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758A -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 Google Patents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758A
KR20160027758A KR1020140116287A KR20140116287A KR20160027758A KR 20160027758 A KR20160027758 A KR 20160027758A KR 1020140116287 A KR1020140116287 A KR 1020140116287A KR 20140116287 A KR20140116287 A KR 20140116287A KR 20160027758 A KR20160027758 A KR 20160027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midsole
elastic plate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101B1 (ko
Inventor
서동용
Original Assignee
서동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용 filed Critical 서동용
Priority to KR102014011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1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은, 구두의 밑창과 까래 사이에 결합되는 중창에 있어서, 상기 중창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중창 본체; 및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보행시 탄성 변형되어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항상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는, 상기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이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보행시 상기 중창 본체의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중창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탄성판; 및 상기 탄성판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표면에 상기 탄성판의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슬릿이 형성되는 탄성판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항상 일정한 쿠션력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시 안정적인 지지력을 통해 일정한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고, 구두와 발의 일체감을 확보하여 착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INSOLE FOR SHOES HAVING CUSHION}
본 발명은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시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항상 지지하여 줌으로써 안정적인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고, 구두와 발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는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인공구조물의 증가로 누구나 딱딱한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위를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보행시 발바닥을 통하여 자기 체중의 1.5 내지 3배에 이르는 충격력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발, 무릎 및 신체 각 부위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관절에 통증을 유발시킴은 물론 몸의 피로감과 스트레스 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일상생활에서 대부분 구두를 착용하므로, 장시간 서 있는 것만으로도 발바닥에 큰 무리가 따른다.
구두의 일반적인 구조는, 굽이 결합된 밑창과, 밑창의 표면 둘레에 결합되어 구두의 형상을 이루는 갑피와, 밑창의 상면에 결합되어 갑피의 내부에 마련되는 중창과, 중창의 상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까래로 구성된다. 한편, 까래의 내부에는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스폰지로 형성되는 충진재가 내장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구두에서 까래에 내장되는 충진재는 초기에 발의 충격을 완화하여 주나 장시간 사용 후에는 충진재가 압착되어 쿠션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충진재의 쿠션력이 떨어지게 되면 장기적으로 사용자가 구두를 신고 보행하는 중간에 쉽게 피로를 느끼며 구두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결과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보행시 탄성 변형을 통해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항상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쿠션력을 제공하면서도 구두와 일체감을 높일 수 있는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954호(공개일자: 2010년 09월 15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보행시 탄성 변형에 따라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항상 지지하여 줌으로서 안정적인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고, 구두와 발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는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구두의 밑창과 까래 사이에 결합되는 중창에 있어서, 상기 중창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중창 본체; 및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보행시 탄성 변형되어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항상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는, 상기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이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보행시 상기 중창 본체의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중창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탄성판; 및 상기 탄성판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표면에 상기 탄성판의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슬릿이 형성되는 탄성판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탄성판 안내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중창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안내슬릿을 입구로 갖는 안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판은, 상기 중창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안내슬릿을 통해 상기 안내공간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판은, 상기 발바닥에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표면에 마련되는 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압부는, 상기 탄성판의 표면에 상하좌우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압돌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밀착 지지되어 항상 일정한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는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시 안정적인 지지력을 통해 일정한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고, 구두와 발의 일체감을 확보하여 착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두용 중창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용 중창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두용 중창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용 중창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중창 본체(110)와, 그리고 중창 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며 보행시 탄성 변형되어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항상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쿠션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100)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구두(200)의 구조는, 굽(130)이 결합된 밑창(140)과, 밑창(140)의 표면 둘레에 결합되어 구두(200)의 형상을 이루는 갑피(150)와, 밑창(140)의 상면에 결합되어 갑피(150)의 내부에 마련되는 중창(100)과, 중창(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바닥(2)과 접촉되는 까래(160)로 이루어진다. 한편, 까래(160)의 내부에는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스폰지로 형성되는 충진재가 내장된다.
중창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창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즉, 중창 본체(110)는 구두 바닥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인 중창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120)는 중창 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탄성판(122)과, 그리고 탄성판 안내부재(1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쿠션부(120)는 보행시 탄성 변형되어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항상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탄성판(122)은 발바닥(2)으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중창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탄성판(122)은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분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그 일측이 발바닥(2)의 뒤꿈치 부위에 해당하는 중창 본체(1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즉, 탄성판(122)은 중창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그 일측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탄성판(122)은 보행시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중창 본체(110)에 고정된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발바닥(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
즉, 탄성판(122)은 발바닥(2)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자체 탄성을 통해 탄성 변형된다. 이때, 탄성판(122)은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중에 의해 곡률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중창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됨으로써 보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면서도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탄성판(122)은 발바닥(2)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소멸되는 경우에 자체 탄성을 통해 복원된다. 이때, 탄성판(122)은 곡률이 작아지도록 중창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하중의 소멸에 따라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밀착되도록 자체 탄성에 의해 복원되며, 이에 따라 구두(200)와 발(1)의 일체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발바닥(2)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소멸되는 경우는 보행시 구두(200)와 지면이 떨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발바닥(2)과 까래(16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탄성판(122)의 탄성력이 발바닥(2)으로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쿠션부(120)는, 탄성판(122)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보행상태에 따라 탄성 변형됨으로써, 발바닥(2)과 까래(160)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라 하더라도 탄성판(122)의 곡률을 통해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밀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구두(200)와 발(1)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탄성판 안내부재(124)는 탄성판(122)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탄성판 안내부재(124)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창 본체(110)와의 사이에 안내공간(124B)을 형성하도록 중창 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된다. 탄성판 안내부재(124)의 표면에는 탄성판(122)의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슬릿(124A)이 형성된다.
즉, 탄성판 안내부재(124)는 중창 본체(110)와의 사이에 안내공간(124B)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탄성판(110)은 자유단의 일부가 탄성판 안내부재(124)의 안내슬릿(124A)을 통해 안내공간(124B)에 삽입되도록 탄성판 안내부재(12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탄성판 안내부재(124)는 안내슬릿(124A)과 안내공간(124B)에 의해 중창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탄성판(122)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즉, 탄성판 안내부재(124)는 탄성판(122)의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 자유단의 일부가 안내슬릿(124A)을 통해 안내공간(124B)에 삽입되도록 중창 본체(110)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탄성판(122)은 보행에 따른 하중 작용시 탄성판 안내부재(124)에 의해 안내되어 자유롭게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100)은, 구두(200)의 제조시 굽(130)이 결합된 밑창(140)의 표면 둘레에 갑피(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밑창(140)의 상부에 결합되게 된다. 중창(100)의 상부에는 착용자의 발바닥(2)과 접촉되는 까래(160)가 결합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착용자의 하중이 발생되면(구두와 지면이 접촉된 상태), 착용자의 하중은 까래(160)를 통해 쿠션부(120)에 전달되게 된다. 그러면, 쿠션부(120)의 탄성판(122)은 곡률에 의해 착용자의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중에 의해 곡률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중창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
즉, 탄성판(122)은 곡률에 의해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중의 작용에 따라 곡률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됨과 동시에 탄성판 안내부재(124)에 의해 안내되어 중창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되며, 이에 따라 보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면서도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착용자의 하중이 소멸되면(구두와 지면이 떨어진 상태), 착용자의 발바닥(2)과 중창(100)의 상부에 결합된 까래(160)는 일정간격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쿠션부(120)의 탄성판(122)은 하중의 작용에 따라 곡률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하중이 소멸된 후에는 탄성에 의해 발바닥(2)과 밀착될 수 있는 곡률로 복원되도록 중창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
즉, 탄성판(122)은 발바닥(2)과 까래(160)가 떨어지게 되면, 하중의 소멸에 따라 중창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밀착되도록 복원되며, 이에 따라 발바닥(2)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구두(200)와 발(1)의 일체감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100)은, 착용자의 발바닥(2)의 움푹 들어간 부위를 항상 지지할 수 있도록 중창 본체(110)에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는 쿠션부(120)에 의하여, 보행시 안정적인 지지력을 통해 일정한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고, 구두(200)와 발(1)의 일체감을 확보하여 착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의 구두용 중창(100)은 쿠션부(120)에 마련된 탄성판(122)에 지압부(126)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며, 이하에서는 지압부(126)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지압부(126)는 착용자의 발바닥(2)에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지압부(126)는 탄성판(1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압돌기(127)로 마련된다. 이때, 다수의 지압돌기(127)는 탄성판(122)의 표면에 상하좌우로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이외에도 다수의 지압돌기(127)는 탄성판(122)의 표면에 상하좌우로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두용 중창(100)은, 보행시 착용자의 발바닥(2)에 지압을 제공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신진대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중창 본체 120: 쿠션부
122: 탄성판 124: 탄성판 안내부재
124A: 안내슬릿 124B: 안내공간
126: 지압부 127: 지압돌기

Claims (4)

  1. 구두의 밑창과 까래 사이에 결합되는 중창에 있어서,
    상기 중창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중창 본체; 및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보행시 탄성 변형되어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항상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는,
    상기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이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보행시 상기 중창 본체의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중창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탄성판; 및
    상기 탄성판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표면에 상기 탄성판의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슬릿이 형성되는 탄성판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 안내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창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중창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안내슬릿을 입구로 갖는 안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판은, 상기 중창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안내슬릿을 통해 상기 안내공간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상기 발바닥에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표면에 마련되는 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는,
    상기 탄성판의 표면에 상하좌우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압돌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KR1020140116287A 2014-09-02 2014-09-02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KR10164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287A KR101649101B1 (ko) 2014-09-02 2014-09-02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287A KR101649101B1 (ko) 2014-09-02 2014-09-02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758A true KR20160027758A (ko) 2016-03-10
KR101649101B1 KR101649101B1 (ko) 2016-08-19

Family

ID=5553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287A KR101649101B1 (ko) 2014-09-02 2014-09-02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821A1 (ko) * 2017-01-23 2018-07-26 정미승 발바닥 지압 및 마사지용 신발
WO2018135820A1 (ko) * 2017-01-23 2018-07-26 정미승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73Y1 (ko) * 2001-04-03 2001-10-11 김광우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KR100974504B1 (ko) * 2009-09-17 2010-08-10 김정표 신발용 밑창
KR20110112975A (ko) * 2010-04-08 2011-10-14 김현우 신발 밑창
KR20120008954U (ko) 2011-06-20 2012-12-28 박세련 단일 프레임 고무장갑 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73Y1 (ko) * 2001-04-03 2001-10-11 김광우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KR100974504B1 (ko) * 2009-09-17 2010-08-10 김정표 신발용 밑창
KR20110112975A (ko) * 2010-04-08 2011-10-14 김현우 신발 밑창
KR20120008954U (ko) 2011-06-20 2012-12-28 박세련 단일 프레임 고무장갑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821A1 (ko) * 2017-01-23 2018-07-26 정미승 발바닥 지압 및 마사지용 신발
WO2018135820A1 (ko) * 2017-01-23 2018-07-26 정미승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101B1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KR20120129909A (ko)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가지는 신발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WO2015056958A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US20120324760A1 (en) Footwear with heel based arcuate panel-shaped impact absorbing resilient concealed tongue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101075789B1 (ko) 발 폭의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KR101649101B1 (ko)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KR101638145B1 (ko) 발바닥 지압용 신발
KR20130046212A (ko) 발바닥 전면 밀착형 신발의 인솔
KR101357823B1 (ko) 이동 가능한 아치 지지체를 갖는 신발창
KR200467057Y1 (ko) 신발용 깔창
JP3136586U (ja) 足裏用アーチ形成パッド
TWM469772U (zh) 鞋墊裝置
KR101263614B1 (ko) 신발
KR101068228B1 (ko) 착탈 가능한 이동형 지압기구를 구비하는 기능성 신발
JP5792327B2 (ja) ハイヒール
TWM460545U (zh) 具有彈性液態體之足弓鞋墊結構
KR200458030Y1 (ko) 족궁 마사지 기능을 갖춘 신발 밑창
KR200326252Y1 (ko) 파워워킹용 신발
JP3174024U (ja) 靴の中底
KR100782376B1 (ko) 키 높이 신발용 밑창의 경량화 및 충격완화 구조
CN203137241U (zh) 一种多功能鞋垫
CN203121221U (zh) 一种新型鞋垫
CN205547563U (zh) 一种保健鞋及其鞋体、磁力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