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583A - 오디오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583A
KR20160026583A KR1020140115736A KR20140115736A KR20160026583A KR 20160026583 A KR20160026583 A KR 20160026583A KR 1020140115736 A KR1020140115736 A KR 1020140115736A KR 20140115736 A KR20140115736 A KR 20140115736A KR 20160026583 A KR20160026583 A KR 2016002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ar
units
audio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강경수
장세기
인우성
김지희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6583A/ko
Priority to PCT/KR2015/006960 priority patent/WO2016035990A1/en
Priority to US15/507,898 priority patent/US10091577B2/en
Priority to CN201510541498.7A priority patent/CN105392090A/zh
Publication of KR2016002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8Structural combinations of loudspeakers with built-in power amplifiers, e.g. in the same acoustic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3Linear arrays of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oy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굽힘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를 개시한다. 오디오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마련되는 앰프 유닛,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앰프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장치{AUDIO DEVICE}
본 발명은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굽힘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매체에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장치이며, 그 매체는 카세트 테이프(cassette tape), 레코드(record), 디스크(disc)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장치는 텐테이블(turn table), 튜너(tuner), 앰프리파이어(amplifier), 카세트데크(cassette deck) 및 스피커 유닛(speaker unit) 등이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등이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튜너, 앰프리파이어, 카세트 데크가 하나의 본체로 구성되고, 스피커만 분리된 뮤직센터(music center)와, 텐테이블, 튜너, 앰플리파이어, 카세트데크 및 스피커 유닛이 모두 분리되어 있는 컴포넌트 시스템(component system)을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장치는 외부로부터 음원을 공급받고, 앰플리파이어 및 스피커 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피커-앰프 일체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가 융합된 AV장치가 보편화됨에 따라, 오디오 장치가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비디오 장치와 함께 설치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와 디스플레이 유닛의 조화가 요구된다.
또한, 오디오 장치에 구비되는 진동유닛은 고정되어 있는 바,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 내지 음장 효과를 전달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음향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에게 입체적이고, 풍부한 음향 내지 음장 효과를 전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주변기기와 조화로운 배치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마련되는 앰프 유닛,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앰프 유닛 및 상기 앰프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별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앰프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회전동작을 컨트롤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별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이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기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 1기어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제 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 2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에는 상기 구동축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리브가 결합되는 방향전환 가이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제 1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2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 1방향 또는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축방향으로 일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축방향으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축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스피커 유닛 및 제 2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 1스피커 유닛의 복수의 리브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 및 상기 제 2스피커 유닛의 복수의 리브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방향전환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제 1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 1스피커 유닛 및 상기 제 2스피커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축방향으로 일 방향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 1스피커 유닛 및 상기 제 2스피커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축방향으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유닛은 상기 제 1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 2기어에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앰프 유닛에는 상기 구동축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축 및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축은 상기 복수의 유닛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장치는 상기 복수의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후방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은 상기 복수의 유닛의 회전동작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닛은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 및 상기 복수의 유닛 중 다른 하나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방향전환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지지 가이드 및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으로 제 1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가이드 레일과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유닛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 및 상기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 사이의 이격 거리가 후방을 향할수록 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유닛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 및 상기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 사이의 이격 거리는 후방을 향할수록 더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니언(pin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마련되는 래크(rack)에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닛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고정되는 앰프 유닛 및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을 가지고, 상기 앰프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회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장치는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이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을 연결하는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유닛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일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의 다른 단부가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 1링크 유닛 및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 2링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링크 유닛의 전달부재 및 상기 제 2링크 유닛의 전달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도록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결합되는 제 1회전축이 마련되는 제 1유닛, 상기 제 1회전축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 1유닛에 마련되는 제 2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유닛 및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이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 1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 1전달기어 및 상기 제 2유닛과 상기 제 2유닛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다른 단부를 연결하는 제 2전달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전달기어 및 상기 제 2전달기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전달기어는 상기 제 1유닛에 인접한 상기 고정유닛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제 1톱니부 및 상기 고정유닛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제 1치아부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달기어는 상기 제 1유닛에 인접한 상기 제 2유닛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제 2톱니부 및 상기 제 2유닛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다른 단부에 마련되는 제 2치아부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이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유닛과 멀어지는 제 1방향을 향하여 움직이고,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이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유닛과 가까워지는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앰프 유닛, 상기 앰프 유닛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앰프 유닛에 대하여 전방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연결되는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앰프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상기 앰프 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상기 앰프 유닛에 대한 상기 스피커 유닛의 구부러진 정도 또는 구부러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상기 앰프 유닛 및 상기 스피커 유닛을 구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상기 스피커 유닛이 별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을 상기 앰프 유닛에 연결하는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상기 링크 유닛이 상기 스피커 유닛과 함께 상기 앰프 유닛에 대하여 상호 구부러질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굽힘 가능한 오디오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주변기기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주변기기와의 조화로운 배치가 가능하다.
오디오 장치를 별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도록 음향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 내지 음장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의 회전정도 내지 굽힘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바, 오디오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오디오 장치의 회전정도 내지 굽힘정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바, 음향의 진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에너지원을 생략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1유닛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1케이싱을 생략한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1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 1형상을 제 1케이싱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2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 2형상을 제 1케이싱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1케이싱을 생략한 평면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링크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링크 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가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도시한 배면도
도 17은 도 16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가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도시한 배면도
도 19는 도 18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 및 주변기기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 및 주변기기의 제어 블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어 순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부러짐을 주변기기와 연동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주변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주변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및 오디오 장치의 곡률 변형 설정 창을 도시한 도면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곡률 변형 여부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 장치(1, 1a, 1b)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피커-앰프 일체형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오디오 장치(1)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오디오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20)은 회전축방향(X)으로 결합되는 제 1케이싱(10) 및 제 2케이싱(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케이싱(10)은 회전축방향(X)으로 상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케이싱(20)은 회전축방향(X)으로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케이싱(10) 및 제 2케이싱(20)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1케이싱(10)은 고정유닛(4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이싱(10), 제 1유닛(7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이싱(10) 및 제 2유닛(8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이싱(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케이싱(20)은 고정유닛(4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케이싱(20), 제 1유닛(7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케이싱(20) 및 제 2유닛(8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싱(2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는 오디오 장치(1)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는 오디오 장치(1)의 온/오프 및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30)은 오디오 장치(1)의 길이방향(L)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유닛(30)은 고정유닛(40) 및 복수의 회동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4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회동유닛(50)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유닛(40)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유닛(40)의 내부에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앰프리파이어(amplifier)(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유닛(40)의 내부에는 주변기기(도21참고)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증폭시킨 후,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51)으로 출력하기 위한 앰프리파이어(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복수의 회동유닛(50)에는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51)이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51)은 오디오 장치(1)의 전면(前面)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51)은 복수의 회동유닛(50)의 전면(前面)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51)을 고정유닛(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회동유닛(50)에 마련함으로써, 사용자는 복수의 회동유닛(50)의 회전방향 내지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음향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51)은 고음역에 대한 출력을 담당하는 트위터 및 중저음역에 대한 출력을 담당하는 우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동유닛(50)은 고정유닛(4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유닛(70) 및 제 1유닛(7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동유닛(50)의 개수는2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오디오 장치(1)는 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장치(1)는 고정유닛(40)을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회동유닛(50)은 고정유닛(40)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오디오 장치(1)의 구조는 대칭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1유닛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1케이싱을 생략한 평면도이고, 도4b는 도 4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동유닛(50)은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60)은 제 1회전축(61) 및 제 2회전축(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전축(61) 및 제 2회전축(62)은 제 1유닛(70)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유닛(7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51)이 장착될 수 있도록 진동유닛 안착부(7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유닛 안착부(71)는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닛(70)에는 회전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회전축(61)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회전축(61)은 회전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회전축(61)은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회전축(61)은 제 1유닛(70)의 제 2케이싱(20)에 마련되는 제 1회전축 결합부(7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닛(70)에는 회전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회전축(62)이 마련될 수 있다. 제 2회전축(62)은 회전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회전축(62)은 제 1회전축(61)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회전축(62)은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회전축(62)은 제 1유닛(70)의 제 2케이싱(20)에 마련되는 제 2회전축 결합부(7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닛(70)에는 연결 유닛(9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연결유닛 안착부(74)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유닛 안착부(74)는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유닛(90)은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의 내벽에 마련되는 연결유닛 안착부(74)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닛(70)에는 회전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돌기부(75,76)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돌기부(75,76)는 고정유닛(40)에 결합되는 제 1고정돌기부(75) 및 제 2유닛(80)에 결합되는 제 2고정돌기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고정돌기부(75)는 고정유닛(40)의 제 2케이싱(20)에 형성되는 제 1고정돌기부 결합부(41)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고정돌기부(76)는 제 2유닛(80)의 제 2케이싱(20)에 형성되는 제 2고정돌기부 결합부(81)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고정돌기부(75)는 제 1회전축(61)과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고정돌기부(76)는 제 2회전축(62)과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고정돌기부(75) 및 제 2고정돌기부(76)는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유닛(40)은 체결기둥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기둥부(42)는 제 1유닛(7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고정유닛(40)의 양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기둥부(42)는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 및 제 2케이싱(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기둥부(42)에는 제 1회전축(61)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회전축관통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회전축관통홀(43)은 제 1회전축(61)이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 및 제 2케이싱(20)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 1유닛(70)의 제 2케이싱(20)에 형성되는 제 1회전축 결합부(7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 및 제 2케이싱(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고정돌기부(75)는 체결기둥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고정돌기부 결합부(41)는 체결기둥부(42)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고정돌기부 결합부(41)는 제 1회전축관통홀(43)에 인접하도록 체결기둥부(42)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고정돌기부(75)는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을 관통하여 고정유닛(40)의 제 2케이싱(20)에 형성되는 제 1고정돌기부 결합부(41)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기둥부(42)에는 제 1톱니부(44)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톱니부(44)는 제 1유닛(70)에 인접한 고정유닛(40)의 일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톱니부(44)는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의 체결기둥부(42)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톱니부(44)는 제 1회전축관통홀(43)의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의 체결기둥부(42)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기둥부(42)에는 제 1보조톱니부(45)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보조톱니부(45)는 회전축방향(X)으로 제 1톱니부(44)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보조톱니부(45)는 고정유닛(40)의 제 2케이싱(20)의 체결기둥부(42)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보조톱니부(45)는 제 1회전축관통홀(43)의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고정유닛(40)의 제 2케이싱(20)의 체결기둥부(42)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보조톱니부(45)는 제 1유닛(70)의 제 2케이싱(20)에 마련되는 제 1보조기어(77)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유닛(40)에는 전달부재(110)의 축(111)이 마련될 수 있다. 전달부재(110)의 축(111)은 회전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고정유닛(4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달부재(110)의 축(111)은 회전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에 마련될 수 있다. 전달부재(110)의 축(111)은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유닛(40)에는 전달부재(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전달부재고정부(46)가 마련될 수 있다. 전달부재고정부(46)는 고정유닛(40)의 제 2케이싱(20)에 마련될 수 있다. 전달부재고정부(46)에는 전달부재(110)의 축(1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축 결합공(47)이 형성될 수 있다. 전달부재(110)는 축 결합공(47)에 삽입된 전달부재(110)의 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전달부재고정부(46)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유닛(8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5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진동유닛 안착부(7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유닛(80)의 제 1케이싱(10) 및 제 2유닛(80)의 제 2케이싱(20)은 서로 결합하여 전면(前面)이 개방된 진동유닛 안착부(71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유닛(80)은 결합기둥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기둥부(82)는 제 1유닛(7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 2유닛(80)의 일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기둥부(82)는 제 1유닛(70)과 인접한 제 2유닛(80)의 일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기둥부(82)는 제 2유닛(80)의 제 1케이싱(10) 및 제 2케이싱(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기둥부(82)에는 제 2회전축(62)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2회전축관통홀(8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회전축관통홀(83)은 제 2회전축(62)이 제2유닛(80)의 제 1케이싱(10) 및 제 2케이싱(20)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 2유닛(80)의 제 2케이싱(20)에 형성되는 제 2회전축 결합부(7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유닛(80)의 제 1케이싱(10) 및 제 2케이싱(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고정돌기부(76)는 결합기둥부(8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고정돌기부 결합부(81)는 결합기둥부(82)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고정돌기부 결합부(81)는 제 2회전축관통홀(83)에 인접하도록 결합기둥부(82)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고정돌기부(76)는 제 2유닛(80)의 제 1케이싱(10)을 관통하여 제 2유닛(80)의 제 2케이싱(20)에 형성되는 제 2고정돌기부 결합부(8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기둥부(82)에는 제 2톱니부(84)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톱니부(84)는 제 1유닛(70)에 인접한 제 2유닛(80)의 일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톱니부(84)는 제 2유닛(80)의 제 1케이싱(10)의 결합기둥부(82)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톱니부(84)는 제 2회전축관통홀(83)의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 2유닛(80)의 제 1케이싱(10)의 결합기둥부(82)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기둥부(82)에는 제 2보조톱니부(85)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보조톱니부(85)는 회전축방향(X)으로 제 2톱니부(84)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보조톱니부(85)는 제 2유닛(80)의 제 2케이싱(20)의 결합기둥부(82)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보조톱니부(85)는 제 2회전축관통홀(83)의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 2유닛(80)의 제 2케이싱(20)의 결합기둥부(82)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보조톱니부(85)는 제 1유닛(70)의 제 2케이싱(20)에 마련되는 제 2보조기어(78)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보조기어(78)는 제 1보조기어(77)와 서로 이격되도록 제 1유닛(70)의 제 2케이싱(20)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는 복수의 회동유닛(50)이 오디오 장치(1)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복수의 회동유닛(50)을 연결하는 링크 유닛(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링크 유닛(100)은 복수의 회동유닛(50)이 일체로 오디오 장치(1)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복수의 회동유닛(50)을 연결할 수 있다.
링크 유닛(100)은 고정유닛(4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링크 유닛(100)은 링크(120) 및 전달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120)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링크(120)는 제 1회전축(61) 및 전달부재(110)를 연결할 수 있다. 링크(120)의 일 단부는 제 1회전축(61)에 연결되고, 링크(120)의 다른 단부는 전달부재(110)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120)의 일 단부는 제 1회전축(61)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 및 고정유닛(40)의 제 2케이싱(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달부재(110)는 고정유닛(40)의 제 2케이싱(20)에 형성되는 전달부재고정부(46)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달부재(110)는 커버(112)와 결합할 수 있다. 전달부재(110)는 커버(112)와 회전축방향(X)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10)는 회전축방향(X)으로 커버(112)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달부재(110) 및 커버(112) 사이에는 링크(120)가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달부재(110) 및 커버(112) 사이에는 전달부재(110)에 연결되는 링크(120)의 다른 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전달부재(110)에 연결되는 링크(120)의 다른 단부에는 링크축(121)이 마련될 수 있고, 링크축(121)은 전달부재(110) 및 커버(11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전달부재(110)에는 기어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유닛(10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유닛(100)은 복수의 회동유닛(5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 1링크 유닛(130) 및 복수의 회동유닛(50)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 2링크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링크 유닛(130) 및 제 2링크 유닛(140)은 복수의 회동유닛(50)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복수의 회동유닛(50)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링크 유닛(130) 및 제 2링크 유닛(140)은 오디오 장치(1)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 유닛(130) 및 제 2링크 유닛(140)은 제 1링크 유닛(130)의 전달부재(110)의 기어부(113) 및 제 2링크 유닛(140)의 전달부재(110)의 기어부(113)가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유닛(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링크 유닛(130)의 전달부재(110)의 기어부(113) 및 제 2링크 유닛(140)의 전달부재(110)의 기어부(113)가 서로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회동유닛(50)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복수의 회동유닛(50)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복수의 회동유닛(50)이 오디오 장치(1)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복수의 회동유닛(50)은 제 1유닛(70) 및 제 2유닛(80)이 오디오 장치(1)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제 1유닛(70) 및 제 2유닛(80)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가 연결 유닛(90) 및 링크 유닛(100)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오디오 장치(1)는 오디오 장치(1)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일체로 구부러질 수 있다.
연결 유닛(90)은 제 1유닛(7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유닛(90)은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의 연결유닛 안착부(74)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 유닛(90)은 로드(91)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91)는 오디오 장치(1)의 길이방향(L)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제 1유닛(7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91)는 제 1유닛(70) 및 제2유닛(80)이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경우, 오디오 장치(1)의 길이방향(L)으로 고정유닛(40)과 멀어지는 제 1방향(A)을 향하여 움직인다. 또한, 로드(91)는 제 1유닛(70) 및 제 2유닛(80)이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경우, 오디오 장치(1)의 길이방향(L)으로 고정유닛(40)과 가까워지는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인다.
로드(91)에는 복수의 치아부(92a,92b,92c)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치아부(92a,92b,92c)는 제 1치아부(92a), 제 2치아부(92b) 및 제 3치아부(9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치아부(92a)는 고정유닛(40)을 향하는 로드(91)의 일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치아부(92a)는 제 2방향(B)을 향하는 로드(91)의 일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치아부(92a)는 전방을 향하도록 로드(91)의 일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치아부(92b)는 제 2유닛(80)을 향하는 로드(91)의 다른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치아부(92b)는 제 1방향(A)을 향하는 로드(91)의 다른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치아부(92b)는 후방을 향하도록 로드(91)의 다른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치아부(92c)는 제 1치아부(92a) 및 제 2치아부(92b) 사이에 위치하도록 로드(91)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치아부(92c)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제 3치아부(92c)는 전방을 향하도록 로드(91)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유닛(90)은 복수의 전달기어(93,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달기어(93,94)는 제 1전달기어(93) 및 제 2전달기어(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전달기어(93)는 고정유닛(40) 및 고정유닛(40)을 향하는 로드(91)의 일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 1전달기어(93)는 고정유닛(40) 및 제 2방향(B)을 향하는 로드(91)의 일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 1전달기어(93)는 고정유닛(40)의 제 1케이싱(10)에 형성되는 제 1톱니부(44) 및 고정유닛(40)을 향하는 로드(91)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제 1치아부(92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전달기어(93)는 제 1톱니부(44) 및 제 1치아부(92a)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제 1유닛(7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제 1전달기어(93)는 하나의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1부속기어(93a) 및 제 2부속기어(9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93a)는 회전축방향(X)으로 제 2부속기어(93b)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93a)는 로드(91)의 제 1치아부(92a)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 2부속기어(93b)는 제 1톱니부(44)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93a) 및 제 2부속기어(93b)의 톱니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93a)의 톱니 수는 제 2부속기어(93b)의 톱니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다만, 제 1부속기어(93a) 및 제 2부속기어(93b)의 톱니 수 및 배치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2전달기어(94)는 제 2유닛(80) 및 제 2유닛(80)을 향하는 로드(91)의 다른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 2전달기어(94)는 제 2유닛(80) 및 제1방향(A)을 향하는 로드(91)의 다른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전달기어(94)는 제 2유닛(80)의 제 1케이싱(10)에 형성되는 제 2톱니부(84) 및 제 2유닛(80)을 향하는 로드(91)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제 2치아부(92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전달기어(94)는 제 2톱니부(84) 및 제 2치아부(92b)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제 1유닛(7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제 2전달기어(94)는 하나의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1부속기어(94a) 및 제 2부속기어(9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94a)는 회전축방향(X)으로 제 2부속기어(94b)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94a)는 로드(91)의 제 2치아부(92b)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 2부속기어(94b)는 제 2톱니부(84)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94a) 및 제 2부속기어(94b)의 톱니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94a)의 톱니 수는 제 2부속기어(94b)의 톱니 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다만, 제 1부속기어(94a) 및 제 2부속기어(94b)의 톱니 수 및 배치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전달기어(93)의 제 1부속기어(93a)의 톱니 수는 제 2전달기어(94)의 제 1부속기어(94a)의 톱니 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제 1전달기어(93)의 제 2부속기어(93b)의 톱니 수는 제 2전달기어(94)의 제 2부속기어(94b)의 톱니 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다만, 제 1전달기어(93) 및 제 2전달기어(94)의 톱니 수 관계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 1전달기어(93) 및 제 2전달기어(94)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 1전달기어(9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2전달기어(9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전달기어(9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2전달기어(9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 유닛(90)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어(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어(95)는 로드(91)의 제 3치아부(92c)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제 1유닛(7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어(95)는 로드(91)의 움직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어(95)는 감속기어 또는 가속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전달기어(93), 제 2전달기어(94)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어(95)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미도시)은 회전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전달기어(93), 제 2전달기어(94)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어(95)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미도시)은 제 1유닛(70)의 제 1케이싱(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1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 1형상을 제 1케이싱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1 내지 도 5b를 참조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는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즉, 고정유닛(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회동유닛(50)은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구부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디오 장치(1)는 전방에 대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하, 복수의 회동유닛(50) 중 어느 하나를 전방을 향하여 회전 시킨 경우, 복수의 회동유닛(50)이 일체로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회동유닛(50)은 고정유닛(40)의 좌측에 연결되는 제 1회동유닛(50) 및 고정유닛(40)의 우측에 연결되는 제 2회동유닛(50)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제 1회동유닛(50)의 제 2유닛(80)을 전방으로 푸쉬(push)한 경우, 제 1회동유닛(50)의 제 2유닛(80)은 제 1회동유닛(50)의 제 2회전축(6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회동유닛(50)의 제 2톱니부(84)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회동유닛(50)의 제 2전달기어(9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회동유닛(50)의 제 1전달기어(9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회동유닛(50)의 제 1전달기어(93) 및 제 1회동유닛(50)의 제 2전달기어(94)의 회전에 의해 제 1회동유닛(50)의 로드(91)는 제 1방향(A)을 향하여 병진 운동한다. 제 1회동유닛(50)의 제 1유닛(70)은 제 1회동유닛(50)의 제1전달기어(93)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회동유닛(50)의 제 1톱니부(4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1회동유닛(50)의 제 1회전축(6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 1회동유닛(50)의 링크(120)에 연결되는 제 1회동유닛(50)의 전달부재(1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회동유닛(50)의 전달부재(110)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회동유닛(50)의 전달부재(1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제 2회동유닛(50)의 전달부재(110)의 움직임은 제 2회동유닛(50)의 링크(120)에 의해 제2회동유닛(50)의 제 1유닛(70)에 전달된다. 제 2회동유닛(50)의 제 1유닛(70)은 제 2회동유닛(50)의 제1회전축(6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회동유닛(50)의 제 1톱니부(44)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 2회동유닛(50)의 제 1전달기어(9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2회동유닛(50)의 제 2전달기어(9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회동유닛(50)의 로드(91)는 제 1방향(A)을 향하여 병진 운동한다. 제 2회동유닛(50)의 제 2유닛(80)은 제 2전달기어(94)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 2회동유닛(50)의 제 2톱니부(8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2회전축(6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 2회동유닛(50)의 제 2유닛(80)도 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2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제 2형상을 제 1케이싱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1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즉, 고정유닛(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회동유닛(50)은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구부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디오 장치(1)는 전방에 대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복수의 회동유닛(50) 중 어느 하나를 후방을 향하여 회전 시킨 경우, 복수의 회동유닛(50)이 일체로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과정은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복수의 회동유닛(50)이 일체로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과정과 반대로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 1케이싱을 생략한 평면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도 10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a)는 복수의 회동유닛(50)을 연결하는 링크 유닛(100)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동유닛(50)은 별개로 움직일 수 있다. 즉, 링크 유닛(100)이 생략된 경우, 제 1회동유닛(50)의 움직임은 제 2회동유닛(50)에 전달되지 않는 바, 제 1회동유닛(50) 및 제 2회동유닛(50)은 서로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별개로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제 1유닛(70) 및 제 2유닛(80)은 연결 유닛(90)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제 1유닛(70) 및 제 2유닛(80)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제 1회동유닛(50)의 제 1유닛(70) 및 제 2유닛(80)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회동유닛(50)의 제 1유닛(70) 및 제 2유닛(80)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a)는 오디오 장치(1a)의 길이방향(L)으로 길게 뻗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a)는 오디오 장치(1a)의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 1회동유닛(60) 및 제 2회동유닛(50)은 모두 오디오 장치(1a)의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a)는 오디오 장치(1a)의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 1회동유닛(60) 및 제 2회동유닛(50)은 모두 오디오 장치(1a)의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회동유닛(60) 및 제 2회동유닛(50)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회동유닛(60) 및 제 2회동유닛(50)은 고정유닛(40)을 중심으로 어느 하나는 오디오 장치(1a)의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고, 다른 하나는 오디오 장치(1a)의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오디오 장치(1a)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오디오 장치(1)의 구성에서 링크 유닛(100)을 생략한 것과 동일한 바, 도 10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오디오 장치(1a)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링크 유닛(100) 및 연결 유닛(90)을 모두 생략한 경우, 오디오 장치(1,1a)의 복수의 회동유닛(50)의 제 1유닛(70) 및 제 2유닛(80)은 모두 별개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링크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링크 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240)을 생략한 도면이다. 이하, 돌출부(201)는 리브 및 돌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에 마련되는 돌출부(201)를 의미하고, 돌기는 앰프 유닛(210)에 마련되는 돌출부(201)를 의미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b)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오디오 장치(1b)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오디오 장치(1b)는 오디오 장치(1b)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b)는 오디오 장치(1b)의 온/오프 및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200)은 오디오 장치(1b)의 길이방향(L)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유닛(200)은 앰프 유닛(21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앰프 유닛(210)의 내부에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앰프리파이어(amplifier)(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앰프 유닛(210)의 내부에는 주변기기(400)(도21참고)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증폭시킨 후,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230)으로 출력하기 위한 앰프리파이어(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앰프 유닛(210)은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에는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230)이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230)은 오디오 장치(1b)의 전면(前面)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230)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의 전면(前面)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230)을 앰프유닛(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에 마련함으로써,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의 회전방향 내지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음향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230)은 고음역에 대한 출력을 담당하는 트위터 및 중저음역에 대한 출력을 담당하는 우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앰프 유닛(210)에 대하여 구부러진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오디오 장치(1b)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진 상태로 앰프 유닛(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오디오 장치(1b)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앰프 유닛(21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이 대칭적으로 앰프 유닛(210)에 연결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오디오 장치(1b)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진 상태로 앰프 유닛(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이 비대칭적으로 앰프 유닛(210)에 연결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오디오 장치(1b)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다른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진 상태로 앰프 유닛(21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유닛(200)은 돌출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01)는 오디오 장치(1b)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복수의 유닛(20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01)는 복수의 유닛(200)의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복수의 유닛(200)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동축방향(T)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동축방향(T)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20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스피커 유닛(221) 및 제 2스피커 유닛(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스피커 유닛(221) 및 제 2스피커 유닛(222)에는 각각 복수의 돌출부(201)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스피커 유닛(221)의 복수의 돌출부(201) 중 어느 하나는 지지 가이드(271)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 2스피커 유닛(222)의 복수의 돌출부(201) 중 어느 하나는 방향전환 가이드(272)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앰프 유닛(210)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동축방향(T)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201)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201)는 오디오 장치(1b)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패널(240)은 오디오 장치(1b)의 디자인적 측면 및 내구성 측면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복수의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패널(240)은 복수의 유닛(20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패널(240)은 전면패널(241) 및 하면패널(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241)은 복수의 유닛(20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면패널(242)은 복수의 유닛(2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패널(241)은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230)을 가리지 않도록, 즉,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230)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유닛(20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패널(241)은 복수의 유닛(20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전면패널(241)은 복수의 유닛(200)과 일체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패널(241)은 유연한(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패널(241)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패널(242)은 복수의 유닛(20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즉, 하면패널(242)은 복수의 유닛(200)과 일체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하면패널(242)은 유연한(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면패널(242)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패널(240)은 전면패널(241) 및 하면패널(242)에 한정하지 않는다.
오디오 장치(1b)는 복수의 회전축(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20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유닛(200)은 별개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앰프 유닛(210)은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별개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별개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앰프 유닛(210)에 연결 내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250)은 오디오 장치(1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회전축(250)은 복수의 유닛(200)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250)은 복수의 유닛(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250)은 인접한 복수의 유닛(2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200) 중 어느 하나에는 오디오 장치(1b)의 길이방향(L)으로 돌출되는 기둥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둥부(251)는 복수의 유닛(200) 중 어느 하나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251)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복수의 유닛(200) 중 어느 하나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251)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헤드(251a) 및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테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200) 중 다른 하나에는 기둥부(25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기둥안착부(252)가 마련될 수 있다. 기둥안착부(252)는 기둥부(25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둥안착부(252)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200) 중 다른 하나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둥안착부(252)는 헤드(251a)가 결합되는 헤드결합부(252a) 및 테일(미도시)이 결합되는 테일결합부(252b)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결합부(252a) 및 테일결합부(252b)는 각각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기둥안착부(252)의 상방 및 하방에 위치한다. 헤드(251a)는 헤드결합부(252a)에 마련되는 개구(253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테일(미도시)은 테일결합부(252b)에 마련되는 개구(253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복수의 유닛(200)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앰프 유닛(21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앰프 유닛(21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앰프 유닛(21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구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오디오 장치(1b)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복수의 회전축(25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인접한 복수의 유닛(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인접한 복수의 유닛(2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인접한 복수의 유닛(2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연결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70)는 복수의 유닛(200)의 회전동작을 컨트롤하도록 복수의 회전축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70)는 서로 인접하는 앰프 유닛(21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의 회전동작을 컨트롤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70)는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의 회전동작을 컨트롤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70)에는 지지 가이드(271) 및 방향전환 가이드(272)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 가이드(271)는 복수의 유닛(200)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201)가 결합되고, 방향전환 가이드(272)는 복수의 유닛(200) 중 다른 하나의 돌출부(201)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70)가 앰프 유닛(21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연결하는 경우, 앰프 유닛(210)의 돌출부(201)는 지지 가이드(27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의 돌출부(201)는 방향전환 가이드(272)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270)가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연결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 중 앰프 유닛(210)에 가까운 어느 하나의 돌출부(201)는 지지 가이드(27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 중 앰프 유닛(210)에서 먼 다른 하나의 돌출부(201)는 방향전환 가이드(272)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270)에는 가이드 레일(273)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73)은 지지 가이드(271) 및 방향전환 가이드(272)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결부재(270)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73)은 복수의 회전축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73)에는 래크(rack)(274)가 마련될 수 있다. 래크(274)는 가이드 레일(273)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래크(274)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과 나란한 가이드 레일(273)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70)는 피니언(pinion)(292b)이 래크(274)에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회전축방향(X)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지지 가이드(271)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연결부재(270)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가이드(271) 및 가이드 레일(273)은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가이드(271) 및 가이드 레일(273)은 오디오 장치(1b)의 길이방향(L)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향전환 가이드(272)는 가이드 레일(273)에 인접하도록 연결부재(270)에 마련될 수 있다. 방향전환 가이드(272)는 가이드 레일(273)과 이격되도록 연결부재(270)에 배치될 수 있다.
방향전환 가이드(272)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전환 가이드(272)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연결부재(270)에 마련될 수 있다. 방향전환 가이드(272)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제 1방향(A)을 향할수록 가이드 레일(273)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방향전환 가이드(272)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제 1방향(A)을 향할수록 가이드 레일(273)과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연결부재(270)에 마련될 수 있다.
방향전환 가이드(272)는 제 1슬라이드부(272a), 제 2슬라이드부(272b) 및 연결부(272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72c)는 제 1슬라이드부(272a) 및 제 2슬라이드부(272b)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 1슬라이드부(272a) 및 제 2슬라이드부(27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슬라이드부(272a)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연결부(272c)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슬라이드부(272b)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연결부(272c)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272c)는 가이드 레일(273) 및 지지 가이드(271)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할 수 있다. 제 1슬라이드부(272a)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273)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부(272c)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슬라이드부(272b)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273)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부(272c)에 연결될 수 있다.
방향전환 가이드(272)의 양 단부에는 홈부(272d,272e)가 마련될 수 있다. 홈부(272d,272e)는 방향전환 가이드(272)를 따라 움직이는 돌출부(20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부(272d,272e)는 방향전환 가이드(272)를 따라 움직이는 돌출부(20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역할을 할 수 있다. 홈부(272d,272e)는 제 1슬라이드부(272a)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1홈부(272d) 및 제 2슬라이드부(272b)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홈부(272e)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이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280)은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과 함께 앰프 유닛(210)에 대하여 상호 구부러질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유닛(280)은 제 1기어(291)가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유닛(280)은 모터(281) 및 모터(281)에 연결되는 구동축(28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282)은 일 단부가 오디오 장치(1b)의 후방을 향하도록 모터(28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270)는 구동축방향(T)으로 구동유닛(28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기어 유닛(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유닛(290)은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유닛(280) 및 연결부재(27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기어 유닛(290)은 구동유닛(280) 및 연결부재(270)를 연결할 수 있다.
기어 유닛(290)은 제 1기어(291) 및 제 2기어(2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어(291)는 구동유닛(280)의 구동축(28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기어(292)는 연결부재(27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기어(292)는 연결부재(270)의 가이드 레일(27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270)는 제 2기어(292)가 가이드 레일(273)에 마련되는 래크(274)에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회전축방향(X)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70)는 제 2기어(292)가 가이드 레일(273)의 래크(274)에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회전축방향(X)을 따라 제 1방향(A) 또는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제 1방향(A) 및 제 2방향(B)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제 1방향(A) 및 제 2방향(B)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제 2기어(292)는 부속기어(292a) 및 피니언(pinion)(292b)을 포함할 수 있다. 부속기어(292a) 및 피니언(292b)의 톱니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부속기어(292a) 및 피니언(292b)은 동일한 회전축, 즉, 제 2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부속기어(292a)는 프레임(300)과 가까이 위치할 수 있고, 피니언(292b)은 프레임(300)과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부속기어(292a)는 구동축방향(T)으로 피니언(292b)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부속기어(292a)는 연결부재(270)와 멀리 위치할 수 있고, 피니언(292b)은 연결부재(270)와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피니언(292b)은 연결부재(27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니언(292b)은 가이드 레일(273)의 래크(274)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기어 유닛(290)은 적어도 하나의 제 3기어(2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기어(293)는 제 1기어(291)의 회전력을 제 2기어(292)에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기어(293)는 제 1부속기어(293a) 및 제 2부속기어(29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293a) 및 제 2부속기어(293b)의 톱니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293a) 및 제 2부속기어(293b)는 동일한 회전축, 즉, 제 3축(3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부속기어(293a)는 프레임(300)과 가까이 위치할 수 있고, 제 2부속기어(293b)는 프레임(300)과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부속기어(293a)는 구동축방향(T)으로 제 2부속기어(293b)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260)은 프레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280)은 구동축방향(T)으로 프레임(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기어 유닛(290)은 구동축방향(T)으로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70)는 구동축방향(T)으로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유닛(280)의 구동축(282)은 프레임(300)에 형성되는 축결합공(3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유닛(280)의 구동축(282)은 축결합공(310)을 관통하여 오디오 장치(1b)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기어(291)는 축결합공(310)을 관통한 구동유닛(280)의 구동축(28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300)에는 기어 유닛(290)의 축(321,322,323)이 형성될 수 있다. 축(321,322,323)은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프레임(3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축(321,322,323)은 프레임(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축(321,322,323)은 전방기어(294)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축(321), 제 2기어(29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축(322) 및 후방기어(295)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3축(32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유닛(290)의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3기어(293)는 프레임(300)과 가까이 위치하는 전방기어(294) 및 프레임(300)과 멀리 위치하는 후방기어(295)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모터(281)가 작동함에 따라 제 1기어(291)는 구동축(28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기어(291)의 회전력은 제 3기어(293)의 전방기어(294)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기어(291)의 회전력은 제 1기어(29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전방기어(294)의 제 1부속기어(293a)에 전달될 수 있다. 전방기어(294)의 제 1부속기어(293a)가 제 3축(32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방기어(294)의 제 2부속기어(293b)는 전방기어(294)의 제 1부속기어(293a)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방기어(294)의 제 2부속기어(293b)의 회전력은 후방기어(295)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기어(294)의 제 2부속기어(293b)의 회전력은 전방기어(294)의 제 2부속기어(293b)에 맞물려 회전하는 후방기어(295)의 제 1부속기어(293a)에 전달될 수 있다. 후방기어(295)의 제 1부속기어(293a)가 제 3축(32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방기어(295)의 제 2부속기어(293b)는 후방기어(295)의 제 1부속기어(293a)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후방기어(295)의 제 2부속기어(293b)의 회전력은 제 2기어(292)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기어(295)의 제 2부속기어(293b)의 회전력은 후방기어(295)의 제 2부속기어(293b)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 2기어(292)의 부속기어(292a)에 전달될 수 있다. 제 2기어(292)의 부속기어(292a)가 제 2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2기어(292)의 피니언(292b)은 제 2기어(292)의 부속기어(292a)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기어(292)의 회전력은 연결부재(270)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기어(292)의 피니언(292b)이 가이드 레일(273)의 래크(274)에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연결부재(270)는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270)가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제 1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제 1기어(29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방기어(29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후방기어(29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기어(29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연결부재(270)가 복수의 회전축방향(X)으로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제 1기어(29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방기어(29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후방기어(29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기어(29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오디오 장치(1b)는 연결부재(270)와 마주하도록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유닛(2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가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한다. 도 16 및 도 17은 앰프 유닛(210) 및 앰프 유닛(2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b)는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복수의 유닛(20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앰프 유닛(2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오디오 장치(1b)의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연결부재(270)가 제 1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앰프 유닛(210)은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구동축방향(T)으로 일 방향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70)가 제 1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70)가 제 1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서로 연결되는 제 1스피커 유닛(221) 및 제 2스피커 유닛(222)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구동축방향(T)으로 일 방향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70)가 제 1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서로 연결되는 제 1스피커 유닛(221) 및 제 2스피커 유닛(222)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연결부재(270)가 제 1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방향전환 가이드(272)를 따라 움직이는 돌출부(201)는 제 2슬라이드부(272b)의 제 2홈부(272e)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복수의 유닛(20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의 회전축(250) 및 연결부재(270)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270)가 제 1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복수의 유닛(20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고, 복수의 유닛(200) 사이의 이격 거리는 후방을 향할수록 더 커질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가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한다. 도 18 및 도 19는 앰프 유닛(210) 및 앰프 유닛(2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을 도시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b)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복수의 유닛(20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앰프 유닛(2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오디오 장치(1b)의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연결부재(270)가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앰프 유닛(210)은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구동축방향(T)으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70)가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70)가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서로 연결되는 제 1스피커 유닛(221) 및 제 2스피커 유닛(222)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구동축방향(T)으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70)가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서로 연결되는 제 1스피커 유닛(221) 및 제 2스피커 유닛(222)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연결부재(270)가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방향전환 가이드(272)를 따라 움직이는 돌출부(201)는 제 1슬라이드부(272a)의 제 1홈부(272d)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복수의 유닛(20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의 회전축(250) 및 연결부재(270)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270)가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복수의 유닛(20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고, 복수의 유닛(200) 사이의 이격 거리는 후방을 향할수록 더 작아질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한다.
도 20a 내지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b)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b)는 오디오 장치(1b)의 길이방향(L)으로 길게 뻗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디오 장치(1b)는 구부러짐이 없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방향전환 가이드(272)를 따라 움직이는 돌출부(201)는 연결부(272c)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b)는 오디오 장치(1b)의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오디오 장치(1b)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유닛(20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오디오 장치(1b)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앰프 유닛(210)은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오디오 장치(1b)의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b)는 오디오 장치(1b)의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오디오 장치(1b)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유닛(20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오디오 장치(1b)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앰프 유닛(210)은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오디오 장치(1b)의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b)는 오디오 장치(1b)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오디오 장치(1b)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유닛(20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오디오 장치(1b)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앰프 유닛(210)은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220)은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오디오 장치(1b)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복수의 유닛(200)은 서로에 대한 간섭없이 복수의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별개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 및 주변기기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b)는 주변기기(400)와 조화롭게 배치될 수 있다. 주변기기(400)는 텔레비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부(410)가 평평한 경우, 오디오 장치(1b)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부(410)가 곡면을 가지는 경우 내지 커브를 가지를 경우, 오디오 장치(1b)는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장치(1, 1a, 1b)는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게 오디오 장치(1, 1a, 1b)를 직접 구부리거나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장치(1, 1a, 1b)는 별도의 전력원을 통해 자동으로 구부러지거나 회전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 1a, 1b)가 별도의 전력원을 통해 자동으로 구부러지거나 회전하는 경우, 오디오 장치(1, 1a, 1b)가 배치되는 지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거치대(미도시)가 요구될 수 있다. 즉, 오디오 장치(1, 1a, 1b)는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거치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 및 주변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 내지 도 15 및 도 21을 참조한다. 또한, 도 2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변기기(400)의 일 예로써,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기기(400)는 수신부(420), 디스플레이부(410), 입력부(430) 및 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에 집적회로(Integrate Circuit)로 구현되거나 펌웨어 같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의 별도의 칩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2는 이렇게 구현된 제어부(440)를 디스플레이제어부(460), 구동 제어부(470) 및 신호 처리부(450)를 포함하는 기능적인 블록도로서 도시한다.
수신부(42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부(420)에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시되는 방송 영상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수신부(420)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채널을 튜닝하는 튜너 및 튜닝된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방송 신호를 복조화하는 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튜너는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는 튜너에서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조부는 스트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주변기기(400)는 외부 영상 신호, 외부 소리 신호 또는 외부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제 1인터페이스(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영상 신호, 외부 소리 신호 및 외부 정보 신호는 방송 영상을 제외한 영상의 기초가 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인터페이스(48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인터페이스(48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제어부(4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주변기기(400)의 제 1인터페이스(480)는 오디오 장치(1b)의 제 2인터페이스(600)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주변기기(4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외부장치를 주변기기(40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 컴퓨터(노트북), 오디오 장치(1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44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수신부(420)로부터 전달받은 스트림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부(410)에 의해 표시 가능한 영상 신호 또는 사운드 출력부(미도시)에 의해 출력 가능한 소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40)에서 생성된 소리 신호는 주변기기(400) 자체에 마련되는 사운드 출력부(미도시) 및 오디오 장치(1b)의 사운드 출력부(90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410)는 제어부(440)에 의해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방송 영상을 출력하고, 사운드 출력부(미도시)는 제어부(440)에 의해 신호 처리된 소리 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b)의 사운드 출력부(900)는 제 2인터페이스(600)가 제 1인터페이스(48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오디오 장치(1b)의 제어부(700)에 의해 신호 처리된 소리 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410)는 제어부(440)의 일 구성인 디스플레이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방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0)는 주변기기(4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기기(4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영상/소리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410)의 곡률 변형이 수행되도록, 즉, 디스플레이부(410)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동부(4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40)는 내부의 연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주변기기(400)의 각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440)는 입력부(43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변기기(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입력부(430)는 사용자로부터 주변기기(400)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30)는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 변경, 출력되는 소리의 음량 변경, 표시되는 영상의 채널 변경 또는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 변경 등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430)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장치(1b)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부(430)는 주변기기(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변기기(4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440)는 주변기기(400)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한 부팅을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부팅 진행 중, 주변기기(400)의 곡률 변형이 수행되도록 구동부(49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40)는 구동부(49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입력부(500), 제 2인터페이스(600), 제어부(700) 및 구동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에 집적회로(Integrate Circuit)로 구현되거나, 펌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별도의 칩(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인터페이스(600)는 주변기기(400)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 2인터페이스(600)는 주변기기(400)의 제 1인터페이스(480)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제 2인터페이스(600)가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와 조화를 이루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가 곡면 내지 커브를 가지는 경우, 오디오 장치(1b)는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와 조화로운 배치구조를 가지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 유닛(220)은 앰프 유닛(210)을 중심으로 오디오 장치(1b)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제 2인터페이스(6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인터페이스(6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장치(1b)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외부장치를 오디오 장치(1b)에 접속시킬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 컴퓨터(노트북), 텔레비전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오디오 장치(1b)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b)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소리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700)는 오디오 장치(1b)의 구부러짐 정도 내지 회전 정도의 변경이 수행되도록 구동부(8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700)는 앰프 유닛(210)에 대한 스피커 유닛(220)의 구부러진 정도 또는 구부러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앰프 유닛(2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700)는 내부의 연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오디오 장치(1b)의 각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700)는 입력부(500)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1b)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장치(1b)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00)는 출력되는 소리의 음량 변경 등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입력부(500)는 오디오 장치(1b)에 전원을 인가하는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500)는 오디오 장치(1b)의 구부러짐 정도 내지 회전 정도의 변경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700)는 오디오 장치(1b)가 구부러지도록 구동부(8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800)는 구동유닛(280)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800)는 앰프 유닛(210)에 대한 스피커 유닛(220)의 구부러진 정도 또는 구부러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구동부(800)의 작동에 의해, 스피커 유닛(220)은 앰프 유닛(210)에 대하여 오디오 장치(1b)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사운드 출력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 2인터페이스(600)로부터 전달받은 스트림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700)는 사운드 출력부(900)에 의해 출력 가능한 소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에서 생성된 소리 신호는 오디오 장치(1b)의 사운드 출력부(9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는 주변기기(400)와 연동되어 또는 주변기기(400)와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 내지 도 15,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한다. 또한, 도 2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변기기(400)의 일 예로써,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오디오 장치(1b)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주변기기(400)의 상태를 확인한다(S1). 구체적으로,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가 곡면 내지 커브를 형성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주변기기(400)의 상태를 확인해본 결과,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가 곡면 내지 커브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와 조화를 이루도록 오디오 장치(1b)를 구부리거나 회전시킨다(S2). 즉,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 형상과 조화를 이루도록 오디오 장치(1b)의 형상을 변형한다.
오디오 장치(1b)의 형상은 주변기기(400)와 별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즉, 오디오 장치(1b)의 형상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500)에 입력된 명령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먼저 입력부(50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S3)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오디오 장치(1b)의 구부러짐 정도 내지 회전 정도를 변경한다(S4).즉, 사용자의 입력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오디오 장치(1b)는 구부러질 수 있다(S4).
사용자의 입력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디오 장치(1b)는 기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5). 즉, 사용자의 입력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디오 장치(1b)는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디오 장치(1b)는 직선형태로, 즉, 오디오 장치(1b)의 길이방향(L)으로 길게 뻗은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오디오 장치(1b)는 미리 설정된 값에 부합하도록 구부러지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값에 부합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부러짐을 주변기기와 연동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주변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주변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및 오디오 장치의 곡률 변형 설정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 내지 도 15 및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한다. 또한, 도 2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변기기(400)의 일 예로써,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10)의 곡률 변형을 설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10)의 곡률 변형 설정 창(100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는 오디오 장치(1b)의 구부러짐, 즉, 곡률을 주변기기(400)와 연동하여 조절하는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10) 뿐만 아니라 오디오 장치(1b)의 곡률 변형을 설정할 수 있도록 오디오 장치(1b)의 곡률 변형 설정 창(1000)을 표시할 수 있다.
곡률 변형 설정 창(1000)은 디스플레이부(410)의 곡률 변형 여부(P1) 및 오디오 장치(1b)의 곡률 변형 여부(P2)를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4는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의 곡률 변형 설정 창(1000)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곡률 변형 설정 창(1000)에 표시 가능한 항목은 도 24에 표시된 항목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곡률 변형 여부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 내지 도 15 및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한다. 또한, 도 2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변기기(400)의 일 예로써,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10)에 곡률 변형 설정 창(1000)이 표시되면, 입력부(430)는 오디오 장치(1b)의 곡률 변형 여부를 설정하는 항목(P2)에 대한 선택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5a는 사용자가 곡률 변형 여부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는 곡률 변형 여부 설정 창(110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5b와 같이, 곡률 변형 여부 설정 창(1100)이 표시되면, 입력부(430)는 오디오 장치(1b)의 곡률 변형을 수행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처럼, 오디오 장치(1b)의 곡률 변형 여부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정되면, 사용자의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구부러진 상태의 오디오 장치(1b)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b)의 곡률 변형 설정 창(1000)은 오디오 장치(1b) 자체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주변기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의 곡률 변형 여부를 설정하는 방법은 오디오 장치(1b)의 곡률 변형 여부를 설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a, 1b : 오디오 장치 10 : 제 1케이싱
20 : 제 2케이싱 30 : 유닛
40: 고정유닛 41 : 제 1고정돌기부 결합부
42 : 체결기둥부 43 : 제 1회전축관통홀
44 : 제 1톱니부 45 : 제 1보조톱니부
46 : 전달부재고정부 47 : 축 결합공
50 : 회동유닛 51 : 진동유닛
60 : 회전축 61 : 제 1회전축
62 : 제 2회전축 70 : 제 1유닛
71 : 진동유닛 안착부 72 : 제 1회전축 결합부
73 : 제 2회전축 결합부 74 : 연결유닛 안착부
75 : 제 1고정돌기부 76 : 제 2고정돌기부
77 : 제 1보조기어 78 : 제 2보조기어
80 : 제 2유닛 81 : 제 2고정돌기부 결합부
82 : 결합기둥부 83 : 제 2회전축관통홀
84 : 제 2톱니부 85 : 제 2보조톱니부
90 : 연결 유닛 91 : 로드
92a : 제 1치아부 92b : 제 2치아부
92c : 제 3치아부 93 : 제 1전달기어
93a : 제 1부속기어 93b : 제 2부속기어
94 : 제 2전달기어 94a : 제 1부속기어
94b: 제 2부속기어 95 : 연결기어
100 : 링크 유닛 110 : 전달부재
111 : 축 112 : 커버
113 : 기어부 120 : 링크
121 : 링크축 130 : 제 1링크 유닛
140 : 제 2링크 유닛 200 : 유닛
201 : 돌출부 210 : 앰프 유닛
220 : 스피커 유닛 221 : 제 1스피커 유닛
222 : 제 2스피커 유닛 230 : 진동유닛
240 : 패널 241 : 전면패널
242 : 하면패널 250 : 회전축
251 : 기둥부 251a : 헤드
252 : 기둥안착부 252a : 헤드결합부
252b : 테일결합부 253a, 253b : 개구
260 : 링크 유닛 270 : 연결부재
271 : 지지 가이드 272 : 방향전환 가이드
272a : 제 1슬라이드부 272b : 제 2슬라이드부
272c : 연결부 272d : 제 1홈부
272e : 제 2홈부 273 : 가이드 레일
274 : 래크 280 : 구동유닛
281 : 모터 282 : 구동축
290 : 기어 유닛 291 : 제 1기어
292 : 제 2기어 292a : 부속기어
292b : 피니언 293 : 제 3기어
293a : 제 1부속기어 293b : 제 2부속기어
294 : 전방기어 295 : 후방기어
300 : 프레임 310 : 축결합공
321 : 제 1축 322 : 제 2축
323 : 제 3축 330 : 커버
400 : 주변기기 410 : 디스플레이부
420 : 수신부 430 : 입력부
440 : 제어부 450 : 신호 처리부
460 : 디스플레이제어부 470 : 구동 제어부
480 : 제 1인터페이스 490 : 구동부
500 : 입력부 600 : 제 2인터페이스
700 : 제어부 800 : 구동부
900 : 사운드 출력부 1000 : 곡률 변형 설정 창
1100 : 곡률 변형 여부 설정 창

Claims (44)

  1.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마련되는 앰프 유닛;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앰프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별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앰프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회전동작을 컨트롤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별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이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기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 1기어;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제 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 2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에는 상기 구동축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리브가 결합되는 방향전환 가이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제 1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2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 1방향 또는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축방향으로 일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축방향으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축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스피커 유닛 및 제 2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 1스피커 유닛의 복수의 리브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 및 상기 제 2스피커 유닛의 복수의 리브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방향전환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제 1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 1스피커 유닛 및 상기 제 2스피커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축방향으로 일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 1스피커 유닛 및 상기 제 2스피커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축방향으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유닛은 상기 제 1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 2기어에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 유닛에는 상기 구동축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7.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축; 및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축은 상기 복수의 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상기 복수의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후방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은 상기 복수의 유닛의 회전동작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 및 상기 복수의 유닛 중 다른 하나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방향전환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지지 가이드 및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으로 제 1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가이드 레일과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 및 상기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 사이의 이격 거리가 후방을 향할수록 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축 및 상기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 사이의 이격 거리는 후방을 향할수록 더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니언(pin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마련되는 래크(rack)에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회전축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고정되는 앰프 유닛; 및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유닛을 가지고, 상기 앰프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8.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회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이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을 연결하는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유닛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일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의 다른 단부가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 1링크 유닛; 및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 2링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링크 유닛의 전달부재 및 상기 제 2링크 유닛의 전달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도록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동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결합되는 제 1회전축이 마련되는 제 1유닛;
    상기 제 1회전축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 1유닛에 마련되는 제 2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유닛; 및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이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 1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 1전달기어; 및
    상기 제 2유닛과 상기 제 2유닛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다른 단부를 연결하는 제 2전달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달기어 및 상기 제 2전달기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달기어는 상기 제 1유닛에 인접한 상기 고정유닛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제 1톱니부 및 상기 고정유닛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제 1치아부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달기어는 상기 제 1유닛에 인접한 상기 제 2유닛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제 2톱니부 및 상기 제 2유닛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다른 단부에 마련되는 제 2치아부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이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유닛과 멀어지는 제 1방향을 향하여 움직이고,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이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유닛과 가까워지는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39.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앰프 유닛;
    상기 앰프 유닛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앰프 유닛에 대하여 전방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연결되는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앰프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오디오 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상기 앰프 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 유닛에 대한 상기 스피커 유닛의 구부러진 정도 또는 구부러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 유닛 및 상기 스피커 유닛을 구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이 별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을 상기 앰프 유닛에 연결하는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이 상기 스피커 유닛과 함께 상기 앰프 유닛에 대하여 상호 구부러질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KR1020140115736A 2014-09-01 2014-09-01 오디오 장치 KR20160026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736A KR20160026583A (ko) 2014-09-01 2014-09-01 오디오 장치
PCT/KR2015/006960 WO2016035990A1 (en) 2014-09-01 2015-07-06 Audio device
US15/507,898 US10091577B2 (en) 2014-09-01 2015-07-06 Audio device
CN201510541498.7A CN105392090A (zh) 2014-09-01 2015-08-28 音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736A KR20160026583A (ko) 2014-09-01 2014-09-01 오디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583A true KR20160026583A (ko) 2016-03-09

Family

ID=5542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736A KR20160026583A (ko) 2014-09-01 2014-09-01 오디오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91577B2 (ko)
KR (1) KR20160026583A (ko)
CN (1) CN105392090A (ko)
WO (1) WO20160359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919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음향 트랜스듀서를 구비한 사운드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1878A (zh) * 2017-08-10 2019-02-26 惠州超声音响有限公司 扬声器
US10873797B2 (en) * 2017-12-29 2020-12-2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Rotating loudspeaker
USD876393S1 (en) * 2018-01-22 2020-02-25 Savant Systems, Llc In-wall line array speaker
CN112088536B (zh) * 2018-06-26 2023-11-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音频输出设备的角度修改
CN109348359B (zh) * 2018-10-29 2020-11-1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音响设备及其音效调整方法、装置、设备、介质
CN109889745B (zh) * 2019-03-19 2020-11-06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音箱结构及显示设备
DE102019127601B4 (de) * 2019-10-14 2023-08-17 Jade Hochschule Wilhelmshaven/Oldenburg/Elsfleth Wandlergruppe, insbesondere Lautsprechergruppe, sowie Einrichtung zum Messen oder Anregen mittels Signal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räumlich definierten Testanordnung mit der Wandlergruppe
USD932461S1 (en) * 2019-12-24 2021-10-05 Bose Corporation Soundbar
CN112190259B (zh) * 2020-09-10 2024-06-28 北京济声科技有限公司 用于测试声源定位能力的方法、测试者终端、受试者终端
CN213602013U (zh) 2020-12-29 2021-07-02 罗森伯格技术有限公司 用于天线的传动装置
USD996394S1 (en) * 2021-10-22 2023-08-22 Lg Electronics Inc. Sound ba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9893A1 (de) * 1980-10-09 1982-07-08 Mitsubishi Denki K.K., Tokyo Tragbare akustische einrichtung
JPH09303032A (ja) * 1996-05-16 1997-11-25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US20100202647A1 (en) * 2005-07-05 2010-08-12 Ricky Kuan Portable audio system
TWM285873U (en) * 2005-07-13 2006-01-11 Lite On Technology Corp Multimedia speaker mount
TW200803573A (en) * 2006-06-27 2008-01-01 Liu Jen Chi An expansible sound device
US8265319B2 (en) * 2007-09-24 2012-09-11 Zipbuds, LLC Expandable speaker assemblies for portable media devices
CN102208206A (zh) 2010-03-29 2011-10-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音频播放装置
US8520883B2 (en) * 2010-07-21 2013-08-27 Dennis A. Tracy Articulating speaker assembly providing for pivotal adjustment of connected first and second midrange members
TWM395325U (en) * 2010-08-19 2010-12-21 Jazz Hipster Corp Sound box in series structure
US20120308065A1 (en) 2011-06-02 2012-12-06 Funai Electric Co., Ltd. Sound bar
WO2013183133A1 (ja) * 2012-06-06 2013-12-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機器、並びにそれを備えた自動車及び住宅
US8976996B2 (en) * 2012-07-17 2015-03-10 Arima Communitions Corp. Array speaker structure for audio/video device
US20150036858A1 (en) * 2013-07-31 2015-02-05 Eyad Aboabdo Cube Speaker/Amplifier
KR101500150B1 (ko) * 2013-09-25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음향 제어 장치 및 방법
US9358934B2 (en) * 2014-06-03 2016-06-07 Hsin Chong Machinery Works Co. Ltd. Retractable speaker structure for use in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919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음향 트랜스듀서를 구비한 사운드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95426A1 (en) 2017-10-12
US10091577B2 (en) 2018-10-02
CN105392090A (zh) 2016-03-09
WO2016035990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6583A (ko) 오디오 장치
JP4407622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US7679578B2 (en) Headrest mountable video system
US745344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audio and video effects
CN108696809B (zh) 一种扬声器装置、电子设备及扬声器出音控制方法
WO2011125831A1 (ja) 携帯情報処理装置
CN107071532A (zh) 图像显示装置
KR102057172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피봇 소자
US20070104345A1 (en) In-ear type earphone with an ear hanger
US8016352B2 (en) Vehicle multimedia system for vehicle
US201100298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volume of combined audio channels
JP5499469B2 (ja) 音声出力装置、映像音声再生装置及び音声出力方法
JP2005515662A (ja) 複数チャネル・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
US2010005838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elevision integrated surround sound systems
JP4602301B2 (ja) テレビ受像機
EP1689102A2 (en) Low-frequency audio reproduction syste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from an electronic device
KR101892459B1 (ko)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JP5947932B2 (ja) 電子機器
US200701658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ou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569773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CN204360781U (zh) 一种汽车中置多媒体影音播放系统
CN105338441A (zh) 一种隐藏式自动伸缩音箱装置及方法
CN105898630A (zh) 一种隐藏式自动伸缩音箱装置及方法
EP2614657B1 (en) Dj mixing headphones
JP5240259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