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150B1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150B1
KR101619150B1 KR1020150009100A KR20150009100A KR101619150B1 KR 101619150 B1 KR101619150 B1 KR 101619150B1 KR 1020150009100 A KR1020150009100 A KR 1020150009100A KR 20150009100 A KR20150009100 A KR 20150009100A KR 101619150 B1 KR101619150 B1 KR 101619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digital image
sound
foreig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희
최학주
Original Assignee
(주)씨에이씨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엑세스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이씨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엑세스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씨에이씨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5000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은 영화관에서 현재 상영되어 재생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신호 중 사운드 신호의 재생 시간과 동기화되어 있는 외국인의 자국어로 제작된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네트워크로 접속한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에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선택 정보를 확인하여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상기 자막 콘텐츠 및 상기 사운드 DNA 정보를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NOC 플랫폼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상기 NOC 플랫폼 서버로부터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받고, 리스트 중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상기 자막 콘텐츠및 상기 사운드 DNA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며, 선택된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재생 요청 정보에 따라 마이크부로 입력되는 재생 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를 저장된 상기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THE CIMEMA SCREENINGS DIGITAL VIDEO CONTENT MADE BY OTHER FOREIGN LANGUAGE EASY SEEING OR HEARING SYSTEM AND METHOD FOR FOREIGNERS USING SMART DEVICES}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시청이 용이하지 않은 외국인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상영 중인 디지털 영화 콘텐츠의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현재의 재생시간을 추출한 후 보조 콘텐츠인 외국인의 자국어 음성 화면 해설 또는 텍스트 자막 콘텐츠의 재생을 동기화 함으로써 상영중인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 콘텐츠와 함께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부산 국제영화제 등의 국내 영화제가 관객 및 규모 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룸에 따라 영화제 기간에 일본, 중국, 대만, 미국, 동남 아시아 등지의 외국인이 우리 나라를 직접 방문하여 각국의 영화를 관람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 체류하는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도 여가 생활을 위해 영화관을 자주 찾고 있다. 현재 부산 국제 영화제 등의 영화제나 국내 영화관에서 개봉되는 영화 중 다양한 국가의 외국어로 제작된 영화는 화면 및 음성 신호에 동기화된 영어 또는 한글 자막을 스크린 상에 현시하여 상영되고 있다.
그런데 영화제를 방문하는 외국인이나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중에는 영어나 한국어에 익숙치 않아 영화를 제대로 관람하지 못하는 외국인이 다수 있으므로 이들의 경우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 영상에 대한 관람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제10-1052850호에 개시된 특허 발명인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자막제공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로 네트워크(11)을 통해 다운받아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 재생시간과 동기화하여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와 동기화된 자막을 재생함으로써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130)가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전화 기능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크기가 작아 상시 휴대 및 사용이 빈번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패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가 아닌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DA 단말기 등의 휴대용 개인용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외국인이 상시 휴대 및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영화관 스크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CRT 모니터나 LCD 모니터 등으로 디스플레이부(210)가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 영상 콘텐츠가 디브이디 콘텐츠로 한정이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록 영상/음성 신호의 재생과 자막의 재생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사용자 단말기(130)에 구비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210)에 의해 재생이 되므로 일반 영화관에서 상기 특허 발명에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국인이 영화를 관람하기에 불편하고, 외국인이 자국어로 제작된 자막을 선택하여 간편하게 관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특허 발명은 디브이디 재생부(220)가 삽입된 디브이디로부터 영상과 음성 신호를 모두 추출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저장된 자막 정보를 영상 및 음성 신호와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하므로 영화관에서 상영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성 모두를 추출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특허 발명에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국인이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를 관람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52850 B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국인이 영화관에 구비되어 영상 및 사운드를 재생하는 디지털 영화 영상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와는 별도로 본인이 소지한 휴대용 스마트 기기를 통해 현재 상영 중인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자국어 음성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아 손쉽게 영화관에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시청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은 영화관에서 현재 상영되어 재생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신호 중 사운드 신호의 재생 시간과 동기화되어 있는 외국인의 자국어로 제작된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네트워크로 접속한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에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선택 정보를 확인하여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상기 자막 콘텐츠 및 상기 사운드 DNA 정보를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NOC 플랫폼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상기 NOC 플랫폼 서버로부터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받고, 리스트 중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상기 자막 콘텐츠 및 상기 사운드 DNA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며, 선택된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재생 요청 정보에 따라 마이크부로 입력되는 재생 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를 저장된 상기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선택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자막 콘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부,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선택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가 재생되는 사운드 출력부, 재생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부, 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상기 NOC 플랫폼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기지정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NOC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수동 또는 내장된 언어팩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 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운드 출력부, 상기 마이크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DNA 정보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구간에 걸쳐 추출되어 등록된 사운드 신호의 데이터베이스로써, 음향 주파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환 비트 코드 및 상기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디지털 정보인 타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트 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사운드 DNA 정보 속 비트 코드를 찾고 이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DNA 정보 속 타임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내에 포함된 일치되는 타임 코드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방법은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NOC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는 리스트 정보 확인 단계,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외국인이 시청하고자 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선택하는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선택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를 통해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외국인이 시청하기 위한 보조 콘텐츠인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상기 NOC 플랫폼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보조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 다운로드 단계,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외국인이 시청하기 위해 상기 보조 콘텐츠인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및 자막 제공 콘텐츠 중 하나의 보조 콘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선택하는 보조 콘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선택 단계, 그리고,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 발생하는 현재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의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받아 이를 저장된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선택된 보조 콘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의 사운드 출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켜 화면 해설 서비스 또는 자막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조 콘텐츠 재생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운드 DNA 정보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구간에 걸쳐 추출 등록된 사운드 신호의 데이터베이스로써, 음향 주파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환 비트 코드 및 상기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디지털 정보인 타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콘텐츠 재생 단계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트 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사운드 DNA 정보 속 비트 코드를 검색하는 비트 코드 검색 단계, 일치된 비트 코드가 검색되면 검색된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DNA 정보 속 타임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타임 코드와 일치하는 외국인의 자국어로 제작된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내에 포함된 타임 코드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영화관에서 상영 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상호 동기화하는 단계, 그리고,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선택된 보조 콘텐츠 이용 방법에 따라 상영 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함께 외국인의 시청을 위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하는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재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외국인이 영화관에 구비되어 영상 및 사운드를 재생하는 디지털 영화 영상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와는 별도로 본인이 소지한 휴대용 스마트 기기에 다운로드된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현재 상영 중인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자국어 음성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아 손쉽게 일반 영화관에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시청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영상 신호는 필요 없이 사운드 신호 정보만을 검색 추출하더라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영화관이나 영화제에서 상영하는 영상과 음성 신호 모두를 추출하기 어려운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음성 화면 해설이나 자막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스마트 기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사운드 DNA 정보의 추출, 등록 및 검색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도 4 중 사운드 DNA 정보를 추출 시작, 추출 중 및 추출 완료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프로그램 실행 화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방법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 기기에 다운로드된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 그리고,
도 9는 도 4 중 추출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사운드 DNA 정보의 설명도이다.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구성 블록도 및 순서도, 개략도, 각종 실행 화면들 및 설명도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스마트 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은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 네트워크(110), NOC 플랫폼 서버(120) 및 보조 콘텐츠 제공자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0)는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 NOC 플랫폼 서버(120), 보조 콘텐츠 제공자 단말기(130) 간의 데이터 통신 경로로 이용되며,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와 NOC 플랫폼 서버(120) 간은 3G 통신, 4G(LTE) 통신, 또는 WIFI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NOC 플랫폼 서버(120) 및 보조 콘텐츠 제공자 단말기(130) 간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외에 일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OC(network operating center) 플랫폼 서버(120)는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에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이하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이라 한다) 실행을 통해 네트워크로 접속한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에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고,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선택 정보를 확인하여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보조 콘텐츠인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국인이란 타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을 말하며 대한민국 사람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은 사용자인 외국인이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에 다운로드된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동으로 NOC 플랫폼 서버(120)에 접속하여 선택된 타국어로 제작된 특정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각 나라의 외국인은 수동으로 여러 언어 중 자국어를 선택하여 선택된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다운 받을 수도 있으나, 스마트 기기(100)의 OS에 기저장된 언어팩을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이 분석하여 자동으로 자국어를 선택하여 선택된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다운 받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가 NOC 플랫폼 서버(120)와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인 특정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에 들어온 경우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가 자동으로 다운로드된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에 자동으로 해당 상영관에서 현재 상영하고 있는 타국어로 제작된 특정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에 저장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면 해설 콘텐츠는 각 나라 언어를 구사하는 성우들의 육성을 통한 나레이션 및 편집을 통해 제작된 MP3 파일, M4A 파일 등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파일일 수 있으며, 자막 콘텐츠의 경우 각 나라 언어의 텍스트 형식의 SMI 파일 등 일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NOC 플랫폼 서버(120)에는 영화관에서 영상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50)인 스크린과 사운드 장치에 의해 현재 상영되어 재생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신호 중 사운드 신호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되어 있는 각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가 자막 및 화면 해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있다. 자막 및 화면 해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는 복수개의 외국어로 제작된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정보는 보조 콘텐츠 제공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어 구조화되어 저장되며, 해당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사운드 신호와 이에 따른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되어 있는 정보이며, 사운드 DNA 정보는 해당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구간에 걸쳐 추출 등록된 사운드 신호의 데이터베이스로써, 재생 중인 사운드 신호인 음향 주파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환 비트 코드(bit code) 및 이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특정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디지털 정보인 타임 코드(time code)를 포함하고 있다.
보조 콘텐츠 제공자 단말기(130)는 NOC 플랫폼 서버(120)에 보조 콘텐츠인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제공하여 저장시키는 제공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피디에이나 스마트 기기 등의 정보통신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콘텐츠인 화면 해설 콘텐츠 및 자막 콘텐츠와 사운드 DNA 정보의 제공자는 보조 콘텐츠 제공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각 나라의 언어로 제작된 화면 해설 콘텐츠 및 자막 콘텐츠와 사운드 DNA 정보를 생성하여 NOC 플랫폼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때, 보조 콘텐츠 제공자 단말기(130)에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운드 DNA 정보를 추출하여 등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사운드 DNA 정보의 추출, 등록 및 검색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도 4 중 사운드 DNA 정보를 추출 시작, 추출 중 및 추출 완료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프로그램 실행 화면들이다.
화면 해설 콘텐츠 및 자막 콘텐츠와 사운드 DNA 정보 제공자는 보조 콘텐츠 제공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한 자동 콘텐츠 인식(ACR, Automated Content Recognition) 핑거프린프(PrinteFrinter)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사운드 DNA 정보 추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동기화 하기 위해 필요한 사운드 DNA 정보를 추출해 내고 이를 NOC 플랫폼 서버(120)의 메모리부(220)에 등록 저장한다. 도 9는 도 4 중 추출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사운드 DNA 정보의 설명도로써, 사운드 DNA 데이터 정보가 비트 코드화 되어 저장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트 코드에 대응되는 타임 코드 또한 함께 저장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사운드 DNA 정보와 함께 등록되는 각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및 자막 콘텐츠에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과 동기화될 수 있도록 추출된 사운드 DNA 정보를 바탕으로 동일한 타임 코드 정보가 내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사운드 DNA 정보의 추출, 등록 및 검색을 위한 자동 콘텐츠 인식(ACR, Automated Content Recognition) 핑거프린프(PrinteFrinter) 기술은 본 특허 출원일 이전에 이미 공지된 기술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는 애플 앱스토어 또는 구글 플레이 등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사이트에 등록된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실행을 통해 네트워크(110)를 통해 접속된 NOC 플랫폼 서버(120)로부터 자막 및 화면 해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2)에 등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 받는다. 또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중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및 사운드 DNA 정보를 NOC 플랫폼 서버(120)로부터 전송 받아 이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한다.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는 외국인의 수동 조작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재생 요청 정보에 따라 마이크부(216)로 입력되는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를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의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영상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50)와는 별도로 마련된 휴대가 간편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의 사운드 출력부(212) 또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재생 중인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한다.
여기서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는 휴대가 용이한 밝은색 화면이 현시되는 터치 패널이 장착된 LCD 또는 OLED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10)를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패블릿 PC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언어 소통에 문제가 없어 스마트 기기(100)를 사용하지 않는 관람객과 한 상영관에서 함께 외국인이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관람하는 경우 밝은색 화면 현시로 인해 다른 관람객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며 관람의 편의를 위해 구글 글라스, 올림푸스사 MEG, 엡손사 MOVERIO 등의 스마트 글라스가 디스플레이부(210)로 채용된 웨어러블 기기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스마트 기기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스마트 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부(200), 디스플레이부(210), 사운드 출력부(212), 입력부(214), 마이크부(216), 통신부(218) 및 메모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4)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부(214)는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가 LCD 또는 OLED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10)를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패블릿 PC 등인 경우에는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적층 형성된 터치 패널일 수 있으며, 상술한 스마트 글라스가 디스플레이부(210)로 채용된 웨어러블 기기인 경우에는 스마트 글라스와 인접부에 별도로 마련된 입력 수단일 수 있으며, 이외 공통으로 각 디스플레이부(210)와 연동되는 로지스틱, 핑거툴 등의 기존 개발된 별도의 입력 수단이나 현재 개발 중 또는 차후 개발될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선택 정보 및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동기화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자막 콘텐츠가 재생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0)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동기화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시각적 정보를 추가로 현시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10)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다.
사운드 출력부(212)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선택 정보 및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동기화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된다. 사운드 출력부(212)는 범용적으로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에 채용된 스피커 또는 일반적인 유선 이어폰이거나 이와 무선으로 연동되는 블루투스 이어폰 등일 수 있다.
마이크부(216)는 스마트 기기(100)에 내장되어 있으며, 현재 상영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다.
통신부(218)는 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NOC 플랫폼 서버(120)에 접속하여 NOC 플랫폼 서버(1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는 무선 네트워크 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기지정된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NOC 플랫폼 서버(120)로부터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며, 마이크부(216)를 통해 재생 중인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저장된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디스플레이부(210) 또는 사운드 출력부(212)를 통해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4)이 저장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4)은 입력부(214) 및 제어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실행을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224), 비트 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검색하여 비교 분석하기 위한 비트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224b), 타임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검색하여 비교 분석하기 위한 타임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224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4)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224a)이 실행되게 되면 마이크부(216)를 통해 입력되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트 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사운드 DNA 정보 속 비트 코드를 비트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224b)을 이용하여 찾고 이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사운드 DNA 정보 속 타임 코드를 타임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224c)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내에 포함된 일치되는 타임 코드를 밀리세컨드(millisecond) 단위로 검색함으로써 사운드 출력부(212) 또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동기화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킨다.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사운드 출력부(212), 입력부(214), 마이크부(216), 통신부(218) 및 메모리부(220)를 제어하여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4)을 실행하여 사운드 출력부(212) 또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동기화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방법에 관하여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방법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 기기에 다운로드된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방법은 먼저, 외국인이 소지한 자신의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에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4)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S100), 미설치된 경우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224)을 설치(S110)하고, 기설치된 경우 도 8과 같이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4)을 실행한다(S12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4) 실행을 통해 외국인은 무선 네트워크(110) 망을 통해 NOC 플랫폼 서버(120)에 접속하여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정보를 확인한다(S130). 이 단계에서 자국어는 외국인이 수동으로 선택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4)이 스마트 기기(100)의 OS에 내장된 언어팩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게 되며, 이를 통해 외국인은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그런 다음,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외국인이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콘텐츠를 제공받아 시청하고자 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입력부(214)를 이용하여 선택한다(S140).
그런 다음,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외국인이 시청하기 위한 보조 콘텐츠인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NOC 플랫폼 서버(120)의 자막 및 화면 해설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122)로부터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로 무선 네크워크(110) 망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부(220)에 저장한다(S150).
이 후,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선택된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외국인이 시청하기 위해 보조 콘텐츠인 화면 해설 콘텐츠 및 자막 제공 콘텐츠 중 하나의 보조 콘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선택한다(S160).
그런 다음, 선택된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 발생하는 현재 사운드 신호를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의 마이크부(216)를 통해 입력받아 이를 저장된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선택된 보조 콘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에 따라 화면 해설 콘텐츠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의 사운드 출력부(212)를 통해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를 재생시키고 재생과 관련된 시각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현시하여 화면 해설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자막 콘텐츠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 스마트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켜 자막 서비스를 제공받는 보조 콘텐츠 재생 단계(S170)를 거친다.
상기 보조 콘텐츠 재생 단계(S170)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마이크부(216)를 통해 입력되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트 코드와 일치하는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사운드 DNA 정보 속 비트 코드를 검색한다(S172).
검색 결과, 일치된 비트 코드가 검색되면 검색된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사운드 DNA 정보로부터 추출한다(S174).
그런 다음, 추출된 타임 코드와 일치하는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내에 포함된 타임 코드를 밀리세컨드(millisecond) 단위로 검색함으로써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영화관에서 상영 중인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상호 동기화한다(S176)
그런 다음,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선택된 보조 콘텐츠 이용 방법에 따라 상영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함께 외국인의 시청을 위해 사운드 출력부(212) 또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재생하게 된다(S17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100)를 이용한 외국인의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외국인이 영화관에 구비되어 영상 및 사운드를 재생하는 디지털 영화 영상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와는 별도로 본인이 소지한 휴대용 스마트 기기에 다운로드된 배리어 프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4) 실행을 통해 현재 상영 중인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아 손쉽게 타국어 시청이 가능한 관람객과 함께 일반 영화관에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외국인의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시청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 신호는 필요 없이 사운드 신호 정보만을 검색 추출하더라도 외국인이 소지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영화관이나 영화제에서 상영하는 영상과 음성 신호 모두를 추출하기 어려운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이나 자막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의 공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50 : 영상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
100 : 사용자 스마트 기기 110 : 네트워크
120 : NOC 플랫폼 서버
122 : 자막 및 화면 해설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130 : 보조 콘텐츠 제공자 단말기200 : 제어부
210: 디스플레이부 212 : 사운드 출력부
214 : 입력부 216 : 마이크부
218 : 통신부 220 : 메모리부
224 : 어프리케이션 프로그램

Claims (7)

  1. 영화관에서 현재 상영되어 재생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신호 중 사운드 신호의 재생 시간과 동기화되어 있는 외국인의 자국어로 제작된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네트워크로 접속한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에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선택 정보를 확인하여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상기 자막 콘텐츠 및 상기 사운드 DNA 정보를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NOC 플랫폼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상기 NOC 플랫폼 서버로부터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받고, 리스트 중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상기 자막 콘텐츠 및 상기 사운드 DNA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며, 선택된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재생 요청 정보에 따라 마이크부로 입력되는 재생 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를 저장된 상기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 스마트 기기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선택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자막 콘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부,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선택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가 재생되는 사운드 출력부,
    재생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부,
    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상기 NOC 플랫폼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기지정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NOC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수동 또는 내장된 언어팩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 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운드 출력부, 상기 마이크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DNA 정보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구간에 걸쳐 추출되어 등록된 사운드 신호의 데이터베이스로써,
    음향 주파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환 비트 코드 및 상기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디지털 정보인 타임 코드
    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실행을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 상기 비트 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검색하여 비교 분석하기 위한 비트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타임 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검색하여 비교 분석하기 위한 타임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
    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트 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사운드 DNA 정보 속 비트 코드를 상기 비트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찾고 이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DNA 정보 속 타임 코드를 상기 타임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내에 포함된 일치되는 타임 코드를 밀리세컨드 단위로 검색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NOC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는 리스트 정보 확인 단계,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또는 자막 제공이 가능한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 리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외국인이 시청하고자 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선택하는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선택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를 통해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외국인이 시청하기 위한 보조 콘텐츠인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를 상기 NOC 플랫폼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보조 콘텐츠 및 사운드 DNA 정보 다운로드 단계,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외국인이 시청하기 위해 상기 보조 콘텐츠인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및 자막 제공 콘텐츠 중 하나의 보조 콘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선택하는 보조 콘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선택 단계, 그리고,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 발생하는 현재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의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받아 이를 저장된 사운드 DNA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선택된 보조 콘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의 사운드 출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택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재생시켜 화면 해설 서비스 또는 자막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조 콘텐츠 재생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DNA 정보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구간에 걸쳐 추출 등록된 사운드 신호의 데이터베이스로써,
    음향 주파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환 비트 코드 및 상기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디지털 정보인 타임 코드
    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스마트 기기의 입력부 및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실행을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 상기 비트 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검색하여 비교 분석하기 위한 비트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타임 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검색하여 비교 분석하기 위한 타임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
    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콘텐츠 재생 단계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현재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트 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사운드 DNA 정보 속 비트 코드를 상기 비트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비트 코드 검색 단계,
    일치된 비트 코드가 검색되면 검색된 비트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DNA 정보 속 타임 코드를 상기 타임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타임 코드와 일치하는 외국인의 자국어로 제작된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내에 포함된 타임 코드를 상기 타임 코드 추출 및 검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밀리세컨드 단위로 검색함으로써 상기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영화관에서 상영 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상호 동기화하는 단계, 그리고,
    동기화된 외국인의 자국어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를 선택된 보조 콘텐츠 이용 방법에 따라 상영 중인 상기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함께 외국인의 시청을 위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하는 화면 해설 콘텐츠 또는 자막 콘텐츠 재생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50009100A 2015-01-20 2015-01-20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9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00A KR101619150B1 (ko) 2015-01-20 2015-01-20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00A KR101619150B1 (ko) 2015-01-20 2015-01-20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150B1 true KR101619150B1 (ko) 2016-05-11

Family

ID=5602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100A KR101619150B1 (ko) 2015-01-20 2015-01-20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949A1 (ko) * 2017-12-18 2019-06-27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자막제공시스템 및 자막표시방법
KR102434713B1 (ko) * 2021-12-17 2022-08-22 (주)유유코리아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949A1 (ko) * 2017-12-18 2019-06-27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자막제공시스템 및 자막표시방법
KR102434713B1 (ko) * 2021-12-17 2022-08-22 (주)유유코리아 무선 자막 및 화면 해설 음성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3779B2 (en) Video stream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8600773B (zh) 字幕数据推送方法、字幕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9942599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ynchronize second screen content with audio/video programming using closed captioning data
EP2728859A2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of-users' interest when video call is made,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1277668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KR20160057864A (ko)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TWI522823B (zh) 用於跨多種裝置之智慧型媒體展示技術
US20150319402A1 (en) Providing video recording support in a co-operative group
KR20150111552A (ko)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789221B1 (ko) 동영상 제공 장치,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061112A (ja) 携帯デバイスへのセカンドスクリーン情報の提供方法
JP5197841B1 (ja)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KR101619150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975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의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7933A (ko)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1915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외국인의 타국어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787267A (zh) 会议视频字幕合成系统和方法
US8566890B2 (en) Video inform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1128927B2 (en) Content providing server, content providing terminal,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CN106878796A (zh) 一种显示嘉宾感言的方法和装置
JP6089874B2 (ja) 多言語同時再生システム
KR101230746B1 (ko) 음악데이터와 동시 출력을 위한 동기화된 영상데이터 생성방법과 그 동기화 출력을 위한 재생 방법
KR10161915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의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2464B1 (ko) 동영상 제공 장치,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202248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ing video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