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445A -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445A
KR20210049445A KR1020190133753A KR20190133753A KR20210049445A KR 20210049445 A KR20210049445 A KR 20210049445A KR 1020190133753 A KR1020190133753 A KR 1020190133753A KR 20190133753 A KR20190133753 A KR 20190133753A KR 20210049445 A KR20210049445 A KR 20210049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floor
elevator
rssi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7234B1 (ko
Inventor
서부건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2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없을 때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즉시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카 내부 및 각 승강장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전원을 차단하며, 입력 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 예정자를 판단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RSSI based Elevato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없을 때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즉시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카 내부 및 각 승강장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전원을 차단하며, 입력 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 예정자를 판단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용하여 승객을 건물의 소정의 층으로 수송하는 주요 수송수단으로 고층건물이 즐비한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장치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도입부터 현재까지 승객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많은 산업분야에서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엘리베이터 분야에서도 에너지 절감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에너지 절감을 위한 종래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엘리베이터의 사용자가 없을 때에는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엘리베이터의 사용 요청이 발생하면 대기모드를 해지하고 정상 운행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에너지 절감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엘리베이터의 카가 운행되지 않고 각 승강장 층에서 호출이 추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엘리베이터를 대기모드로 진입시켜 승강장 내부의 조명과 팬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대기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어느 한 승강장 층에서 호출 버튼이 입력되어 호출이 발생하면 즉시 대기모드를 종료하여 승강장 내부의 조명과 팬이 동작하도록 하며 호출된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에너지 절감 방법은 대기모드에서도 승객의 호출 버튼 입력을 감지해야 하기 때문에 대기모드에서 호출 버튼 및 입력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을 차단하지 못하고 조명과 팬에 연결된 전원 라인만을 제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하지 못함으로써 실질적인 엘리베이터의 전원 차감 효과가 크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315827호 (2013.10.01)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없을 때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즉시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카 내부 및 각 승강장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전원을 차단하며, 입력 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 예정자를 판단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수신장치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식별부가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사전 등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건물 또는 입주민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가 자동 호출되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카에 탑승하면 사용자 단말이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 또는 로비층으로 목적층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에 의한 호출 버튼 또는 목표층 버튼 입력이 없이도 카의 호출 및 목표층 선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편리성을 제공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과 카에 배치되는 카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카 승하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여부를 알 수 있고, 측정된 카 RSSI 값의 변화폭 또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의 변화 양상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카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승차한 것으로 오판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자동 설정된 목표층으로 운행되더라도 즉시 사용자가 미탑승 상태임을 판단하여 운행을 중지함으로써, 오판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고, 오판에 의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카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는 수신장치와,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수신장치는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홀 RSSI 값을 측정하는 홀 신호 수신기와, 엘리베이터의 카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카 RSSI 값을 측정하는 카 신호 수신기를 포함하고, 제어장치는 측정된 홀 RSSI 값 및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면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하고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탑승 요청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제어부는 탑승 요청 판단부에서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가 호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요청 판단부는 복수개의 홀 신호 수신기에서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었다면, 가장 큰 값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홀 RSSI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는 승차 판단부와, 홀 RSSI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하차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차 판단부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카 RSSI 값이 더 크면 사용자가 카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하차 판단부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카 RSSI 값이 더 작으면 사용자가 카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홀 신호 수신기 또는 카 신호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운행 제어부, 탑승 요청 판단부, 승차 판단부 및 하차 판단부는 사전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RSSI 값을 대상으로 하는 판단과 제어만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제어부는 승차 판단부가 사용자가 카에 승차하였다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의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층을 자동 입력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제어부는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로비층이면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고,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주거층이면 로비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로비층 또는 주거층 외의 목표층이 수동 입력된 경우, 운행 제어부는 자동 입력된 로비층 또는 주거층이 임계 시간 내에 취소되지 않으면 수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는 카가 이동 중에 카 내부에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탑승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운행 제어부는 탑승 상태 판단부에 의해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았다 판단되면 자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상태 판단부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 후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상태 판단부는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미만이면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제어부는 측정된 홀 RSSI 값 및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시간 없이 즉시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 카 내부의 목표층 선택 버튼 및 카 도어 개폐 버튼과 카의 층 정보 및 운행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없을 때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즉시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카 내부 및 각 승강장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전원을 차단하며, 입력 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 예정자를 판단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신장치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식별부가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사전 등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건물 또는 입주민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가 자동 호출되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카에 탑승하면 사용자 단말이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 또는 로비층으로 목적층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에 의한 호출 버튼 또는 목표층 버튼 입력이 없이도 카의 호출 및 목표층 선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과 카에 배치되는 카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카 승하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여부를 알 수 있고, 측정된 카 RSSI 값의 변화폭 또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의 변화 양상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카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승차한 것으로 오판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자동 설정된 목표층으로 운행되더라도 즉시 사용자가 미탑승 상태임을 판단하여 운행을 중지함으로써, 오판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고, 오판에 의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카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 및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가 대기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탑승 요청자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승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카 운행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가 탑승 상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하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100) 및 제어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210)가 대기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2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이하 '제어 시스템'이라 한다)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UD)과,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는 수신장치(100)와, 수신장치(100)에서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및 각종 웨이러블기기 등의 블루투스 또는 WIFI 등이 동작하여 무선 신호 발신이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이때, 수신장치(100)는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홀 RSSI 값을 측정하는 홀 신호 수신기(110)와, 엘리베이터의 카(C)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카 RSSI 값을 측정하는 카 신호 수신기(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장치(200)는 측정된 홀 RSSI 값 및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면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하고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b를 살펴보면,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는 사용자 단말(UD)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RSSI 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이용을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접근하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강해져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에서 측정되는 RSSI 값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때, 각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의 배치 위치로 인해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수신된 RSSI 값이 가장 큰 수신기는 사용자 단말(UD)이 위치한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가 된다.
만약,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UD)이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에 위치하여 사용자 단말(UD)이 위치한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면,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의 절전모드가 해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반대로,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이용을 마치고 카에서 하차하여 승강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멀어져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에서 측정된 모든 RSSI 값이 임계값 미만의 값이 되면,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나중에 임계값 미만의 RSSI 값이 측정되는 신호 수신기는 사용자가 하차한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홀 신호 수신기(110)일 것이다.
이때, 운행 제어부(210)는 측정된 홀 RSSI 값 및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시간 없이 즉시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엘리베이터는 카 내부의 조명(L), 카 내부의 팬,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 카 내부의 목표층 선택 버튼 및 카 도어 개폐 버튼과 카의 층 정보 및 운행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반대로 절전모드가 해제되면 차단되었던 전원 공급이 재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00)는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110)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탑승 요청 판단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복수개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동일한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었다면, 가장 큰 값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110)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복수개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동일한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었다면, 가장 먼저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110)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운행 제어부(210)에서 절전모드 해제를 위해 판단 기준이 되는 RSSI 값의 임계값과 탑승 요청 판단부(220)에서 탑승 요청자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 판단 기준이 되는 RSSI 값의 임계값이 동일한 값일 경우,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요청 판단부(220)에 의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였다 판단되면 엘리베이터의 절전모드가 해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요청 판단부(220)가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C)가 호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면 해당 층에 배치된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됨과 동시에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사용자 단말(UD)이 위치한 층을 판단하여 해당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에서 엘리베이터 카(C)를 호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유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00)는 홀 RSSI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는 승차 판단부(230)와, 홀 RSSI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하차 판단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차 판단부(230)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카 RSSI 값이 더 크면 사용자가 카(C)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하차 판단부(240)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카 RSSI 값이 더 작으면 사용자가 카(C)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카(C)가 어느 한 층에 정차한 상태에서 정차한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로부터 카 도어까지의 거리와 카 신호 수신기(130)로부터 카 도어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각 홀 신호 수신기(110)와 카 신호 수신기(130)가 위치되도록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D)로부터 정차한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까지의 거리와 카 신호 수신기(130)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지점이 카 도어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UD)이 카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면 카 RSSI 값이 더 커지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UD)이 카 외부에 위치되어 있으면 홀 RSSI 값이 더 커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때, 운행 제어부(210)는 각각의 홀 신호 수신기(110)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두 값의 차가 설정 범위 이내일 경우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두 RSSI 값의 차가 설정 범위 이내일 때에는 사용자가 카 도어에 위치하였거나 매우 근접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의 문 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장치(200)는 홀 신호 수신기 또는 카 신호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UD)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식별부(260)를 더 포함하고, 운행 제어부(210), 탑승 요청 판단부(220), 승차 판단부(230) 및 하차 판단부(240)는 사전 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의 RSSI 값을 대상으로 하는 판단과 제어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00)는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의 신호인 경우에만 해당 신호의 홀 RSSI 값과 카 RSSI 값 만을 유효값으로 처리한다. 때문에,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접근하여도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탑승자 발생을 판단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210)는 승차 판단부(230)가 사용자가 카(C)에 승차하였다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UD)의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층을 자동 입력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행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로비층이면 사용자 단말(UD)의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고,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주거층이면 로비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호출 버튼 또는 목표층 버튼 입력이 없이도 카의 호출 및 목표층 선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전 등록된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건물 또는 입주민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제어부(210)는 로비층 또는 주거층 외의 목표층이 수동 입력된 경우, 자동 입력된 로비층 또는 주거층이 임계 시간 내에 취소되지 않으면 수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즉,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로비층에서 엘리베이터 카(C)에 탑승하면 자동으로 주거층이 입력되고 곧 주거층을 향해 카(C)가 운행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목표하는 층이 주거층이 아닌 다른 층인 경우, 사용자는 주거층에 해당하는 버튼을 가압하여 주거층이 목표층에서 취소되도록 해야만 다른 층을 목표층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하지 않은 사용자가 함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동 선택된 목표층을 취소하고 다른 층을 목표층으로 선택하는 경우 이를 기록하여 외부 서버로 발송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한층 더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카(C)가 이동 중에 카 내부에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탑승 상태 판단부(250)를 더 포함하고,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상태 판단부(250)에 의해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았다 판단되면 자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승차 판단부(230)에서 사용자가 승차한 것으로 오판하여 엘리베이터 카(C)가 자동 설정된 목표층으로 운행되더라도 즉시 사용자가 미탑승 상태임을 판단하여 운행을 중지함으로써, 오판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고, 오판에 의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카(C)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탑승 상태 판단부(250)가 카(C)가 이동하는 중에 카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 후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UD)이 엘리베이터 카(C)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상향 운행 중이라면 2층, 3층, 4층에 배치된 홀 신호 수신기(110) 순으로 측정된 홀 RSSI 값이 증가하다 각 층을 통과하는 시점부터 감소할 것이고 엘리베이터가 하향 운행 중이라면 반대의 순서로 홀 RSSI 값이 증가하다 각 층을 통과하는 시점부터 감소할 것이다.
또한,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미만이면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UD)이 카(C)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카(C)가 상향 운행되었다면 얼마 운행되지 않고 카 RSSI 값은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탑승 요청 판단부(220)가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0). 만약,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지 않았다면(S100-N) 탑승 요청자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고,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면(S100-Y),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인지 판단하고(S200), 절전모드일 경우(S200-Y) 절전모드를 해제하며(S250), 절전모드 상태가 아니면(S200-N), 절전모드 해지 과정은 생략한다.
그리고 절전모드가 해제되었거나 이 과정을 생략한 뒤에, 운행 제어부(210)는 탑승 요청자 발생이 감지된 층에 카(C)가 호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할 수 있다(S300).
엘리베이터 카(C)가 호출된 층에 도착하고 카의 도어가 개방되면 승차 판단부(230)는 사용자가 승차하였는지 판단한다(S400). 만약, 사용자가 승차하지 않았다면(S400-N), 운행 제어부(210)는 임계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450), 임계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S450-N) 임계시간이 다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되(S400), 임계시간이 경과했다면(S450-Y), 모든 홀 신호 수신기(110) 및 카 신호 수신기(130)에서 측정되는 RSSI 값이 모두 임계값 미만인지 판단하고(S800), 모든 RSSI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S800-N),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S900), 본 RSSI 기반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이 종료된다.
만약, 임계값 이상인 RSSI 값이 존재하는 경우(S800-N),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850), 임계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S850-N), RSSI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다시 판단하며(S800), 임계시간이 경과한 경우(S850-Y),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S900), 본 RSSI 기반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이 종료된다.
한편, 만약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카(C)에 승차하였다면(S400-Y) 운행 제어부(210)는 카(C)가 운행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S500),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카(C)의 운행이 시작되면 사용자가 탑승 상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S600).
만약, 사용자가 탑승 상태에서 운행 중이다 판단되는 경우(S600-Y), 운행을 지속하고, 카(C)가 목표층에 도착하면 하차 판단부(240)는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700). 그리고 사용자가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700-N), 사용자가 하차할 때까지 대기하고, 사용자가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면(S700-Y), 절전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모든 RSSI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판단한다(S800).
그리고 운행 중에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600-N), 운행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 운행이 즉시 중단되도록 동작 제어하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탑승 요청자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탑승 요청자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탑승 요청자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단말 식별부(260)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UD)의 신호가 수신되었다 판단되면(S110),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측정된 사용자 단말 신호의 홀 RSSI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0). 만약, 임계값을 초과하였다면(S120-Y), 탑승 요청 판단부(220)는 해당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S130),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S120-N), 탑승 요청자가 발생 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4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승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승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카가 호출된 층에 정지하면(S410), 승차 판단부(230)는 가장 큰 홀 RSSI 값이 카 RSSI 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S420).
그리고 승차 판단부(230)는 가장 큰 홀 RSSI 값이 카 RSSI 값보다 작은 경우(S420-Y), 사용자가 카(C)에 승차하였다 판단하고(S430), 가장 큰 홀 RSSI 값이 카 RSSI 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S420-N), 사용자가 카(C)에 승차하지 않았다 판단할 수 있다(S44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카 운행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카 운행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운행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UD)의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승차층이 사용자 주거층인지 판단할 수 있다(510).
만약, 승차층이 사용자 주거층인 경우(510-Y), 운행 제어부(210)는 로비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되도록 운행 제어하고(520), 승차층이 사용자 주거층이 아닌 경우(510-N), 운행 제어부(210)는 주거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되도록 운행 제어할 수 있다(530).
목적층이 입력되면 운행 제어부(210)는 로비층 및 기등록된 주거층 외에 다른 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540). 만약 타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540-N), 엘리베이터 카(C)가 목적층으로 운행되도록 운행 제어하고(S570), 타층이 목적층으로 입력된 경우(540-Y), 로비층 또는 주거층의 목적층 입력이 취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550).
만약, 취소된 경우(550-Y), 운행 제어부(210)는 변경된 목적층으로 카(C)가 운행되도록 운행 제어하지만(570), 취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550-N), 추가 입력된 타층은 목적층 입력을 취소하고(560), 기존의 목적층인 로비층 또는 기등록된 주거층을 목적층으로 하여 카(C)가 운행되도록 운행 제어할 수 있다(57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가 탑승 상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가 탑승 상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측정되는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이내인지 판단하고(S610), 기준 폭을 벗어날 경우((S610-N), 사용자가 미탑승 상태로 카가 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40).
만약,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미만인 경우(S610-Y),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각 층의 홀 신호 수신기(110)로부터 측정된 홀 RSSI 값이 순차적으로 상승 및 하락 순으로 변화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20).
그리고 탑승 상태 판단부(250)는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경우(S620-Y), 사용자가 탑승한 생태로 카(C)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하지만(S630), 순차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S620-N),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로 카(C)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4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 하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과정 중, 사용자가 하차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카(C) 목적층에 도착하면(S710), 하차 판단부(240)는 홀 RSSI 값이 카 RSSI 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S720). 만약 홀 RSSI 값이 카 RSSI 보다 클 경우(S720-Y), 하차 판단부(240)는 사용자가 하차 완료하였다 판단하고(S730), 홀 RSSI 값이 카 RSSI 값 보다 작을 경우(720-N)에는 사용자가 아직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4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신장치
110: 홀 신호 수신기 130: 카 신호 수신기
200: 제어장치
210: 운행 제어부 220: 탑승 요청 판단부
230: 승차 판단부 240: 하차 판단부
250: 탑승 상태 판단부 260: 단말 식별부
UD: 사용자 단말

Claims (15)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측정하는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RSSI 값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각 층의 승강장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홀 RSSI 값을 측정하는 홀 신호 수신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카 RSSI 값을 측정하는 카 신호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측정된 상기 홀 RSSI 값 및 상기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면 상기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하고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탑승 요청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탑승 요청 판단부에서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층으로 카가 호출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요청 판단부는 복수개의 상기 홀 신호 수신기에서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홀 RSSI 값이 측정되었다면, 가장 큰 값의 홀 RSSI 값이 측정된 홀 신호 수신기가 배치된 층에 탑승 요청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홀 RSSI 값과 상기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는 승차 판단부; 및
    상기 홀 RSSI 값과 상기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하차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판단부는 각각의 상기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상기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카 RSSI 값이 더 크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하차 판단부는 각각의 상기 홀 신호 수신기에서 측정된 홀 RSSI 값 중 가장 큰 값과, 상기 카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카 RSSI 값이 더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홀 신호 수신기 또는 상기 카 신호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제어부, 상기 탑승 요청 판단부, 상기 승차 판단부 및 상기 하차 판단부는 사전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RSSI 값을 대상으로 하는 판단과 제어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승차 판단부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에 승차하였다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층을 자동 입력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로비층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전 등록시 지정된 주거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승차한 층이 상기 주거층이면 로비층을 목표층으로 자동 입력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로비층 또는 상기 주거층 외의 목표층이 수동 입력된 경우,
    상기 운행 제어부는 자동 입력된 상기 로비층 또는 주거층이 임계 시간 내에 취소되지 않으면 수동 입력된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가 이동 중에 상기 카 내부에 상기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탑승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탑승 상태 판단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았다 판단되면 자동 입력된 상기 목표층을 취소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상태 판단부는 각 층의 상기 홀 신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홀 RSSI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 후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상태 판단부는 상기 카 RSSI 값의 변화 폭이 기준 폭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였다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홀 RSSI 값 및 상기 카 RSSI 값 중 임계값 이상인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시간 없이 즉시 상기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고,
    상기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 카 내부의 목표층 선택 버튼 및 카 도어 개폐 버튼과 상기 카의 층 정보 및 운행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20190133753A 2019-10-25 2019-10-25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2297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753A KR102297234B1 (ko) 2019-10-25 2019-10-25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753A KR102297234B1 (ko) 2019-10-25 2019-10-25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445A true KR20210049445A (ko) 2021-05-06
KR102297234B1 KR102297234B1 (ko) 2021-09-03

Family

ID=7591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753A KR102297234B1 (ko) 2019-10-25 2019-10-25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2352A (zh) * 2023-08-25 2023-09-19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一种电梯通信系统的节能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320A (ja) * 2004-03-11 2005-09-22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登録装置
JP2012056701A (ja) * 2010-09-08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省電力システム
KR101315827B1 (ko) 2013-06-18 2013-10-08 (주)영진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주전원 전력절감장치
KR20180133458A (ko) * 2016-04-06 2018-12-1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모바일 장치 상태 관리 및 위치 결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320A (ja) * 2004-03-11 2005-09-22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登録装置
JP2012056701A (ja) * 2010-09-08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省電力システム
KR101315827B1 (ko) 2013-06-18 2013-10-08 (주)영진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주전원 전력절감장치
KR20180133458A (ko) * 2016-04-06 2018-12-1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모바일 장치 상태 관리 및 위치 결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2352A (zh) * 2023-08-25 2023-09-19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一种电梯通信系统的节能方法和系统
CN116782352B (zh) * 2023-08-25 2023-11-10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一种电梯通信系统的节能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234B1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8436A1 (en) Automated elevator car call prompting
KR101668904B1 (ko) 승강기 설비를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
US9090433B2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that includes a standby operation
EP1988046B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WO2014016924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WO2010018616A1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CN106829660B (zh) 电梯运行控制方法和电梯运行控制系统
JP6702575B1 (ja) 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および運転システム
EP0452130A2 (en) Controlling door dwell time
JP2013159437A (ja) エレベーターの省エネ制御装置
WO2022176858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2236661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KR102297234B1 (ko)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JP7081704B1 (ja) 自律移動体の管理装置
KR20160071086A (ko) 지능형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825485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90095783A (ko)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방법 및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시스템
KR20170125302A (ko) 엘리베이터 제어방법 및 장치
CN108298389B (zh) 组群电梯系统
CN108298390B (zh) 组群电梯系统
KR20170075898A (ko)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
JP2005231813A (ja) 車椅子兼用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KR20010028145A (ko) 탑승자가 감지되는 엘리베이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0062B1 (ko)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KR102277107B1 (ko) 탑승승객을 예측하여 지능적으로 절전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절전운행 제어장치 및 그 절전운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