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233A -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233A
KR20160026233A KR1020140114355A KR20140114355A KR20160026233A KR 20160026233 A KR20160026233 A KR 20160026233A KR 1020140114355 A KR1020140114355 A KR 1020140114355A KR 20140114355 A KR20140114355 A KR 20140114355A KR 20160026233 A KR20160026233 A KR 2016002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occupant
call
floo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림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림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림산전
Priority to KR102014011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6233A/ko
Publication of KR2016002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66B1/30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for energy 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 후 탑승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중의 불필요한 정지 및 도어의 개폐에 따른 이동 시간의 소비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인식하는 호출 인식수단, 상기 호출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엘리베이터의 탑승자를 확인하는 탑승자 확인수단,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에 의해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여 다른 층으로 운행중이면 운행을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탑승 호출한 층으로 운행중이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운행을 중지하도록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운행 제어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진행 또는 정지시키는 운행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ELEVATOR MANAGEMENT SYSTEM FOR SHIP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 후 탑승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중의 불필요한 정지 및 도어의 개폐 실행으로 발생하는 이동 시간의 소비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상교통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여객선이 대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여객선은 유람선 또는 크루즈 선(Cruise Ship)으로서 항해를 통한 유람을 목적으로 운항하는 선박이다. 여객선 내에는 장기간의 항해를 위해 수십 내지 수백 개의 객실, 식당, 수영장, 쇼핑센터, 카지노, 실내골프장, 아이스링크, 극장 및 테니스장은 물론 지상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생활 위락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객선 내에서는 많은 승객이 짧은 시간에 특정 갑판/층에서 많은 다른 층/갑판으로 이동을 원하는 상황, 즉 많은 층으로 이루어진다. 수 천명의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는 여객선에서 승객들이 승선할 때와 승객들이 갑판 입구에서 객실로 이동할 때, 또는 승객이 식사 시간에 식당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이용자들을 그들이 원하는 목적지에 효과적으로 운송하는 것이 요구되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이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수용력을 최대로 이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반면, 한가한 시간 동안에 승객들을 운송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최적화하는 가장 능률적인 방법으로 엘리베이터 그룹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한편으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한 승객 또는 승객 그룹은 엘리베이터와 선택된 층을 기다리는데 지치게 되는 상황에서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면, 엘리베이터의 호출이 이루어진 층에서 불필요하게 정지한다. 불필요한 정지 및 출발은 특히 위로 가는 경우, 에너지를 낭비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에 도어 센서(1)를 엘리베이터(5) 상부에 설치하고 외부 도어(6)의 버튼(2)에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버튼(2)을 누를 때와 접근하여 도어 센서(1)를 동작시킬 때가 동일 기능을 갖게 하는 엘리베이터 외부(홀) 버튼 겸용 도어 센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들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 층에서 각 엘리베이터의 대기 영역에 배열되는 제 1 센서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센서 수단은 적어도 해당 대기 영역에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승객의 존재와 승객의 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센서 수단과,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승객의 존재와 승객의 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센서 수단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 센서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7-001268호(2007.12.05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51714호(2012.05.22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단지 엘리베이터의 버튼 대신에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기술만 기재되어 있을 뿐,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기술로서,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 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시간적 및 에너지 낭비에 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박에서의 에너지 낭비를 제거하고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실행할 수 있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에서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정지를 차단할 수 있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은 선박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인식하는 호출 인식수단; 상기 탑승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위치의 탑승자를 확인하는 탑승자 확인수단;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에 의해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여 다른 층으로 운행중이면 운행을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탑승 호출한 층으로 운행중이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운행을 중지하도록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운행 제어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진행 또는 정지시키는 운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탑승자 확인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이 눌려진 후, 탑승자가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입구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부에 장착된 카메라이고,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탑승자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부에 장착된 열 감지 센서이고,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은 상기 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탑승자의 유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부의 하부의 바닥부분에 장착된 중량 감지 센서이고,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은 상기 중량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탑승자의 유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서 탑승자가 부재로 감지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해제하는 호출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방법은 선박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 의해 인식된 탑승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위치의 탑승자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여 다른 층으로 운행중이면 운행을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탑승 호출한 층으로 운행중이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운행을 중지하도록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 및 (d)단계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기 이전에 호출 층의 호출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탑승자를 인식하여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해당 층을 통과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계속 진행하거나, 해당 층에 도달하기 이전 적절한 위치에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킴으로써, 선박의 엘리베이터 이용시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하고,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은 선박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선박 내의 각각의 층에 마련된 다수의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위한 호출 버튼(10)이 조작된 경우,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인식하는 호출 인식수단(20), 상기 탑승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위치의 탑승자를 확인하는 탑승자 확인수단(30);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30)에 의해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여 다른 층으로 운행중이면 운행을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탑승 호출한 층으로 운행중이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운행을 중지하도록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 상기 제어수단(40)의 운행 제어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진행 또는 정지시키는 운행수단(60);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30)에서 탑승자가 부재로 감지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해제하는 호출해제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2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10)이 눌려진 후, 탑승자가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입구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감지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부에 장착된 탑승자 인식용 카메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부에 장착된 열 감지 센서 또는 엘리베이터 도어부의 하부의 바닥부분에 장착된 중량 감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 인식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탑승자의 상태는 제어수단(40)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탑승자의 움직임이 일정 시간 지속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 호출 버튼(10)을 조작한 후, 다량의 물품 등을 한번에 운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도어 앞에 물품을 적재하고 이동한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일정 시간, 즉 2 ~ 3초 후에는 탑승자의 움직임이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 호출 버튼(10)이 조작되어도 제어수단(40)은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탑승자의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의 입구 부분을 지나가는 사람도 감지하게 되므로, 제어수단(40)은 상기 카메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2~3초 후에도 지속적으로 열 감지가 되는지 판단하여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중량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탑승자의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도어의 입구 부분을 지나가는 사람도 감지하게 되므로, 제어수단(40)은 상기 카메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2~3초 후에도 지속적으로 중량 감지가 되는지 판단하여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40)에 의해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10)의 조작에 대해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해제하는 호출해제수단(50)을 마련한다. 이러한 호출해제수단(5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10)의 조작을 강제로 해제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계속 진행시킨다.
이와 같은 탑승자의 확인은 선박에 장착된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각각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해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위치에 대한 정보, 엘리베이터의 진행 방향(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정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탑승자의 상태에서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한 영상 정보, 또는 열 감지 센서에 의해 탑승자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중량 감지 센서에 의해 탑승자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7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수단(40)은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 또는 열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열 정보, 또는 중량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중량 정보를 비교하여 호출 버튼(10)의 조작에 따른 탑승자인 것을 확인하기 위해 연산한다.
여기서 선박 내에서 상기 제어수단(40)과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연결, 상기 제어수단(40)과 카메라, 열 감지 센서 및 중량 감지 센서의 전기적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탑승자 확인수단(30)에 의해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수단(40)은 호출해제수단(50)을 통해 탑승 호출이 발생한 해당 층의 호출을 해제하고, 운행 수단(60)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한다.
예컨대,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호출이 발생한 호출 층 이외에 다른 층으로 운행중이면 운행을 계속 진행하도록 운행수단(60)을 제어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탑승 호출한 호출 층으로만 엘리베이터가 운행중이면 이동 방향(상승 또는 하강)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운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운행 수단(60)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10층으로 운행하는 도중에 5층에서 탑승 호출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엘리베이터는 10층에 바로 도착하기 이전에 5층을 경유(정지)하게 되는 데, 이때 5층에 도달하기 이전에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5층의 호출을 자동으로 해제하고, 5층에 정지하고 않고 그대로 10층으로 운행한다.
만약, 엘리베이터 특정 층에 정지하고 있다가 5층에서 탑승 호출이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는 특정 층에서 5층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특정 층에서 5층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5층에 도달하기 이전에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5층의 호출을 자동으로 해제하고, 현재 위치에서 5층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층에 도달되면 엘리베이터를 정지하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는 9층에 있고 5층에서 호출이 발생하였으며, 8층을 통과한 상태에서(7층에는 도달하지 않음)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5층 호출을 해제하고 엘리베이터는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층인 7층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로써 탑승 호출이 발생한 경우에도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층에 정지하지 않고 다른 층으로 계속 운행을 하거나, 해당 층에 도달하기 이전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운행에 따른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수의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경우에도 각각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본 발명과 같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를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방법은 선박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인식하는 단계(S10); (b) 상기 단계 (a)에 의해 인식된 탑승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위치의 탑승자를 확인하는 단계(S20 ~ S40); (c) 상기 단계 (b)에서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여 다른 층으로 운행중이면 운행을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50 ~ S70); (d) 상기 탑승 호출한 층으로 운행중이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운행을 중지하도록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S80 ~ S9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방법은 선박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선박용 엘리베이터에서 탑승자가 호출 버튼(1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즉, 탑승자가 호출 버튼(10)을 조작하면(S10), 제어수단(40)은 어느 층에서 호출이 발생했는지를 인식한다. 여기서 선박 내 다수의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중앙제어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하나의 엘리베이터에만 호출 신호를 전달한다.
호출 신호를 수신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수단(40)은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게 되며(S20), 탑승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입구 부근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30). 여기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은 이미 다른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는 도중의 운행과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호출이 발생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탑승자 확인은 주지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도어 부근에 마련된 카메라, 열 감지 센서 또는 중량 감지 센서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탑승자를 확인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이 눌려진 후 탑승자가 대응하는 층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입구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확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탑승자의 상태에서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한 영상 정보, 열 감지 센서에 의해 탑승자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중량 감지 센서에 의해 탑승자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단계(S30)에서 탑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S40), 단계 S70으로 이동하여 해당 층에 엘리베이터를 정지하고, 도어를 열어 탑승자를 탑승시키게 된다. 이와는 달리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 S50으로 이동하여 현재 엘리베이터가 다른 층으로 운행하는 상태인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엘리베이터가 다른 층으로 운행하는 도중에 호출을 수신한 경우라면, 단계 S60으로 이동하여 호출 층의 호출을 자동으로 해제하고, 단계 S70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유지한다. 즉, 상기 호출이 발생한 호출 층은 정지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아울러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호출 층으로 이동이 발생한 경우라면, 단계 S80으로 이동하여 호출 층의 호출을 자동으로 해제하고, 단계 S90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운행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엘리베이터 운행을 정지하게 된다.
이로써 탑승 호출이 발생한 경우에도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층에 정지하지 않고 다른 층으로 계속 운행을 하거나, 해당 층에 도달하기 이전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운행에 따른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엘리베이터 도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선박의 엘리베이터 이용시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따른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10: 호출 버튼
20: 호출 인식수단
30: 탑승자 확인수단
40: 제어수단
50: 호출 해제수단
60: 운행수단
70: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선박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인식하는 호출 인식수단;
    상기 탑승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위치의 탑승자를 확인하는 탑승자 확인수단;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에 의해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여 다른 층으로 운행중이면 운행을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탑승 호출한 층으로 운행중이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운행을 중지하도록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운행 제어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진행 또는 정지시키는 운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이 눌려진 후, 탑승자가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입구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부에 장착된 카메라이고,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탑승자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부에 장착된 열 감지 센서이고,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은 상기 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탑승자의 유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부의 하부의 바닥부분에 장착된 중량 감지 센서이고,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은 상기 중량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탑승자의 유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확인수단에서 탑승자가 부재로 감지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해제하는 호출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7. 선박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엘리베이터의 탑승 호출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 의해 인식된 탑승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위치의 탑승자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탑승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여 다른 층으로 운행중이면 운행을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탑승 호출한 층으로 운행중이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운행을 중지하도록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c)단계 및 (d)단계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기 이전에 호출 층의 호출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방법.
KR1020140114355A 2014-08-29 2014-08-29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26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355A KR20160026233A (ko) 2014-08-29 2014-08-29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355A KR20160026233A (ko) 2014-08-29 2014-08-29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233A true KR20160026233A (ko) 2016-03-09

Family

ID=5553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355A KR20160026233A (ko) 2014-08-29 2014-08-29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62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268A (ko) 2004-04-28 2007-01-03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리소그래피 시스템에서 조사기의 조도 프로파일을 결정하는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1714A (ko) 2009-07-28 2012-05-22 마리밀스 오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268A (ko) 2004-04-28 2007-01-03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리소그래피 시스템에서 조사기의 조도 프로파일을 결정하는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1714A (ko) 2009-07-28 2012-05-22 마리밀스 오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018B2 (ja) 自律移動装置同乗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748238B2 (ja) 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KR100989268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KR10089891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73883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JP6702567B2 (ja) 自律移動体運搬システム
JP202010903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6125842B2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KR20100051112A (ko) 더블 덱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시스템
JP201510785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乗場呼びシステム
JP2019001613A (ja) 乗客コンベアー装置、乗客コンベアー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乗客コンベアー装置制御システム
JP2013159437A (ja) エレベーターの省エネ制御装置
CN103648951B (zh) 电梯装置
JP5882418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0825485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60026233A (ko)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3704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JP2019094157A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100959337B1 (ko)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657360B1 (ko) Id카드 식별 기반의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3237515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2876610A1 (en) Controlling passenger traffic
KR20210049445A (ko)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JP7434652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40060086A (ko) 선박용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