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229A -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229A
KR20160029229A KR1020140117885A KR20140117885A KR20160029229A KR 20160029229 A KR20160029229 A KR 20160029229A KR 1020140117885 A KR1020140117885 A KR 1020140117885A KR 20140117885 A KR20140117885 A KR 20140117885A KR 20160029229 A KR20160029229 A KR 20160029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e
terminal
power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446B1 (ko
Inventor
정성윤
송덕원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4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44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72Supports for specific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5/00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쇼핑 카트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핸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바스켓;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핸들의 일측에 설치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단말 부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다른 쇼핑 카트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전력을 충전하며, 충전된 전력을 전달하는 충전부; 다른 쇼핑 카트의 연결 고리를 상기 단말 부착 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연결 고리 잠금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현재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모드 또는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 분리 방법{SMART CART AND METHOD FOR UNLOCKING A CONNECTION RING USING THE SMART CART}
본 명세서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 푸시 카트(push cart) 혹은 쇼핑 카트(shopping cart)라 함은 대형 할인점, 백화점, 슈퍼마켓, 공방 또는 면세점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물품을 구입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운반기구를 말한다.
특히, 상기 쇼핑 카트는 대체로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frame)의 상부에 핸들이 제공되고, 프레임의 하부에 이동용 캐스터(caster)가 장착되며, 프레임의 중앙부에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바스켓(basket)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쇼핑 카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구매자는 장시간의 쇼핑이나 배터리 미충전 등의 상황으로 인하여 쇼핑 중에 휴대폰의 배터리가 소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구매자는 별도로 충전된 휴대폰 배터리를 소지하고 다니거나,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기 본체가 위치하는 장소까지 이동하여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가 쇼핑 카트를 이용하고자 할 때, 상기 쇼핑 카트에 동전을 삽입하여 다른 쇼핑 카트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고리를 분리하여야만 쇼핑 카트를 이용할 수 있어, 동전이 없는 경우 상기 쇼핑 카트를 이용하는데 있어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KR 1020030094547 A1
본 명세서는 가시광 신호 또는 자기장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쇼핑 카트의 연결 고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쇼핑 카트를 이용하여 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단말의 배터리 충전 시, 충전 요금을 결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는 쇼핑 카트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핸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바스켓;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핸들의 일측에 설치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단말 부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다른 쇼핑 카트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전력을 충전하며, 충전된 전력을 전달하는 충전부; 다른 쇼핑 카트의 연결 고리를 상기 단말 부착 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연결 고리 잠금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현재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모드 또는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통신부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광 소자에서 빛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자석 또는 홀 센서(hall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석 또는 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동력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에서 상기 다른 쇼핑 카트의 연결 고리가 분리되도록 상기 동력 장치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전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된 전력이 임계 전력량 값 또는 요청 전력량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단말 부착 장치에 있어서, 다른 쇼핑 카트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전력을 충전하며, 충전된 전력을 전달하는 충전부; 다른 쇼핑 카트의 연결 고리를 상기 단말 부착 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연결 고리 잠금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현재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모드 또는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가시광 신호 또는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연결 고리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쇼핑 카트에 별도의 동전을 삽입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쇼핑 카트를 이용하여 바로 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쇼핑 중 단말의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장소를 찾아가지 않아도 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내며, 도 2b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의 단말 부착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 연결 고리 분리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를 통한 단말의 배터리 충전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가시광 통신 시스템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 설명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10)은 자가 발전 광원 센서 시스템(일 예로, 하이 패스, 마트Tag, 창고 물건 정보 수집, 전자 금융(T-money), 식물 공장 모니터링, 자동차 상태 모니터링 센서 시스템, 교통정보 제공 및 수집 시스템, 스마트 조명 시스템, 군용 식별 시스템…), 광 기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일 예로, 가정용 무선 충전기, 산업용 무선 충전기, 스마트 그리드 사업, 스마트 조명 시스템 …) 및 광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교통정보 제공 및 수집 시스템, 홈네트워크, 지능형 조명 등) 등에서 이용 가능하다.
이외에도 상기 가시광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통신 분야에도 활용 가능하다.
상기 가시광 통신 시스템은 광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가시광 전송 장치(200) 및 광원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가시광 수신 장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시광 전송 장치(200)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다양한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변조 신호를 상기 변조 신호의 특성에 맞는 파장 대역을 통해 광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가시광 수신 장치(110)는 광원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광원을 이용하여 상기 가시광 수신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가시광 수신 장치를 구동한다 함은 상기 가시광 전송 장치와 통신을 수행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가시광 전송 장치 및 가시광 수신 장치는 Tag와 같은 소형 센서,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데스크 탑 형태의 고정 단말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 통신 시스템은 유, 무선 통신의 다른 통신 매체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과 결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카트 구조 및 기능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카트는 주로 마트나 쇼핑을 하여 물품을 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카트를 말한다.
카트는 주로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손수레 또는 골프에서 캐디가 들고 다니는 가방을 운반하는 차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넓은 의미로 끌고 다니는 것 이외에 모터를 이용하여 타고 다닐 수 있는 것도 상기 스마트 카트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도 2a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내며, 도 2b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의 단말 부착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100)는 메인 프레임(120), 핸들(130), 바스켓(140), 보조 프레임(150), 바퀴(또는 캐스터,160) 및 단말 부착 장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바스켓을 지지하고, 보조 프레임을 통하여 바퀴가 장착되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다수 개의 로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130)은 메인 프레임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어 스마트 카트의 전진 및 방향 조정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핸들은 핸들 프레임(131)을 구비하며, 상기 핸들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감쌀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진 및 방향 조정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바스켓(140)은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쇼핑하는 물품을 적재하도록 그물 모양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조 프레임(150)은 바스켓의 하부이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영역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쇼핑하는 물품을 별도로 적재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부착 장치(110)는 상기 핸들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단말이 부착되는 부재이다.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핸들 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카트의 구성 요소의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단말 부착 장치(110)는 통신부(또는 송/수신부, RF 유닛,111), 단말 거치대(112), 연결부(113), 충전부(114), 프로세서(115), 메모리(116), 연결 고리(117), 출력부(118) 및 연결 고리 잠금부(119)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단말 부착 장치의 구성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기능 수행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1)는 센싱부(또는 센서부) 및 다양한 통신 방식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통신 방식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USB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3G/4G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모듈, 가시광 통신 모듈 등일 수 있다.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은 가시광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시광 신호 송신의 경우,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은 광원 모듈로 표현될 수 있으며, LED, OLED, LD 등일 수 있다.
또한, 가시광 신호 수신의 경우,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은 수광 소자로 표현될 수 있으며, 포토 디텍터(Photo Detector), solar cell 등 일 수 있다.
상기 단말 거치대(112)는 단말을 놓을 수 있는 지지부를 의미하며, 상기 단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거치대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연결부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113)는 상기 단말 부착 장치와 상기 단말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일 수 있다.
유선 형태의 일 예로 유에스비(USB:Universal Serial Bus)를 들 수 있다.
상기 충전부(114)는 상기 통신부, 프로세서 및 상기 바퀴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전력 생성 수단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며, 상기 전력 생성 수단을 통해 생성된 전력을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충전된 전력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5)는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광 소자에서 빛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자석 또는 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에서 상기 다른 쇼핑 카트의 연결 고리가 분리되도록 상기 동력 장치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고, 단말로부터 전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된 전력이 임계 전력량 값 또는 요청 전력량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116)는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명령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고리(117)는 상기 단말 부착 장치 특히, 연결 고리 잠금부 일 측에 형성되며, 다른 스마트 카트의 단말 부착 장치 특히, 연결 고리 잠금부와 연결된다.
상기 출력부(118)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에서 발생되는 키입력 신호 및 프로세서로부터의 각종 정보 신호와 함께, 상기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되는 정보들은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 정보일 수 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키입력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119)는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는 잠금 모드 상태에서 상기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와 연결되며, 잠금 해제 모드 상태에서 상기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스마트 카트 연결 고리 분리 방법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에 구비되는 단말 부착 장치에서 연결 고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 연결 고리 분리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서 설명하는 스마트 카트 및 단말 부착 장치는 도 2a 및 도 2b의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 수행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더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카트에 구비되는 단말 부착 장치는 단말이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부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S310),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 확인 및 모드 변경(S320)을 통해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S330).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는 잠금 모드와 잠금 해제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잠금 모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에 연결 고리가 연결된 상태의 모드를 나타내며, 상기 잠금 해제 모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에 연결 고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모드를 나타낸다.
상기 단말 부착 장치가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아래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의 수광 소자에서 빛의 감지를 이용
단말 부착 장치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자석, 센서 등을 통한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
USB를 이용
먼저, 수광 소자에서 빛의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잠금 상태(또는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 상기 수광소자의 예로, 포토 디텍터(Photo Detector)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통신부의 가시광 통신 모듈에 해당될 수 있는 포토 디텍터에서 빛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한다(S321).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포토 디텍터에서 빛이 감지된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부에서 연결 고리가 분리되도록 한다(S330).
구체적으로, 상기 포토 디텍터에서 빛이 감지된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확인하여, 현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모드인 경우 잠금 해제 모드(연결 고리 분리)로 변경하고, 현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잠금 해제 모드를 유지한다(S322).
또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포토 디텍터에서 빛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부에 연결 고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S330).
구체적으로, 상기 포토 디텍터에서 빛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확인하여, 현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모드인 경우 잠금 모드(연결 고리 연결)를 유지하고, 현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잠금 모드로 변경한다(S323).
따라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포토 디텍터에서 빛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잠금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 또는 잠금 모드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부에서 연결 고리가 분리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포토 디텍터에서의 빛의 감지와 더불어, 상기 스마트 카트의 어느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 움직임(또는 모션) 센서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 상태를 더욱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포토 디텍터에 수신되는 빛의 양과 임계값(기 결정된 값)과의 비교를 통해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변경 또는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포토 디텍터에 수신되는 빛의 양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거나 잠금 해제 모드로 유지한다.
다음으로,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자기장의 변화를 통해 연결 고리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자석 및 센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자석은 영구 자석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자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의 일 예로, 홀 센서(hall sensor)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는 홀 효과를 이용하는 센서로서,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전압이 변하는 소자이다. 홀 효과란 도체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전류의 방향과 수직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때, 전류가 흐르는 도체 내에서 전류와 수직방향으로 전위차가 발생(전기장 형성)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 때 발생하는 전압(또는 전위차)을 홀 전압이라 한다.
즉,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자석 및 홀 센서를 통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S321’),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확인하여, 현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모드인 경우 잠금 해제 모드(연결 고리 분리)로 변경하고, 현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잠금 해제 모드를 유지한다(S322’).
또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확인하여, 현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모드인 경우 잠금 모드(연결 고리 연결)를 유지하고, 현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잠금 모드로 변경한다(S323’).
또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단말 부착 장치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동력 장치(일 예: 모터 등)를 구동(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에서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가 밀려나도록 하여 상기 연결 고리를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USB를 이용하여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 또는 유지함으로써,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부에 구비된 USB를 통해 단말이 연결되는 경우, 스마트 카트의 단말 부착 장치는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를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 고리 잠금부는 USB를 통해 단말이 연결됨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모드인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단말 부착 장치에서 연결 고리가 분리되도록 한다.
또 다른 일 예로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트에서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를 분리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 카트에 USB 등을 통해 단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 내 구비된 가시광 조명부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가시광 조명부는 상기 단말 내 구비되는 통신부의 가시광 통신 모듈이거나 카메라 등과 같이 가시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 조명부는 가시광 조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구동되는 경우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스마트 카트(특히, 스마트 카트의 단말 부착 장치 또는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 고리 잠금부)로 연결 고리 분리를 위한 가시광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확인하여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 또는 잠금 해제 모드로 유지함으로써, 연결 고리를 분리한다.
또 다른 일 예로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 카트에서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를 분리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스마트 카트에 USB 등을 통해 단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단말과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은 상기 스마트 카트가 구비되어 있는 매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거나 상기 매장의 중앙 제어 서버-단말-스마트 카트 간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단말에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지문 장치, 안구 인식 장치, 얼굴 인식 장치, 음성 인식 장치, 모션 인식 장치 등이 구비되는 경우 이를 통해서도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스마트 카트에 연결된 단말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단말 부착 장치에서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를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카트 를 이용한 단말 배터리 충전 방법
이하에서, 스마트 카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카트에 부착되는 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카트 통한 단말의 배터리 충전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단말 부착 장치의 통신부 및 충전부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단말 부착 장치에 단말이 연결된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를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의 단말 배터리 충전 방법은 도 3의 S310 단계 이전부터 수행될 수도 있고, S320 단계 이후 즉,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 고리 잠금부에서 연결 고리가 분리된 때부터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한다(S410). 여기서, 외부라 함은 특정 장소에 설치된 즉, 도 1에서 살펴본 가시광 전송 장치일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충전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전력을 충전한다(S420). 여기서, 상기 전력 충전은 전력 생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S310 단계 이전부터 상기 단말 부착 장치에서 전력이 충전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가시광 신호뿐만 아니라 다른 스마트 카트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연결 고리 잠금부를 통해 상기 다른 스마트 카트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한다. 즉, 이를 통해 상기 단말의 배터리 충전이 수행된다(S450).
여기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단말로부터 전력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S430),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로의 충전된 전력은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이 없는 경우와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모두 전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가시광 신호를 이용한 전력 충전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다른 전력 생성 장치(또는 수단)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할 수도 있다.
다른 전력 생성 장치를 통한 전력 충전 방법의 일 예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스마트 카트의 메인 프레임 일 측면에 형성되는 바퀴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는 전력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추가적으로 충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퀴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는 전력 생성 장치는 상기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즉,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고, 이를 상기 충전부로 전달해줌으로써, 전력을 추가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충전된 전력이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전력 수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력 전송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충전된 전력량과 전송 가능한 임계 전력량 또는 요청 전력량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충전된 전력량이 상기 임계 전력량 또는 상기 요청 전력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단말로 전력을 전송한다(S441).
하지만, 상기 충전된 전력량이 전송 가능한 임계 전력량 또는 요청 전력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단말로 전력을 전송하지 않고 계속해서 상기 충전부를 통해 전력 충전을 계속한다(S442).
이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상기 단말로의 전력 전송이 가능하지 않음을 알리는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카트에서 상기 단말로의 전력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전송이 무선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단말 부착 장치 및 상기 단말은 무선 전력 충전 수행이 가능한 무선 전력 충전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전력 충전은 자기 유도 또는 자기 공명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일 예로서, 스마트 카트를 통한 단말의 배터리 충전 시, 충전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배터리 충전은 무료로 진행될 수도 있으나 유료로 진행될 수도 있다.
스마트 카트를 통한 단말의 배터리 충전이 무료로 진행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초기 보증금에 해당하는 요금을 결재하되, 추후 스마트 카트가 제대로 반납되는 경우, 결재된 요금을 다시 사용자에게 돌려주는(환급) 방식으로 충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트를 통한 단말의 배터리 충전이 유료로 진행되는 경우, 선불식 또는 후불식 결재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선불식 충전 요금 결재 방식이 이용되는 일 예로서, 상기 단말로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요금 테이블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말로의 요금 테이블 제공은 상기 단말이 상기 스마트 카트(또는 단말 부착 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단말이 상기 스마트 카트가 구비되어 있는 특정 장소(마트, 백화점 등)에 진입하였을 때 또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의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한 때 등일 수 있다.
상기 충전 요금 테이블은 전력량 별 가격(예: 1KW - 1,000원)이 기재된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 등을 위해 단말의 배터리 충전 방식으로 급속 충전, 일반 충전, 저속 충전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 예컨대, 충전 및 결재 프로그램 및 플랫폼들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실시 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의 분리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있다.
10: 가시광 통신 시스템 130: 핸들
200: 가시광 전송 장치 131: 핸들 프레임
110: 가시광 수신 장치 140: 바스켓
100: 스마트 카트 150: 보조 프레임
110: 단말 부착 장치 160: 바퀴(캐스터)
120: 메인 프레임

Claims (11)

  1. 스마트 카트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핸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바스켓;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핸들의 일측에 설치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단말 부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다른 스마트 카트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전력을 충전하며, 충전된 전력을 전달하는 충전부;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를 상기 단말 부착 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연결 고리 잠금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모드 또는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광 소자에서 빛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자석 또는 홀 센서(hall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석 또는 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부착 장치는 동력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에서 상기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가 분리되도록 상기 동력 장치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고,
    단말로부터 전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된 전력이 임계 전력량 값 또는 요청 전력량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
  7. 단말 부착 장치에 있어서,
    다른 스마트 카트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 부착 장치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전력을 충전하며, 충전된 전력을 전달하는 충전부;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를 상기 단말 부착 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연결 고리 잠금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현재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모드 또는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부착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광 소자에서 빛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부착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자석 또는 홀 센서(hall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석 또는 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를 잠금 해제 모드로 변경하도록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부착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동력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의 모드가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상기 연결 고리 잠금부에서 상기 다른 스마트 카트의 연결 고리가 분리되도록 상기 동력 장치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부착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고,
    단말로부터 전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부착 장치.
KR1020140117885A 2014-09-04 2014-09-04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 분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3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85A KR101634446B1 (ko) 2014-09-04 2014-09-04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85A KR101634446B1 (ko) 2014-09-04 2014-09-04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229A true KR20160029229A (ko) 2016-03-15
KR101634446B1 KR101634446B1 (ko) 2016-06-29

Family

ID=5554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4446B1 (ko) 2014-09-04 2014-09-04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758A (ko) * 2020-03-06 2022-09-14 프란츠 비이트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 및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547A (ko) 2002-06-04 2003-12-18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선별을 위한 모노클로날항체 스크리닝 방법 및하이브리도마 선별용 키트
KR20050026566A (ko) * 2002-08-03 2005-03-15 반츨 메탈바렌파브릭 게엠베하 트롤리 제공 시스템
KR20120031768A (ko) * 2010-09-27 2012-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기능을 가진 쇼핑 카트의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547A (ko) 2002-06-04 2003-12-18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선별을 위한 모노클로날항체 스크리닝 방법 및하이브리도마 선별용 키트
KR20050026566A (ko) * 2002-08-03 2005-03-15 반츨 메탈바렌파브릭 게엠베하 트롤리 제공 시스템
KR20120031768A (ko) * 2010-09-27 2012-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기능을 가진 쇼핑 카트의 잠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758A (ko) * 2020-03-06 2022-09-14 프란츠 비이트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 및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446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69062B (zh) 配送系统
KR102072139B1 (ko) 카트로봇 주행 시스템
US2016030045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lf-Service Shopping
CN212022769U (zh) 手推车收纳系统以及供电系统
JP2008537520A (ja) 自転車自動保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のための自転車
CN111082545A (zh) 送电装置及供电系统
JP5756438B2 (ja) 二輪車を格納するための自動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のための二輪車
US20220320881A1 (en) Battery charging module, battery replacement device, and battery device
US20200349789A1 (en) Mobile robot management service system
JP2009211477A (ja) 車両向け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150030133A (ko)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그 대여방법
GB2555349A (en) Shopping facility assistan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o drive movable item containers
CN112491152A (zh) 非接触供电系统及送电装置
CN105787546A (zh) Rfid标签及rfid系统
KR20120031768A (ko) 전원 공급 기능을 가진 쇼핑 카트의 잠금 장치
US20200198679A1 (en) Cart power supply equipment and cart storage system
KR101653902B1 (ko) 가시광 신호를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EP3163523B1 (en) Shopping trolley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JP2022024705A (ja) 非接触給電装置
KR101634446B1 (ko)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연결 고리 분리 방법
JP2011221717A (ja) 収納装置及び電動車両管理システム
CN201617518U (zh) 一种移动盘点装置
CN110335362B (zh) 停车收费的方法、设备、购物车及系统
ES2924375T3 (es) Equipo de transporte con al menos un dispositivo de transporte y método para fabricar, operar y mantener el equipo de transporte
CN102706346A (zh) 商场导航系统及其智能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