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685A -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685A
KR20160025685A KR1020140112404A KR20140112404A KR20160025685A KR 20160025685 A KR20160025685 A KR 20160025685A KR 1020140112404 A KR1020140112404 A KR 1020140112404A KR 20140112404 A KR20140112404 A KR 20140112404A KR 20160025685 A KR20160025685 A KR 2016002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ressing portion
pressing
cover glass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131B1 (ko
Inventor
전재승
김수원
노형석
조종갑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1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93Tools and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chu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글라스 성형기구는 커버글라스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평면부를 하중으로 고정하고,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커버글라스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글라스를 지지하는 하금형, 상기 제1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제1 상금형 및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하는 제2 상금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GLASS MOLDING APPARATUS AND GLASS MOLDING METHOD}
본 발명은 글라스 성형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성도가 향상된 곡면 글라스를 제작하는 글라스 성형기구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전면에 패널이 장착되어 영상화면이 구현된다.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글라스는 커버렌즈의 일종으로, 패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글라스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최 상단에 위치해 있어 사용자가 가장 먼저 보고 접촉하는 부품일 수 있다. 때문에,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발전이 거듭하면서,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커버글라스의 디자인이 다양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성도가 향상된 곡면 글라스를 제작하는 글라스 성형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는 커버글라스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평면부를 하중으로 고정하고,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커버글라스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글라스를 지지하는 하금형, 상기 제1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제1 상금형 및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하는 제2 상금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상금형에 의해 제1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상금형에 의해 제2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제1 상금형은 제1 상금형판, 상기 제1 상금형판의 하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상금형판의 하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한다.
상기 제1 상금형판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제1 가압부의 내측면의 길이는 상기 제1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 가압부의 내측면과 반대면인 상기 제1 가압부의 외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1 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1 곡률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1 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가압부의 길이는 상기 제2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2 가압부의 저면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홀에 삽입된다.
상기 제2 상금형은 제2 상금형판, 상기 제2 상금형판의 하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3 가압부 및 상기 제2 상금형판의 하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4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가압부는 상기 제2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한다.
상기 제3 가압부의 길이는 상기 제1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3 가압부의 저면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압부는 상기 제1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상금형판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제4 가압부의 내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내측면과 반대면인 상기 제4 가압부의 외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4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2 곡률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가압부는 상기 제2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4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2 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하금형은 상기 커버글라스가 배치되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가 수납되는 하금형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금형판은 상기 하금형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함몰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금형판의 상기 홈에 상기 성형부가 수납되고, 상기 하금형판의 상면에서 상기 홈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의 상기 지지부의 하면을 제외한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접촉된다.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부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곡률을 갖는 양각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성형부, 상기 성형부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곡률을 갖는 양각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성형부 및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 형상을 갖는 제3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 상면은 상기 제1 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성형부의 상면은 상기 제2 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성형부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의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평면부의 상면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은 커버글라스의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제1 홀 및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하금형 사이에 상기 커버글라스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된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평면부를 상기 지지부의 하중으로 고정하는 단계, 제1 상금형이 상기 제1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금형을 제2 상금형으로 교체하고, 상기 제2 상금형이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글라스 성형기구는 완성도가 향상된 곡면 글라스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에 의해 성형된 커버글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곡면 글라스의 성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에 의해 성형된 커버글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로 제작된 커버글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글라스 성형기구(100)로 제작된 커버글라스(400)는 제1 방향(D1)으로 장변을 갖고, 제2 방향(D2)로 단변을 갖는다.
커버글라스(400)는 제1 부분(410), 제2 부분(420) 및 평면부(430)를 포함한다. 제1 부분(410) 및 제2 부분(420)는 제1 방향(D1)에서 커버글라스(4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410)은 제1 방향(D1)에서 커버글라스(4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부분(420)는 커버글라스(400)의 제1 방향(D1)에서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 성형기구(100)로 성형되기 전의 커버글라스(400)는 평판 유리일 수 있다. 즉, 성형되기 전의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10) 및 제2 부분(420)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성형된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10) 및 제2 부분(420)은 제1 방향(D1)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2 방향(D2)으로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D2)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부분(410) 및 제2 부분(420)의 단면은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이하, 제1 부분(410)의 곡률은 제1 곡률이라 정의되고 제2 부분(420)의 곡률은 제2 곡률이라 정의된다. 제1 곡률은 제2 곡률과 다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곡률은 제2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부분(410)은 제2 부분(420)보다 더 휘어질 수 있다. 이하, 도 2a, 도 2b 및 도 3a 내지 도 3d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부분(410)의 곡률이 제2 부분(420)의 곡률보다 크게 도시되었다.
평면부(430)는 제1 부분(410)과 제2 부분(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410)은 제1 방향(D1)에서 평면부(430)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 부분(420)은 제1 방향(D1)에서 평면부(430)의 타측에 연결된다. 평면부(430)는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부분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글라스 성형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제2 부분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글라스 성형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글라스 성형기구(100)는 상금형(200), 지지부(300) 및 하금형(500)을 포함한다. 하금형(500) 상에 지지부(300)가 배치되고, 지지부(300) 상에 상금형(200)이 배치된다. 하금형(500)과 지지부(300) 사이에 평면 상태의 커버글라스(400)가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글라스 성형기구(100)는 히트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트블록은 글라스 성형기구(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글라스 성형기구(100)를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히트블록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커버글라스(400)의 유동성이 높아져 커버글라스(400)가 성형될 수 있다.
글라스 성형기구(1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글라스 성형기구(100)는 흑연소재로 형성된 금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라믹, 실리콘 카바이드(SiC) 및 텅스텐 카바이드(WC) 등이 글라스 성형기구(100)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금형(200)은 제1 상금형(200a)과 제2 상금형(200b)을 포함한다. 제1 상금형(200a)은 도 2a에 도시되었으며, 제2 상금형(200b)는 도 2b에 도시되었다.
제1 상금형(200a)은 제1 상금형판(210a), 제1 가압부(220a) 및 제2 가압부(230a)를 포함한다. 제1 상금형(200a)은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10)을 성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상금형(200b)은 제2 상금형판(210b), 제3 가압부(220b) 및 제4 가압부(230b)를 포함한다. 제2 상금형(200b)은 커버글라스(400)의 제2 부분(420)을 성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상금형(200a)의 제1 상금형판(210a)은 제2 상금형(200b)의 제2 상금형판(210b)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금형판(210a, 210b)은 제1 방향(D1)으로 장변을 갖고 제2 방향(D2)으로 단변을 갖는다. 제1 상금형판(210a)의 저면부에는 제1 가압부(220a) 및 제2 가압부(230a)가 제3 방향(D3)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금형판(210b)의 저면부에는 제3 가압부(220b) 및 제4 가압부(230b)가 제3 방향(D3)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1)에서 제1 상금형판(210a)의 저면부의 일측에 제1 가압부(220a)가 배치되고, 타측에 제2 가압부(230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D1)에서 제2 상금형판(210b)의 저면부의 일측에 제3 가압부 (220b)가 배치되고, 타측에 제4 가압부(23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압부(220a) 및 제4 가압부(230b)의 저면부는 곡면 형상을 가지며, 제2 가압부(230a) 및 제3 가압부(220b)의 저면부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부(220a)의 저면부는 제1 곡률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된다. 제4 가압부(230b)의 저면부는 제2 곡률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가압부(220a~230b)는 제1 및 제2 상금형판(210a)으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가압부(220a) 및 제2 가압부(230a)는 나사 또는 못으로 제1 상금형판(210a)에 고정될 수 있고, 제3 가압부(220b) 및 제4 가압부(230b)는 나사 또는 못으로 제2 상금형판(210b)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하고자 하는 커버글라스(400)의 형상에 따라, 제1 부분(410) 및 제2 부분(420)의 곡률에 대응하여 제1 및 제4 가압부(220a, 230b)가 교체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상금형(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제1 방향(D1)에서 지지부(300)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홀들(H1, H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홀들(H1, H2)의 위치 및 크기는 상금형판(210)의 제1 내지 제4 가압부들(220a, 230a, 220b, 230b)의 위치와 크기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1)에서 지지부(300)의 일측에 제1 홀(H1)이 배치되고, 타측에 제2 홀(H2)이 배치된다. 제1 홀(H1)은 제1 가압부(220a) 및 제3 가압부(220b)의 위치와 크기에 대응된다. 제2 홀(H2)은 제2 가압부(230a) 및 제4 가압부(230b)의 위치와 크기에 대응된다.
제1 내지 제4 가압부들(220a, 230a, 220b, 230b)은 지지부(300)의 제1 및 제2 홀(H1, H2)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방향(D3)에서 제1 및 제4 가압부(220a, 230b)의 길이는 제3 방향(D3)에서 제1 및 제2 홀들(H1, H2)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제3 방향에서 제2 및 제3 가압부의 길이(230a, 220b)는 제1 및 제2 홀들(H1, H2)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 도 3a 내지 도 3d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지지부(300)의 하부에는 하금형(50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00)와 하금형(500)의 사이에는 커버글라스(400)가 배치된다.
하금형(500)은 커버글라스(400)가 배치되는 성형부(510) 및 성형부(510)가 수납되는 하금형판(520)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커버글라스(400) 성형 시, 커버글라스(400)는 성형부(510)의 상면에 배치된다. 하금형판(520)은 제1 방향(D1)으로 장변을 가지며 제2 방향(D2)으로 단변을 가진다.
하금형판(520)은 하금형판(520)의 상면에서 하부로 함몰된 홈(G)을 포함한다. 홈(G)에는 성형부(510)가 수납될 수 있다.
성형부(510)의 상면은 제1 성형부(510a), 제2 성형부(510b) 및 제3 성형부(510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1)에서 성형부(510)의 상면의 일측에 제1 성형부(510a)가 배치되고, 타측에 제2 성형부(51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성형부(510c)는 성형부(510)의 상면에서 제1 성형부(510a)와 제2 성형부(51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성형부(510a) 및 제2 성형부(510b)의 상면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성형부(510c)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성형부(510a)는 제1 곡률을 갖는다. 즉, 제1 성형부(510a)는 제1 상금형(200a)의 제1 가압부(220a)와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다. 제2 성형부(510b)는 제2 곡률을 갖는다. 즉, 제2 성형부(510b)는 제2 상금형(200b)의 제4 가압부(230b)와 대응하는 제2 곡률을 갖는다. 제3 성형부(510c)는 평면 형상을 갖는다.
이 때, 제1 성형부(510a) 및 제2 성형부(510b)는 양각의 형태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성형부(510a)의 상면은 제1 곡률을 갖는 양각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성형부(510b)의 상면은 제2 곡률을 갖는 양각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커버글라스(400)의 성형 시,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10)은 제2 부분(420)과 동시에 성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글라스(400)는 제1 부분(410)과 제2 부분(420) 중 곡률이 크게 형성될 일 부분부터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도시된 제1 상금형(200a)에 의해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10)이 곡면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후, 도 2b에 도시된 제2 상금형(200b)에 의해 커버글라스(400)의 제2 부분(420)이 곡면으로 성형될 수 있다.
커버글라스(400)의 성형 방법은 이하 도 3a 내지 도 3d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곡면 글라스의 성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버글라스(400)는 제1 부분(410)과 제2 부분(420) 중 곡률이 큰 일 부분부터 순차적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 부분(410)에 곡률이 형성되는 단계는 제1 차 성형으로 정의되고, 제2 부분(420)에 곡률이 형성되는 단계는 제2 차 성형으로 정의된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차 성형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 및 도 3d는 제2 차 성형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성형부(510)가 하금형판(500)의 홈(G)에 삽입된다. 성형부(510)의 상면을 제외한 성형부(510)의 측면 및 하면은 홈(G)의 내측면 및 하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평판 형태의 커버글라스(400)는 성형부(5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10)은 대응하는 제1 성형부(510a) 상에 배치되고, 제2 부분(420)은 대응하는 제2 성형부(510b) 상에 배치된다.
커버글라스(400) 상에 지지부(300)가 배치된다. 지지부(300)의 제1 및 제2 홀(H1, H2)은 각각 제1 부분(410) 및 제2 부분(420)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홀 및 제2 홀(H1, H2)은 제1 성형부(510a) 및 제2 성형부(510b)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홀(H1, H2) 사이의 지지부(300)의 하면은 제3 성형부(510c)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커버글라스(400)의 평면부(430) 상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커버글라스(400)의 평면부(430)는 지지부(300)의 하중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금형판(520)의 홈(G)을 제외한 하금형판(520)의 상면은 제1 홀(H1)과 제2 홀(H2) 사이의 지지부(300)의 하면을 제외한 지지부(30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지지부(300) 상에 제1 상금형(200a)이 배치된다. 제1 상금형(200a)의 제1 가압부(220a)는 제1 홀(H1)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2 가압부(230a)는 지지부(300)의 제2 홀(H2)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상금형(200a)은 제3 방향(D3)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제1 상금형판(210a)은 제1 및 제2 홀(H1, H2)을 제외한 지지부(3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상금형(200a)의 제1 가압부(220a) 및 제2 가압부(230a)는 지지부(300)의 대응하는 제1 홀(H1) 및 제2 홀(H2)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방향(D3)에서 제1 가압부(220a)의 길이는 제1 홀(H1)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금형판(210a)의 중심을 향하는 제1 가압부(220a)의 내측면의 길이는 제1 홀(H1)의 길이와 같다. 제1 가압부(220a)의 내측면과 반대면인 제1 가압부(220a)의 외측면의 길이는 제1 홀(H1)의 길이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가압부(220a)의 제1 곡률을 갖는 저면부는 제1 홀(H1)을 통과하여 지지부(300)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방향(D3)에서 제2 가압부(230a)의 길이는 제2 홀(H2)의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압부(230a)는 제2 홀(H2)에 삽입되고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제1 가압부(220a)의 저면부 및 제2 가압부(230a)의 저면부는 각각 대응하는 제1 홀(H1) 및 제2 홀(H2)을 통하여 커버글라스(40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가압부(220a)는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1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금형(200)으로 커버글라스(400)를 가압할 시, 제1 가압부(220a)의 저면부는 제1 가압부(220a)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하금형(500)의 제1 성형부(510a)의 상면과 커버글라스(400)를 사이에 두고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성형부(510a)와 제1 가압부(220a) 사이에 발생하는 힘에 의하여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10)은 제1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압부(230a)의 저면부는 평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상금형(200a)으로 커버글라스(400)를 가압할 시, 제2 가압부(230a)의 저면부는 평판 상태인 제2 부분(420)에 접촉될 뿐, 제2 부분(420)을 가압하지 않는다.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제1 차 성형 단계를 거친 커버글라스(400)가 성형부(5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성형부(510)의 상면을 제외한 면들은 하금형판(520)의 홈(G)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00) 상에 제2 상금형(200b)이 배치된다. 제2 상금형(200b)의 제3 가압부(220b)는 제1 홀(H1)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4 가압부(230b)는 지지부(300)의 제2 홀(H2)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제2 상금형(200b)는 제3 방향(D3)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제2 상금형판(210b)은 제1 및 제2 홀(H1, H2)을 제외한 지지부(3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상금형(200b)의 제3 가압부(220b) 및 제4 가압부(230b)는 지지부(300)의 대응하는 제1 홀(H1) 및 제2 홀(H2)에 삽입된다.
제3 방향(D3)에서 제3 가압부(220b)의 길이는 제1 홀(H1)의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가압부(220b)는 제1 홀(H1)에 삽입되고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제3 방향(D3)에서 제4 가압부(230b)의 길이는 제1 홀(H1)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금형판(210b)의 중심을 향하는 제4 가압부(230b)의 내측면의 길이는 제2 홀(H2)의 길이와 같다. 제4 가압부(230ㅠ)의 내측면과 반대면인 제4 가압부(230b)의 외측면의 길이는 제2 홀(H2)의 길이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4 가압부(230b)의 제2 곡률을 갖는 저면부는 제2 홀(H2)을 통과하여 지지부(300)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 가압부(230b)의 저면부는 각각 대응하는 제2 홀(H2)을 통하여 커버글라스(400)와 접촉될 수 있다.
제3 가압부(220b)의 저면부는 평면 형상을 갖는다. 제2 상금형(200b)으로 커버글라스(400)를 가압할 시, 제3 가압부(220b)의 저면부는 제1 곡률을 갖는 제1 성형부(510a)와 맞닿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성형부(510a)와 제2 가압부(230a) 사이에 힘이 발생하더라도, 제1 차 성형이 완료된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20)은 제2 차 성형 시 추가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제4 가압부(230b)는 커버글라스(400)의 제2 부분(420)을 가압할 수 있다. 제2 상금형(200b)으로 커버글라스(400)를 가압할 시, 제4 가압부(230b)의 저면부는 제4 가압부(230b)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하금형(500)의 제2 성형부(510b)의 상면과 커버글라스(400)를 사이에 두고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성형부(510b)와 제4 가압부(230b) 사이에 발생하는 힘에 의하여 커버글라스(400)의 제2 부분(420)에 제2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410)과 제2 부분(420)이 동시에 가압된다면, 커버글라스(400)의 제1 부분(410)과 제2 부분(420) 사이에 배치된 평면부(430)가 제3 방향(D3)에서 제1 및 제2 상금형(200a, 200b)을 향하도록 들릴 수 있다. 평면부(430)가 제3 방향(D3)으로 들리는 현상으로 인해 커버글라스(400) 형상의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평면부(430)가 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300)가 하중으로 커버글라스(400)의 평면부(430)를 누를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0)가 평면부(430)를 하중으로 누름으로써 커버글라스(40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300)에 의하여 평면부(430)가 고정되더라도 평면부(430)와 제1 및 제2 부분(410, 420)과의 사이가 매끄럽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100)는 커버글라스(400) 성형 시, 제1 차 성형 단계와 제2 차 성형 단계에서 서로 다른 부분을 순차적으로 가압하므로 독립적으로 커버글라스가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차 성형 시, 제1 부분(410)이 제1 가압부(220a)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제2 부분(420)이 제3 방향(D3)에서 제2 가압부(230a)을 향하도록 들릴 수 있다. 이 때, 제3 방향(D3)으로 들린 제2 부분(420)은 제2 가압부(230a)와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차 성형에 의한 제2 부분(420)의 들림 현상은, 제2 차 성형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발생되는 제2 부분(420)의 형상 변형으로서, 제2 차 성형에서 재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 성형에 의한 제2 부분(420)의 들림 현상은 성형이 완료된 커버글라스(400)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2 차 성형 시, 제2 부분(420)이 제4 가압부(230b)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제1 부분(410)이 제3 방향(D3)에서 제2 상금형(200b)을 향하도록 들릴 수 있다. 제3 방향(D3)으로 들린 제1 부분(410)은 제3 가압부(220b)와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가압부(220)는 평면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차 성형이 완료된 제1 부분(410)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차 성형에 의하여 제1 부분(410) 들리게 되더라도 제1 부분(41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100)를 이용한 순차적 가압 방법은 성형 시, 커버글라스(400)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커버글라스(400)의 추가 가공이 불필요하다. 또한, 순차적 가압 방법은 커버글라스(400) 가압 후 수행되는 연삭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커버글라스(400)의 성형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100)는 제1 및 제3 상금형(200a, 200c), 지지부(300) 및 하금형(500)을 포함한다. 하금형(500) 상에 지지부(300)가 배치되고, 지지부(300) 상에 상금형(200)이 배치된다. 하금형(500)과 지지부(300) 사이에 평면 상태의 커버글라스(400a)가 배치된다.
제1 상금형(200a)은 도 4a에 도시되었으며, 제3 상금형(200c)는 도 2b에 도시되었다. 도 4a에 도시된 제1 상금형(200a)은 도 2a에 도시된 제1 상금형(200a)과 동일하다.
제3 상금형(200c)은 제3 상금형판(210c), 제5 가압부(220c) 및 제6 가압부(230c)를 포함한다. 제3 상금형(200c)은 커버글라스(400a)의 제2 부분(420)을 성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상금형(200a)의 제1 상금형판(210a)은 제3 상금형(200c)의 제3 상금형판(210c)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상금형판(210c)의 저면부에는 제5 가압부(220c) 및 제6 가압부(230c)가 제3 방향(D3)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1)에서 제3 상금형판(210c)의 저면부의 일측에 제5 가압부 (220c)가 배치되고, 타측에 제6 가압부(230c)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압부(220a) 및 제6 가압부(230c)의 저면부는 곡면 형상을 가지며, 제2 가압부(230a) 및 제5 가압부(220c)의 저면부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글라스(400a) 성형 시, 제1 가압부(220a) 및 제5 가압부(220c)는 제1 부분(410)을 가압하고, 제2 가압부(230a) 및 제6 가압부(230c)는 커버글라스(400)의 제2 부분(420)을 가압할 수 있다.
제6 가압부(230c)의 곡률은 제1 가압부(220a)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제6 가압부(230c)의 저면부는 제1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성형부(510)의 제1 성형부(510a)의 곡률은 제2 성형부(510b)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성형부(510b)는 제1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하, 가압부들(220,230)과 제1 및 제2 성형부(510a, 510b)를 제외한 글라스 성형기구(100)의 구성은 도 2a 및 도 2b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가압부들(220,230)과 제1 및 제2 성형부(510a, 510b)를 제외한 글라스 성형기구(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에 의해 성형된 커버글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글라스(400a)는 제1 부분(410a), 제2 부분(420a) 및 평면부(430a)을 포함한다. 성형이 완료된 커버글라스(400a)의 제1 부분(410a) 및 제2 부분(420a)은 제1 곡률을 갖는다.
이하, 제1 부분(410) 및 제2 부분(420)의 곡률의 차이를 제외한 커버글라스(400a)의 구성은 도 1의 커버글라스(4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제1 부분(410a) 및 제2 부분(420a)의 곡률의 차이를 제외한 커버글라스(400a)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100)는 가압 시, 제1 부분(410a) 및 제2 부분(420a)의 곡률이 같을 경우에도 제1 부분(410a) 및 제2 부분(420a)을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순차적 가압에 관한 구성은 도 3a 내지 도 3d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순차적 가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성형기구(100)는 제1 부분(410a)의 곡률과 제2 부분(420a)의 곡률이 같은 커버글라스(400a)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글라스 성형기구 200: 상금형
200a: 제1 상금형 200b: 제2 상금형
210a: 제1 상금형판 220a: 제1 가압부
230a: 제2 가압부 210b: 제2 상금형판
220b: 제3 가압부 230b: 제4 가압부
300: 지지부 400: 커버글라스
410: 제1 부분 420: 제2 부분
430: 평면부 500: 하금형
510: 성형부 510a: 제1 성형부
510b: 제2 성형부 510c: 제3 성형부
520: 하금형판

Claims (19)

  1. 커버글라스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평면부를 하중으로 고정하고,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커버글라스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글라스를 지지하는 하금형;
    상기 제1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제1 상금형; 및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하는 제2 상금형을 포함하는 글라스 성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상금형에 의해 제1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상금형에 의해 제2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글라스 성형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큰 글라스 성형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과 같은 글라스 성형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금형은,
    제1 상금형판;
    상기 제1 상금형판의 하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상금형판의 하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글라스 성형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금형판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제1 가압부의 내측면의 길이는 상기 제1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 가압부의 내측면과 반대면인 상기 제1 가압부의 외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1 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1 곡률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1 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가압부의 길이는 상기 제2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2 가압부의 저면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홀에 삽입되는 글라스 성형기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금형은
    제2 상금형판;
    상기 제2 상금형판의 하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3 가압부; 및
    상기 제2 상금형판의 하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4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가압부는 상기 제2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하는 글라스 성형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부의 길이는 상기 제1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3 가압부의 저면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압부는 상기 제1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상금형판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제4 가압부의 내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내측면과 반대면인 상기 제4 가압부의 외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4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2 곡률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가압부는 상기 제2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4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2 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글라스 성형기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금형은,
    상기 커버글라스가 배치되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가 수납되는 하금형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금형판은 상기 하금형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함몰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금형판의 상기 홈에 상기 성형부가 수납되고, 상기 하금형판의 상면에서 상기 홈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의 상기 지지부의 하면을 제외한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접촉되는 글라스 성형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부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곡률을 갖는 양각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성형부;
    상기 성형부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곡률을 갖는 양각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성형부; 및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 형상을 갖는 제3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 상면은 상기 제1 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성형부의 상면은 상기 제2 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성형부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의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평면부의 상면과 접촉되는 글라스 성형기구.
  11. 커버글라스의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제1 홀 및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하금형 사이에 상기 커버글라스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된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평면부를 상기 지지부의 하중으로 고정하는 단계;
    제1 상금형이 상기 제1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금형을 제2 상금형으로 교체하고, 상기 제2 상금형이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큰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과 같은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금형은,
    제1 상금형판;
    상기 제1 상금형의 하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상금형의 하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금형판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제1 가압부의 내측면의 길이는 상기 제1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 가압부의 내측면과 반대면인 상기 제1 가압부의 외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1 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1 곡률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1 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가압부의 길이는 상기 제2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2 가압부의 저면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홀에 삽입되는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금형은,
    제2 상금형판;
    상기 제2 상금형판의 하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3 가압부; 및
    상기 제2 상금형판의 하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4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가압부는 상기 제2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하는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부의 길이는 제1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3 가압부의 저면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압부는 상기 제1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상금형판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제4 가압부의 내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내측면과 반대면인 상기 제4 가압부의 외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4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2 곡률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가압부는 상기 제2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4 가압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2 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금형은,
    상기 커버글라스가 배치되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가 수납되는 하금형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금형판은 상기 하금형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함몰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금형판의 상기 홈에 상기 성형부가 수납되고, 상기 하금형판의 상면에서 상기 홈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의 상기 지지부의 하면을 제외한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접촉되는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부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곡률을 갖는 양각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성형부;
    상기 성형부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곡률을 갖는 양각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성형부; 및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 형상을 갖는 제3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 상면은 상기 제1 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성형부의 상면은 상기 제2 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성형부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의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글라스의 상기 평면부의 상면과 접촉되는 커버글라스 성형 방법.
KR1020140112404A 2014-08-27 2014-08-27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KR102251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04A KR102251131B1 (ko) 2014-08-27 2014-08-27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04A KR102251131B1 (ko) 2014-08-27 2014-08-27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685A true KR20160025685A (ko) 2016-03-09
KR102251131B1 KR102251131B1 (ko) 2021-05-14

Family

ID=5553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404A KR102251131B1 (ko) 2014-08-27 2014-08-27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13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7863A (zh) * 2016-12-07 2017-03-08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成型压板及热弯设备和热弯方法
CN106944987A (zh) * 2017-05-23 2017-07-14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显示器作业工作台
CN109079429A (zh) * 2018-06-27 2018-12-25 安徽金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5d手机盖板生产工艺
KR20200008727A (ko) * 2018-07-17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00018937A (ko) * 2018-08-13 2020-02-21 (주)이노웍스 유리기판의 엣지용 성형장치
CN111662000A (zh) * 2020-07-28 2020-09-15 深圳市东方碳素实业有限公司 一种热弯模具
CN113336426A (zh) * 2021-06-11 2021-09-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的热成型模具及热成型方法
US11347266B2 (en) 2017-12-14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456B1 (ko) * 1990-01-11 1998-11-16 나카지마 다쓰지 판유리의 프레스 성형방법 및 그 프레스 성형장치
KR20120000362A (ko) * 2010-06-25 2012-01-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리프레싱 공정에 의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금형 및 이 제조금형을 이용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
KR20130108257A (ko) * 2010-08-30 2013-10-0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기판의 성형 기기 및 그 방법
KR20130117832A (ko) * 2010-12-13 2013-10-28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59488A (ko) * 2012-11-08 2014-05-16 (주)대호테크 휴대단말기 커버글라스 성형용 금형
KR20140085901A (ko) * 2012-12-28 2014-07-08 크루셜텍 (주) 유리기판의 벤딩장치 및 벤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456B1 (ko) * 1990-01-11 1998-11-16 나카지마 다쓰지 판유리의 프레스 성형방법 및 그 프레스 성형장치
KR20120000362A (ko) * 2010-06-25 2012-01-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리프레싱 공정에 의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금형 및 이 제조금형을 이용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
KR20130108257A (ko) * 2010-08-30 2013-10-0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기판의 성형 기기 및 그 방법
KR20130117832A (ko) * 2010-12-13 2013-10-28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59488A (ko) * 2012-11-08 2014-05-16 (주)대호테크 휴대단말기 커버글라스 성형용 금형
KR20140085901A (ko) * 2012-12-28 2014-07-08 크루셜텍 (주) 유리기판의 벤딩장치 및 벤딩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7863A (zh) * 2016-12-07 2017-03-08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成型压板及热弯设备和热弯方法
CN106477863B (zh) * 2016-12-07 2022-11-01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成型压板及热弯设备和热弯方法
CN106944987A (zh) * 2017-05-23 2017-07-14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显示器作业工作台
CN106944987B (zh) * 2017-05-23 2024-02-13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显示器作业工作台
US11347266B2 (en) 2017-12-14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079429A (zh) * 2018-06-27 2018-12-25 安徽金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5d手机盖板生产工艺
KR20200008727A (ko) * 2018-07-17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00018937A (ko) * 2018-08-13 2020-02-21 (주)이노웍스 유리기판의 엣지용 성형장치
CN111662000A (zh) * 2020-07-28 2020-09-15 深圳市东方碳素实业有限公司 一种热弯模具
CN111662000B (zh) * 2020-07-28 2024-03-26 深圳市东方碳素实业有限公司 一种热弯模具
CN113336426A (zh) * 2021-06-11 2021-09-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的热成型模具及热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131B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5685A (ko)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CN106430924B (zh) 一种热弯模具
KR101433072B1 (ko) 휴대단말기 커버글라스 성형용 금형
US10683228B2 (en) Apparatus for molding glass substrate
US20200290917A1 (en) 3d cover glass, mold for mol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3d cover glass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TWI404681B (zh) Method for molding sheet glass and molding mold
KR20150048450A (ko) 유리기판 성형장치
KR20170012772A (ko) 글라스 성형 장치
CN105945155A (zh) 一种折弯机的下模
KR101175679B1 (ko) 글라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2219528A (ja) プレス金型
KR101652812B1 (ko) 유리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성형방법
TWI531547B (zh) 用來製造模造玻璃之成型設備
EP3486224B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materials
KR20170034579A (ko) 프레스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CN106810059B (zh) 电子产品显示器前表面玻璃的成型装置
CN107176782B (zh) 玻璃热弯模具
TWM538503U (zh) 用來製造模造玻璃之成型設備
CN100581675C (zh) 模压成型装置和模压成型方法
TWM504812U (zh) 用來製造模造玻璃之成型設備
KR101537811B1 (ko)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102381066B1 (ko) 다공성 금형 장치
CN103648238B (zh) Fpc异形定位热压机
JP201221104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