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172B1 -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피봇 소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피봇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172B1
KR102057172B1 KR1020180063341A KR20180063341A KR102057172B1 KR 102057172 B1 KR102057172 B1 KR 102057172B1 KR 1020180063341 A KR1020180063341 A KR 1020180063341A KR 20180063341 A KR20180063341 A KR 20180063341A KR 102057172 B1 KR102057172 B1 KR 10205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ember
speaker unit
rotation
axi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앙 치아-리앙
린 유-주
유 칭-하오
수 후이-시우
웨이 유안-시유안
라이 차오-웬
Original Assignee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04R3/14Cross-ov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바디, 제2 바디, 피봇 기구, 연동 기구 및 제1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공개한다. 피봇 기구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피봇 연결되고,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및 제3 회전축을 포함하며, 제3 회전축은 배치부를 구비한다. 연동 기구는 제1 롤링 부재 및 제2 롤링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롤링 부재는 피봇 기구의 제3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2 롤링 부재는 피봇 기구의 제2 회전축에 연결된다. 제1 롤링 부재와 제2 롤링 부재는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롤링한다. 제1 스피커 유닛은 배치부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피봇 소자{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IVOTING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확성기라고도 하고, 이의 기능은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것이다. 노트북 컴퓨터 분야에서, 스피커는 컴퓨터 게임을 하거나 음악을 듣는 등 부분에 많이 사용된다. 현재 플립형 노트북 컴퓨터에 있어서, 이의 스피커는 내장되고 컴퓨터 노트북의 키보드를 구비하는 제2 바디 내에 고정되므로, 노트북 컴퓨터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 스피커의 소리 방향은 사용자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스피커가 방출한 소리가 차단되면, 스피커의 볼륨이 감소되어, 사용자가 음향 효과를 듣지 못하거나 명확하게 들을 수 없어, 사용자의 청각적 즐거움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피봇 기구의 스피커 유닛에 고정되고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상대적 운동에 따라 이의 소리 방향을 변화시켜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최적의 음향 효과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의 소리 방향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할 수 있는 피봇 소자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제1 바디, 제2 바디, 피봇 기구, 연동 기구 및 제1 스피커 유닛을 포함한다. 피봇 기구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피봇 연결되고,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및 제3 회전축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평행되게 배치되고, 제3 회전축은 제1 회전축의 일측에 위치하며 배치부를 구비한다. 연동 기구는 제1 롤링 부재 및 제2 롤링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롤링 부재는 피봇 기구의 제3 회전축에 연결되며, 제2 롤링 부재는 피봇 기구의 제2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1 롤링 부재와 제2 롤링 부재는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롤링한다. 제1 스피커 유닛은 배치부에 고정된다.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 피봇 기구의 제2 회전축은 제2 롤링 부재를 롤링시키고,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롤링 부재가 롤링하도록 구동하여 제3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하기에, 제1 스피커 유닛의 평면과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 정의한 기하학적 평면 사이에 협각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복수개의 토크부를 구비하는 토크 기구를 더 포함한다. 제1 회전축은 서로 대향하는 제1단과 제2단을 구비하고, 제1단은 제1 바디에 피봇 연결된다. 제2 회전축은 서로 대향하는 제3단과 제4단을 구비하고, 여기서 제3단은 제1단에 인접하며 제2 바디에 피봇 연결된다. 제3 회전축은 서로 대향하는 제5단 및 제6단을 구비하고, 여기서 제6단은 배치부를 구비하고, 제2단, 제4단 및 제5단에는 토크부가 씌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링 부재와 제2 롤링 부재 중 하나는 기어이고, 제1 롤링 부재와 제2 롤링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캠(ca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제2 바디 내에 내장되고, 소리 방향은 제2 바디의 상부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피커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제어기, 제1 센서, 제2 센서, 제1 오디오 증폭기 및 제2 오디오 증폭기를 더 포함한다. 제어기는 제2 바디 내에 배치된다. 제1 센서는 제1 바디 내에 배치되고,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의 각도와 모드를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제2 센서는 제2 바디 내에 배치되고,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의 각도와 모드를 감지하여 제2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제1 오디오 증폭기는 제1 스피커 유닛의 옆에 배치된다. 제2 오디오 증폭기는 제2 스피커 유닛의 옆에 배치된다. 제어기는 제1 센서의 제1 감지 신호와 제2 센서의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제1 오디오 증폭기와 제2 오디오 증폭기에 출력한다. 제1 오디오 증폭기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1 구동 신호를 제1 스피커 유닛에 출력하여 제1 스피커 유닛의 볼륨과 오디를 조절한다. 제2 오디오 증폭기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2 구동 신호를 제2 스피커 유닛에 출력하여 제2 스피커 유닛의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상기 전개 상태를 이룰 경우, 제2 롤링 부재와 제1 롤링 부재는 각도 범위 내에 있지 않아, 제1 롤링 부재를 구동하여 제3 회전축 회동을 회동시키지 않기에, 제1 스피커 유닛의 평면이 기하학적 평면과 평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 상태의 각도는 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거나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상기 전개 상태를 이룰 경우, 제2 롤링 부재는 제1 롤링 부재를 구동하여, 제1 스피커 유닛을 연동시켜, 제1 스피커 유닛의 평면과 기하학적 평면 사이에 협각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 상태의 각도는180도보다 크고 360도보다 작으며, 협각은 8도 내지 10도 사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상기 중첩 상태를 이룰 경우, 제2 롤링 부재는 제1 롤링 부재를 구동하여, 제1 스피커 유닛을 연동시켜, 제1 스피커 유닛의 평면과 기하학적 평면 사이에 협각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 기구는 제3 롤링 부재 및 제4 롤링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3 롤링 부재는 제1 롤링 부재에 연결되고, 제4 롤링 부재는 제3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3 롤링 부재와 상대적으로 롤링한다.
본 발명의 피봇 소자는 피봇 기구, 연동 기구 및 스피커 유닛을 포함한다. 피봇 기구는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및 제3 회전축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평행되게 배치되며, 제3 회전축은 제1 회전축의 일측에 위치하고 배치부를 구비한다. 연동 기구는 제1 롤링 부재 및 제2 롤링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롤링 부재는 피봇 기구의 제3 회전축에 연결되며, 제2 롤링 부재는 피봇 기구의 제2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1 롤링 부재와 제2 롤링 부재는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롤링한다. 스피커 유닛은 배치부에 고정된다. 피봇 기구의 제2 회전축이 제2 롤링 부재를 롤링시키고,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롤링 부재를 구동하여 제3 회전축을 회전시킬 경우, 스피커 유닛의 평면은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 정의한 기하학적 평면 사이에 협각을 이룬다.
상기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설계에서, 제1 스피커 유닛은 피봇 기구의 제3 회전축의 배치부에 고정되므로,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 피봇 기구의 제2 회전축은 제2 롤링 부재를 롤링시켜, 제1 롤링 부재가 롤링하도록 구동하거나 구동하지 않아, 제3 회전축의 제1 스피커 유닛의 소리 평면이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 정의한 기하학적 평면과 평행되거나 소리 평면과 기하학적 평면 사이에 협각을 이루도록 하고, 제1 스피커 유닛의 소리 방향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사용할 경우, 최적의 음향 효과를 들을 수 있고, 바람직한 청각적 즐거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과 장점을 보다 명확하고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하기에서 실시예를 예로 들고 도면을 결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피봇 소자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제어기이고, 제1 센서, 제2 센서, 제1 오디오 증폭기 및 제2 오디오 증폭기의 전기회로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전개 상태 하에서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2b와 도 2c는 도 2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다른 하나의 전개 상태 하에서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3b와 도 3c는 도 3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다른 하나의 전개 상태 하에서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4b와 도 4c는 도 4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5a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중첩 상태 하에서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5b와 도 5c는 도 5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피봇 소자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제어기이고, 제1 센서, 제2 센서, 제1 오디오 증폭기 및 제2 오디오 증폭기의 전기회로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전개 상태 하에서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2b와 도 2c는 도 2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다른 하나의 전개 상태 하에서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3b와 도 3c는 도 3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다른 하나의 전개 상태 하에서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4b와 도 4c는 도 4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5a는 도 1a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중첩 상태 하에서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5b와 도 5c는 도 5a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도 1a, 도 2a, 도 3a, 도 4a 및 도 5a의 일부 구성 요소는 사시의 방식으로 도시된다.
먼저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두 개의 피봇 소자를 포함한다. 각각의 피봇 소자는 피봇 기구(130), 연동 기구(140) 및 제1 스피커 유닛(150)을 포함한다. 피봇 기구(130)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 사이에 피봇 연결되고, 제1 회전축(132), 제2 회전축(134) 및 제3 회전축(136)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회전축(132)과 제2 회전축(134)은 평행되게 배치되고, 제3 회전축(136)은 제1 회전축(132)의 일측에 위치하며 배치부(133)를 구비한다. 연동 기구(140)는 제1 롤링 부재(142) 및 제2 롤링 부재(144)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롤링 부재(142)는 피봇 기구(130)의 제3 회전축(136)에 연결되며, 제2 롤링 부재(144)는 피봇 기구(130)의 제2 회전축(134)에 연결되고,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는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롤링한다(도 3c, 도 4c 및 도 5c를 참조). 제1 스피커 유닛(150)은 피봇 기구(130)의 제3 회전축(136)의 배치부(133)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제1 바디(110)는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이고, 제2 바디(120)는 예컨대 호스트(host)이며, 사용자는 피봇 기구(130)의 피봇에 의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하도록 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턴온하거나 턴오프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피봇 기구(130)의 제1 회전축(132)은 서로 대향하는 제1단(132a)과 제2단(132b), 여기서 제1단(132a)은 제1 바디(110)에 피봇 연결된다. 피봇 기구(130)의 제2 회전축(134)은 서로 대향하는 제3단(134a)과 제4단(134b)을 구비하고, 여기서 제3단(134a)은 제1단(132a)에 인접하고 제2 바디(120)에 피봇 연결된다. 피봇 기구(130)의 제3 회전축(136)은 서로 대향하는 제5단(136a)과 제6단(136b)을 구비하고, 여기서 제6단(136b)은 배치부(133)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토크 기구(170)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토크 기구(170)는 복수개의 토크부(172)를 구비하며, 제1 회전축(132)의 제2단(132b), 제2 회전축(134)의 제4단(134b) 및 제3 회전축(136)의 제5단(136a)에는 모두 토크부(172)가 씌움 설치되어 있어, 피봇 시 필요한 토크를 제공한다.
도 1b, 도 3c, 도 4c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기구(140)의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는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적 롤링을 발생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 중 하나는 기어이며,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 중 다른 하나는 캠이다. 여기서, 제1 롤링 부재(142)는 구체적으로 기어이고, 제2 롤링 부재(144)는 구체적으로 캠이며, 여기서 제1 롤링 부재(142)의 기어수는 제2 롤링 부재(144)의 기어수보다 많고, 제2 롤링 부재(144)는 특정된 영역에서만 기어수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는 특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상대적 롤링을 발생하고, 즉 제2 롤링 부재(144)는 제1 롤링 부재(142)를 구동하며,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는 서로 맞물리지만; 다른 영역 범위에 있을 경우, 제2 롤링 부재(144)는 제1 롤링 부재(142)를 구동할 수 없어,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 사이에 공행정을 형성한다. 또한, 연동 기구(140)는 제3 롤링 부재(146) 및 제4 롤링 부재(148)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3 롤링 부재(146)는 제1 롤링 부재(142)에 연결되며, 제4 롤링 부재(148)는 제3 회전축(136)에 연결되고 제3 롤링 부재(146)와 상대적으로 롤링한다. 상기 설계에 의해, 제1 롤링 부재(142)의 롤링을 구동하거나 구동하지 않아 제3 회전축(136)이 회전하거나 회전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스피커 유닛(150)을 연동시키거나 연동시키지 않아, 제3 회전축(136)의 제1 스피커 유닛(150)의 평면(T1)이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34)이 정의한 기하학적 평면(T2)과 평행되거나(도 2b를 참조) 또는 평면(T1)과 기하학적 평면(T2) 사이에 협각(R1(도 3b를 참조), R2(도 4b를 참조), R3(도 5b를 참조))을 이루도록 하여,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소리 방향(S1)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다(도 2a, 도 2b, 도 3a, 도 3b, 도 4a, 도 4b, 도 4a, 도 4b를 참조).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의 제1 스피커 유닛(150)은 소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피커 유닛이다. 여기서, 제1 스피커 유닛(150)은 구체적으로 고음 스피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제2 바디(120) 내에 내장되고, 소리 방향(S2)은 제2 바디(120)의 상부 표면(122)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피커 유닛(160)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제2 스피커 유닛(160)은 고정 소리 방향의 스피커 유닛이기에, 이의 소리 방향을 조절할 수 없다. 여기서, 제2 스피커 유닛(160)은 고음 스피커 또는 저음 스피커일 수 있고, 하기에서 모두 저음 스피커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제어기(210), 제1 센서(222), 제2 센서(224), 제1 오디오 증폭기(232) 및 제2 오디오 증폭기(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10)는 제2 바디(120) 내에 배치되고, 여기서 제어기(210)는 예컨대 단일 칩 시스템(SoC)으로, 시스템이 랩탑 모드(도 2a를 참조), 텐트 모드(도 3a를 참조), 비디오 모드(도 4a를 참조) 또는 태블릿 모드(도 5a를 참조)인 지를 판단한다. 제1 센서(222)는 제1 바디(110) 내에 배치되고,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의 각도와 모드를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L1)를 발생한다. 제2 센서(224)는 제2 바디(120) 내에 배치되고,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의 각도와 모드를 감지하여, 제2 감지 신호(L2)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1 센서(222)와 제2 센서(224)는 모두 중력 센서(G sensor)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오디오 증폭기(232)는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옆에 배치되고, 제2 오디오 증폭기(234)는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옆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오디오 증폭기(232)와 제2 오디오 증폭기(234)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L3)를 내부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를 통해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에 출력하고,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출력 가능한 최대 출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제어기(210)가 전송 인터페이스(예컨대 집적 회로 버스, I2C)를 통해 제1 센서(222)의 제1 감지 신호(L1)와 제2 센서(224)의 제2 감지 신호(L2)를 수신할 경우, 제어기(210)는 제1 감지 신호(L1) 및 제2 감지 신호(L2)에 따라 고음질 및 멀티채널의 전송 인터페이스(예컨대 HDA)를 통해 오디오 신호(L3)를 코덱(240)(예컨대 Codec)에 전송하고, 코덱(240)을 통해 오디오 신호(L3)를 인코딩 및 디코딩한다. 이 후, 전송 인터페이스(예컨대 I2C 또는 I2S)를 통해 편집된 오디오 신호(L3)를 제1 오디오 증폭기(232)와 제2 오디오 증폭기(234)에 전송한다. 제1 오디오 증폭기(232)는 오디오 신호(L3)를 수신하여 제1 구동 신호(L4)를 제1 스피커 유닛(150)에 출력하여 제1 스피커 유닛(150)의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한다. 제2 오디오 증폭기(234)는 오디오 신호(L3)를 수신하여 제2 구동 신호(L5)를 제2 스피커 유닛(160)에 출력하여 제2 스피커 유닛(160)의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한다.
간단히 말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제1 센서(222) 및 제2 센서(224)를 통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의 각도와 모드를 감지하여,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의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사용할 경우 바람직한 청각적 즐거움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 밖에, 본 실시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 설치하는 방식, 시스템에 의해 자동 조절 또는 수동 조절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의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100)가 최적의 음향 효과를 구비하도록 한다.
하기에서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100)가 랩탑 모드(도 2a를 참조), 텐트 모드(도 3a를 참조), 비디오 모드(도 4a를 참조) 또는 태블릿 모드(도 5a를 참조)의 상태 하에서,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상대적 위치와 소리 방향, 및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의 볼륨과 오디오를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전개 상태(P1)를 이룰 경우, 연동 기구(140)의 제2 롤링 부재(144)와 제1 롤링 부재(142)는 각도 범위 내에 있지 않고, 즉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 사이에 공행정을 형성하며, 제1 롤링 부재(142)가 제3 회전축(136)을 회동시키도록 구동하지 않기에, 제1 스피커 유닛(150)의 평면(T1)이 기하학적 평면(T2)과 평행되어,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소리 방향(S1)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다. 이때, 전개 상태(P1)의 각도는 예를 들어 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거나 같고, 즉 랩탑 모드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제1 센서(222)(도 1c를 참조)와 제2 센서(224)(도 1c를 참조)가 랩탑 모드를 감지할 경우, 사용자는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최대 대역폭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선택하여 사용자가 듣기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자동 조절을 사용하면, 이퀄라이저(equalizer)를 이용하여 랩탑 모드 하의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에 적합한 교차 주파수를 설정하여,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을 최대 대역폭을 포함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고음의 제1 스피커 유닛(150)은 사용자를 마주하기 때문에, 고음은 최적의 확장에 도달할 수 있어, 휴대용 전자 장치(100)가 바람직한 음향 효과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3c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전개 상태(P2)를 이룰 경우, 연동 기구(140)의 제2 롤링 부재(144)는 제1 롤링 부재(142)를 구동하고, 즉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는 서로 맞물려, 제1 스피커 유닛(150)을 연동시켜, 제1 스피커 유닛(150)의 평면(T1)과 기하학적 평면(T2) 사이에 협각(R1)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소리 방향(S1)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다. 이때, 전개 상태(P2)의 각도는 예를 들어 180도보다 크고 270도보다 작으며, 즉 텐트 모드이고, 협각(R1)는 예를 들어 8도 내지 10도 사이이다.
텐트 모드 하에서,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전면 가장자리는 아래로 향해 평면(예를 들어 테이블)과 접촉하고, 이때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소리 방향(S1)은 사용자를 향하며,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위치는 제1 바디(110)의 후방에 있고 전방으로 소리를 방출하며, 즉 소리 방향(S2)은 사용자를 향한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제1 센서(222)(도 1c를 참조)와 제2 센서(224)(도 1c를 참조)가 텐트 모드를 감지할 경우, 사용자는 제1 스피커 유닛(150)이 제2 스피커 유닛(160)과 평형되는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하도록 선택하여, 사용자가 듣기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자동 조절을 사용하면, 이퀄라이저(equalizer)를 이용하여 텐트 모드 하의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에 적합한 교차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저음의 제2 스피커 유닛(160)이 사용자를 향하기 때문에, 저음의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출력 볼륨 및 대역폭을 적절하게 감소시켜 고음의 제1 스피커 유닛(150)에 매칭시켜, 음향 평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전개 상태(P3)를 이룰 경우, 연동 기구(140)의 제2 롤링 부재(144)는 제1 롤링 부재(142)를 구동하고, 즉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는 서로 맞물려, 제1 스피커 유닛(150)을 연동시켜, 제1 스피커 유닛(150)의 평면(T1)과 기하학적 평면(T2) 사이에 협각(R2)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소리 방향(S1)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개 상태(P3)의 각도는 예를 들어 270도보다 크고 360도보다 작으며, 즉 비디오 모드이고, 협각(R2)는 예를 들어 8도 내지 10도 사이이다.
비디오 모드 하에서, 제2 바디(120)의 상부표면(122)은 아래로 향해 평면(예를 들어 테이블)과 접촉하고, 이때,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소리 방향(S1)은 사용자를 향하며, 제2 스피커 유닛(160)은 제1 바디(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소리 방향(S2)은 위로 향하여 사용자를 향하지 않는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제1 센서(222)(도 1c를 참조)와 제2 센서(224)(도 1c를 참조)가 비디오 모드를 감지할 경우, 사용자는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의 볼륨과 오디오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강화하도록 선택하여, 음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자동 조절을 사용하면, 이퀄라이저를 이용하여 비디오 모드 하의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의 교차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저음의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소리 방향(S2)이 위로 향하지만 사용자를 향하지 않고 어떠한 차폐도 없으므로, 저음의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출력 볼륨 및 대역폭을 적절하게 증가시켜,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저음의 성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중첩 상태(P4)를 이룰 경우, 연동 기구(140)의 제2 롤링 부재(144)는 제1 롤링 부재(142)를 구동하고, 즉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는 서로 맞물려, 제1 스피커 유닛(150)을 연동시켜, 제1 스피커 유닛(150)의 평면(T1)과 기하학적 평면(T2) 사이에 협각(R3)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소리 방향(S1)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다. 여기서, 중첩 상태(P4)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상대적으로 360도 뒤집어진 상태이고, 즉 태블릿 모드이다. 이때,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소리 방향(S1)은 사용자를 향하고,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위치는 제1 바디(110)의 후방에 있어, 제1 바디(110)에 의해 크게 차폐된다.
태블릿 모드 하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제1 센서(222)(도 1c를 참조)와 제2 센서(224)(도 1c를 참조)가 비디오 모드를 감지할 경우, 사용자는 제1 스피커 유닛(150)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강화하도록 선택하거나 제2 스피커 유닛(160)에 평형되는 볼륨과 오디오를 획득하여, 더욱 분명한 음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자동 조절을 사용하면, 이퀄라이저를 이용하여 태블릿 모드 하의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에 적합한 교차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저음의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소리 방향(S2)이 제1 바디(110)에 의해 차단되므로, 저음의 제2 스피커 유닛(160)의 출력 볼륨 및 대역폭을 크게 감소시켜 진동을 방지하고, 동시에 고음의 제1 스피커 유닛(150)에 매칭시켜 표면을 강화하여 선명도를 개선한다.
더 나아가, 랩탑 모드에 응답하여, 피봇 기구(130)에 위치한 배치부(133)의 제1 스피커 유닛(150)은 회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 사이에는 반드시 하나의 공행정이 있어야 하고, 사용자가 랩탑 모드 하에서 제1 스피커 유닛(150)의 위치를 고정하며, 즉 제1 스피커 유닛(150)의 평면(T1)은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34)이 정의한 기하학적 평면(T2)과 평행된다. 이 후, 기타 모드에 진입할 경우, 제1 롤링 부재(142)와 제2 롤링 부재(144)가 맞물리기 시작한 후에, 제1 스피커 유닛(150)은 회전을 시작하여 각도를 조절한다. 다시 말해서, 각도 범위 내에서, 피봇 기구(130)의 제2 회전축(134)은 제2 롤링 부재(144)를 롤링시켜 제1 롤링 부재(142)가 롤링하도록 구동하고, 제3 회전축(136)이 회전하도록 하여, 제1 스피커 유닛(150)의 평면(T1)과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34)이 정의한 기하학적 평면(T2) 사이에 협각(R1, R2, R3)을 이루도록 한다.
간단히 말하면, 다시 도 1c를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제1 센서(222)와 제2 센서(224)가 예를 들어 랩탑 모드, 텐트 모드, 비디오 모드, 태블릿 모드 등과 같은 상이한 모드를 감지할 경우, 제어기(210) 및 코덱(240)을 통해 오디오 신호(L3)를 제1 오디오 증폭기(232) 및 제2 오디오 증폭기(234)에 전달하여 신호를 증폭시킨다. 이때, 사용자 창이 팝업되어, 사용자는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의 볼륨과 오디오의 인터페이스 아이콘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선택한다. 만약 수동으로 변경하려면, 저음 강화 조절, 중주파 클리어 조절 및 고음 확장 세부 사항 조절을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자동 조절을 사용하면, 이퀄라이저를 이용하여 상이한 모드 하의 제1 스피커 유닛(150)과 제2 스피커 유닛(160)에 적합한 교차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설계에서, 피봇 기구에 고정된 스피커 유닛은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상대적 운동에 따라 이의 소리 방향을 변화시켜 사용자를 향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사용할 경우 최적의 음향 효과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센서를 통해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의 각도와 모드를 감지함으로써, 스피커 유닛의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사용할 경우 바람직한 청각적 즐거움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 밖에, 본 발명 실시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 설치하는 방식, 시스템에 의해 자동 조절 또는 수동 조절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스피커 유닛의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상기와 같이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과 보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100: 휴대용 전자 장치 110: 제1 바디 120: 제2 바디
122: 상부 표면 130: 피봇 기구 132: 제1 회전축
132a: 제1단 132b: 제2단 133: 배치부
134: 제2 회전축 134a: 제3단 134b: 제4단
136: 제3 회전축 136a: 제5단 136b: 제6단
140: 연동 기구 142: 제1 롤링 부재 144: 제2 롤링 부재
146: 제3 롤링 부재 148: 제4 롤링 부재 150: 제1 스피커 유닛
160: 제2 스피커 유닛 170: 토크 기구 172: 토크부
210: 제어기 222: 제1 센서 224: 제2 센서
232: 제1 오디오 증폭기 234: 제2 오디오 증폭기 240: 코덱
L1: 제1 감지 신호 L2: 제2 감지 신호 L3: 오디오 신호
L4: 제1 구동 신호 L5: 제2 구동 신호 S1, S2: 소리 방향
P1, P2, P3: 전개 상태 P4: 중첩 상태 R1, R2, R3: 협각
T1: 평면 T2: 기하학적 평면

Claims (12)

  1. 제1 바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피봇 연결되고,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및 제3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은 평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에 위치하며 배치부를 구비하는 피봇 기구;
    제1 롤링 부재 및 제2 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링 부재는 상기 피봇 기구의 상기 제3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롤링 부재는 상기 피봇 기구의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롤링 부재와 상기 제2 롤링 부재는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롤링하는 연동 기구; 및
    상기 배치부에 고정되는 제1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 상기 피봇 기구의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롤링 부재를 롤링시키며,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롤링 부재가 롤링하도록 구동시켜 상기 제3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하여, 제1 스피커 유닛의 평면(T1)과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정의되는 기하학적 평면(T2) 사이의 각도가 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토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서로 대향하는 제1단과 제2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단은 상기 제1 바디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서로 대향하는 제3단과 제4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3단은 상기 제1단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바디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제3 회전축은 서로 대향하는 제5단과 제6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6단은 상기 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단, 상기 제4단 및 상기 제5단에는 복수개의 토크부가 씌움 설치되어 있는 토크 기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링 부재와 상기 제2 롤링 부재 중 하나는 기어이고, 상기 제1 롤링 부재와 상기 제2 롤링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캠(cam)인 휴대용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내에 내장되고, 소리 방향은 상기 제2 바디의 상부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피커 유닛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내에 배치된 제어기;
    상기 제1 바디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의 각도와 모드를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서;
    상기 제2 바디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경우의 각도와 모드를 감지하여 제2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의 옆에 배치되는 제1 오디오 증폭기; 및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의 옆에 배치되는 제2 오디오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센서의 상기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2 센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증폭기와 상기 제2 오디오 증폭기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증폭기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에 출력하여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의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하며, 상기 제2 오디오 증폭기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에 출력하여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의 볼륨과 오디오를 조절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전개 상태를 이룰 경우, 상기 제2 롤링 부재와 상기 제1 롤링 부재는 상기 각도 범위 내에 있지 않아, 상기 제1 롤링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제3 회전축을 회동시키지 않기에,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의 상기 평면이 상기 기하학적 평면과 평행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상태의 각도는 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거나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전개 상태를 이룰 경우, 상기 제2 롤링 부재는 상기 제1 롤링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을 연동시켜,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의 상기 평면과 상기 기하학적 평면 사이에 협각을 이루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상태의 각도는 180도보다 크고 360도보다 작으며, 상기 협각은 8도 내지 10도 사이인 휴대용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중첩 상태를 이룰 경우, 상기 제2 롤링 부재는 상기 제1 롤링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을 연동시켜,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의 상기 평면과 상기 기하학적 평면 사이에 협각을 이루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제3 롤링 부재 및 제4 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롤링 부재는 상기 제1 롤링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4 롤링 부재는 상기 제3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롤링 부재와 상대적으로 롤링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2.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및 제3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은 평행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에 위치하고 배치부를 구비하는 피봇 기구;
    제1 롤링 부재 및 제2 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링 부재는 상기 피봇 기구의 상기 제3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롤링 부재는 상기 피봇 기구의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롤링 부재와 상기 제2 롤링 부재는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롤링하는 연동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부에 제1 스피커 유닛이 고정되고, 상기 피봇 기구의 상기 제2 회전축이 상기 제2 롤링 부재를 롤링시키며,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롤링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제3 회전축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의 평면(T1)과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정의되는 기하학적 평면(T2) 사이의 각도가 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 소자.
KR1020180063341A 2017-10-06 2018-06-01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피봇 소자 KR102057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34508A TWI643057B (zh) 2017-10-06 2017-10-06 可攜式電子裝置與樞轉組件
TW106134508 2017-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172B1 true KR102057172B1 (ko) 2019-12-18

Family

ID=6543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341A KR102057172B1 (ko) 2017-10-06 2018-06-01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피봇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81958B2 (ko)
JP (1) JP6559845B2 (ko)
KR (1) KR102057172B1 (ko)
CN (1) CN109634355B (ko)
TW (1) TWI6430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619B1 (ko) * 2021-03-31 2022-04-08 주식회사 에스코넥 힌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8524B (zh) * 2018-04-20 2021-02-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揚聲模組的電子裝置
US10901466B2 (en) * 2018-08-24 2021-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act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US10955494B2 (en) * 2018-09-26 2021-03-23 Apple Inc. Magnetic field sensor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758455B1 (ja) * 2019-06-03 2020-09-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TWI776170B (zh) * 2019-07-11 2022-09-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14661093B (zh) * 2022-03-16 2023-12-08 苏州三星电子电脑有限公司 连接装置以及具有该连接装置的可携式电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184B1 (ko) * 2004-12-09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948B1 (ko) * 1996-07-03 1999-06-15 김광호 스피커 커버 구조를 갖춘 노트 피씨
KR100481845B1 (ko) * 1998-06-10 200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폰을 갖는 휴대형 컴퓨터
US6078497A (en) * 1999-01-29 2000-06-20 Hewlett-Packard Comp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nhanced speaker system
US6567677B1 (en) * 2000-08-14 2003-05-20 Seth David Sokoloff Notebook computer-telephone
KR100459543B1 (ko) * 2002-07-10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CN100517166C (zh) * 2006-06-02 2009-07-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笔记本电脑
CN102298421B (zh) * 2006-09-01 2014-04-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屏幕可旋转的便携式电子设备
CN101201649A (zh) * 2006-12-14 2008-06-18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具有旋转喇叭的笔记型计算机
US20090001232A1 (en) * 2007-06-27 2009-01-01 Dong-Min Seo Mobile device
CN101957550B (zh) * 2009-07-20 2012-03-21 宏碁股份有限公司 摄影机调整机构
CN102176765A (zh) 2011-01-31 2011-09-07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控制电子装置上扬声器的方法与电子装置
TWI488026B (zh) 2011-12-30 2015-06-11 Compal Electronics Inc 可折疊電子裝置
TW201433974A (zh) 2013-02-26 2014-09-01 Acer Inc 行動裝置以及音效處理方法
TWI544157B (zh) * 2013-04-15 2016-08-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具有電子模組之可攜式電子裝置
TWI487466B (zh) * 2013-05-22 2015-06-01 Wistron Corp 樞紐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
TWI504336B (zh) * 2013-07-05 2015-10-11 Pegatron Corp 轉軸模組及使用其之電子裝置
TWM483641U (zh) * 2014-02-25 2014-08-01 First Dome Corp 雙軸樞紐之平行度穩定結構
TW201612677A (en) * 2014-09-26 2016-04-01 Acer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486704B (zh) * 2015-01-05 2018-05-04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笔记本电脑
US9794660B2 (en) * 2015-09-25 2017-10-17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sound bar hinge assembl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JP6797393B2 (ja) * 2016-06-02 2020-12-09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US10146268B2 (en) * 2016-08-11 2018-1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W201813484A (zh) * 2016-09-06 2018-04-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連動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184B1 (ko) * 2004-12-09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619B1 (ko) * 2021-03-31 2022-04-08 주식회사 에스코넥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81958B2 (en) 2019-05-07
US20190107867A1 (en) 2019-04-11
CN109634355A (zh) 2019-04-16
JP2019071601A (ja) 2019-05-09
TW201915640A (zh) 2019-04-16
CN109634355B (zh) 2022-02-25
TWI643057B (zh) 2018-12-01
JP6559845B2 (ja)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172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피봇 소자
US1095021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US6882335B2 (en) Stereophonic reproduction maintaining means and methods for operation in horizontal and vertical A/V appliance positions
US10555101B2 (en) Portable speaker configurations
US10165378B2 (en) Speaker module, display device having a speaker module, audio adjust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nchronization method for playing multi-language sound
KR100283639B1 (ko)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8696809B (zh) 一种扬声器装置、电子设备及扬声器出音控制方法
TWI544157B (zh) 具有電子模組之可攜式電子裝置
JP4535006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135260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レシーバならびに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4166272A (ja) オーディオ装置およびその改良
WO2019019420A1 (zh) 一种播放声音的方法及多屏终端
CN109478404A (zh) 可调节的声透镜和扬声器组件
TWM526238U (zh) 可依據使用者年齡調整等化器設定之電子裝置及聲音播放裝置
JP2008085803A (ja) 着せ替えパネル及び携帯端末機器
JPH09274557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H08307981A (ja) スピーカーを持つ携帯機器
JP2002101171A (ja) 無線情報端末機
EP3462751B1 (en) Speaker assembly
KR20010047989A (ko) 텔레비젼의 스피커장치와 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1330362B2 (en) Acoustic device
JP6758455B1 (ja) 電子機器
JP2011166256A (ja) 音響再生装置
KR20050122806A (ko) 5.1채널 사운드 디스플레이기기
JP3048252U (ja) ノートブック型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