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771A - 고효율 스팀 건조기 - Google Patents

고효율 스팀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771A
KR20160025771A KR1020140113051A KR20140113051A KR20160025771A KR 20160025771 A KR20160025771 A KR 20160025771A KR 1020140113051 A KR1020140113051 A KR 1020140113051A KR 20140113051 A KR20140113051 A KR 20140113051A KR 20160025771 A KR20160025771 A KR 20160025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upply shaft
steam supply
pipe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원
Original Assignee
한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원 filed Critical 한태원
Priority to KR102014011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5771A/ko
Publication of KR2016002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스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온의 스팀을 피건조물에 전달하는 전열면적이 매우 넓고,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하여 스팀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면서 건조성능을 대폭 향상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디스크 건조기는 전체적인 전열면적이 작아 건조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밖에 없고, 스팀이 냉각되어 발생하는 응축수가 스팀 공급축의 내부에 정체되어 새롭게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기 힘들게 됨으로써 이러한 응축수는 결국 건조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팀 공급축의 외측에 설치된 한 쌍의 소경 전열관 및 대경 전열관의 외면은 물론 상기 스팀 공급축, 소경 전열관 및 대경 전열관의 사이사이에도 피건조물이 위치하면서 전열면적을 넓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팀 공급축에 정체된 응축수를 상기 스팀 공급축과 연통 설치된 양수관이 상향으로 선회하는 과정에서 퍼올린 후 스팀 공급축의 내부로 뿜어내면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효율 스팀 건조기{High efficiency steam dryer}
본 발명은 고온의 스팀을 피건조물에 전달하는 전열면적이 매우 넓고,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하여 스팀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면서 건조성능을 대폭 향상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산업 슬러지, 축분 등의 발생량이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의 발생량 증가는 지구의 환경을 오염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환경보호 및 친환경적인 정책을 위해서 환경단체뿐만 아니라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많은 관련기관에서 쓰레기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계몽하고 있으며, 어쩔 수 없이 산업시설 및 생활주변에서 발생되고 있는 쓰레기는 자연환경에 최대한 영향을 덜 끼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노력들 중의 하나로 수거과정에서 수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이나 하수 슬러지 등은 수분함량이 적당수준 이하로 되도록 건조시킨 후 다음의 처리공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건조기 중에서 간접적으로 열을 전도하여 실제 공급 열량에 비해 건조에 필요한 열량을 극대화 하도록 전열면적을 확대하는 간접 열전도 건조기는 동일한 전열면적에서 피건조물의 입자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커져 전열효과가 높고, 내부수분이 표면수로 존재함에 따라 건조속도가 빨라지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간접 열전도방식의 대표적인 건조기로는 디스크 건조기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디스크 건조기는 회전가능한 스팀 공급축의 일측으로 공급되는 스팀이 상기 스팀 공급축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연통 설치된 디스크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디스크를 가열하고, 이중자켓으로 구성된 건조기 몸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피건조물은 스팀 공급축에 의해 회전하는 디스크에 접촉하면서 배출구 측으로 이송하며, 이 과정에서 피건조물은 가열된 디스크에 접촉되면서 간접 열전도 방식으로 건조되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디스크 건조기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5603호, 명칭/ 디스크 건조기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피건조물의 건조를 실시하고자 간접 가열되어 회전되는 디스크의 외주연에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를 형성하여 마모가 발생되면 체결수단으로 결합된 보강플레이트의 교체로 마모된 부분의 보강이 가능함에 따라 교체시간을 단축하고, 체결수단의 해체로 교체가 가능하여 교체가 용이함으로써 교체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여타 모든 디스크 건조기는 등간격으로 설치된 디스크의 사이사이 공간에서만 제한적으로 피건조물에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가 설치된 지점에는 피건조물이 위치할 수 없어 전체적인 전열면적이 작아 건조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디스크에 피건조물이 접촉하는 과정에서 스팀 공급축으로 공급된 높은 온도의 스팀이 냉각되어 응축수로 변환되고, 이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의 디스크나 스팀 공급축에서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응축수는 새롭게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응축수가 위치한 지점의 디스크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기 힘들게 됨으로써 이러한 응축수는 결국 건조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디스크 건조기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팀 공급축의 외측에 설치된 한 쌍의 소경 전열관 및 대경 전열관의 외면은 물론 상기 스팀 공급축, 소경 전열관 및 대경 전열관의 사이사이에도 피건조물이 위치하면서 전열면적을 넓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팀 공급축에 정체된 응축수를 상기 스팀 공급축과 연통 설치된 양수관이 상향으로 선회하는 과정에서 퍼올린 후 스팀 공급축의 내부로 뿜어내면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조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팀 공급축에 다수의 스팀 헤더관을 나선형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동일각도만큼 연속적으로 회전되게 내부로 관통 설치하고, 상기 스팀 헤더관의 일측에는 스팀 공급축과 연통하는 응축수 양수관을 설치하며, 상기 스팀 헤더관의 외측에는 동심축상으로 양단부가 상기 스팀 헤더관 및 응축수 양수관에 각각 일체로 연통하는 소경 전열관을 설치하고, 상기 소경 전열관의 외측에는 동심축상으로 양단부가 상기 스팀 헤더관 및 응측수 양수관에 각각 일체로 연통하는 대경 전열관을 설치하며,상기 스팀 헤더관의 회전방향 일측 외주면에는 교반 이송날개를 일체로 부착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소경 전열관 및 대경 전열관의 외면은 물론 상기 스팀 공급축, 소경 전열관 및 대경 전열관의 사이사이에도 피건조물이 접촉하면서 전열이 이루어짐으로써 전열면적을 대폭 확장하여 피건조물의 건조시간이 매우 빠르고, 효율성을 증대하여 건조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 공급축에 정체되어 있는 응축수를 상기 스팀 공급축과 연통 설치된 응축수 양수관이 하향으로 선회할 때 응축수를 수집한 후 상향으로 선회하면서 스팀 공급축의 내부로 뿜어 내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스팀의 온도 저하를 방지함은 물로 이로 인해 소경 전열관 및 대경 전열관이 고온을 유지하면서 피건조물을 신속하고 완벽하게 건조하여 건조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품질을 대폭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효율 스팀 건조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팀 공급축, 스팀 헤더관, 응축수 양수관 및 소경, 대경 전열관, 교반 이송날개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팀 공급축, 스팀 헤더관, 응축수 양수관 및 소경, 대경 전열관, 교반 이송날개의 설치상태 부분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팀 헤더관 및 응축수 양수관이 하향으로 선회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팀 헤더관 및 응축수 양수관이 하향으로 선회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팀 헤더관에 스팀이 공급됨과 동시에 응축수 양수관에 응축수가 집수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팀 헤더관에 스팀이 공급됨과 동시에 응축수 양수관이 응축수를 뿜어내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스팀 공급축, 스팀 헤더관 및 소경, 대경 전열관, 교반 이송날개의 조립상태 측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팀 건조기(D)의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건조기 몸체(10), 스팀 공급축(20), 스팀 헤더관(30), 응축수 양수관(40), 소경 전열관(50), 대경 전열관(60), 교반 이송날개(7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팀 공급축(20)은 도 1과 같이 원통형의 이중자켓으로 구성된 건조기 몸체(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기어드모터(11)와 체인(12)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기어드모터(1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스팀 공급축(20)은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중공축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스팀 유로(21)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각각 베어링에 끼움 지지되는 회전축부(22)(2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22)(22a)에는 스팀 유로(21)와 연통하는 스팀 인렛(23) 및 응축수 아웃렛(24)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일측의 스팀 인렛(23)을 통해 인입되는 고온의 스팀은 내부의 스팀 유로(21)로 공급되며, 상기 스팀 유로(21)를 통과하는 스팀은 후술하는 다수의 소경 전열관(50) 및 대경 전열관(60)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스팀 헤더관(30)이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스팀 헤더관(30)은 동일선상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외주면에 나선형 경로를 따라 동일한 각도만큼 연속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4개의 스팀 공급축(20)이 90°만큼 연속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됨을 1싸이클로 하며, 이러한 1싸이클이 반복되는 형태로 실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나선형 경로를 따라 다양한 각도만큼 연속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팀 헤더관(30)은 스팀 유로(21)로 공급된 스팀을 한데 모아서 한 쌍의 소경 전열관(50) 및 대경 전열관(60)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스팀 공급축(20)을 관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일측의 선단부가 스팀이 유입될 수 있도록 도 8과 같이 개방되는 반면, 외부로 노출된 타측의 선단부는 스팀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유입된 스팀 헤더관(30)의 높이는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피건조물을 건조한 후 냉각되어 변환된 응축수가 스팀 공급축(20)의 내부에서 정체할 때 상기 정체된 응축수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스팀 헤더관(30)이 응축수에 잠기지 않고 응축수의 수면 위로 노출되어 상기 스팀 유로(21) 내의 스팀이 원활하게 유입되면서 스팀을 한데 모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팀 헤더관(30)의 일측에는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의 응축수 양수관(4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 양수관(40)은 스팀 공급축(20)내에 응축수가 정체하면서 스팀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을 제거하는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다.
이와 같은 응축수 양수관(40)은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내부와 연통하는 일측의 선단부가 도 10과 같이 상기 스팀 공급축(20)에 정체된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반면, 타측의 선단부는 응축수가 건조기 몸체(10)의 내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되고, 상기 스팀 헤더관(30)과 외향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설치되며, 상기 스팀 헤더관(30) 및 응축수 양수관(40)은 상호 연결플레이트(31)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한다.
상기 응축수 양수관(40)은 스팀 공급축(20)의 회전작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선회하는데, 특히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하향으로 선회할 때에는 상기 스팀 공급축(20) 내의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양수관(40)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면서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고, 상기 응축수가 집수된 응축수 양수관(40)은 상향으로 선회하면서 응축수를 퍼올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응축수 양수관(40)은 상향으로 선회하여 응축수를 퍼올리면서 도 10과 같이 개방부위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향으로 경사진 위치에 도달하면 퍼올린 응축수를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뿜어내고, 이 응축수는 공급되는 스팀의 압력에 의해 응축수 아웃렛(24)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체되는 응축수에 의해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스팀이 온도가 저하됨을 효율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고온의 스팀을 소경 전열관(50) 및 대경 전열관(60)에 원활하게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더욱 신속하고 완전하게 건조함으로써 건조성능을 대폭 향상하고, 건조작업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제고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피건조물과 접촉하는 전열면적을 더욱 확장하기 위한 기술로써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외측에 동심축상으로 원형의 소경 전열관(50)이 설치되고, 상기 소경 전열관(50)의 개방된 양단부는 스팀 헤더관(30) 및 응축수 양수관(40)에 각각 일체로 연통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팀 헤더관(30)에 한데 모아진 스팀은 상기 소경 전열관(50)으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또한, 상기 소경 전열관(50)의 외측에는 상기 소경 전열관(50)과 1조를 이루는 원형의 대경 전열관(60)이 동심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대경 전열관(60)의 개방된 양단부는 스팀 헤더관(30) 및 응축수 양수관(40)에 각각 일체로 연통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팀 헤더관(30)에 한데 모아진 스팀은 대경 전열관(60)으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팀 공급축(20), 소경 전열관(50) 및 대경 전열관(60)은 상호 연결플레이트(51)를 매개로 일체화 연결됨으로써 상호 더욱 견고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스팀 공급축(20), 소경 전열관(50) 및 대경 전열관(60)은 상호 사이사이에 피건조물이 통과할 수 있는 피건조물 통로(80)가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건조기 몸체(10)로 유입되는 피건조물은 상기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소경, 대경 전열관(50)(60)의 사이사이에 위치함은 물론 상기 피건조물 통로(80)에도 위치함으로써 상기 피건조물에 접촉하는 전열면적이 대폭 확장되고, 이로 인해 피건조물의 건조시간이 매우 빠르고, 건조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하여 건조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즉 상기 동심축상으로 설치된 소경 전열관(50) 및 대경 전열관(60)과 스팀 공급축(20)의 사이사이가 막히지 않고 개방된 피건조물 통로(8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건조물 통로(80)에 위치하는 피건조물이 상기 소경 전열관(50) 및 대경 전열관(60)에 접촉하면서 전열이 이루어져 전열면적을 확장하게 된다.
상기 스팀 헤더관(30)의 회전방향 일측 외주면에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피건조물을 골고로 섞어줌과 동시에 건조기 몸체(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배출슈트(14) 쪽으로 피건조물을 밀어내면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교반 이송날개(70)가 일체로 부착 설치된다.
상기 교반 이송날개(70)는 회전방향 쪽에 위치하는 경사면(71)이 도 3과 같이 피건조물이 이송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경사면(71)은 피건조물을 상기 배출슈트(14)로 원활하게 교반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상기 응축수 양수관(40)을 생략하여 구조를 더욱 간소화한 스팀 건조기(D)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실시 예의 스팀 건조기(D)의 기술구성은, 건조기 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팀 공급축(20)과;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외주면에 나선형 경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동일각도만큼 연속적으로 회전되게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관통 설치된 다수의 스팀 헤더관(30)과;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외측에 동심축상으로 상기 스팀 헤더관(30)에 양단부가 일체로 연통하게 설치되는 소경 전열관(50)과; 상기 소경 전열관(50)의 외측에 동심축상으로 상기 스팀 헤더관(30)에 양단부가 일체로 연통하게 설치되는 대경 전열관(60)과; 상기 스팀 헤더관(30)의 회전방향 일측 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교반 이송날개(7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응축수 양수관(40)이 생략됨에 따라 스팀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은 다소 미흡하나, 피건조물과 접촉하는 전열면적을 확장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속도를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함에는 어떠한 무리도 없게 된다.
D: 스팀 건조기 10: 건조기 몸체
11: 기어드모터 14: 배출슈트
20: 스팀 공급축 21: 스팀 유로
22, 22a: 회전축부 23: 스팀 인렛
24: 응축수 아웃렛 30: 스팀 헤더관
31, 51: 연결플레이트 40: 응축수 양수관
50: 소경 전열관 60: 대경 전열관
70: 교반 이송날개 80: 피건조물 통로

Claims (9)

  1. 건조기 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팀 공급축(20)과;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외주면에 나선형 경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동일각도만큼 연속적으로 회전되게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관통 설치된 다수의 스팀 헤더관(30)과;
    상기 스팀 헤더관(30)의 일측에 상기 스팀 공급축(20)과 연통하게 설치된 다수의 응축수 양수관(40)과;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외측에 동심축상으로 상기 스팀 헤더관(30) 및 응축수 양수관(40)에 각각 양단부가 일체로 연통하게 설치되는 소경 전열관(50)과;
    상기 소경 전열관(50)의 외측에 동심축상으로 상기 스팀 헤더관(30) 및 응축수 양수관(40)에 각각 양단부가 일체로 연통하게 설치되는 대경 전열관(60)과;
    상기 스팀 헤더관(30)의 회전방향 일측 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교반 이송날개(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스팀 건조기.
  2. 건조기 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팀 공급축(20)과;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외주면에 나선형 경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동일각도만큼 연속적으로 회전되게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관통 설치된 다수의 스팀 헤더관(30)과;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외측에 동심축상으로 상기 스팀 헤더관(30)에 양단부가 일체로 연통하게 설치되는 소경 전열관(50)과;
    상기 소경 전열관(50)의 외측에 동심축상으로 상기 스팀 헤더관(30)에 양단부가 일체로 연통하게 설치되는 대경 전열관(60)과;
    상기 스팀 헤더관(30)의 회전방향 일측 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교반 이송날개(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스팀 건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축(20)은 내부에 스팀 유로(21)가 형성되고,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부(22)(22a)에는 상기 스팀 유로(21)와 연통하는 스팀 인렛(23) 및 응축수 아웃렛(24)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스팀 건조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헤더관(30)은 상기 스팀 공급축(20)을 관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일측의 선단부가 스팀 유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되고, 외부로 노출된 타측의 선단부는 밀폐되며,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유입된 스팀 헤더관(30)의 높이는 상기 스팀 공급축(20)에 정체되는 응축수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여 상기 스팀 헤더관(30)으로 스팀이 원활하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스팀 건조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축(20), 소경 전열관(50) 및 대경 전열관(60)은 상호 연결플레이트(51)를 매개로 일체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스팀 건조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축(20), 소경 전열관(50) 및 대경 전열관(60)은 상호 사이사이에 피건조물 통로(80)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피건조물 통로(80)에 위치하는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스팀 건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양수관(40)은 상기 스팀 공급축(20)과 연통하는 일측의 선단부가 상기 스팀 공급축(20) 내의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타측의 선단부는 밀폐되며, 상기 스팀 헤더관(30)과 외향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설치되고, 상기 스팀 헤더관(30) 및 응축수 양수관(40)은 상호 연결플레이트(31)를 매개로 일체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스팀 건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양수관(40)은 하향으로 선회시 상기 스팀 공급축(20) 내의 응축수를 집수한 후 상향으로 선회하여 퍼올리면서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뿜어내며, 상기 스팀 공급축(20)의 내부로 뿜어낸 응축수는 스팀의 압력에 의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스팀 건조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이송날개(70)는 회전방향 쪽에 위치하는 경사면(71)이 피건조물의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스팀 건조기.


KR1020140113051A 2014-08-28 2014-08-28 고효율 스팀 건조기 KR20160025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051A KR20160025771A (ko) 2014-08-28 2014-08-28 고효율 스팀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051A KR20160025771A (ko) 2014-08-28 2014-08-28 고효율 스팀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771A true KR20160025771A (ko) 2016-03-09

Family

ID=5553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051A KR20160025771A (ko) 2014-08-28 2014-08-28 고효율 스팀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57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6559A (zh) * 2019-11-05 2020-02-07 山东凯斯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化制烘干一体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6559A (zh) * 2019-11-05 2020-02-07 山东凯斯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化制烘干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536B1 (ko) 디스크 건조기
JP2014029250A (ja) ディスク型乾燥装置
KR101659814B1 (ko) 디스크 건조기
CN213570094U (zh) 一种用于调节污泥干化厚度的薄层干化机
CN109945611B (zh) 一种湿气回用和组合加热的盘式干燥装置
CN204625456U (zh) 污泥干化机
CN105737549A (zh) 一种动态固体真空干燥机
JP2001272169A (ja) 連続式回転乾燥機
KR101598505B1 (ko) 건조장치
KR20160025771A (ko) 고효율 스팀 건조기
CN205747777U (zh) 顺逆流式滚筒烘干机
JP2012233599A (ja) 多管式乾燥装置
CN104773778A (zh) 卧式旋转桨叶蒸发器
KR102280458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CN109210885A (zh) 三筒式真空烘干机
KR101598504B1 (ko) 건조장치
CN106894211A (zh) 一种衣物烘干机
KR20110044700A (ko) 오니 처리 장치
CN105972986A (zh) 一种可分区域调整进闭汽的干燥机汽室结构
CN105417926B (zh) 一种采用列管式回转炉的污泥间接干化装置
KR100966133B1 (ko) 폐수의 농축건조장치
CN210399825U (zh) 一种盘式干燥装置
CN105371620A (zh) 有冷却段的滚筒烘干机
CN208504940U (zh) 一种横排轴式污泥干燥机
CN207749030U (zh) 一种多层连续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7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28

Effective date: 2016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