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540A -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4540A KR20160024540A KR1020140111436A KR20140111436A KR20160024540A KR 20160024540 A KR20160024540 A KR 20160024540A KR 1020140111436 A KR1020140111436 A KR 1020140111436A KR 20140111436 A KR20140111436 A KR 20140111436A KR 20160024540 A KR20160024540 A KR 201600245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rod
- electrode
- plate
- coupling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12—Working chambers or casings; Suppor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0—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에 장착되는 홀더부와, 홀더부에 조립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에 결합되고 전극봉이 수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전극봉에 대한 이동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과정에서 낙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이송을 도모하는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는 주원료인 고철을 장입한 후,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아크에 의해 고철을 용해하는 전기 용해로이다. 전극봉은 전극봉 홀더에 의해 고정되며, 노 안으로 삽입된 후 유압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마스트의 상하 운동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7419호(2013.02.20 공개, 발명의 명칭 : 전극봉 손상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기로의 전극봉 교체를 위해 이송되는 전극봉의 낙하로 인한 전극봉 파손을 방지하는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는: 지게차에 장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조립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고, 전극봉이 수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판; 및 상기 결합판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판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봉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결합판에서 돌출되고, 상기 전극봉과 상기 결합판을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는: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극봉이 안착되는 작동부; 및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어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어 상기 받침부를 커버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봉과 접촉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는 체결부가 홀더부에 조립됨으로써, 홀더부가 장착된 지게차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는 이격돌기에 의해 전극봉과 결합판이 이격되어 전극봉의 인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는 가변부의 길이 조절에 의해 작동부가 경사를 형성하여 작동부에 안착된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는 덮개부 내측에 형성되는 쿠션부가 전극봉과 접촉되어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체결부가 홀더부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고정부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고정부에 전극봉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고정부가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고정부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고정부가 받침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고정부가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고정부가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체결부가 홀더부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고정부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고정부에 전극봉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고정부가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고정부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고정부가 받침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고정부가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고정부가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체결부가 홀더부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1)는 홀더부(10)와, 체결부(20)와, 받침부(30)를 포함한다.
홀더부(10)는 지게차(100)에 장착된다. 홀더부(10)는 지게차(100)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체결부(20)는 홀더부(10)에 조립되고, 받침부(30)는 체결부(20)에 결합되어 전극봉(200)을 수납한다.
일 예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부(300)에 전극봉(200)의 양단부가 안착되고, 받침부(30)가 전극봉(200)의 하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홀더부(10)가 상승하여 받침부(30)에 전극봉(200)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20)의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판(21)이 형성되어 홀더부(1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홀더부(10)는 다른 지그와 조립되어 전극봉(200) 외의 물품 운반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결합판(31)과, 하부판(32)과, 측판(33)을 포함한다.
결합판(31)은 체결부(20)에 결합되고, 하부판(32)은 결합판(3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체결부(2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측판(33)은 결합판(31)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체결부(2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측판(31)의 하단부는 하부판(32)에 결합되어 전극봉(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예로, 측판(31)간의 간격은 전극봉(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이격돌기(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돌기(34)는 결합판(31)에서 체결부(2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전극봉(200)과 결합판(31)을 이격시킨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전극봉(200)과 결합판(31) 사이의 공간으로 막대기를 투입하여 전극봉(200)을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1)는 고정부(4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0,50)는 받침부(30)에 설치되고, 전극봉(200)의 유동을 제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고정부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고정부에 전극봉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서 고정부가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는 작동부(41)와 가변부(42)를 포함한다.
작동부(41)는 받침부(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작동부(41)에는 전극봉(200)이 안착될 수 있다. 가변부(42)는 받침부(30)에 장착되어 길이가 가변되고, 작동부(41)에 결합되어 작동부(4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작동부(41)는 하부판(32)에 안착되는 작동판(411)과, 작동판(411)의 일단부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측판(33)에 핀 결합되는 작동핀(412)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판(411)은 하부판(32)보다 길어 하부판(32)에서 돌출되며, 한 쌍의 지지부(300) 사이를 통과하여 지지부(300)에 안착된 전극봉(200)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부(42)는 유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유압실린더가 될 수 있다. 그 외 가변부(42)로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가변부(42)는 하부판(32)에 형성되는 설치홈부(321)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설치홈부(321)에 장착된 가변부(42)는 최단 거리일 때 작동판(411)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고, 가변부(42)의 길이가 늘어나면 작동판(411)을 상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작동판(411)은 작동핀(412)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경사를 가지며, 경사를 갖는 작동판(411)에 안착된 전극봉(200)은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에서 고정부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고정부가 받침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서 고정부가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고정부가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부(50)는 덮개부(51)와 쿠션부(52)를 포함한다.
덮개부(51)는 받침부(30)에 장착되어 받침부(30)를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51)는 상부덮개(511)와, 측면덮개(512)와, 전면덮개(513)와, 덮개고정돌기(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덮개(511)는 하부판(32)의 상방에 배치되고, 측면덮개(512)는 상부덮개(511)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전면덮개(513)는 상부덮개(511)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덮개고정돌기(514)는 측면덮개(512)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부판(32)에 형성되는 체결홀부(322)에 삽입될 수 있다.
쿠션부(52)는 덮개부(51)의 내측에 형성되고, 전극봉(200)과 접촉되어 전극봉(20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부(52)는 상부덮개(511)와, 측면덮개(512)와, 전면덮개(513)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52)로는 고무재질의 외피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에어쿠션이 될 수 있다. 그 외, 쿠션부(52)로는 고무재질의 외피 내부에 젤이 충질되는 젤쿠션이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극봉(200)을 이송하는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먼저 지게차(100)의 홀더부(10)에 체결부(20)를 볼트 조립한다(도 2 참조). 볼트 조립에 의해 체결부(20)와 홀더부(10)가 결합되면, 홀더부(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받침부(30)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홀더부(10)에 체결부(20)가 장착되면, 작업자는 지게차(100)를 이동시켜 지지부(300)에 안착된 전극봉(200)에 받침부(30)를 근접시키고, 전극봉(200)을 받침부(30)에 수납하여 목적지로 이동시킨다.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가 받침부(30)에 장착된 경우, 작동판(411)이 지지부(300) 사이에 위치되어 전극봉(200)의 하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홀더부(10)가 상방 이동되어 전극봉(200)이 작동판(411)에 안착된다. 이때, 가변부(41)는 길이가 줄어든 상태를 유지하여 작동판(411)이 수평 배치된다(도 5 참조).
작동판(411)에 전극봉(200)이 안착되면, 작업자가 스위치를 조절하여 가변부(42)의 길이가 늘어난다. 가변부(42)의 길이가 늘어나면, 작동판(411)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작동판(411)에 안착된 전극봉(200)의 전방 유동에 의한 낙하를 제한할 수 있다(도 6 참조).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부(50)는 받침부(30)에 전극봉(200)이 수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하부판(32)에 형성되는 체결홀부(322)에 덮개고정돌기(514)를 삽입한다(도 8 참조). 이때, 덮개부(51)는 전극봉(200)을 감싸는 형상을 하고, 덮개부(51) 내측으로 돌출되는 쿠션부(52)가 전극봉(200)의 좌우 양단부와 외측에 접촉되어 전극봉(20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도 9와 도 10 참조).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부(50)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즉, 덮개부(51)는 작동판(411)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부판(32)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1)는 체결부(20)가 홀더부(10)에 조립됨으로써, 홀더부(10)가 장착된 지게차(100)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1)는 이격돌기(34)에 의해 전극봉(200)과 결합판(31)이 이격되어 전극봉(200)의 인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1)는 가변부(42)의 길이 조절에 의해 작동부(41)가 경사를 형성하여 작동부(41)에 안착된 전극봉(20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1)는 덮개부(51) 내측에 형성되는 쿠션부(52)가 전극봉(200)과 접촉되어 전극봉(200)의 유동을 제한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홀더부 20 : 체결부
30 : 받침부 31 : 결합판
32 : 하부판 33 : 측판
34 : 이격돌기 40,50 : 고정부
41 : 작동부 42 ; 가변부
51 : 덮개부 52 : 쿠션부
100 : 지게차 200 : 전극봉
300 : 지지부 321 : 설치홈부
322 : 체결홀부 411 : 작동판
412 : 작동핀 511 : 상부덮개
512 : 측면덮개 513 : 전면덮개
514 : 덮개고정돌기
30 : 받침부 31 : 결합판
32 : 하부판 33 : 측판
34 : 이격돌기 40,50 : 고정부
41 : 작동부 42 ; 가변부
51 : 덮개부 52 : 쿠션부
100 : 지게차 200 : 전극봉
300 : 지지부 321 : 설치홈부
322 : 체결홀부 411 : 작동판
412 : 작동핀 511 : 상부덮개
512 : 측면덮개 513 : 전면덮개
514 : 덮개고정돌기
Claims (6)
- 지게차에 장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조립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고, 전극봉이 수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판; 및
상기 결합판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판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봉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결합판에서 돌출되고, 상기 전극봉과 상기 결합판을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봉의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극봉이 안착되는 작동부; 및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어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어 상기 받침부를 커버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봉과 접촉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1436A KR20160024540A (ko) | 2014-08-26 | 2014-08-26 |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1436A KR20160024540A (ko) | 2014-08-26 | 2014-08-26 |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4540A true KR20160024540A (ko) | 2016-03-07 |
Family
ID=5554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1436A KR20160024540A (ko) | 2014-08-26 | 2014-08-26 |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24540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1205A (ko) * | 1997-07-22 | 1999-02-18 | 박병재 | 지게차의 포크 조절장치 |
KR200233590Y1 (ko) * | 2000-12-08 | 2001-09-25 | 주식회사 이노텍 | 지게차용 팔레트 |
KR20130019661A (ko) * | 2011-08-17 | 2013-02-27 | 주식회사 포스코 | 전극봉 운반장치 |
KR20140003958U (ko) * | 2012-12-18 | 2014-06-2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파이프 취부용 지지장치 |
-
2014
- 2014-08-26 KR KR1020140111436A patent/KR2016002454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1205A (ko) * | 1997-07-22 | 1999-02-18 | 박병재 | 지게차의 포크 조절장치 |
KR200233590Y1 (ko) * | 2000-12-08 | 2001-09-25 | 주식회사 이노텍 | 지게차용 팔레트 |
KR20130019661A (ko) * | 2011-08-17 | 2013-02-27 | 주식회사 포스코 | 전극봉 운반장치 |
KR20140003958U (ko) * | 2012-12-18 | 2014-06-2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파이프 취부용 지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11399A (ko) | 조향휠 에어백 장치 | |
JP2014526979A (ja) | アライメント装置 | |
JP5622456B2 (ja) | ワーク搬送装置におけるハンド着脱機構 | |
KR101904350B1 (ko) | 진공차단기 조립체 | |
KR20160024540A (ko) | 전기로용 전극봉 이송장치 | |
KR101667294B1 (ko) | 원료 공급장치 | |
KR101663308B1 (ko) | 밀폐공간 기계용접용 매니퓰레이터 | |
KR101459919B1 (ko) | 차량용 글라스 장착장치 | |
CN206811855U (zh) | 再制造起动机用单向器外壳拆解装置 | |
EP3453883B1 (en) | Centrifugal compressor | |
KR101875310B1 (ko) | 태핑 장치 | |
CN210763250U (zh) | 一种用于危废处理设备的进料装置 | |
KR101920900B1 (ko) | 통신 안테나 재활용 시스템 | |
JP5983643B2 (ja) | エプロン取付治具 | |
CN207748473U (zh) | 电池极耳夹装翻转机构 | |
CN212169307U (zh) | 一种电焊机保护装置 | |
KR101477096B1 (ko) | 장입차의 리드 마그네트용 지그 | |
CN210637793U (zh) | 一种护套线端子机的润滑装置 | |
CN221819511U (zh) | 自动热压机 | |
CN217894105U (zh) | 导向滚筒装置 | |
KR101425860B1 (ko) | 로드포트용 스테이지 | |
JP2010193661A (ja) | 防護管袋保持具、及び防護管袋保持方法 | |
KR101467104B1 (ko) | 측부 지지대를 포함하는 융착장치 | |
KR101627669B1 (ko) |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
KR101738858B1 (ko) | 방열 및 조립이 용이한 휴대용 인버터 용접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