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409A - 벽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409A
KR20160030409A KR1020140119593A KR20140119593A KR20160030409A KR 20160030409 A KR20160030409 A KR 20160030409A KR 1020140119593 A KR1020140119593 A KR 1020140119593A KR 20140119593 A KR20140119593 A KR 20140119593A KR 20160030409 A KR20160030409 A KR 20160030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nection
mediating
mediator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희
Original Assignee
정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희 filed Critical 정진희
Priority to KR102014011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0409A/ko
Publication of KR2016003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 채 배치되는 제1 벽체 및 제2 벽체;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과 이웃하는 상기 제2 벽체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 및 상기 제2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연결매개부 및 제2 연결매개부; 및 상기 제1 연결매개부와 상기 제2 연결매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1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채 상기 제1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2 벽체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2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채 상기 제2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체 시스템{partition wall system}
본 발명은 벽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욕실을 구현하는데 적용가능한 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욕실 시공 시 벽면에 설치하는 벽체는 통상적으로, 외곽을 둘러서 사각 형태가 되도록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향하는 프레임 상호간이 프레임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이 이루는 사각 공간에 충진재가 내재되며, 전면에는 타일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조립식 욕실을 구현하기 위해 벽체 상호간을 일정각도로 배치시킨 후 코너부 연결을 위해 금속재 브라켓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금속제 브라켓을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욕실은 나사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고, 그에 따라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시공단가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조립식 욕실을 구현하기 과정에서 상부 벽체과 하부 벽체가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호간이 맞대어지는 부분에 금속판을 이용하여 나사로 고정하고 있으며, 그 작업이 불편하였다.
그러므로, 조립식 욕실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공단가 또한 절감시키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은 조립식 욕실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작업이 불편한 동시에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1. 한국등록실용 제01276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욕실 시공 시 벽체 간의 연결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구현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비용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 채 배치되는 제1 벽체 및 제2 벽체;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과 이웃하는 상기 제2 벽체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 및 상기 제2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연결매개부 및 제2 연결매개부; 및 상기 제1 연결매개부와 상기 제2 연결매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1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채 상기 제1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2 벽체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2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채 상기 제2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상기 제1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이격부, 상기 제1 이격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벽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하는 제1전면접촉부 및 제1 후면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연결매개부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상기 제1 벽체 및 상기 제2 벽체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이격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는, 상기 위치고정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은, 상기 제1 벽체에 적층되어 벽체의 높이를 확장시키는 제3 벽체; 및 상기 제1 벽체의 상측단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3 벽체의 하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 및 상기 제3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적층매개부 및 제3 적층매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적층매개부 및 상기 제3 적층매개부는, 각각 상기 제1 연결매개부 및 상기 제2 연결매개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은, 상기 제2 벽체에 적층되어 벽체의 높이를 확장시키는 제4 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벽체 및 상기 제4 벽체에는 각각 제3 삽입공간 및 제4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3 연결매개부 및 제4 연결매개부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공간, 상기 제2 삽입공간, 제3 삽입공간 및 제4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제2 삽입부, 제3 삽입부 및 제4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부 내지 상기 제4 삽입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벽체 내지 제4 벽체의 연결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상기 제1 전면접촉부 및 상기 제1 후면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의 수용범위를 규정하여 상기 제1 삽입공간의 크기를 기설정된 공간과 대응되도록 안내하는 수용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상기 수용안내부는 상기 제1 전면접촉부와 상기 제1 후면접촉부의 대향면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상기 제1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의 상단 및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에 고정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연결매개부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의 연결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에 의하면, 벽체 간의 연결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구현하여 조립식 욕실의 시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벽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의 돌출을 미연에 방지하여 벽체 시스템이 적용되는 조립식 욕실의 후속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벽체 간의 초기 위치를 정하는데 있어서, 간단한 방법에 의해 구현가능하여 시공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벽체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도록 하여 건축물의 구조 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벽체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1 연결매개부 또는 제2 연결매개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벽체 시스템에 사용되는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벽체 시스템에 사용되는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벽체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1 연결매개부 또는 제2 연결매개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벽체 시스템에 사용되는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100)은 건물의 실내를 구획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립식 욕실을 구현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벽체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벽체 간의 연결을 통해 사각 형태가 되도록 하여 조립식 욕실 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은 벽체 간의 연결이 거의 직각이 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벽체 시스템(100)은 제1 벽체(W1) 및 제1 벽체(W2)가 서로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벽체(W1) 및 상기 제1 벽체(W2) 연결을 위해 연결부(130)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벽체 시스템(100)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예를 들어, 소정의 각도(예: 90도)를 형성한 채 배치되는 제1 벽체(W1) 및 제1 벽체(W2),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W1)에 고정되는 제1 연결매개부(110), 상기 제2 벽체(W2)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2 벽체(W2)에 고정되는 제2 연결매개부(120) 및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와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 벽체(W1) 및 제1 벽체(W2)는 동일한 벽체일 수 있으며, 건물의 실내를 구획하는데 있어서, 현장에서 직접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장이 아닌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서 바로 사용가능한 벽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벽체(W1) 및 상기 제1 벽체(W2)는 강도 내습, 내화 및 차음성능이 우수한 고강도 파이버 패널일 수 있으며, 상기 고강도 파이버 패널은 내습 및 항균처리로 양면에 종이가 없고, 석고와 셀룰로오스 파이버 섬유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 충격에 강한 동시에 습기와 곰팡이를 억제하며, 내화 및 차음성이 향상된 불연성 제품일 수 있다.
즉, 일반석고보드 대비 5배 내지 10배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방수석고보드 대비 내습성 및 발수력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차음석고보드 대비 차음성이 향상된 제품일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고 유해물질의 배출이 거의 제로에 가까운 제품일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매개부(110) 및 제2 연결매개부(120)는 각각 제1 벽체(W1) 및 제2 벽체(W2)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1 벽체(W2)의 연결을 매개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는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 채 상기 제1 벽체(W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는 상기 제1 벽체(W2)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 채 상기 제1 벽체(W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의 제1 벽체(W1)에의 고정 및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의 제2 벽체(W2)에의 고정은 타카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타카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 및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는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고정되는 벽체에 따라 서로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식별번호를 부여하였다.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는,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면 사이에 제1 삽입공간(S1)이 형성되도록 한 채 상기 제1 벽체(W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는, 상기 제2 벽체(W2)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벽체(W2)의 일측면 사이에 제2 삽입공간(S2)이 형성되도록 한 채 상기 제2 벽체(W2)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매개부(110)는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이격부(111), 상기 제1 이격부(11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벽체(W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하는 제1 전면접촉부(113) 및 제1 후면접촉부(1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는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 및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는 제1 벽체(W1)와 제2 벽체(W2)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 상기 제1 벽체(W1)의 모서리 및 상기 제2 벽체(W2)의 모서리 등의 보호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는 제1 전면접촉부(113) 및 제1 후면접촉부(11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의 수용범위를 규정하는 제1 수용안내부(117)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용안내부(117)는 상기 제1 삽입공간(S1)의 크기를 기설정된 공간과 대응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안내부(117)는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에 상기 제1 벽체(W1)를 삽입하는 경우 삽입 정도를 간단하게 컨트롤 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일예로, 상기 제1 전면접촉부(113)와 상기 제1 후면접촉부(115)의 대향면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서로 이격된 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수용안내부(117)은 반드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전면접촉부(113)와 상기 제1 후면접촉부(115)의 대향면을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30)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간(S1)은 제1 벽체(W1)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의 사이에서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가 상기 제1 벽체(W1)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삽입공간(S1)은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면, 상기 제1 전면접촉부(113), 상기 제1 후면접촉부(115) 및 상기 제1 이격부(111)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채 측방이 포위되어 구현되게 된다.
한편, 제1 수용안내부(117)는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제1 삽입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130)와 상기 제1 벽체(W1)의 상기 일측면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제1 삽입공간(S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제1 벽체(W1)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는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벽체(W1)에 장착되는 원리도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는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상단 및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W1)에 고정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는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는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장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결되는 단일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30)는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1 벽체(W2)를 소정의 각도(예: 90도)를 이룬 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제1 벽체(W1)와 제1 연결매개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삽입공간(S1) 및 제2 벽체(W2)와 제2 연결매개부(120)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삽입공간(S2)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31) 및 제2 삽입부(13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삽입부(131)와 상기 제2 삽입부(133)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1 벽체(W2)의 연결을 지지하는 지지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체(W1)와 제1 벽체(W2)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 및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5)는 상기 제1 삽입부(131) 및 상기 제2 삽입부(133)를 소정의 각도인 대략 90도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1 벽체(W2)와 대응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으며, 대략 90도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1 벽체(W2)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삽입부(131)와 상기 제2 삽입부(133)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상기 제1 벽체(W1)를 수용한 채 상기 제1 벽체(W1)에 고정되는 제1 연결매개부(110)는 상기 연결부(130)의 지지부(135)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두께만큼의 여유를 둔 채 상기 제1 벽체(W1)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부(130)의 제1 삽입부(131) 및 제2 삽입부(133)가 각각 제1 삽입공간(S1) 및 제2 삽입공간(S2)에 삽입되어 제1 벽체(W1)와 제2 벽체(W2)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35)의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벽체(W1) 및 상기 제2 벽체(W2)를 건물의 바닥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제1 벽체(W1) 및 상기 제2 벽체(W2)의 상측면에 다른 벽체를 확장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가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다른 벽체와의 들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100)이 조립식 욕실을 구현하는데 적용되는 경우 누수 등의 문제 및 들뜸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누수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방수시트 등을 이용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00)에 의하면, 제1 벽체(W1)와 제1 벽체(W2)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 채 건물의 바닥에 배치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벽체(W1)에 제1 연결매개부(110)를 고정하고, 상기 제2 벽체(W2)에 제2 연결매개부(120)를 고정하는 동시에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벽체 간의 연결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구현하여 조립식 욕실의 시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벽체(W1)와 제2 벽체(W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30)가 상기 제1 벽체(W1) 또는 상기 제2 벽체(W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벽체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조립식 욕실의 후속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벽체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도록 하여 건축물의 구조 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매개부(110) 및 상기 제2 연결매개부(120)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벽체(W1)와 제2 벽체(W2)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제1 벽체(W1) 및 상기 제2 벽체(W2)의 일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는 타일 또는 대리석 등의 표면마감재에 의해 메워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벽체 시스템에 사용되는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200)은 제1 벽체(W1) 및 제2 벽체(W2)의 배치 및 연결부(23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1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벽체(W1) 및 상기 제2 벽체(W2)의 배치 및 연결부(23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200)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예를 들어, 소정의 각도(예: 180도)를 형성한 채 배치되는 제1 벽체(W1) 및 제2 벽체(W2),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W1)에 고정되는 제1 연결매개부(210), 상기 제2 벽체(W2)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2 벽체(W2)에 고정되는 제2 연결매개부(220) 및 상기 제1 연결매개부(210)와 상기 제2 연결매개부(2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를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매개부(210)는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결되는 단일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매개부(220)도 제1 연결매개부(210)와 마찬가지로 단일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30)는 대략 180도, 즉,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벽체(W1) 및 제2 벽체(W2)로 인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연결부(130)와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부(230)의 구성요소인 지지부(235)는 제1 삽입부(231) 및 제2 삽입부(233)를 소정의 각도인 대략 180도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와 대응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35)는 대략 180도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삽입부(231)와 상기 제2 삽입부(233)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300)은 제1 연결매개부(310) 및 제2 연결매개부(320)을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2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연결매개부(310) 및 상기 제2 연결매개부(32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300)은 소정의 각도(예: 180도)를 형성한 채 배치되는 제1 벽체(W1) 및 제2 벽체(W2), 상기 제1 벽체(W1)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W1)에 고정되는 제1 연결매개부(310), 상기 제2 벽체(W2)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2 벽체(W2)에 고정되는 제2 연결매개부(320) 및 상기 제1 연결매개부(310)와 상기 제2 연결매개부(3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매개부(310)는 제1 벽체(W1)의 일측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벽체(W1)에 타카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격부(311))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매개부(320)는 제2 벽체(W2)의 일측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벽체(W2)에 타카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격부(321)에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대응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314) 및 상기 위치고정대응부(324)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를 대략 180도로 배치시키는 경우, 연결부(330)에 의한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의 연결 이전에 상기 제1 벽체(W1)와 상기 제2 벽체(W2)의 초기 위치를 상기 위치고정대응부(324)로의 상기 위치고정부(314)의 삽입으로 간단하게 구현하여 시공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벽체 간의 어긋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고정부(314)는 각각 제1 이격부(311)의 상측단으로부터 하측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반구 등의 형상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대응부(324)는 상기 위치고정부(314)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30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1, W2)를 높이 면에서 확장하는 경우에도 위치고정부(314)를 구비하는 제1 연결매개부(310) 및 위치고정대응부(324)를 구비하는 제2 연결매개부(320)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40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100)을 적층(벽체 높이 확장)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여기서, 제1 벽체(W1)에 제3 벽체(W3)를 적층하기 위해 제1 벽체(W1)의 상측단에는 상기 제1 벽체(W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적층매개부(440)가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벽체(W2)의 하측단에는 상기 제2 벽체(W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 적층매개부(45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적층매개부(440) 및 상기 제2 적층매개부(450)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제1 연결매개부(310) 및 제2 연결매개부(32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적층매개부(440) 및 상기 제2 적층매개부(450)는 제3 벽체(W3)에 제4 벽체(W4)를 적층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벽체(W1) 및 제3 벽체(W3)와 제2 벽체(W2) 및 제4 벽체(W4)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43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연결부(130)의 제1 삽입부(131) 및 제2 삽입부(132)가 상하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500)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200, 300)을 적층(벽체 높이 확장)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제1 벽체(W1) 및 제3 벽체(W3)와 제2 벽체(W2) 및 제4 벽체(W4)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530)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연결부(230)의 제1 삽입부(231) 및 제2 삽입부(232)가 상하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00~500)을 구성하는 벽체 간의 각도는 구현하고자 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00~500)을 이용하여 하나의 조립식 욕실을 구현하려고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의 조합 등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100: 벽체 시스템
110: 제1 연결매개부
120: 제2 연결매개부
130: 연결부
W1: 제1 벽체
W2: 제2 벽체
W3: 제3 벽체
W4: 제4 벽체

Claims (9)

  1.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 채 배치되는 제1 벽체 및 제2 벽체;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과 이웃하는 상기 제2 벽체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 및 상기 제2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연결매개부 및 제2 연결매개부; 및
    상기 제1 연결매개부와 상기 제2 연결매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1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채 상기 제1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2 벽체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2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채 상기 제2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 측에 형성되는 일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이격부, 상기 제1 이격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벽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하는 제1전면접촉부 및 제1 후면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연결매개부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 및 상기 제2 벽체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이격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는, 상기 위치고정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에 적층되어 벽체의 높이를 확장시키는 제3 벽체; 및
    상기 제1 벽체의 상측단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3 벽체의 하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 및 상기 제3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적층매개부 및 제3 적층매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적층매개부 및 상기 제3 적층매개부는, 각각 상기 제1 연결매개부 및 상기 제2 연결매개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체에 적층되어 벽체의 높이를 확장시키는 제4 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벽체 및 상기 제4 벽체에는 각각 제3 삽입공간 및 제4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3 연결매개부 및 제4 연결매개부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공간, 상기 제2 삽입공간, 제3 삽입공간 및 제4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제2 삽입부, 제3 삽입부 및 제4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부 내지 상기 제4 삽입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벽체 내지 제4 벽체의 연결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접촉부 및 상기 제1 후면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의 수용범위를 규정하여 상기 제1 삽입공간의 크기를 기설정된 공간과 대응되도록 안내하는 수용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안내부는 상기 제1 전면접촉부와 상기 제1 후면접촉부의 대향면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벽체의 일측단의 상단 및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제1 벽체에 고정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매개부는, 상기 제1 연결매개부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의 연결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스템.

KR1020140119593A 2014-09-10 2014-09-10 벽체 시스템 KR20160030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593A KR20160030409A (ko) 2014-09-10 2014-09-10 벽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593A KR20160030409A (ko) 2014-09-10 2014-09-10 벽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409A true KR20160030409A (ko) 2016-03-18

Family

ID=5565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593A KR20160030409A (ko) 2014-09-10 2014-09-10 벽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04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828A (ko) * 2020-03-11 2021-09-24 박두현 시스템장의 브라킷 및 그에 의해 조립되는 시스템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828A (ko) * 2020-03-11 2021-09-24 박두현 시스템장의 브라킷 및 그에 의해 조립되는 시스템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713B2 (en) In-situ fabricated wall framing and insulating system
KR20160030409A (ko) 벽체 시스템
JP2014173256A (ja) 内壁部の断熱構造および内壁パネル
KR20160060392A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
KR101467936B1 (ko) Mp-bar 클립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JP6212166B2 (ja) 遮音カバー及び遮音構造
WO2021153536A1 (ja) 間仕切壁の遮音構造及び間仕切壁用遮音部材
JP6147036B2 (ja) 壁の耐火構造
JP5238217B2 (ja) 壁パネル
CN113006336A (zh) 一种装配化环保隔墙体及其施工方法
JP2015194000A (ja) パネル
KR101007895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JP4979441B2 (ja) 壁パネル
JP6598212B2 (ja) パネル用ジョイント材、間仕切り構造および間仕切り施工方法
JP2016023510A (ja) 乾式壁のコーナー部構造
JP5361969B2 (ja) 配線用固定金具とこの固定金具を用いた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378474Y1 (ko) 조립식 벽체의 코너 고정장치
EP3219865A1 (en) Structural modular panel in building component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18108418A (ja) 収納箱及び収納箱の製造方法
JP2015010448A (ja) 建物の防湿構造
JP7472922B2 (ja) 入隅金具、室内入隅の施工方法、および、建築物
KR200376957Y1 (ko) 조립식 벽체의 바닥 고정장치
JP6915026B2 (ja) 仕切り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7262790A (ja) 電気機器取付用間仕切壁パネル
KR20230000259A (ko) 조립식 패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