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459B1 -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459B1
KR101892459B1 KR1020130056779A KR20130056779A KR101892459B1 KR 101892459 B1 KR101892459 B1 KR 101892459B1 KR 1020130056779 A KR1020130056779 A KR 1020130056779A KR 20130056779 A KR20130056779 A KR 20130056779A KR 101892459 B1 KR101892459 B1 KR 101892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dio
spectacle
content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125A (ko
Inventor
한제희
서제환
조주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8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3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monoscop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yeglass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 및 제2 글래스, 제1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글래스를 구동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 제1 및 제2 글래스가 장착되는 안경 프레임 및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GLASSES APPARATUS FOR WATCHING DISPLAY IMAG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구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3D 컨텐츠의 제공 등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안경 장치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경우, 그 사용자에게 선택된 컨텐츠의 오디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오디오 음향을 그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안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에 있어서, 제1 무선통신방식으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동기화 되어 구동되는 제1 및 제2 글래스, 상기 제1 및 제2 글래스가 장착되는 안경 프레임, 제2 무선통신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유닛, 상기 버퍼유닛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은 상기 안경 프레임에 통합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은 상기 안경 프레임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유닛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 음향을 생성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글래스가 장착되는 글래스 장착부 및 상기 글래스 장착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유닛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한 쪽 귀에 대응하는 제1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의 다른 쪽 귀에 대응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는, 상기 글래스 장착부에 연결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부를 내장하며 제1 음향 방출공을 구비한 제1 내장부 및 상기 밴드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출력부를 내장하며 제2 음향 방출공을 구비한 제2 내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내장부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내장부는 상기 밴드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장부는,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연결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음향 방출공을 가진 제1 음향 방출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장부는, 상기 밴드부의 타단에 연결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음향 방출공을 가진 제2 음향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제1 음향 방출부에 내장되며, 상기 제2 출력부는 상기 제2 음향 방출부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의 회동 방향은 안경 장치 착용시 사용자의 측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장부는,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연결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에 장착된 제1 연결구 및 상기 제1 연결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음향 방출공을 가진 제1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장부는, 상기 밴드부의 타단에 연결된 제2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에 장착된 제2 연결구 및 상기 제2 연결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음향 방출공을 가진 제2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구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구의 회동 방향은, 안경 장치 착용시 사용자의 측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삽입구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의 회동축과 상기 제1 삽입구의 회동축은 서로 직교하며, 상기 제2 연결구의 회동축과 상기 제2 삽입구의 회동축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삽입구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삽입구의 슬라이딩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삽입구의 회동축들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유닛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한 쪽 귀에 대응하는 제1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의 다른 쪽 귀에 대응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글래스가 장착되는 글래스 장착부, 상기 글래스 장착부에 연결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제1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부를 내장하며 상기 사용자의 한 쪽 귀에 삽입되는 제1 음향 방출부, 상기 밴드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와 제2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출력부를 내장하며 상기 사용자의 다른 쪽 귀에 삽입되는 제2 음향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상기 안경 장치의 비사용시 상기 제1 음향 방출부를 보관하기 위한 제1 보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에는 상기 안경 장치의 비사용시 상기 제2 음향 방출부를 보관하기 위한 제2 보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유닛은 충전용 배터리 또는 교환용 배터리를 전원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은 RF, 블루투스, 지그비 및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 음향을 생성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오디오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글래스, 상기 제1 및 제2 글래스가 장착되는 안경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유닛, 상기 버퍼유닛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은 상기 안경 프레임에 통합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 장치를 통해 컨텐츠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동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동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동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가 안경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가 안경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사용시 및 비사용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복수의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전송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개별적인 패킷으로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안경 장치의 또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24는 복수의 패킷 형태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하는 안경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안경 장치(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안경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안경 장치(200)로 각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휴대폰, PDA, 노트북 PC, 모니터, 태블릿 PC, 전자 책, 전자 액자, 키오스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안경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신호에 따라 좌안 및 우안 셔터 글래스의 오픈 타이밍을 제어한다. 즉, 안경 장치(200)는 수신된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 동안 좌안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픈하여,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영상을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안경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동기화 신호에 따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1 내지 4 중 컨텐츠 1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좌안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경 장치(200)는 컨텐츠 1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좌안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픈시킴으로써, 안경 장치(200-1)를 착용한 사용자는 해당 안경 장치(200-1)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중 컨텐츠 1에 대한 비디오 영상을 볼 수 있다.
한편, 컨텐츠1 내지 4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1 내지 4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대응하여 컨텐츠1 내지 4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컨텐츠1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좌안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픈하는 안경 장치(200-1)는 컨텐츠1이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컨텐츠 1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착용한 안경 장치(200-1)를 통해 컨텐츠 1에 대한 비디오 영상을 보면서, 동시에 컨텐츠 1에 대한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한편, 또다른 안경 장치(20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동기화 신호에 따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들 중 컨텐츠 3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좌안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픈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1 내지 4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1 내지 4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대응하여 컨텐츠1 내지 4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컨텐츠 3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셔터 글래스를 오픈하는 안경 장치(200-2)는 컨텐츠 3이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컨텐츠3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착용한 안경 장치(200-2)를 통해 컨텐츠 3에 대한 비디오 영상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 3에 대한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경 장치(200)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영상을 보고 있는 사용자는 자신이 착용한 안경 장치(200)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조작시켜, 현재 시청중인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현재 시청중인 컨텐츠에 대한 채널에서 또다른 채널로 조정하거나 혹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하는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컨텐츠는 2D 컨텐츠가 될 수도 있고, 3D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3D 컨텐츠란 동일한 객체(object)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표현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지금까지,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안경 장치(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편광 글래스 방식(또는 패시브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편광 글래스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의 각 프레임을 라인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라인을 조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가령, 두 개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제1 컨텐츠의 프레임을 복수 개의 제1 라인으로 구분하고, 제2 컨텐츠의 프레임을 복수 개의 제2 라인으로 각각 구분한다. 그리고, 제1 라인들 중 홀수 라인과 제2 라인들 중 짝수 라인을 조합하여 제1 프레임을 생성하고, 제1 라인들 중 짝수 라인과 제2 라인들 중 홀수 라인을 조합하여 제2 프레임을 생성한다. 편광 글래스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편광 글래스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티큘러 렌즈나 패러랙스 배리어를 이용하여 각 라인의 편광 방향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좌안 및 우안 글래스가 모두 제1 편광 방향으로 구현된 제1 안경 장치에서는 제1 프레임의 홀수 라인과 제2 프레임의 짝수 라인을 볼 수 있게 되고, 좌안 및 우안 글래스가 모두 제1 편광 방향에 수직한 제2 편광 방향으로 구현된 제2 안경 장치에서는 제1 프레임의 짝수 라인과 제2 프레임의 홀수 라인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편광 글래스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에서는 액티브 셔터 글래스, 셔터 글래스 구동부, 제1 통신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광 방식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안경 장치는, 제1 및 제2 글래스, 이들 글래스가 장착되는 안경 프레임,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유닛, 버퍼유닛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유닛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모듈은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RF 무선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은 안경 프레임에 통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이 안경 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편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컨텐츠를 라인 바이 라인(line by line) 방식으로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한다. 이 경우, 안경 장치는 편광 안경 장치가 사용되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자신이 착용한 편광 안경 장치를 통해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영상을 볼 수 있다. 각각의 편광 안경 장치는 오디오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패시브 방식에서도 사용자는 안경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영상 및 그에 대응하는 오디오 음향을 시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 뷰 모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싱글 뷰(하나의 컨텐츠를 시청) 모드, 특히 3D 컨텐츠를 싱글 뷰 모드로 시청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오디오 모듈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도 2의 안경 장치(2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와 연동하며, 입력부(271), 처리부(272), 셔터 글래스부(276), 전원부(278), 및 오디오 모듈(280)을 포함한다.
입력부(271)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71)는 안경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 명령,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와의 페어링 수행을 위한 페어링 명령, 컨텐츠 뷰 전환 명령, 프라이빗 또는 퍼블릭 모드 설정을 위한 모드 설정 명령, 3D 모드 또는 듀얼 뷰 모드 설정 명령, 안경 장치(200)의 오디오 볼륨 조절을 위한 조절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71)는 터치 센서, 조작 버튼, 슬라이드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처리부(272)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273), 영상 데이터 처리부(274), 및 오디오 모듈(280)을 이루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를 포함한다.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하기 오디오 모듈(280) 설명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및 제어부(284)는 오디오 모듈(280) 내에 포함되지 않고, 안경 장치(200) 내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인터페이스 모듈(273)는,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데이터 수신부(273)는 인터페이스부(273-1)와 수신부(273-2)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73-1)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73-1)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와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화 신호가 포함된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스트림은 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동기화되어 안경 장치(200)의 제1 셔터 글래스부(276-2)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76-3)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안경 장치(200)는 자신의 안경 장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셔터 글래스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인터페이스부(273-1)는 IR 수신 모듈로 구현되어 특정 주파수로 가지는 적외선 형태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동기화되도록 안경 장치(200)의 제1 셔터 글래스부(276-2)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76-3)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73-1)는 스위칭 모드가 개시되면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IR 동기화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스위칭 모드가 종료되면 종료된 시점에 수신되던 IR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273-1)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각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 레이트(rate), 영상 프레임 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부(273-2)는 인터페이스부(273-1)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영상 데이터 처리부(274)는 수신부(273-1)에서 수신된 동기화 신호를 셔터 글래스 구동부(276-1)로 전달하여, 셔터 글래스 구동부(276-1)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영상 데이터 처리부(274)는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제1 셔터 글래스부(276-2)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76-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가 생성되도록 셔터 글래스 구동부(276-1)를 제어한다.
셔터 글래스부(276)는 셔터 글래스 구동부(276-1), 제1 셔터 글래스부(276-2),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76-3)를 포함한다.
셔터 글래스 구동부(276)는 영상 데이터 처리부(274)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셔터 글래스 구동부(276)는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제1 셔터 글래스부(276-2)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76-3)를 오픈시킬 수 있다.
제1 셔터 글래스부(276-2)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76-3)는 셔터 글래스 구동부(276-1)로부터 수신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셔터 글래스부(276-2)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76-3)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 셔터 글래스를 동시에 오픈하고, 다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 셔터 글래스 모두를 오프한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는 하나의 컨텐츠 만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3D 컨텐츠의 경우, 제1 셔터 글래스부(276-2)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76-3)는 각각의 글래스를 번갈아 개폐할 수 있다. 즉, 구동 신호에 따라 하나의 3D 컨텐츠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제1 셔터 글래스부(276-2)를 개방하고, 우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제2 셔터 글래스부(276-3)를 개방할 수 있다.
전원부(278)는 안경 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안경 장치(200) 내에 별도의 배터리로써 내장될 수 있고, 충전형 또는 교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경 장치(200)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부(278)가 충전될 수 있도록 유에스 비 포트 등의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및 제어부(284)은 오디오 모듈(28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은,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은 인터페이스부(282-1) 및 수신부(28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82-1)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82-1)는 RF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282-1)는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82-2)는 인터페이스부(282-1)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조부, 등화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의 인터페이스부(282-1)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도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282-1)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82-1)는 블루투스 방식 이외에도, 지그비(Zigbee) 및 적외선 통신(IR:Infra Red)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기타 근거리에서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인터페이스부(282-1)는 앞선 제1 인터페이스 모듈(273)의 인터페이스부(273-1)와 통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부(282-2)는 인터페이스부(282-1)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각종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버퍼유닛(283)은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일시 저장한다.
제어부(284)는 버퍼유닛(283)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오디오 출력 유닛(285)으로 제공한다. 도 2에서는 오디오 신호가 제어부(284)를 통해서 오디오 출력 유닛(285)으로 제공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실제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 유닛(285)으로 직접 제공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유닛(285)은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 및 출력부(287)를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오디오 음향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오디오 디코딩, 노이즈 필터링, 증폭 등과 같은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287)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에서 생성된 오디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출력부(287)는 제1 및 제2 구동부(288-1, 289-1), 제1 및 제2 출력부(288-2, 28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88-1)는 제1 출력부(288-2)를 구동하고, 제2 구동부(289-1)는 제2 출력부(289-2)를 구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출력부(288-2, 289-2)는 각각 사용자의 양측 귀에 대응된다. 예로써, 제1 출력부(288-2)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오디오 음향을 출력하며, 제2 출력부(289-2)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오디오 음향을 출력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 동작과 그 처리에 대한 세부 동작에 대해서는 명세서 후반부에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밖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안경 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안경 장치(200)는, 좌안 및 우안 글래스(222, 224), 안경 프레임(210), 및 전술한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글래스(222, 224)는 동기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의 비디오 영상에 대응되는 광을 사용자의 눈을 향해 투과시킨다. 제1 및 제2 글래스(222, 224)는 동시에 턴-온 및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및 제2 글래스(222, 224)를 통해 선택된 컨텐츠의 비디오 영상을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글래스(222, 224)는 대략 사각형인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원형, 타원형 등의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안경 프레임(210)은 안경 장치(200)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며, 일반적인 안경테의 형상과 유사하다.
안경 프레임(210)은, 글래스 장착부(220)와, 착용부(230)를 포함한다.
글래스 장착부(220)에는 전술한 제1 및 제2 글래스(222, 224)가 장착된다.
착용부(230)는 밴드부(240), 제1 내장부(250), 및 제2 내장부(260)를 포함한다.
밴드부(240)는 착용시 사용자의 두상을 감쌀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전면부 하측에서 글래스 장착부(220)와 연결된다.
제1 내장부(250)는 밴드부(240)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2 내장부(260)는 밴드부(240)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 내장부(250, 260)는 안경 장치(200) 착용시 사용자의 두상 측면 및 후면을 지지한다.
제1 내장부(250)는 밴드부(24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몸체부(252)와, 제1 몸체부(254)에 장착되며 제1 음향 방출공(233)을 가진 제1 음향 방출부(254)를 포함한다.
제2 내장부(260)는 밴드부(240)의 타단에 연결된 제2 몸체부(262)와, 제2 몸체부(262)에 장착되며 제2 음향 방출공(235)을 가진 제2 음향 방출부(26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254, 264)는 제1 및 제2 몸체부(252, 262)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하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254, 264)는 제1 및 제2 몸체부(252, 262)와 분리된 구성들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254, 264)는 각각 제1 및 제2 몸체부(252, 262) 아래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안경 장치(200)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254, 264)는 사용자가 안경 장치(200) 착용시 제1 및 제2 음향 방출공(233, 235)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오디오 음향을 사용자의 귀바퀴 측으로 중점적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
안경 장치(200) 착용시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254, 264)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254, 264)의 제1 및 제2 음향 방출공(233, 235)을 통해 방출되는 선택된 컨텐츠의 오디오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은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을 포함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오디오 모듈(280)은 전체적으로 안경 장치(200)의 안경 프레임(210) 에 통합적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모듈(280)은 전체적으로 안경 장치(200)의 안경 프레임(210) 내에 내장된다. 즉, 오디오 모듈(280)을 구성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은 모두 안경 프레임(210) 내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287)의 제1 출력부(288-2)는 제1 음향 방출부(254)에 내장되고, 출력부(287)의 제2 출력부(289-2)는 제2 음향 방출부(264)에 내장되며,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제1 및 제2 몸체부들(252, 262)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될 수 있다.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들(254, 264)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내장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동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3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안경 장치(2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 장치(300)는, 제1 및 제2 글래스(322, 324), 안경 프레임(310), 및 전술한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글래스(322, 324)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안경 프레임(310)은 글래스 장착부(320)와 착용부(330)를 포함한다.
착용부(330)는, 글래스 장착부(320)와 연결되는 밴드부(340)와, 밴드부(3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내장부(350)와, 밴드부(34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내장부(360)를 포함한다.
제1 내장부(350)는 제1 몸체부(352)와 제1 음향 방출부(354)를 포함하고, 제2 내장부(360)는 제2 몸체부(362)와 제2 음향 방출부(36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354, 364)는 각각 제1 및 제2 음향 방출공(333, 335)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354, 364)는 각각 제1 및 제2 몸체부(352, 36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354, 364)의 회동 방향은 안경 장치 착용시 사용자의 두상을 기준으로 할 때, 사용자의 두상 측면과 평행한 방향이다.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354, 364)는 상부 일측이 제1 및 제2 몸체부(352, 362)로부터 회동이 가능한 구조, 예로써, 힌지 구조 등으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354, 364)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음향 방출부(364)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안경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자신의 귀 위치를 고려하여 원하는 오디오 음향을 잘 들릴 수 있도록 제2 음향 방출부(36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음향 방출부 역시 회동을 통한 위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354, 364)는 제1 실시예의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354, 364)의 길이는 안경 장치(300) 착용시 제1 및 제2 음향 방출공(333, 335)이 사용자의 귀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은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을 포함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오디오 모듈(280)은 전체적으로 안경 장치(300)의 안경 프레임(310) 에 통합적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모듈(280)은 전체적으로 안경 장치(300)의 안경 프레임(310) 내에 내장된다. 즉, 오디오 모듈(280)을 구성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은 모두 안경 프레임(310) 내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287)의 제1 출력부(288-2)는 제1 음향 방출부(354)에 내장되고, 출력부(287)의 제2 출력부(289-2)는 제2 음향 방출부(364)에 내장되며,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제1 및 제2 몸체부들(352, 362)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될 수 있다.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들(354, 364)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내장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안경 장치(300)는 사용자가 안경 장치(300)를 착용할 경우, 제1 및 제2 음향 방출공(333, 335)이 사용자의 귀 구멍에 대응되는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복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멀티 뷰를 시청할 경우,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는 각 사용자들이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에서 나오는 오디오 음향에 방해받지 않고, 자신이 시청하는 컨텐츠의 오디오 음향을 잘 들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동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4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안경 장치(2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안경 장치(400)는 제1 및 제2 글래스(422, 424), 안경 프레임(410), 및 전술한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글래스(422, 424)의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기재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안경 프레임(410)은, 글래스 장착부(420)와 착용부(430)를 포함한다.
글래스 장착부(420)에는 전술한 제1 및 제2 글래스(422, 424)가 장착된다.
착용부(430)는, 밴드부(440)와, 제1 내장부(450), 및 제2 내장부(460)를 포함한다.
밴드부(440)는, 착용시 사용자의 두상을 감쌀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전면부 하측에서 글래스 장착부(220)와 연결된다.
제1 내장부(450)는 밴드부(44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몸체부(452)와, 제1 몸체부(452)에 장착된 제1 연결구(454) 및 제1 연결구(454)에 설치되며 제1 음향 방출공(433)을 가진 제1 삽입구(456)를 포함한다.
제2 내장부는(460)은 밴드부(440)의 타단에 연결된 제2 몸체부(462)와, 제2 몸체부(462)에 장착된 제2 연결구(464) 및 제2 연결구(464)에 설치되며 제2 음향 방출공(435)을 가진 제2 삽입구(46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구(454, 464)는, 제1 및 제2 몸체부(452, 46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및 제2 연결구(454, 464)의 회동 방향은 안경 장치 착용시 사용자의 두상을 기준으로 할 때, 사용자의 두상 측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삽입구(456, 466)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구(454, 464)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제1 연결구(454)의 회동축과 제1 삽입구(456)의 회동축은 서로 직교하며, 제2 연결구(464)의 회동축과 제2 삽입구(466)의 회동축은 서로 직교한다. 즉, 제1 및 제2 삽입구(456, 466)의 회동 방향은, 안경 장치 착용시 사용자의 두상을 기준으로 할 때, 사용자의 두상 전후면과 평행한 방향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 삽입구(456, 466)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구(454, 464)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및 제2 삽입구(456, 466)의 슬라이딩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삽입구(456, 466)의 회동축들과 나란한 방향이다. 제1 및 제2 삽입구(456, 466)의 슬라이딩은 후술하는 도 12에 도시된 슬라이딩 부재(468)에 의해 가능하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장치(400)는 제2 삽입구(466)가 사용자의 귀구멍측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도 10에는 제2 삽입구(466)가 사용자의 귀구멍측으로 회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제2 연결구(464)의 회동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연결구(464)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다. 도 12에는 제2 삽입구(466)의 슬라이딩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삽입구(466)는 슬라이딩 부재(468)를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사용자는 전술한 각 구성에 따른 회동 및 슬라이딩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 삽입구(466)를 위치시켜 오디오 음향을 들을 수 있고, 각 회동 및 슬라이딩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동작 순서 역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삽입구(456, 466)는 안경 장치 착용시 사용자의 귀 구멍 안으로 삽입된다. 이는 오디오 음향을 이어폰 등으로 청취하는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400)는 사용자가 안경 장치(400)에서 나오는 오디오 음향을 다른 사용자의 방해를 받지 않고, 더 잘 들을 수 있고, 해당 사용자 역시 다른 사용자에게 자신의 오디오 음향으로 인해 불편을 끼칠 염려가 더 적어진다.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은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을 포함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오디오 모듈(280)은 전체적으로 안경 장치(400)의 안경 프레임(410) 에 통합적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모듈(280)은 전체적으로 안경 장치(400)의 안경 프레임(410) 내에 내장된다. 즉, 오디오 모듈(280)을 구성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는 모두 안경 프레임(410) 내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287)의 제1 출력부(288-2)는 제1 연결구(454)에 내장되고, 출력부(287)의 제2 출력부(289-2)는 제2 연결구(464)에 내장되며,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제1 및 제2 몸체부들(452, 462)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될 수 있다.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제1 및 제2 연결구(454, 464)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내장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동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5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안경 장치(2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 도 14는 안경 장치(500)의 측면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반대쪽 측면 역시 전술한 실시예서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측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 도 14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500)는 제1 및 제2 글래스, 안경 프레임(510), 및 전술한 오디오 모듈(200, 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글래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안경 프레임(510)은 글래스 장착부(520)와 착용부(530)를 포함한다.
*착용부(530)는 밴드부(540)와 제1 및 제2 내장부(56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내장부(560)는 밴드부(54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사용자는 안경 장치(500) 위치 조절시 제1 및 제2 내장부(560)를 슬라이딩시켜 원하는 위치를 조절 가능하다.
제1 및 제2 내장부(560)는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564)와 제1 및 제2 삽입구(56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삽입구(566)는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564)의 하측에 장착되고, 착용시 사용자의 귀구멍으로 바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안경 장치(500)는 사용자의 안경 장치(500) 착용시 글래스 장착부(520)가 사용자의 콧등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삽입구(566)가 사용자의 귀구멍 안으로 삽입된다. 즉, 본 실시예의 안경 장치(500)는 청진기와 유사한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은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을 포함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오디오 모듈(280)은 전체적으로 안경 장치(500)의 안경 프레임(510) 에 통합적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모듈(280)은 전체적으로 안경 장치(500)의 안경 프레임(510) 내에 내장된다. 즉, 오디오 모듈(280)을 구성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은 모두 안경 프레임(510) 내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287)의 제1 출력부(288-2) 및 제2 출력부(289-2)는 각각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564)에 내장되며,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86)는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들(564)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내장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가 장착되는 안경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가 안경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가 안경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15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700)는, 도 2에서 설명한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을 내장한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700)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700)는, 멀티 뷰 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600)에 탈부착 가능한 연결부(710)를 포함한다.
연결부(710)는 복수개의 돌출된 리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경 장치(600)에는 연결부(710)와 결합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7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610)를 포함한다.
장착부(610)는 연결부(7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 형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경 장치(600)에는 장착부(610)가 착용시 사용자의 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마련되어 두 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700)가 하나의 안경 장치(60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 또는 셋 이상의 오디오 출력 장치(7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610)가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700)는 연결부(710)가 안경 장치(600)의 장착부(610)에 끼워지는 것을 통해 안경 장치(600)에 장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안경 장치(600)에서 탈착도 가능하다.
도 16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900)는 연결부(910)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장치(800)에 오디오 출력 장치(900) 장착시 연결부(910)가 안경 장치(800)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 장착될 수 있고, 탈착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오디오 출력장치(900)는 연결부(91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디오 출력장치(900)가 안경 장치(8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안경 장치(1000)는 제1 글래스(1010), 제2 글래스(1020), 안경 프레임(1100), 및 전술한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안경 프레임(1100)은 글래스 장착부(1200), 노우즈 패드(1300), 및 착용부(1500)를 포함한다.
글래스 장착부(1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글래스 장착부(220)와 유사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우즈 패드(1300)는 글래스 장착부(1200)의 후면에 장착된다. 노우즈 패드(1300)는 안경 장치(1000) 착용시 사용자의 코 양측에 지지되는 것으로, 안경 장치(1000) 착용 후 안경 장치(1000)가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착용부(1500)는, 밴드부(1600), 제1 몸체부(1700), 제1 음향 방출부(1800), 제2 몸체부(1900), 및 제2 음향 방출부(2000)를 포함한다.
밴드부(15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밴드부(240)와 유사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몸체부(1700)는 밴드부(1600)의 일단에 연결되며, 전술한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의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이 내장될 수 있다. 이들 구성은 제1 몸체부(1700) 또는 제2 몸체부(1900)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된다. 이외에도, 이들 구성은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에 각각 분리되어 내장될 수도 있다.
제1 몸체부(1700)는 제1 보관홈(1760) 및 볼륨 조절부(1780)를 포함한다.
제1 보관홈(1760)은 제1 음향 방출부(18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음향 방출부(18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형상을 갖는다.
제1 음향 방출부(1800)는 제1 와이어(W1)를 통해 제1 몸체부(1700)와 연결된다. 제1 음향 방출부(1800)는 전술한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의 제1 출력부(288-2)가 내장된다. 그리고, 제1 음향 방출부(1800)는 사용자에게 오디오 음향을 보낼 수 있는 제1 음향 방출공(1810)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폰 형상을 갖는다.
볼륨 조절부(1780)는 안경 장치(1000)의 오디오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볼륨 조절부(1780)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볼륨으로 오디오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볼륨 조절부(1780)는 하나의 버튼으로 구비되며, 양단 중 어느 한 쪽은 볼륨을 높이고, 다른 한 쪽은 볼륨을 낮출 수 있게 구비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볼륨 조절부(1780)는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버튼이 아닌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기타 다른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몸체부(1900)는 밴드부(1600)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2 몸체부(19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인터페이스 모듈(282), 버퍼유닛(283), 제어부(284), 및, 오디오 출력유닛(285)이 내장될 수 있고, 이 중 어느 하나가 내장될 수도 있다.
제2 몸체부(1900)는 제2 보관홈(1960), 전원/페어링부(1980), 및 채널 전환부(1990)를 포함한다.
제2 보관홈(1960)은 제2 음향 방출부(20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음향 방출부(20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형상을 갖는다.
제2 음향 방출부(2000)는 제2 와이어(W2)를 통해 제2 몸체부(1900)와 연결된다. 제2 음향 방출부(2000)는 전술한 오디오 모듈(280, 도 2 참조)의 제2 출력부(289-2)가 내장된다. 그리고, 제2 음향 방출부(2000)는 사용자에게 오디오 음향을 보낼 수 있는 제2 음향 방출공(2010)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폰 형상을 갖는다.
전원/페어링부(1980)는 안경 장치(1000)의 전원을 온 오프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페어링을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전원/페어링부(1980)의 조작을 통해 안경 장치(10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 연결을 시킬 수 있다.
채널 전환부(1990)는 멀티뷰 모드시, 다른 컨텐츠로의 전환을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멀티뷰 모드로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안경 장치(10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채널 전환부(1990)의 조작을 통해 멀티뷰 모드의 다른 특정의 컨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채널 전환부(1990)는 컨텐츠 전환을 위한 조작을 위해 제2 몸체부(19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채널 전환부는 본 실시예서의 방식이 아닌 기타 컨텐츠 전환을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버튼이나 토글 버튼 등)로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볼륨 조절부(1780)가 제1 몸체부(1700)에 구비되고, 전원/페어링부(1980) 및 채널 전환부(1990)가 제2 몸체부(190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륨 조절부가 제2 몸체부에 구비되고 전원/페어링부 및 채널 전환부가 제1 몸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불어, 전원/페어링부 및 채널 전환부는 제1 및 제2 몸체부에 분리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다. 즉, 볼륨 조절부, 전원/페어링부 및 채널 전환부는 안경 장치에 구비되어 있으면 족하다. 또한, 안경 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외의 안경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른 버튼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사용시 및 비사용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안경 장치(1000) 사용시 사용자는 제1 음향 방출부(1800) 및 제2 음향 방출부(2000)를 귀에 착용하여 오디오 음향을 청취한다. 제1 음향 방출부(1800) 및 제2 음향 방출부(2000)는 제1 및 제2 와이어(W1, W2)를 통해 착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착용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음향 방출부(1800)에는 제1 와이어(W1)가 연결되는 제1 와이어 연결부(1850)가 형성된다. 제2 음향 방출부(2000)에는 제2 와이어(W2)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연결부(20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보관홈(1760)에는 제1 와이어 연결부(1850)가 삽입되는 제1 와이어 연결부 삽입홈(1762)이 형성된다. 제2 보관홈(1960)에는 제2 와이어 연결부(2050)가 삽입되는 제2 와이어 연결부 삽입홈(1962)가 형성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안경 장치(1000) 비사용시, 사용자는 제1 음향 방출부(1800)를 제1 몸체부(1700)의 제1 보관홈(1760)에 삽입하고, 제2 음향 방출부(2000)를 제2 몸체부(1900)의 제2 보관홈(1760)에 삽입한다. 이 때, 제1 음향 방출부(1800)의 제1 와이어 연결부(1850)는 제1 보관홈(1760)의 제1 와이어 연결부 삽입홈(1762)에 삽입된다. 제2 음향 방출부(2000)의 제2 와이어 연결부(2050)는 제2 보관홈(1960)의 제2 와이어 연결부 삽입홈(1962)에 삽입된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의 안경 장치(1000)는 안경 장치(1000) 비사용시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1800, 2000)를 제1 및 제2 몸체부(1700, 1900)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보관홈(1760, 1960)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안경 장치(1000) 비사용시 안경 장치(1000)를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경 장치(1000) 비사용시, 부주의 등으로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1800, 2000)가 제1 및 제2 몸체부(1700, 1900)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파손 위험으로부터 안경 장치(1000)를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 모드 및 멀티 뷰 모드 중 선택된 모드로 동작한다. 일반 모드란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이고, 멀티 뷰 모드란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는 모드이다.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지만, 멀티 뷰 모드에서는 복수의 컨텐츠가 재생되기 때문에 본체 스피커를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멀티 뷰 모드에서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각 안경 장치로 제공하여, 각 안경 장치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의 전송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오디오 신호 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안경 장치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실시 예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제1 수신부(2100), 제1 신호 처리부(2200), 제어부(2300), 제2 수신부(2400), 제2 신호 처리부(2500), 디스플레이부(2600), 스피커부(2700), 제1 통신부(2800), 패킷화부(2950), 제2 통신부(2900)를 포함한다.
제1 수신부(2100) 및 제2 수신부(240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서로 다른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일 예로, 제1 수신부(2100) 및 제2 수신부(2400) 중 적어도 하나는 방송망을 통해 전송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튜너로 구현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되거나 연결된 저장 매체로부터 독출된 컨텐츠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IP 통신 망을 통해 서버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수신부의 구성은 방송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방송 규격에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 등이 있다. 제1 및 제2 수신부(2100, 2400)의 구성 및 동작은 이들 방송 규격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일 예로, ATSC 규격이 채용된 경우라면, 제1 및 제2 수신부(2100, 2400)는 안테나, RF 다운 컨버터, 복조부, 등화부, 디멀티플렉서, RS 디코더, 디인터리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방송 규격 별 신호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각 방송 규격의 표준 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300)는 멀티 뷰 모드가 실행되면 제1 수신부(2100) 및 제2 수신부(2400)를 활성화시켜 각각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제1 수신부(2100)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즉, 제1 컨텐츠는 제1 신호 처리부(2200)로 제공된다. 제1 신호 처리부(2200)는 디먹스 1(2210), 비디오 처리부 1(2220), 오디오 처리부 1(2230)를 포함한다. 디먹스 1(2210)는 제1 수신부(2100)를 통해 수신된 제1 컨텐츠를 디멀티플렉싱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처리부 1(2220)로 제공된다. 비디오 처리부 1(222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 디인터리빙, 스케일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비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한다. 오디오 처리부 1(2230)는 디먹스 1(22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오디오 디코딩, 노이즈 필터링, 증폭 등과 같은 다양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제2 수신부(240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 즉, 제2 컨텐츠를 제2 신호 처리부(2500)로 제공한다. 제2 신호 처리부(2500)는 디먹스 2(2510), 비디오 처리부 2(2520), 오디오 처리부 2(2530)를 포함한다. 디먹스 2(2510)는 제2 컨텐츠를 디멀티플렉싱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처리부 2(252)로 제공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처리부 2(253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2에 대한 비디오 프레임 및 오디오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멀티 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600)는 컨텐츠 1의 비디오 프레임과 컨텐츠 2의 비디오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2300)는 컨텐츠 1의 비디오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 및 컨텐츠 2의 비디오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과 각 안경 장치들의 동작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제1 통신부(2800)를 통해 전송한다. 제1 통신부(28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부(2800)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0)는 멀티 뷰 모드인 경우, 컨텐츠 1, 2의 오디오 신호를 각각 패킷화부(2950)로 제공하도록 오디오 처리부 1(2230) 및 오디오 처리부 2(2530)를 제어한다.
패킷화부(2950)는 각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들을 믹싱하여 통신 패킷을 생성한다. 제2 통신부(2900)는 패킷화부(2950)에서 생성한 통신 패킷을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한다.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후보 대역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4 GHz, 5.2 GHz, 5.5GHz와 같은 주파수 대역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면 해당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통신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1은 패킷화부(2950)에서 생성한 패킷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1에 따르면, 컨텐츠 1의 오디오 신호와, 컨텐츠 2의 오디오 신호가 하나의 패킷 내의 페이로드 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900)는 제1 통신부(2800)와 상이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통신부(2900)는 RF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부(2900)는 패킷화부(2950)에서 생성한 패킷을 RF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2300)는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 수신부(2100) 및 제2 수신부(2400) 중 하나만을 활성화시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부(2100)가 활성화되었다면 컨텐츠 1의 비디오 데이터는 제1 신호 처리부(2200)에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2600)로 제공되고, 컨텐츠 1의 오디오 데이터는 스피커부(2700)로 제공된다. 제어부(2300)는 모드 선택에 따라 스피커부(2700)나 패킷화부(2950) 및 제2 통신부(290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복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가 하나의 패킷으로 패킷화되어 송신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각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는 서로 다른 패킷 형태로 패킷화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즉, 멀티 뷰 모드에서 패킷화부(2950)는 오디오 처리부 1(22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오디오 처리부 2(25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패킷화한 후,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 차를 두고 교번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2는 각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서로 다른 패킷으로 전송하는 실시 예에서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다. 도 22에 따르면, t1 시점에는 컨텐츠 1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패킷(10)이 전송되고, t2 시점에는 컨텐츠 2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패킷(20)이 전송된다. 두 패킷의 전송 시간 차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안경 장치 사이에서 공지될 수 있다. 가령, 2.5ms로 설정되었다면, 컨텐츠 1을 시청하기 위한 안경 장치와 컨텐츠 2를 시청하기 위한 안경 장치는 2.5ms의 시간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또는, 복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는 서로 다른 패킷으로 패킷화된 후,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제2 통신부(2900)는 컨텐츠 1의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제1 패킷은 제1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로 변조하고, 컨텐츠 2의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은 제2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로 변조하여, 각 신호들을 시간 차 없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RF 신호의 주파수 정보는 제1 통신부(2800)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화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오디오 신호의 전송방식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안경 장치의 동작 역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3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안경 장치의 또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에 따르면, 안경 장치(3000)는 제1 통신부(3100), 셔터 글래스 구동부(3200), 제1 셔터 글래스(3300), 제2 셔터 글래스(3400), 제어부(3500), 제2 통신부(3600), 오디오 처리부(3700), 오디오 출력부(380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3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송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통신부(3100)의 구성 및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채용한 통신 규격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0)가 동기화 신호를 블루투스 규격에 따라 송신하는 경우에는 제1 통신부(310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셔터 글래스 구동부(3200)는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3300, 3400)를 구동시킨다. 멀티 뷰 모드인 경우, 셔터 글래스 구동부(3200)는 안경 장치가 선택한 컨텐츠의 프레임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맞추어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3300, 3400)가 동시에 턴온되도록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반면, 3D 모드인 경우에는 셔터 글래스 구동부(3200)는 좌안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맞추어 제1 셔터 글래스(3300)가 턴 온되고, 우안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맞추어 제2 셔터 글래스(3400)가 턴 온되도록 구동신호를 교번적으로 인가할 수도 있다.
제어부(35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안경 장치(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 안경 장치(3000)에 구비된 버튼이 선택될 때마다 멀티 뷰 모드, 3D 모드 등을 교번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500)는 멀티 뷰 모드에서 버튼이 선택되면 버튼 선택 시마다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3300, 3400)의 구동 타이밍을 조정하여 시청 가능한 뷰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통신부(360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제2 통신부(3600)는 RF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된다.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가 하나의 패킷으로 패킷화되어 전송되는 경우, 제어부(3500)는 수신된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 내에서 기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컨텐츠 1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컨텐츠 2의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처리하도록 오디오 처리부(370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3500)는 안경 장치(3000)가 턴-온되면 상술한 후보 대역 들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하도록 제2 통신부(3600)를 제어하여 오디오 패킷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오디오 패킷이 수신되면 그 제어부(3500)는 패킷 헤더 영역을 확인하여, 페이로드 영역 내에서, 셔터 글래스 구동부(3200)가 현재 동기화된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가 배치된 영역을 선택한다.
오디오 처리부(3700)는 선택된 영역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음향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800)에 의해 출력된다. 오디오 출력부(3800)의 형태 및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는 각각 개별적인 패킷으로 패킷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24는 복수의 패킷으로 전송되는 실시 예에서의 안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의 (a)는 컨텐츠 1의 오디오 데이터가 실린 제1 패킷과, 컨텐츠 2의 오디오 데이터가 실린 제2 패킷이 교번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다.
제어부(3500)는 안경 장치가 턴온되면 스캐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통신부(3600)가 2.4 GHz, 5.2 GHz, 5.5GHz와 같은 복수의 후보 대역들을 순차적으로 선국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안경 장치(3000)가 컨텐츠 1에 동기화된 경우에는, 제1 패킷의 수신이 확인된 시점에 스캐닝을 종료한다. 가령, 제1 패킷 및 제2 패킷이 도 22에 도시된 패킷 형태인 경우라면, 제어부(3500)는 제1 패킷의 헤더 또는 페이로드 부분에 기록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패킷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500)는 제1 패킷 및 제2 패킷 간의 송신 시간 차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마다 제2 통신부(36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시간 차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안경 장치가 사전에 미리 공유하여, 각각 저장하여 둘 수 있다. 제어부(3500)는 제1 패킷의 수신이 확인된 시점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고, 다음 제1 패킷이 수신될 때까지는 제2 통신부(3600)를 비활성화시켰다가 다시 제1 패킷이 수신되는 시점에 제2 통신부(36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는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3500)는 제1 통신부(3100)에서 수신되는 동기화 정보로부터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선국하여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3600)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3300, 3400)를 통해 보여지는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과 오디오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기화 방법,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등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나 안경 장치 등과 같은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200: 안경 장치
210: 안경 프레임 220: 글래스 장착부
222: 제1 글래스 224: 제2 글래스
230: 착용부 233: 제1 음향 방출공
235: 제2 음향 방출공 240: 밴드부
250: 제1 내장부 252: 제1 몸체부
254: 제1 음향 방출부 260: 제2 내장부
262: 제2 몸체부 264: 제2 음향 방출부
284: 제어부 287: 출력부
300: 안경 장치 310: 안경 프레임
320: 글래스 장착부 322: 제1 글래스
324: 제2 글래스 330: 착용부
333: 제1 음향 방출공 335: 제2 음향 방출공
340: 밴드부 350: 제1 내장부
352: 제1 몸체부 354: 제1 음향 방출부
360: 제2 내장부 362: 제2 몸체부
364: 제2 음향 방출부 400: 안경 장치
410: 안경 프레임 420: 글래스 장착부
422: 제1 글래스 424: 제2 글래스
430: 착용부 433: 제1 음향 방출공
435: 제2 음향 방출공 440: 밴드부
450: 제1 내장부 452: 제1 몸체부
454: 제1 연결구 456: 제1 삽입구
460: 제2 내장부 462: 제2 몸체부
464: 제2 연결구 466: 제2 삽입구
500: 안경 장치 510: 안경 프레임
520: 글래스 장착부 530: 착용부
540: 밴드부 560: 제1 및 제2 내장부
564: 제1 및 제2 음향 방출부 566: 제1 및 제2 삽입구
600: 안경 장치 610: 장착부
700: 오디오 출력 장치 710: 연결부
800: 안경 장치 900: 오디오 출력 장치
910: 연결부

Claims (3)

  1.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의 비디오 영상에 대응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1 및 제2 글래스;
    상기 제1 및 제2 글래스가 장착되는 안경 프레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오디오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모듈은 상기 안경 프레임에 내장되며,
    상기 오디오 모듈은,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오디오 음향을 생성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모듈의 상기 출력부는,
    사용자의 한 쪽 귀에 대응하는 제1 출력부; 및
    사용자의 다른 쪽 귀에 대응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글래스가 장착되는 글래스 장착부;
    상기 글래스 장착부에 연결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제1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부를 내장하며 상기 사용자의 한 쪽 귀에 삽입되는 제1 음향 방출부;
    상기 밴드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와 제2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출력부를 내장하며 상기 사용자의 다른 쪽 귀에 삽입되는 제2 음향 방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상기 안경 장치의 비사용시 상기 제1 음향 방출부를 보관하기 위한 제1 보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에는 상기 안경 장치의 비사용시 상기 제2 음향 방출부를 보관하기 위한 제2 보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KR1020130056779A 2012-01-01 2013-05-20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KR101892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180 2012-01-01
KR20120003180 2012-01-10
KR1020120071790 2012-07-02
KR1020120071790A KR20130082051A (ko) 2012-01-10 2012-07-02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933A Division KR101315988B1 (ko) 2012-01-10 2012-10-23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125A KR20130082125A (ko) 2013-07-18
KR101892459B1 true KR101892459B1 (ko) 2018-08-31

Family

ID=4899352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790A KR20130082051A (ko) 2012-01-01 2012-07-02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KR1020120117933A KR101315988B1 (ko) 2012-01-10 2012-10-23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KR1020130056779A KR101892459B1 (ko) 2012-01-01 2013-05-20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790A KR20130082051A (ko) 2012-01-01 2012-07-02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KR1020120117933A KR101315988B1 (ko) 2012-01-10 2012-10-23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300820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4839A1 (en) * 2015-01-12 2016-07-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Multi-band Antenna for Wearable Glas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246A (ja) 2000-12-20 2002-07-05 Sony Corp 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マルチ画面の生成方法
KR101056182B1 (ko) 2010-10-06 2011-08-1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신호 동기화 장치 및 방법, 3차원 영상 셔터 안경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464B1 (ko) * 2001-04-10 2003-07-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안경 착탈용 헤드셋
KR20110115806A (ko) * 2010-04-16 2011-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안경,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246A (ja) 2000-12-20 2002-07-05 Sony Corp 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マルチ画面の生成方法
KR101056182B1 (ko) 2010-10-06 2011-08-1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신호 동기화 장치 및 방법, 3차원 영상 셔터 안경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057A (ko) 2013-07-18
KR20130082125A (ko) 2013-07-18
KR20130082051A (ko) 2013-07-18
KR101315988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6090B2 (ja) ディスプレイ映像視聴用のメガネ装置
US20120190439A1 (en) Multiple simultaneous programs on a display
KR1013097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13538473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提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563026A2 (en) Transmission of video content
CA3117305C (e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providing paired wireless connections for multiple wireless headphones and related methods
US20130169620A1 (en)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linked with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67753A (ko) 멀티 뷰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917913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92459B1 (ko)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US99551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and watching a video
KR20140029935A (ko)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8234B1 (ko) 다중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다중 영상 표시 장치
KR101078768B1 (ko) 다종영상물 동시 시청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KR1013222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34713B1 (ko)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TWI493961B (zh) 以3d顯示器同時播送多個2d影像給多個使用者之方法
KR201300777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408949B (zh) 單螢幕多頻同步2d及3d影音系統
KR20120133876A (ko) 삼차원 영상물 재생 및 시청 방법과 시스템
KR20120115642A (ko) 다영상 표출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156950A (ja) 映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