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673B1 - 전동기 제어반 - Google Patents

전동기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673B1
KR100663673B1 KR1020060052219A KR20060052219A KR100663673B1 KR 100663673 B1 KR100663673 B1 KR 100663673B1 KR 1020060052219 A KR1020060052219 A KR 1020060052219A KR 20060052219 A KR20060052219 A KR 20060052219A KR 100663673 B1 KR100663673 B1 KR 10066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dividual unit
motor control
cable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광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아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아이이 filed Critical (주) 에스아이이
Priority to KR102006005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가 설치되고, 각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전자접촉기가 설치되며, 전자접촉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수단이 구비된 전면도아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와 전자접촉기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개별유니트를 측면 슬라이딩 지지대로써 전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전동기제어반에 있어서, 각 부하전동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2차 전원케이블의 단자대와 원방 감시 및 원격조작을 위한 제어케이블용 단자대가 각 개별유니트 후면에 설치되며, 그 후면 단자대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인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개별유니트로 구성된 전동기 제어반으로써 종래의 후면 하단부에 있던 단자대들을 각 개별유니트에 구성함으로써 전동기제어반 내부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전동기까지 연결하는 공사의 시공에 사용되는 전선량도 절감할 수 있어 전기공사원가 및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전선의 접속부위를 줄여 고장개소를 줄임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수 있고, 각 개별유니트별로 단자배선이 되어있어 향후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기존의 후면 단자대 설치공간의 분산설치로 인하여 후면부에 충분한 공간확보가 가능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성과 기능의 편리성을 갖춘 전동기제어반이다.
전자접촉기(27), 개별유니트(20),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101), 제어케이블 단자대(102), 수직 모선(51), 전원케이블및 제어케이블인출구(100), 콘덴서(103), 전원 차단기(26)

Description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도 1은 종래의 전동기제어반 정면 외형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동기제어반 정면 내부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동기제어반 후면 내부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전동기제어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개별유니트에 격벽으로 구분된 콘덴서가 설치되고, 2차 전원 및 제어 전원 케이블용 전선 인출구가 형성된 정면 내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개별유니트에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와 제어케이블 단자대가 설치되고, 2차 전원 및 제어 전원 케이블용 인출구가 형성된 후면 내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유니트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유니트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만능 조립판과 개별 유니트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차폐막과 개별 유니트의 정면 사시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번호에 다른 용어 설명-
10: 메인차단기 유니트 11: 메인전압계
12: 메인차단기 유니트 전면도아 13: 메인전류계
20: 개별전동기 유니트 21: 개별유니트 전면도아
22: 개별전동기 전원차단기 조작핸들 23: 셀렉타스위치
24: 개별전동기 전류계 25: 누름 버튼 램프스위치
26: 개별전동기 전원차단기 27: 개별전동기 제어 전자접촉기
30: 측면슬라이딩 지지대 40: 측면케이블 수납공간
51: 수직 모선 100: 2차 전원케이블 및 제어케이블 인출구
101: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 102: 제어케이블 단자대
104: 콘덴서 차폐막 105: 모선 보호카바
106: 기기 고정홀 107: 기기고정홀이 가공된 만능조립판
108: 만능 조립판용 체결볼트 109: 전자개폐기 차폐막
본 발명은 다수의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독립적인 개별유니트를 갖는 전동기제어반에 관한 것으로, 각 개별유니트 자체에 케이블인출을 위한 인출구를 형성하고 그 후면에 2차 전원케이블용 단자대와 제어케이블용 단자대를 설치하여 전동기제어반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량을 절감하고 고장개소를 줄이며, 유지관리가 용이하면서도 그 설치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전동기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도 1, 도 2에서는 종래의 전동기제어반 정면외형도와 정면 내부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전동기제어반은 전동기제어반 전체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전체 메인차단기 (16)을 메인 차단기유니트(10)에 수납하고, 이것을 수직모선(51)을 통하여 각 개별유니트(20)으로 1차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러한 1차 전원은 개별유니트(20) 내부의 개별전동기의 전원차단기(26)로 전원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전원은 개별전동기 제어용 전자접촉기(27)를 통해 제어되게 되며, 전자접촉기(27)의 제어는 개별유니트 전면도아(21)에 부착된 제어수단인 셀렉타스위치(23),누름버튼스위치(25)등의 제어수단 또는 원방 조작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있으며, 그러한 원방 조작신호는 도 3의 후면 내부 하단에 구성된 제어케이블 단자대(52)를 통해 원방에서 신호를 받아 동작 될 수 있게 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의 전자접촉기(27)를 통해 제어된 2차 전원은 각 개별유니트(20)에서 전원케이블을 통해 측면 케이블수납공간(40)을 지나 후면 하단의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53)에 접속되어 각 개별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 따르면 2차 전원케이블과 제어케이블이 각 개별유니트에서 인출되어 측면 케이블 수납공간(40)을 지나 후면 하단의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53)와 제어케이블 단자대(52)에 접속됨에 따라 각 개별유니트(20)부터 각 단자대(52, 53)까지 많은 전선량이 소모되고 배선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어케이블의 원활한 보수를 위하여 측면케이블 수납공간(40) 안에서 하우징을 이용한 하우징 접속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속 개소의 증가로 인하여 전동기 제어반의 오동작과 고장요인이 되고 있으며, 송전거리 증가로 인한 원가상승 및 전력손실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전동기 제어반 내 모든 개별유니트(20)의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53)와 제어케이블 단자대(52)가 한곳에 몰려있어 설치 후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각 유니트를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되었던 표찰이나 명찰이 분실 또는 망실 되게 되면 어느 유니트의 단자대인지 구분이 곤란하여 시각을 다투는 긴급보수 상황에서 보수시간을 지연시키는 중요한 원인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2차 전원 단자대와 제어단자대에 공급되는 전선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배선을 단순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케이블의 접속 개소를 줄임으로써 오동작이나 고장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충분한 공간확보로 인하여 안전성과 편리성을 가지면서도, 원가절감 및 전력손실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단자대가 각 개별유니트 후면에 구성되어짐에 따라 긴급보수시에 표찰이나 명찰이 없더라도 구분이 용이하여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 한 전동기 제어반을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 개별유니트(20)를 통해 각 부하 전동기로 공급되는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101)와 원방 감시 및 조작을 위한 제어케이블 단자대(102)가 개별유니트(20)후면에 구성 되고 그 후면 단자대(101,102)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2차 전원 및 제어케이블 인출구(100)를 개별유니트(20)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동기제어반은 다수의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독립적인 개별유니트(20)를 갖고, 전동기제어반 전체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전체 메인차단기 (16)을 메인 차단기유니트(10)에 수납하고, 이것을 수직 모선(51)을 통하여 각 개별유니트(20)으로 1차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러한 1차 전원은 개별유니트(20)내부의 개별전동기의 전원차단기(26)로 전원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전원은 개별전동기 제어용 전자접촉기(27)를 통해 제어되게 되며, 전자접촉기(27)의 제어는 개별유니트 전면도아(21)에 부착된 제어수단인 셀렉타스위치(23),누름버튼스위치(25)등의 제어수단 또는 원방 조작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있으며, 상기의 전자접촉기(27)를 통해 제어된 2차 전원은 각 개별유니트(20)자체에 형성된 2차 전원 및 제어케이블 인출구(100)를 통해 각 개별유니트(20) 후면에 구성된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101)와 제어케이블 단자대(102)에 접속되어 종래의 전선량보다 획기적으로 줄어든 전선량과 작업공수로도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생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종래의 전동기제어 반으로는 불가능하였던 대량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대폭적인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후면에 별도로 수납하던 콘덴서(103)는 개별유니트 내부에 수납하여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콘덴서의 사고을 방지하기 위한 콘덴서 차폐막(104)을 사용하여 콘덴서(103) 사고확산을 방지하게 하고 있다. 도 5, 6, 7, 8에서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측면에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101)에 접속하는 케이블이 지지할 수 있는 측면케이블 지지 대(42)가설치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자유롭게 전원을 인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 6에서의 수직 모선(51)은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101)와 제어케이블 단자대 (102)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어 후면 작업시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모선 보호커버 (105)를 설치한다. 또한 종래의 전동기제어반에서는 개별유니트(20)에 전원차단기(26)와 전자접촉기(27)를 구성함에 있어 전동기용량에 맞추어 각각의 사이즈의 기기들을 일일이 고정홀을 드릴로 뚫고 태핑하여 구성하였으나, 도 9에서는 모든 기기의 고정홀(106)을 미리 가공한 만능 조립판(107)을 만들어 체결볼트(108)을 통해 개별유니트(20)에 취부될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의 단순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원가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에서는 전자접촉기(27)의 과부하 개폐시 전자접촉기(27) 내부의 개폐 아크에 인하여 전자접촉기(27)가 소손되면서 그 여파가 주변 기기에 파급되곤 하였는데 본 발명의 도 10에서는 그러한 파급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접촉기(27)에 전자개폐기 사고방지용 전자개폐기 차폐막 (109)을 시설하여 혹시 전자접촉기(27)의 오손화재사고시에도 다른 기기에 사고가 파급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적용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를 기준으로
청구범위 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전동기제어반 하단에 구성되던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53)와 제어케이블 단자대(52)를 각 개별유니트(20)자체 후면부에 구성함으로써 배선을 단순화하여 작업 공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제어케이블의 접속 개소를 줄임으로써 오동작이나 고장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 및 전력손실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긴급보수시에 표찰이나 명찰이 없더라도 구분이 용이하여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다수의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독립적인 개별유니트(20)가 구성되어 진 전동기제어반에 있어서,
    각 개별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차단기(26)와 개별전동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용 전자접촉기(27)를 포함하고 있는 개별유니트(20)를 구성하고, 각 개별유니트(20)의 전원제어수단이 구비된 개별유니트용 전면도아(21)를 형성하고, 1차 전원의 공급이 후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모선(51)에 의하여 공급되며, 상기의 전자접촉기(27)를 통해 제어된 2차 전원이 각 개별유니트(20) 자체에 형성된 케이블 인출구(100)를 통해 각 개별유니트(20) 후면에 구성된 2차 전원케이블 단자대(101) 와 제어케이블 단자대(102)에 접속된 전동기 제어반.
  2. 제 1항에 있어서, 2차 전원케이블 및 제어케이블의 인출을 위한 측면 케이블 수납공간(40)이 구성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기 제어반.
  3. 제 1항에 있어서, 2차 전원케이블 및 제어케이블의 인출을 위해 측면에 케이블 지지대(4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기 제어반.
  4. 제 1항에 있어서, 각 개별유니트(20)에 콘덴서(103)를 수납하고, 그 콘덴서의 사고확산 방지를 위한 콘덴서용 차폐막(104)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기 제어반.
  5. 제 1항에 있어서, 후면 부의 1차 전원공급을 위한 수직 모선(51)의 감전보호를 위한 모선 보호커버(10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기 제어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다양한 용량 및 사이즈의 전자접촉기(27)와 제어기기들의 고정홀(106)이 가공되어 있는 만능 조립판(107)이 체결볼트(108)를 통해 개별유니트(20)에 취부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기제어반.
  8. 제1항에 있어서, 개별유니트(20)에 구성된 전자접촉기(27)의 사고확산 방지를 위한 전자개폐기용 차폐막(109)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기제어반.
KR1020060052219A 2006-06-09 2006-06-09 전동기 제어반 KR10066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219A KR100663673B1 (ko) 2006-06-09 2006-06-09 전동기 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219A KR100663673B1 (ko) 2006-06-09 2006-06-09 전동기 제어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586 Division 2006-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673B1 true KR100663673B1 (ko) 2007-01-09

Family

ID=3786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219A KR100663673B1 (ko) 2006-06-09 2006-06-09 전동기 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6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26B1 (ko) 2007-04-26 2007-09-18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전동기 제어반
KR100876923B1 (ko) 2008-02-21 2009-01-07 주식회사 광명전기 단락성능 및 통전성능을 보강한 전동기 제어반
KR100985727B1 (ko) 2010-06-22 2010-10-11 동영전기 주식회사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KR101103622B1 (ko) 2011-07-05 2012-01-09 유한회사 주왕산업 전력제어 표준화를 위해 하네스 연결방식을 사용한 전동기 제어반
KR20160147181A (ko) 2015-06-12 2016-12-22 (주)대홍엔지니어링 영구자석형 전자접촉기를 구비한 전동기 제어반
CN108666884A (zh) * 2018-05-21 2018-10-16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预制舱内二次设备机架
KR101925949B1 (ko) * 2018-06-07 2018-12-06 세명엔지니어링(주) 모터제어설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26B1 (ko) 2007-04-26 2007-09-18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전동기 제어반
KR100876923B1 (ko) 2008-02-21 2009-01-07 주식회사 광명전기 단락성능 및 통전성능을 보강한 전동기 제어반
KR100985727B1 (ko) 2010-06-22 2010-10-11 동영전기 주식회사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KR101103622B1 (ko) 2011-07-05 2012-01-09 유한회사 주왕산업 전력제어 표준화를 위해 하네스 연결방식을 사용한 전동기 제어반
KR20160147181A (ko) 2015-06-12 2016-12-22 (주)대홍엔지니어링 영구자석형 전자접촉기를 구비한 전동기 제어반
CN108666884A (zh) * 2018-05-21 2018-10-16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预制舱内二次设备机架
KR101925949B1 (ko) * 2018-06-07 2018-12-06 세명엔지니어링(주) 모터제어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673B1 (ko) 전동기 제어반
US20190020206A1 (en) Housing for an electricity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336969B1 (ko)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EP0092774B1 (en) Switch board
JP4988833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4566136B2 (ja) スイッチギヤ
KR100951050B1 (ko) 인출형 전동기 제어반, 인출형 저압 폐쇄 배전반 및 제어유닛
JP6295711B2 (ja) 放圧板の取付構造、放圧板の取付方法、及び金属閉鎖形配電盤
KR101371679B1 (ko) 투명 배전함
CN103730857A (zh) 铠装中置式交流金属封闭开关柜
CN210517426U (zh) 一种可自动监控型高压开关柜
CN214849595U (zh) 一种配电系统
CN220421137U (zh) 一种便于排线的户外配电箱
CN219106846U (zh) 一种储能系统高压箱
JP2010206894A (ja) 配電盤
CN210326613U (zh) 一种母线槽插接配电箱
CN212323458U (zh) 控制开关切换输出一体柜
CN219576216U (zh) 可拼装的组合式馈电开关
KR102631958B1 (ko) 2차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한 전력 장치함
CN220441108U (zh) 一种电气控制柜线缆固定装置
CN218850159U (zh) 一种高低压配电柜及供电系统
CN210744540U (zh) 一种分隔防护型低压配电箱
CN217444879U (zh) 一种分布式配网终端二次箱
CN211829762U (zh) 一种箱式馈线终端
CN113097891B (zh) 一种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