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713B1 -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713B1
KR102434713B1 KR1020210181396A KR20210181396A KR102434713B1 KR 102434713 B1 KR102434713 B1 KR 102434713B1 KR 1020210181396 A KR1020210181396 A KR 1020210181396A KR 20210181396 A KR20210181396 A KR 20210181396A KR 102434713 B1 KR102434713 B1 KR 10243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pport
unit
video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유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유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8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청각장애인의 원활한 영상 시청을 포함하여 다양한 필요성에 의해 영상의 해설이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정보의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다른 시청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고 이를 필요로 하는 시청자에 한하여 별도의 구현 기기를 통해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신호를 무선으로 전달, 구현하는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석하는 화면 정부 수신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Wireless Subtitle And Audio description Transmission/Reception And Portable Implement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청각장애인의 원활한 영상 시청을 포함하여 다양한 필요성에 의해 영상의 해설이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정보의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다른 시청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고 이를 필요로 하는 시청자에 한하여 별도의 구현 기기를 통해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신호를 무선으로 전달, 구현하는 기술 및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신호를 송출하는 정보 송출 서버,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연동과 동기화,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무선 송수신, 투명 디스플레이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안경과 골전도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헤드폰,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로 통신하는 헤드폰, 이어폰 혹은 안경에 탑재된 스피커 등을 통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구현과 이를 구현하는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넷플릭스, 유튜브와 같이 다양한 비디오 컨텐츠가 제작, 활용되는 환경에서 강당, 극장과 같이 대형의 단일 화면에서 다수가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시각/청각장애인을 포함하여 일부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정보가 필요한 시청자에게 한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자막 정보 전달 방법은 ⅰ_) 영상에 자막을 구현하여 모든 시청자에게 불필요하게 자막이 노출되어 영상 시청에 방해가 되거나 ⅱ_) 위치가 고정된 자막 재생기를 이용하여 화면 해설의 도움을 받는 방법으로 반드시 정해진 좌석 또는 위치에서 지정된 기기를 이용해야 하므로 이용자의 위치 선택에 제한이 있으며 ⅲ_) 영상과 자막 재생기가 분리되어 동시에 화면을 시청할 수 없기 때문에 영상을 이용하는 데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화면 해설 음성 정보의 경우 이를 필요로 하는 관객에게 한정하여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6639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시각/청각장애인의 원활한 영상 시청을 포함하여 다양한 필요성에 의해 영상의 해설이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정보의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다른 시청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고 이를 필요로 하는 시청자에 한하여 별도의 구현 기기를 통해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전달, 구현하는 기술 및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화면 정보 송출 서버,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연동과 동기화,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무선 송수신, 투명 디스플레이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안경과 골전도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헤드폰,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로 통신하는 헤드폰, 이어폰 혹은 안경에 탑재된 스피커를 통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구현과 이를 구현하는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ⅰ_) 화면 해설 자막이 필요한 사람에게 선택적으로 노출하게 하는 자막시스템과 ⅱ) 화면 해설 음성 정보가 필요한 사람에게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으로 ⅲ) 화면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서버간 통신이 가능하고 ⅳ)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휴대가 가능한 무선의 형태로 구현되된다.
자막 정보의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에 자막이 구현되거나 투명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안경을 통해 자막이 구현되어 화면 영상과 자막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화면 해설 음성 정보의 경우, ⅰ) 화면 영상의 사운드와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통합한 음향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정보만을 화면의 영상사운드와 분리하여 전송하고 ⅱ)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통해 독립적으로 음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무선 송수신과 휴대용 구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은,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석하는 화면 정부 수신부(2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은, 영상을 영화관의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시에 영상에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만을 분리시켜 전달하는 영상 송출부(100); 상기 영상 송출부(100)와 GPIO 또는 TCP 통신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영화가 송출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전송되었거나 자체에 저장된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멀티캐스트로 무선 송출하는 화면 정보 송출부(300);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한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화면 정보 수신부(200)가 수신하여 해석한 자막 신호를 투명 디스플레이 위에 구현하는 자막 표시부(600); 및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에서 수신하여 일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의 AUX 단자 또는 블루투스로 통신하여 구현하는 음성 정보 출력부(5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는, 자막 표시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기를 저장해 두는 배터리부(210); 상기 배터리부(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자막 정보를 수신받는 안테나부(220); 및 상기 배터리부(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21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상기 안테나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자막 정보와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해석하여 출력하는 단자와 음량을 조절할 수 있고 배터리와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 출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막 표시부(600)는,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와 결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위에 자막을 구현하는 수신기 결합형 자막 표시부; 및 안경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형 자막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기 결합형 자막 표시부는 베젤이 최소화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경형 자막 표시부는,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수신부 연결형 안경 자막 표시부 또는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를 내장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독립형 안경 자막 표시부(7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경형 자막 표시부는, 렌즈가 설치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정보 출력부(500)는, 상기 정보 수신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며, 이어폰 또는 헤드폰으로 이루어지거나, 일반형 또는 골전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정보 출력부(5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음향과 음성 정보를 함께 출력하거나 음성 정보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영상이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의 영상 송출부(100)에서 상영될 영상의 음향 신호와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AES/EBU를 통해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에서 당사가 기 보유한 특허 제10-2252541호 ‘와이파이를 이용한 음향의 무선 디지털 전송방법’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믹싱하여 스테레오로 변환한 후 멀티캐스트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영상이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상영될 영상의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MXF 또는 기타 오디오 파일의 형태로 상기의 화면 정보 송출부(300)에 저장하여 분석하고 메모리에 Upload하고 대기한 후, 상기 영상 송출부(100)로부터 영상 투사가 시작되었다는 신호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또는 Ethernet의 형태로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달되면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타이머를 작동함과 동시에 메모리에 대기하고 있는 화면 해설 음성 신호와 AES/EBU를 통해 상기 영상 송출부(100)가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송한 영상의 음향 신호를 당사가 기 보유한 특허 제10-2252541호 ‘와이파이를 이용한 음향의 무선 디지털 전송방법’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믹싱하여 스테레오로 변환한 후 멀티캐스트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영상이 자막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상영될 영상의 자막 신호를 XML 또는 기타 자막 파일의 형태로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에 저장하여 분석하고 메모리에 Upload하고 대기한 후, 상기 영상 송출부(100)로부터 영상 투사가 시작되었다는 신호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또는 Ethernet의 형태로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달되면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타이머를 작동함과 동시에 메모리에 대기하고 있는 자막을 멀티캐스트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1)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Linear Timecode (LTC) 포트를 통해 시간값(타임코드)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송출부(100)의 시간값과 자신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동기화(싱크)를 검증하며, 2)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Linear Timecode (LTC) 포트를 통해 시간값(타임코드)을 제공할 수 없고 TCP통신으로 시간값(타임코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TCP통신을 통해 상기 영상 송출부(100)의 시간값과 자신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동기화(싱크)를 검증하며, 3)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LTC와 TCP 통신 방식을 통하여 시간값(타임코드)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시 영상 송출부(100)에서 GPIO 또는 Ethernet의 형태로 영화가 송출되었다는 신호를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송하여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가 이를 감지하였을 때 타이머가 작동하여 이를 기준으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 및 구현하는 동시에 영화 상영 중 최근 10 분 동안의 음성 데이터 및 시간값(타임코드)을 초 단위로 저장하여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영상 송출부(100)와 자신 간의 동기화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가 영상 송출부(100)와 동기화하여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하고 있을 때 장애가 발생하여 영상 또는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송출 및 구현이 중지된 경우, 1) 상기 영상 송출부(100)와의 시간값(타임코드)으로 동기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시간값을 검증하여 동일한 시점에서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동기화 하여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에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하며, 2) 만일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시간값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면 해설 정보 송출부에 초 단위로 저장된 음성 신호와 장애 복구 후 최초 유입되는 음성 신호를 비교하여 화면 해설 정보 송출부에 초단위로 저장된 타이머의 시간값(타임코드)을 획득, 상영시간을 역추적하거나 상기 영상 송출부(100)의 상영시간 값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받아 해당 위치에서부터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독립형 안경 자막 표시부(700)는, 안경 바디(710);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수신받기 위해 상기 안경 바디(710)에 설치되는 안경 안테나(720); 상기 안경 바디(710)에서 렌즈가 설치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자막 정보를 표시해 주는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730);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안경 바디(710)에 설치되는 AUX 단자(740); 및 귀에 거치되는 상기 안경 바디(710)의 거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소리를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는 골전도 스피커(7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은, 상기 자막 표시부(6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자막 표시부(600)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자막 표시부(600)의 하측을 파지하는 파지부(410); 상기 파지부(4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4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스탠드(420); 및 상기 지지 스탠드(42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 스탠드(4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430)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누인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스탠드(4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원통(431); 내측에 상기 지지 원통(431)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안착 케이스(432);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지지 원통(431)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상기 지지 원통(431)을 지지하는 원통 지지대(433);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전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는 전단 지지대(434); 및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후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후단 하측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케이스(432)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 바디(4321); 상기 지지 원통(4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통(4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 바디(4321)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 원통(431)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케이스 바디(4321)의 상측 및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 바디(4321)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원통 안착 공간(4322); 상기 전단 지지대(434)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 안착 공간(4322)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 안착 공간(4323); 및 상기 후단 지지대(435)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 안착 공간(4322)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 공간(432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지지대(434)는, 상기 지지 원통(431)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내측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원통(431)의 전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내측에 설치되는 밀착 플레이트(4341); 상단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4341)의 전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 케이스(432)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경우 바닥면에 안착되어 있는 하단이 바닥면을 따라 전방으로 밀리면서 상단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4341)의 상단을 회동시켜 상기 밀착 플레이트(4341)를 상기 지지 원통(431)의 전면과 밀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대(4342); 및 상기 플레이트 지지대(4342)와 상기 원통 지지대(43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대(4342)와 상기 원통 지지대(433)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434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 지지대(433)는,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지지 원통(431)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홈에 상부가 삽입되는 하부 지지대; 상기 하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수직 완충 스프링(4343); 및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무선을 통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 기술을 통해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만이 선택적으로 해당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면서, 송출되는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유연하게 동기화하여 만약의 장애 상황에도 빠르게 조치할 수 있으며, 주름관과 연결된 이동식 화면 정보 수신부 또는 안경에 설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막 정보를 출력하고 또는 안경 유선 또는 블루투스를 통한 무선 연결을 통해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충전식 배터리를 탑재하여 휴대성 및 이동성을 강화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을 다수가 시청하는 강당 및 극장 상영관에서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각/청각장애인을 포함한 다수의 시청자에게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화면 정보 수신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안경 자막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와 도 6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10)은, 자막 표시부(600)를 포함한다.
자막 표시부(600)는, 화면 정보 수신부(200)에서 수신한 자막 신호를 투명 디스플레이 위에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막 표시부(600)는, 화면 정보 수신부(200)와 결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위에 자막을 구현하는 수신기 결합형 자막 표시부; 및 안경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형 자막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 결합형 자막 표시부는 베젤이 최소화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경형 자막 표시부는, 화면 정보 수신부(200)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화면 정보 수신부(200)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수신부 연결형 안경 자막 표시부 또는 화면 정보 수신부(200)를 내장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독립형 안경 자막 표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경형 자막 표시부는, 렌즈가 설치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10)은, 영상 송출부(100), 화면 정보 수신부(200), 화면 정보 송출부(300), 및 음성 정보 출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송출부(100)는, 영상을 영화관의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시에 영상에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만을 분리시켜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달한다.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영상 송출부(100)와 GPIO 또는 TCP 통신을 통해 연동되며, 영상 송출부(100)에서 영화가 송출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송출부(100)에서 전송되었거나 자체에 저장된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멀티캐스트로 무선 송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영상이 자막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영상 송출부(100)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또는 Ethernet의 형태로 연동되고, 영상 송출부(100)로부터 수신되는 텍스트 형태로 자막 정보가 들어있는 XML 파일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Upload하고 대기한 후, 영상 송출부(100)로부터 영상 투사가 시작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타이머를 작동함과 동시에 멀티캐스트를 통해 무선으로 자막을 화면 정보 수신부(200)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영상이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의 영상 송출부(100)에서 상영될 영상의 음향 신호와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AES/EBU를 통해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에서 당사가 기 보유한 특허 제10-2252541호 ‘와이파이를 이용한 음향의 무선 디지털 전송방법’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믹싱하여 스테레오로 변환한 후 멀티캐스트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영상이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상영될 영상의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MXF 또는 기타 오디오 파일의 형태로 상기의 화면 정보 송출부(300)에 저장하여 분석하고 메모리에 Upload하고 대기한 후, 상기 영상 송출부(100)로부터 영상 투사가 시작되었다는 신호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또는 Ethernet의 형태로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달되면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타이머를 작동함과 동시에 메모리에 대기하고 있는 화면 해설 음성 신호와 AES/EBU를 통해 상기 영상 송출부(100)가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송한 영상의 음향 신호를 당사가 기 보유한 특허 제10-2252541호 ‘와이파이를 이용한 음향의 무선 디지털 전송방법’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믹싱하여 스테레오로 변환한 후 멀티캐스트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1) 영상 송출부(100)에서 Linear Timecode (LTC) 포트를 통해 시간값(타임코드)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영상 송출부(100)의 시간값과 자신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동기화(싱크)를 검증하며, 2) 영상 송출부(100)에서 Linear Timecode (LTC) 포트를 통해 시간값(타임코드)을 제공할 수 없고 TCP통신으로 시간값(타임코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TCP통신을 통해 영상 송출부(100)의 시간값과 자신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동기화(싱크)를 검증하며, 3) 영상 송출부(100)에서 LTC와 TCP 통신 방식을 통하여 시간값(타임코드)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시 영상 송출부(100)에서 GPIO 또는 Ethernet의 형태로 영화가 송출되었다는 신호를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송하여 화면 정보 송출부(300)가 이를 감지하였을 때 타이머가 작동하여 이를 기준으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 및 구현하는 동시에 영화 상영 중 최근 10 분 동안의 음성 데이터 및 시간값(타임코드)을 초 단위로 저장하여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영상 송출부(100)와 자신 간의 동기화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정보 송출부(300)가 영상 송출부(100)와 동기화하여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하고 있을 때 장애가 발생하여 영상 또는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송출 및 구현이 중지된 경우, 1) 영상 송출부(100)와의 시간값(타임코드)으로 동기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시간값을 검증하여 동일한 시점에서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동기화 하여 화면 정보 송출부(300)에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하며, 2) 만일 영상 송출부(100)에서 시간값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화면 해설 정보 송출부에 초 단위로 저장된 음성 신호와 장애 복구 후 최초 유입되는 음성 신호를 비교하여 화면 해설 정보 송출부에 초단위로 저장된 타이머의 시간값(타임코드)을 획득, 상영시간을 역추적하거나 영상 송출부(100)의 상영시간 값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받아 해당 위치에서부터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화면 정보 수신부(200)는, 안드로이드 또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탑재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화면 정보 송출부(300)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한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음성 정보 출력부(500)는, 화면 정보 수신부(200)에서 수신하여 일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화면 정보 수신부(200)의 AUX 단자 또는 블루투스로 통신하여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정보 출력부(500)는, 정보 수신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며, 이어폰 또는 헤드폰으로 이루어지거나, 일반형 또는 골전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정보 출력부(5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음향과 음성 정보를 함께 출력하거나 음성 정보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화면 정보 수신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화면 정보 수신부(200)는, 배터리부(210), 안테나부(220) 및 정보 출력부(230)를 포함한다.
배터리부(210)는, 영화관 의자(C)의 컵홀더(C1)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자막 표시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기를 저장해 두기 위한 충전지(211)를 내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안테나부(22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부(210)는, 컵홀더(C1)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거나 집게로 고정할 수 있는 클립 형태로 구현하며 컵홀더 고정부 또는 클립 고정부 주변에 배터리를 결합하여 무선으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부(210)의 배터리(211)의 무게로 인해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아래로 향하게 함으로서 안정적인 제품 거치를 통해 사용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부(210)는, 영화관 의자(C)에서 컵홀더(C1) 이외의 장소에 체결될 수 있도록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집게 형태(210a)로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부(220)는, 배터리부(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자막 송출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자막 정보를 수신받는다.
정보 출력부(230)는, 배터리부(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터리부(21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안테나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자막 정보와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해석하여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보 출력부(230)는, 볼륨 조절 노브(240), AUX 단자(250), 자막 표시부(600) 연결용 단자(260), 전원 상태 표시등(270)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자막 표시부(600)는, 얇은 베젤로 마감된 투명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로 구현하며, 자막의 밝기와 색상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최대 3줄의 자막이 구현되는 크기로 약 5 ~ 7인치 정도가 권장된다.
이러한 자막 표시부(600)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부(220)에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의 시선에 맞는 위치로 이동, 고정할 수 있거나 안경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 방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무선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부(220)의 안테나는 자막을 구현하는 자막 표시부(600)의 후면 또는 주름관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 방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무선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부(220)의 안테나는 자막을 구현하는 자막 표시부(600)의 후면 또는 주름관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안경 자막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독립형 안경 자막 표시부(700)는, 안경 바디(710), 안경 안테나(720),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730), AUX 단자(740) 및 골전도 스피커(750)를 포함한다.
안경 바디(710)는, 안경 바디(710), 안경 안테나(720),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730), AUX 단자(740) 및 골전도 스피커(75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안경 안테나(720)는,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자막 정보를 수신받기 위해 안경 바디(710)의 거치 프레임(711)에 설치된다.
투명 디스플레이(730)는, 안경 바디(710)에서 렌즈가 설치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자막 정보를 표시해 준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730)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 화면 영상과 자막 동시 시청으로 편의성 증대시킬 수 있는데, 자막은 투명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안경에서 구현하며 필요에 따라 자막의 밝기와 색상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안경에서 자막이 구현되는 경우, 안테나 및 배터리를 안경에 탑재할 수도 있고 별도의 무선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AUX 단자(740)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500a)을 연결하기 위해 안경 바디(710)에 설치된다.
골전도 스피커(750)는, 귀에 거치되는 안경 바디(710)의 거치 프레임(711)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소리를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10)은,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가 희망하는 위치에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자막을 구현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의 자막 표시부(600)와 주름관으로 연결된 무선 수신기 형태의 화면 정보 수신부(200)인 경우, 무선 수신기를 의자의 컵홀더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거나 집게로 고정할 수 있는 클립 형태로 구현하며 컵홀더 고정부 또는 클립 고정부 주변에 배터리를 결합하여 무선으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의 무게로 인해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아래로 향하게 함으로서 안정적인 제품 거치를 통해 사용 편리성을 증대시킨다. 투명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안경 형태의 경우, 상기의 무선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형태이거나 안경에 배터리와 안테나를 탑재한 독립형 안경 자막 표시부(700) 형태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가 자유로운 위치에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범용의 AUX 단자(740) 또는 블루투스를 활용한 헤드폰 및 이어폰의 무선 연결을 적용하여 사용자 개인의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10)은, 무선을 통한 자막 송수신 기술을 통해 자막 해설이 필요한 사용자만이 선택적으로 자막을 이용할 수 있게 하면서, 송출되는 영상과 자막을 유연하게 동기화하여 만약의 장애 상황에도 빠르게 조치할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와 또는 이를 탑재한 안경과 주름관을 통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충전식 배터리를 탑재하여 휴대성 및 이동성을 강화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을 다수가 시청하는 강당 및 극장 상영관에서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을 포함한 다수의 시청자에게 자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20)은, 영상 송출부(100), 화면 정보 수신부(200), 화면 정보 송출부(300), 고정부(400), 음성 정보 출력부(500), 및 자막 표시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송출부(100) 및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도 1 등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400)는, 자막 표시부(6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자막 표시부(200)를 고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20)은, 사용자가 건드리는 경우에도 자막 표시부(600)가 움직이지 아니하여 사용자의 자막 시청 시 보다 선명한 화면을 제공하여 자막의 가동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파지부(410), 지지 스탠드(420) 및 완충부(430)를 포함한다.
파지부(410)는, 자막 표시부(600)의 하측을 파지하며, 일측에 지지 스탠드(420)가 설치된다.
지지 스탠드(420)는, 파지부(4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4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에 완충부(430)가 설치된다.
완충부(430)는, 지지 스탠드(42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지지 스탠드(4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정부(400)는, 자막 표시부(6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막 표시부(600)를 건드는 경우에도 자막 표시부(600)가 움직이지 아니하여 사용자의 자막 시청 시 보다 선명한 화면을 제공하여 자막의 가동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완충부(430)는, 지지 원통(431), 안착 케이스(432), 원통 지지대(433), 전단 지지대(434) 및 후단 지지대(435)를 포함한다.
지지 원통(431)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누인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스탠드(4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안착 케이스(43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원통 지지대(433)가 설치된다.
안착 케이스(432)는, 내측에 지지 원통(431)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 하부에 전단 지지대(434)가 설치되고, 후단 하부에 후단 지지대(435)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 케이스(432)는, 케이스 바디(4321), 원통 안착 공간(4322), 전단 안착 공간(4323) 및 후단 안착 공간(4324)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4321)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원통 안착 공간(4322), 전단 안착 공간(4323) 및 후단 안착 공간(4324) 등이 형성된다.
원통 안착 공간(4322)은, 지지 원통(4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원통(4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케이스 바디(4321)의 내측에 형성되되, 지지 원통(431)의 상단 및 하단이 케이스 바디(4321)의 상측 및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케이스 바디(4321)를 관통하고 형성되며, 전단에 전단 안착 공간(4323)이 연장 형성되고, 후단에 후단 안착 공간(4324)이 연장 형성된다.
전단 안착 공간(4323)은, 전단 지지대(434)의 상부, 즉, 밀착 플레이트(43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원통 안착 공간(4322)의 전단에 형성된다.
후단 안착 공간(4324)은, 후단 지지대(435)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원통 안착 공간(4322)의 후단에 형성된다.
원통 지지대(433)는, 안착 케이스(43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지지 원통(431)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지지 원통(431)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통 지지대(433)는, 상부 지지대(4331), 하부 지지대(4332), 수직 완충 스프링(4333) 및 받침대(4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대(4331)는, 안착 케이스(43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지지 원통(431)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부에 하부홈(S)이 형성된다.
하부 지지대(4332)는, 상부 지지대(433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홈(S)에 상부가 삽입되어 상측이 수직 완충 스프링(4333)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 완충 스프링(4333)은, 하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부홈(S)으로 삽입되는 하부 지지대(4332)의 상측을 지지하며, 상부 지지대(433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받침대(4334)는,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하부 지지대(4332)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전단 지지대(434)는, 안착 케이스(432)의 전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안착 케이스(432)의 전단 하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단 지지대(434)는, 밀착 플레이트(4341), 플레이트 지지대(4342) 및 완충 스프링(4343)을 포함할 수 있다.
밀착 플레이트(4341)는, 지지 원통(431)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안착 케이스(432)의 내측에 안착되는 지지 원통(431)의 전면과 대향하면서 안착 케이스(432)의 내측, 즉, 전단 안착 공간(432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4341a)되며, 전단에 플레이트 지지대(4342)가 설치된다.
플레이트 지지대(4342)는, 상단이 밀착 플레이트(4341)의 전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안착 케이스(432)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바닥면에 안착(4342a)되며, 안착 케이스(432)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경우 바닥면에 안착되어 있는 하단(4342a)이 바닥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밀리면서 상단이 밀착 플레이트(4341)의 상단을 회동시켜 밀착 플레이트(4341)를 지지 원통(431)의 전면과 밀착시켜 준다.
완충 스프링(4343)은, 플레이트 지지대(4342)와 원통 지지대(433)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지지대(4342)와 원통 지지대(433)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후단 지지대(435)는, 안착 케이스(432)의 후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안착 케이스(432)의 후단 하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후단 지지대(435)는, 상술한 전단 지지대(434)와 대칭 구조로서, 후단 지지대(435)의 밀착 플레이트(4341), 플레이트 지지대(4342) 및 완충 스프링(434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100: 영상 송출부
200: 화면 정보 수신부
300: 송출하는 화면 정보 송출부
400: 고정부
500: 음성 정보 출력부
600: 자막 표시부

Claims (4)

  1. 스크린에 투사되고 있는 영상의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석하는 화면 정부 수신부(200);
    영상을 영화관의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시에 영상에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만을 분리시켜 전달하는 영상 송출부(100);
    상기 영상 송출부(100)와 GPIO 또는 TCP 통신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영화가 송출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전송되었거나 자체에 저장된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멀티캐스트로 무선 송출하는 화면 정보 송출부(300);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한 자막 또는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화면 정보 수신부(200)가 수신하여 해석한 자막 신호를 투명 디스플레이 위에 구현하는 자막 표시부(600); 및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에서 수신하여 일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의 AUX 단자 또는 블루투스로 통신하여 구현하는 음성 정보 출력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는,
    자막 표시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기를 저장해 두는 배터리부(210);
    상기 배터리부(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자막 정보를 수신받는 안테나부(220); 및
    상기 배터리부(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21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상기 안테나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자막 정보와 화면 해설 음성 정보를 해석하여 출력하는 단자와 음량을 조절할 수 있고 배터리와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 출력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영상이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상영될 영상의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MXF 또는 기타 오디오 파일의 형태로 상기의 화면 정보 송출부(300)에 저장하여 분석하고 메모리에 Upload하고 대기한 후, 상기 영상 송출부(100)로부터 영상 투사가 시작되었다는 신호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또는 Ethernet의 형태로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달되면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타이머를 작동함과 동시에 메모리에 대기하고 있는 화면 해설 음성 신호와 AES/EBU를 통해 상기 영상 송출부(100)가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송한 영상의 음향 신호를 당사가 기 보유한 특허 제10-2252541호 ‘와이파이를 이용한 음향의 무선 디지털 전송방법’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믹싱하여 스테레오로 변환한 후 멀티캐스트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화면 정보 수신부(200)로 송출하며,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1)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Linear Timecode (LTC) 포트를 통해 시간값(타임코드)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송출부(100)의 시간값과 자신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동기화(싱크)를 검증하며, 2)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Linear Timecode (LTC) 포트를 통해 시간값(타임코드)을 제공할 수 없고 TCP통신으로 시간값(타임코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는 TCP통신을 통해 상기 영상 송출부(100)의 시간값과 자신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동기화(싱크)를 검증하며, 3)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LTC와 TCP 통신 방식을 통하여 시간값(타임코드)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시 영상 송출부(100)에서 GPIO 또는 Ethernet의 형태로 영화가 송출되었다는 신호를 화면 정보 송출부(300)로 전송하여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가 이를 감지하였을 때 타이머가 작동하여 이를 기준으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 및 구현하는 동시에 영화 상영 중 최근 10 분 동안의 음성 데이터 및 시간값(타임코드)을 초 단위로 저장하여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영상 송출부(100)와 자신 간의 동기화를 위해 활용하며,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가 영상 송출부(100)와 동기화하여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하고 있을 때 장애가 발생하여 영상 또는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의 송출 및 구현이 중지된 경우, 1) 상기 영상 송출부(100)와의 시간값(타임코드)으로 동기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시간값을 검증하여 동일한 시점에서 영상과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동기화 하여 상기 화면 정보 송출부(300)에서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송출하며, 2) 만일 상기 영상 송출부(100)에서 시간값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면 해설 정보 송출부에 초 단위로 저장된 음성 신호와 장애 복구 후 최초 유입되는 음성 신호를 비교하여 화면 해설 정보 송출부에 초단위로 저장된 타이머의 시간값(타임코드)을 획득, 상영시간을 역추적하거나 상기 영상 송출부(100)의 상영시간 값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받아 해당 위치에서부터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신호를 재생하며,
    상기 자막 표시부(6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자막 표시부(600)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자막 표시부(600)의 하측을 파지하는 파지부(410);
    상기 파지부(4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4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스탠드(420); 및
    상기 지지 스탠드(42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 스탠드(4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430)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누인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스탠드(4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원통(431);
    내측에 상기 지지 원통(431)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안착 케이스(432);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지지 원통(431)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상기 지지 원통(431)을 지지하는 원통 지지대(433);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전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는 전단 지지대(434); 및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후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후단 하측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435);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케이스(432)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 바디(4321);
    상기 지지 원통(4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통(4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 바디(4321)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 원통(431)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케이스 바디(4321)의 상측 및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 바디(4321)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원통 안착 공간(4322);
    상기 전단 지지대(434)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 안착 공간(4322)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 안착 공간(4323); 및
    상기 후단 지지대(435)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 안착 공간(4322)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 공간(4324);을 포함하며,
    상기 전단 지지대(434)는,
    상기 지지 원통(431)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내측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원통(431)의 전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내측에 설치되는 밀착 플레이트(4341);
    상단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4341)의 전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 케이스(432)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경우 바닥면에 안착되어 있는 하단이 바닥면을 따라 전방으로 밀리면서 상단이 상기 밀착 플레이트(4341)의 상단을 회동시켜 상기 밀착 플레이트(4341)를 상기 지지 원통(431)의 전면과 밀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대(4342); 및
    상기 플레이트 지지대(4342)와 상기 원통 지지대(43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대(4342)와 상기 원통 지지대(433)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4343);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 지지대(433)는,
    상기 안착 케이스(43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지지 원통(431)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대(4331);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홈에 상부가 삽입되는 하부 지지대(4332);
    상기 하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며, 상기 부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수직 완충 스프링(4333); 및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4334);를 포함하는,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81396A 2021-12-17 2021-12-17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KR10243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396A KR102434713B1 (ko) 2021-12-17 2021-12-17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396A KR102434713B1 (ko) 2021-12-17 2021-12-17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713B1 true KR102434713B1 (ko) 2022-08-22

Family

ID=8310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396A KR102434713B1 (ko) 2021-12-17 2021-12-17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7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397A (ko) 1997-01-23 1998-10-15 이종수 영화자막 처리장치
KR101619150B1 (ko) * 2015-01-20 2016-05-11 (주)씨에이씨엔터테인먼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7202B1 (ko) * 2017-03-10 2018-09-12 어수연 청각장애인용 영화 관람 시스템
KR20190073167A (ko) * 2017-12-18 2019-06-26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자막제공시스템 및 자막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397A (ko) 1997-01-23 1998-10-15 이종수 영화자막 처리장치
KR101619150B1 (ko) * 2015-01-20 2016-05-11 (주)씨에이씨엔터테인먼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7202B1 (ko) * 2017-03-10 2018-09-12 어수연 청각장애인용 영화 관람 시스템
KR20190073167A (ko) * 2017-12-18 2019-06-26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자막제공시스템 및 자막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50896B2 (en) Mixed reality system with spatialized audio
US20170127035A1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CA2636037C (en) Video/audio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select different views and sounds associated with an event
KR100678929B1 (ko) 다채널 디지털 사운드 재생방법 및 장치
CN101032186B (zh) 用录音来产生幻像三维声音空间的方法及装置
JP2002125300A (ja) 映画視聴者に音声情報を同期的に送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3143780A (ja) ディスプレイ映像視聴用のメガネ装置
JP2013143591A (ja) Avシステム
JP6538003B2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2434713B1 (ko)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JP6371560B2 (ja) 画像表示装置
KR102403400B1 (ko) 상영관 또는 강당에서의 다국어 동시 무선 지원 시스템
KR20110071389A (ko)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2459B1 (ko)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US11856275B1 (en) Video reproduction system and media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of synchronized reproducing of a video data stream of an audio-visual data stre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045271A (ko) 상영관 및 강당에서의 다국어 동시 무선 지원 시스템 및 휴대용 구현 기기
KR20140083558A (ko) 다중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다중 영상 표시 장치
CN109557665A (zh) Vr眼镜和观看vr视频的方法
WO2019114911A1 (es) Sistema interconectado para la transmisión inalámbrica de audio y vídeo de alta calidad entre dispositivos de electrónica de consu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