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383A -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 Google Patents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383A
KR20160029383A KR1020140118843A KR20140118843A KR20160029383A KR 20160029383 A KR20160029383 A KR 20160029383A KR 1020140118843 A KR1020140118843 A KR 1020140118843A KR 20140118843 A KR20140118843 A KR 20140118843A KR 20160029383 A KR20160029383 A KR 20160029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ogenic fluid
valve
rainwater
pipe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253B1 (ko
Inventor
전현종
김성엽
유재혁
윤효원
진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2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는, 초저온 유체의 유출 가능성이 잠재하는 방호 영역, 상기 방호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초저온 유체 배수홀, 상기 초저온 유체 배수홀과 연결되는 초저온 유체 배관, 상기 초저온 유체 배관을 개폐하는 제1 밸브, 상기 방호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빗물 배수홀, 상기 빗물 배수홀과 연결되는 빗물 배관, 상기 빗물 배관을 개폐하는 제2 밸브, 상기 방호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초저온 유체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는 디텍터 및 상기 디텍터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Structure for protecting spilled cryogenic fluids}
본 발명은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저온 유체를 처리하는 설비에 설치되어 설비로부터 유출된 초저온 유체를 처리하는 방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선은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채굴하고 이를 정제하여 액화천연가스(LNG; Liquid Natural Gas) 형태로 저장 및 하역할 수 있는 해양 플랜트 설비를 의미한다.
기존에는 해저 가스전에서 추출한 천연가스를 파이프 라인을 통해 육상으로 수송한 뒤, 육상에서 이를 정제 및 액화하여 저장하고, 수요처까지 육상 또는 해상으로 운송하였다.
FLNG선은 기존에 육상에서 진행하던 천연가스에 대한 정제 및 액화 공정을 해상에서 완료하므로 별도의 육상 설비를 건설할 필요가 없고,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수송하는 해저 파이프 라인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FLNG선은 섭씨 -163도 이하인 초저온의 액화천연가스를 처리하는 설비로서, 액화천연가스의 유출에 대한 안전 사항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 건조되고 있는 FLNG선은 액화천연가스의 유출 위험이 있는 영역을 초저온 유체에 견딜 수 있는 특수 페인트로 코팅하거나 유출 위험 영역 내에 설치된 각종 구조, 장비 및 배관 등에 시멘트성 자재를 적용하여 유출된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취성 파괴를 방지한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FNLG선에서 유출된 액화천연가스를 처리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FNLG선(1)은 내부에 복수 개의 LNG 저장 탱크(11, 12)를 구비한 선체(10)와, 선체(10)의 메인 데크 상에 설치되는 LNG 처리 설비(20)를 포함한다. LNG 처리 설비(20)는 복수 층의 데크(21)로 이루어진다.
원양에서 부유하는 종래의 FNLG선(1)은 LNG 처리 설비(20)에서 일부 액화천연가스가 유출되는 경우, 유출된 액화천연가스를 해상으로 방류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된 액화천연가스는 유출이 발생한 LNG 처리 설비(20)의 데크(21) 상에 형성된 드레인 파이프(drain pipe, 22)를 통해 해상으로 배출되거나, 선체(10)의 메인 데크와 연결되는 드레인 파이프(23)를 통해 해상으로 배출되었다.
그러나, 해안에 인접하여 부유하는 FNLG선(1)의 경우에는, 액화천연가스가 유출된 경우 원양에서와 같이 액화천연가스를 해상으로 방류한다면 근해 바다 오염, 환경 파괴 및 생태계 교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출된 초저온 유체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는, 초저온 유체의 유출 가능성이 잠재하는 방호 영역, 상기 방호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초저온 유체 배수홀, 상기 초저온 유체 배수홀과 연결되는 초저온 유체 배관, 상기 초저온 유체 배관을 개폐하는 제1 밸브, 상기 방호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빗물 배수홀, 상기 빗물 배수홀과 연결되는 빗물 배관, 상기 빗물 배관을 개폐하는 제2 밸브, 상기 방호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초저온 유체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는 디텍터 및 상기 디텍터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텍터에 의해 상기 방호 영역 내에 상기 초저온 유체의 유출이 감지된 때에,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밸브는 폐쇄하고, 상기 디텍터에 의해 상기 방호 영역 내에 상기 초저온 유체의 유출이 감지되지 않은 때에, 상기 제1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저온 유체 배관과 연결되는 초저온 유체 수집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저온 유체 수집조는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텍터에 의해 상기 방호 영역 내에 상기 초저온 유체의 유출이 감지된 때에,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밸브는 폐쇄하여, 상기 유출된 초저온 유체가 상기 빗물 배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유출된 초저온 유체가 상기 초저온 유체 배관을 통해 상기 초저온 유체 수집조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텍터에 의해 상기 방호 영역 내에 상기 초저온 유체의 유출이 감지되지 않은 때에, 상기 제1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하여, 상기 방호 영역 내의 빗물이 상기 초저온 유체 수집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방호 영역 내의 빗물이 상기 빗물 배관을 통해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빗물이 상기 초저온 유체 배수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초저온 유체 배수홀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호 영역을 둘러싸는 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빗물 배관 중 상기 빗물 배수홀과 상기 제2 밸브를 연결하는 일부는 초저온용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저온 유체는 액화천연가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유출된 초저온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안전하게 재수집할 수 있다.
또한, 유출된 초저온 유체를 선택적으로 재수집하여 유출된 초저온 유체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FNLG선에서 유출된 액화천연가스를 처리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방호 구조의 컨트롤러에 의한 제1 밸브 및 제2 밸브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방호 구조의 초저온 유체 수집조의 설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FLNG선(1'; 도 6 참고)의 LNG 처리 설비(20'; 도 6 참고)에 설치되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100)를 예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이 FLNG선(1')의 LNG 처리 설비(20')에 설치되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초저온 유체의 일례로서, LNG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100)를 설명함에 있어, FLNG선(1')의 LNG 처리 설비(20')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선택함에 따른 것으로서, 본 발명이 LNG에 대한 방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100)는 LNG 처리 설비(20')의 데크(21) 상에 설정된 방호 영역(101)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방호 영역(101)은 LNG의 유출 가능성이 잠재하는 구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LNG가 이동하는 배관의 플랜지(Flange)가 위치하는 구역, LNG 처리 설비(20')의 용접부가 위치하는 구역 등은 LNG의 유출 가능성이 잠재하는 구역으로서 방호 영역(101)이 될 수 있다.
도 2에는 데크(21)의 일부 구역만을 방호 영역(101)으로 선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방호 영역(101)은 복수의 데크에 선정될 수 있고, 동일 데크 내에서 복수의 구역이 방호 영역(101)으로 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100)는 방호 영역(101)을 둘러싸는 방벽(110)을 포함한다. 방벽(110)은 데크(2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방호 영역(101)에 유출된 LNG가 방호 영역(101)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방벽(110)과 데크(21) 사이에는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영역(101) 내 데크(21a, 21b) 및 방벽(110)은 유출된 LNG에 의한 취상 파괴를 방지하는 코팅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0)은 LNG와 같은 초저온 유체에 견딜 수 있고 LNG의 냉열이 데크(21a, 21b) 및 방벽(1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열전도성이 낮은 특수 페인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영역(101) 내의 데크(21a, 21b)는 중앙부(21a)와, 중앙부(21a)를 둘러싸는 배수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21b)는 중앙부(21b)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21b)에는 복수의 초저온 유체 배수홀(131) 및 빗물 배수홀(141)이 형성된다.
배수부(21b)는 중앙부(21a)의 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되므로, 중앙부(21a)에 유출된 LNG 또는 빗물 등의 유체가 자연스럽게 배수부(21b)로 흘러들어 초저온 유체 배수홀(131) 또는 빗물 배수홀(141)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저온 유체 배수홀(131)의 상부에는 레인캡(134)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인캡(134)는 우천 상황에서 빗물이 초저온 유체 배수홀(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중앙부(21a)에는 LNG 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디텍터(160)가 설치될 수 있다. 디텍터(160)는 LNG 또는 LNG가 기화한 NG를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는 디텍터(160)는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디텍터(160)가 NG를 감지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데크(21a, 21b)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저온 유체 배수홀(131)은 초저온 유체 배관(132)과 연결된다. 초저온 유체 배수홀(131)은 초저온 유체 배관(132)의 일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초저온 유체 배관(132)은 데크(21)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데크(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에 연결된다.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는 방호 영역(101) 내로 유출되어 초저온 유체 배수홀(131) 및 초저온 유체 배관(132)으로 유입된 LNG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는 내부에 수용된 LNG로부터 기화된 NG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NG 배출구(151)를 포함한다. NG 배출구(151)를 통해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를 빠져나간 NG는 대기로 확산되거나, FLNG선 내의 연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초저온 유체 배관(132) 및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는 초저온의 LNG에 의해 취성 파괴되지 않는 초저온용 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초저온 유체 배관(132)에는 초저온 유체 배관(132)을 개폐하는 제1 밸브(133)가 설치된다. 제1 밸브(133)는 후술하는 컨트롤러(170; 도 4 참고)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한편, 빗물 배수홀(141)은 빗물 배관(142)과 연결된다. 빗물 배수홀(141)은 빗물 배관(142)의 일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빗물 배수홀(141) 및 빗물 배관(142)로는 방호 영역(101) 내에 존재하는 빗물 뿐만 아니라 방호 영역(101)을 청소하며 발생한 폐수 등 각종의 유체들이 유입될 수 있다.
빗물 배관(142) 역시 데크(21)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빗물 배관(142)의 타단은 데크(21)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빗물 배관(142)으로 유입된 유체가 LNG 처리 설비(20'; 도 6 참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빗물 배관(142)의 타단은 선체(10'; 도 6 참고)의 드레인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어 빗물 배관(142)으로 유입된 유체가 선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빗물 배관(142)의 타단은 선체(10') 내의 폐수 처리 설비(미도시)와 연결되어 빗물 배관(142)으로 유입된 유체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빗물 배관(142)에는 빗물 배관(142)을 개폐하는 제2 밸브(143)가 설치된다. 제2 밸브(143)는 후술하는 컨트롤러(170; 도 4 참고)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빗물 배관(142) 중 빗물 배수홀(141)과 제2 밸브(143)를 연결하는 부분(142a)은 방호 영역(101) 내로 유출된 LNG가 유입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초저온의 LNG에 의해 취성 파괴되지 않는 초저온용 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방호 구조의 컨트롤러에 의한 제1 밸브 및 제2 밸브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100)는 방호 영역(101) 내에 설치된 디텍터(160)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밸브(133)와 제2 밸브(143)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7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70)가 제1 밸브(133) 및 제2 밸브(143)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70)는 디텍터(160)의 출력값을 기초로 초저온 유체의 유출 여부를 판단한다(S11).
S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방호 영역(101) 내에 초저온 유체인 LNG가 유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컨트롤러(170)는 제1 밸브(133)를 개방하여 초저온 유체 배관(132)을 개방하고, 제2 밸브(143)를 폐쇄하여 빗물 배관(142)을 폐쇄한다(S12).
따라서, 방호 영역(101) 내에 유출된 LNG는 초저온 유체 배수홀(131)을 통해 초저온 유체 배관(132)으로 유입되어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로 수집된다.
동시에, 방호 영역(101) 내에 유출된 LNG가 빗물 배수홀(141)을 통해 빗물 배관(142)으로 유입되더라도, 제2 밸브(143)에 의해 빗물 배관(142)이 폐쇄되므로, LNG가 LNG 처리 설비(20'; 도 6 참고) 또는 선체(10'; 도 6 참고) 외부로 빠져나가 해상으로 방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S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방호 영역(101) 내에 초저온 유체인 LNG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컨트롤러(170)는 제1 밸브(133)를 폐쇄하여 초저온 유체 배관(132)을 폐쇄하고, 제2 밸브(143)를 개방하여 빗물 배관(142)을 개방한다(S13).
따라서, 방호 영역(101) 내에 존재하는 빗물 등 초저온 유체가 아닌 유체는 빗물 배수홀(141)을 통해 빗물 배관(142)으로 유입되어 LNG 처리 설비(20'; 도 6 참고) 또는 선체(10'; 도 6 참고)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 밸브(133)에 의해 초저온 유체 배관(132)이 폐쇄되므로, 방호 영역(101) 내에 존재하는 빗물 등이 초저온 유체 배수홀(131)을 통해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에는 순도 높은 LNG가 수집될 수 있으며, 동시에 빗물 등에 혼입되어 LNG가 필요 이상으로 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방호 구조의 초저온 유체 수집조의 설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방호 구조(100)는 FLNG선(1')의 LNG 처리 설비(20')에 설치된다.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는 데크(21)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 내에 LNG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수집된 경우에는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를 새로운 초저온 유체 수집조로 교체하거나,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를 LNG 처리 설비(20')로부터 분리하여 내부에 수집된 LNG를 처리한 후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를 다시 LNG 처리 설비(20') 내에 장착할 수 있다.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를 LNG 처리 설비(20')로부터 분리하거나 LNG 처리 설비(20') 내에 장착하는 작업은 FLNG선(1')에 구비된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거나 접안 시설에 구비된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방호 구조(100)는 유출된 초저온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로 안전하게 재수집할 수 있다. 또한, 유출된 초저온 유체는 빗물과 같은 다른 유체와 구분되어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로 수집되므로 초저온 유체 수집조(150) 내에 수집된 초저온 유체를 재활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 FNLG선 10, 10': 선체
11, 12: LNG 저장 탱크 20, 20': LNG 처리 설비
21: 데크 21a: 중앙부
21b: 배수부 22, 23: 드레인 파이프
100: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101: 방호 영역
110: 방벽 120: 코팅층
131: 초저온 유체 배수홀 132: 초저온 유체 배관
133: 제1 밸브 134: 레인캡
141: 빗물 배수홀 142: 빗물 배관
143: 제2 밸브 150: 초저온 유체 수집조
151: NG 배출구 160: 디텍터

Claims (8)

  1. 초저온 유체의 유출 가능성이 잠재하는 방호 영역;
    상기 방호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초저온 유체 배수홀;
    상기 초저온 유체 배수홀과 연결되는 초저온 유체 배관;
    상기 초저온 유체 배관을 개폐하는 제1 밸브;
    상기 방호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빗물 배수홀;
    상기 빗물 배수홀과 연결되는 빗물 배관;
    상기 빗물 배관을 개폐하는 제2 밸브;
    상기 방호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초저온 유체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는 디텍터; 및
    상기 디텍터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텍터에 의해 상기 초저온 유체의 유출이 감지된 때에,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밸브는 폐쇄하며,
    상기 디텍터에 의해 상기 초저온 유체의 유출이 감지되지 않은 때에, 상기 제1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하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유체 배관과 연결되는 초저온 유체 수집조를 더 포함하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유체 수집조는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빗물이 상기 초저온 유체 배수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초저온 유체 배수홀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인캡을 더 포함하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 영역을 둘러싸는 방벽을 더 포함하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배관 중 상기 빗물 배수홀과 상기 제2 밸브를 연결하는 일부는 초저온용 강으로 형성되는,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유체는 액화천연가스인,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KR1020140118843A 2014-09-05 2014-09-05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KR101652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43A KR101652253B1 (ko) 2014-09-05 2014-09-05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43A KR101652253B1 (ko) 2014-09-05 2014-09-05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383A true KR20160029383A (ko) 2016-03-15
KR101652253B1 KR101652253B1 (ko) 2016-08-30

Family

ID=5554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843A KR101652253B1 (ko) 2014-09-05 2014-09-05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2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6708A1 (en) * 2017-11-28 2019-06-06 Chiyoda Corpora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fpso
US11959700B2 (en) 2018-06-01 2024-04-16 Steelhead Lng (Aslng) Ltd. Liquefac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09B1 (ko) * 2018-07-30 2020-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614A (ko) * 2007-07-24 2009-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화물 운반선의 빌지 처리장치
KR101345806B1 (ko) * 2011-07-21 2013-12-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614A (ko) * 2007-07-24 2009-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화물 운반선의 빌지 처리장치
KR101345806B1 (ko) * 2011-07-21 2013-12-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6708A1 (en) * 2017-11-28 2019-06-06 Chiyoda Corpora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fpso
US11959700B2 (en) 2018-06-01 2024-04-16 Steelhead Lng (Aslng) Ltd. Liquefac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253B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253B1 (ko)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KR101672606B1 (ko) 수성 및/또는 유성 액체들 및 극저온 액체를 수집하고 분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WO1998023352A1 (en) System for draining a liquid storage tank
US20140020775A1 (en) Manifold battery for hydrocarbon fields
KR20110070428A (ko) 선박의 빌지 시스템
US202103950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fluids in an underwater storage tank
KR20090129061A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0480972Y1 (ko) Lng fpso의 극저온 유체 선외 배출구조 및 이를 가지는 lng 운반선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KR101318683B1 (ko) Fpso 슬롭 워터 처리 시스템
KR102351596B1 (ko) Flng의 선체 보호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flng
KR101381185B1 (ko) 해양 설비용 화학물질 분리 배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96659B1 (ko) 선박의 기름 유출 방지 설비
KR102348462B1 (ko) 선박의 선체 외벽 보호 시스템
KR101358306B1 (ko)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102299160B1 (ko) Fpso용 폐수 처리 시스템
KR20140004355A (ko) 빌지 처리 장치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KR101523728B1 (ko)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20220123881A (ko)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 장치
EP2988990B1 (en) Offshore supply vessel
KR101984529B1 (ko) 원료 저장 탱크 청소를 위한 세정수 공급 시스템
KR200478223Y1 (ko) 해양구조물의 오픈 드레인 시스템
SU982714A1 (ru) Сепар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