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551A -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9551A KR20160029551A KR1020140119249A KR20140119249A KR20160029551A KR 20160029551 A KR20160029551 A KR 20160029551A KR 1020140119249 A KR1020140119249 A KR 1020140119249A KR 20140119249 A KR20140119249 A KR 20140119249A KR 20160029551 A KR20160029551 A KR 20160029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content
- display layout
- information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085205 Prenanthella exigu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94 micro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features or functions of an appl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50, 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 G06F2221/032—Protect output to user by software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제1 전자 기기와 컨텐트츠(content)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제1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제1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제2 전자 기기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제1,2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컨텐츠(contents)의 출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연결된 다수의 전자 기기들이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화면의 다양하면서도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등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된 다수의 전자 기기들의 출력 화면을 쉽고 편리하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메시지 송수신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최근 집안과 밖에서 언제든지 편리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생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서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전자 기기들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는 연결된 전자 기기들 사이에서 컨텐츠를 복사하거나 이동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자 기기에 동일한 컨텐츠 화면을 출력하거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다른 기기의 화면에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된 다수의 전자 기기들의 출력 화면을 쉽고 편리하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제1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제1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제1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제2 전자 기기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제1,2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컨텐츠(contents)의 출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제3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제3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는 제4 전자 기기와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제4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하는 단계, 제4 전자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제4 전자 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4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제4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4 전자 기기로, 상기 제4 전자 기기의 컨텐츠(contents) 출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된 다수의 전자 기기들이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화면의 다양하면서도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된 다수의 전자 기기들의 화면을 쉽고 편리하게 설정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전자 기기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전자 기기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전자 기기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100a, 100b), 태블릿 PC(300), 노트북(400), 스마트 폰(500) 등의 전자 기기들도(100a, 100b, 300, 400, 500a, 500b)은, 상호 간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들은 1:1로 다른 전자 기기와 컨텐트(content)를 공유하고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N 또는 N:N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하고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들은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되거나, 소정 서버를 경유하여 연결되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영상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TV(100a, 100b)를 예시하고, 휴대 단말기의 대표적이 예로 스마트 폰(500)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대표적인 영상표시장치인 TV(100a, 100b), 모니터 외에도, 태블릿 PC(300), 노트북(notebook computer, 400), 스마트 폰(smart phone, 500a, 500b), 네비게이션 등도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기 기기로 본 명세서에서의 영상표시장치(10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PC(300), 노트북(400), 스마트 폰(500a, 500b), 휴대폰, PDA 등은 휴대가 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에서의 휴대 단말기(50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NFC 모듈(125), 센서부(미도시), 카메라(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휴대 단말기(500) 등 다른 전자기기와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NFC 모듈(125)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NFC 모듈(125)를 통하여,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500)와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수행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휴대 단말기(500)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IR 방식 또는 RF 방식 등에 따라,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한편, 이때의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500)에 대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개인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개인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500)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에서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개인 아이디 정보 또는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500)에서 미리 저장된 소정 웹 서버로의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500)를 비롯한 영상표시장치(100) 등에서 사용 가능한, 소정 웹 서버로의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에 대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즉, 개인 정보는 전자기기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소정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은,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의 로그인,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 또는 개인 정보에 의해 가입된 소정 웹 서버로의 로그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수신되는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 로그인한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계정별로 설정된 개인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개인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개인 설정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앱 서버(app server) 화면일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서버 접속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서버 접속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수신되는 개인 정보가 다른 전자기기,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500)에서 접속 중인 소정 웹 서버들에 대한 개인 정보인 경우,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해당 웹 서버들에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접속된 웹 서버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웹 서버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들일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접속된 웹 서버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접속된 웹 서버에 대한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개인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이 오프상태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을 온 하도록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개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하여, 각 종 모듈 또는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체이스부(135) 또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설정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개인 정보에 따라, 각 전자기기 등이 접속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른 전자기기가 로그인 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설정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해당 기기 정보, 설정 정보,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개인 정보는, 상술한 바에 따라, 휴대 단말기(500), 영상표시장치(200), 또는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 가능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일 수 있다. 이때의 개인 정보는, 기기 별로 서로 다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통합 개인 아이디 및 비밀 번호를 위주로 설명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방식은, IR 방식 또는 RF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표시가 가능한 공간 리모콘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RF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개인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500)에서 로그인 접속 중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웹 서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웹 서버 정보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OSD 생성부(340)는,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 로그인이 된 경우, 설정된 개인 화면을 생성 또는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웹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3D 영상 표시를 위해,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500)는 무선 통신부(510), A/V(Audio/Video) 입력부(520), 사용자 입력부(530), 센싱부(540), 출력부(550), 메모리(560), 인터페이스부(570), 제어부(580), 및 전원 공급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510)는 방송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3), 무선 인터넷 모듈(515), 근거리 통신 모듈(517), 및 GPS 모듈(5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5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5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5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5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휴대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5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521)와 마이크(5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5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5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5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5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523)는, 오디오 수신 모드, 예를 들어, 통화모드, 녹음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513)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523)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로서 배치될 수 있다. 각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제어부(580) 등에서 오디오 신호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5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5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540)는 휴대 단말기(5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5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5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5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5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5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540)는 근접센서(541), 압력센서(543), 및 모션 센서(5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541)는 휴대 단말기(5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5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5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5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543)는 휴대 단말기(5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5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5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543)가 디스플레이(5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5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5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5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5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5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5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5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550)에는 디스플레이(551), 음향출력 모듈(553), 알람부(555), 및 햅틱 모듈(5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1)는 휴대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5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5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5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5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5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80)로 전송하여, 제어부(5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5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5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5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5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5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500)에 외부 디스플레이(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5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5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5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553)은 휴대 단말기(5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5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555)는 휴대 단말기(5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5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5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5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5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5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5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551)나 음향출력 모듈(5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5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5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7)은 휴대 단말기(5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560)는 제어부(5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5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5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휴대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휴대 단말기(5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5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5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5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581)은 제어부(5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5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어부(58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5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컨텐트 공유 기술은 TX(영상을 전달하는 기기)와 RX(영상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기기간 1:1 디스플레이 레이아웃(Display Layout)으로 제한하고 있고, RX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대한 결정권이 없이 TX에서 전달하는 영상을 받아 출력하는 역할만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TX에서 각각의 RX기기마다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각각 대응해야하는 부담이 있고, 다수의 기기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화면을 어떻게 전송 또는 출력할 것인지 고려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화면을 전달하는 TX와 화면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RX 사이에서 1:N, N:1, N:N 연결 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다른 제1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5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 예를 들어, 해당 메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명령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 공유 모드란, 전자 기기가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기기로 컨텐트를 전송하거나 외부 전자 기기에서 전송하는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공유 모드는 연결된 전자 기기들이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는 미러링(mirroring) 모드와 연결된 복수의 기기 중 어느 한 기기에서 재생하고 있는 컨텐트를 다른 기기에서도 이용할 수 있고, 컨텐트 공유 상태에서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듀얼 스크린 듀얼 플레이(dual screen dual play, DSDP)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Wi-Fi 얼라이언스가 도입한 와이파이 인증 미라캐스트™(Wi-Fi CERTIFIED Miracast™), 와이파이 디스플레이(WiFi Display : WFD), Wireless Display(WiDi) 등 공개된 멀티미디어 전송기술을 지원할 수 있고 그 규격에 따라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컨텐트 공유를 위한 데이터는 다양한 통신규격에 따른 유, 무선통신을 통하여 직접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되거나, 별도로 연결된 웹서버를 통하여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컨텐츠 공유모드에 진입한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컨텐트 전송 수락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제1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는 외부의 제1 전자 기기로 컨텐트 전송을 하기에 앞서 컨텐트 전송 수락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전송 수락 요청신호는 상기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제1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520) 즉,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기기는 컨텐트를 송신해주는 소스(source) 역할의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트 출력을 위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싱크(sink) 전자 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들은 1:1로 다른 하나의 전자 기기와 컨텐트(content)를 공유하고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N 또는 N:N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하고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제2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530)
이 경우에, 전자 기기는 복수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할 디스플레이 레이아웃(display layouy)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 580)는, 제2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할 수 있다.(S540) 여기서, 제어부(170, 580)는, 제2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저장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책(policy)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제2 전자 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580)는, 기설정된 전자 기기들의 우선 순위 값에 따라 결정권이 있는 전자 기기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에 들고 조작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 휴대 단말기의 우선 순위 값을 통상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이용되는 TV보다 높게 설정하여,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컨텐트를 송신해주는 소스(source) 역할의 전자 기기의 우선 순위 값을 컨텐트 출력을 위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싱크(sink) 전자 기기보다 높게 설정하여, 소스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가 결정권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2이상의 전자 기기가 연결되어 컨텐트를 공유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전자 기기들을 조작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컨텐트 공유 모드에 있는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S540), 제어부(170, 580)는,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50)
여기서, 상기 송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는, 현재 컨텐츠 공유 상태인 전자 기기의 개수 정보,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 상기 제1 컨텐트의 출력 크기 정보, 상기 제1 컨텐트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는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제1,2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컨텐츠(contents)의 출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55)
또한, 전자 기기는,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제2 컨텐트의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S570), 2개의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2개의 컨텐츠를, 결정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출력할 수 있다.(S580) 즉, 상기 제1 컨텐트 및 상기 제2 컨텐트, 각각을, 상기 수신한 컨텐츠(contents)의 출력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S580)
한편,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S540), 즉, 컨텐트를 출력할 전자 기기가 결정권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제1,2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컨텐츠(contents)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60)
여기서, 상기 메뉴 화면은, 복수의 예시(smaple)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의 출력 위치가 자동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출력할 컨텐츠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기설정된 소정 컨텐트, 예를 들어 소정 광고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남는 출력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컨텐츠의 출력 위치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레이아웃 및 레이아웃 내 복수의 컨텐츠 배치 위치를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출력할 컨텐츠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기설정된 소정 컨텐트, 예를 들어 소정 광고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남는 출력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2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컨텐츠(contents)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S565),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제2 컨텐트의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S570), 2개의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2개의 컨텐츠를, 결정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출력할 수 있다.(S58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들의 출력 화면, 메뉴 화면 및 기기들간의 연계 동작은 도 7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3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제3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는 제4 전자 기기와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610) 즉, 이미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한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는 전자 기기와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580)는, 상기 제4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할 수 있다.(S620)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70, 580)는, 제4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저장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책(policy)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제4 전자 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580)는, 기설정된 전자 기기들의 우선 순위 값에 따라 결정권이 있는 전자 기기를 판별하거나,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가 결정권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컨텐트 공유 모드에 있는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580)는, 상기 제4 전자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S620), 즉, 본 전자 기기가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제4 전자 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30)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70, 580)는, 상기 제4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40) 여기서, 상기 메뉴 화면은, 복수의 예시(smaple)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의 출력 위치가 자동 결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컨텐츠의 출력 위치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출력할 컨텐츠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기설정된 소정 컨텐트, 예를 들어 소정 광고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남는 출력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4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650), 제어부(170, 580)는, 상기 제4 전자 기기로, 상기 제4 전자 기기의 컨텐츠(contents) 출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60)
또한, 제어부(170, 580)는, 상기 제4 전자 기기로, 제4 컨텐트의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70) 즉,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기기는 컨텐트를 송신해주는 소스(source) 전자 기기의 역할을 수행하여, 싱크(sink) 전자 기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제4 전자 기기로, 소정 컨텐트 출력을 위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등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들은 1:1로 다른 전자 기기와 컨텐트(content)를 공유하고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N 또는 N:N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하고 출력할 수 있다.
또한, 1:1 연결의 경우에는 싱크(sink) 또는 소스(source) 전자 기기 중 하나의 역할만 수행하나, 1:N 또는 N:N는 복합적인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동일할 수 있고, 하나의 전자 기기가 도 5와 도 6의 순서에 따른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자 기기는 제1,2,4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 기기에 대해서는 싱크(sink) 전자 기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4 전자 기기에 대해서는 소스(source) 전자 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서로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전자 기기와 제3 전가 기기에 대응하고,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4 전자 기기에 대응하며,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RX2는 TX3과 연결되어 컨텐트 공유 모드 상태(S710)에 있고, TX3으로부터 수신한 컨텐트(TX3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다.(S720)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RX2는 TX3는 미러링(mirroring) 모드로 동일한 컨텐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TX1은 자신의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다가(S725),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RX2와 컨텐트 공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30) 예를 들어, 사용자가 TX1 또는 RX2를 통하여 컨텐트 공유 모드 진입 명령을 입력하면, RX2 또는 TX1로 연결을 요청한 후 상대 기기의 응답에 의해 연결이 완료되면서 컨텐트 공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컨텐트 공유 모드로 진입한 TX1과 RX2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740)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 여부의 판별은 TX1과 RX2 상호간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 협상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X1과 RX2는, 저장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책(policy)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대 전자 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X1과 RX2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기설정된 전자 기기들의 우선 순위 값에 따라 결정권이 있는 전자 기기를 판별하거나,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가 결정권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TX1이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RX2는, TX1이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TX1이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TX1으로 송신할 수 있다.(S750)
여기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는, 현재 컨텐츠 공유 상태인 전자 기기의 개수 정보,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표시하고 있는 컨텐트의 출력 크기 정보,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표시하고 있는 컨텐트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연결된 TX 전자 기기의 개수와 {X, Y, Width, Height}를 포함하는 출력화면 크기 정보가 있다. 이 경우에는 아래에 예시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deviceNum'은 지원 가능한 장치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포함될 수 있는 출력창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eviceNum'가 '2'로 결정되면 컨텐츠 공유 화면을 2개의 컨텐츠로 화면이 분할, 구성될 수 있다.
{
"layout_information" : [
{
"deviceNum" : 1,
"layout": [
{
"index": 1,
"rects": [
{ "deviceId": "TX3", "x" : 0, "y" : 0, "width" : 200, "height" : 100 }
]
}
]
},
{
"deviceNum" : 2,
"layout": [
{
"index": 2,
"rects": [
{ "deviceId": "TX3", "x" : 0, "y" : 0, "width" : 100, "height" : 50 },
{ "deviceId": "", "x" : 0, "y" : 50, "width" : 100, "height" : 50 }
]
},
{
"index": 3,
"rects": [
{ "deviceId": "TX3", "x" : 0, "y" : 0, "width" : 50, "height" : 100 },
{ "deviceId": "", "x" : 50, "y" : 0, "width" : 50, "height" : 100 }
]
}
]
},
...
]
}
한편, 미리 협의된 'deviceNum'에 대한 레이아웃만 받을 수도 있다.
{
"layout_information" : [
{
"deviceNum" : int,
"layout": [
{
"index": int,
"rects": [
{ "deviceId": string, "x" : int, "y" : int, "width" : int, "height" : int },
...
]
},
...
]
},
...
]
}
한편, TX1은 RX2가 출력하는 컨텐츠(contents)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S760),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770)
도 10a 내지 도 14d는 메뉴 화면의 일예 및 사용자가 직접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deviceNum'이 3으로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TX1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일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메뉴 화면은, 복수의 예시(smaple)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020, 1030)과 '삭제'(1041), '완료'(1042) 등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은,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020, 1030)은 복수의 컨텐츠를 다르게 배치한 것으로 사용자는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020, 10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서는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020, 1030)이 각각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균일한 면적을 가지는 3개의 출력 영역(1021, 1022, 1023, 1031, 1032, 1033)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개의 출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크게 설정되거나, 2개의 컨텐츠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컨텐트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는 등 컨텐츠의 배치 구성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과 달리, 3개 이상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만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의 출력 위치가 자동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020)을 선택하면,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020)의 3개의 영역(1021, 1022, 1023)에 컨텐츠들을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컨텐츠의 출력 위치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레이아웃 및 레이아웃 내 복수의 컨텐츠 배치 위치를 직접 지정할 수 있다.
도 10b은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020)을 선택하고, TX3 컨텐트는 제1 영역(1021)에 출력할 것으로 선택하고, TX1 컨텐트는 제2 영역(1022)에 출력할 것으로 선택한 경우를 예시한다.
이후, 도 10c와 같이, 사용자는 '완료'(1042)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을 완료할 수 있다. 또는 '삭제'(1041)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배치된 컨텐트의 선택을 취소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이 결정되면, TX1은 공유하는 컨텐츠(TX1 컨텐트, TX3 컨텐트)의 출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를 RX2로 전송할 수 있다.(S780)
또한, TX1은 TX1 컨텐트의 출력에 필요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RX2로 전송할 수 있다.(S785)
RX2는 TX1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 제1 컨텐트의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에 따라, TX1 컨텐트, TX3 컨텐트를 배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도 10c에서 선택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TX3 컨텐트(1060), TX1 컨텐트(1070)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출력할 컨텐츠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출력 화면을 출력 컨텐츠의 개수에 맞게 분할된 화면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0c에서는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3개인데, 2개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에, 출력 화면을 남는 영역 없이 TX3 컨텐트(1060), TX1 컨텐트(1070) 출력 영역으로 2분할된 화면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출력할 컨텐츠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기설정된 소정 컨텐트, 예를 들어 소정 광고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남는 출력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0c에서는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3개인데, 2개의 컨텐츠가 출력된다. 이 경우에 나머지 제3 영역(1023)에 소정 영상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0d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남는 출력 영역에 광고 영상(1078)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한편, TX3, TX1이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표시하고 있든지, 수직 방향으로 표시하고 있는지에 무관하게 RX2는 자동으로 화면상에 수평으로 전환하여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수신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에 썸네일 이미지 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별도로 수신한 경우에는, TX1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할 때, 썸네일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직관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상기 메뉴 화면이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메뉴 화면은, 복수의 예시(smaple)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120, 1130)과 '삭제'(1141), '완료'(1142) 등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할 수 있다.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1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120, 1130)이 각각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균일한 면적을 가지는 3개의 출력 영역(1121, 1122, 1123, 1131, 1132, 1133)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11a와 같이, RX2가 이미 출력하고 있는 TX3 컨텐트의 동영상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120, 1130)에서 소정 영역(1121, 11310에 자동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먼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120, 1130) 중 어느 하나(1120)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120)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 즉, TX1 컨텐트, TX3 컨텐트의 출력 위치가 자동 결정되거나, 사용자의 추가 설정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와 도 11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TX3 컨텐트는 제1 영역(1121)에 출력할 것으로 선택하고, TX1 컨텐트는 제2 영역(1122)에 출력할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TX1 컨텐트는 제2 영역(1122)에 동영상 또는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도 10c에서 선택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TX3 컨텐트(1060), TX1 컨텐트(1070)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출력할 컨텐츠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출력 화면을 출력 컨텐츠의 개수에 맞게 분할된 화면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 내지 도 11c에서는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3개인데, 2개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에, TX1은 자동으로 2개의 출력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으로 변경하여 RX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d와 같이, RX2는 TX3 컨텐트(1160), TX1 컨텐트(1170) 출력 영역으로 2분할된 화면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초기 설정되거나 이전에 설정된 'deviceNum'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포함될 수 있는 출력창 개수가 결정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메뉴 화면은 2개(1220), 3개(1230), 4개(1240) 등 출력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은 현재 컨텐트 공유 모드에 있는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1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TX3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는 RX1으로 TX1이 컨텐트를 전송할 것을 나타내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현재 컨텐트 공유 모드에 있는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1210)들은 기기들을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시되어 더욱 직관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도 13a와 도 13b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RX2가 2개의 컨텐트를 출력하게 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도 13a와 같은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도 12에서 사용자가 출력창의 개수를 2개(1220)로 결정한 경우에, 도 13a와 같은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메뉴 화면은 각각 2개의 출력 영역(1321, 1322, 1331, 1332)을 가지는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들(1320, 1330)을 포함할 수 있고, 현재 컨텐트 공유 모드에 있는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1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RX2가 이미 출력하고 있는 TX3 컨텐트의 동영상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320, 1330)에서 제1 영역(1321, 1331)에 자동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먼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우측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330)을 선택하면, 도 13b와 같이,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330)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확대된 제1 영역(1351)에 X3 컨텐트의 동영상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330)을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되지 않는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320)의 표시는 종료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남은 제2 영역(1352)을 선택하여 TX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제2 영역(1352)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4a와 도 14d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사용자가 출력창의 개수를 3개(1230)로 결정한 경우에, 도 14a와 같은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메뉴 화면은 각각 3개의 출력 영역을 가지는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들(1420)을 포함할 수 있고, 현재 컨텐트 공유 모드에 있는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정보(1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들을 더 볼 수 있는 메뉴(1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들(1420) 중 어느 하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선택하면, 도 14b와 같이,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440)이 표시되고, 선택되지 않는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1320)의 표시는 종료될 수 있다.
한편, RX2가 이미 출력하고 있는 TX3 컨텐트의 동영상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영역들(1441, 1442, 1443)에서 소정 영역(1441)에, 자동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먼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영역(1441)에 TX3 컨텐트의 동영상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메뉴 화면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배치할 TX1 컨텐트의 동영상 또는 썸네일 이미지(1450)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뉴 화면은 소정 동영상 또는 이미지(1460)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또는 이미지(1460)는 추천 컨텐트, 광고 컨텐트 등일 수 있고, 사용자가 출력을 원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으로 드래그하여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TX1 컨텐트(1450)를 자신이 배치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소정 영역(1442)로 드래그하여, TX1 컨텐트(145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4d를 참조하면, RX2는 TX1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1470, 1480, 149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d는 사용자가 메뉴 화면의 소정 동영상 또는 이미지(1460)를 추가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배치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한편, RX2는 다른 전자 기기, 예를 들어, 도 15에 예시된 노트북 컴퓨터(TX2)와도 컨텐트 공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RX2와 TX2는 상술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RX2 또는 TX2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은 TX3, TX1, TX2로부터 컨텐츠(1610, 1620, 1630)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RX2의 출력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RX2와 컨텐트 공유 모드에 있는 TX1도 다른 전자 기기와 컨텐트 공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RX1은, TX4와 컨텐트 공유 모드에 들어가(S1710), TX4로부터 수신한 TX4 컨텐트를 출력하고(S1715), 다시 TX5와도 컨텐트 공유 모드에 들어가(S1720), TX5로부터 수신한 TX5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1725)
한편, RX1는 TX5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협상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TX4, TX5의 컨텐트 출력 화면을 예시하고, 도 19는 결정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TX4 컨텐트(1910)를 좌측에 출력하고, TX5 컨텐트(1920)를 우측에 출력하는 RX1의 컨텐트 출력 화면을 예시한다.
한편, TX1은 TX4, TX5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RX1와 컨텐트 공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740)
한편, 컨텐트 공유 모드로 진입한 TX1과 RX1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1750)
TX1과 RX1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기설정된 전자 기기들의 우선 순위 값에 따라 결정권이 있는 전자 기기를 판별하거나,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가 결정권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TX1이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RX1은, TX1이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TX1이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TX1으로 송신할 수 있다.(S1760)
여기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는, 현재 컨텐츠 공유 상태인 전자 기기의 개수 정보,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표시하고 있는 컨텐트의 출력 크기 정보,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표시하고 있는 컨텐트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TX1은 RX1가 출력하는 컨텐츠(contents)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S1770),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780)
도 20 내지 도 24는 메뉴 화면의 일예 및 사용자가 직접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deviceNum'이 2인 경우에 TX1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일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을 참조하면, 메뉴 화면은, 복수의 예시(smaple) 디스플레이 레이아웃(2020, 2030)과 '삭제'(2041), '완료'(2042) 등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은,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2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0 내지 도 24에서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2010)에 3개의 장치와 연결되어 3개의 출력 화면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현재 'deviceNum'이 2인 상태로 2개의 화면으로 분할된 컨텐츠 화면을 제공할 것이라는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현재 'deviceNum'이 2인 상태로 2개의 화면으로 분할된 컨텐츠 화면을 제공하지만, RX1은 TX4, TX5와 연결되어 이미 2개의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TX4, TX5, TX1의 컨텐츠 중 출력하지 않을 하나의 컨텐트도 선택해야한다. 또는 사용자는 'deviceNum'을 3으로 변경함으로써, TX4, TX5, TX1의 컨텐츠를 모두 출력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2020, 2030)은 현재 출력중인 컨텐츠를 다르게 배치한 것으로, 사용자는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2020, 20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1780) 또는 사용자는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2020, 2030)외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1은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2020)을 선택하고, TX4 컨텐트가 출력되던 제1 영역(2021)을 선택하여, 제1 영역(2021)에 TX1 컨텐트를 출력할 것으로 선택한 경우를 예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완료'(2042)를 선택하면, RX1은 TX4 컨텐트가 출력되는 영역에 TX1 컨텐트를 표시하게 될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TX4 컨텐트를 TX5 컨텐트보다 더 시청하길 원하는 경우에는, 도 22, 도 23과 같이 제2 영역(2022)를 선택하고, '삭제'(1041)를 선택하여, TX5 컨텐트의 출력 설정을 해제하고, 제2 영역(2022)을 TX4 컨텐트의 출력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도 24와 같이, 사용자는 '완료'(2042)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이 결정되면, TX1은 공유하는 컨텐츠(TX1 컨텐트, TX4 컨텐트)의 출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를 RX1로 전송할 수 있고(S1780), TX1 컨텐트의 출력에 필요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RX1로 전송할 수 있다.(S1790)
한편, 도 25와 같이, RX1은 결정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TTX1 컨텐트(2510)를 좌측에 출력하고, TX4 컨텐트(2520)를 우측에 배치하는 레이아웃으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들 사이에 컨텐트 화면을 공유할 때 일방적으로 컨텐트를 주고받는 것이 아닌 협상 및 상황 판별을 통해 최적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1:N, N:1, N:N의 컨텐트 공유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다양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등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방법은, 전자 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무선 통신부 : 510
A/V(Audio/Video) 입력부 : 520
사용자 입력부 : 530
센싱부 : 540
출력부 : 550
메모리 : 560
인터페이스부 : 570
제어부 : 580
전원 공급부 : 590
A/V(Audio/Video) 입력부 : 520
사용자 입력부 : 530
센싱부 : 540
출력부 : 550
메모리 : 560
인터페이스부 : 570
제어부 : 580
전원 공급부 : 590
Claims (20)
- 복수의 전자 기기와 컨텐트(content)를 공유하고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제1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와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제1,2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컨텐츠(contents)의 출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제2 컨텐트의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트 및 상기 제2 컨텐트, 각각을, 상기 수신한 컨텐츠(contents)의 출력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제1,2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컨텐츠(contents)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2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컨텐츠(contents)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제2 컨텐트의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2 컨텐트를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컨텐츠의 출력 위치가 자동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출력할 컨텐츠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기설정된 소정 컨텐트를 남는 출력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컨텐츠의 출력 위치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의 출력 컨텐츠의 개수가 출력할 컨텐츠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기설정된 소정 컨텐트를 남는 출력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송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는, 현재 컨텐츠 공유 상태인 전자 기기의 개수 정보,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 상기 제1 컨텐트의 출력 크기 정보, 상기 제1 컨텐트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전자 기기들의 우선 순위 값에 따라 결정권이 있는 전자 기기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가 결정권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복수의 전자 기기와 컨텐트(content)를 공유하고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3 전자 기기와 공유하는 제3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는 제4 전자 기기와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4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4 전자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제4 전자 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4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4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4 전자 기기로, 상기 제4 전자 기기의 컨텐츠(contents) 출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자 기기로, 제4 컨텐트의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컨텐츠의 출력 위치가 자동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예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컨텐츠의 출력 위치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자 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는, 현재 컨텐츠 공유 상태인 전자 기기의 개수 정보,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정보, 상기 제3 컨텐트의 출력 크기 정보, 상기 제3 컨텐트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전자 기기들의 우선 순위 값에 따라 결정권이 있는 전자 기기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자 기기와의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결정권을 판별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가 결정권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9249A KR102230024B1 (ko) | 2014-09-05 | 2014-09-05 |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PCT/KR2015/006169 WO2016035984A1 (en) | 2014-09-05 | 2015-06-18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US15/508,656 US10402592B2 (en) | 2014-09-05 | 2015-06-18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9249A KR102230024B1 (ko) | 2014-09-05 | 2014-09-05 |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9551A true KR20160029551A (ko) | 2016-03-15 |
KR102230024B1 KR102230024B1 (ko) | 2021-03-18 |
Family
ID=5544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9249A KR102230024B1 (ko) | 2014-09-05 | 2014-09-05 |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402592B2 (ko) |
KR (1) | KR102230024B1 (ko) |
WO (1) | WO2016035984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2747A (ko) * | 2016-04-01 | 2017-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
WO2018016809A1 (en) * | 2016-07-19 | 2018-01-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display system |
WO2023286992A1 (ko) * | 2021-07-16 | 2023-0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면 확장시 프라이빗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KR20230152310A (ko) * | 2022-04-27 | 2023-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
WO2024043510A1 (ko) * | 2022-08-22 | 2024-02-2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17194A1 (ja) * | 2015-01-21 | 2016-07-28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102598082B1 (ko) * | 2016-10-28 | 2023-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KR102346080B1 (ko) * | 2017-03-27 | 2021-12-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JP7059586B2 (ja) * | 2017-11-24 | 2022-04-2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D852222S1 (en) * | 2018-01-04 | 2019-06-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D852223S1 (en) * | 2018-01-04 | 2019-06-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KR20220017075A (ko) | 2020-08-04 | 2022-0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홈 화면을 복원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
CN114501119B (zh) * | 2020-10-27 | 2023-04-0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互动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系统及存储介质 |
US11651749B2 (en) * | 2020-11-02 | 2023-05-16 | Panduit Corp. | Display layout optimization of multiple media stream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98509A (ja) * | 2009-02-26 | 2010-09-09 | Mitsubishi Heavy Ind Ltd | 表示制御装置、入力操作装置、及び管制システム |
US20130159884A1 (en) * | 2011-12-20 | 2013-06-20 | Sony Corporatio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KR20130134603A (ko) * | 2012-05-31 | 2013-12-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55216B2 (ja) * | 2008-07-22 | 2012-10-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共有表示処理システム、表示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
US9405845B2 (en) * | 2010-05-17 | 2016-08-0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daptable layouts for social feeds |
US8997213B2 (en) * | 2011-12-01 | 2015-03-31 | Facebook, Inc. |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upon sharing a personal computing device |
US8963984B2 (en) * | 2011-12-19 | 2015-02-24 | Polycom, Inc. | Videoconferencing system using QR codes for interaction |
-
2014
- 2014-09-05 KR KR1020140119249A patent/KR1022300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6-18 WO PCT/KR2015/006169 patent/WO201603598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6-18 US US15/508,656 patent/US1040259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98509A (ja) * | 2009-02-26 | 2010-09-09 | Mitsubishi Heavy Ind Ltd | 表示制御装置、入力操作装置、及び管制システム |
US20130159884A1 (en) * | 2011-12-20 | 2013-06-20 | Sony Corporatio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KR20130134603A (ko) * | 2012-05-31 | 2013-12-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2747A (ko) * | 2016-04-01 | 2017-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
WO2018016809A1 (en) * | 2016-07-19 | 2018-01-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display system |
US10715722B2 (en) | 2016-07-19 | 2020-07-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display system |
WO2023286992A1 (ko) * | 2021-07-16 | 2023-0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면 확장시 프라이빗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KR20230152310A (ko) * | 2022-04-27 | 2023-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
WO2024043510A1 (ko) * | 2022-08-22 | 2024-02-2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277902A1 (en) | 2017-09-28 |
WO2016035984A1 (en) | 2016-03-10 |
US10402592B2 (en) | 2019-09-03 |
KR102230024B1 (ko) | 2021-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0024B1 (ko) |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
EP2521374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711828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EP3253029B1 (en) | Sin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1911253B1 (ko) | 전자 태그와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88006B1 (ko) |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
US9332105B2 (en) | Communication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 |
CN103530032A (zh) | 移动终端、图像显示装置及使用其的用户接口提供方法 | |
CN105763921B (zh) | 图像显示设备和方法 | |
KR20180013515A (ko) |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60088651A (ko) |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60031724A (ko) |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 |
KR2016006084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1924062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60084238A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
CN113163242A (zh) | 显示装置控制方法及显示装置 | |
KR101864276B1 (ko) |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 |
KR101860918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698856B1 (ko) |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 |
KR101916437B1 (ko) | 모바일 기기,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60088652A (ko)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269276B1 (ko) |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60066929A (ko) |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 |
KR102379837B1 (ko) | 휴대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40137771A (ko) |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