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727B1 -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727B1
KR100985727B1 KR1020100058965A KR20100058965A KR100985727B1 KR 100985727 B1 KR100985727 B1 KR 100985727B1 KR 1020100058965 A KR1020100058965 A KR 1020100058965A KR 20100058965 A KR20100058965 A KR 20100058965A KR 100985727 B1 KR100985727 B1 KR 10098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module
emergency power
emergency
monitor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희
이종근
Original Assignee
동영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영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영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주전원 차단기, 분기 전원 차단기, 보호 계전기 및 조명부 등의 각종 전기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일체형 수배전반의 내부 협소 여유 공간에 장착되며, 전원 변환 모듈, 충전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비상 전원 공급 모듈, 그리고 전원 변환 모듈함, 충전 모듈함 및 제어 모듈함이 적층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부를 수용 결합하는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되는 모듈함 취부랙 및 상기 모듈함 취부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하여 보호하는 랙 케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수용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가 설치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일체형 수배전반 내의 협소한 여유 공간에 슬라이딩 및 적층식 구조로 인출,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결선 또는 전선 고정 작업이나 고장 시 수리 작업이 용이하며, 일체형 수배전반의 이상 작동 유무를 감시하고 정전 시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일체형 수배전반 내의 각종 전기 부품들의 정상 작동을 위한 비상 전원 공급을 공급할 수 있으며, 신속한 원인 파악 및 고장 수리 작업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A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HAVING DISORDER MONITORING FUNCTION AND 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NG BOARD COMPRI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배전(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ng)에 필요한 모든 전기 부품들이 한 하우징(housing) 내에 일체로 모두 내장되어 있어 하우징의 내부 여유 공간이 협소하여 이상 감시 장치 및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하기 곤란한 일체형 수배전반의 내부 여유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일체형 수배전반의 이상 감시 및 비상 전원 공급이 가능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이 요구되는 각종 전기 장치들이 구비된 공장, 빌딩, 병원, 아파트 단지 등의 각종 시설에는 발전소로부터 송전 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전기 장치들의 정격에 맞도록 저압 및 정격 용량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수배전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종래의 수배전반은 수배전을 위한 다양하고 복잡한 전기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설치 공간 확보가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수배전반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수배전반과 함께 정전과 같은 이상 또는 비정상 작동을 하는 비상 상황 발생시 이상 또는 비정상 작동의 신속한 원인 분석 및 응급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이상 또는 비정상 작동의 원인을 표시하고 정전 등의 경우 수배전반 내의 전기 부품인 보호 계전기, 제어부 및 조명 장치 등에 비상 작동을 위한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한 별도의 이상 감시 시스템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도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0의 (a), (b) 및 (c)는 각각 종래의 수배전반에 별도 구비되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외부 정면도, 내부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메인 변압기(242), 충전기(244), 충전지(262), 표시부(300), 제어부(301) 등의 많은 각종의 전기 부품들이 고정 배치되어 구성 되어지며, 각 전기 부품들 간의 결선(結線) 또는 전선 고정 작업이나 고장 시 수리의 편의를 위해 여유 공간(‘A’)의 확보도 요구가 된다. 따라서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통상 가로(X1), 세로(Y1) 및 높이(Z1)가 각각 대략 560mm, 250mm 및 1120mm 이상의 크기로 구성되어야 하며 그 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배전반과 함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도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넓은 설치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한편, 도심 건물의 옥상이나 옥외 등과 같이 제한적인 설치 공간만이 확보된 각종 시설의 경우에는 이러한 넓은 설치 공간을 차지하는 일반적인 수배전반을 설치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배전에 필요한 모든 전기 부품들을 한 하우징(5) 내에 내장시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일체형 수배전반이 개발되었다.
도 11의 (a) 및 (b)는 각각 종래의 일체형 수배전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1의 (a)는 도 11의 (b) 구성 중 설명에 필요한 일부의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수배전반은 하우징(5)의 내부 공간에 수배전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평상시에는 분기 전원 차단기(17)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조명을 공급하는 조명부(10), 자동 구간 고장 개폐기(11), 피뢰기(12), 파워 휴즈(13), 전력량 계량기(14), 변압기(15), 주전원 차단기(16), 분기 전원 차단기(17), 계기용 변성기(18) 및 보호 계전기(19)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각 전기 부품 간에도 비록 밀집 배치를 시키더라도, 결선 또는 전선 고정 작업이나 고장 시 수리의 편의를 위한 여유 공간(‘B’)이 요구되기 때문에 통상 가로(X2), 세로(Y2) 및 높이(Z2)가 각각 대략 2080mm, 3000mm 및 2940mm 정도가 되도록 마련된다.
하지만 이러한 일체형 수배전반은 하우징(5)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수배전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상기의 전기 부품만을 내장시킬 수 있을 뿐 여유 공간(‘B’)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각 대략 600mm, 700mm 및 950mm 정도로 협소하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기존의 이상 감시 시스템이 구비된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내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사 내장된 전기 부품들의 설치 위치 변경을 통해 억지로 내장을 시키더라도 여유 공간의 소실로 인하여 각 전기 부품들 간의 결선(結線) 또는 전선 고정 작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나 정전 등 비상 상황 발생시 비상 상황 대처나 신속한 응급 조치 작업의 편의 및 작업의 안정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일체형 수배전반은 협소 설치 장소의 경우 종래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제외하고 단독으로 사용되고 있어 일체형 수배전반의 안정적인 작동이 담보되지 못하며, 일체형 수배전반의 고장시 조명부 등에 비상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한 비상 전원 공급이 되지 못해 작업자가 충분한 조명을 공급 받지 못하여 신속, 원활하고 안정적인 작업 환경이 제공되지 않아 작업 지연 및 잘못된 접지 작업 등으로 인한 감전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일체형 수배전반 내의 협소한 여유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결선 또는 전선 고정 작업이나 고장 시 수리 작업이 용이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일체형 수배전반의 이상 작동 유무를 감시하고 정전 시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일체형 수배전반 내의 각종 전기 부품들의 정상 작동을 위한 비상 전원 공급을 공급하며 신속한 원인 파악 및 고장 수리 작업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주전원 차단기, 분기 전원 차단기, 보호 계전기 및 조명부 등의 각종 전기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일체형 수배전반의 내부 협소 여유 공간에 장착되며, 전원 변환 모듈, 충전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비상 전원 공급 모듈, 그리고 전원 변환 모듈함, 충전 모듈함 및 제어 모듈함이 적층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부를 수용 결합하는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되는 모듈함 취부랙 및 상기 모듈함 취부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하여 보호하는 랙 케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수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랙 케이스는 상기 모듈함 취부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하는 랙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함 취부랙은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하는 모듈함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함 취부랙은 상기 주전원 차단기, 상기 분기 전원 차단기, 상기 보호 계전기 및 상기 조명부에 각각 연결된 신호선인 모선에 일단이 연결되는 모선 터미널,상기 모선 터미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선 커넥터, 상기 모듈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터미널, 상기 모선 터미널과 상기 모듈 터미널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모선에 대응되는 신호선인 자선, 상기 자선을 보호 가이드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케이스는 상기 일체형 수배전반의 내부 일측과 결합되는 설치 앵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랙 케이스는 적어도 일측에 수용 결합된 상기 모듈함 취부랙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함 취부랙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취부랙 고정편, 및 상기 설치 앵글에 결합되는 고정용 행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은 상기 분기 전원 차단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보호 계전기 및 상기 조명부에 연결되어 비상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주전원 차단기 및 상기 보호 계전기로부터 각각 상태 신호를 입력 받아 이상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일체형 수배전반의 이상 감시 상태를 표시하는 이상 감시 상태 표시부 및 상기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은 분기 전원 차단기로부터 입력되는 고압의 교류 전원을 상기 충전 모듈이 충전 가능한 저압의 교류 전원으로 강압하는 메인 변압기, 그리고 상기 메인 변압기로부터 강압된 교류 전원을 입력 받아 직류 충전 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충전 모듈로 전송하는 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충전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충전 전압을 축적하는 충전지, 그리고 상기 충전지로부터 상기 조명부나 상기 보호 계전기에 공급되는 충전 전압을 차단하는 비상 전원 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충전지의 미리 설정된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전압 값에 따른 충전 전압을 만들도록 상기 충전기를 제어하며, 상기 주전원 차단기와 상기 보호 계전기로부터 상태 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된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주전원 차단기와 상기 보호 계전기의 현재의 상태를 판단하여 정전이나 전원 공급 이상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의 이상 감시 상태 표시부에 현재의 이상 감시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비상 전원 공급 장치 상태 표시부에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현재 구동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충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충전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 전원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배전반은 상기의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에 의하면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가 설치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일체형 수배전반 내의 협소한 여유 공간에 슬라이딩 및 적층식 구조로 인출,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결선 또는 전선 고정 작업이나 고장 시 수리 작업이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에 의하면 내장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가 일체형 수배전반의 이상 작동 유무를 감시하고 정전 시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일체형 수배전반 내의 각종 전기 부품들의 정상 작동을 위한 비상 전원 공급을 공급할 수 있으며, 신속한 원인 파악 및 고장 수리 작업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 정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의 블록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
도 10의 (a), (b) 및 (c)는 각각 종래의 수배전반에 별도로 구비되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외부 정면도, 내부 정면도 및 측면도, 그리고
도 11의 (a) 및 (b)는 각각 종래의 일체형 수배전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정면도, 측면도, 측단면도, 분해사시도, 블록도, 회로도 등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1)을 그 구성을 중심으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 정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의 블록도, 그리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하우징(5) 및 하우징(5) 내에 각각 수용된 조명부(10), 자동 구간 고장 개폐기(11), 피뢰기(12), 파워 휴즈(13), 전력량 계량기(14), 변압기(15), 주전원 차단기(16), 분기 전원 차단기(17), 계기용 변성기(18), 보호 계전기(19) 및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를 포함한다.
하우징(5), 조명부(10), 자동 구간 고장 개폐기(11), 피뢰기(12), 파워휴즈(13), 전력량 계량기(14), 변압기(15), 주전원 차단기(16), 분기 전원 차단기(17), 계기용 변성기(18) 및 보호 계전기(19)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는 조명부(10), 분기 전원 차단기(17), 주전원 차단기(16) 및 보호 계전기(19)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우징(5) 내의 협소 여유 공간(도 11의‘B’영역 참조)에 내장되어 일체형 수배전반(1)의 이상 작동 유무를 감시하며 정전이나 전원 공급 이상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조명부(10)나 보호 계전기(19) 등에 비상 구동을 위한 비상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수용 부재(100), 비상 전원 공급 모듈부(200) 및 표시부(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모듈 수용 부재(100)는 랙 케이스(105), 모듈함 취부랙(110) 및 비상 전원공급 모듈함(120)을 포함한다. 모듈 수용 부재(100)는 하우징(50) 내의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각 대략 600mm, 700mm 및 950mm인 협소 여유 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가로(X3), 세로(Y3) 및 높이(Z3)가 각각 대략 210mm, 455mm 및 750mm 정도인 직육면체 형태로 마련되며, 비상 전원 공급 모듈(200)을 적층식으로 수용하여 조립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마련된다.
모듈 수용 부재(100)는 랙 케이스(105) 상부 일측에 한 쌍의 고정용 행거(106)를 사용하여 하우징(5)의 내측면에 부착시켜 하우징(5)의 협소 여유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우징(5)의 측면에 설치 앵글(326)을 부착하고 고정용 행거(106)를 설치 앵글(326)에 결합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랙 케이스(105)는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부 전면에 각각 형성된 취부랙 고정편 통과공(105a) 및 모선 커넥터 통과공(105b)과 하부 바닥면에 설치된 랙 가이드 레일(108) 및 취부랙 고정편 통과공(105a)에 수용 결합되는 취부랙 고정편(109)를 포함한다.
모듈함 취부랙(110)은 접이식 케이블 트레이(111), 자선 통과공(112), 모선 커넥터(113), 모듈함 가이드 레일(114), 모선(母線, 115), 모선 터미널(116), 모듈 터미널(118) 및 자선(子線, 119)을 포함한다.
모듈함 취부랙(110)은 일측이 개방된 적층식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랙 가이드 레일(108)에 의해 가이드되어 서랍식으로 슬라이딩을 통해 랙 케이스(105)에 인출 또는 삽입 설치된다. 랙 케이스(105) 내에 모듈함 취부랙(110)이 삽입 설치되면 취부랙 고정편 통과공(105a)에 취부랙 고정편(109)을 수용 결합시켜 모듈함 취부랙(110)의 인출을 제한하게 된다.
접이식 케이블 트레이(111)는 모듈함 취부랙(110)의 상단에 마련되어 모선 터미널(116) 및 자선(119)을 보호한다.
자선 통과공(112)은 모선 터미널(116)에 일단이 연결된 자선(119)이 모듈 터미널(118)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도록 모듈함 취부랙(110)의 상단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모선 커넥터(113)은 모선(115)의 일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선 커넥터 통과공(105b)을 통과한 후 모선 터미널(116)에 결합된다.
모듈함 가이드 레일(114)는 각 층의 하부 양단에 마련되어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120)을 각 층별로 가이드하여 서랍식으로 슬라이딩을 통해 모듈함 취부랙(110)에 인출 또는 삽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모선(115)은 일 끝단이 각각 분기 전원 차단기(17), 주전원 차단기(16), 조명부(10) 및 보호 계전기(19)에 연결된 분기 전원 공급선(115a), 주전원 상태 신호선(115b), 조명부 전원 공급선(115c) 및 보호 계전기 상태 신호선(115d)을 포함한다.
모듈 터미널(118)은 모듈함 취부랙(110)의 내측 후방 각 층에 각각 설치된 전원 변환 모듈 터미널(118a), 충전 모듈 터미널(118b) 및 제어 모듈 터미널(118c)을 포함하며 이들(118a, 118b, 118c)은 각각 모듈 커넥터(117)의 전원 변환 모듈 커넥터(117a), 충전 모듈 커넥터(117b), 제어 모듈 커넥터(117c)에 대응 연결되어 있다.
자선(119)은 일단은 모선 터미널(116)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모듈 터미널(118)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선(115)의 각 분기 전원 공급선(115a), 주전원 상태 신호선(115b), 조명부 전원 공급선(115c) 및 보호 계전기 상태 신호선(115d)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모선(118)과 자선(119)에 각각 연결된 모선 커넥터(113), 모선 터미널(116), 모듈 커넥터(117) 및 모듈 터미널(118)가 각각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모듈 수용부(100)의 주요 구성이 슬라이딩 가능한 서랍식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별도의 결선 또는 전선 고정 공간이나 이러한 작업을 위한 여유 공간이나 부품의 수리 및 교체 여유 공간을 따로 요구하지 않고 간편하게 인출하여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이 끝난 후 간단하게 적층된 후 슬라이딩 삽입 결합됨으로써 각 모듈(240, 260, 280)과 조명부(10), 주전원 차단기(16), 분기 전원 차단기(17), 보호 계전기(19)는 상호 전기적으로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120)은 전원 변환 모듈함(140), 충전 모듈함(160) 및 제어 모듈함(180)을 포함한다.
전원 변환 모듈함(140)은 전원 변환에 관련된 부품들로 마련된 전원 변환 모듈(240)이 내장되어 있다.
충전 모듈함(160)은 3개가 적층되어 있으며 충전 기능과 관련된 부품들로 마련된 충전 모듈(260)이 각각 내장되어 있다.
제어 모듈함(180)은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의 제어와 관련된 부품들로 마련된 제어 모듈(280)이 내장되어 있다.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120)의 각 모듈함(140, 160, 180)의 전면은 손잡이(190)가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 볼트(192)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비상 전원 공급 모듈(200)의 수용 결합 및 분리 후 분해 및 수리가 용이하다.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120)의 각 모듈함(140, 160, 180)의 후면에는 각각 모듈 커넥터(117)인 전원 변환 모듈 커넥터(117a), 충전 모듈 커넥터(117b), 제어 모듈 커넥터(117c)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 커넥터(117a, 117b, 117c)는 각각 모듈 터미널(118)의 전원 변환 모듈 터미널(118a), 충전 모듈 터미널(118b), 제어 모듈 터미널(118c)과 연결된다.
각 모듈함(140 160, 180)은 각각 하부에 마련된 모듈함 가이드 레일(114)을 이용하여 모듈함 취부랙(110)에 서랍식으로 인출 및 삽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적층식으로 조립 설치된다.
비상 전원 공급 모듈부(200)는 전원 변환 모듈(240), 충전 모듈(260) 및 제어 모듈(280)을 포함한다.
전원 변환 모듈(240)은 메인 변압기(242)와 충전기(244)를 포함한다.
메인 변압기(242)는 분기 전원 차단기(17)와 연결된 분기 전원 공급선(115a)를 통하여 입력되는 고압의 교류 전원을 충전지(262)에 충전 가능한 저압의 교류 전원으로 강압하여 충전기(244)로 전송한다.
충전기(244)는 메인 변압기(242)로부터 강압된 교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어부(282)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직류 충전 전압을 발생시켜 충전 모듈(260) 내의 충전지(262)로 전송하여 충전지(262)에 전기를 축적시킨다.
충전 모듈(260)은 충전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충전 전압을 축적하는 충전지(262)를 포함하며, 조명부(10)나 보호 계전기(19)의 수리시 작업자의 감전 방지를 위해 임의로 충전지(26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비상 전원 차단기(2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지(262)는 최대 4개가 하나의 충전 모듈함(160)에 설치될 수 있으며, 1개가 12V 충전 전압을 갖는 9개로 구성되 총 충전 전압이 108V 용량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충전 모듈(260)은 충전지(262)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총 충전 전압을 예를 들어 24V, 60V 등으로 가변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어부(282) 및 전원 변환부(284)를 포함한다.
제어부(282)는 충전지(262)의 미리 설정된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전압 값에 따를 충전 전압을 만들도록 충전기(244)를 제어하며, 주전원 차단기(16)와 보호 계전기(19) 등으로부터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관한 상태 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된 신호를 조합하여 주전원 차단기(16)와 보호 계전기(19) 등의 현재의 상태를 판단하여 정전이나 전원 공급 이상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300)의 이상 감시 상태 표시부(320)에 현재의 이상 감시 상태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신속한 원인 분석을 통한 응급 조치가 가능하도록 도와 주며, 비상 전원 공급 장치 상태 표시부(310)에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여 이상 상태시 비상 전원 공급 장치(310)의 정상 구동 여부를 알려준다.
전원 변환부(284)는 평상시에는 분기 전원 공급선(36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구동하나, 정전이나 전원 공급 이상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에는 충전지(26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제어부(282) 및 표시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82) 및 표시부(300)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모듈(200)은 각각 기능별로 전기 부품들이 전원 변환 모듈(240), 충전 모듈(260) 및 제어 모듈(280)로 분류 및 집중되어 각 해당 모듈함인 전원 변환 모듈함(140), 충전 모듈함(160) 및 제어 모듈함(180)에 슬라이딩 가능한 서랍식으로 인출 또는 삽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적층되어 내장된다. 또한 각 모듈함(140, 160, 180) 또한 모듈함 취부랙(110)에 서랍식으로 적층 내장되며, 모듈함 취부랙(110) 또한 서랍식으로 랙 케이스(105)에 내장된다.
따라서 각 전기 부품들이 기능별로 블록화, 모듈화, 적층화되어 전기적 간섭을 줄이면서도 각 전기 부품들 간의 필요한 결선 거리를 최소화하고, 결선 및 전선 고정이나 고장 수리나 부품 교체를 위한 작업 공간을 최소화하여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일체형 수배전반(1)의 협소 여유 공간에도 내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능 및 용량 변경 등 수정 사항이 발생하거나 이상 점검이나 고장 수리가 필요한 경우 해당 모듈함(140, 160, 180)에 수용된 해당 모듈(240, 260, 280) 만 인출하여 수정, 점검, 수리나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표시부(300)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상태 표시부(310) 및 이상 감시 상태 표시부(320)를 포함한다.
비상 전원 공급 장치 상태 표시부(310)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로 입력되는 전압를 표시하는 입력 전압 표시창(311), 충전기(244)의 출력 전류를 표시하는 충전 전류 표시창(312), 충전기(244)의 출력 전압을 표시하는 충전 전압 표시창(313) 및 충전지(262)의 입/출력 전류를 표시하는 충전지 전류 표시창(314)을 포함하며, 현재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이상 감시 상태 표시부(320)는 일체형 수배전반(1)의 이상 발생시 예를 들어정전 발생시나 전원 공급 이상 발생시 제어부(282)의 제어 신호에 따라 그 원인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신속한 원인 파악 및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300)에 대응하는 하우징(5) 부분에는 표시부(300)를 외부에서 관찰 할 수 있는 투시창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조명부(10), 주전원 차단기(16), 분기 차단기(18), 보호 계전기(19)와 이들의 이상 감시 및 이들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전원 공급 장치(20)와의 세부적인 회로의 연결을 도 9를 참조하여 다시 한번 설명한다.
분기 전원 차단기(17)로부터 유입된 모선(115)의 하나인 분기 전원 공급선(115a)인 S1, S2은 모선 커넥터(113)의 S1, S2 단자에 연결이 되고 모선 커넥터(113)의 S1, S2 단자는 내부적으로 모선 터미널(116)의 G, S단자에 각각 연결 된다. 한편, 모선 터미널(116)의 G, S단자와 연결된 대응되는 자선(119) 중 G, S 전선은 제어 모듈 터미널(118c)의 G, S단자에 연결되며, 제어 모듈 터미널(118c)의 G, S단자에 연결된 제어 모듈함(180)의 제어 모듈 커넥터(117c)의 대응 단자를 통해 전원 변환부(284)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변환부(284)는 공급 받은 전원을 제어부(282) 및 표시부(3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82) 및 표시부(300)에 각각 공급한다.
한편, 모선 터미널(116)의 G, S단자와 연결된 G, S전선은 전원 변환 모듈함(140)의 전원 변환 모듈 커넥터(117a)에 연결되어 전원 변환 모듈(240)의 메인 변압기(242)에 교류 전원을 전송하며, 메인 변압기(242)는 전송된 교류 전원을 충전지(262)에 충전 가능한 교류 전원으로 강압하고 강압된 교류 전원을 충전기(244)로 전송한다.
충전기(244)는 강압된 전원을 입력 받아 제어부(28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직류의 충전 전압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충전 전압은 다시 전원 변환 모듈 커넥터(117a)에 결합된 전원 변환 모듈 터미널(118a)과 연결된 P, N 전선 및 P, N 전선과 연결된 충전 모듈 터미널(118b) 및 충전 모듈 커넥터(117b)를 통해 충전 모듈함(160)에 내장된 충전 모듈(260)의 충전지(262)로 전송된다.
충전 모듈(260) 내부의 충전지(262)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 변환 모듈(240)로부터 전송된 충전 전압을 입력 받아 충전 전압에 해당하는 전원을 축적한다.
충전지(262)에 축적된 충전 전압은 정전이나 전원 공급 이상 등의 비상 상황발생시 충전 모듈 커넥터(117b)와 결합된 충전 모듈 터미널(118b)에 연결된 자선(119) 중 P1, N1 전선을 통하여 모선(115) 중 조명부 전원 공급선(115c)인 S3, S4 및 보호 계전기 상태 신호선(115d) 중 전원 공급선인 S9, S10를 통해 각각 조명부(10) 및 보호 계전기(19)에 구동을 위한 비상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충전지(262)에 축적된 충전 전압은 P, N 전선 및 전원 변환부(284)를 통해 전압이 변환되어 제어부(282) 및 표시부(300)에 각각 공급하여 비상 상황에서도 정상 구동시킴으로써 정전이나 전원 공급 이상 등의 이상 상태 즉 비상 상황을 작업자에게 인식시킨다.
한편, 주전원 상태 신호선(115b)인 S5, S6은 모선 커넥터(113)의 S5, S6 단자에 연결이 되고 모선 커넥터(113)의 S5, S6단자는 내부적으로 모선 터미널(116)의 C1, C2 단자와 연결이 되며 모선 터미널(116)의 C1, C2 단자와 연결된 자선(119) 중 일부인 C1, C2은 제어 모듈 터미널(118c) 및 제어 모듈 커넥터(117c)를 통해 제어부(282)의 C1와 C2단자에 연결이 되게 된다. 따라서 주전원 차단기(106)에 관한 정보를 담은 상태 신호는 제어부(282)로 전송되게 되어 제어부(282)가 주전원 차단기(106)의 상태를 감시하게 된다.
또한, 보호 계전기 상태 신호선(115d)의 일부인 S7, S8은 모선 커넥터(113)의 S7, S8 단자에 연결이 되고 모선 커넥터(113)의 S7, S8단자는 내부적으로 모선 터미널(116)의 C3, C4 단자와 연결이 되며 모선터미널(116)의 C3, C4 단자와 연결된 자선(119) 중 C3, C4은 제어 모듈 터미널(118c) 및 제어 모듈 커넥터(117c)를 통해 제어부(282)의 C3와 C4단자에 연결이 되게 된다. 따라서 보호 계전기(19)에 관한 정보를 담은 상태 신호는 제어부(282)에 전송하여 제어부(282)가 보호 계전기(19)의 상태를 감시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일체형 수배전반 5 : 하우징
10 : 조명부 11 : 자동 구간 고장 개폐기
12 : 피뢰기 13 : 파워 휴즈
14 : 전력량 계량기 15 : 변압기
16 : 주전원 차단기 17 : 분기 전원 차단기
18 : 계기용 변성기 19 : 보호 계전기
20 : 비상 전원 공급 장치 100 : 모듈 수용 부재
105 : 랙 케이스 105a : 취부랙 고정편 통과공
105b : 모선 커넥터 통과공 106 : 고정용 행거
107 : 설치 앵글 108 : 랙 가이드 레일
109 : 취부랙 고정편 110 : 모듈함 취부랙
111 : 접이식 케이블 트레이 112 : 자선 통과공
113 : 모선 커넥터
114 : 모듈함 가이드 레일 115 : 모선
115a : 분기 전원 공급선 115b : 주전원 상태 신호선
115c : 조명부 전원 공급선 115d : 보호 계전기 상태 신호선
116 : 모선 터미널 117 : 모듈 커넥터
117a : 전원 변환 모듈 커넥터 117b : 충전 모듈 커넥터
117c : 제어 모듈 커넥터 118 : 모듈 터미널
118a : 전원 변환 모듈 터미널 118b : 충전 모듈 터미널
118c : 제어 모듈 터미널 119 : 자선
120 :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 140 : 전원 변환 모듈함
160 : 충전 모듈함 180 : 제어 모듈함
190 : 손잡이 192 : 고정 볼트
200 : 비상 전원 공급 모듈부 240 : 전원 변환 모듈
242 : 메인 변압기 244 : 충전기
260 : 충전 모듈 262 : 충전지
264 : 비상 전원 차단기 280 : 제어 모듈
282 : 제어부 284 : 전원 변환부
300 : 표시부 310 : 비상 전원 공급 장치 상태 표시부 311 : 입력 전압 표시창 312 : 충전 전류 표시창
313 : 충전 전압 표시창 314 : 충전지 전류 표시창
320 : 이상 감시 상태 표시부

Claims (10)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주전원 차단기, 분기 전원 차단기, 보호 계전기 및 조명부 등의 각종 전기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일체형 수배전반의 내부 협소 여유 공간에 장착되며,
    전원 변환 모듈, 충전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비상 전원 공급 모듈, 그리고
    전원 변환 모듈함, 충전 모듈함 및 제어 모듈함이 적층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부를 수용 결합하는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되는 모듈함 취부랙 및 상기 모듈함 취부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하여 보호하는 랙 케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수용 부재
    를 포함하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랙 케이스는 상기 모듈함 취부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하는 랙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함 취부랙은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하는 모듈함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비상 전원 공급 모듈함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함 취부랙은
    상기 주전원 차단기, 상기 분기 전원 차단기, 상기 보호 계전기 및 상기 조명부에 각각 연결된 신호선인 모선에 일단이 연결되는 모선 터미널,
    상기 모선 터미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선 커넥터,
    상기 모듈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터미널,
    상기 모선 터미널과 상기 모듈 터미널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모선에 대응되는 신호선인 자선,
    상기 자선을 보호 가이드하는 케이블 트레이
    를 더 포함하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4. 제 1항에서,
    상기 랙 케이스는
    상기 일체형 수배전반의 내부 일측과 결합되는 설치 앵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랙 케이스는 적어도 일측에 수용 결합된 상기 모듈함 취부랙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함 취부랙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취부랙 고정편, 및 상기 설치 앵글에 결합되는 고정용 행거를 더 포함하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은 상기 분기 전원 차단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보호 계전기 및 상기 조명부에 연결되어 비상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주전원 차단기 및 상기 보호 계전기로부터 각각 상태 신호를 입력 받아 이상 상태를 감시하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일체형 수배전반의 이상 감시 상태를 표시하는 이상 감시 상태 표시부 및 상기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부
    더 포함하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은
    분기 전원 차단기로부터 입력되는 고압의 교류 전원을 상기 충전 모듈이 충전 가능한 저압의 교류 전원으로 강압하는 메인 변압기, 그리고
    상기 메인 변압기로부터 강압된 교류 전원을 입력 받아 직류 충전 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충전 모듈로 전송하는 충전기
    를 포함하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충전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충전 전압을 축적하는 충전지, 그리고
    상기 충전지로부터 상기 조명부나 상기 보호 계전기에 공급되는 충전 전압을 차단하는 비상 전원 차단기
    를 포함하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충전지의 미리 설정된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전압 값에 따른 충전 전압을 만들도록 상기 충전기를 제어하며, 상기 주전원 차단기와 상기 보호 계전기로부터 상태 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된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주전원 차단기와 상기 보호 계전기의 현재의 상태를 판단하여 정전이나 전원 공급 이상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의 이상 감시 상태 표시부에 현재의 이상 감시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비상 전원 공급 장치 상태 표시부에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현재 구동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충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충전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 전원 변환부
    를 포함하는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한 일체형 수배전반.
KR1020100058965A 2010-06-22 2010-06-22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KR10098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965A KR100985727B1 (ko) 2010-06-22 2010-06-22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965A KR100985727B1 (ko) 2010-06-22 2010-06-22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727B1 true KR100985727B1 (ko) 2010-10-11

Family

ID=4313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965A KR100985727B1 (ko) 2010-06-22 2010-06-22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7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405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랙 어셈블리
CN107093850A (zh) * 2017-06-28 2017-08-25 宜昌市东明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模块化配电柜
CN109802317A (zh) * 2019-02-25 2019-05-24 志纳电器有限公司 Eps消防应急电源用安全防护装置
KR102056267B1 (ko) * 2013-09-06 2019-12-1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연료전지장치 및 그 관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73B1 (ko) 2006-06-09 2007-01-09 (주) 에스아이이 전동기 제어반
KR100858060B1 (ko) 2008-07-16 2008-09-12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배전반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슬라이딩장치
KR100961777B1 (ko) 2008-05-02 2010-06-07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73B1 (ko) 2006-06-09 2007-01-09 (주) 에스아이이 전동기 제어반
KR100961777B1 (ko) 2008-05-02 2010-06-07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858060B1 (ko) 2008-07-16 2008-09-12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배전반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슬라이딩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267B1 (ko) * 2013-09-06 2019-12-1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연료전지장치 및 그 관리방법
KR20160062405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랙 어셈블리
KR101726928B1 (ko) 2014-11-2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랙 어셈블리
CN107093850A (zh) * 2017-06-28 2017-08-25 宜昌市东明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模块化配电柜
CN107093850B (zh) * 2017-06-28 2018-10-26 宜昌市东明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模块化配电柜
CN109802317A (zh) * 2019-02-25 2019-05-24 志纳电器有限公司 Eps消防应急电源用安全防护装置
CN109802317B (zh) * 2019-02-25 2024-03-15 志纳电器有限公司 Eps消防应急电源用安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8260B2 (ja) 蓄電池ユニット
JP4914434B2 (ja) 配電盤装置
US7612988B2 (en) Switchgear with movable user interface module
CN103477532A (zh) 不间断电源的维修进入点
KR20100037102A (ko) 무정전 전원 장치에 선택적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입력 및 출력 전원 모듈
KR101135882B1 (ko) 전동기 제어반
EP2887484A1 (en) Converter module and switchgear assembly for AC and DC power distribution
KR100985727B1 (ko)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KR101306772B1 (ko) 태양광 발전시설의 종합보호 시스템
CN104577404B (zh) 进出线模块底座
TW200835105A (en) DC switchgear provided with a commutation-type DC circuit breaker
CN102664354A (zh) 多功能低压配电柜
CN111835055A (zh) 集中式充电柜
CN202633748U (zh) 多功能低压配电柜
CN102308450B (zh) 用于安装至导轨的供电系统
KR100946765B1 (ko) 이단적재 폐쇄 배전반
CN209169800U (zh) 一种低压开关柜
CN220874051U (zh) 一种插入分隔式配电柜
CN110086177A (zh) 用于jp柜的电容投切模块
RU2772873C2 (ru) Сконструированный в виде модуля сменный блок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й и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тех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CN220673126U (zh) 一种配电柜
CN212435423U (zh) 一种不间断电源
KR101947560B1 (ko) 패드형 수배전반 시스템
CN220934669U (zh) 一种用于低压电力分配和控制的固定分隔式配电柜
CN215897371U (zh) 一种快速复电的配电综合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