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003A -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003A
KR20160027003A KR1020167001442A KR20167001442A KR20160027003A KR 20160027003 A KR20160027003 A KR 20160027003A KR 1020167001442 A KR1020167001442 A KR 1020167001442A KR 20167001442 A KR20167001442 A KR 20167001442A KR 20160027003 A KR20160027003 A KR 2016002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hertz
pressure
valve
ear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조지
조지 벅클러
티모시 에이. 크라운
데이비드 브라이스 설리번
Original Assignee
지비에스 벤쳐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비에스 벤쳐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비에스 벤쳐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2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12External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1/00Massage devices for cavities of the body, e.g. nose, ears and anus ; Vibration or percussion related aspects A61H2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07Puls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1Pneumatic massage by localized pressure, e.g. air streams or j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08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including an inner channel
    • A61F2011/08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14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7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는: 유체 흐름 생성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를 가진 이어폰, 및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와 유체 흐름 생성기에 유체 결합된 밸브형 도관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어폰은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진다.

Description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DEVICE}
본 특허출원은 2014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일반특허출원번호 14/292,469의 동시계속특허출원으로서, 2014년 4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번호 61/983,865, 2013년 8월 7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번호 61/863,317, 및 2013년 6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번호 61/841,111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상기 미국특허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들로 통합된다.
장애(disorder)와 관련된 불편함 또는 통증, 가령, 신경학상으로-중재된 장애, 가령, 두개 안면부 통증 증후군 또는 두통 증후군들은 환자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개인에게 지워지는 부담 외에도, 만성적인 신경학적 조건(neurological condition)들은 가족 구성원, 사용자, 및 헬스케어 시스템에 심각한 압박으로 작용될 수 있다.
편두통, 수반증상(concomitant symptom), 가령, 통증, 메스꺼움, 전조(aura), 광선공포증(photophobia), 감각장애, 어지럼증, 현기증, 및 평형이상(dysequilibrium)은 사람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역학 조사(epidemiological study)에 따르면, 미국에서, 빈번한 편두통을 경험하는 남성의 약 6% 및 여성의 약 18%,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약 2%가 만성 편두통으로 고생하고 있다. 그 외에도, 만성 편두통 또는 이와 비슷한 심각성 및 장애를 가진 그 외의 다른 두통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우울증 및 자살 시도에 현저하게 더 많이 노출되는 위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임상의(clinician) 및 연구원들이 이러한 장애를 치료하거나 혹은 장애와 관련된 징후(symptom)를 완화시키기(alleviate) 위해 효과적인 장치 및 방법들을 계속하여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두통에 대한 표준적인 의학 치료는 일반적으로 통증을 방지하거나 또는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처방하는 것일 것이다. 상기 두 광범위한 범주 내에 있는 다양한 제제(agent)는 우수한 효율성을 제공하지만 가변적인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약제들의 비용은 환자의 경제적 부담의 근본 원인이 될 수 있다. 게다가, 개선된 중재(advanced intervention), 가령, 보도구리눔 독 주입(botulinum toxin injection), 신경 차단(nerve blockade), 신경외과적 변성(neurosurgical alteration), 및 이식형 전기 자극장치(implanted electrical stimulator)는 치료와 관련된 비용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및 생리학을 잠재적으로 변경시키면서도 장애를 해결하거나 또는 완전한 또는 영구적 징후 완화를 보장하지 못할 수도 있다.
신경과학 내에는, 비-약학적 및 비-수술적 분야를 통해 신경계에 긍정적인 생리학적 변화를 끼치도록 추구하는 적용 및 이해 부문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능신경학(functional neurology)" 분야는 사람의 신경계를 수용체 피동계(receptor driven system)로서 바라보는데, 이는 특정 방법으로 신경가소성 프로세스(neuroplasticity process)를 통해 적응형의 장기간 변화를 구현하도록 작동되고 자극될 수 있다(stimulated). 신경재활(neurorehabilitation)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은,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가령, 뇌, 뇌줄기(brainstem), 및 척수(spinal cord) 내에서 양의 신경생리학 적응(neurophysiological adaptation)을 촉진하고, 이에 따라, 관련 조직, 장기, 및 계(system)들의 생리학적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 및 패턴의 수용체 작동(receptor activation) 또는 작동중지(deactivation)법을 사용하지만, 이들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는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극을 생성시킬 수 있어서, 장애와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징후, 가령, 두개 안면부 통증증후군 또는 두통 증후군을 완화시키거나, 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들을 제공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목적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유체 흐름(fluid flow)을 생성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에 유체 결합된 밸브형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밸브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interruptible)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가지고; 이어폰 제1 단부와 이어폰 제2 단부 사이에서 소통하는(communicate) 축방향 이어폰 보어를 가진 이어폰을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는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의 맞은편에 있는 밸브형 도관에 유체 결합되고, 상기 이어폰은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에서 배리어(barrier)로서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형상으로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과 결합되어 유체 흐름을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제1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밸브형 도관을 가지며 이에 따라 유체 흐름이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부터 외이도로 배출되어 주위 압력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을 구현할 수 있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제2 형상으로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과 결합되어 유체 흐름을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제2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밸브형 도관을 가지며 이에 따라 유체 흐름이 외이도로부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 유입되어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을 구현할 수 있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어폰과 유체 흐름 생성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형 도관을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밸브형 도관은 제1 형상으로 이어폰과 유체 흐름 생성기와 결합되어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이 제1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밸브형 도관은 제2 형상으로 이어폰과 유체 흐름 생성기와 결합되어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이 제2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유체 흐름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밸브형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가지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밸브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도록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중단시킬 수 있는 단계; 및, 이어폰 제1 단부와 이어폰 제2 단부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는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의 맞은편에 있는 밸브형 도관에 유체 결합되고, 상기 이어폰은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는: 유체 흐름을 생성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에 유체 결합된 밸브형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밸브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가지고; 그리고, 이어폰 제1 단부와 이어폰 제2 단부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를 가진 이어폰을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는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의 맞은편에 있는 밸브형 도관에 유체 결합되고, 상기 이어폰은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며; 상기 외이도와 상기 이어폰의 이어폰 외측 표면을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와 유체 흐름 생성기 사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의 외이도 압력차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은 본 명세서, 도면 및 청구항들의 다른 부분들에도 기술되어 있다.
도 1a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1b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2a는 주위 압력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을 구현하도록 작동 가능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
도 2b는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을 구현하도록 작동 가능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
도 3a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밸브의 특정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3b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밸브의 특정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3c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밸브의 특정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3d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밸브의 특정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3e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밸브의 특정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a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4b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4c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4d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4e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4f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4g는 도 4f에 도시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이어폰이 유체 흐름 생성기와 도관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4h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4i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도면.
도 5는 주위 압력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을 구현하도록 작동 가능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6은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을 구현하도록 작동 가능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7은 주위 압력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을 구현하도록 작동 가능한 도 5에 도시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분해도.
도 8은 주위 압력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을 구현하도록 작동 가능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
도 9는 도관 본체의 단부-단부 회전(end-to-end rotation)에 의한 도 8에 도시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을 재형성하는 방법의 도면.
도 10은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을 구현하도록 도관 본체의 단부-단부 회전에 의해 구현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
도 11a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
도 11b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며 변형된 상태에서 유체 흐름 생성기를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으로서, 밸브형 도관 내에 충분한 압력이 생성되며 제1 밸브가 개방 상태에 배치되고 유체 흐름이 외이도를 향해 제공되어 주위 압력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이 구현된다.
도 11c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며 비-변형된 상태로 복귀되는 유체 흐름 생성기를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으로서, 충분한 압력이 생성되고 제1 밸브가 밀폐 상태에 배치되며 외이도 압력이 유지되고 제2 밸브가 개방 상태에 배치되어 주위 압력으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를 향하는 유체 흐름이 생성된다.
도 11d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며 압력 릴리프 요소의 작동에 의해 개방 상태에 수동으로 배치된 제3 밸브를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으로서, 외이도로부터 주위 압력을 향하는 유체 흐름이 생성되고 외이도 압력은 주위 압력으로 복귀된다.
도 12a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
도 12b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며 변형된 상태에서 유체 흐름 생성기를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으로서, 밸브형 도관 내에 충분한 압력이 생성되고 제2 밸브가 개방 상태에 배치되어 외이도 압력이 주위 압력에 유지되면서도 유체 흐름이 주위 압력을 향해 제공된다.
도 12c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며 비-변형된 상태로 복귀되는 유체 흐름 생성기를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으로서, 충분한 압력이 생성되고 제1 밸브가 개방 상태에 배치되며 제2 밸브가 밀폐 상태에 배치되어 외이도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를 향하는 유체 흐름이 생성되며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이 생성된다.
도 12d는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며 압력 릴리프 요소의 작동에 의해 개방 상태에 수동으로 배치된 제3 밸브를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으로서, 주위 압력으로부터 외이도를 향하는 유체 흐름이 생성되고 외이도 압력은 주위 압력으로 복귀된다.
도 13a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상부도.
도 13b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측면도.
도 13c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분해도.
도 13d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분해도.
도 13e는 주위 압력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을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한 도 13a에 도시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3f는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을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4a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면 시간 주기 동안 최대 압력에서 주위 압력보다 더 큰 실질적으로 불변의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고 유지되며, 압력 릴리프 요소의 작동에 의해 외이도 압력이 주위 압력으로 복귀된다.
도 14b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큰 박동성(pulsatile)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매끄럽고 반복적인 주기 진동을 가진 사인파(sine wave)가 된다.
도 14c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큰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압력파의 정점(apex)이 시간 주기에 걸쳐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절두형파(truncated wave)가 된다.
도 14d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큰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선형 리딩 에지 및 트레일링 에지를 가진 삼각형파(triangle wave)가 된다.
도 14e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큰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트레일링 에지가 압력을 변화시키는 시간 주기보다 더 큰 시간 주기에 걸쳐 리딩 에지가 압력을 변화시키는 톱니형파(sawtooth wave)가 된다.
도 14f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큰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압력파의 정점이 시간 주기에 걸쳐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절두형파가 된다.
도 14g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1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큰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된다.
도 15a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면 시간 주기 동안 최대 압력에서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실질적으로 불변의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고 유지되며, 압력 릴리프 요소의 작동에 의해 외이도 압력이 주위 압력으로 복귀된다.
도 15b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매끄럽고 반복적인 주기 진동을 가진 사인파가 된다.
도 15c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압력파의 정점이 시간 주기에 걸쳐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절두형파가 된다.
도 15d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선형 리딩 에지 및 트레일링 에지를 가진 삼각형파가 된다.
도 15e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트레일링 에지가 압력을 변화시키는 시간 주기보다 더 작은 시간 주기에 걸쳐 리딩 에지가 압력을 변화시키는 리버스 톱니형파(reverse sawtooth wave)가 된다.
도 15f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되며 압력파는 압력파의 정점이 시간 주기에 걸쳐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절두형파가 된다.
도 15g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2 형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에 대한 외이도 압력의 그래프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가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요소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면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박동성 외이도 압력이 생성된다.
이제, 먼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를 사용하는 특정 방법들을 예시하는 도 1a 및 도 1b를 보면,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유체 흐름 생성기(2),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가진 이어폰(3), 및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축방향 이어폰 보어(4)에 유체 결합된(fluidically coupled) 밸브형 도관(5)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 방법은 외이도(6)를 이어폰(3)의 이어폰 외측 표면(7)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축방향 이어폰 보어(4) 사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외이도 압력(10)과 주위 압력(11) 사이의 압력차(9)를 조절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 징후(disorder symptom)를 완화시키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압력차(pressure differential)"는 두 위치 간의 압력 차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압력차 진폭(pressure differential amplitude)"은 두 위치 간의 압력 차이의 수치 값을 의미한다. 압력차 진폭(59)은 압력이 제2 위치에 대한 제1 위치에서 더 크든지 또는 더 작든지 간에 부호(양 또는 음)가 없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예로서, 주위 압력(11)보다 +50 킬로파스칼의 외이도 압력(10) 및 주위 압력(11)보다 -50 킬로파스칼의 외이도 압력(10)은 둘 다 50 킬로파스칼의 압력차 진폭(59)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외이도 압력(external ear canal pressure)"은, 위의 내용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유체 용적(12),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12), 또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작동에 의해 외이도(6) 내에 생성되거나 또는 외이도로 전달되는 유체 흐름(8)에 의해 외이도(6) 내에 가해지는 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주위 압력(ambient pressure)"은 주변 환경에서 외이도(6)의 외부에 가해지는 힘을 의미하며, 위의 내용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같이,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7)을 가진 이어폰(3)에 가해지는 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사전-선택된(pre-selected)"은, 예를 들어,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작동에 의해 외이도(6)에 전달되거나 외이도(6) 내에 생성되는 것을 전달하고, 그 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작동에 의해 외이도(6)에 투여되거나 외이도(6) 내에 생성되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사용자(23)에 의해, 투여하기 전에 결정되는 변수, 가령, 유체 용적(12) 또는 압력차 진폭(59)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 밀리리터의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12)이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작동에 의해 외이도(6)에 전달하기 위해 사전 선택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사전-선택된 10 밀리리터의 유체 용적(12)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작동에 의해 외이도(6)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징후(symptom)"는 임의의 불편(discomfort) 또는 장애(disorder)와 관련된 불편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의 내용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징후는: 어지럼증; 현기증; 메스꺼움; 불균형; 감각이상(paresthesia); 감각장애(dysesthesia); 빛에 대한 민감성; 냄새에 대한 민감성; 소리에 대한 민감성; 불안; 불면증; 과민성(irritability); 피로; 식욕 부진; 시야 흐름; 장 불편함(gut disturbance); 가변 특성적인 극심한 통증 또는 만성적인 통증, 가령,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두근거림, 베는 듯한 통증, 날카로운 통증, 둔통, 깊은 통증, 난절통, 타는듯한 통증, 쑤시는 듯한 통증,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 심한 통증, 감전된 것과 같은 통증, 종창(swelling) 감각, 또는 콕콕 쑤심(tingling);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장애(disorder)"는 정상적이거나 건강하지 않을 수 있는 육체적 또는 정신적 상태를 의미한다. 위의 내용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장애는: 신경병증 두개 안면부 통증 증후군, 가령, 신경통(neuralgia), 예를 들어 삼차 신경병증(trigeminal neuralgia); 악관절증(temporomandibular joint syndrome); 두통 증후군, 가령, 편두통, 만성적인 매일의 두통, 군발 두통(cluster headache), 근육 수축성 두통(muscle tension headache), 외상후 두통(post-traumatic headache), 또는 만성적인 발작성 편두통(paroxysmal hemicrania); 내림프 수종(endolymphatic hydrops); 현기증; 이명(tinnitus); 뇌손상에 기인한 증후군; 손상된 신경 기능에 따른 증후군, 가령, 인지 장애(cognitive disorder), 가령, 주의력 결핍 장애(attention deficit disorder), 정서 장애(emotional disorder), 가령, 불안 장애, 또는 발작 장애(seizure disorder); 환각지(phantom limb); 중이 장애(middle ear disorder); 내이 장이(inner ear disorder);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a 및 2b를 보면,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복수의 형상들 중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큰 용적과 작은 용적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는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시예로서,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큰 용적으로부터 작은 용적으로 조절하면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거리가 떨어져 있는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용적-조절식 요소(13)를 작은 용적으로부터 큰 용적으로 조절하면 유체 흐름 생성기(2)를 향하는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벽 내측 표면(18)과 벽 외측 표면(17)을 가진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을 가진 막(15) 또는 주머니(14)를 포함할 수 있다. 벽 외측 표면(17)은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되어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이 변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도 11a 내지 12d 및 도 13a 내지 도 13f의 예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 내측 표면(18)은 내부 용적(19)을 형성한다(밸브형 도관(5)과의 조립체로서 부분적이거나 전체적이든 간에). (도 11b 및 도 12b의 예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형된 상태(20)에 있는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은 내부 용적(19)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도 11c 및 도 12c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변형된 상태(21)로 가면 내부 용적(19)이 증가될 수 있다. 내부 용적(19)의 변화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이 유체 흐름(8)은 밸브형 도관(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주머니(14) 또는 막(15)은 비-변형된 상태(21)에 있는 내부 용적(19)을 가질 수 있는데, 내부 용적(19) 안에 완전히 줄어들어 변형된 상태(20)가 되면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사용자(23)에 불편을 끼칠 수 있는 압력(24)의 양 또는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기에 불충분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도 4c의 예시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스톤(27)이 배럴(28) 내에서 왕복 작동되어 배럴의 내부 용적을 작은 용적과 큰 용적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는 용적형 펌프(positive displacement pump)(26)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7)이 배럴(28) 내에서 왕복 운동하면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유체 흐름(8)은 밸브형 도관(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배럴(28)은 배럴 내부 용적을 가질 수 있는데, 배럴(28) 내에서의 피스톤(27)의 운동에 의해 배럴 내부 용적 안에 완전히 줄어들면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사용자(23)에 불편을 끼칠 수 있는 압력(24)의 양 또는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기에 불충분할 수 있다.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서 밸브형 도관(5) 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 유체 흐름(8)은 0 밀리리터 내지 약 20 밀리리터 사이 범위에 있는 유체 용적(12)을 가질 수 있지만; 실시예들은 적용분야에 따라 이보다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은 유체 용적(12)을 가질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용적(12)은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12)일 수 있는데: 0 밀리리터 내지 약 2 밀리리터 사이, 약 1 밀리리터 내지 약 3 밀리리터 사이, 약 2 밀리리터 내지 약 4 밀리리터 사이, 약 3 밀리리터 내지 약 5 밀리리터 사이, 약 4 밀리리터 내지 약 6 밀리리터 사이, 약 5 밀리리터 내지 약 7 밀리리터 사이, 약 6 밀리리터 내지 약 8 밀리리터 사이, 약 7 밀리리터 내지 약 9 밀리리터 사이, 약 8 밀리리터 내지 약 10 밀리리터 사이, 약 9 밀리리터 내지 약 11 밀리리터 사이, 약 10 밀리리터 내지 약 12 밀리리터 사이, 약 11 밀리리터 내지 약 13 밀리리터 사이, 약 12 밀리리터 내지 약 14 밀리리터 사이, 약 13 밀리리터 내지 약 15 밀리리터 사이, 약 14 밀리리터 내지 약 16 밀리리터 사이, 약 15 밀리리터 내지 약 17 밀리리터 사이, 약 16 밀리리터 내지 약 18 밀리리터 사이, 약 17 밀리리터 내지 약 19 밀리리터 사이, 및 약 18 밀리리터 내지 약 20 밀리리터 사이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그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12)은 사용 방법에 따라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로 생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사용 방법은 여러 요인, 가령, 사용자(23) 해부학적 구조, 경감을 위한 표적 장애 징후; 치료를 위한 표적 장애;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를 사용하는 특정 방법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12)을 사용하는 데 있어 가시적 효과(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추가로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사용자(23)에 불편을 끼칠 정도는 아니다.
다시, 도 2a 및 2b를 보면, 이어폰(3)은 이도(24)의 외이도(6)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 배리어(barrier)로서 작용하는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7)을 가질 수 있다. 이어폰(3)의 실시예들은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어 약 20℃(약 68℉) 내지 약 50℃(약 122℉) 사이의 정상 범위의 작동 온도에 걸쳐 외이도(6)의 정상적인 해부학적 변형에 있어서 축방향 또는 가로방향 변위에 저항하고 주위 압력(11) 밑으로 약 -50 킬로파스칼(-50 kPa) 내지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50 kPa) 사이의 정상 범위의 작동 압력을 생성하고 유지시킬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이어폰(3)은 외이도(6)와 결합되었을 때 수축 변형될 수 있으며 이어폰(3)이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일치될 수 있게 하는 순응형 재료(compliant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들로서, 이어폰(3)은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광범위한 재료 중 임의의 재료: 가령, 실리콘, 발포체(가령,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비닐실록산, 저 경도계(durometer) 엘라스토머,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재료로 형성, 몰딩, 3-차원 인쇄되거나 또는 그 외의 경우 제작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이어폰(3)은 하나의 재료, 가령, 예를 들어, 저 경도계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이어폰(3)은 복수의 층(layer)들, 가령, 예를 들어, 저 경도계를 가진 외부 층에 의해 둘러싸인 고 경도계를 가진 내부 코어 층(inner core layer) 또는 고 경도계를 가진 외부 층에 의해 둘러싸인 저 경도계를 가진 내부 코어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가요성 이어폰 벽이 이어폰(3)의 중공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이어폰 벽은 변형되어 이어폰 외측 표면(7)이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일치할 수 있게 한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이어폰 외측 표면(7)의 한 부분은 내부 방향으로 테이퍼 구성되어 이어폰 제2 단부(29)로 접근할 수 있다(도 4a 내지 도 4d의 예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형상의 특정 실시예들의 한 예시예로서, 이어폰 외측 표면(7)은 일반적으로 내부 방향으로 테이퍼 구성된 절두형 원뿔 형태로 구성되어 이어폰 제2 단부(29)로 접근할 수 있다(도 4e 내지 도 4g의 예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어폰 외측 표면(7)은 이어폰 제1 단부(31)와 이어폰 제2 단부(29) 사이에서 거리가 떨어져 배열된 복수의 주변 리브(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주변 리브(30)는 이어폰 외측 표면(7)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높이로 연장될 수 있지만, 원뿔형 형상을 가진 이어폰 외측 표면(7)의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변 리브(30)는 리브 직경(32)이 줄어들어 이어폰 제2 단부(29)로 접근하는 리브 직경(32)을 가질 수 있다(도 4h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예시예로서, 이어폰 제1 단부(31)에 근접한 제1 주변 리브(33)의 리브 직경(32)은 약 7 센티미터일 수 있으며, 이어폰 제2 단부(29)에 근접한 마지막 주변 리브(34)의 리브 직경(32)은 약 4 센티미터일 수 있는데, 제1 주변 리브(33)와 마지막 주변 리브(34) 사이에 배열된 주변 리브(30)는 각각 제1 주변 리브(33)로부터 마지막 주변 리브(34)로 줄어드는 리브 직경(32)을 가진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 실시예들에만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복수의 주변 리브(30)는 외이도(6) 내에 삽입되며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 배리어로서 작용하는 광범위한 다수의 형상들 중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외측 표면(7)은 외이도(6)와 이어폰 외측 표면(7) 사이에서 마찰력에 의해 외이도(6)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이어폰 외측 표면(7)은 정상 작동(normal operation) 동안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에 대향하게(against) 밂으로써 외이도(6)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에 결합된 탄성 요소가 머리(36)와 귀(35) 주위에 착용되어(worn) 이어폰(3)이 외이도(6) 내에 보유(retention)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다시, 도 2a 및 2b를 보면, 이어폰(3)은 이어폰 제1 단부(31)와 이어폰 제2 단부(29)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가질 수 있다. 이어폰 제1 단부(31)에 근접한 축방향 이어폰 보어(4)는 밸브형 도관(5)에 유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단부(31)와 제2 단부(29) 사이에서 유체 흐름(8)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5 및 도 6을 보면, 이어폰(3)은 축방향 이어폰 보어(4) 주위에 배열된 관형 볼트(3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관형 볼트(37)는, 전체적이거나 혹은 부분적이든지 간에, 이어폰 제1 단부(31)와 이어폰 제2 단부(29) 사이에서 소통하여, 전체적이거나 혹은 부분적이든지 간에, 이어폰 제1 단부(31)와 이어폰 제2 단부(29) 사이에서 소통하는 볼트 보어(38)를 제공할 수 있다. 관형 볼트(37)는 이어폰 외측 표면(7)이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었을 때, 축방향 이어폰 보어(4)이 변형되는 것을 줄이거나 혹은 방지하도록 충분히 강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정상 사용 동안, 예를 들어, 정상 범위의 작동 온도 및 정상 범위의 작동 압력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4) 내에서 충분한 유체 흐름(8)을 유지할 수 있다.
관형 볼트(37)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 내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수치가 정해진(dimensioned) 볼트 외측 표면(39)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적절히 유체가 새지 않는 밀봉(fluid-tight seal)을 제공하여,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정상 사용 동안, 예를 들어, 정상 범위의 작동 온도 및 정상 범위의 작동 압력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4) 내에서 충분한 유체 흐름(8)을 유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볼트 외측 표면(39)은 볼트 외측 표면(39)을 따라 서로 거리가 떨어져 있는 복수의 주변 바브(bar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관형 볼트(37)가 축방향 이어폰 보어(4) 내에 보유되고 유체가 새지 않는 밀봉을 제공하는 데 보조할 수 있다.
불연속(discrete) 관형 볼트(37)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예들로서, 이어폰(3) 및 관형 볼트(37)는 관형 볼트(37) 주위에 형성되거나 혹은 몰딩된 이어폰(3)을 가진 일체형 구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이어폰(3)은 증가된 강성(rigidity)을 제공하여 축방향 이어폰 보어(4)에 접근하도록 형성되거나 몰딩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 실시예들에만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가 새지 않도록 결합된 관형 볼트(37)를 제공하기 위하여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광범위한 다수의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7 내지 도 10을 보면,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에 유체 결합된 밸브형 도관(5)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밸브형 도관(5)은 이어폰(3)과 유체 흐름 생성기(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을 가진 도관 본체(41)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이어폰(3)은 도관 본체 제1 단부(42) 또는 도관 본체 제2 단부(43) 중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체 흐름 생성기(2), 이어폰(3), 도관 본체 제1 단부(42), 및 도관 본체 제2 단부(43)의 탈착 결합가능한 표면(44)은, 밸브형 도관(5)이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하도록 작동되는지(도 5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또는 밸브형 도관(5)이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하도록 작동되는지(도 6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에 따라,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이어폰(3)이 도관 본체 제1 단부(42) 또는 도관 본체 제2 단부(43) 중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충분히 유사한 형상(도 7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을 가질 수 있다.
유체 흐름 생성기(2), 이어폰(3), 도관 본체 제1 단부(42), 및 도관 본체 제2 단부(43)의 탈착 결합가능한 표면(44)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matably engage). 한 예시예로서, 탈착 결합가능한 표면(44)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나선형 스레드(spiral thread)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 실시예들에만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밸브형 도관(5)을 포함하는 도관 본체(41)가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하기 위해(도 5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형상(45)에 위치될 수 있게 하고, 추가로, 밸브형 도관(5)을 포함하는 도관 본체(41)가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하기 위해(도 6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형상(46)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광범위한 다수의 방법 중 한 방법을 구성된 탈착 결합가능한 표면(44)을 가질 수 있다.
한 예시예로서, 밸브형 도관(5)을 포함하는 도관 본체(41)는 도관 본체 제1 단부(42)를 유체 흐름 생성기(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도관 본체 제2 단부(43)를 이어폰(3)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형상(45)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흐름(8)은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하기 위해 밸브형 도관(5) 내의 제1 방향(47)으로 조절될 수 있다(도 5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도관 본체 제1 단부(42)로부터 제거되고 이어폰(3)은 도관 본체 제2 단부(43)로부터 제거되어 제1 형상(45)을 분해할(disassemble) 수 있다. 도관 본체(41)는 회전되어 임의의 구조적 변경 없이도 도관 본체 제1 단부(42) 및 제2 단부(43)를 반대로 배열시킬 수 있다(도 9의 예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밸브형 도관(5)은 도관 본체 제1 단부(42)를 이어폰(3)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도관 본체 제2 단부(43)를 유체 흐름 생성기(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2 형상(46)에 위치될 수 있다(도 10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에 따라, 유체 흐름(8)은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하도록 밸브형 도관(5) 내에서 제2 방향(48)으로 조절될 수 있다(도 6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제, 도 2a, 도 2b, 도 5, 및 도 6을 보면, 밸브형 도관(5)은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1 단부(50)와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2 단부(51) 사이에서 소통하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들로서, 도관 본체(41)가 제1 형상(45) 또는 제2 형상(46)에 위치되든지 간에,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1 단부(50)는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소통하며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2 단부(51)는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소통한다.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은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1 단부(50) 및 제2 단부(51) 사이, 그리고, 이와 상응하게,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축방향 이어폰 보어(4) 사이에서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일방향으로) 조절하도록 제1 밸브(52)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interruptible). 위에 기술된 제1 형상(45)에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1 단부(50)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축방향 이어폰 보어(4)는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2 단부(51)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제1 방향(47)에 있는 유체 흐름(8)을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향하도록 일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유체 용적(12)을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외이도(6)를 향해 전달함으로써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제2 형상(46)에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1 단부(50)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축방향 이어폰 보어(4)는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2 단부(51)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제2 방향(48)에 있는 유체 흐름(8)을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를 향하도록 일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유체 용적(12)을 외이도(6)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를 향해 전달함으로써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도 2a, 도 2b, 도 5, 및 도 6을 보면, 제1 밸브(52)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을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1 단부(50)에 근접하고, 이와 상응하게, 유체 흐름 생성기(2)에 근접한 제1 부분(53), 및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2 단부(51)에 근접하고, 이와 상응하게,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에 근접한 제2 부분(54)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밸브형 도관(5)은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사이에 유체 결합된 제2 유체 흐름 도관(5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2 유체 흐름 도관(55)은, 도관 본체(41)가 제1 형상(45) 또는 제2 형상(46)에 위치되든지 간에, 유체 흐름 생성기(2)에 근접한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에 유체 결합된다. 제2 유체 흐름 도관(55)은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의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2 밸브(56)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이제, 도 2a 및 도 5를 보면,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bounded) 내부 용적(19)을 가진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포함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2)를 가진 제1 형상(45)의 특정 실시예들로서,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의 변형된 상태(20)는 내부 용적(19)을 감소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에서 제1 방향(47)에 있는 유체 흐름(8)을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향하도록 생성시킬 수 있으며, 제1 밸브(52)와 제2 밸브(56)는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유체 용적(12)이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외이도(6)를 향해 전달시킴으로써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할 수 있다.
용적-조절식 요소(13)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은 내부 용적(19)을 증가시켜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킬 수 있는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수 있으며, 제2 밸브(56)는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를 향해 유입되게 한다. 제1 밸브(52)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의 유체 흐름(8)이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를 향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실시예들은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보다 더 크게 유지될 수 있는 압력차(9)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유체 용적(12)을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전달하여 용적-조절식 요소(13)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이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가게 할 수 있다.
이제, 도 2b 및 도 6을 보면,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내부 용적(19)을 가진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포함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2)를 가진 제2 형상(46)의 특정 실시예들로서,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의 변형된 상태(20)는 내부 용적(19)을 감소시켜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에 있는 유체 흐름(8)을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주위 압력(11)을 향하도록 생성시킬 수 있으며, 제1 밸브(52)와 제2 밸브(56)는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제2 유체 흐름 도관(55)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용적-조절식 요소(13)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은 내부 용적(19)을 증가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에서 제2 방향(48)으로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킬 수 있는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수 있으며, 제1 밸브(52)는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를 향해 유입되게 한다. 제2 밸브(56)는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의 유체 흐름(8)이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를 향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게 유지될 수 있는 압력차(9)를 구현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유체 용적(12)을 외이도(6)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전달하여 용적-조절식 요소(13)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이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가게 할 수 있다.
이제, 도 2a, 도 2b, 도 5, 및 도 6을 보면, 특정 실시예들로서, 밸브형 도관(5)은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 사이에 유체 결합된 제3 유체 흐름 도관(5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3 유체 흐름 도관(57)은, 도관 본체(41)가 제1 형상(45) 또는 제2 형상(46)에 위치되든지 간에, 축방향 이어폰 보어(4)에 근접한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에 유체 결합된다.
제3 유체 흐름 도관(57)은 제3 유체 흐름 도관(57) 내의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3 밸브(58)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3 밸브(58)는 유체 흐름(8)이 제3 유체 흐름 도관(57)으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3 밸브(58)는 유체 흐름(8)이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제3 유체 흐름 도관(57)으로 유입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3 밸브(58)는,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 사이의 압력차(9)가 통상 0 킬로파스칼 내지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의 범위에 있는 압력차 진폭(59)을 가진 사전-선택된 압력차(9)를 초과할 때까지, 제3 유체 흐름 도관(57) 내의 유체 흐름(8)을 중단시킬 수 있지만, 실시예들은 적용분야에 따라 이보다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은 사전-선택된 압력차 진폭(59)을 가질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사전-선택된 압력차 진폭(59)은: 0 킬로파스칼 내지 약 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0 킬로파스칼 사이, 약 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0 킬로파스칼 내지 약 1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0 킬로파스칼 사이, 약 1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0 킬로파스칼 내지 약 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0 킬로파스칼 사이, 약 2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0 킬로파스칼 내지 약 3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0 킬로파스칼 사이, 약 3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40 킬로파스칼 내지 약 45 킬로파스칼 사이, 약 4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7.5 킬로파스칼 사이, 및 약 45 킬로파스칼 내지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전-선택된 압력차 진폭(59)은 사용 방법에 따라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로 생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사용 방법은 여러 요인, 가령, 사용자(23) 해부학적 구조, 생리학, 또는 이도(24)의 생화학; 경감을 위한 표적 장애 징후; 치료를 위한 표적 장애;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를 사용하는 특정 방법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전-선택된 압력차 진폭(59)을 사용하는 데 있어 가시적 효과(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추가로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사용자(23)에 불편을 끼칠 정도는 아니다.
이제, 도 2a 및 도 2b를 보면, 밸브형 도관(5)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밸브(61), 예를 들어 제1 밸브(52), 제2 밸브(56), 제3 밸브(58), 또는 추가적인 밸브(61)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유체 흐름 매니폴드(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게 유체 흐름 매니폴드(60) 내에서 매니폴드 유체 흐름 통로(62)의 형상을 변경하여 유체 흐름 매니폴드(60) 내에서 유체 흐름(8)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들이 매니폴드 유체 흐름 통로(62)의 특정 형상을 형성하는 유체 흐름 매니폴드(60)의 특정 형상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밸브형 도관(5)의 매니폴드 유체 흐름 통로(62) 또는 유체 흐름 매니폴드(60)의 형상에 관해서 반드시 상기 실시예들에만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들은 광범위한 다수의 형상들 중 임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또는 추가적인 유체 흐름 도관과 같이) 제1, 제2, 제3 유체 흐름 도관(49)(55)(57), 복수의 불연속 도관, 일체형 매니폴드, 또는 도관 본체(41)에 의해 형성된 것과 같이, 형성되거나, 몰딩되거나, 3차원으로 인쇄되거나, 혹은 그 외의 경우 제1, 제2, 또는 제3 밸브(52)(56)(58)(또는 추가적인 밸브(61))가 배열되고, 조립되거나, 혹은 그 외의 경우 결합되어 밸브형 도관(5)을 생성하는 복수의 부분들로 구성되거나 혹은 조립된 일체형으로서 제작되며, 위의 내용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도 4a 내지 도 6의 예시예에 도시된 도관 본체(41)의 형상들을 포함하고, 제1, 제2, 또는 제3 밸브(52)(56)(58)(또는 추가적인 밸브)를 수용할 수 있거나 혹은 그 주위에서 일체형 도관 본체(41)로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를 보면, 도 2a 및 도 2b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제1, 제2, 또는 제3 밸브(52)(56)(58)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같이 유체 흐름(8)을 조절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밸브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위의 내용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스프링-장착된 볼 체크 밸브(63)(도 3c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94)를 가진 플래퍼 밸브(64)(도 3b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트 및 배열 가능하게 변형될 수 있는 원형 립(65)을 가진 스프링-장착된 밸브(도 3a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엄브렐라 밸브(66)(도 3d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덕빌 밸브(67)(도 3e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혹은 사전-선택된 범위에서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밀폐 상태(68)와 개방 상태(69)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는 그 외의 다른 밸브(61)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각각의 제1, 제2, 또는 제3 밸브(52)(56)(58)는 역방향 흐름(backward flow)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체가 새지 않으며 전진방향 유체 흐름(8)에 대해서는 밸브(61)의 맞은편에서 약 50 킬로파스칼 압력차 진폭(59)까지 실질적으로 유체가 새지 않는 밀폐 상태(68), 및 초당 약 0.2 밀리리터 내지 초당 약 20 밀리리터의 범위에서 전진방향 흐름을 가질 수 있는 개방 상태(69)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밸브(61)의 개방 상태(69)에서 전진방향 유체 흐름(8) 또는 밸브(61)의 맞은편 사이에서의 압력차(9)는 밸브(61)의 형상, 매니폴드 유체 흐름 통로(62)의 제한되지 않은 횡단면,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기술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예들이 최대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의 압력차 진폭(59)을 생성할 수 있지만, 이 예들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모든 실시예들이 반드시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 사이의 상기 압력차 진폭(59)을 구현한다는 기술하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반대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 징후, 예를 들어 신경학상으로-중재된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 예를 들어, 두개 안면부 통증 증후군 또는 두통 증후군을 치료하는 효과에 따른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 사이의 압력차(9)를 구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11a 내지 도 12d를 보면, 특정 실시예들로서, 밸브(61)가 압력 릴리프 요소(7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폐 상태(68)와 개방 상태(69) 사이의 밸브(61)의 수동 작동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시예로서, 압력 릴리프 요소(70)는,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 또는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으로부터 이든지 간에,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압력 릴리프 요소(70)는 사전-선택된 임계 외이도 압력(10)에 도달하거나 혹은 이를 초과할 때 유체 용적(12)이 밸브형 도관(5)의 한 부분으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배출되거나 혹은 주위 압력(11)으로부터 밸브형 도관(5)의 한 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끼치는 불편의 위험을 줄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압력 릴리프 요소(70)는 사용자(23)에 의해 그립 결합(gripping engagement)할 수 있도록 도관 본체(41)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충분한 거리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압력 릴리프 요소(70)는 압축 결합(pressing engagement) 시에 구부러져서(flex) 밸브(61)를 개방 상태(69)에 배열할 수 있는 도관 본체(41)의 탄성적인 가요성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압력 릴리프 요소(70)의 결합해제(disengagement) 시에, 밸브(61)는 밀폐 상태(68)로 돌아갈 수 있다.
다시, 도 5, 도 6, 및 도 11a 내지 도 12d를 보면,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2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1)가 제2 밸브(56)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가 제3 밸브(58)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및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1)(72)는 각각 제2 또는 제3 유체 흐름 도관(55)(57) 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도록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제, 도 11a 내지 도 12d를 보면,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주위 압력(11)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는 외이도 압력(10)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 징후를 완화시키거나 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를 치료하기에 효과적인 크기의 외이도 압력(10), 혹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한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압력 조절 프로파일(73) 내에 구현된 가장 큰 크기의 외이도 압력(10)은 주위 압력(11)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서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사용자(23)에게 불편을 끼칠 수 있는 외이도 압력(10)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외이도 압력(10)이 변경되어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사용자(23)에 불편을 끼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일반적인 실시예들은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 또는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보다 더 크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는 없다.
이제, 도 2a, 도 5, 및 도 11a 내지 도 11d를 보면,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10)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밸브형 도관(5)은 제1 형상(45)에서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에 결합되며 유체 흐름(8)을 제1 유체 흐름 도관(5)에서 제1 방향(47)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축방향 이어폰 보어(4)으로부터 외이도(6)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어폰(3)의 이어폰 외측 표면(7)은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체 흐름 생성기(2)의 작동은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에 일정량의 유체(74)를 압축시킬 수 있다.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은 용적-조절식 요소(13)의 내부 용적(19)을 줄이도록 변형되어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에 일정량의 유체(74)를 압축시켜 제2 밸브(56)와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에서 압력차(9)를 생성할 수 있다. 배럴(28) 내에서 왕복 작동되는 피스톤(27)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피스톤(27)은 배럴 내부 용적을 줄이도록 배럴(28) 내에서 왕복 운동하며, 따라서, 제2 밸브(56)와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에서 압력차(9)를 생성할 수 있다. 유체 흐름 생성기(2)의 형상에 상관없이,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의 압력차(9)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이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 내의 유체 압력(75)보다 더 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압력차(9)는 제1 밸브(52)의 개방 상태(69)를 생성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제2 밸브(56)의 맞은편 사이의 압력차(9)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이 제2 밸브(56)의 밀폐 상태(68)를 생성하기에 충분할 수 있도록 주위 압력(11)보다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밸브(56)의 밀폐 상태(68)와 제1 밸브(52)의 개방 상태(69)는, 유체 흐름(8)이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에서 제1 방향(47)으로 흘러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통해 이어폰 제2 단부(29)로부터 외이도(6)로 배출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이도 압력(10)이 증가되어 주위 압력(11)보다 더 크게 된다.
도 1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체 흐름 생성기(2)의 연속 작동은, 추가로, 예를 들어, 용적-조절식 요소(13)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이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수 있게 함으로써, 제2 밸브(56)와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에서 압력차(9)를 줄이도록 작용할 수 있다.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의 압력차(9)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이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 내의 유체 압력(75)보다 더 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차(9)는 제1 밸브(52)의 밀폐 상태(68)를 생성하기에 충분하여,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의 유체 흐름(8)이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흐르는 것이 중단되며, 이에 따라 상응하게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의 압력차(9)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1c를 보면,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은 제2 밸브(56)의 맞은편 사이에서 압력차(9)를 생성하여,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이 제2 밸브(56)의 개방 상태(69)를 생성하기에 충분할 수 있도록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제2 유체 흐름 도관(55)을 통해 유체 흐름 생성기(2)로 유체 흐름(8)이 생성될 수 있다. 용적-조절식 요소(13)를 가진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의 유체 흐름(8)은 내부 용적(19)을 증가시킴으로써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이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가게 할 수 있다. 배럴(28) 내에서 왕복 작동되는 피스톤(27)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제2 유체 흐름 도관(55)을 통해 유체 흐름 생성기(2)로의 유체 흐름(8)은 피스톤(27)이 배럴(28) 내의 한 위치로 돌아갈 수 있게 하여 배럴 내부 용적을 증가시킨다.
이제, 도 11d를 보면, 밀폐 상태(68) 에서의 제3 밸브(58)는 제3 유체 흐름 도관(57) 내의 유체 흐름(8)이 실질적으로 새지 않게 하여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 최대 약 50 킬로파스칼 압력차 진폭(59)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원하는 외이도 압력(10)을 주위 압력(11)보다 더 크게 구현하도록 작동될 수 있거나 사전-선택된 외이도 압력(10)을 주위 압력(11)보다 더 크게 구현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데, 이를 초과하면 제3 밸브(58)가 개방 상태(69)가 되어 외이도 압력(10)으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의 유체 흐름(8)이 원하는 또는 사전-선택된 외이도 압력(10)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5 및 도 11d를 보면, 제3 밸브(58)는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개방 상태(69)와 밀폐 상태(68) 사이에서 제3 밸브(58)가 수동 작동될 수 있게 하여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기 용이하게 구성된다.
이제, 도 2b, 도 6, 및 도 12a 내지 도 12d를 보면,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을 수 있는 외이도 압력(10)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형 도관(5)는 제2 형상(46)에서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에 결합되어, 유체 흐름(8)을 제1 유체 흐름 도관(48)에서 제2 방향(48)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축방향 이어폰 보어(4)가 외이도(6)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어폰(3)의 이어폰 외측 표면(7)은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외이도(6)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체 흐름 생성기(2)의 작동은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에 일정량의 유체(74)를 압축시킬 수 있다.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은 용적-조절식 요소(13)의 내부 용적(19)을 줄이도록 변형되어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에 일정량의 유체(74)를 압축시켜 제2 밸브(56)와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에서 압력차(9)를 생성할 수 있다. 배럴(28) 내에서 왕복 작동되는 피스톤(27)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피스톤(27)은 배럴 내부 용적을 줄이도록 배럴(28) 내에서 왕복 운동하며, 따라서, 제2 밸브(56)와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에서 압력차(9)를 생성할 수 있다. 유체 흐름 생성기(2)의 형상에 상관없이,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의 압력차(9)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이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 내의 유체 압력(75)보다 더 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압력차(9)는 제1 밸브(52)의 밀폐 상태(68)를 생성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제2 밸브(56)의 맞은편 사이의 압력차(9)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이 제2 밸브(56)의 개방 상태(69)를 생성하기에 충분할 수 있도록 주위 압력(11)보다 더 크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에서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흐르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1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체 흐름 생성기(2)의 연속 작동은, 추가로, 예를 들어, 용적-조절식 요소(13)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이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수 있게 함으로써, 제2 밸브(56)와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에서 압력차(9)를 줄이도록 작용할 수 있다. 제1 밸브(52)의 맞은편 사이의 압력차(9)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이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 내의 유체 압력(75)보다 더 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차(9)는 제1 밸브(52)의 개방 상태(69)를 생성하기에 충분하여, 유체 흐름(8)이 외이도(6)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흐를 수 있게 하여, 외이도 압력(10)을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게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2c를 보면,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이 연속으로 감소되면, 제2 밸브(56)의 맞은편 사이의 압력차(9)를 생성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내의 유체 압력(75)이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을 수 있어서 제2 밸브(56)의 밀폐 상태(68)를 생성하기에 충분하며, 따라서,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의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흐르는 것이 중단되어 이에 상응하게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의 압력차(9)를 유지할 수 있다.
용적-조절식 요소(13)를 가진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유체 흐름(8)이 외이도(6)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흐르면,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은 내부 용적(19)을 증가시킴으로써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가게 할 수 있다. 배럴(28) 내에서 왕복 작동되는 피스톤(27)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외이도(6)로부터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을 통해 유체 흐름 생성기(2)로 흐르는 유체 흐름(8)은 피스톤(27)이 배럴 내부 용적을 증가시키도록 배럴(28) 내의 한 위치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12d를 보면, 밀폐 상태(68)에 있는 제3 밸브(58)는 제3 유체 흐름 도관(57) 내의 유체 흐름(8)이 실질적으로 새지 않게 하여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 최대 약 50 킬로파스칼 압력차 진폭(59)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원하는 외이도 압력(10)을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게 구현하도록 작동될 수 있거나 사전-선택된 외이도 압력(10)을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게 구현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데, 이를 초과하면 제3 밸브(58)가 개방 상태(69)가 되어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외이도(6)로의 유체 흐름(8)이 원하는 또는 사전-선택된 외이도 압력(10)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6 및 도 12d를 보면, 제3 밸브(58)는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개방 상태(69)와 밀폐 상태(68) 사이에서 제3 밸브(58)가 수동 작동될 수 있게 하여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기 용이하게 구성된다.
이제, 도 13a 내지 도 13f를 보면,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가 벽 내측 표면(18)과 벽 외측 표면(17)을 가진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을 가진 막(15)으로서 구성된 유체 흐름 생성기(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벽 내측 표면(18)은 내부 용적(19)을 형성한다(밸브형 도관(5)과의 조립체로서 부분적이거나 전체적이든 간에). 변형된 상태(20)에 있는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은 내부 용적(19)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변형된 상태(21)로 가면 내부 용적(19)이 증가될 수 있다. 내부 용적(19)의 변화는 밸브형 도관(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3a 내지 도 13f를 보면,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 유체 결합된 밸브형 도관(5)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1, 제2, 및 제3 유체 흐름 도관(49)(55)(57) 및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가진 이어폰(3)은 제1, 제2, 및 제3 밸브(52)(56)(58) 및 유체 흐름 생성기(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을 가진 도관 본체(4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1 및 제2 밸브(52)(56)는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제1 및 제2 유체 흐름 도관(49)(55) 사이에서 중단되어, 유체 흐름(8)이 제1 및 제2 유체 흐름 도관(49)(55) 내에서 일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및 제2 유체 흐름 도관(49)(55) 및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제1 밸브 조립체(83)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3 밸브(58)는 제2 밸브 조립체(84)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밸브 조립체(84)는 유체 흐름(8)이 주위 압력(11)과 제3 유체 흐름 도관(57) 사이에서 중단되어, 제3 유체 흐름 도관(57) 내의 유체 흐름(8)이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 사이에서 소통되는 제3 유체 흐름 도관(57)에 유체 결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제1 및 제2 밸브 조립체(83)(84)는 일체형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 제1 밸브 조립체(83), 및 제2 밸브 조립체(84)는 도관 본체(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는 복수의 부분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1 밸브 조립체(83) 내에 포함된 제1 및 제2 밸브(52)(56)는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임의의 타입의 밸브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전-선택된 범위에서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개방 상태(69)와 밀폐 상태(68)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다. 한 예시예로서, 제1 밸브 조립체(83)에 포함된 제1 및 제2 밸브(52)(56)는 둘 다 반대 형상을 가진 힌지(94)를 가진 플래퍼 밸브(64)로서 구성될 수 있다(도 3b, 및 도 13c 내지 도 13f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2 밸브 조립체(84)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2 밸브 조립체(84)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환형 부재(85) 및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환형 부재(85)를 변형시킬 수 있는 변형 부재(86)로서 구성된 압력 릴리프 요소(7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환형 부재(85)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도관 내측 표면(88)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 표면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는 환형 부재 외측 표면(87)을 가질 수 있다.
환형 부재 내측 표면 (90) 및 환형 부재 외측 표면(87) 사이에서 소통되는 환형 부재 구멍 요소(89)가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으며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제1 유체 흐름 도관(49) 사이에 관통홀(91)을 형성할 수 있다. 변형 부재(86)는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 사이에서 소통되는 제3 유체 흐름 도관(57)을 통해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형 부재 제1 단부(92)가 제3 유체 흐름 도관(57)과 도관 본체(41)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변형 부재 제2 단부(93)는 환형 부재 외측 표면(87)과 변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변형 부재 제1 단부(92)의 그립 결합 시에, 변형 부재(86)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환형 부재(85)가 변형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환형 부재(85)로 밀어서, 이에 따라 환형 부재 외측 표면(87)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도관 내측 표면(88)으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이에 따라 제3 밸브(58)가 개방 상태(69)에 위치되어 유체 흐름(8)이 축방향 이어폰 보어(4), 제1 및 제3 유체 흐름 도관(49)(57), 및 주위 압력(11) 사이에서 흐를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개방 상태(69)에 있는 제3 밸브(58)는 외이도 압력(10)이,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보다 더 크든지 또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든지 간에,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게 하기 위해 외이도(6)와 주위 압력(11) 사이에 유체 흐름(8)을 생성한다.
유체 흐름 생성기(2), 제1 밸브 조립체(83), 및 제2 밸브 조립체(84)는 제1 형상 (45) 또는 제2 형상(46) 중 한 형상으로 도관 본체(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밸브 조립체(84), 제1 밸브 조립체(83), 유체 흐름 생성기(2), 및 도관 본체(41)의 탈착 결합가능한 표면(44)은, 밸브형 도관(5)이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하도록 작동되는지(도 13e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또는 밸브형 도관(5)이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하도록 작동되는지(도 13f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에 따라, 도관 본체(41)가 유체 흐름 생성기(2), 제1 밸브 조립체(83), 및 제2 밸브 조립체(84)를 제1 형상(45) 또는 제2 형상(46) 중 한 형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히 비슷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2 밸브 조립체(84), 제1 밸브 조립체(83), 유체 흐름 생성기(2), 및 도관 본체(41)의 탈착 결합가능한 표면(44)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matably engage).
본 명세서에 기술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들로서, 제1 및 제2 밸브(52)(56)는 상응하는 제1 및 제2 유체 흐름 도관(49)(55)에 유체 결합되어, 도관 본체(41)가 제1 형상(45) 또는 제2 형상(46)에 위치될 수 있는지 간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 유체 흐름 도관(49)(55) 내에서 유체 흐름(8)이 중단된다.
이제, 도 13e를 보면, 한 예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 제1 밸브 조립체(83), 및 도관 본체(41)는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제1 밸브 조립체(83)를 도관 본체(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제1 형상(45)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형상(45)에서, 제1 밸브(52)는 유체 흐름(8)을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일방향으로 조절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데, 제1 밸브(52)가 개방 상태(69)에 있게 되면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 흐를 수 있게 하고, 밀폐 상태(68)에서는,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축방향 이어폰 보어(4) 사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용적(19)을 줄이기 위해 막(15)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을 변형시킴으로써 생성된 유체 흐름(8)은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제1 방향(47)으로 조절되어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외이도(6)로 배출될 수 있게 하며,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할 수 있다. 외이도 압력(10)과 주위 압력(11) 사이에서 원하는 압력차(9)를 구현할 때, 막(15)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은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수 있게 하여, 제1 밸브(52)를 밀폐하고 유체 흐름(8)이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는 압력차(9)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형상(45)에서, 제2 밸브(56)는 유체 흐름(8)을 제2 유체 흐름 도관(55)에서 일방향으로 조절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데, 제2 밸브(56)가 개방 상태(69)에 있게 되면 유체 흐름(8)이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흐를 수 있게 하고, 밀폐 상태(68)에서는,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주위 압력(11) 사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용적(19)을 증가시키기 위해 막(15)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이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때 생성된 유체 흐름(8)은 제2 유체 흐름 도관(55)에서 조절되어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유입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서 원하는 압력차(9)를 유지하면서도 막(15)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이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 제1 밸브 조립체(83), 및 도관 본체(41)는 제1 형상(45)에서 제2 밸브 조립체(8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밸브 조립체(84)는 제3 밸브(58)가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 사이에서 소통하는 제3 유체 흐름 도관(57)에 유체 결합되어 제3 유체 흐름 도관(57)에서 유체 흐름(8)을 제1 유체 흐름 도관(49)과 주위 압력(11)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제3 밸브(58)가 개방 상태(69)에 있게 되면 유체 흐름(8)이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제1 및 제3 유체 흐름 도관(49)(57)을 통해 주위 압력(11)으로 흐를 수 있게 하고, 밀폐 상태(68)에서는, 유체 흐름(8)이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주위 압력(11) 사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 상태(69)에 있는 제3 밸브(58)는 외이도(6)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흐르는 유체 흐름(8)을 생성시켜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 제1 밸브 조립체(83), 및 제2 밸브 조립체(84)는 도관 본체(41)로부터 제거되어 제1 형상(45)을 분해할(disassemble) 수 있다. 제1 밸브 조립체(83)는 회전되어 임의의 구조적 변경 없이도 제1 밸브 조립체(83)가 도관 본체(41)에 대해 반대로 배열될(reverse orientation)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제2 형상(46)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도 13f를 보면, 한 예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 제1 밸브 조립체(83), 및 도관 본체(41)는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제2 형상(46)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형상(46)에서, 제2 밸브(56)는 유체 흐름(8)을 제2 유체 흐름 도관(55)에서 일방향으로 조절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데, 제2 밸브(56)가 개방 상태(69)에 있게 되면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흐를 수 있게 하고, 밀폐 상태(68)에서는,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주위 압력(11) 사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용적(19)을 줄이기 위해 막(15)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을 변형시킴으로써 생성된 유체 흐름(8)은 제2 유체 흐름 도관(55)에서 조절되어 제2 유체 흐름 도관(55)으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막(15)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은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여, 제2 밸브(56)를 밀폐하고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주위 압력(11) 사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2 형상(46)에서, 제1 밸브(52)는 유체 흐름(8)을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일방향으로 조절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데, 제1 밸브(52)가 개방 상태(69)에 있게 되면 유체 흐름(8)이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흐를 수 있게 하고, 밀폐 상태(68)에서는, 유체 흐름(8)이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축방향 이어폰 보어(4) 사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용적(19)을 증가시키기 위해 막(15)의 탄성적인 가요성 벽(16)이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때 생성된 유체 흐름(8)은 제1 유체 흐름 도관(56)에서 제2 방향(48)으로 조절되어 외이도(6)로부터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통해 유체 흐름 생성기(2)로 유입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은 외이도 압력(10)을 가진 압력차(9)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서 원하는 압력차(9)를 구현하면, 제1 밸브(52)는 밀폐 상태(68)로 돌아갈 수 있어서, 유체 흐름(8)이 축방향 이어폰 보어(4)과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외이도 압력(10)과 주위 압력(11) 사이에 원하는 압력차(9)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 제1 밸브 조립체(83), 및 도관 본체(41)는, 제2 형상(46)에서 제2 밸브 조립체(8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밸브 조립체(84)는 제3 밸브(58)가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 사이에서 소통하는 제3 유체 흐름 도관(57)에 유체 결합되어 제3 유체 흐름 도관(57)에서 유체 흐름(8)을 제1 유체 흐름 도관(49)과 주위 압력(11)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제3 밸브(58)가 개방 상태(69)에 있게 되면 유체 흐름(8)이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제3 및 제1 유체 흐름 도관(57)(49)을 통해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 흐를 수 있게 하고, 밀폐 상태(68)에서는, 유체 흐름(8)이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주위 압력(11) 사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 상태(69)에 있는 제3 밸브(58)는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외이도(6)로 흐르는 유체 흐름(8)을 생성시켜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14a 내지 도 15g를 보면,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실시예들의 작동에 의해 시간 주기(76)에 걸쳐 구현된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의 압력차(9)가 도시된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포함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2)가 비-변형된 상태(21)로부터 변형된 상태(20)로 작동되어 제1 방향(47)에서 유체 흐름(8)이 생성되며 시간 주기(76)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외이도(6)로 배출될 수 있게 되어, 그에 따라 주위 압력(11)에 대해 양의(positive) 외이도 압력(10)이 생성된다(도 14a 내지 도 14g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포함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2)가 변형된 상태(20)로부터 비-변형된 상태(21)로 작동되어 제2 방향(48)에서 유체 흐름(8)이 생성되며 시간 주기(76)에 걸쳐 외이도(6)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유입될 수 있게 되어, 그에 따라 주위 압력(11)에 대해 음의(negative) 외이도 압력(10)이 생성된다(도 15a 내지 도 15g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제, 도 14a 및 도 15a를 보면,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시간 주기(76)에 걸쳐 일정한 압력 진폭(77)을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일정한 압력 진폭(77)은 유체 용적(12)의 유체 흐름(8) 없이도 시간 주기(76)에 걸쳐 실질적으로 외이도(6) 내에 유지될 수 있다. 한 예시예로서, 위에 기술된 것과 같이,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폰 외측 표면(7)을 가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유체 흐름 생성기(2)를 조작함으로써(manipulating),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외이도(6)로부터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통해 흐르는 유체 용적(12)의 유체 흐름(8)을 생성시켜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의 압력차(9)를 구현시킬 수 있다. 일단, 외이도 압력(10)과 주위 압력(11) 사이에 원하는 압력차(9)가 구현되고 나면, 압력 진폭(77)은 유체 용적(12)의 추가적인 유체 흐름(8) 없이도, 예를 들어, 유체 용적(12)이 오직 외이도(6)로부터 배출되거나 유입될 수 있도록 유체 용적(12)의 유체 흐름(8)이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을 통해 일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구성된 제1 밸브(52)의 작동에 의해, 시간 주기(76)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10)과 주위 압력(11) 사이에 원하는 압력차(9)가 구현되고 나면, 압력 진폭(77)은, 외이도(6)로 유입되거나 외이도(6)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용적(12)의 추가적인 유체 흐름(8)에 의해 외이도(6)와 이어폰 외측 표면(7)의 결합으로 인한 누출(leakage)을 상쇄(offset)함으로써, 시간 주기(76)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로서, 압력 진폭(77)은 유체 용적(12)의 연속적인 유체 흐름(8)에 의해 시간 주기(76) 동안 외이도(6)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일정한 압력 진폭(77)은 시간 주기(76)에 걸쳐 유지될 수 있어서 장애 징후를 완화시키거나 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를 치료하고, 이에 따라 일정한 압력 진폭(77)은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 내지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주위 압력(11)에 대한 양의 외이도 압력(10)은 일정한 압력 진폭(77)을 약 0 킬로파스칼 내지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의 범위에 유지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주위 압력(11)에 대한 음의 외이도 압력(10)은 일정한 압력 진폭(77)을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 내지 약 0 킬로파스칼 사이의 범위에 유지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 14b 내지 도 14g 및 도 15b 내지 도 15g를 보면,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압력파 진폭(77)과 압력파 주파수(79)를 포함하는 압력파(78)를 가진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기 위해 반복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포함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2)가 비-변형된 상태(21)로부터 변형된 상태(20)로 작동되어 시간 주기(76)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외이도(6)로 배출되는 유체 흐름(8)이 생성되며, 유체 흐름(8)이 압력파 진폭(77)과 압력파 주파수(79)를 포함하는 압력파(78)를 가지고 이에 따라 주위 압력(11)에 대해 양의 외이도 압력(10)이 생성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도 14b 내지 도 14g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용적-조절식 요소(13)를 포함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2)가 변형된 상태(20)로부터 비-변형된 상태(21)로 작동되어 시간 주기(76)에 걸쳐 외이도(6)로부터 유체 흐름 생성기(2)로 유입되는 유체 흐름(8)이 생성되며, 유체 흐름(8)이 압력파 진폭(77)과 압력파 주파수(79)를 포함하는 압력파(78)를 가지고 이에 따라 주위 압력(11)에 대해 음의 외이도 압력(10)이 생성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도 15b 내지 도 15g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시, 도 14a 내지 도 16g를 보면, 유체 흐름 생성기(2)는 보통 0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 범위에 있는 압력파 주파수(79)와 위에 기술된 것과 같이 압력파 진폭(77)을 포함하는 압력파(78)를 가진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기 위해 반복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하지만, 실시예들은 적용분야에 따라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은 압력파 주파수(79)를 가질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력파 주파수(79)는: 0 헤르츠 내지 약 1 헤르츠 사이, 약 0.5 헤르츠 내지 약 1.5 헤르츠 사이, 약 1 헤르츠 내지 약 2 헤르츠 사이, 약 1.5 헤르츠 내지 약 2.5 헤르츠 사이, 약 2 헤르츠 내지 약 3 헤르츠 사이, 약 2.5 헤르츠 내지 약 3.5 헤르츠 사이, 약 3 헤르츠 내지 약 4 헤르츠 사이, 약 3.5 헤르츠 내지 약 4.5 헤르츠 사이, 약 4 헤르츠 내지 약 5 헤르츠 사이, 약 4.5 헤르츠 내지 약 5.5 헤르츠 사이, 약 5 헤르츠 내지 약 6 헤르츠 사이, 약 5.5 헤르츠 내지 약 6.5 헤르츠 사이, 약 6 헤르츠 내지 약 7 헤르츠 사이, 약 6.5 헤르츠 내지 약 7.5 헤르츠 사이, 약 7 헤르츠 내지 약 8 헤르츠 사이, 약 7.5 헤르츠 내지 약 8.5 헤르츠 사이, 약 8 헤르츠 내지 약 9 헤르츠 사이, 약 8.5 헤르츠 내지 약 9.5 헤르츠 사이, 및 약 9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력파 주파수(79)는 사용 방법에 따라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로 생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사용 방법은 여러 요인, 가령, 사용자(23) 해부학적 구조, 생리학, 또는 이도(24)의 생화학; 경감을 위한 표적 장애 징후; 치료를 위한 표적 장애;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를 사용하는 특정 방법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력파 주파수(79)를 사용하는 데 있어 가시적 효과(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추가로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사용자(23)에 불편을 끼칠 정도는 아니다.
압력파(78)는 0 킬로파스칼 내지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의 범위에 있는(도 14b 내지 도 14g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직 양의 압력 진폭(77) 내의 원하는 압력파 주파수(79)로 진동할(oscillate)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게, 예를 들어, 장애 징후를 완화시키거나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주위 압력(11)에 대해 외이도 압력(10)을 증가시킴으로써 주위 압력(11)에 대해 양의 외이도 압력(10)을 생성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압력파(78)는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 내지 0 킬로파스칼 사이의 범위에 있는(도 15b 내지 도 15g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직 음의 압력 진폭(77) 내의 원하는 압력파 주파수(79)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게, 예를 들어, 장애 징후를 완화시키거나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주위 압력(11)에 대해 외이도 압력(10)을 줄임으로써 주위 압력(11)에 대해 음의 외이도 압력(10)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4b 내지 도 15g를 보면, 압력파(78)는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하고 광범위한 파형(waveform)을 가질 수 있는데, 이들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작동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장애 또는 완화될 수 있는 다수의 광범위한 징후들에 상응한다. 예시예들로서, 압력파(78)는 매끄럽고 반복적인 주기 진동(도 14b 및 도 15b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을 가진 사인파, 압력 진폭(77)이 고정된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일정한 주파수에서 교류하는(alternate) 구형파(square wave), 방형파(rectangular wave), 압력파(78)의 정점(apex)이 시간 주기(76)에 걸쳐 일정한 압력 진폭(770을 가지는 사다리꼴 파(trapezoidal wave) 또는 절두형파(truncated wave)(도 14c, 도 15c, 도 14f, 및 도 15f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형 리딩 에지 및 트레일링 에지를 가진 삼각형파(도 14d 및 도 15d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레일링 에지가 압력 진폭(77)을 변경시키는 시간 주기(76)보다 더 큰 시간 주기(76)에 걸쳐 리딩 에지가 압력 진폭(77)을 변경시키는 톱니형파(도 15e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레일링 에지가 압력 진폭(77)을 변경시키는 시간 주기(76)보다 더 작은 시간 주기(76)에 걸쳐 리딩 에지가 압력 진폭(77)을 변경시키는 리버스 톱니형파(도 15e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또는 이들의 조합(도 14g 및 도15g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 및 제3 밸브(58)에 결합된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압력파 진폭(77)과 압력파 주파수(79)를 포함하는 압력파(78)를 가진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기 위해 교대로 반복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제, 도 14a 내지 도 14g를 보면, 주위 압력(11)에 대해 양의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기 위해(도 2a, 도 5, 및 도 11a 내지 도 11d의 예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실시예들의 작동에 의해 시간 주기(76)에 걸쳐 구현된, 외이도 압력(10)과 주위 압력(11) 사이의 압력차(9)를 보여준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는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서 약 50 킬로파스칼의 압력차 진폭(59)까지 제3 유체 흐름 도관(57) 내에서 실질적으로 유체 흐름(8)이 새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제3 밸브(58)를 포함한다. 하지만, 최대 +50 킬로파스칼까지 사전-선택된 주위 압력(11)에 대해 양의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킬 수 있는 실시예들에만 제한될 필요는 없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은,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사용자(23)에 불편을 끼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아닌 한, 주위 압력(11)보다 더 큰 임의의 크기가 될 수 있는 주위 압력(11)에 대해 양의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제, 도 14a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10)은 시간 주기(76) 동안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에 유지될 수 있다. 시간 주기(76)가 경과되고 난 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반복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이제, 도 14b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압력파(78)는 매끄럽고 반복적인 주기 진동을 가진 사인파일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pulsatile change)를 조절하기(administer)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14d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압력파(78)는 선형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를 가진 삼각형파일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14e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압력파(78)는 트레일링 에지가 압력을 변화시키는 시간 주기보다 더 큰 시간 주기에 걸쳐 리딩 에지가 압력 진폭(77)을 변화시키는 톱니형파일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14c 및 도 14f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10)은 시간 주기(76) 동안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에 유지될 수 있다. 시간 주기(76)가 경과되고 난 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14g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일련의 증분 압력 증가(incremental pressure increase)에 있어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증가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각각의 일련의 증분 압력 증가는 외이도 압력(10)을 주위 압력(11) 위로 약 10 킬로파스칼 내지 약 15 킬로파스칼 만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외이도 압력(10) 내에서 각각의 증분 압력 증가는 시간 주기(76)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주위 압력(11) 위로 약 +50 킬로파스칼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구현하고 시간 주기(76)가 경과되고 난 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15a 내지 도 15g를 보면, 주위 압력(11)에 대해 음의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기 위해(도 2b, 도 6, 및 도 12a 내지 도 12d의 예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실시예들의 작동에 의해 시간 주기(76)에 걸쳐 구현된, 외이도 압력(10)과 주위 압력(11) 사이의 압력차(9)를 보여준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는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서(각각의 그래프에서 0의 압력 진폭(77)을 가진 상태로 표시됨) 약 50 킬로파스칼의 압력차 진폭(59)까지 제3 유체 흐름 도관(57) 내에서 실질적으로 유체 흐름(8)이 새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제3 밸브(58)를 포함한다. 하지만, 최대 -50 킬로파스칼까지 사전-선택된 주위 압력(11)에 대해 음의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킬 수 있는 실시예들에만 제한될 필요는 없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은, 고막(25) 또는 이도(24)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사용자(23)에 불편을 끼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아닌 한,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은 임의의 크기가 될 수 있는 주위 압력(11)에 대해 음의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제, 도 15a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10)은 시간 주기(76) 동안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에 유지될 수 있다. 시간 주기(76)가 경과되고 난 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반복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이제, 도 15b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압력파(78)는 매끄럽고 반복적인 주기 진동을 가진 사인파일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15d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압력파(78)는 선형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를 가진 삼각형파일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15e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압력파(78)는 트레일링 에지가 압력을 변화시키는 시간 주기보다 더 작은 시간 주기에 걸쳐 리딩 에지가 압력 진폭(77)을 변화시키는 리버스 톱니형파일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15c 및 도 15f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까지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생성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10)은 시간 주기(76) 동안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에 유지될 수 있다. 시간 주기(76)가 경과되고 난 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15g를 보면, 특정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생성기(2)는 일련의 증분 압력 감소(incremental pressure decrease)에 있어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가진 외이도 압력(10)을 감소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각각의 일련의 증분 압력 감소는 외이도 압력(10)을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10 킬로파스칼 내지 약 -15 킬로파스칼 만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이도 압력(10) 내에서 각각의 증분 압력 감소는 시간 주기(76) 동안 유지된다. 주위 압력(11) 아래로 약 -50 킬로파스칼의 최대 압력 진폭(77)을 구현하고 시간 주기(76)가 경과되고 난 뒤,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외이도 압력(10)에서 박동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하우징 내측 표면을 가진 하우징(8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어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구성요소(component)들이 수용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중공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하우징(80)은 귀(35)의 외이 영역(concha area)(82)을 채우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전체적이거나 혹은 부분적이든지 간에, 이도(24)의 외부 방향으로 임의의 실질적인 거리만큼 연장하지 않고도, 불연속적이며 간섭 없는(unobtrusive) 휴대 형상(portable configuration)을 제공할 수 있어서, 발생 시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 징후, 예를 들어 신경학상으로-중재된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애, 예를 들어, 두개 안면부 통증 증후군 또는 두통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유체 흐름 생성기(2)가 통상 공기의 유체 흐름(8)을 외이도(6)로 전달하여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 압력차(9)를 구현하지만,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에 의해 외이도(6)에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유체에 대해서만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시예들로서, 이러한 광범위한 유체는: 순수 기체, 가령, 산소, 질소, 아르곤,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부분적인 압력의 가스 혼합물; 액체, 가령, 물, 오일, 알콜,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구성요소들 사이, 외이도(6)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구성요소들 사이, 또는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유체 용적(12)의 전달 또는 유체 흐름(8)은,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간략성을 위하여,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기술되었지만, 유체 용적(12)의 전달 또는 유체 흐름(8)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매니폴드 유체 흐름 통로(62) 내의 모든 지점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외이도(6)로 전달되는 유체 용적(12)은 유체 흐름 통로(62), 가령, 유체 흐름 생성기(2),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1 단부(50),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제1 밸브(52),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2 단부(51), 이어폰 제1 단부(31), 축방향 이어폰 보어(4), 이어폰 제2 단부(29), 및 외이도(6)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유체 흐름(8)을 생성할 수 있는 유체 흐름 생성기(2)를 제공하는 단계; 유체 흐름 생성기(2)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밸브형 도관(5)을 제공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밸브형 도관(5)은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을 가지며: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을 중단할 수 있는 제1 밸브(52)를 제공하여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에서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이어폰(3)의 이어폰 제2 단부(32)와 이어폰 제1 단부(31)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4)는 유체 흐름 생성기(2)의 맞은편에 있는 밸브형 도관(5)에 유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어폰(3)은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서 배리어(barrier)로서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순응형(compliant) 이어폰 외측 표면(7)을 가진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0 밀리리터 내지 약 20 밀리리터 사이 범위에 있는 유체 용적(12)을 가진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유체 흐름 생성기(2)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유체 용적(12)은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12)을 가질 수 있는데: 0 밀리리터 내지 약 2 밀리리터 사이, 약 1 밀리리터 내지 약 3 밀리리터 사이, 약 2 밀리리터 내지 약 4 밀리리터 사이, 약 3 밀리리터 내지 약 5 밀리리터 사이, 약 4 밀리리터 내지 약 6 밀리리터 사이, 약 5 밀리리터 내지 약 7 밀리리터 사이, 약 6 밀리리터 내지 약 8 밀리리터 사이, 약 7 밀리리터 내지 약 9 밀리리터 사이, 약 8 밀리리터 내지 약 10 밀리리터 사이, 약 9 밀리리터 내지 약 11 밀리리터 사이, 약 10 밀리리터 내지 약 12 밀리리터 사이, 약 11 밀리리터 내지 약 13 밀리리터 사이, 약 12 밀리리터 내지 약 14 밀리리터 사이, 약 13 밀리리터 내지 약 15 밀리리터 사이, 약 14 밀리리터 내지 약 16 밀리리터 사이, 약 15 밀리리터 내지 약 17 밀리리터 사이, 약 16 밀리리터 내지 약 18 밀리리터 사이, 약 17 밀리리터 내지 약 19 밀리리터 사이, 및 약 18 밀리리터 내지 약 20 밀리리터 사이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그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이어폰(3)과 유체 흐름 생성기(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5)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상기 제작 방법은 이어폰(3)과 유체 흐름 생성기(2)로 제1 형상(45)에서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5)을 제공하여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제1 방향(47)으로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상기 방법은 이어폰(3)과 유체 흐름 생성기(2)로 제2 형상(46)에서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5)을 제공하여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제2 방향(46)으로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을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1 단부(50)에 근접한 제1 부분(53) 및 제1 유체 흐름 도관 제2 단부(51)에 근접한 제2 부분(54)으로 분리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1 밸브(52)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1 부분(53) 사이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제2 유체 흐름 도관(55)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의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2 유체 흐름 도관(55)을 중단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2 밸브(56)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내부 용적(19)을 가진 용적-조절식 요소(13)로서 구성된 유체 흐름 생성기(2)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용적-조절식 요소(13)는 내부 용적(19)을 감소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의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는 변형된 상태(20)를 가지며, 제1 밸브(52)는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배출되게 한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용적-조절식 요소(13)는 내부 용적(19)을 증가시켜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의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는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수 있으며, 제2 밸브(56)는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용적-조절식 요소(13)로 유입되게 하고, 제1 밸브(52)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의 유체 흐름(8)이 제2 부분(54)으로부터 제1 부분(53)으로 흐르는 것을 중단시킨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내부 용적(19)을 가진 용적-조절식 요소(13)로서 구성된 유체 흐름 생성기(2)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용적-조절식 요소(13)는 내부 용적(19)을 감소시켜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고, 제2 밸브(52)는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제2 유체 흐름 도관(55)으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용적-조절식 요소(13)는 내부 용적(19)을 증가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는 비-변형된 상태(21)로 돌아갈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밸브(52)는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용적-조절식 요소(13)로 유입되게 하고, 제2 밸브(56)는 제2 유체 흐름 도관(55) 내에서 유체 흐름(8)이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제1 부분(53)으로 흐르는 것을 중단시킨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 사이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유체 흐름 도관(57)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유체 흐름 도관(57)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제3 유체 흐름 도관(57) 내에서 유체 흐름(8)을 중단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58)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상기 제작 방법은 유체 흐름(8)을 조절하여 주위 압력(11)으로 배출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58)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유체 흐름(8)을 조절하여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58)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도관(49)의 제2 부분(54) 사이의 압력차(9)가 0 킬로파스칼 내지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의 압력차 진폭(59)을 가진 사전-선택된 압력차(9)를 초과할 때까지, 주위 압력(11)과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의 제2 부분(54) 사이에서 유체 흐름(8)을 중단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58)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전-선택된 압력차 진폭(59)은: 0 킬로파스칼 내지 약 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0 킬로파스칼 사이, 약 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0 킬로파스칼 내지 약 1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0 킬로파스칼 사이, 약 1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0 킬로파스칼 내지 약 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0 킬로파스칼 사이, 약 2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0 킬로파스칼 내지 약 3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0 킬로파스칼 사이, 약 3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40 킬로파스칼 내지 약 45 킬로파스칼 사이, 약 4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7.5 킬로파스칼 사이, 및 약 45 킬로파스칼 내지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그룹 중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제2 밸브(56)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2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1)와 제3 밸브(58)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들은 각각 이에 상응하게 제2 또는 제3 유체 흐름 도관(55)(57) 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도록 수동 작동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제1 형상(45)에서 이어폰(3)과 유체 흐름 생성기(2)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5)을 제공하여 유체 흐름(8)을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제1 방향(47)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배출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상기 제작 방법은 비-변형된 상태(21)로부터 변형된 상태(20)로 작동가능한 용적-조절식 요소(13)로서 구성된 유체 흐름 생성기(2)를 제공하여 시간 주기(76)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흐름(2)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비-변형된 상태(21)로부터 변형된 상태(20)로 반복 작동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유체 흐름 생성기(2)를 제공하여 압력파 진폭(77)과 압력파 주파수(79)를 포함하는 압력파(78)를 가진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압력파 주파수(79)는 0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력파 주파수(79)는: 0 헤르츠 내지 약 1 헤르츠 사이, 약 0.5 헤르츠 내지 약 1.5 헤르츠 사이, 약 1 헤르츠 내지 약 2 헤르츠 사이, 약 1.5 헤르츠 내지 약 2.5 헤르츠 사이, 약 2 헤르츠 내지 약 3 헤르츠 사이, 약 2.5 헤르츠 내지 약 3.5 헤르츠 사이, 약 3 헤르츠 내지 약 4 헤르츠 사이, 약 3.5 헤르츠 내지 약 4.5 헤르츠 사이, 약 4 헤르츠 내지 약 5 헤르츠 사이, 약 4.5 헤르츠 내지 약 5.5 헤르츠 사이, 약 5 헤르츠 내지 약 6 헤르츠 사이, 약 5.5 헤르츠 내지 약 6.5 헤르츠 사이, 약 6 헤르츠 내지 약 7 헤르츠 사이, 약 6.5 헤르츠 내지 약 7.5 헤르츠 사이, 약 7 헤르츠 내지 약 8 헤르츠 사이, 약 7.5 헤르츠 내지 약 8.5 헤르츠 사이, 약 8 헤르츠 내지 약 9 헤르츠 사이, 약 8.5 헤르츠 내지 약 9.5 헤르츠 사이, 및 약 9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제3 밸브(56)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압력파 진폭(77)과 압력파 주파수(79)를 포함하는 압력파(78)를 가진 유체 흐름(2)을 생성시키기 위해 교대로 반복 작동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제2 형상(46)에서 이어폰(3)과 유체 흐름 생성기(2)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5)을 제공하여 유체 흐름(8)을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제2 방향(48)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 유입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상기 제작 방법은 변형된 상태(20)로부터 비-변형된 상태(21)로 작동가능한 용적-조절식 요소(13)로서 구성된 유체 흐름 생성기(2)를 제공하여 시간 주기(76)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4)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흐름(2)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변형된 상태(20)로부터 비-변형된 상태(21)로 반복 작동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유체 흐름 생성기(2)를 제공하여 압력파 진폭(77)과 압력파 주파수(79)를 포함하는 압력파(78)를 가진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압력파 주파수(79)는 0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력파 주파수(79)는: 0 헤르츠 내지 약 1 헤르츠 사이, 약 0.5 헤르츠 내지 약 1.5 헤르츠 사이, 약 1 헤르츠 내지 약 2 헤르츠 사이, 약 1.5 헤르츠 내지 약 2.5 헤르츠 사이, 약 2 헤르츠 내지 약 3 헤르츠 사이, 약 2.5 헤르츠 내지 약 3.5 헤르츠 사이, 약 3 헤르츠 내지 약 4 헤르츠 사이, 약 3.5 헤르츠 내지 약 4.5 헤르츠 사이, 약 4 헤르츠 내지 약 5 헤르츠 사이, 약 4.5 헤르츠 내지 약 5.5 헤르츠 사이, 약 5 헤르츠 내지 약 6 헤르츠 사이, 약 5.5 헤르츠 내지 약 6.5 헤르츠 사이, 약 6 헤르츠 내지 약 7 헤르츠 사이, 약 6.5 헤르츠 내지 약 7.5 헤르츠 사이, 약 7 헤르츠 내지 약 8 헤르츠 사이, 약 7.5 헤르츠 내지 약 8.5 헤르츠 사이, 약 8 헤르츠 내지 약 9 헤르츠 사이, 약 8.5 헤르츠 내지 약 9.5 헤르츠 사이, 및 약 9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제작 방법은 제3 밸브(56)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72)는 압력파 진폭(77)과 압력파 주파수(79)를 포함하는 압력파(78)를 가진 유체 흐름(2)을 생성시키기 위해 교대로 반복 작동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구성요소들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혹은 대안으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상이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 또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구성요소들은, 일체형 또는 복수의 부분들로부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실시예로 조립되거나 혹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실시예로 조립을 위해 복수의 부분들로서 제공된 것으로서, 적용분야에 따라, 광범위한 공정, 가령, 프레스 몰딩, 사출 성형, 생산, 기계가공, 인쇄, 3차원 인쇄,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임의의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구성요소들은 유체 흐름(1)을 생성하고 조절하기에 유용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재료들 중 임의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밸브형 도관(1)은 다양한 엘라스토머 화합물, 플라스틱, 플라스틱-유사 재료,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플리비닐 클로라이드-계 재료, 실리콘-계 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제작될 수 있다.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특정 실시예의 사용 방법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유체 흐름을 생성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2); 유체 흐름 생성기(2)에 유체 결합된 밸브형 도관(5)을 포함하며, 여기서, 밸브형 도관(5)은 제1 밸브(52)에 의해 중단되어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에서 유체 흐름(8)을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를 가지고; 이어폰 제2 단부(29)와 이어폰 제1 단부(31)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가진 이어폰(3)을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4)는 유체 흐름 생성기(2)의 맞은편에 있는 밸브형 도관(5)에 유체 결합되고, 이어폰(3)은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7)을 가지며; 이어폰(3)의 이어폰 외측 표면(7)과 외이도(6)를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 유체 흐름(8)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 압력차(9)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사용 방법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는 유체 흐름(8)을 생성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2); 유체 흐름(8)을 제1 유체 흐름 도관(49) 내에서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1 밸브(52)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제1 유체 흐름 도관(49)을 가진 밸브형 도관(5); 및 이어폰 제2 단부(29)와 이어폰 제1 단부(31)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4)를 가진 이어폰(3)을 포함하며, 여기서, 이어폰(3)은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외이도(6)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7)을 가지며; 밸브형 도관(5)을 제1 형상(45)에서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유체 결합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유체 흐름(8)을 제1 방향(47)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이어폰(3)의 이어폰 외측 표면(7)과 외이도(6)를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 유체 흐름(8)을 제1 방향(47)으로 생성시키는 단계; 및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 압력차(9)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외이도 압력(10)은 주위 압력(11)보다 더 크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사용 방법은 압력 릴리프 요소(70)를 작동시켜 유체 흐름(8)을 외이도(6)로부터 주위 압력(11)으로 생성시켜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상기 사용 방법은 외이도(6)로부터 이어폰(3)의 이어폰 외측 표면(7)을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사용 방법은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제1 형상(45)에 있는 밸브형 도관(5)을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사용 방법은, 제2 형상(46)에 있는 밸브형 도관(5)을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과 유체 흐름 생성기(2)와 유체 결합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유체 흐름(8)을 제2 방향(48)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이어폰(3)의 이어폰 외측 표면(7)과 외이도(6)를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제1 유체 흐름 도관(49)에서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 사이에 유체 흐름(8)을 제2 방향(48)으로 생성시키는 단계; 및 주위 압력(11)과 외이도 압력(10) 사이에 압력차(9)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외이도 압력(10)은 주위 압력(11)보다 더 작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사용 방법은 압력 릴리프 요소(70)를 작동시켜 유체 흐름(8)을 주위 압력(11)으로부터 외이도(6)로 생성시켜 외이도 압력(10)이 주위 압력(11)으로 돌아가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상기 사용 방법은 외이도(6)로부터 이어폰(3)의 이어폰 외측 표면(7)을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로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1)의 사용 방법은 이어폰(3)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4)와 유체 흐름 생성기(2)로부터 제2 형상(46)에 있는 밸브형 도관(5)을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앞에 기술된 것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기본 개념들은 다양한 방법들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및 이러한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를 제작하고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다양하고 많은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 또는 표들에 기술되거나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 또는 요소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본 발명에 포함된 다양하고 많은 실시예들 중 대표적인 실시예 또는 그의 임의의 특정 요소에 대해 포함된 균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단일 실시예 또는 요소의 특정 설명이 가능한 모든 실시예 또는 요소들을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다수의 대안예들이 발명의 설명 및 도면들에 의해 함축적으로 기술될 수도 있다.
장치의 각각의 요소 또는 방법의 각각의 단계가 장치 용어 또는 방법 용어로 기술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발명이 다루는 넓은 범위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 예로서, 방법의 모든 단계들은 하나의 작동, 상기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또는 상기 작동을 야기하는 요소로서 기술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장치의 각각의 요소는 물리적 요소 또는 상기 물리적 요소가 용이하게 하는 작동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용어 "유체 흐름(fluid flow)"은, 명확하든지 함축적이든지 간에, "흐르는 유체"의 작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그 반대로 "흐르는 유체"의 작용을 효과적으로 기술한다면, 이러한 용어는 "유체 흐름" 및 심지어 "흐른 유체를 위한 수단"도 포함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각각의 요소 또는 단계를 대한 이러한 대안의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명확하게 포함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각각의 용어로서, 본 특허출원에서 이러한 용어 번역과 불일치하게 사용되지 않는 한, 공통적인 사전적 의미가 각각의 용어에 대한 설명은 랜덤 하우스 웹스터 사전 제2 판에 있는 의미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수치 값들은, 명확하든지 함축적이든지 간에, 용어 "약(about)"에 의해 확장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범위는 용어 "약" 하나의 특정 값으로부터 "약" 또 다른 특정 값까지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기술될 때, 또 다른 실시예는 한 특정 값으로부터 다른 특정 값까지 포함한다. 종점(endpoint)들에 의해 기술된 수치 범위는 그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수치 값들을 포함한다. 1에서 5까지의 수치 범위는 예를 들어 수치 값인 1, 1.5, 2, 2.75, 3, 3.80, 4, 5, 등등을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범위의 종점들은 그 외의 다른 종점에 대해 자체로도 중요하고 다른 종점과 상관없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한 값이 용어 "약"을 사용하여 근사값으로 표시될 때, 특정 값이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용어 "약"은 일반적으로 당업자가 동일한 기능 또는 결과를 가지거나 혹은 수치 값에 대한 균등값으로 고려하는 수치 값들의 범위를 나타낸다. 이와 유사하게, "실질적으로(substantially)"는 대개, 하지만, 전체적이지는 않는, 동일한 형태, 방법 또는 정도 및 특정 요소가, 당업자에 의해 동일한 기능 또는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고려하는 형상의 범위를 가질 것이다. 특정 요소가 용어 "실질적으로"를 사용하여 근사화되어 기술될 때, 특정 요소는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대해서, 용어 "하나의"는 그 외에 제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에 따라, 용어 "하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및 "하나 이상의"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특허출원은: i)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각의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ii)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와 관련된 방법들, iii) 이에 상응하는 유사예, 균등예, 및 심지어 이러한 각각의 장치 및 방법들의 함축적인 변형예, iv) 기술되고, 도시되거나 기재된 각각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대안의 실시예, v)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각각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대안의 디자인 및 방법들, vi)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발명으로서 각각의 특징, 구성요소, 및 단계, vii)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시스템 또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개선된 출원, viii) 이러한 시스템 또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작된 결과 제품, ix) 첨부도면들 중 하나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같은 실질적인 장치 및 방법, x) 앞에서 기술된 각각의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들 중 하나를 청구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특허출원의 배경기술 부분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설명을 제공한다. 이 부분은 본 발명이 기술하는 기술 상태에 대한 관련 정보, 문제, 또는 관심사들에 유용한 주제들 또는 특정 미국 특허, 특허출원, 공보를 설명하거나 인용할 수 있다. 임의의 미국 특허, 특허출원, 공보, 개시 또는 본 명세서에 통합되거나 인용된 그 외의 다른 정보는 본 발명에 대해 종래 기술에서 번역되고, 구성되거나 수용하고자 하기 위함이 아니다.
본 특허출원에 기술된 청구항들은 모두 본 발명의 설명의 한 부분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서 통합되며, 본 출원인은 이러한 청구항들의 통합된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청구항 또는 청구항의 임의의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임의의 한 부분을 뒷받침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명으로서 사용하고,
본 출원인은 추가로 이러한 청구항 또는 청구항의 임의의 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통합된 내용의 전분 또는 임의의 부분을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청구항들로 옮기거나 필요 시에는 반대로 하여 본 특허출원 또는 임의의 추후 출원 또는 계속출원, 분할출원, 또는 동시계속특허출원에 의해 보호할 수 있는 주제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임의의 혜택을 얻고, 비용을 줄이거나 임의의 국가 또는 조약의 특허법, 규정, 혹은 규칙에 부합하게 하고, 참조문헌에 의해 통합된 이러한 내용은 임의의 추후 계속출원, 분할출원, 혹은 동시계속특허출원 혹은 임의의 재발행 또는 연장출원을 포함하는 본 특허출원의 전체적인 진행 동안 지속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제한된 개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제한하여 기술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전체 실시예들 또는 본 발명의 가장 넓은 실시예 범위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인은 임의의 계속출원, 분할출원, 또는 동시계속특허출원, 또는 이와 유사한 출원의 한 부분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기술 내용들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청구항들을 개발할 수 있다.

Claims (69)

  1.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 유체 흐름을 생성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
    -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에 유체 결합된 밸브형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1 밸브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가지고;
    - 이어폰 제1 단부와 이어폰 제2 단부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를 가진 이어폰을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는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의 맞은편에 있는 밸브형 도관에 유체 결합되고, 상기 이어폰은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는 0 밀리리터 내지 약 20 밀리리터 사이 범위에 있는 유체 용적을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용적은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은: 0 밀리리터 내지 약 2 밀리리터 사이, 약 1 밀리리터 내지 약 3 밀리리터 사이, 약 2 밀리리터 내지 약 4 밀리리터 사이, 약 3 밀리리터 내지 약 5 밀리리터 사이, 약 4 밀리리터 내지 약 6 밀리리터 사이, 약 5 밀리리터 내지 약 7 밀리리터 사이, 약 6 밀리리터 내지 약 8 밀리리터 사이, 약 7 밀리리터 내지 약 9 밀리리터 사이, 약 8 밀리리터 내지 약 10 밀리리터 사이, 약 9 밀리리터 내지 약 11 밀리리터 사이, 약 10 밀리리터 내지 약 12 밀리리터 사이, 약 11 밀리리터 내지 약 13 밀리리터 사이, 약 12 밀리리터 내지 약 14 밀리리터 사이, 약 13 밀리리터 내지 약 15 밀리리터 사이, 약 14 밀리리터 내지 약 16 밀리리터 사이, 약 15 밀리리터 내지 약 17 밀리리터 사이, 약 16 밀리리터 내지 약 18 밀리리터 사이, 약 17 밀리리터 내지 약 19 밀리리터 사이, 및 약 18 밀리리터 내지 약 20 밀리리터 사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형 도관은 이어폰과 유체 흐름 생성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1 형상으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제1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2 형상으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제2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밸브는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제1 유체 흐름 제1 단부에 근접한 제1 부분과 제1 유체 흐름 제2 단부에 근접한 제2 부분으로 분리하고, 주위 압력과 제1 유체 흐름 도관의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유체 결합된 제2 유체 흐름 도관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2 유체 흐름 도관은 상기 제2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2 밸브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는 내부 용적을 가진 용적-조절식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용적-조절식 요소는 상기 내부 용적을 감소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 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변형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조절식 요소는 상기 내부 용적을 증가시켜 제2 유체 흐름 도관 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비-변형된 상태로 돌아가고,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주위 압력으로부터 용적-조절식 요소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제1 밸브는 제1 유체 흐름 도관 내의 유체 흐름이 제2 부분으로부터 제1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는 내부 용적을 가진 용적-조절식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용적-조절식 요소는 상기 내부 용적을 감소시켜 제2 유체 흐름 도관 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변형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제2 유체 흐름 도관으로부터 주위 압력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조절식 요소는 상기 내부 용적을 증가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 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비-변형된 상태로 돌아가고,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부터 용적-조절식 요소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제2 밸브는 제2 유체 흐름 도관 내의 유체 흐름이 주위 압력으로부터 제1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압력과 제1 유체 흐름 도관의 제2 부분 사이에 유체 결합된 제3 유체 흐름 도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유체 흐름 도관은 상기 제3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3 밸브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조절하여 상기 주위 압력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조절하여 상기 주위 압력으로부터 유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밸브는, 주위 압력과 제1 유체 흐름 도관의 제2 부분 사이의 압력차가 0 킬로파스칼 내지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의 압력차 진폭을 가진 사전-선택된 압력차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주위 압력과 제1 유체 흐름 도관의 제2 부분 사이에서 유체 흐름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차 진폭은: 0 킬로파스칼 내지 약 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0 킬로파스칼 사이, 약 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0 킬로파스칼 내지 약 1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0 킬로파스칼 사이, 약 1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0 킬로파스칼 내지 약 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0 킬로파스칼 사이, 약 2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0 킬로파스칼 내지 약 3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0 킬로파스칼 사이, 약 3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40 킬로파스칼 내지 약 45 킬로파스칼 사이, 약 4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7.5 킬로파스칼 사이, 및 약 45 킬로파스칼 내지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에 결합된 제2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와 상기 제3 밸브에 결합된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상기 제2 또는 제3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도록 수동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1 형상으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에 결합하여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제1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는 비-변형된 상태로부터 변형된 상태로 작동시켜 시간 주기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용적-조절식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는 비-변형된 상태로부터 변형된 상태로 반복 작동시켜 압력파 주파수와 압력파 진폭을 포함하는 압력파를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하도록 반복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파 주파수는 0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파 주파수는: 0 헤르츠 내지 약 1 헤르츠 사이, 약 0.5 헤르츠 내지 약 1.5 헤르츠 사이, 약 1 헤르츠 내지 약 2 헤르츠 사이, 약 1.5 헤르츠 내지 약 2.5 헤르츠 사이, 약 2 헤르츠 내지 약 3 헤르츠 사이, 약 2.5 헤르츠 내지 약 3.5 헤르츠 사이, 약 3 헤르츠 내지 약 4 헤르츠 사이, 약 3.5 헤르츠 내지 약 4.5 헤르츠 사이, 약 4 헤르츠 내지 약 5 헤르츠 사이, 약 4.5 헤르츠 내지 약 5.5 헤르츠 사이, 약 5 헤르츠 내지 약 6 헤르츠 사이, 약 5.5 헤르츠 내지 약 6.5 헤르츠 사이, 약 6 헤르츠 내지 약 7 헤르츠 사이, 약 6.5 헤르츠 내지 약 7.5 헤르츠 사이, 약 7 헤르츠 내지 약 8 헤르츠 사이, 약 7.5 헤르츠 내지 약 8.5 헤르츠 사이, 약 8 헤르츠 내지 약 9 헤르츠 사이, 약 8.5 헤르츠 내지 약 9.5 헤르츠 사이, 및 약 9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로 구성된 그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는 상기 제3 밸브에 결합되어 교대로 반복 작동되며 압력파 주파수와 압력파 진폭을 포함하는 압력파를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2 형상으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제2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축방향 이어폰 보어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는 내부 용적을 가진 용적-조절식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용적-조절식 요소는 변형된 상태로부터 비-변형된 상태로 작동되어 시간 주기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에 유입되는 유체 흐름을 생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는 변형된 상태로부터 비-변형된 상태로 반복 작동되어 압력파 주파수와 압력파 진폭을 포함하는 압력파를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파 주파수는 0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파 주파수는: 0 헤르츠 내지 약 1 헤르츠 사이, 약 0.5 헤르츠 내지 약 1.5 헤르츠 사이, 약 1 헤르츠 내지 약 2 헤르츠 사이, 약 1.5 헤르츠 내지 약 2.5 헤르츠 사이, 약 2 헤르츠 내지 약 3 헤르츠 사이, 약 2.5 헤르츠 내지 약 3.5 헤르츠 사이, 약 3 헤르츠 내지 약 4 헤르츠 사이, 약 3.5 헤르츠 내지 약 4.5 헤르츠 사이, 약 4 헤르츠 내지 약 5 헤르츠 사이, 약 4.5 헤르츠 내지 약 5.5 헤르츠 사이, 약 5 헤르츠 내지 약 6 헤르츠 사이, 약 5.5 헤르츠 내지 약 6.5 헤르츠 사이, 약 6 헤르츠 내지 약 7 헤르츠 사이, 약 6.5 헤르츠 내지 약 7.5 헤르츠 사이, 약 7 헤르츠 내지 약 8 헤르츠 사이, 약 7.5 헤르츠 내지 약 8.5 헤르츠 사이, 약 8 헤르츠 내지 약 9 헤르츠 사이, 약 8.5 헤르츠 내지 약 9.5 헤르츠 사이, 및 약 9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로 구성된 그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는 상기 제3 밸브에 결합되어 교대로 반복 작동되며 압력파 주파수와 압력파 진폭을 포함하는 압력파를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31.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유체 흐름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밸브형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가지고;
    - 제1 밸브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도록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중단시킬 수 있는 단계;
    - 이어폰 제1 단부와 이어폰 제2 단부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는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의 맞은편에 있는 밸브형 도관에 유체 결합되고, 상기 이어폰은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0 밀리리터 내지 약 20 밀리리터 사이 범위에 있는 유체 용적을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유체 흐름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용적은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선택된 유체 용적은: 0 밀리리터 내지 약 2 밀리리터 사이, 약 1 밀리리터 내지 약 3 밀리리터 사이, 약 2 밀리리터 내지 약 4 밀리리터 사이, 약 3 밀리리터 내지 약 5 밀리리터 사이, 약 4 밀리리터 내지 약 6 밀리리터 사이, 약 5 밀리리터 내지 약 7 밀리리터 사이, 약 6 밀리리터 내지 약 8 밀리리터 사이, 약 7 밀리리터 내지 약 9 밀리리터 사이, 약 8 밀리리터 내지 약 10 밀리리터 사이, 약 9 밀리리터 내지 약 11 밀리리터 사이, 약 10 밀리리터 내지 약 12 밀리리터 사이, 약 11 밀리리터 내지 약 13 밀리리터 사이, 약 12 밀리리터 내지 약 14 밀리리터 사이, 약 13 밀리리터 내지 약 15 밀리리터 사이, 약 14 밀리리터 내지 약 16 밀리리터 사이, 약 15 밀리리터 내지 약 17 밀리리터 사이, 약 16 밀리리터 내지 약 18 밀리리터 사이, 약 17 밀리리터 내지 약 19 밀리리터 사이, 및 약 18 밀리리터 내지 약 20 밀리리터 사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이어폰과 유체 흐름 생성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제1 형상으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제1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제2 형상으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제2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38. 제31항에 있어서,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제1 유체 흐름 제1 단부에 근접한 제1 부분과 제1 유체 흐름 제2 단부에 근접한 제2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1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주위 압력과 제1 유체 흐름 도관의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2 유체 흐름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2 유체 흐름 도관을 중단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2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내부 용적을 가진 용적-조절식 요소로서 구성된 유체 흐름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용적-조절식 요소는 상기 내부 용적을 감소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 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변형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조절식 요소는 상기 내부 용적을 증가시켜 제2 유체 흐름 도관 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비-변형된 상태로 돌아가고,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주위 압력으로부터 용적-조절식 요소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제1 밸브는 제1 유체 흐름 도관 내의 유체 흐름이 제2 부분으로부터 제1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내부 용적을 가진 용적-조절식 요소로서 구성된 유체 흐름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용적-조절식 요소는 상기 내부 용적을 감소시켜 제2 유체 흐름 도관 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변형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제2 유체 흐름 도관으로부터 주위 압력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조절식 요소는 상기 내부 용적을 증가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 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비-변형된 상태로 돌아가고,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부터 용적-조절식 요소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제2 밸브는 제2 유체 흐름 도관 내의 유체 흐름이 주위 압력으로부터 제1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압력과 제1 유체 흐름 도관의 제2 부분 사이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유체 흐름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유체 흐름 도관을 중단시켜 상기 제3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을 조절하여 상기 주위 압력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을 조절하여 상기 주위 압력으로부터 유입되게 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주위 압력과 제1 유체 흐름 도관의 제2 부분 사이의 압력차가 0 킬로파스칼 내지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의 압력차 진폭을 가진 사전-선택된 압력차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주위 압력과 제1 유체 흐름 도관의 제2 부분 사이에서 유체 흐름을 중단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차 진폭은: 0 킬로파스칼 내지 약 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0 킬로파스칼 사이, 약 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0 킬로파스칼 내지 약 1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1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1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0 킬로파스칼 사이, 약 1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0 킬로파스칼 내지 약 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2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0 킬로파스칼 사이, 약 2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0 킬로파스칼 내지 약 3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37.5 킬로파스칼 사이, 약 3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0 킬로파스칼 사이, 약 37.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2.5 킬로파스칼 사이, 약 40 킬로파스칼 내지 약 45 킬로파스칼 사이, 약 42.5 킬로파스칼 내지 약 47.5 킬로파스칼 사이, 및 약 45 킬로파스칼 내지 약 50 킬로파스칼 사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2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와 상기 제3 밸브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상기 제2 또는 제3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도록 수동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49. 제43항에 있어서, 제1 형상으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에 결합하여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제1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하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비-변형된 상태로부터 변형된 상태로 작동시켜 시간 주기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용적-조절식 요소로서 구성된 유체 흐름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비-변형된 상태로부터 변형된 상태로 반복 작동시켜 압력파 주파수와 압력파 진폭을 포함하는 압력파를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하도록 반복 작동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유체 흐름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파 주파수는 0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파 주파수는: 0 헤르츠 내지 약 1 헤르츠 사이, 약 0.5 헤르츠 내지 약 1.5 헤르츠 사이, 약 1 헤르츠 내지 약 2 헤르츠 사이, 약 1.5 헤르츠 내지 약 2.5 헤르츠 사이, 약 2 헤르츠 내지 약 3 헤르츠 사이, 약 2.5 헤르츠 내지 약 3.5 헤르츠 사이, 약 3 헤르츠 내지 약 4 헤르츠 사이, 약 3.5 헤르츠 내지 약 4.5 헤르츠 사이, 약 4 헤르츠 내지 약 5 헤르츠 사이, 약 4.5 헤르츠 내지 약 5.5 헤르츠 사이, 약 5 헤르츠 내지 약 6 헤르츠 사이, 약 5.5 헤르츠 내지 약 6.5 헤르츠 사이, 약 6 헤르츠 내지 약 7 헤르츠 사이, 약 6.5 헤르츠 내지 약 7.5 헤르츠 사이, 약 7 헤르츠 내지 약 8 헤르츠 사이, 약 7.5 헤르츠 내지 약 8.5 헤르츠 사이, 약 8 헤르츠 내지 약 9 헤르츠 사이, 약 8.5 헤르츠 내지 약 9.5 헤르츠 사이, 및 약 9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로 구성된 그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밸브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는 교대로 반복 작동되어 압력파 주파수와 압력파 진폭을 포함하는 압력파를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5. 제43항에 있어서, 제2 형상으로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이어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제2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밸브형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변형된 상태로부터 비-변형된 상태로 작동되어 시간 주기에 걸쳐 축방향 이어폰 보어에 유입되는 유체 흐름을 생성시킬 수 있는 용적-조절식 요소로서 구성된 유체 흐름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변형된 상태로부터 비-변형된 상태로 반복 작동되어 압력파 주파수와 압력파 진폭을 포함하는 압력파를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유체 흐름 생성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파 주파수는 0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파 주파수는: 0 헤르츠 내지 약 1 헤르츠 사이, 약 0.5 헤르츠 내지 약 1.5 헤르츠 사이, 약 1 헤르츠 내지 약 2 헤르츠 사이, 약 1.5 헤르츠 내지 약 2.5 헤르츠 사이, 약 2 헤르츠 내지 약 3 헤르츠 사이, 약 2.5 헤르츠 내지 약 3.5 헤르츠 사이, 약 3 헤르츠 내지 약 4 헤르츠 사이, 약 3.5 헤르츠 내지 약 4.5 헤르츠 사이, 약 4 헤르츠 내지 약 5 헤르츠 사이, 약 4.5 헤르츠 내지 약 5.5 헤르츠 사이, 약 5 헤르츠 내지 약 6 헤르츠 사이, 약 5.5 헤르츠 내지 약 6.5 헤르츠 사이, 약 6 헤르츠 내지 약 7 헤르츠 사이, 약 6.5 헤르츠 내지 약 7.5 헤르츠 사이, 약 7 헤르츠 내지 약 8 헤르츠 사이, 약 7.5 헤르츠 내지 약 8.5 헤르츠 사이, 약 8 헤르츠 내지 약 9 헤르츠 사이, 약 8.5 헤르츠 내지 약 9.5 헤르츠 사이, 및 약 9 헤르츠 내지 약 10 헤르츠 사이로 구성된 그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60.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밸브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제3 밸브 압력 릴리프 요소는 교대로 반복 작동되어 압력파 주파수와 압력파 진폭을 포함하는 압력파를 가진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제작 방법.
  61.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는:
    유체 흐름을 생성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에 유체 결합된 밸브형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형 도관은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1 밸브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가지고;
    이어폰 제1 단부와 이어폰 제2 단부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를 가진 이어폰을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는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의 맞은편에 있는 밸브형 도관에 유체 결합되고, 상기 이어폰은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며;
    - 상기 외이도와 상기 이어폰의 이어폰 외측 표면을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와 유체 흐름 생성기 사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의 외이도 압력차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
  62.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는:
    유체 흐름을 생성하는 유체 흐름 생성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일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1 밸브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제1 유체 흐름 도관을 가진 밸브형 도관; 및
    이어폰 제1 단부와 이어폰 제2 단부 사이에서 소통하는 축방향 이어폰 보어를 가진 이어폰을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은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외이도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순응형 이어폰 외측 표면을 가지며;
    - 제1 형상에서 상기 밸브형 도관 및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와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와 유체 결합시켜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유체 흐름을 제1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 상기 외이도와 상기 이어폰의 이어폰 외측 표면을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제1 방향으로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와 유체 흐름 생성기 사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의 외이도 압력차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외이도 압력은 주위 압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추가로:
    압력 릴리프 요소를 작동시켜 유체 흐름을 외이도로부터 주위 압력으로 생성시켜 상기 외이도 압력이 상기 주위 압력으로 돌아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로부터 이어폰의 이어폰 외측 표면을 결합해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와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로부터 제1 형상에 있는 상기 밸브형 도관을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추가로:
    - 제2 형상에서 상기 밸브형 도관을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와 유체 흐름 생성기와 유체 결합시켜 상기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상기 유체 흐름을 제2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 상기 외이도와 상기 이어폰의 이어폰 외측 표면을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 제1 유체 흐름 도관에서 제2 방향으로 상기 축방향 이어폰 보어와 유체 흐름 생성기 사이에 유체 흐름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주위 압력과 외이도 압력 사이의 외이도 압력차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외이도 압력은 주위 압력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추가로:
    압력 릴리프 요소를 작동시켜 유체 흐름을 주위 압력으로부터 상기 외이도로 생성시켜 상기 외이도 압력이 상기 주위 압력으로 돌아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로부터 이어폰의 이어폰 외측 표면을 결합해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이어폰의 축방향 이어폰 보어와 상기 유체 흐름 생성기로부터 제2 형상에 있는 상기 밸브형 도관을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의 사용 방법.
KR1020167001442A 2013-06-28 2014-06-25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KR20160027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41111P 2013-06-28 2013-06-28
US61/841,111 2013-06-28
US201361863317P 2013-08-07 2013-08-07
US61/863,317 2013-08-07
US201461983865P 2014-04-24 2014-04-24
US61/983,865 2014-04-24
US14/292,469 US10251790B2 (en) 2013-06-28 2014-05-30 Method for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to alleviate disorder symptoms
US14/292,469 2014-05-30
PCT/US2014/044159 WO2015009421A1 (en) 2013-06-28 2014-06-25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003A true KR20160027003A (ko) 2016-03-09

Family

ID=5211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442A KR20160027003A (ko) 2013-06-28 2014-06-25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4) US10251790B2 (ko)
EP (1) EP3013293A4 (ko)
JP (4) JP6678580B2 (ko)
KR (1) KR20160027003A (ko)
CN (3) CN114712084A (ko)
AU (4) AU2014290684B2 (ko)
BR (1) BR112015032181B1 (ko)
CA (2) CA2915821C (ko)
HK (1) HK1218705A1 (ko)
MX (2) MX2015017554A (ko)
NZ (1) NZ715412A (ko)
TW (1) TWI630905B (ko)
WO (1) WO20150094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5509B2 (en) 2017-11-21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and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method of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US20230048416A1 (en) * 2021-08-11 2023-02-16 Sasha Tyan Layered Earplugs with Pressure Reducing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1790B2 (en) 2013-06-28 2019-04-09 Nocira, Llc Method for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to alleviate disorder symptoms
US9039639B2 (en) 2013-06-28 2015-05-26 Gbs Ventures Llc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system
AU2016351641A1 (en) * 2015-11-10 2018-05-31 Migraine Stopper Pty. Ltd. A medical device to relieve symptoms of migraines
US10760566B2 (en) 2016-07-22 2020-09-01 Nocira, Llc Magnetically driven pressure generator
US20180125717A1 (en) * 2016-11-07 2018-05-10 Triton Systems, Inc. Earplug
EP3551145B1 (en) * 2016-12-06 2024-04-24 Nocir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EP3585335B1 (en) * 2017-02-27 2024-05-08 Nocira, LLC Ear pumps
US20180250192A1 (en) * 2017-03-02 2018-09-06 Zok Relief,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eving headache symptoms
AU2017100347B4 (en) * 2017-03-24 2020-01-16 Burkhard Karl-Heinz Gunther Franz Apparatus for Inducing Pressure Changes
WO2019246456A1 (en) 2018-06-22 2019-12-26 Nocir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CN109408766B (zh) * 2018-09-26 2023-05-16 国网山西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梯形图频率计算的方法
EP3705106B1 (de) * 2019-03-07 2022-01-05 Novoluto GmbH Einführbare stimulationsvorrichtung
US10939215B2 (en) 2019-03-29 2021-03-02 Sonova Ag Avoidance of user discomfort due to pressure differences by vent valv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1191301A1 (en) * 2020-03-24 2021-09-30 Vox Medical Aps An audiological test apparatus
US11957479B2 (en) 2020-09-03 2024-04-16 Steven A. Swidler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EP4346548A1 (en) * 2021-05-25 2024-04-10 OtoNexus Medica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pneumatic otoscopy

Family Cites Families (2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446A (en) 1892-06-07 Office
US841146A (en) 1903-04-10 1907-01-15 Sayer Hasbrouck Pneumatic massage apparatus.
US2176366A (en) 1937-06-09 1939-10-17 Wallace D Smith Massage instrument
US2437490A (en) 1942-06-26 1948-03-09 Norman A Watson Ear defender
US2652048A (en) 1952-06-09 1953-09-15 Carl F Joers Ear treating apparatus
US3757769A (en) 1971-11-01 1973-09-11 Grason Stadler Comp Inc Acoustic admittance testing apparatus
CH549392A (de) 1972-03-27 1974-05-31 Hoffmann La Roche Beatmungsgeraet mit selbsttaetiger regelung des druckes und flusses des atmungsgases.
US3872559A (en) 1973-01-11 1975-03-25 Charles Leight Ear plug
GB1522031A (en) 1975-07-24 1978-08-23 Bennett M Electroacoustic impedance bridges
US4002161A (en) 1975-12-02 1977-01-11 American Electromedics Corporation Automatic means for tympanometric testing
JPS5330316A (en) 1976-09-01 1978-03-22 Koken Kk Sealed sound receiver
US4206756A (en) 1977-03-23 1980-06-10 Murray Grossan Jet ear irrigation system
US4160449A (en) 1977-09-28 1979-07-10 Wade Kenneth L Earplug
US4472342A (en) 1978-05-31 1984-09-18 Carr Peter J Manufacture of a body cavity insert
US4244377A (en) 1978-10-19 1981-01-13 Grams Guenter A Ear probe for use in closed-loop caloric irrigation
IT1117554B (it) 1979-01-12 1986-02-17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Sistema di misura dell impedenza acustica dell orecchio
SE418456B (sv) 1979-06-21 1981-06-09 Engstrom Medical Ab Respiratoranordning
US4237905A (en) 1979-07-31 1980-12-09 Electro Audio Dynamics, Inc. Automatic tympanometric testing means
DE2967334D1 (en) 1979-09-28 1985-01-31 Peter Joseph Carr Method of making an ear insert and ear insert made by this method
US4325386A (en) * 1979-11-27 1982-04-20 Katz Jay Warren Means for treating symptoms of Meniere's disease or the like
US4349083A (en) 1981-04-13 1982-09-14 Harry Bennett Acoustic ear mold
JPS57188245A (en) 1981-05-14 1982-11-19 Morita Mfg Impedance audiometer
US4556122A (en) 1981-08-31 1985-12-03 Innovative Hearing Corporation Ear acoustical hearing aid
JPS59500455A (ja) 1982-03-16 1984-03-22 テイ−ル ジヨン エイチ 耳の病気を診断するための装置
US4552137A (en) 1983-08-16 1985-11-12 Strauss Richard H Earplugs
US4568337A (en) 1984-04-17 1986-02-04 Richards Medical Company Ventilation tube permitting two-way gaseous communication with one-way liquid valve
CA1233363A (en) 1984-06-01 1988-03-01 Robert E. Fischell Single valve diaphragm pump with decreased sensitivity to ambient conditions
SE8404375D0 (sv) 1984-08-31 1984-08-31 Jerzy Antowski Behandlingsapparat for menieer-sjukdom
US4667676A (en) 1985-06-17 1987-05-26 Audimax, Inc. Method of evaluating the vestibular system
US4632104A (en) 1985-09-16 1986-12-30 Conrow Robert P Device for relief of headaches
US5699809A (en) 1985-11-17 1997-12-23 Mdi Instruments, Inc. Device and process for generating and measuring the shape of an acoustic reflectance curve of an ear
GB2185688A (en) 1986-01-25 1987-07-29 Trevor Peter Andrew Clarke Device for cleansing ear canal
US4688582A (en) 1986-03-06 1987-08-25 Welch Allyn, Inc. Portable hand-held tympanometer
US4775370A (en) 1986-05-13 1988-10-04 Berry Yale J Middle ear drum ventilation and drainage technique
FR2605516B1 (fr) 1986-10-27 1989-05-12 Rossi Jean Pierre Dispositif pour supprimer les nuisances et douleurs aux oreilles
EP0266474B1 (de) 1986-11-07 1993-03-31 DENSERT, Barbara Einrichtung zum Behandeln der Menièreschen Krankheit
US4809708A (en) 1987-08-12 1989-03-07 Nicolet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bar measurements
US5105822A (en) 1988-02-16 1992-04-21 Sensimetr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erforming high frequency audiometry
JPH045180Y2 (ko) 1988-07-22 1992-02-14
EP0375151A1 (en) 1988-12-19 1990-06-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tinnitus
US5024612A (en) 1988-12-19 1991-06-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ng device and tinnitus suppression device
US5241967A (en) 1988-12-23 1993-09-0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System for evoking electroencephalogram signals
US4964769A (en) 1989-05-04 1990-10-23 Hass Martin M Air-isometric temporomandibular joint and vertical closure jaw relator apparatus
US4896679A (en) 1989-05-22 1990-01-30 St Pierre Carol 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xclusion of sound and water from the auditory canal
US4984579A (en) 1989-07-21 1991-01-15 Burgert Paul H Apparatus for treatment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vertigo, tinnitus and aural fullness
US5228431A (en) 1990-04-26 1993-07-20 Giarretto Ralph R Drug-free method for treatment of the scalp for therapeutic purposes
US5131411A (en) 1990-08-20 1992-07-21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 State University Custom-fitting earplug formed in situ using foaming action
CN2075517U (zh) 1990-10-29 1991-04-24 张耀东 鼓膜自动按摩仪
SE9100791D0 (sv) * 1991-03-15 1991-03-15 Abigo Medical Ab Anordning foer tryckutjaemning i mellanoerat
WO1994000089A1 (en) 1992-06-19 1994-01-06 Joseph Sylvester Chang Hearing protector
DK39393D0 (da) 1993-04-01 1993-04-01 Madsen Electronics A S Probe til audiometrisk apparat
JP3330701B2 (ja) 1993-10-14 2002-09-30 俊光 小林 中耳の動特性測定および観察装置
US5421818A (en) 1993-10-18 1995-06-06 Inner Ear Medical Delivery Systems, Inc. Multi-functional inner ear treatment and diagnostic system
US5755234A (en) 1994-08-16 1998-05-26 House Ear Institute Pressure-regulating ear plug
US5819745A (en) 1994-08-16 1998-10-13 House Ear Institute Pressure-regulating ear plug
US5483027A (en) 1994-08-24 1996-01-09 Krause; Ward B. Earplug with form-fitting fluid chambers
US5488961A (en) 1994-11-30 1996-02-06 Adams; Daniel O. Hydrophobic ear plugs
AU699941B2 (en) 1995-01-26 1998-12-17 Innovia Medical, Llc A device and process for generating and measuring the shape of an acoustic reflectance curve of an ear
US5868682A (en) 1995-01-26 1999-02-09 Mdi Instruments, Inc. Device and process for generating and measuring the shape of an acoustic reflectance curve of an ear
US5483975A (en) 1995-03-10 1996-01-16 Hirschenbain; Aviv Device for equalizing pressure across the eardrum of divers
US5740258A (en) 1995-06-05 1998-04-14 Mcnc Active noise supressors and methods for use in the ear canal
WO1997009927A2 (en) 1995-09-11 1997-03-20 Nolan Jam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non-invasive monitoring of blood pressure parameters
US5776179A (en) 1995-10-06 1998-07-07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for evaluating inner ear hearing loss
US5746725A (en) 1995-12-15 1998-05-05 Metaphase Technology Access, Ltd. Check valv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ressurization of a patient's middle ear
SE510140C2 (sv) 1995-12-22 1999-04-19 Pascal Medical Ab Anordning för påverkan av det hydrodynamiska systemet hos innerörat
US7162039B1 (en) 1996-02-23 2007-01-09 Matthew G. Callahan Noise barrier apparatus having acoustic wave damping cushions
WO1998006324A1 (en) 1996-08-12 1998-02-19 Mimosa Acoustics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coustic power flow within an ear canal
US6001066A (en) 1997-06-03 1999-12-14 Trutek, Inc. Tympanic thermometer with modular sensing probe
US5865183A (en) * 1997-06-03 1999-02-02 Safe Dive Ltd. Device for equalizing pressure across the eardrum of divers
US6176576B1 (en) 1997-06-06 2001-01-23 Radians, Inc. Eyewear supported by a wearer's concha of an ear
US5769891A (en) 1997-06-13 1998-06-23 Lawrence G. Clayton Prosthesis for alleviating TMJ discomfort
US6016499A (en) 1997-07-21 2000-01-18 Novell,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directory services respository
US5944711A (en) 1997-12-19 1999-08-31 Pender; Daniel J. Ear-irrigating method and device
CN1051021C (zh) 1998-05-26 2000-04-05 吴庆民 戒断综合征耳廓治疗装置
SE9802423D0 (sv) 1998-07-06 1998-07-06 Pascal Medical Ab Anordning för behandling av Ménières sjukdom och liknande åkommor
SE9802422D0 (sv) 1998-07-06 1998-07-06 Pascal Medical Ab Sätt att behandla Ménières sjukdom och motsvarande anordning
GB2343263B (en) 1998-07-13 2000-06-28 Radians Inc Eyewear
SE9802771D0 (sv) 1998-08-19 1998-08-19 Pascal Medical Ab Bärbar anordning för behandling av Ménières sjukdom
DE19838037A1 (de) 1998-08-21 2000-02-24 Bosch Gmbh Robert Pedalwegsimulator
US6258067B1 (en) 1998-12-08 2001-07-10 Smith & Nephew, Inc. Middle ear fluid aspirator
AU5695099A (en) 1998-08-25 2000-03-14 Frank C. Hill Middle ear fluid aspirator
US6024726A (en) 1998-08-25 2000-02-15 Hill; Frank C Middle ear fluid aspirator
US20040230252A1 (en) 1998-10-21 2004-11-18 Saul Kullok Method and apparatus for affectin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US6129174A (en) 1998-12-30 2000-10-10 Decibel Instruments, Inc. Minimal contact replaceable acoustic coupler
US6359993B2 (en) 1999-01-15 2002-03-19 Sonic Innovations Conformal tip for a hearing aid with integrated vent and retrieval cord
DE19905743B4 (de) 1999-02-11 2004-09-23 Janssen, Thomas, Priv.Doz. Dr.-Ing. Dr.med. habi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bjektiven Bestimmung der schwellennahen und überschwelligen Schallverarbeitung des Innenohres
US6748275B2 (en) 1999-05-05 2004-06-08 Respironics, Inc. Vestibular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JP2001137196A (ja) 1999-11-15 2001-05-22 Yoshinobu Nakamura 頭部血流バランス検査装置
US6430443B1 (en) 2000-03-21 2002-08-06 Manuel L. Karell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uditory hallucinations
CN2418864Y (zh) 2000-04-12 2001-02-14 刘玉花 鼓膜按摩器
DE10039401C2 (de) 2000-08-11 2002-06-13 Implex Ag Hearing Technology I Mindestens teilweise implantierbares Hörsystem
US20020069883A1 (en) 2000-12-08 2002-06-13 Aviv Hirchenbain Device for active regulation of pressure on outer ear
US6687377B2 (en) 2000-12-20 2004-02-03 Sonomax Hearing Healthc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 situ the acoustic seal provided by an in-ear device
US6827701B2 (en) 2001-07-17 2004-12-07 Kerberos Proximal Solutions Fluid exchange system for controlled and localized irrigation and aspiration
EP1466096B1 (en) 2002-01-10 2008-03-19 Interacoustics A/S Piezo electric pump and device with such pump
CN2530645Y (zh) 2002-02-04 2003-01-15 荣开春 化脓性中耳炎高负压吸引头
US20030171655A1 (en) 2002-03-08 2003-09-11 Newman Richard W. Combination otoscope
US20030195588A1 (en) 2002-04-16 2003-10-16 Neuropace, Inc. External ear canal interface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US7179238B2 (en) 2002-05-21 2007-02-20 Medtronic Xome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irectly displacing the partition between the middle ear and inner ear at an infrasonic frequency
US6958043B2 (en) 2002-05-21 2005-10-25 Medtronic Xomed,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cing the partition between the middle ear and the inner ear using a manually powered device
US20100268125A9 (en) 2002-07-03 2010-10-21 Epley Research, L.L.C. Head-stabilized med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ology
US20150150455A9 (en) 2002-07-03 2015-06-04 Epley Research, Llc Stimulus-evoked vestibular evalu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6800062B2 (en) 2002-07-03 2004-10-05 Epley Research, L.L.C. Comprehensive vertigo management
US6837857B2 (en) 2002-07-29 2005-01-04 Phonak Ag Method for the recording of acoustic parameters for the customization of hearing aids
US6725568B2 (en) 2002-10-01 2004-04-27 Edward A. Gronka Ear canal dry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50065585A1 (en) 2002-11-05 2005-03-24 Javier Salas Heat generating therapeutic device for ears
US7892180B2 (en) 2002-11-18 2011-02-22 Epley Research Llc Head-stabilized med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ology
US6820717B2 (en) 2003-01-16 2004-11-23 Howard Leight Industries, Llc Pressure regulating earplug
DE10314138A1 (de) 2003-03-25 2004-10-07 Krüger & Gothe GmbH Wärme/Kältevorrichtung
US6981569B2 (en) 2003-04-22 2006-01-03 Stilp Paul J Ear clip
AU2003902425A0 (en) 2003-05-19 2003-06-05 Burkhard Franz Pty Ltd A portable ear device
AU2004238090B2 (en) 2003-05-19 2009-06-04 Burkhard Franz Pty Ltd A portable hand-operable device for applying pneumatic pressure pulses to an ear canal
US7352871B1 (en) 2003-07-24 2008-04-01 Mozo Ben T Apparatus for communication and reconnaissance coupled with protection of the auditory system
US20050165460A1 (en) 2004-01-26 2005-07-28 Onje' Erfan Neuro-Electric-Therapy Headset
US20050209516A1 (en) 2004-03-22 2005-09-22 Jacob Fraden Vital signs probe
WO2005117797A2 (en) 2004-05-26 2005-12-15 The Metrohealth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ef of headache
WO2006009545A1 (en) 2004-06-22 2006-01-26 Stilp Paul J Ear clip
KR20070028462A (ko) * 2004-06-30 2007-03-12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메니에르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US8252321B2 (en) 2004-09-13 2012-08-28 Chrono Therapeutics, Inc. Biosynchronous transdermal drug delivery for longevity, anti-aging, fatigue management, obesity, weight loss, weight management, delivery of nutraceuticals, and the treatment of hyperglycemia, alzheimer's disease, sleep disorders, parkinson's disease, aids, epilepsy, attention deficit disorder, nicotine addiction, cancer, headache and pain control, asthma, angina, hypertension, depression, cold, flu and the like
US7613519B2 (en) 2004-10-21 2009-11-03 Advanced Neuromodulation Systems, Inc.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to treat auditory dysfunction
US20060100681A1 (en) 2004-11-05 2006-05-11 Javier Salas Carpizo Heat generating therapeutic device for ears
US20070250119A1 (en) 2005-01-11 2007-10-25 Wic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tering brain and body functions and for treating conditions and diseases of the same
US7702385B2 (en) 2005-11-16 2010-04-20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Electrode contact configurations for an implantable stimulator
EP1865843A2 (en) 2005-03-16 2007-12-19 Sonicom, Inc. Test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assessment of auditory function
US8956333B2 (en) * 2005-04-22 2015-02-17 Alternamedics Llc Medication delivery device
US20060253087A1 (en) 2005-04-22 2006-11-09 Aner Vlodaver Medication delivery device
US7785346B2 (en) 2005-05-19 2010-08-31 Blumberg Alan J Headache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7484531B2 (en) 2005-06-07 2009-02-03 Micromedics, Inc. Middle ear pressure equalizing device with improved pressure control
JP4138780B2 (ja) 2005-06-13 2008-08-27 リオン株式会社 耳管機能検査用プローブ
DE102005039772A1 (de) 2005-08-22 2007-03-08 Prominent Dosiertechnik Gmbh Magnetdosierpumpe
US10085677B2 (en) 2005-11-16 2018-10-02 Etymotic Research,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hearing screening
WO2007084674A2 (en) 2006-01-17 2007-07-26 Mimosa Acoust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hearing status
WO2007100790A2 (en) 2006-02-27 2007-09-07 Ahm Technologies, Inc. Eustachian tube device and method
EP2010047A2 (en) 2006-04-03 2009-01-07 Mimosa Acoust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ntracranial pressure
DE102006023824B4 (de) 2006-05-20 2010-01-28 Cerbomed Gmbh Vorrichtung zur transkutanen Aufbringung eines Reizes oder zur transkutanen Erfassung eines Parameters
US8194864B2 (en) 2006-06-01 2012-06-05 Personics Holdings Inc. Ear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
US8199919B2 (en) 2006-06-01 2012-06-12 Personics Holdings Inc. Ear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I
CN2912525Y (zh) 2006-06-07 2007-06-20 刘召斌 减缓压力式听诊器
US8078283B2 (en) 2006-06-20 2011-12-13 Eb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able leadless bone stimulation
US20080011308A1 (en) 2006-07-12 2008-01-17 Thomas Walter Fleming Reverse fitting earplug
CN200945215Y (zh) * 2006-09-01 2007-09-12 张永君 便携式鼓膜治疗器
US8142373B1 (en) 2006-09-08 2012-03-27 Riles Carol W Temple massaging headband
EP2069000A2 (en) 2006-09-20 2009-06-17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Tube, stent and collar insertion device
US8414521B2 (en) 2006-11-06 2013-04-09 Aardvark Medical, Inc. Irrigation and aspiration devices and methods
US7959597B2 (en) 2006-11-06 2011-06-14 Aardvark Medical, Llc Irrigation and aspiration device and method
WO2008064230A2 (en) 2006-11-20 2008-05-29 Personics Holding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hearing damage notification and intervention ii
US7779844B2 (en) 2006-12-15 2010-08-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fitting device for location in an ear canal
US20100071708A1 (en) 2007-01-04 2010-03-25 Lenhardt Martin L Novel hearing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and secure earbud assembly
US20080168775A1 (en) 2007-01-11 2008-07-17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Integrated Thermoelectric Temperature Sensing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8267983B2 (en) 2007-01-11 2012-09-18 Scion Neurostim, Llc. Medical devices incorporating thermoelectric transducer and controller
US8267984B2 (en) 2007-08-03 2012-09-18 Scion Neurostim, Llc. Neurophysiological activation by vestibular or cranial nerve stimulation
US20080264464A1 (en) 2007-01-11 2008-10-30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Integrated Thermoelectric Sensing and Heat Pump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8696724B2 (en) 2007-01-11 2014-04-15 Scion Neurostim, Llc. Devices for vestibular or cranial nerve stimulation
US20080208100A1 (en) 2007-02-23 2008-08-28 Ranan Wolff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cerumen
US8182431B2 (en) 2007-03-12 2012-05-22 Mimosa Acou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d determining hearing status
AU2008224943A1 (en) 2007-03-13 2008-09-18 The Feinstein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Treatment of inflammation by non-invasive stimulation
DE102007014709A1 (de) 2007-03-23 2008-09-25 Carl Freudenberg Kg Membranpumpe zur Förderung eines Fluids
WO2008128173A1 (en) 2007-04-13 2008-10-23 Personics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CN101040815B (zh) 2007-04-13 2011-01-12 深圳市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距离调节机构及具有该机构的头部按摩器头盔
US8052693B2 (en) 2007-04-19 2011-11-08 Acclar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simultaneous automated bilateral delivery of pressure equalization tubes
US7841446B2 (en) 2007-04-30 2010-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andless hearing protector and method
US7648005B2 (en) 2007-04-30 2010-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ip-style hearing protector
WO2008153589A2 (en) 2007-06-01 2008-12-18 Personics Holdings Inc. Ear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v
US7861723B2 (en) 2007-06-07 2011-01-04 David L. Dedrick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treating airway obstructive conditions during sleep
US8398562B2 (en) 2007-07-02 2013-03-19 Micro Audiometrics Corporation Ear canal pressurization device
JP2009022699A (ja) 2007-07-19 2009-02-05 Marutaka Co Ltd 外耳道内壁マッサージ機
US8391534B2 (en) 2008-07-23 2013-03-05 Asius Technologies, Llc Inflatable ear device
EP2829259B1 (en) * 2007-08-03 2019-04-10 Scion Neurostim Llc Vestibular stimulation apparatus
USD570457S1 (en) 2007-08-08 2008-06-03 Aquamira Technologies, Inc. Hose connector
US8047207B2 (en) 2007-08-22 2011-11-01 Personics Holdings Inc. Orifice insertion devices and methods
US10076655B2 (en) 2007-09-21 2018-09-18 Koninklijke Philips N.V. Vestibular stimulation system
CN201143258Y (zh) 2007-11-08 2008-11-05 陈继兰 负压抽吸可调式耳道异物清除器
US20090173353A1 (en) 2007-12-14 2009-07-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fitting device for location in an ear canal
US8020563B2 (en) 2007-12-17 2011-09-20 John Pfanstiehl Ultra thin ear plugs
US8251925B2 (en) 2007-12-31 2012-08-28 Personics Holdings Inc. Device and method for radial pressure determination
US20090182399A1 (en) 2008-01-11 2009-07-16 Diana Sylvestre Auricular thermoregulation system for appetite suppression
CN201164541Y (zh) 2008-03-07 2008-12-17 杜英华 一种中耳炎脓液吸出装置
US8002829B2 (en) 2008-03-07 2011-08-23 Ascentia Health, Inc. Ear insert for relief of TMJ discomfort
US8506469B2 (en) 2008-05-13 2013-08-13 Cerbomed Gmbh Method to enhance neural tissue operation
US20090299215A1 (en) 2008-05-30 2009-12-03 Starkey Laboratories, Inc. Measurement of sound pressure level and phase at eardrum by sensing eardrum vibration
US8631801B2 (en) 2008-07-06 2014-01-21 Personics Holdings, Inc Pressure regulating systems for expandable insertion devices
US7988657B2 (en) 2008-07-17 2011-08-02 Inspector Medical, Llc Body cavity irrigation device
US8840602B2 (en) 2008-07-31 2014-09-23 Accla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esthetizing ear tissue
US8452392B2 (en) 2008-07-31 2013-05-28 Accla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esthetizing ear tissue
US20100179490A1 (en) 2008-08-07 2010-07-15 Micromedics, Inc. Ear canal rinsing device
US8571224B2 (en) 2008-08-08 2013-10-29 Starkey Laboratories, Inc. System for estimating sound pressure levels at the tympanic membrane using pressure-minima based distance
US20100071707A1 (en) * 2008-09-22 2010-03-25 Wohl Daniel L External middle ear insufflation device
US8122892B2 (en) 2008-10-21 2012-02-28 Cirrus Healthcare Products, Llc Water absorbing ear plugs
US9078783B2 (en) 2008-12-24 2015-07-14 Acclarent, Inc. Silent effusion removal
DK2207366T3 (en) 2009-01-12 2014-12-01 Starkey Lab Inc SYSTEM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SOUND PRESSURE AT eardrum OF USE OF MEASUREMENTS AWAY from the eardrum
SE534532C2 (sv) 2009-01-22 2011-09-27 Svante Syk-Eksell Expanderande propp avsedd för insättning i en näsborre/örongång och för distribuering av medicinska preparat
WO2009050306A2 (en) 2009-01-30 2009-04-23 Phonak A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tive hearing protection to a user
JP2010233643A (ja) 2009-03-30 2010-10-21 Terumo Corp 耳内挿入型体温計
KR20120068767A (ko) 2009-05-09 2012-06-27 아시우스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팽창가능한 귀 장치
US8249285B2 (en) 2009-06-26 2012-08-21 Etymotic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on linear sound attenuation
CN201558360U (zh) 2009-07-23 2010-08-25 梁波 中耳吸引器
US8460356B2 (en) 2009-12-18 2013-06-11 Scion Neurostim, Llc Devices and methods for vestibular and/or cranial nerve stimulation
CN201505220U (zh) * 2009-09-16 2010-06-16 何诺 耳科变频气流治疗仪
CN201524178U (zh) 2009-09-29 2010-07-14 王虹 老年护理负压吸引挖耳勺
CA2776903A1 (en) 2009-10-05 2011-04-14 Sonomax Technologies Inc. Settable compound delivery device and system for inflatable in-ear device
EP2525753B1 (en) 2009-10-05 2020-11-25 Sonomax Technologies Inc. Pressure regulation mechanism for inflatable in-ear device
US20110097141A1 (en) 2009-10-23 2011-04-28 Aquamira Technologies, Inc. Connector for use in multiple configurations
AU2010311008A1 (en) 2009-10-28 2012-06-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alleviating motion sickness
US20110130786A1 (en) 2009-12-01 2011-06-02 Ascentia Health, Inc. Method for Treating Headaches with Intra-Aural Devices
US8858430B2 (en) 2010-03-09 2014-10-14 Zipline Health, Inc. Ear ailment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US20110245902A1 (en) 2010-03-30 2011-10-06 Katz Jay W Method for relieving motion sickness and related apparatus
US20130123889A1 (en) 2010-03-30 2013-05-16 Jay W. Katz Apparatus for Preventing Motion Sickness and Related Method
JP5481749B2 (ja) 2010-04-12 2014-04-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外耳道挿入型電極及び外耳道挿入型電極の作製方法
GB2479891A (en) 2010-04-27 2011-11-02 David Chamberlain Foaming solution to provide acoustic dampening in the ear canal
US8550206B2 (en) 2011-05-31 2013-10-08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Method and structure for achieving spectrum-tunable and uniform attenuation
CA2804449C (en) 2010-07-05 2015-06-16 Widex A/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validating the occlusion effect of a hearing aid user
US8903113B2 (en) 2010-07-13 2014-12-02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Inflatable ear mold with protected inflation air inlet
EP2594085B1 (en) 2010-07-13 2018-10-10 Sivantos Pte. Ltd. Inflatable ear piece with pressure relief valve
US8328830B1 (en) 2010-08-17 2012-12-11 Sudhir Pandit Ear cleaning device
CN201870809U (zh) 2010-11-23 2011-06-22 天津市天堰医教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飞行护耳耳塞
US9744074B2 (en) * 2010-12-16 2017-08-29 Scion Neurostim, Llc Combination treatments
US10478331B2 (en) 2010-12-16 2019-11-19 Scion Neurostim, Llc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nerve stimulation to a patient with physician oversight
US9849026B2 (en) 2010-12-16 2017-12-26 Scion Neurostim,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ducing brain activation via the vestibular system with time-varying waveforms
US10537467B2 (en) 2010-12-16 2020-01-21 Scion Neurostim,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bilateral caloric vestibular stimulation
SG191882A1 (en) 2011-01-05 2013-08-30 Stefanie Lattner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various neurological conditions
DE102011008802A1 (de) 2011-01-14 2012-07-19 Bundesrepublik Deutschland, vertr.d.d. Bundesministerium für Wirtschaft und Technologie, d.vertr.d.d. Präsidenten der Physikalisch-Technischen Bundesanstalt Vorrichtung zum Messen eines Schalldruckes in einem Gehörgang
US8963914B2 (en) 2011-01-18 2015-02-24 Rishi Rawat Computer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symptoms analysis, visualization and social network
CN202036187U (zh) 2011-04-22 2011-11-16 王坤 鼓气式耳内镜
US20120296355A1 (en) 2011-05-19 2012-11-22 Steven Burres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earwax
US8820470B2 (en) * 2011-06-14 2014-09-02 Thomas Brown Adjustably attenuating ear plug
KR101273296B1 (ko) 2011-06-29 2013-06-11 (주) 제이앤피 시신경 자극용 안경
CN202185057U (zh) 2011-08-22 2012-04-11 宋全法 中耳道加压注药器
CN202313927U (zh) 2011-09-09 2012-07-11 李子田 新型清耳器
JP2013068448A (ja) 2011-09-21 2013-04-18 Terumo Corp 耳内挿入型体温計
JP5766585B2 (ja) 2011-11-10 2015-08-19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頭蓋内圧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EP2783522B1 (en) 2011-11-22 2018-07-18 Sonova AG A method of estimating an acoustic transfer quantity by employing a hearing instrument, and hearing instrument therefor
WO2013087885A1 (en) 2011-12-16 2013-06-20 Chordate Medical Ag Device for treatment of headache disorders
US9138352B2 (en) 2011-12-20 2015-09-2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Blast attenuating earplug
DE102012000676A1 (de) 2012-01-17 2013-07-18 Knf Flodos Ag Verdrängerpumpe
DE102012014727B4 (de) 2012-03-02 2014-01-23 Cerbomed Gmbh Elektrodenanordnung
CN102551957B (zh) 2012-03-14 2013-12-04 郑雷 一种便携式多功能电动掏耳器
CN202505833U (zh) 2012-03-16 2012-10-31 李珊 中耳道积液抽吸装置
CN202477966U (zh) 2012-03-23 2012-10-10 宋全法 中耳道冲洗器
US9427505B2 (en) 2012-05-15 2016-08-30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US20130324932A1 (en) 2012-05-30 2013-12-05 Thomas Paul Cogley Pre-Filled Safety Applicator for Otic Medication
US20140069442A1 (en) 2012-09-11 2014-03-13 Cirrus Healthcare Products, Llc Method of printing indicia on earplugs,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method and earplugs made from same
US8625833B1 (en) 2012-12-11 2014-01-07 Kenneth Armwood Portable pressurization headphones
US11361848B2 (en) 2013-01-31 2022-06-14 Curelato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patient actions and symptoms of a disease
US20150005661A1 (en) * 2013-02-22 2015-01-01 Max Sound Corporation Method and process for reducing tinnitus
US20140275827A1 (en) 2013-03-14 2014-09-18 Paceset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deriving effectiveness of medical treatment of a patient
CN105163697A (zh) 2013-04-23 2015-12-16 第一医科株式会社 能够治疗梅尼埃病及类似症状的可携带装置
US10251790B2 (en) 2013-06-28 2019-04-09 Nocira, Llc Method for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to alleviate disorder symptoms
US9039639B2 (en) * 2013-06-28 2015-05-26 Gbs Ventures Llc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system
EP4039240A1 (en) 2013-11-18 2022-08-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headache pain
US20150320591A1 (en) 2014-05-09 2015-11-12 Scion Neurosti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Ear Fluid Vestibular and/or Cranial Nerve Caloric Stimulation
US20150320592A1 (en) 2014-05-09 2015-11-12 Scion Neurostim,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Thermal Stimulation
WO2016022761A1 (en) 2014-08-07 2016-02-11 Curelator, Inc. Chronic disease discovery and management system
US10413240B2 (en) 2014-12-10 2019-09-17 Staton Techiya, Llc Membrane and balloon systems and designs for conduits
US20180125748A1 (en) 2015-04-24 2018-05-10 Aytu Women's Health, LLC. Devices, Medium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emale Sexual Arousal
JP6074456B2 (ja) 2015-05-18 2017-02-01 シナノケンシ株式会社 電動ポンプ
CN108348748B (zh) 2015-09-04 2021-12-03 赛恩神经刺激有限责任公司 用于具有包调制的神经刺激的系统、设备和方法
US10064758B2 (en) 2015-10-20 2018-09-04 Cirrus Healthcare Products, Ll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sion of meterological data to assist in timing of remedy to ameliorate physical distress
US20170105876A1 (en) 2015-10-20 2017-04-20 Cirrus Healthcare Products, Llc Headache relief earplug
EP3454816A4 (en) 2016-05-11 2020-02-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 STIMULATION OF SKIN NERVE FOR PAIN, STROKE, MOOD, BREATHING, MOVEMENT, SLEEP AND VASCULAR ACTION
US10760566B2 (en) 2016-07-22 2020-09-01 Nocira, Llc Magnetically driven pressure generator
EP3551145B1 (en) 2016-12-06 2024-04-24 Nocir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EP3585335B1 (en) 2017-02-27 2024-05-08 Nocira, LLC Ear pumps
WO2019246456A1 (en) 2018-06-22 2019-12-26 Nocir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5509B2 (en) 2017-11-21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and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method of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US20230048416A1 (en) * 2021-08-11 2023-02-16 Sasha Tyan Layered Earplugs with Pressure Reduc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28414A1 (en) 2021-07-29
US11090194B2 (en) 2021-08-17
MX2015017554A (es) 2016-10-13
JP6941197B2 (ja) 2021-09-29
CN108498296A (zh) 2018-09-07
US20150000678A1 (en) 2015-01-01
WO2015009421A1 (en) 2015-01-22
BR112015032181B1 (pt) 2022-07-12
EP3013293A4 (en) 2017-05-17
JP2020093136A (ja) 2020-06-18
AU2022204935A1 (en) 2022-07-28
TWI630905B (zh) 2018-08-01
AU2019204160B2 (en) 2020-07-23
JP7449904B2 (ja) 2024-03-14
CN108498296B (zh) 2022-04-19
AU2014290684A1 (en) 2016-01-21
JP2021191453A (ja) 2021-12-16
HK1218705A1 (zh) 2017-03-10
NZ715412A (en) 2019-10-25
US20190231597A1 (en) 2019-08-01
JP2016527941A (ja) 2016-09-15
MX2022007903A (es) 2023-04-05
US10251790B2 (en) 2019-04-09
TW201517884A (zh) 2015-05-16
US20160151206A1 (en) 2016-06-02
CA2915821C (en) 2022-10-04
BR112015032181A2 (pt) 2017-07-25
EP3013293A1 (en) 2016-05-04
US10772766B2 (en) 2020-09-15
AU2014290684B2 (en) 2019-03-14
CN105431115B (zh) 2018-05-25
JP6678580B2 (ja) 2020-04-08
CA3168418A1 (en) 2015-01-22
JP2024051171A (ja) 2024-04-10
AU2019204160A1 (en) 2019-07-04
CN114712084A (zh) 2022-07-08
AU2020257086A1 (en) 2020-11-19
CA2915821A1 (en) 2015-01-22
AU2020257086B2 (en) 2022-04-14
CN105431115A (zh)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7003A (ko) 외이도 압력 조절 장치
US11096828B2 (en) System for alleviating symptoms of a neurological disorder
US20220202617A1 (en)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