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400A - 금형 - Google Patents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400A
KR20160024400A KR1020140100068A KR20140100068A KR20160024400A KR 20160024400 A KR20160024400 A KR 20160024400A KR 1020140100068 A KR1020140100068 A KR 1020140100068A KR 20140100068 A KR20140100068 A KR 20140100068A KR 20160024400 A KR20160024400 A KR 20160024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in
impact
molding
mold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889B1 (ko
Inventor
신광자
Original Assignee
신광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자 filed Critical 신광자
Priority to KR102014010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8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성형액을 고압으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성형액과 메인코어와의 충돌 시 메인코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메인코어의 파손 현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형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주입로의 구조를 개선하여 성형 후 주입성형부를 성형품으로부터 쉽고 신속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며 분리 과정에서 성형품의 훼손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금형의 성형공간의 공간부피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도 다양한 크기의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탈형시키는 과정에서 원활한 탈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탈형과정에서 성형품의 일부가 금형 내에 끼워지더라도 금형을 분해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금형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형{METAL MOLD}
본 발명은 금속제품의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형내에 성형액을 고압으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성형액과 성형코어 간의 충돌에 의한 성형코어의 강도저하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코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1금형에 삽이되는 제2금형의 성형코어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각 성형코어 내 간극으로 성형액이 주입되어 두께가 얇은 형태의 격벽이 성형되도록 는 과정에서 성형액이 각 성형코어 사이 틈새로 주입될 때 성형액과 성형코어 간 충돌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얇은 두께의 격벽 성형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주물제품을 성형할 때 해당 주물제품의 형상 및 구조가 음각 및 양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틀 구조이고, 이러한 금형을 이용한 제품의 성형 과정은 금속이 용융된 상태의 성형액을 금형의 성형공간 내에 주입시키고 냉각과정을 거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러한 금형은 상호 마주하는 제1금형과 제2금형으로 나뉘어 구성되고 제1금형 중 제2금형과 마주하는 면에는 메인성형공간이 형성되며 제2금형 중 메인성형공간과 마주하는 면에는 메인코어가 돌출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금형의 메인코어가 제1금형의 메인성형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코어와 메인성형공간 간 사이 틈새를 통해 성형액을 주입함에 따라 해당 성형제품이 성형되는 구조이다.
특히 냉장고용 얼음 생성케이스는 사각 케이스 내 공간에 얇은 판재 형태의 격벽()이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각 격벽()을 성형하고자 할 경우 제2금형의 메인코어는 성형될 격벽의 간격만큼 이격된 형태로 배열 형성되고, 성형액이 각 메인코어 간 틈새로 주입됨에 따라 격벽()이 성형된다.
이때 성형액은 제1금형의 메인성형공간 주변에 형성된 주입로를 통해 일정량 주입되어 채워진 후 고압을 형성시킴에 따라 해당 성형액이 메인성형공간과 메인코어 사이틈새로 강한 압력으로 주입된다.
그런데 이렇게 성형액이 강한압력으로 메인성형공간과 메인코어 사이 틈새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일부 성형액은 각 메인코어에 충돌후 각 메인코어 사이 틈새로 주입되는데, 이렇게 성형액이 각 메인코어에 반복적으로 충돌되는 현상이 반복될 경우 순간적으로 발생 되는 충격으로 인해 각 메인코어의 변형 및 파손이 초래되어 제2금형 전체를 새롭게 교체해야 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비용부담이 크다.
또한 성형이 완료된 후 성형품을 제1금형으로부터 탈형하는 과정에서 주입로 내에 채워져 있던 성형액도 함께 응고된 상태로 성형품과 일체화된 상태로 탈형되고, 주입로에 해당하는 성형부분(이하 '주입성형부' 라 함)은 탈형 후 별도의 절개 등의 후 가공을 통해 성형품과 분리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주입로의 깊이가 전체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주입성형부 중 성형품과의 연결지점 또한 두껍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분리과정에서 성형품과 주입성형부 간 경계지점을 분리가 쉽지 않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며, 더불어 분리 과정에서 성형품의 표면 등이 훼손되는 현상도 수반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70954 (공개일자: 2009년 07월 01일)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성형액을 메인성형공간 내 일렬 배열되어 있는 각 메인코어 사이 틈새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성형액과 각 메인코어와의 충돌 시 메인코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메인코어의 파손 현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형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성형액이 각 메인코어 틈새로 원활하게 주입되어 그에 따른 격벽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있도록 할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주입로의 구조를 개선하여 성형 후 주입성형부를 성형품으로부터 쉽고 신속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며 분리 과정에서 성형품의 훼손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일측면에 메인성형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성형공간의 일측에는 외부와 연통된 일정깊이를 갖는 주입로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로의 단부는 상기 메인성형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제1금형 및 상기 제1금형과 마주하고 있고 일측에는 상기 메인성형공간에 삽입되는 메인코어가 상기 메인성형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메인코어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 직선 배열되어 있는 제2금형을 포함하고, 성형액이 상기 주입로를 통해 상기 메인성형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각 메인코어 간 사이 틈새로 주입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주입로는 최초 공급된 성형액이 모이는 수용구간, 일단부가 상기 수용구간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성형공간과 연통되되 메인성형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각 메인코어 간 틈새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주입로를 포함하고, 상기 각 주입로 중 상기 메인성형공간과 연결되는 쪽 단부에는 충격저하유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액이 상기 각 메인코어 간 틈새로 주입되기 직전에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에 충돌된 후 상기 틈새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은 상기 주입로 중 상기 제2금형과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메인성형공간과의 연결지점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금형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금형 중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보조 충격저하 홈이 형성되되,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의 끝단부와 상기 보조 충격저하 홈의 끝단부는 어긋난 형태로 위치되어 있고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을 통과한 성형액이 상기 보조 충격저하 홈에 충돌된 후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과 보조 충격저하 홈 간 틈새를 통해 상기 메인성형공간과 상기 메인코어 간 틈새로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충격저하 홈은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방향 전환용 경사면 및 상기 방향 전환용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금형을 향해 꺽여진 형태로 형성되되 끝단부가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의 끝단부와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충격흡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성형액이 각 주입로를 통해 메인성형공간 내 각 메인코어 사이 틈새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제2금형의 메인코어에 충돌되는 성형액이 충돌 직전에 1차적으로 충격저하유도경사면에 충돌된 상태로 각 메인코어에 충돌되기 때문에, 각 메인코어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므로, 그만큼 각 메인코어의 훼손 현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성형액이 충격저하유도경사면에 충돌된 후 제2금형의 충격흡수면에 2차적으로 충돌된 후 메인코어에 충돌되기 때문에 메인코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의 끝단부가 메인성형공간의 테두리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의 끝단부와 메인성형공간의 테두리 사이 지점에는 단면축소구간이 형성됨에 따라, 메인성형공간으로부터 탈형된 성형품과 주입로로부터 탈형된 주입성형부 간 경계지점의 두께가 축소된 상태가 되므로, 두께가 축소된 지점을 통해 주입성형부를 성형품으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제1금형의 전체 정면도
도2는 제1금형의 측 단면 개략도
도3은 제2금형의 정면도
도4는 제2금형의 측 단면 개략도
도5는 제1금형과 제2금형의 결합 전 상태의 측 단면 개략도
도6은 제1금형과 제2금형의 결합 상태의 측 단면 개략도
도7은 성형액의 주입과정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금형(100)과 제2금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금형(100)은 냉장고용 얼음 생성케이스 등의 성형품이 실제 성형되는 공간제공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블록 형태이고 일측면에는 성형품의 외곽 형상에 맞는 메인성형공간(110)이 함몰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금형(100) 중 메인성형공간(110)의 주변에는 메인성형공간(110)과 연통된 형태의 제2, 3...성형공간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금형(200)은 제1금형(100)과 더불어 성형품의 성형역할을 하는 것으로, 블록 형태이고 제1금형(100) 중 메인성형공간(110)이 형성된 면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제2금형(200) 중 메인성형공간(110)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성형품(1)의 내부구조 성형을 위한 메인코어(210)가 메인성형공간(110)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추후 성형과정에서 메인코어(210)가 메인성형공간(11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 되며, 메인성형공간(110)의 테두리와 메인코어(210)의 외부면 사이에는 성형액의 주입을 위한 주입틈새(T2)가 형성된다.
이때 제2금형(200)의 메인코어(210)은 냉장고용 얼음생성케이스 내부의 각 격벽() 성형을 위한 것으로, 제2금형(200)으로부터 메인성형공간(110)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추후 성형될 각 격벽() 두께 만큼의 간격을 두고 좌우 일렬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주입된 성형액이 메인성형공간(110) 내에 삽입되어 있는 각 메인코어(210) 간 틈새(T4)로 주입됨에 따라 메인성형공간 내에 각 격벽()이 간격을 두고 배열된 형태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금형(100) 중 메인성형공간(110) 주변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성형액이 메인성형공간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성형액 주입로(135)가 형성된다.
성형액 주입로(135)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성형액이 1차적으로 모이는 수용구간(131)이 메인성형공간(110) 주변 일측에 홈 형태로 형성되고 수용구간(131)에 모인 성형액을 메인성형공간(110) 내 각 메인코어(210) 사이 틈새(T4)로 주입할 때 성형액의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주입로(130)가 홈 형태의 레일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주입로(130)는 일단부가 수용구간(1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해당 메인코어(210)과 메인코어 사이 틈새(T4) 바로 앞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메인성형공간(110)과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주입로(130)는 수용구간(131)로부터 가지 형태로 뻗어나와 단부가 각 메인코어 간 틈새(T4)를 향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1금형(100)과 제2금형(200)이 결합되었을 때 [도 6]과 같이 제2금형(200)의 일측면이 각 주입로(130)의 일측을 덮은 상태가 된다.
이때 각 주입로(130)의 내부면 중 메인성형공간(110)과 연결되는 쪽 단부지점에는 성형액이 각 주입로(130)를 통해 각 메인코어(210) 사이 틈새로메인성형공 주입되기 직전에 1차 충돌을 유도하기 위한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이 형성된다.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은 각 주입로(130)의 내부면 중 제2금형(200)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데, 그 중에서도 메인성형공간(110)의 테두리 부근의 단부 지점에 형성된다.
이러한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은 메인성형공간(110)의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제2금형(200)을 향해 경사를 이루면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성형액은 최초 각 주입로(130)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에 부딪힌 후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의 경사방향을 따라 제2금형 쪽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그리고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 중 메인성형공간(110)을 향하는 쪽 단부(이하 '끝단부' 라 함)는 메인성형공간(110)의 테두리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테두리 주변 면에 간격을 두고 연결된다.
이렇게 형성된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은 제1금형(100) 중 제2금형과 마주하는 평면 지점을 기준으로 25~45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다.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의 각도를 이렇게 한정하는 이유는,
경사각도가 25도 미만일 경우 성형액과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 간의 충돌 현상이 미비하여, 결국 성형액과 메인코어(210) 간 출돌 시 충격완화 효과가 저하된다.
반대로 경사각도가 45도를 초과할 경우 성형액이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을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해, 결국 각 메인코어(210) 틈새를 향한 주입에 방해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의 경사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성형품의 종류나 성형액의 주입 압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렇게 제1금형(100)에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2금형(200)에는 보조 충격저하 홈(220)이 형성된다.
보조 충격저하 홈(220)은 성형액이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에 1차 충돌된 후 각 메인코어 사이 틈새(T4)로 주입되기 직전에 2차 충돌을 유도함과 동시에 성형액이 메인성형공간(110) 및 메인코어 사이 틈새(T4)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조 충격저하 홈(220)은 제2금형(200) 중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과 마주하는 지점에 홈 형태로 형성되되 구간별로 다시 방향전환용 경사면(222)과 충격흡수면(224)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그 중 방향전환용 경사면(222)은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과 충돌하여 방향이 전환된 성형액이 보조 충격저하 홈(220) 내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방향전환용 경사면(222)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성형액은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에 충돌됨과 동시에 방향전환용 경사면(222)을 따라 원활하게 보조 충격저하 홈(22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충격흡수면(224)은 보조 충격저하 홈(220) 내부로 유입된 성형액이 메인성형공간(110)으로 주입되기 직전에 실질적인 2차 충돌을 유도함과 동시에 메인코어(210)와 메인성형공간(110) 사이 주입틈새(T2)로 원활하게 주입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충격흡수면(224)은 방향전환용 경사면(222)의 단부로부터 메인성형공간(110)의 테두리 쪽을 향해 연장형성되되 방향전환용 경사면(222)으로부터 메인성형공간(110)을 향해 방향이 꺽여진 경사면 형태이다.
이때 [도 7]과 같이 충격흡수면(224)의 단부는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의 끝단부와 어긋난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충격흡수면(224)의 단부와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의 끝단부 사이에는 성형액의 배출을 위한 배출틈새(T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배출틈새(T1)는 메인코어(210)와 메인성형공간(110)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주입틈새(T2)와 연통된다.
이때 배출틈새(T1)의 폭은 주입로(130)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성형 후 메인성형공간(110)에서 성형된 성형품과 주입로(130) 내에서 성형된 주입로 성형부(20)간 연결지점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각 주입로(130)의 분리가 손쉬워 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에 1차 충돌된 성형액은 보조 충격저하 홈(220)으로 유입된 후 충격흡수면(224)에 2차 충돌된 후 주입틈새(T2)을 통해 성형틈새(T3) 안으로 유입되고 일부 성형액은 각 메인코어(210) 사이 틈새(T4)로 주입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과 같이 제1금형(100)과 제2금형(200)을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는 제2금형(200)의 각 메인코어(210)가 제1금형(100)의 메인성형공간(110)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성형액이 수용구간(131)에 채워지도록 주입된 후 고압의 에어 등을 주입로 내에 공급하면 성형액은 고압의 상태로 각 주입로(130)를 통과하여 메인성형공간(110) 쪽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성형액은 1차적으로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에 충돌된 후 제2금형(200)의 보조 충격저하 홈(220) 내로 삽입되고, 그 뒤 보조 충격저하 홈(220)의 충격흡수면(224)에 2차 충돌된 후 배출틈새(T1)를 통해 메인코어(210)와 메인성형공간(110) 사이의 주입틈새(T2)를 통과한 후 성형틈새(T3)로 주입된다.
성형액이 주입틈새(T2)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메인코어(210) 표면에 충돌된 후 성형틈새(T3) 내에 충진 되기는 하지만 위 설명처럼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과 충격흡수면(224)에 먼저 충돌된 후 메인코어(210)에 충돌되기 때문에 메인코어(2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성형액이 각 메인코어(210) 사이 틈새(T4)로 주입되는 과정에서도 성형액이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에 1차적으로 충돌된 후 각 메인코어(210) 사이 틈새(T4)로 주입되기 때문에 주입 과정에서 성형액이 각 메인코어(210)에 충돌되더라도 이미 충격저하유도경사면(132)을 거친 상태이기 때문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성형액 주입과정 중 성형액과 메인코어(210) 간 충돌이 장기간 반복되더라도 기존에 비해 충격에 의한 메인코어(210)의 훼손 현상이 지연되고, 결국 금형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본 출원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관해서만 언급되어 있을 뿐,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제1금형 110 : 메인성형공간
120 : 제2성형공간 130 : 주입로
132 : 충격저하유도경사면 200 : 제2금형
210 : 메인코어 220 : 보조 충격저하 홈
222 : 방향전환용 경사면 224 : 충격흡수면
T1 : 배출틈새 T2 : 주입틈새
T3 : 성형틈새 300 : 공간조절부재
310 : 제1삽입구간 320 : 제2삽입구간
400 : 고정부 500 : 이동판
600 : 탈형유도바아 700 : 가이드바아
800 : 구동부 10 : 성형품
20 : 주입로 성형부

Claims (4)

  1. 일측면에 메인성형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성형공간의 일측에는 외부와 연통된 일정깊이를 갖는 성형액 주입로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로의 단부는 상기 메인성형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제1금형 및
    상기 제1금형과 마주하고 있고 일측에는 상기 메인성형공간에 삽입되는 메인코어가 상기 메인성형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메인코어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 직선 배열되어 있는 제2금형을 포함하고,
    성형액이 상기 성형액 주입로를 통해 상기 메인성형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각 메인코어 간 사이 틈새로 주입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성형액 주입로는 최초 공급된 성형액이 모이는 수용구간, 일단부가 상기 수용구간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성형공간과 연통되되 메인성형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각 메인코어 간 틈새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주입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각 주입레일 중 상기 메인성형공간과 연결되는 쪽 단부에는 충격저하유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액이 상기 각 메인코어 간 틈새로 주입되기 직전에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에 충돌된 후 상기 틈새로 주입되는
    금형.
  2. 제1항에서,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은 상기 주입레일 중 상기 제2금형과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메인성형공간과의 연결지점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금형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금형.
  3. 제2항에서,
    상기 제2금형 중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보조 충격저하 홈이 형성되되,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의 끝단부와 상기 보조 충격저하 홈의 끝단부는 어긋난 형태로 위치되어 있고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을 통과한 성형액이 상기 보조 충격저하 홈에 충돌된 후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과 보조 충격저하 홈 간 틈새를 통해 상기 메인성형공간과 상기 메인코어 간 틈새로 주입되는
    금형.
  4. 제3항에서,
    상기 보조 충격저하 홈은,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방향 전환용 경사면 및
    상기 방향 전환용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금형을 향해 꺽여진 형태로 형성되되 끝단부가 상기 충격저하유도경사면의 끝단부와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충격흡수면
    을 포함하는
    금형.

KR1020140100068A 2014-08-04 2014-08-04 금형 KR10160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68A KR101606889B1 (ko) 2014-08-04 2014-08-04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68A KR101606889B1 (ko) 2014-08-04 2014-08-04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400A true KR20160024400A (ko) 2016-03-07
KR101606889B1 KR101606889B1 (ko) 2016-04-11

Family

ID=5553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068A KR101606889B1 (ko) 2014-08-04 2014-08-04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150A (ko) 2019-12-02 2021-06-11 (주)대은 태양광 모듈의 열화도 판단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954A (ko) 2007-12-27 2009-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런너 개구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6401B2 (ja) * 2010-12-07 2014-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半凝固金属用鋳造金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954A (ko) 2007-12-27 2009-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런너 개구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150A (ko) 2019-12-02 2021-06-11 (주)대은 태양광 모듈의 열화도 판단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889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9244B2 (en) Injection mold
CN103394667B (zh) 一种泵体的压铸模具及使用压铸模具制造泵体的方法
KR102086425B1 (ko) 사출 런너 자동분리시스템
CN108943608B (zh) 模具及其开模方法
KR101606889B1 (ko) 금형
KR100921807B1 (ko)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KR100933545B1 (ko) 금형조립체
CN205467176U (zh) 一种具有回程保护装置的模具
CN206416462U (zh) 便于脱模的注塑模具
KR101156196B1 (ko) 사출 금형장치
CN206416444U (zh) 注塑模具
KR100846850B1 (ko)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CN104107895B (zh) 金属模具
KR101528907B1 (ko) 금형
KR101344861B1 (ko) 이중사출을 위한 터널게이트가 구비된 이중사출금형
KR101171565B1 (ko) 사출금형기
US20140103576A1 (en) Plastic injection mold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5965803B (zh) 一种侧浇口断浇结构
CN203567095U (zh) 一种前模滑块镶件的抽芯结构
KR101143556B1 (ko) 냉각수로가 형성된 립형성코어를 가지는 사출금형
CN204196133U (zh) 新型注塑模具
CN104309073A (zh) 一种在滑块内部进胶的注塑模具
CN206416463U (zh) 便于产品稳定脱出的注塑模具
CN202862535U (zh) 具有滑块潜伏浇口和流道排气结构的汽车尾翼模具
KR101124343B1 (ko) 분할가능한 립형성코어를 가지는 사출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