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098A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098A
KR20160028098A KR1020140116565A KR20140116565A KR20160028098A KR 20160028098 A KR20160028098 A KR 20160028098A KR 1020140116565 A KR1020140116565 A KR 1020140116565A KR 20140116565 A KR20140116565 A KR 20140116565A KR 20160028098 A KR20160028098 A KR 20160028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partition
connection shaft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942B1 (ko
Inventor
한교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116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9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단자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단자대는: 단자가 배열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와 연결되고, 단자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칸막이부와, 칸막이부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상태에 따라 단자를 커버하거나 외부에 노출시키는 혼촉방지부와, 본체부에 설치되고, 혼촉방지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축부와, 본체부와 칸막이부, 혼촉방지부의 사이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단자와 결선된 터미널이나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자대{TERMINAL BLOCK}
본 발명은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혼촉(混觸, Mixed contact short circuit)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자대는 단순히 복수개의 단자를 배열시킨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의 단자가 이웃한 상태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단자대의 특정 단자에 케이블을 결선(結線)하는 경우, 이웃한 다른 단자 또는 이와 연결된 터미널 등과 접하여 혼촉이 발생되기 쉽다. 이러한 혼촉은 대형 정전사고, 주요 전기·전자설비의 고장, 퓨즈 단선 뿐만 아니라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초래한다.
이러한 혼촉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결선 대상이 아닌 단자를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한 상태로 결선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작업자의 판단에만 의존하여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절연테이프를 붙이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테이핑작업을 생략하여 혼촉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결선 작업이 익숙하지 않은 작업자에게는 혼촉의 위험성이 보다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4-0001487호(1994.01.11. 공개, 발명의 명칭: 단자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선 작업 시 단자가 이웃한 단자와 혼촉됨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는: 단자가 배열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자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칸막이부; 상기 칸막이부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상태에 따라 상기 단자를 커버하거나 외부에 노출시키는 혼촉방지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혼촉방지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축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칸막이부, 상기 혼촉방지부의 사이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와 결선된 터미널이나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설치부; 상기 단자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단자설치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를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단자설치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연결축부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지지홀부; 상기 단자설치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부를 관통한 상기 연결축부의 타단부가 끼워지는 지지홈부; 및 상기 지지홀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상기 지지홀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단자설치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연결축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홀부; 및 상기 지지홀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상기 지지홀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지지홀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단자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관통하여 조립되는 홀부가 형성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측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혼촉방지부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착탈고정부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립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조립홈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혼촉방지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하는 조립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촉방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칸막이부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단자를 전방에서 커버하는 전면커버부;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자를 측방향에서 커버하며, 상기 칸막이부와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과부를 형성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커버부의 단부에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부에 형성된 조립턱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칸막이부에 형성된 조립홈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착탈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를 조명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에 의하면, 혼촉방지부로 복수개의 단자를 개별적으로 커버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어, 단자에 터미널이나 케이블을 연결하는 결선 작업을 결선 대상이 되는 단자만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이웃한 다른 단자와의 혼촉 없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혼촉방지부가 연결축부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회동 각도에 따라 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키거나 커버하는 작용을 구현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단자대에 커버를 재부착하는 과정이 생략되거나, 커버를 분실함에 따른 혼촉 사고의 위험성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대의 단자에 터미널이나 케이블을 결선 시 발생된 혼촉으로 인해 발생된 대형 정전사고, 주요 전기·전자설비의 고장, 퓨즈 단선 뿐만 아니라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혼촉방지부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결선 대상이 되는 단자만을 노출시킨 상태로 안전하게 결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기존에 결선 대상이 아닌 단자를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한 상태로 결선 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위험성과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B-B'선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혼촉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혼촉방지부를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B-B'선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혼촉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혼촉방지부를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는 본체부(10), 칸막이부(30), 혼촉방지부(40), 연결축부(50), 통과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자대(1)는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자(20)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 배열되고, 혼촉방지부(40)가 단자(20)의 전방에 위치된다고 전제한다.
본체부(10)는 복수개의 단자(20)가 설치될 수 있는 베이스를 이루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단자(20)는 본체부(10)상에 2열로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단자(20)는 본체부(10)의 우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열과, 본체부(10)의 좌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열을 포함한다.
칸막이부(30)는 본체부(10)와 연결되고, 단자(20)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복수개의 단자(20)는 칸막이부(30)에 의해 상호 독립되게 구획된 공간부상에 개별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혼촉방지부(40)는 단자(20) 각각을 개별적으로 커버하는 부분이다. 혼촉방지부(40)는 칸막이부(30)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상태에 따라 단자(20)를 커버하거나 외부에 노출시킨다.
연결축부(50)는 혼촉방지부(4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다. 연결축부(50)는 바(bar) 형상을 가지고 복수개의 칸막이부(30)와 혼촉방지부(40)를 교대로 관통하며, 그 양단부가 본체부(10)에 설치된다. 통과부(60)는 단자(20)와 결선된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이 단자대(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이다. 통과부(60)는 본체부(10)와 칸막이부(30), 혼촉방지부(40)의 사이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는 단자설치부(11), 측벽부(12), 축지지부(13)를 포함한다.
단자설치부(11)는 단자(20)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면을 제공하고, 구조물상에 고정되는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단자(20)는 단자설치부(11)상에 2열로 배열된다.
측벽부(12)는 단자(20)를 일측에서 커버하는 고정된 측벽을 이루고, 칸막이부(30)의 측면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골조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측벽부(12)는 단자설치부(11)상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단자(2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측벽부(12)는 단자(20)의 제1열과 제2열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열상의 단자(20)와 연결되는 케이블(3)은 측벽부(12)에 의해 제2열상의 단자(20)측으로, 즉 좌측으로 연장되지 못하고 단자설치부(11)의 우측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열상의 단자(20)와 연결되는 케이블(3)은 측벽부(12)에 의해 제1열상의 단자(20)측으로, 즉 우측으로 연장되지 못하고 단자설치부(11)의 좌측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축지지부(13)는 단자설치부(11)의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이 마주하게 형성되고, 연결축부(50)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지지부(13)는 지지홀부(14), 지지홈부(15), 마개부(16)를 포함한다.
지지홀부(14)는 단자설치부(11)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 축지지부(13) 중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지지홈부(15)는 단자설치부(11)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 축지지부(13) 중 타측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지지홈부(15)와 지지홀부(14)는 각각 연결축부(50)의 양단부에 대응되는 원주 형상으로 중공되게 형성된다.
연결축부(50)의 일단부는 지지홀부(14)를 관통하여 한 쌍의 축지지부(13) 사이로 인입되고, 복수개의 칸막이부(30)와 혼촉방지부(40)를 교대로 통과한 후, 지지홈부(15)에 끼워진다. 이때, 연결축부(50)의 타단부는 지지홀부(14)의 내부에 위치된다. 연결축부(50)의 양단부는 상기와 같이 지지홈부(15)와 지지홀부(14)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홈부(15)와 지지홀부(14)의 내면부에 접촉되어 측방향 및 전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지지된다.
마개부(16)는 연결축부(50)가 정위치(正位置)에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기 위해 지지홀부(14)를 폐쇄시키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6)는 볼트 형상을 가지고 지지홀부(14)에 나사결합된다. 지지홀부(14)의 내면부상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마개부(16)의 외면부상에는 이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축부(50)의 양단부를 지지홈부(15)와 지지홀부(14)에 끼운 상태에서, 즉 연결축부(50)가 정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마개부(16)를 지지홀부(14)에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지지홀부(14)를 폐쇄하고, 연결축부(50)가 지지홀부(14)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축지지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홀부(14)와 마개부(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홀부(14)는 단자설치부(11)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 한 쌍의 축지지부(13) 각각에 형성된다. 마개부(16)는 지지홀부(14)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연결축부(50)의 일단부는 한 쌍의 지지홀부(14) 중 일측을 관통하여 한 쌍의 축지지부(13) 사이로 인입되고, 복수개의 칸막이부(30)와 혼촉방지부(40)를 교대로 통과한 후, 한 쌍의 지지홀부(14) 중 타측에 끼워진다. 이때, 연결축부(50)의 양단부는 한 쌍의 지지홀부(14)에 각각 끼워진 상태가 된다. 연결축부(50)의 양단부는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지지홀부(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홀부(14)의 내면부에 접촉되어 측방향 및 전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축부(50)의 양단부를 한 쌍의 지지홀부(14)에 끼운 상태에서, 즉 연결축부(50)가 정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마개부(16)를 지지홀부(14) 각각에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지지홀부(14)를 폐쇄하고, 연결축부(50)가 지지홀부(14)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마개부(16)를 지지홀부(14)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한 쌍의 지지홀부(14) 중 타측에 마개부(16)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지지홀부(14) 중 일측을 통해 연결축부(50)를 조립한 후, 지지홀부(14) 중 일측에 마개부(16)를 결합하는 순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부(30)는 격벽부(31), 조립홈부(33), 조립턱부(34)를 포함한다.
격벽부(31)는 단자(20)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단자(20)의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단자(20)의 사이에 격벽부(31)를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단자(20)는 격벽부(31)에 의해 상호 독립되게 구획된 공간부상에 개별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을 단자(20)에 결선 시, 해당 단자(20)와 연결된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이 2개의 격벽부(31)의 사이에 형성된 통과부(60)를 통해서만 본체부(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은 그 연장 방향이 격벽부(31)에 의해 제한되어 이웃한 다른 단자(20)측으로는 연장될 수 없다. 이에 따라, 결선 대상이 되는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이 이웃한 다른 단자(20)와 연결된 터미널(2)이나 케이블(3)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부(31)는 단자(20)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자(20)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연결축부(50)가 관통하여 조립되는 홀부(3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축부(50)는 그 양단부가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축지지부(13)에 의해 지지됨에 동시에 그 중간부가 단자(20)의 사이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부(32)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조립홈부(33)는 혼촉방지부(40)의 단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된 착탈고정부(46)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부분이다. 조립홈부(33)는 격벽부(31) 중 혼촉방지부(40)의 단부와 접하는 측면부상에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조립턱부(34)는 혼촉방지부(40)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조립턱부(34)는 조립홈부(33)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턱부(34)는 조립홈부(33)의 일측면부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혼촉방지부(40)는 그 단부가 조립턱부(34)와 접하여 안착됨과 동시에 조립홈부(33)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혼촉방지부(40)는 커버부(41)와 조립부(44)를 포함한다.
커버부(41)는 회동 각도에 따라 단자(20)를 외부에 노출시키거나 외부와 차단되게 커버하는 부분으로, 연결축부(5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부(41)는 단자(2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커버부(41) 각각을 개별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단자(20)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커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부(41)는 전면커버부(42)와 측면커버부(43)를 포함하여,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진다.(도 3 참조)
전면커버부(42)는 단자(20)를 전방에서 커버하는 부분으로, 칸막이부(30)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면커버부(42)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연결축부(50)에 의해 관통되어 연결축부(50)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 측면커버부(43)는 단자(20)를 측방향에서 커버하는 부분으로, 전면커버부(42)의 단부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전면커버부(42)와 함께 'ㄱ'자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측면커버부(43)와 칸막이부(30), 본체부(10)의 사이에는 통과부(60)가 형성된다.
작업자가 커버부(41)를 단자(20)측으로 회동시키면, 전면커버부(42)가 단자(20)를 전방에서 커버함과 동시에 측면커버부(43)가 단자(20)를 측방향에서 커버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41)를 단자(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단자(20)의 전면부와 측면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단자(20)의 전면부와 측면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나 터미널(2)을 작업에 편리한 다양한 각도로 단자(20)에 접근시키면서 단자(20)와 터미널(2)을 연결하는 결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조립부(44)는 칸막이부(30)에 마련된 조립홈부(33)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부분으로, 커버부(41)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부(44)는 안착부(45)와 착탈고정부(46)를 포함한다.
안착부(45)는 조립턱부(34)와 접하여 안착되는 부분으로, 측면커버부(43)의 단부에 측면커버부(43)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착탈고정부(46)는 조립홈부(3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부분으로, 안착부(45)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립부(44)에 의하면, 커버부(41)를 단자(20)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 시, 안착부(45)가 조립턱부(34)와 접하여 안착됨과 동시에 착탈고정부(46)가 조립홈부(33)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착탈고정부(46)는 혼촉방지부(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다. 혼촉방지부(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착탈고정부(46)는 해당 혼촉방지부(40)의 상부에 위치된 칸막이부(30)상의 조립홈부(33)에 체결되고, 혼촉방지부(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착탈골정부(46)는 해당 혼촉방지부(40)의 하부에 위치된 칸막이부(30)상의 조립홈부(33)에 체결된다. 혼촉방지부(40)는 상기와 같이 착탈고정부(46)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조립홈부(33)상에 견고하게 구속된 상태로 단자(20)를 커버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혼촉방지부(40)는 상기와 같이 착탈고정부(46)가 조립홈부(33)에 체결된 상태로 단자(20)를 커버하게 되고, 필요 시 작업자는 혼촉방지부(40)에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여 착탈고정부(46)를 조립홈부(33)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단자(2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혼촉방지부(4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커버부(41)를 투명한 소재로 구성하면 커버부(41)로 단자(20)를 커버한 상태에서도 단자(20)의 결선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41)를 탄력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소재로 구성하면, 커버부(41)를 회동시키는 조작, 착탈고정부(46)를 조립홈부(33)에 끼우고 빼는 조작 등을 반복적으로 행하여도 커버부(41)가 그 조작력에 연동하여 탄력성있게 변형 및 복원되며 파손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탄력성을 가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와 비교해 그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다.
연결축부(5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면부에 절연 피복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연결축부(50)는 휨강성을 확보한 상태로 복수개의 혼촉방지부(4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도전성이 없어 혼촉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케이블통과부(60)는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의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본체부(10)와 칸막이부(30), 혼촉방지부(40)의 사이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단자(2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통과부(60)는 결선 작업 후 혼촉방지부(40)로 단자(20)를 커버한 상태에서도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의 연장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이 연장되는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케이블통과부(60)는 해당 단자(20)가 결선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해당 단자(20)가 터미널(2)이나 케이블(3)과 결선되면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을 본체부(10)의 내외부로 연장시킬 수 있는 통로 기능을 하게 된다.
혼촉방지부(40)롤 단자(20)를 커버한 상태에서, 통과부(60)는 혼촉방지부(40)와 본체부(10), 한 쌍의 칸막이부(30)에 의해 전후방 및 상하방이 가로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단자(20)와 결선된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은 통과부(60)를 통해 이웃한 다른 터미널(2)이나 케이블(3)과의 간섭 없이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에서 단자(20)는 본체부(10)의 우측부와 좌측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2열로 배열된다. 본체부(10)의 우측부에 위치되는 제1열의 단자(2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통과부(60)는 우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좌측부에 위치되는 제2열의 단자(2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통과부(60)는 좌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열의 단자(20)와 결선된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은 통과부(60)를 통해 우측으로 연장되고, 제2열의 단자(20)와 결선된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은 통과부(60)를 통해 좌측으로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0)상에 단자(20)를 2열로 배열하고, 본체부(10)의 양측단부상에 통과부(60)를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단자(20)에 연결되는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이 한정된 공간상에서 상호 간섭 없이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는 전력계통 보호에 사용되는 보호계전분야, 설비 전력공급에 필요한 분전반과 각종 전원부,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에 사용되는 원격제어분야, 각종 릴레이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1)가 다양한 단자(20)의 배열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자 개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와 비교해 단자(20)가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 칸막이부(30), 혼촉방지부(40), 연결축부(50), 통과부(60)를 포함하며, 이들의 구조와 형상, 작동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는, 주로 단자(20)가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는 파워서플라이 단자대, 제어용 단다재, 릴레이 계기용 단자대, 릴레이 소켓용 단자대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와 같이 단자(20)가 2열로 배열된 구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와 같이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배열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와 비교해 단자(20)를 조명하는 조명부(70)를 추가로 설치한 구조를 가진다. 조명부(70)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본체부(10)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조명부(70)는 2열로 배열된 단자(20)를 상측과 하측에서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상부우측부, 상부좌측부, 하부우측부, 하부좌측부에 해당되는 4개소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제1열의 단자(20) 중 상부, 하부에 위치되는 것은 각각 본체부(10)의 상부우측부, 하부우측부에 설치된 조명부(70)에 의해 주요하게 조명될 수 있다. 또한, 제2열의 단자(20) 중 상부, 하부에 위치되는 것은 각각 상부좌측부, 하부좌측부에 설치된 조명부(70)에 의해 주요하게 조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를 어두운 실내 또는 박스 형상의 구조물 내부에 설치 시, 조명부(7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단자(20)를 밝게 비출 수 있으며, 작업자는 별도의 조명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와 같이 단자(20)를 조명한 상태로 원활하게 결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혼촉방지부(40)를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하면, 혼촉방지부(40)에 의해 커버된 상태의 단자(20)의 결선 상태 또한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혼촉방지부(40)와 함께 칸막이부(30)를 투명한 소재로 구성하면 조명부(70)에서 조사된 빛이 칸막이부(3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보다 원거리까지 도달될 수 있어 조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1)에 의하면, 혼촉방지부(40)로 복수개의 단자(20)를 개별적으로 커버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어, 단자(20)에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을 연결하는 결선 작업을 결선 대상이 되는 단자(20)만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이웃한 다른 단자(20)와의 혼촉 없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혼촉방지부(40)가 연결축부(50)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회동 각도에 따라 단자(20)를 외부에 노출시키거나 커버하는 작용을 구현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단자대(1)에 커버를 재부착하는 과정이 생략되거나, 커버를 분실함에 따른 혼촉 사고의 위험성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대(1)의 단자(20)에 터미널(2)이나 케이블(3)을 결선 시 발생된 혼촉으로 인해 발생된 대형 정전사고, 주요 전기·전자설비의 고장, 퓨즈 단선 뿐만 아니라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혼촉방지부(40)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결선 대상이 되는 단자(20)만을 노출시킨 상태로 안전하게 결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기존에 결선 대상이 아닌 단자(20)를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한 상태로 결선 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위험성과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단자대 2 : 터미널
3 : 케이블 10 : 본체부
11 : 단자설치부 12 : 측벽부
13 : 축지지부 14 : 지지홀부
15 : 지지홈부 16 : 마개부
20 : 단자 30 : 칸막이부
31 : 격벽부 32 : 홀부
33 : 조립홈부 34 : 조립턱부
40 : 혼촉방지부 41 : 커버부
42 : 전면커버부 43 : 측면커버부
44 : 조립부 45 : 안착부
46 : 착탈고정부 50 : 연결축부
60 : 통과부 70 : 조명부

Claims (11)

  1. 단자가 배열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자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칸막이부;
    상기 칸막이부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상태에 따라 상기 단자를 커버하거나 외부에 노출시키는 혼촉방지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혼촉방지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축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칸막이부, 상기 혼촉방지부의 사이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와 결선된 터미널이나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설치부;
    상기 단자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단자설치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를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단자설치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연결축부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지지홀부;
    상기 단자설치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부를 관통한 상기 연결축부의 타단부가 끼워지는 지지홈부; 및
    상기 지지홀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상기 지지홀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단자설치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연결축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홀부; 및
    상기 지지홀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상기 지지홀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지지홀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단자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관통하여 조립되는 홀부가 형성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측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혼촉방지부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착탈고정부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립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조립홈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혼촉방지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하는 조립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촉방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칸막이부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단자를 전방에서 커버하는 전면커버부;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자를 측방향에서 커버하며, 상기 칸막이부와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과부를 형성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커버부의 단부에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부에 형성된 조립턱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칸막이부에 형성된 조립홈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착탈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를 조명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KR1020140116565A 2014-09-03 2014-09-03 단자대 KR102130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565A KR102130942B1 (ko) 2014-09-03 2014-09-03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565A KR102130942B1 (ko) 2014-09-03 2014-09-03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098A true KR20160028098A (ko) 2016-03-11
KR102130942B1 KR102130942B1 (ko) 2020-07-08

Family

ID=5558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565A KR102130942B1 (ko) 2014-09-03 2014-09-03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9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3835A (zh) * 2018-11-15 2019-03-15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端子排的端子线的防误接装置、防误接方法及屏柜
KR20230001993A (ko) * 2021-06-29 2023-01-05 한국전력공사 단자대
WO2023163093A1 (ja) * 2022-02-24 2023-08-3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815U (ko) * 1988-06-30 1990-01-19
JPH10106657A (ja) * 1996-10-02 1998-04-24 Toshiba Corp 中継端子台
KR200317317Y1 (ko) * 2003-03-19 2003-06-25 박철규 다용도 숨은 경첩
KR200382848Y1 (ko) * 2005-02-01 2005-04-25 한국 전기안전공사 보호덮개가 구비된 터미널 블록
KR101262796B1 (ko) * 2013-01-31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815U (ko) * 1988-06-30 1990-01-19
JPH10106657A (ja) * 1996-10-02 1998-04-24 Toshiba Corp 中継端子台
KR200317317Y1 (ko) * 2003-03-19 2003-06-25 박철규 다용도 숨은 경첩
KR200382848Y1 (ko) * 2005-02-01 2005-04-25 한국 전기안전공사 보호덮개가 구비된 터미널 블록
KR101262796B1 (ko) * 2013-01-31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3835A (zh) * 2018-11-15 2019-03-15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端子排的端子线的防误接装置、防误接方法及屏柜
CN109473835B (zh) * 2018-11-15 2023-07-25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端子排的端子线的防误接装置、防误接方法及屏柜
KR20230001993A (ko) * 2021-06-29 2023-01-05 한국전력공사 단자대
WO2023163093A1 (ja) * 2022-02-24 2023-08-3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942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6284B2 (en) Window for bottom access to an electrical meter center
KR20160028098A (ko) 단자대
JP6575821B2 (ja) 機器用コネクタ装置
KR20160073032A (ko) 조립성이 개선된 송전선 검사 로봇
US7042731B2 (en) Mounting device and apparatus for mounting device
WO2020099883A1 (en) A modular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0663673B1 (ko) 전동기 제어반
JP6836889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2075206A (ja) 配線器具用取付枠
JP5319471B2 (ja) 直流コンセント
US9692213B2 (en) Doorless modular panelboard
JP5319472B2 (ja) 直流コンセント
JP2011040234A (ja) 直流コンセント
ES2668622T3 (es) Disposiciones de paneles de conexión, dispositivos de terminación de cables y métodos
JP5319448B2 (ja) 直流コンセント
JP5319470B2 (ja) 直流コンセント
JP5443890B2 (ja) 直流コンセント
US11378593B2 (en) Voltage indicator display module with removable battery shuttle
DE102017109135B3 (de)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e Unterputzinstallationsdose mit einer verschwenkbaren und/oder verdrehbaren kugelförmigen Leuchte, die durch zwei Clipselemente befestigt ist
KR102618722B1 (ko)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EP2306591A1 (en) Connector module and plug-in module system
US1178444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use holder
US20120187777A1 (en) Control system for a material handling application
KR101055858B1 (ko) 공동주택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기 분전함
JP2018173997A (ja) 信号制御機および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