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381A - 반복 검출 및 복호 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복 검출 및 복호 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381A
KR20160029381A KR1020140118840A KR20140118840A KR20160029381A KR 20160029381 A KR20160029381 A KR 20160029381A KR 1020140118840 A KR1020140118840 A KR 1020140118840A KR 20140118840 A KR20140118840 A KR 20140118840A KR 20160029381 A KR20160029381 A KR 20160029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generating
llr
feedback information
channel esti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101B1 (ko
Inventor
양주열
김민구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101B1/ko
Priority to US14/713,759 priority patent/US9319083B2/en
Priority to TW104125319A priority patent/TWI662798B/zh
Priority to CN201510559398.7A priority patent/CN105406939B/zh
Publication of KR2016002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48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detection of multiuser or interfering signals, e.g. iteration between CDMA or MIMO detector and FEC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5Iterative decoding, including iteration between signal detection and decod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24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 H04L25/03286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with channel-decoding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312Arrangements specific to the provision of output signals
    • H04L25/03318Provision of soft deci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8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수신기의 반복 검출 및 복호 방법은,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채널 추정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를 피드백 정보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LLR 값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과,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복 검출 및 복호 수신 방법 및 장치{APPARAUS AND METHOD FOR RECEIVING USING ITERATIVE DETECTION AND DECODING}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이용한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이동통신 시장의 급성장으로 인하여 무선 환경에서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전송 데이터의 대용량화 및 데이터 전송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한정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의 일 예로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MIMO 기술은 송/수신단 각각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비해 주파수나 송신 전력의 추가적인 할당 없이도 채널 전송 용량을 안테나 수에 비례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다중 안테나 기술들은 송/수신 안테나 수의 곱에 해당하는 다이버시티(diversity) 이득을 얻어 전송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방식과, 동시에 다수의 신호 열을 전송하여 전송률을 높이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SM) 방식 그리고 상기 공간 다이버시티와 공간 다중화를 결합한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공간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각 송신기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열을 송신하게 되면, 동시에 전송된 데이터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기에서는 간섭 신호 영향을 고려한 최대 우도 수신기(Maximum Likelihood: ML)를 사용하여 상기 신호를 검출하거나, 상기 간섭을 제거한 후 검파(detection)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간섭 제거 방식에는 제로 포싱(Zero Forcing), 최소 평균 제곱 오차(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 수신 방식들은 송신 비트들에 대한 사전 정보(priori information)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러한 수신 성능 개선을 위하여 반복 검출 및 복호(Iterative Detection and Decoding: 이하, IDD라 칭함)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해를 위하여 상기 IDD 방식을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IDD 방식은 터보 원리를 MIMO 수신기에 적용한 것으로, 반복적 검출 및 복호 방식의 수신기에서는 검출기(detector)와 복호기(decoder)가 연접(concatenated)된 형태로 구성된다. 검출기는 수신 신호의 연판정(soft decision) 정보를 생성하여 복호기로 전달한다. 연판정 정보는 로그 우도율(LLR, Log Likelihood Ratio)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복호기는 검출기로부터 제공받은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각 비트에 대한 복호를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연판정 값을 다시 생성한다. 이후, 복호기에서 생성된 새로운 연판정 값은 검출기로 피드백되어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하기 위한 사전 정보로 사용된다. 상기 과정이 소정 횟수만큼 반복됨으로써 수신 신호의 신뢰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반복 검출 및 복호 방식을 사용하는 수신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반복 검출 및 복호 방식을 사용하는 수신 시스템에서 버퍼(buffer)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반복 동작을 생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반복 검출 및 복호 방식을 사용하는 수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는 부분과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을 분리하여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가 제공하는 수신기의 반복 검출 및 복호 방법은,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채널 추정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를 피드백 정보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LLR 값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과,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가 제공하는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하는 수신기는,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생성하는 채널 추정부와, 상기 생성된 채널 추정 값을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LLR(Log likelihood Ratio)값을 생성하는 검출부와, 상기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복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LLR 값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과,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가 제공하는 수신기의 반복 검출 및 복호 방법은,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제1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1 LLR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신호, 상기 채널 추정 값,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는 제2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제1 LLR 값에 상기 제2 LLR 값을 더하여 전체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LLR 값은, 상기 수신 신호,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가 제공하는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하는 수신기는,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채널 추정부와,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제1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생성하는 제1 검출부와, 상기 생성된 제1 LLR 값을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수신 신호, 상기 채널 추정 값,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는 제2 LLR 값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된 제1 LLR 값에 상기 제2 LLR 값을 더하여 전체 LLR 값을 생성하는 제2 검출부와, 상기 전체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복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LLR 값은, 상기 수신 신호,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사용하는 수신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반복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여, 반복 검출 및 복호 시의 연산량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수신기의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복 검출 및 복호 방식을 사용하는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리된 것이지만, 상호 충돌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는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개시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장치 및 방법은 롱 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이동 통신 시스템과, 롱 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ong-Term Evolution-Advanced: LTE-A)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하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상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이동 통신 시스템과,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2(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 3GPP2)의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이동 통신 시스템과,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6m 통신 시스템과,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과,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Mobile IP)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복 검출 및 복호 방식을 사용하는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의 수신기는 수신 필터(101), 수신 신호 버퍼(103), 채널 추정부(105), 검출부(107), 복호부(110)를 포함한다.
수신 필터(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received signal)를 필터링하고, 수신 신호 버퍼(103)는 필터링된 수신 신호를 저장한다.
통상적으로 수신기가 채널 추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송신기는 송신 신호에 파일롯 신호(pilot signal) 또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을 포함시킨다. 수신기는 이러한 파일롯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채널 추정부(105)는 이처럼 수신 신호에 포함된 파일롯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검출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추정 값을 출력한다.
검출부(107)는 수신 신호 버퍼(103)에 저장된 수신 신호 및 채널 추정부(105)에서 출력된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LLR 값을 생성한다.
복호부(110)는 검출부(107)에서 생성된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를 수행하여 최종적인 복호 비트(decoded bit)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복호 비트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을 감소시켜서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호부(110)는 복호부(110)의 출력을 다시 검출부(107)로 피드백한다.
검출부(107)는 수신 신호 및 채널 추정 값과 복호부(110)에서 전달된 피드백 정보(feedback information)를 이용하여 다시 LLR 값을 생성한다. 복호부(110)는 검출부(107)에서 다시 생성된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를 다시 수행한다. 이러한 검출부(107) 및 복호부(110)의 동작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 수행된 후,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복호 비트가 생성한다.
이러한 반복 복호 과정에서, 반복 복호 횟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반복 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반복 복호 과정은 종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반복 복호가 종료되는 조건은 다양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수신기가 Nr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지고, 송신기가 Nt 개의 송신 안테나를 가지고 있으며, 송수신기가 MIMO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할 경우, 도 1의 수신기에서의 수신 신호는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각 변수들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y: 수신 신호 벡터(Nr x 1 열 벡터),
H: 채널 행렬(Nr x Nt 행렬),
x: 송신 심볼 벡터(Nt x 1 열 벡터),
n: 가산성 잡음 벡터(Nr x 1 열 벡터).
한편, 상기 <수학식 1>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송신기에서 송신된 각 비트에 대한 LLR 값은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는 사전 정보를 이용하는 ML 검출 방식에 의한 표현식이다.
상기 <수학식 2>는 첫 번째 부분<LE(bi,j)>과 두 번째 부분<La(bi,l)>로 구성되는데, 상기 두 번째 부분<La(bi,l)>은 송신 비트에 대한 사전 정보를 나타낸다. 그런데 수신기의 첫 번째 검출 동작 시에는 상기 사전 정보가 없다. 따라서 수신기는 상기 사전 정보 없이 첫 번째 검출 동작을 수행한다.
첫 번째 검출 과정 이후에는 복호부(110)에서 복호가 수행되고, 복호 결과 값이 사전 정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복호부(110)는 검출부(107)로 피드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검출부(107)는 두 번째 검출 과정 이후부터는 복호부(110)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정보를 사전 정보로 활용하여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
도 1의 수신기에서는 상기 <수학식 2>의 LLR 값을 계산하기 위한 반복 검출 동작 시에, 채널 추정 값을 구하는 과정도 함께 반복하게 된다.
상기 <수학식 2>에서 상기 두 번째 부분은 사전 정보로서 검출부(107)가 두 번째 반복 검출 동작 이후부터 LLR 값을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두 번째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의 계산을 위한 동작은 최초의 검출 과정에서 생성되는 값과 동일하다. 그런데 도 1의 수신기는 LLR 값 계산을 위하여 상기 첫 번째 부분의 생성을 위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반복 검출 및 복호 과정에서도 상기 첫 번째 부분은 최초의 검출 과정에서 생성되는 값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첫 번째 부분을 생성하기 위한 반복은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반복 검출 및 복호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동작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수신기의 적절한 위치에 버퍼를 포함시켜서, 반복 검출 및 복호 과정에서 불필요한 동작을 반복하지 않도록 한다. 다만,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버퍼"는 물리적으로 전용 저장 공간을 지칭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 저장 방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수신기는 도 1의 수신기와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하다. 즉, 도 2의 수신기는 수신 필터(101), 수신 신호 버퍼(103), 채널 추정부(105), 검출부(107), 복호부(110)를 포함함은 도 1의 수신기와 동일하다.
다만, 도 2의 수신기는 채널 추정부(105) 이후에 버퍼(206)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버퍼(206)는 채널 추정부(105)에서 출력된 채널 추정 값을 저장하여 채널 추정부(105)가 반복 검출 동작 시에 다시 한 번 채널 추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수신기는 도 1의 수신기와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하다. 즉, 도 2의 수신기는 수신 필터(101), 수신 신호 버퍼(103), 채널 추정부(105)와 복호부(110)를 포함함은 도 1의 수신기와 동일하다.
다만, 도 3의 수신기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검출부(3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한 검출부(310)는 제1 검출부(306), 버퍼(307)와 제2 검출부(309)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검출부(306)는 복호부(110)의 피드백 정보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을 계산하여 출력하고, 버퍼(307)는 상기 제 1 검출부(306)의 출력 값들을 저장한다. 상기 제2 검출부(309)는 복호부(110)의 피드백 정보로부터 영향을 받는 부분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즉,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서는 검출부(310)의 제1 검출부(306)는 복호부(110)의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을 생성하여 별도로 버퍼(307)에 저장하여 반복 복호 시 불필요한 동작이 반복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2 검출부(309)는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는 부분을 생성하여 반복 복호를 수행한다.
상기 도 3의 수신기의 검출부(310)가 생성하는 LLR값을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학식 2>에서 첫 번째 부분을 "제1 LLR 값"이라 칭할 때, 상기 제1 LLR 값은 복호부(110)에서 전달된 피드백 정보와 무관하기 때문에, 상기 제1 LLR 값의 계산 과정은 제1 검출부(306)에서 수행된다. 상기 제1 검출부(306)에서 계산된 제1 LLR 값 버퍼(307)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수학식 2>에서 두 번째 부분을 "제2 LLR 값"이라고 칭할 때, 상기 제2 LLR 값을 상기 제1 LLR 값에 더하는 과정은 복호부(110)에서 전달된 피드백 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제2 LLR 값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제1 LLR 값에 더하는 과정은 제2 검출부(309)에서 수행된다. 상기 제2 검출부(309)의 출력을 "전체 LLR 값"으로 칭한다.
이처럼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제1 LLR 값을 계산하여 별도로 버퍼(307)에 저장하고,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는 제2 LLR 값을 계산하여 상기 제1 LLR 값에 더하여 전체 LLR 값을 생성한다. 따라서 반복 검출 및 복호에 의하여 전체 LLR 값을 계산할 때에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제1 LLR 값을 반복하여 계산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은 검출기에서 ML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고, 검출기에서 ML 방식이 아닌 다른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ML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검출기에서도,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술한 실시예의 방식이 ML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검출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에 의한 두 개의 실시 예들에서 각각 버퍼의 위치는 다르게 구현되었다. 다만, 버퍼의 위치는 버퍼에 저장할 데이터의 양과 반복 검출 동작으로 인한 구현 복잡도의 증가량 사이에 트레이드 오프(trade-off)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예에서 제1 검출부(306)의 계산량보다 버퍼(307)에 저장될 데이터의 양이 더 많다면, 제1 실시 예와 같이 검출부(107) 이전에 버퍼(206)를 위치시키고, 검출부(107)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반면, 제2 실시 예에서 제1 검출부(306)의 계산량보다 버퍼(307)에 저장될 데이터의 양이 적다면 제2 실시예와 같이 버퍼를 검출부(310)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이처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한 버퍼의 위치는 검출부(310)와 같은 블록의 구현 방식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401단계에서는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고, 403단계에서는 필터링된 수신 신호를 버퍼에 저장한다. 405단계에서는 수신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신호 또는 파일롯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생성하고, 이를 버퍼에 저장한다.
407단계에서는 수신 신호 및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반복 검출 동작을 수행하여 LLR 값을 생성한다. 409단계에서는 상기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를 생성한다.
411단계에서는 반복 복호 횟수(N)와 최대 반복 복호 횟수(Nmax)를 비교하고, 반복 복호 횟수가 최대 반복 복호 횟수보다 크지 않다면 407단계로 되돌아가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한다. 이때, 채널 추정 값은 버퍼에 저장된 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반복 검출 동작 시에 채널 추정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만일 반복 복호 횟수(N)가 최대 반복 복호 횟수(Nmax)보다 초과한다면 반복 검출 및 복호 과정을 종료하고 최종 복호 비트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501단계에서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고, 503단계에서는 필터링된 수신 신호를 버퍼에 저장한다. 505단계에서는 수신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신호 또는 파일롯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생성한다.
507단계에서는 수신 신호 및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제1 LLR 값을 생성하고, 이를 버퍼에 저장한다. 509단계에서는 수신 신호, 채널 추정 값 및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는 제2 LLR 값을 생성한다. 511단계에서는 상기 제1 LLR 값에 상기 제2 LLR 값을 더하여 전체 LLR 값을 생성한다. 513단계에서는 상기 전체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를 생성한다.
515단계에서는 반복 복호 횟수(N)와 최대 반복 복호 횟수(Nmax)를 비교하고, 반복 복호 횟수가 최대 반복 복호 횟수보다 크지 않다면 509단계로 되돌아가 제2 LLR 값을 생성하고, 511단계에서 전체 LLR값을 생성한다. 이때, 제1 LLR값은 버퍼에 저장된 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1 LLR값이 반복하여 생성될 필요가 없다. 만일 반복 복호 횟수(N)가 최대 반복 복호 횟수(Nmax)를 초과하였다면 반복 검출 및 복호 과정을 종료하고 최종 복호 비트를 생성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개시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와,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개시를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개시가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수신기의 반복 검출 및 복호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채널 추정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를 피드백 정보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LLR 값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과,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반복 검출 및 복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미리 결정된 최대 반복 횟수 이내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반복 검출 및 복호 방법.
  3.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생성하는 채널 추정부와,
    상기 생성된 채널 추정 값을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LLR(Log Likelihood Ratio)값을 생성하는 검출부와,
    상기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복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LLR 값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저장된 채널 추정 값과,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하는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LR 값과, 상기 피드백 정보는, 미리 결정된 최대 반복 횟수 이내에서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하는 수신기.
  5. 수신기의 반복 검출 및 복호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제1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1 LLR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신호, 상기 채널 추정 값,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는 제2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제1 LLR 값에 상기 제2 LLR 값을 더하여 전체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LLR 값은, 상기 수신 신호,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반복 검출 및 복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은 미리 결정된 최대 반복 횟수 이내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반복 검출 및 복호 방법.
  7.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값을 채널 추정부와,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제1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생성하는 제1 검출부와,
    상기 생성된 제1 LLR 값을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수신 신호, 상기 채널 추정 값,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의 영향을 받는 제2 LLR 값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된 제1 LLR 값에 상기 제2 LLR 값을 더하여 전체 LLR 값을 생성하는 제2 검출부와,
    상기 전체 LLR 값을 이용하여 복호 비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복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LLR 값은, 상기 수신 신호,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채널 추정 값을 이용하여 반복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하는 수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LLR 값을 생성하는 과정은 미리 결정된 최대 반복 횟수 이내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하는 수신기.
KR1020140118840A 2014-09-05 2014-09-05 반복 검출 및 복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1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40A KR102214101B1 (ko) 2014-09-05 2014-09-05 반복 검출 및 복호 수신 방법 및 장치
US14/713,759 US9319083B2 (en) 2014-09-05 2015-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ption using iterative detection and decoding
TW104125319A TWI662798B (zh) 2014-09-05 2015-08-05 用於遞迴偵測及解碼的接收器、其方法、非暫時性電腦可讀取媒體以及積體電路
CN201510559398.7A CN105406939B (zh) 2014-09-05 2015-09-06 使用迭代检测解码进行接收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40A KR102214101B1 (ko) 2014-09-05 2014-09-05 반복 검출 및 복호 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381A true KR20160029381A (ko) 2016-03-15
KR102214101B1 KR102214101B1 (ko) 2021-02-09

Family

ID=5543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840A KR102214101B1 (ko) 2014-09-05 2014-09-05 반복 검출 및 복호 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19083B2 (ko)
KR (1) KR102214101B1 (ko)
CN (1) CN105406939B (ko)
TW (1) TWI66279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617A (ko) * 2014-03-14 201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167453A1 (ko) * 2022-03-04 2023-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호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491B1 (ko) 2017-06-19 2022-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20220209888A1 (en) * 2019-04-29 2022-06-30 Nokia Technologies Oy Iterative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7729A1 (en) * 2008-02-21 2011-01-13 Toshizo Nogami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23970T2 (de) * 1999-09-14 2006-04-27 Lucent Technologies Inc. Kanaldecodi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Kanaldecodieren
JP4412926B2 (ja) * 2002-09-27 2010-02-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適応等化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508748B2 (en) * 2003-10-24 2009-03-24 Qualcomm Incorporated Rate selection for a multi-carrier MIMO system
US7421041B2 (en) * 2004-03-01 2008-09-02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channel and interference estimation and decoding
JP4050726B2 (ja) * 2004-06-23 2008-02-20 株式会社東芝 復号装置
EP1836822B1 (en) * 2005-01-11 2008-12-24 QUALCOMM Incorporated Multiresolution modulation using variable euclidean distance ratio and blind receiver
US7764741B2 (en) * 2005-07-28 2010-07-27 Broadcom Corporation Modulation-type discri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0505713C (zh) * 2005-10-26 2009-06-24 电子科技大学 一种低复杂度的多入多出迭代检测方法
KR20080083176A (ko) * 2005-12-20 2008-09-16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결합 랜덤성으로부터 비밀키를 발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79448A (ko) 2006-02-02 2007-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반복 검출 및 복호 수신 장치 및방법
US8116242B2 (en) * 2006-07-18 2012-02-14 Motorola Mobility, Inc. Receiver having multi-antenna log likelihood ratio generation with channel estimation error
KR100981121B1 (ko) * 2007-12-18 2010-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의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5344121B2 (ja) * 2008-06-30 2013-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シングルキャリア伝送方式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US20120045024A1 (en) * 2010-02-24 2012-02-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terative decoding in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s
EP2410687A3 (en) * 2010-07-19 2013-07-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soft modul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JP5242649B2 (ja) * 2010-09-09 2013-07-24 株式会社東芝 判定帰還型等化器
KR101923701B1 (ko) 2011-12-14 2018-1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복적 검출 및 복호 방법 및 이의 장치
US9094179B2 (en) * 2011-12-20 2015-07-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s and method thereof
US20130170842A1 (en) * 2012-01-04 2013-07-04 Toshiaki Koike-Akino Method and System for Equalization and Decoding Received Signals Based on High-Order Statistics i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EP2896091B1 (en) * 2012-09-12 2019-11-06 Cohda Wireless Pty Ltd Split radio architecture
EP2930871B1 (en) * 2012-12-07 2018-03-07 Sun Patent Trust Signal genera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reception device
CN103065059B (zh) * 2013-01-29 2016-08-10 河海大学 一种基于变量代换的辐射型配电网潮流计算方法
CN103986557B (zh) * 2014-05-23 2017-06-13 西安电子科技大学 低路径延迟的LTE Turbo码并行分块译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7729A1 (en) * 2008-02-21 2011-01-13 Toshizo Nogami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617A (ko) * 2014-03-14 201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167453A1 (ko) * 2022-03-04 2023-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2798B (zh) 2019-06-11
CN105406939B (zh) 2021-03-30
US20160072535A1 (en) 2016-03-10
KR102214101B1 (ko) 2021-02-09
CN105406939A (zh) 2016-03-16
US9319083B2 (en) 2016-04-19
TW201613282A (en)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29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JP5400857B2 (ja) Ldpc復号化の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受信端末
US103676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downlink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14101B1 (ko) 반복 검출 및 복호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20010406A (ja) スパースオーダーリングされた反復グループ判定帰還干渉除去
KR10226772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유효 잡음을 기반으로 채널 복호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JP5506109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摂動デコーダ及び復号化方法とこれを用いた装置
JP2013031132A (ja) 無線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165761A1 (en) Multi-stream faster-than-nyquist transmission using bandwidth partitioning
US1043974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hannel decoding oper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674319B1 (ko) Ofdm 시스템에서 측정벡터 결합을 이용하여 다중채널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042469B2 (en)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for a combinerless LINC OFDM system
KR20150069747A (ko) 회전 qam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디매핑 방법 및 장치
JP2021170696A (ja) 無線受信装置
US1041908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546202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193792B1 (ko) Lr을 이용한 mimo 시스템의 신호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60151A (ko) 수신단에서의 복조 및 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2825B1 (ko)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의 이동성 지원 상향링크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7112500A (ja) Mimo無線伝送システム、mimo無線伝送方法、送信機および受信機
KR102098868B1 (ko) 중계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3196B1 (ko) Mimo 전송을 위한 반복적 스피어 디코딩을 이용한 ml 검파 수신기 및 그 수신기의 ml 검파 방법
KR101424351B1 (ko) 낮은 최대대비평균전력비를 갖는 ofdm 신호의 다중 안테나 릴레이 방법 및 장치
KR100912326B1 (ko) 다이버시티 경로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3371B1 (ko) Mimo시스템에서 송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 및 그 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