선이 매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두막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근하단 지지수단은, 상기 막음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복수개의 조임돌기를 가지는 원통형 연결철근하단 고정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두막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내경보다 작은 원에 내접하는 링형의 스페이서 몸체와, 이 스페이서 몸체의 외주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동심유지용 지지부와, 상기 스페이서 몸체에 형성되어 연결철근의 중단부가 지지되는 연결철근중단 지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두막음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지지수단은, 상기 걸침고리의 하단에서 콘크리트 말뚝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 몸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두막음 장치.
KR1020050130383A 2005-11-30 2005-12-27 항두막음 장치 KR100685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349 2005-11-30
KR20050115349 2005-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442B1 true KR100685442B1 (ko) 2007-02-26

Family

ID=3810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383A KR100685442B1 (ko) 2005-11-30 2005-12-27 항두막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4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37B1 (ko) 2006-05-02 2008-01-17 병 균 임 항두막이 장치
KR101226948B1 (ko) * 2012-03-07 2013-01-28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선된 구조의 항두 지지대
KR20150036851A (ko) * 2013-09-30 2015-04-08 최성희 파일의 두부보강용 파일캡
KR101527472B1 (ko) * 2013-11-04 2015-06-0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확장공간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영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의 시공방법
KR101681567B1 (ko) * 2015-11-18 2016-12-12 박강호 Phc 말뚝과 강관파일의 합성에 의해 휨모멘트 지배 구간이 보강된 복합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934038B1 (ko) * 2018-07-18 2019-04-05 임병균 파일과 기초판의 연결장치
CN110172913A (zh) * 2019-05-10 2019-08-27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钢吊箱围堰的堵漏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37B1 (ko) 2006-05-02 2008-01-17 병 균 임 항두막이 장치
KR101226948B1 (ko) * 2012-03-07 2013-01-28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선된 구조의 항두 지지대
KR20150036851A (ko) * 2013-09-30 2015-04-08 최성희 파일의 두부보강용 파일캡
KR101627268B1 (ko) 2013-09-30 2016-06-03 최성희 파일의 두부보강용 파일캡
KR101527472B1 (ko) * 2013-11-04 2015-06-0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확장공간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영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의 시공방법
KR101681567B1 (ko) * 2015-11-18 2016-12-12 박강호 Phc 말뚝과 강관파일의 합성에 의해 휨모멘트 지배 구간이 보강된 복합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934038B1 (ko) * 2018-07-18 2019-04-05 임병균 파일과 기초판의 연결장치
CN110172913A (zh) * 2019-05-10 2019-08-27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钢吊箱围堰的堵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437B1 (ko) 항두막이 장치
KR100685442B1 (ko) 항두막음 장치
KR100797002B1 (ko)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GB254749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le head removal
KR101973565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88107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1226948B1 (ko) 개선된 구조의 항두 지지대
KR101441400B1 (ko) 기존 및 신설구조물 기초의 파일보강공법
KR100870865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KR101720744B1 (ko) 강관파일 쉬트부착형 파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공법
KR20090040021A (ko) 중공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용 캡
KR20160130113A (ko) 원컷팅 공법이 적용된 콘크리트 파일의 항두막이 장치
KR101314080B1 (ko) 몰드 케이스 및 트레미관을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시공 방법
KR102272620B1 (ko) 프리캐스트 부재용 간격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KR200432120Y1 (ko) 파일보강캡
KR100661301B1 (ko) 강관말뚝 두부의 속채움 콘크리트 타설용 지지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041565B1 (ko)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KR101021466B1 (ko) 기초공사용 파일캡
KR20120132660A (ko) 파일캡 구조체
KR200449148Y1 (ko) 파일캡
KR101072738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JP6430146B2 (ja) 鋼管被覆コンクリートパイル
KR101392832B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구조
KR101126561B1 (ko) 착탈식 파일 안전캡이 구비된 두부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