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630A -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630A
KR20160022630A KR1020140108429A KR20140108429A KR20160022630A KR 20160022630 A KR20160022630 A KR 20160022630A KR 1020140108429 A KR1020140108429 A KR 1020140108429A KR 20140108429 A KR20140108429 A KR 20140108429A KR 20160022630 A KR20160022630 A KR 2016002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group
data
angle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820B1 (ko
Inventor
정도영
윤성록
이석용
조오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820B1/ko
Priority to CN201580054529.4A priority patent/CN106797543B/zh
Priority to PCT/KR2015/008679 priority patent/WO2016028093A2/ko
Priority to US15/505,234 priority patent/US10748005B2/en
Priority to EP15833464.9A priority patent/EP3185594B1/en
Publication of KR2016002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3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lbums, collections or shared content, e.g. social network photos or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4Hardware or software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image or video understanding
    • G06V10/95Hardware or software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image or video understanding structured as a network, e.g. client-serve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3Photography assistance, e.g. displaying suggestions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erforming pattern recognition, e.g. of a face or a geographic fe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들 간 데이터 공유에 대한 것으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 중 하나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가 위치한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SHAR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들 간 데이터 공유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 및 하드웨어 성능의 향상에 따라,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가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전자 장치들 간 데이터 공유(sharing)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데이터 공유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저장된 또는 생성된 컨텐츠(contents)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다수의 전자 장치들이 동일한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를 더 큰 화면(screen)을 구비한 다른 전자 장치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더 큰 화면을 통해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자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컨텐츠가 피사체가 된 사용자들이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들과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특정 데이터를 다른 전자 장치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데이터 공유에 기반한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다.
통신 기술이 발전 및 보편화됨에 따라, 데이터 공유는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A가 사용자B와 데이터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데이터 공유는 인터넷 상 공유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를 제공받을 사용자B가 상기 공유 서버에 등록되어 있으면,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A가 상기 사용자B를 검색 및 선택하고, 공유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B가 상기 공유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사용자B가 상기 공유 서버에 사용자로서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B의 등록 ID(Identification)을 알게 된 후에,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다. 현실적으로, 상기 공유 서버에 대한 등록 여부 및 등록 ID 획득 여부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은 어렵다. 둘째, 데이터 공유는 근거리 무선 망(network)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A의 전자 장치가 마치 AP(Access Point)와 같이 동작하고, 상기 사용자B의 전자 장치가 스테이션(station)과 같이 동작함으로써, 통신 연결을 설정한 후,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앞선 예에서처럼 공유 서버에 미리 등록되거나, 등록 ID를 알아야 할 필요는 없으나, 해당 무선 통신 기술에서 정의된 무선 초기 연결 절차가 요구된다. 상기 초기 연결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OOB(Out-of-Band) 기술들 중 하나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tagging)를 이용하거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통한 공유 그룹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NFC 태깅을 위해 물리적으로 접근하거나, PIN을 공유 및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여전히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상의 공유 서버를 통한 데이터 공유는 데이터를 제공받을 대상이 기 등록된 사용자여야 하는 제한을 가진다. 또한, 근거리 무선 망을 이용하는 데이터 공유는 불편한 무선 초기 연결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절차적 부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데이터 공유를 위한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상대적 위치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빔포밍을 이용하여 데이터 공유자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카메라 화각(angle of view) 및 초점 거리(focal lengt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카메라 화각 및 초점 거리를 이용하여 데이터 공유자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공유 그룹 생성 절차 중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 중 하나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가 위치한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접속 망에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제어 노드의 동작 방법은, 제1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전자 장치의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로 특정되는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영역 내 위치하는 제2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 중 하나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가 위치한 영역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접속 망에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제어 노드 장치는, 제1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전자 장치의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로 특정되는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영역 내 위치하는 제2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에서 무선 통신 기능 및 렌즈를 통한 이미지 획득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컨텐츠 공유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진 촬영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공유 절차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공유 절차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 및 초점 거리(focal length)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초점 거리에 따른 이미지의 변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빔포밍을 이용하여 공유자를 제한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조절을 이용하여 공유자를 제한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범위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유자를 제안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후보를 선별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신호 도달각 측정 원리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각도 보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영역을 정의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빔 집합 결정 시 고려되는 빔 특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빔 집합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빔 집합을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그룹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그룹을 확정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그룹 결정을 위한 UI/UX의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자 변경을 위한 UI/UX의 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직접 통신이 지원되지 아니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중 접속 망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중 접속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중 접속 망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라이프타임(lifetime) 기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라이프타임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특성을 고려한 공유를 위한 제어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장치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공유의 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UI/UX의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공유 시 라이프 타임을 표시하는 UI/UX의 예를 도시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라이프타임을 활용한 데이터 공유의 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노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이하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를 위한 다른 전자 장치들을 결정하는 절차, 선택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절차 등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술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사진 촬영을 예로 들어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능 및 촬영 기능을 가진 전자장치에서 촬영된 미디어 데이터(예: 사진 및 동영상) 혹은 기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공유하기 위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촬영 기능을 통해 촬영된 미디어 데이터 또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와 무선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능적으로 데이터 공유를 위한 그룹을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데이터의 종류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시하는 용어, 망의 종류를 지시하는 용어, 제어 정보의 항목을 지시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공유 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 폰 등 휴대용 전자 장치의 경우, 무선 통신 기능 및 촬영 기능의 탑재가 일반화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촬영된 데이터(예: 사진, 동영상 등)의 공유가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공유는, 사진 및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 후, 촬영대상, 즉, 피사체들에게 촬영된 사진 및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유선 통신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공유와는 달리,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한 공유의 경우, 물리적인 통신선을 연결하지 않는 대신 공유자 및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데이터 공유를 위한 공유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공유 그룹을 관리하는 별도의 절차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공유 그룹 생성을 포함한 공유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촬영자가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 후,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촬영자에 의해 공유 그룹이 생성된 후, 선택된 데이터가 무선을 통해 상기 공유 그룹으로 제공된다. 상기 공유 그룹은 인터넷 상 공유서버(예: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서비스 등)를 활용하거나, 근거리 무선 망(예: 무선 랜, 블루투스(bluetooth) 등)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무선 랜을 이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촬영자의 전자 장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하고, 공유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자 장치 스테이션(Station) 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는 'PCP(Personal Basic Service Set central point)'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들은 전체 가용 채널들을 모두 검색함으로써 AP 리스트(list)를 생성하고, 사용자를 위해 표시한다. 상기 AP 리스트 중 사용자가 원하는 AP, 즉, 공유받고자 하는 데이터를 가지는 AP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AP 리스트는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기준으로 표시되므로, 다수의 AP들이 발견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AP를 선택하기 용이하지 아니하다.
AP 선택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사용자가 SSID를 선택하는 방식 대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tagging) 또는 비밀번호(예: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NFC 태깅 등의 방식들 역시 모두 촬영자나 피사체에게 추가적인 공유 그룹 생성 절차를 요구하므로, 공유 그룹 생성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데이터 공유 자체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나아가, 상술한 데이터 공유 기술의 경우, 공유 데이터의 즉각적 확인이 어렵다. 다시 말해, 사진 촬영의 경우, 촬영된 이미지를 바로 확인 후 현장에서 재촬영하는 시나리오가 성립되기 어렵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 공유 기술은 기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공유할 데이터를 일일이 선택해야 하므로, 공유자 및 공유 컨텐츠가 동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적합하지 아니하다. 예를 들어, 결혼식장, 졸업식 등의 행사장에서, 다수의 촬영자들이 서로 다른 피사체 그룹에 대한 사진들을 촬영하고, 해당 피사체 그룹에서 촬영된 사진만을 해당 그룹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데이터 공유 기술들은 모두 적용되기 어렵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 공유 기술들은 동시에 다수의 공유 그룹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지 아니한다. 나아가, 일단 공유 그룹이 결정되면, 공유 그룹의 동적인 변경이 가능하지 아니하고, 공유 그룹의 재활용도 용이하지 아니하다.
상술한 문제점들로 인해, 사용자가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데이터 공유 기능을 가진 전자 장치를 소지하더라도, 데이터 공유를 위한 복잡한 절차로 인해,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한 데이터 공유 기술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기술은 컨텐츠 공유 관점 및 사용자 UX(User eXperience) 관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상기 컨텐츠 공유 관점을 살펴보면, 전자 장치는 공유하고자 하는 대상들을 카메라의 뷰 파인더(View Finder) 범위 또는 프리뷰(preview) 화면 범위에 포함시키고, 공유 그룹을 자동으로, 즉, 사용자 개입 없이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공유 그룹 내에서 자유롭게 컨텐츠 공유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사진 촬영 과정에서, 촬영 전 공유 그룹을 생성하는 절차가 추가된다. 사용자 UX 관점을 살펴보면, 전자 장치는 종래의 사진 촬영 UI(User Interface)/UX 를 통해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유 그룹의 생성 및 변경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진 촬영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은 사진 촬영을 위한 UI/UX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10)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 수단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서, 입력 수단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10)는 상기 표시 수단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110)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더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상기 전자 장치(110)는 사진 촬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진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110)는 프리뷰(preview) 이미지(102),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제어 버튼(104)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10)는 공유 그룹의 생성을 위한 버튼(106)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버튼(10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를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인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공유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버튼(106) 외 다른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음성, 움직임 패턴 등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사용자의 명시적 명령 없이 상기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공유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2는 촬영자 입장에서의 데이터 공유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201단계에서 피사체들을 화면에 표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표시 수단을 통해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프리뷰 이미지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현재 입력되는, 다시 말해, 이미지 센서(sensor)에 입력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사진 촬영 기능을 실행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화각 내 피사체들을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한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 그룹 생성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피사체 그룹은 '공유 그룹'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피사체 그룹 생성 요청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사체 그룹 생성 요청은, 상기 피사체 그룹 생성을 위해 정의된 버튼의 눌림, 오디오 패턴의 감지, 그 외 특정 센서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과 같은 UI/UX가 표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 그룹의 생성을 위한 버튼의 눌림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203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사체 그룹 생성 요청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피사체 그룹 생성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 그룹을 생성한다. 상기 피사체 그룹은 데이터를 공유할 대상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피사체 그룹은 '공유 그룹'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피사체 그룹은 현재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촬영 후 상기 피사체 그룹 내에 데이터를 공유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사진 촬영을 수행한 후, 상기 피사체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촬영된 컨텐츠(예: 사진, 동영상)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205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공유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촬영된 사진의 공유 시, 공유 그룹의 빈번한 변경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혼식이나 졸업식 등의 행사장에서, 서로 다른 피사체들을 촬영하거나, 기존의 공유 그룹에 새로운 사용자가 참여하거나, 또는, 기존의 사용자가 이탈하는 경우, 상기 공유 그룹의 발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적으로 관리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상기 공유 그룹이 변경되는 경우의 데이터 공유 절차는 하기 도 3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공유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301단계에서 피사체들을 화면에 표시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표시 수단을 통해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프리뷰 이미지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현재 입력되는, 다시 말해, 이미지 센서에 입력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피사체 그룹 및 이전 피사체 그룹을 비교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피사체 그룹을 생성하고, 이전에 생성되었던 피사체 그룹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프리뷰 이미지 상의 사람들의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피사체가 되는 사용자들의 수를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현재의 피사체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 및 이전 피사체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해당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이름, 장치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네트워크 식별 정보(예: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 그룹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303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현재의 피사체 그룹에 상기 이전 피사체 그룹에 포함되지 아니하였던 다른 전자 장치 또는 다른 사용자가 포함하는지, 또는, 상기 현재의 피사체 그룹에 상기 이전 피사체 그룹에 포함되었던 다른 전자 장치 도는 다른 사용자가 포함하지 아니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피사체 그룹의 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피사체 그룹의 변경을 판단하고, 피사체 그룹의 변경을 상기 전자 장치로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303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피사체 그룹이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이하 309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피사체 그룹이 변경되었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그룹을 재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피사체 그룹을 생성하는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표시 수단을 통해 피사체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UI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피사체 그룹을 수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촬영 후 상기 피사체 그룹 내에 데이터를 공유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사진 촬영을 수행한 후, 상기 피사체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촬영된 컨텐츠(예: 사진, 동영상)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UI/UX 및 데이터 공유 절차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카메라의 화각, 초점 거리(focal length), 피사체와의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화각은 렌즈를 통해서 카메라가 빛을 수신할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화각은 촬영자가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통해 관찰 가능한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초점 거리는 카메라에서 렌즈의 중심(optical center)으로부터 주초점(예: 필름 카메라의 경우 필름의 판면,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카메라의 화각 및 초점 거리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화각 및 초점 거리의 관계를 도시한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카메라는 렌즈(404) 및 이미지 센서(406)를 포함한다. 상기 도 4에서, S1은 상기 렌즈(404) 및 상기 피사체(402) 간 거리, S2는 자동 초점 수행 후 상기 렌즈(404) 및 상기 이미지 센서(406) 간 거리, F는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즉, 자동 초점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주어진 알고리듬에 의해 이미지의 초점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상기 자동 초점을 수행함으로 인해, 상기 렌즈(404) 및 상기 이미지 센서(406)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 초점 수행 후 실제 상기 렌즈(404) 및 상기 이미지 센서(406) 간 거리가 상기 S2로 표현된다. 상기 F는 카메라의 화각을 결정하는 초점 거리로서, 자동 초점과 무관하게 고정된 값이다. 상기 S1, 상기 S2, 상기 F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는 화각, 상기 d는 상기 이미지 센서(406)의 크기, 상기 S2는 자동 초점 수행 후 상기 렌즈(404) 및 상기 이미지 센서(406) 간 거리, 상기 F는 화각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피사체(402)와의 거리 및 상기 초점 거리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S1은 상기 렌즈(404) 및 상기 피사체(402) 간 거리, 상기 S2는 자동 초점 수행 후 상기 렌즈(404) 및 상기 이미지 센서(406) 간 거리, 상기 F는 화각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F는 피사체가 무한히 먼 거리에 위치했을 때, 즉, S1이 무한대에 가까울 때, 화각에 대응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2>에서 S2 및 F는 같은 값을 가진다. 그러나, 현실의 경우, 상기 S1이 무한대의 값을 가지지 아니하기 때문에, 상기 S2 및 F는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줌렌즈의 경우, 초점을 맞추기 위해, 상기 S1의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F 값이나 S2를 조절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렌즈(404) 및 상기 피사체(402) 간 거리는,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상기 초점 거리 및 상기 렌즈(404) 및 상기 이미지 센서(406) 간 거리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렌즈(404) 및 상기 피사체(402) 간 거리는, 무선 신호, 음파 신호, 빛 신호 등의 반사파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404) 및 상기 피사체(402) 간 거리는 RTT(Round Trip Time)에 기초한 거리 측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화각은 초점 거리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하 <표 1>은 일반적인 초검 거리에 따른 화각의 일 예를 나타낸다.

초점 거리 (mm)

화각 (°)
13 118
15 111
18 100
21 91.7
24 84.1
28 75.4
35 63.4
43.3 53.1
50 46.8
70 34.4
85 28.6
105 23.3
135 18.2
180 13.7
200 12.4
상기 <표 1>에 나타난 다른 초점 거리에 따른 화각은 일 예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표 1>과 다른 초점 거리에 따른 화각을 가지는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초점 거리에 따라 화각이 변화하므로, 상기 초점 거리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촬영 범위도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초점 거리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촬영 범위는 하기 도 5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초점 거리에 따른 이미지의 변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5는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된 6개의 이미지들을 예시한다. 상기 5에서, (a), (b), (c), (d), (e), (f)의 순서로 초점 거리가 길어진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 거리가 길수록 화각이 감소하므로, 촬영 범위가 좁아진다. 즉, 상기 도 5는 초점 거리에 따라 화각이 변화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초점 거리가 짧d은 경우, 화각이 넓어지므로, 좀 더 많은 사람 또는 풍경이 사진 이미지에 포함된다. 반대로, 상기 초점 거리가 긴 경우, 화각이 좁아지므로, 적은 수의 사람과 한정된 풍경이 사진 이미지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초점 거리에 따라 화각이 변화하고, 화각이 변화함에 따라 촬영되는 범위가 달라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초점 거리로부터, 화각 및 피사체의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초점 거리 및 화각에 기초하여 일정 물리적 범위를 특정하고, 특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공유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특정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빔포밍 기술이 응용될 수 있다.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다수의 안테나들을 특정한 형태의 어레이(Array)로 배치하면, 각 안테나의 빔 패턴(beam pattern)이 공간적으로 합성됨으로써, 지향성이 있는 빔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안테나 이득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각 안테나의 위상 특성을 조절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빔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은 상기 위상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빔의 방향을 조절하는 기법이다.
즉, 상기 빔포밍 기법을 이용하면, 전자 장치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초점 거리 및 상기 화각에 기초하여 판단된 물리적 범위 내로 빔을 형성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범위 내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들을 향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빔포밍을 이용하여 공유자를 제한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610) 주변에 다수의 사용자들(651 내지 656)이 분포되어 있다. 상기 전자 장치(610)를 통해 사진이 촬영되며,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651 내지 656) 중 일부 사용자들(652 내지 655)이 피사체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610)에 구비된 카메라의 화각은 상기 피사체들(652 내지 655)만을 포함하는 범위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피사체들(652 내지 655)의 전자 장치들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610)는 상기 화각의 범위에 속하는 빔들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610)의 전체 빔포밍 커버리지(coverage)는 상기 화각보다 더 넓지만, 상기 전자 장치(610)는 상기 화각에 대응하는 범위에서만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610)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피사체가 아닌 사용자들(651, 656)로 도달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각을 이용하여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에 더하여, 전자 장치는 초점 거리로부터 계산되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신호의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피사체 외 사용자가 상기 화각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빔포밍만으로 상기 사용자를 배제할 수 없으므로, 거리에 기반한 추가적 제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적 제어는, 송신 전력의 조절, 거리 측정 및 비교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조절을 이용하여 공유자를 제한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710) 주변에 다수의 사용자들(751 내지 758)이 분포되어 있다. 상기 전자 장치(710)를 통해 사진이 촬영되며,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751 내지 756) 중 일부 사용자들(752 내지 755)이 피사체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710)에 구비된 카메라의 화각은 상기 피사체들(752 내지 755)만을 포함하는 범위로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 피사체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용자(756)가 상기 화각 범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피사체들(752 내지 755)의 전자 장치들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710)는 신호의 전력을 조절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710)는 초점 거리 및 렌즈와 이미지 센서 간 거리에 기초하여, 또는, RTT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들(752 내지 755)와의 거리를 추정하고, 추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영역에 도달하지 아니하도록 신호의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통신 커버리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화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710)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피사체가 아닌 사용자(756)로 도달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빔포밍 및 통신 커버리지 조절을 통해 피사체만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카메라의 화각이 피사체 외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자가 배경을 함께 촬영하고 싶은 경우이다. 나아가, 일부 피사체에 대하여 데이터 공유를 제외하고자 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빔포밍 및 통신 커버리지 조절에 더하여, 사용자의 직접 제어에 의해 공유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범위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유자를 제안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810)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810)는 공유 범위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802)를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중첩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드래그(drag)를 통해 상기 공유 범위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공유 범위는 상기 드래그 외 다른 형태의 조작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은, 키 입력, 공유 범위를 지정하는 도형(예: 원, 다각형 등)의 경계를 지정하는 것, 특정 피사체를 클릭 또는 터치(touch)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는, 공유 그룹 결정 절차, 데이터 전송 절차, 사용자 요청에 기반한 개별 공유 절차, 그룹 라이프타임(lifetime) 기반의 동적 그룹 관리 절차를 포함한다.
상기 공유 그룹 결정 절차는, 공유 후보 선별, 공유 그룹 생성, 공유 그룹 확정의 단계로 수행된다. 상기 공유 후보를 선별하기 위해, 전자 장치는 공유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공유 영역은 피사체들이 위치한 물리적 영역을 의미하며, 피사체와의 거리, 화각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송신 전력 및 빔폭(beamwidth)을 결정하고, 빔 집합(beam set)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빔 집합의 결정은 사용자의 줌 인/아웃(Zoom In/Out)에 따른 빔 집합 조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도달각(AoA: angle of arrival) 및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공유 후보를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선별된 공유 후보들 중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공유 그룹 생성하고, 공유 그룹을 확정한다. 이때, 도달각 추정 및 빔포밍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리스트 기반 방식으로 상기 공유 그룹을 확정할 수 있다. 도달각 추정 및 빔포밍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화각 기반 방식으로 상기 공유 그룹을 확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절차는 공유 그룹에 속한 다른 전자 장치의 능력(capability)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룹 생성 시,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능력 및 사용자 선호도(User-Preference)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교환된 정보에 따라 전송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전송 실패 시, 상기 전자 장치는 무선 전송 기술을 변경한 후, 전송을 재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 요청에 기반한 개별 공유 절차는, 다른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능력 및 자원(resource) 상황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의 특성에 따라, 컨텐츠를 적절히 가공한 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동일한 컨텐츠를 공유하더라도, 각 전자 장치 별 서로 다른 해상도(resolution), 서로 다른 압축 형식(compression type)으로 컨텐츠를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그룹 라이프타임 기반 동적 그룹 관리 절차는 설정된 라이프타임 동안 해당 공유 그룹을 유지하게 한다. 즉, 공유 그룹에 그룹 라이프타임을 적용함으로써, 전자 장치들은 1회의 그룹 생성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자유롭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타임은 '유효 기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공유 그룹을 결정하는 절차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유 그룹의 결정은 공유 후보의 선별로 시작될 수 있다. 상기 공유 후보를 선별하는 절차가 수행되지 아니하면, 공유 그룹 생성 시 공유자이 아닌 주변의 모든 장치들이 공유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유자 확정 단계에서 많은 사용자의 입력이 요구되고, 소요 시간이 길어진다. 나아가, 의도하지 아니한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가 공유될 위험도 존재한다.
상기 공유 후보를 선별하기 위해, 전자 장치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피사체가 소유한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빔포밍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 범위를 정의함으로써, 공유자 선별의 정확성을 높이고,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키며, 공유 그룹 확정 절차에서 사용자의 개입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뷰 파인더 내의 피사체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공유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후보들이 자동으로 선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후보를 선별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901단계에서 자동 초점(AF: Auto Focusing)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 초점은 장치 스스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일치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자동 초점은 적외선이나 초음파의 반사를 포착함으로써 산출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거나, 또는, 입력되는 이미지의 선명도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9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 및 화각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화각 및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동작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초점 거리, 자동 초점 수행 후 렌즈 및 이미지 센서 간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 초점에 의해 렌즈 및 이미지 센서 간 거리가 결정되고, 화각에 관련된 초점 거리 및 상기 렌즈와 이미지 센서 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각은 상기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관계를 이용하여 화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학식 2>와 같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905단계로 진행하여 빔포밍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빔포밍을 위한 안테나 어레이가 구비되어 있는지, 빔포밍 기능을 지원하는지 등의 하드웨어 능력을 확인한다.
만일, 상기 빔포밍이 가능하지 아니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9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송신 전력을 조절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초과하는 범위에 신호가 도달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절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통신 커버리지에 상기 거리를 초과하는 영역이 포함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907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절하지 아니하더라도, 이후의 절차에서 수행되는 거리 측정, 각도 추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화각, 피사체와의 거리를 비교하여 피사체 후보가 선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상기 907단계를 통해 상기 각도 및 거리 측정의 대상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상기 907단계는 비교를 위한 연산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빔포밍이 가능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9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초과하는 범위에 신호가 도달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자인 다른 전자 장치에 충분한 수신 전력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넓은 빔폭을 결정한다.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을 결정하는 절차는 이하 도 1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을 결정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911단계로 진행하여 화각 정보를 기반으로 빔 집합을 결정한다. 상기 빔 집합은 상기 화각의 범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들을 포함한다. 상기 빔 집합에 포함되는 빔의 개수는 상기 빔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화각의 범위 내를 지향하는 빔들을 상기 빔 집합에 포함시킨다. 상기 빔 집합을 결정하는 절차는 이하 도 1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909단계 및 상기 911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907단계와 유사하게, 이후의 각도 추정 및 거리 추정 절차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909단계 및 상기 911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단, 상기 909단계 및 상기 911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각도 추정 및 상기 거리 추정이 불가한 경우나 정확성이 너무 떨어져 사용성이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피사체 후보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추정 및 상기 거리 추정이 가능한 경우라도, 상기 909단계 및 상기 911단계는 불필요한 대상 장치를 배제함으로써, 추정 및 비교를 위한 연산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913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정보를 기반한 추가 선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다중 접속 망을 통해 획득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들 간 직접 통신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추가 선별이 가능하지 아니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이하 92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추가 선별이 가능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9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각도를 측정한다. 상기 각도는, 상기 피사체가 소유한 전자 장치에서 송신된 신호의 도달각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서로 다른 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위상 차를 이용하여 상기 도달각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들의 탐색을 위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그룹 참여 요청에 대응 응답 신호, 상기 도달각을 측정하기 위해 정의된 신호, 그 외 다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도달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도달각 측정 원리는 이하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각도를 측정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917단계로 진행하여 화각 정보 및 상기 각도를 비교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화각 정보에 기초하여 피사체와의 상대적인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화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각도 및 상기 915단계에서 결정된 각도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피사체 및 상기 도달각 측정에 사용된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를 소유한 사용자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사체 후보 선별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919단계로 진행하여 RTT에 기초하여 거리 정보를 획득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RTT에 기초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추정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로 거리 측정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요청 신호 및 상기 응답 신호는 무선 신호, 음파 신호, 빛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요청 신호의 반사파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요청 신호의 송신으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까지 경과한 시간,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서의 신호 처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RTT를 측정하고, 상기 RTT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 추정은 상기 901단계 내지 상기 915단계를 통해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거리 정보는 무선 신호 세기 측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거리 정보는 다중 접속 망으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9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 및 상기 RTT에 기초하여 추정된 거리를 비교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카메라의 동작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상기 RTT에 기초하여 추정된 다른 전자 장치와의 거리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거리를 추정한 다른 전자 장치가 촬영된 피사체의 전자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결정된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의 거리를 비교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923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 후보를 선별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공유할 공유 후보를 결정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절차 중, 상기 909단계의 신호 도달각 측정은 하기 도 10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신호 도달각 측정 원리를 도시한다. 상기 도 10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제1안테나(1002) 및 제2안테나(1004)를 포함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안테나(1002) 및 상기 제2안테나(1004)는 무방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제1안테나(1002) 및 상기 제2안테나(1004)는 거리 d 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신호가 일정 각도를 가지고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100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및 상기 제2안테나(1004)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간 상기 d에 비례하는 크기의 위상 차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상 차는 d×cos(θ)이며, 여기서 상기 θ는 도달각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대적 전파 지연(relative propagation delay)에 의한 각 안테나의 위상 차를 측정하고, 상기 위상 차에 기초하여 상기 도달각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와의 상대적 각도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추정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여 빔포밍이 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는 각 섹터(sector) 또는 빔에 입사(incidence)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각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빔포밍을 수행한 경우, 하나의 섹터 또는 빔에 입사되는 신호의 입사각에 따라 안테나의 이득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수신 신호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달라지는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입사각이 추정될 수 있다. 단, 상기 수신 신호 세기는 안테나의 이득뿐 아니라 송신기 및 수신기 간 거리와 같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른 요인들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절대적인 수신 신호 세기가 아닌 각 빔 또는 섹터의 수신 신호 세기의 정규화된 패턴(pattern)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화각에 따라 빔 집합이 결정된다. 그러나, 전자 장치에서, 폼 팩터(form factor)나 다른 실장 문제로 인해 카메라 렌즈 및 안테나가 동일한 위치가 아닌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의 화각 및 빔의 각도 간 동일성이 보장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화각을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보정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즉, 렌즈와 안테나 거리에 따른 각도 보상이 수행되지 아니하면, 실제 렌즈를 통해 보여지는 화각과 빔의 각도를 올바르게 매칭시킬 수 없다. 예를 들어, 상기 화각의 보정은 하기 도 11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각도 보정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1을 참고하면, 카메라의 렌즈(1102) 및 안테나(1104)는 거리 d만큼 이격되어 있고, 피사체 및 전자 장치의 상기 렌즈(1102) 간 거리는 D, 상기 피사체 및 상기 안테나(1104) 간 거리는 S이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1104)의 중심점에서 상기 피사체를 향한 각도는 A이다. 상기 전자 장치의 크기가 작아 피사체와의 거리가 상기 렌즈(1102) 및 상기 안테나(1104) 간 거리 d보다 현저히 큰 경우(D≫d), 상기 각도 보상 필요성이 적은 경우도 있을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가 짧거나 또는 상기 렌즈(1102) 및 상기 안테나(1104) 간 거리가 길면, 상기 화각 및 빔 방향의 불일치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상기 도 11에서, 거리 D는 초점 거리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자동 초점 수행 후 상기 D를 알 수 있고, 상기 거리 S 및 각도 A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화각에서의 수직 방향(예: 90°)을 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각도 A에 대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도 11의 경우, 보정 전 화각의 각도 범위에 비하여, 보정 된 각도 범위는 감소된 값을 가진다.
상기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공유 후보를 결정한다. 상기 공유 후보를 결정하는 절차는, 공유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유 영역은 촬영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얻어진 화각 정보 및 피사체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화각 안에 피사체들이 위치한 위치, 즉, 공유자들이 존재하는 물리적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공유 영역은 '피사체 지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공유 영역을 정의하지 아니하면, 화각 내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전자 장치가 공유 후보로 선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하고, 화각을 기반으로 빔 집합을 결정한다. 이로 인해, 피사체 선별의 정확성이 높아지고, 오버헤드가 감소되며, 공유 그룹 확정 단계가 간소화된다. 상기 공유 영역은 하기 도 1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영역을 정의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2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초과하는 범위에 신호가 도달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자인 다른 전자 장치에 충분한 수신 전력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넓은 빔폭을 결정한다.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을 결정하는 절차는 이하 도 1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을 결정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1203단계로 진행하여 화각 정보를 기반으로 빔 집합을 결정한다. 상기 빔 집합은 상기 화각의 범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들을 포함한다. 상기 빔 집합에 포함되는 빔의 개수는 상기 빔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화각의 범위 내를 지향하는 빔들을 상기 빔 집합에 포함시킨다. 상기 빔 집합을 결정하는 절차는 이하 도 1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1205단계로 진행하여 공유 영역을 결정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 전력, 상기 빔폭, 상기 빔 집합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도달 범위를 상기 공유 영역으로 결정한다. 즉, 상기 빔폭 및 상기 송신 전력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도달 거리 및 상기 빔 집합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방사 각도에 의해 상기 공유 영역이 결정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 및 상기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한다.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은 공유 후보들로 공유 요청 신호를 송신할 때 적용되는 파라미터(parameter)들로서, 공유 후보인 다른 전자 장치들과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면서 가능한 최소의 송신 전력 및 최대의 빔폭을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듬(algorithm)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하기 도 13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301단계에서 최소 송신 전력 및 최소 빔폭을 설정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이후 단계에서의 예측 수신 전력 추정을 위해, 최소 송신 전력 및 최소 빔폭을 적용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1303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예측 수신 전력을 계산한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예측 수신 전력 추정을 위해 가정한 송신 전력 및 빔폭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ath loss)를 추정하고, 빔폭에 따른 빔 이득, 수신 이득 및 상기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 수신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측 수신 전력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추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상기 Pr는 예측 수신 전력, 상기 Pt는 송신 전력, 상기 Gt는 송신 안테나 이득, 상기 Gr은 수신 안테나 이득, 상기 R은 피사체와의 거리, 상기 F는 반송파 주파수, 상기 c는 빛의 속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안테나 이득은 빔포밍 이득, 상기 수신 안테나 이득은 무지향 안테나 이득일 수 있다.
상기 예측 수신 전력을 추정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1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예측 수신 전력이 요구 수신 감도 미만인지 판단한다. 상기 요구 수신 감도는 적용될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이 허용되는 최소의 수신 전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요구 수신 감도는 수신기에서 정상적으로 패킷을 디코딩(decoding)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수신 신호 레벨로서, 수신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metric)로 널리 사용된다. 제조사 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통신 규격에서 데이터 전송률(data rate) 또는 변조 방식(modulation) 별로 필요한 최소의 수신 감도를 정의한다. 상기 요구 수신 감도는 'RX Sensitvity(MCS)'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예측 수신 전력이 상기 요구 수신 감도 미만임은, 현재 조건으로 해당 MCS 레벨을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상기 예측 수신 전력이 요구 수신 감도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는 130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가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인지 판단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송신 전력을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현재 가정된 송신 전력이 상기 최대 송신 전력이 아니면, 상기 전자 장치는 1309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한 단계 더 높은 값으로 송신 전력을 가정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두 단계 이상 높은 값으로 송신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1303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현재 가정된 송신 전력이 상기 최대 송신 전력이면, 상기 전자 장치는 1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의 신호 송신 시 적용할 MCS 레벨을 한 단계 감소시킨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데이터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MCS 레벨이 두 단계 이상 감소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1303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1305단계에서, 상기 예측 수신 전력이 상기 요구 수신 감도 이상이면, 상기 전자 장치는 1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예측 수신 전력 및 상기 요구 수신 감도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요구 수신 감도 및 상기 임계값의 합보다 상기 예측 수신 전력이 크거나 같은지 판단한다.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 상기 전자 장치는 1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빔폭을 증가시킨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가정된 빔폭을 한 단계 증가시킨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빔 이득을 한 단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빔폭은 두 단계 이상 증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1301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는 1317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가정적으로 설정된 송신 전력 및 빔폭을 신호 송신 시 적용할 송신 전력 및 빔폭으로 결정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예측 수신 전력이 요구 수신 감도를 만족하는 최대의 빔폭 및 최소의 송신 전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 및 상기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빔 집합을 결정한다. 상기 빔 집합은 공유 후보들로 공유 요청 신호를 송신할 범위를 특정한다. 즉, 상기 빔 집합은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기준으로 화각 내에 존재하는 빔들을 포함한다. 상기 빔 집합에 포함되는 빔들은 하기 도 14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빔 집합 결정 시 고려되는 빔 특성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4를 참고하면, 화각 범위의 양쪽 경계에 대응하는 빔들만이 예시되며, 오른쪽 경계에 빔1(1431), 왼쪽 경계에 빔2(1432)이 존재한다. MB(Main Beam)은 빔포밍 시 최대 방사(maximum radiation)이 일어나는 방향으로의 영역(region)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피크 이득(peak gain)의 -3dB(=50%)까지 이득이 감소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도 14의 경우, 상기 빔1(1431)의 MB 지향각은 45°, 상기 빔2(1432)의 MB 지향각은 30°로 예시된다. HPBW(half power beam width)는 빔폭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방사 이득(radiation gain)이 피크 이득에서 -3dB(=50%)로 감소하는 지점에서의 각도 차이로 정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빔 집합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5는 송신 전력 및 빔폭과 화각 정보를 결합하여 공유 영역을 정의하는데 사용할 빔의 집합을 결정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501단계에서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초과하는 범위에 신호가 도달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자인 다른 전자 장치에 충분한 수신 전력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넓은 빔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을 결정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1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빔폭이 화각 이하인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1501단계에서 결정된 빔폭을 가지는 하나의 빔으로 상기 화각 범위를 모두 커버(cover)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빔폭이 상기 화각보다 크면, 상기 전자 장치는 1505단계로 진행하여 LOS(Line of Sight) 빔을 선택한다. 상기 LOS 빔은 렌즈로 빛이 입사하는 방향, 즉, 상기 전자 장치의 정면 방향의 빔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빔 집합은 하나의 빔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이하 15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빔폭이 상기 화각 이하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특정한 하나의 빔을 선택한 후, 1507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빔의 방향이 상기 화각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화각 범위 내 포함 여부는, 상기 빔의 MB의 방향을 기준하여 판단된다. 만일, 상기 선택된 빔의 방향이 상기 화각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이하 151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선택된 빔의 방향이 상기 화각 범위 내에 포함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5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빔을 빔 집합에 추가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1511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빔들을 확인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일, 확인되지 아니한 빔이 존재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513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빔을 선택한 후, 상기 1507단계로 되돌아간다. 이로 인해, 상기 빔폭이 화각 이하인 경우, 둘 이상의 빔들이 상기 빔 집합에 포함된다.
상기 모든 빔들이 확인되었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1515단계로 진행하여 화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빔 집합을 생성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빔 집합을 확정한다.
상기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빔 집합이 결정될 수 있다. 빔 집합 결정 후, 사용자가 카메라를 줌 인 또는 줌 아웃하는 경우, 화각이 변화하고, 촬영되는 피사체가 변경된다. 즉, 상기 빔 집합이 한번 결정되더라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이미지의 확대/축소 입력이 발생하면, 화각이 변화한다. 따라서, 변경된 화각을 기반으로 새로운 빔 집합을 결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상기 빔 집합은 하기 도 16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빔 집합을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601단계에서 자동 초점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 초점은 장치 스스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일치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자동 초점은 적외선이나 초음파의 반사를 포착함으로써 산출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거나, 또는, 입력되는 이미지의 선명도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을 수행함으로 인해, 상기 전자 장치는 카메라의 동작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는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1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초과하는 범위에 신호가 도달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자인 다른 전자 장치에 충분한 수신 전력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넓은 빔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13과 같이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을 결정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1605단계로 진행하여 화각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초점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초점 거리로부터 화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관계를 이용하여 화각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16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확대/축소 입력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카메라가 줌 인 또는 줌 아웃되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확대/축소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1505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화각을 다시 결정한다.
상기 확대/축소 입력이 발생하지 아니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화각을 기반으로 빔 집합을 결정한다. 상기 빔 집합은 상기 화각의 범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들을 포함한다. 상기 빔 집합에 포함되는 빔의 개수는 상기 빔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화각의 범위 내를 지향하는 빔들을 상기 빔 집합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15와 같이 상기 빔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빔폭, 빔 집합을 결정함으로써 공유 영역을 정의한 후, 전자 장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공유 그룹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공유 영역에서 장치 탐색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 탐색은 무선 랜(예: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al Engineers) 802.11ad)의 장치 발견(device discovery)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단, 상기 장치 발견 절차를 수행 시, 상기 전자 장치는 모든 빔들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상기 공유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결정된 빔 집합에 속하는 빔들의 서브셋(subset)만을 이용한다.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탐색된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 생성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상기 공유 그룹 생성은 하기 도 17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그룹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701단계에서 자동 초점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 초점은 장치 스스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일치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자동 초점은 적외선이나 초음파의 반사를 포착함으로써 산출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거나, 또는, 입력되는 이미지의 선명도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17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 및 화각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화각 및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동작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초점 거리, 자동 초점 수행 수 렌즈 및 이미지 센서 간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 초점에 의해 렌즈 및 이미지 센서 간 거리가 결정되고, 화각에 관련된 초점 거리 및 상기 렌즈와 이미지 센서 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각은 상기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관계를 이용하여 화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학식 2>와 같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1705단계로 진행하여 공유 영역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송신 전력 및 빔폭을 결정하고, 상기 화각에 기초하여 빔 집합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13과 같이 상기 송신 전력 및 상기 빔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15와 같이 상기 빔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영역을 정의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1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유 영역 내에서 장치를 탐색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장치 탐색을 위한 미리 정의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는 '비콘(beacon) 신호'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콘 신호에 대하여 상기 1705단계에서 결정된 송신 전력, 빔폭을 적용하고, 상기 빔 집합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공유 영역의 범위 내로만 도달되도록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예: 식별 정보 등)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상기 응답을 송신하는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최적의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빔 훈련(beam training) 절차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탐색을 위해 미리 정의된 신호로서,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탐색됨을 가정한다.
상기 장치를 탐색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고, 1709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전자 장치로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공유 그룹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으로서, 메시지 또는 프레임 타입(type), 사용자 식별 정보, 공유될 컨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 처리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하여 상기 1705단계에서 결정된 송신 전력, 빔폭을 적용하고, 상기 빔 집합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1707단계에서 발견된 다른 전자 장치들에 대한 최적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빔포밍 없이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17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장치로부터 그룹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는 상기 그룹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그룹이 참여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으로서, 메시지 또는 프레임 타입, 사용자 식별 정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상기 그룹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그룹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다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이하 17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7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장치를 공유 그룹에 추가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17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707단계에서 발견된 모든 전자 장치에 대하여 그룹 추가를 위한 시그널링, 즉, 상기 1709단계 내지 상기 1713단계를 수행하였는지 판단한다. 발견된 모든 전자 장치에 대하여 그룹 추가를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1717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전자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1709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발견된 모든 전자 장치에 대하여 그룹 추가를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하였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1719단계로 진행하여, 공유 그룹을 생성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1713단계에서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공유 그룹에 포함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공유 그룹은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유 그룹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전자 장치들은 그룹 참여를 위한 시그널링, 즉, 공유 요청 신호 송수신 및 공유 응답 신호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상기 전자 장치들 간 시그널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들 간 연결을 설정(establishment)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이때, 상기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는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시그널링과 결합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설정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무선 랜 시스템, 셀룰러 시스템 등에서의 연결 과정은 스테이션 개시(station-initiated) 방식으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제어자에 해당하는 AP 또는 PCP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방송하고,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연결 응답을 송신함으로써, 연결을 완료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스테이션 등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는 인근의 AP 또는 PCP를 발견하기 위한 스캔을 수행하고, AP 또는 PCP를 선택한 후, 연결 요청을 송신하고, 연결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연결을 완료한다. 즉,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가 먼저 연결을 트리거링(triggering)한다. 상기 연결 요청 및 상기 연결 응답은 연결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요청 및 상기 연결 응답은 연결을 요청/수락함을 알리는 정보, 통신에 관련된 능력 정보, 통신을 위한 채널에 대한 정보, 제어자 결정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경우, 상술한 기존의 연결 절차와 달리 제어자 및 스테이션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스테이션이 아닌 제어자(예: 촬영자의 전자 장치)가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스테이션들(예: 다른 전자 장치들)을 스캔한다. 또한, 스테이션이 아닌 제어자가 탐색된 장치로, 연결 요청과 유사한,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상기 스테이션들이 송신한 그룹 응답 신호에 의해 연결이 설정되고, 그룹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절차는 특정 지역(예: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스테이션들만을 대상으로 한다. 즉, 서비스 및 연결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자가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스테이션들이 연결 및 서비스 수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자는 상기 특정 지역 내에 스테이션들을 탐색하고, 발견된 스테이션들의 연결 의사를 재확인함으로써,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설정 절차는 '영역 기반 역 방향 연결 절차(Zone-Based Reverse Directed Connection Procedure)'로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연결 설정 절차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 설정의 주체는 제어자(예: 촬영자의 전자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예: 다른 전자 장치)이다.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하며, 데이터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스테이션은 연결 의사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된다. 먼저, 상기 제어 노드는 화각 내에서 지역적 스캔(regional scan)을 수행하거나, 주변 위치 인식을 통해, 상기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스테이션들을 탐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자는 발견된 스테이션으로 연결 요청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요청은 그룹 요청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을 요청받은 스테이션은, 연결 응답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응답은 그룹 응답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자는 상기 연결 응답을 송신한 스테이션을 확인하고, 연결 과정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스테이션 개시 방식의 연결 설정 절차가 상기 공유 그룹 생성 전 또는 후에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상기 공유 그룹 생성 절차와의 중복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스테이션 개시 연결 설정 절차에서 연결 가부를 결정하는 제어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스테이션들을 스캔하고, 해당 리스트를 보유한 상황에서, 공유 그룹 생성을 위해 한번 더 스테이션과의 연결 요청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공유 그룹 생성 절차 및 연결 설정 절차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유 그룹 생성을 위한 탐색을 완료한 제어자가 탐색된 스테이션들로만 연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연결 요청을 수신한 스테이션들에 대하여만 별도의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유 그룹이 생성된 후, 생성된 공유 그룹의 공유자 수 및 실제 피사체 수가 일치하면, 촬영자는 상기 공유 그룹을 확정하고,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생성된 공유 그룹의 공유자 수 및 실제 피사체 수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상기 촬영자는 피사체가 아닌 장치를 제거할 수 있어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공유 그룹 확정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된 공유 그룹에서 일부 공유자를 제거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일부 공유자를 제거한 후, 상기 공유 그룹을 확정한다. 상기 공유 그룹에 대한 확정은 하기 도 18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 그룹을 확정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801단계에서 공유 그룹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공유 영역 내에서 다른 전차 장치를 탐색하고,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하여 그룹 추가를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17과 같이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1803단계로 진행하여 생성된 공유 그룹의 공유자 수 및 촬영될 피사체 수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프리뷰 이미지로부터 얼굴 인식 등을 통해 피사체 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공유자 수 및 상기 피사체 수가 일치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이하 18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공유자 수 및 상기 피사체 수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805단계로 진행하여 공유자 제거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상기 공유자 제거 인터페이스는 리스트 방식 또는 공유 화각 조정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리스트 방식 및 상기 공유 화각 조정 방식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상기 리스트 방식 및 상기 공유 화각 조정 방식 중 하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의된 기준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피사체의 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리스트 방식 및 상기 공유 화각 조정 방식 중 하나만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가능한 하나의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방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1807단계로 진행하여 공유자 리스트를 표시한다. 상기 공유자 리스트는 상기 1801단계에서 생성된 공유 그룹 내 공유자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이름, 장치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네트워크 식별 정보(예: MAC 주소, IP 주소 등)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공유자 리스트에서 일부 공유자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유자 리스트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인터페이스의 예시는 이하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상기 공유 화각 조정 방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1809단계로 진행하여 공유 화각 조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유 화각을 변경함으로써 공유자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화각이 변경된 경우, 상기 도 17에 도시된 절차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유 화각 조정을 위한 구체적인 인터페이스의 예시는 이하 도 21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1811단계로 진행하여 공유 그룹을 확정한다. 즉, 1803단계에서 상기 공유자 수 및 상기 피사체 수가 일치하면, 상기 1801단계에서 생성도니 공유 그룹이 최종 공유 그룹으로 확정된다. 반면, 1803단계에서 상기 공유자 수 및 상기 피사체 수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상기 1807단계 또는 상기 1809단계를 통해 변경된 공유 그룹이 최종 공유 그룹으로 확정된다.
상기 도 18에 도시된 절차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1803단계에서 공유자 수 및 피사체 수에 기초하여 공유자를 제거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상기 공유자 수 및 상기 피사체 수에 기초한 공유자 제거 여부 판단은 일 예이며, 다른 기준에 따라 상기 공유 그룹에 속한 공유자를 제거하는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가 아닌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상기 공유자를 제거하는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1803단계는 사용자의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유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유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공유자 변경 등의 조작이 요구될 수 있다. 이하 도 19 내지 이하 도 21은 상기 공유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UI/UX들을 예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9에서, (a)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즉, 촬영자의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예를, (b)는 데이터를 제공받는, 즉, 공유자의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icon)(1902)을 선택함으로써,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유자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904)을 선택함으로써,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는, 상기 공유자는 장치 설정을 통해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컨텐츠 공유를 허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공유자의 전자 장치는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모드로 진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그룹 결정을 위한 UI/UX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0은 촬영자의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UI/UX로서, 최초 공유 그룹을 생성하고, 공유자를 변경하는 동안 제공되는 UI/UX를 예시한다. 상기 도 20은 리스트 방식을 예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촬영자의 전자 장치는 '촬영 장치'로 지칭된다.
상기 도 20을 참고하면, 최초 (a)와 같이, 전자 장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고, 공유 그룹의 생성을 위한 버튼(2006)을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유 그룹의 생성을 위한 버튼(2006)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 그룹 생성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17과 같이 상기 공유 그룹 생성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유 그룹이 생성되면, (b)와 같이, 생성된 공유 그룹에 속한 공유자 수를 나타내는 지시자(2008)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사체의 수 및 공유자의 수를 비교하고,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사체의 수 및 상기 공유자의 수가 일치하면, 사용자는 촬영을 명령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피사체의 수 및 상기 공유자의 수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지시자(2008)을 선택하여, 공유자를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시자(2008)는 공유자의 수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공유자 변경을 명령하기 위한 UI(예: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명령 없이, 상기 전자 장치가, 프리뷰 이미지에서의 얼굴 인식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수 및 상기 공유자의 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공유자 변경이 진행되는 경우, (c)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자의 리스트(2010)를 표시한다. 상기 리스트(2010)는 현재 공유 그룹에 포함된 공유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도 20의 경우, 상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이름 또는 장치 식별 정보로 예시된다. 예를 들어, 해당 공유자가 촬영 장치의 주소록 등에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이름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전 공유 기록, 등록된 사용자 여부 등에 기초하여, 다수의 공유자들이 하나의 식별 정보로 요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자를 제거할 수 있다. 일부 공유자가 제거된 경우, (d)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는 나머지 공유자들의 리스트(2012)를 표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자 변경을 위한 UI/UX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1은 공유자를 변경하는 동안 제공되는 UI/UX를 예시한다. 상기 도 21은 공유 화각 조정 방식을 예시한다.
공유 그룹의 생성 시 제공되는 UI/UX는 상기 도 20의 (a) 및 (b)와 유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명령 또는 전자 장치의 판단에 따라 공유자 변경이 진행되면, 상기 도 21의 (a) 또는 (b)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 화각(2102, 2104)을 표시한다. 상기 도 21과 같이, 상기 공유 화각(2102, 2104)은 프리뷰 이미지에 중첩된 색채로 구분되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보여지도록 반투명하게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공유 화각(2102, 2104)은 사용자의 조작(예: 드래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도 21의 (b)의 경우, 화각이 좁하지는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공유 화각(2102, 2104)이 변경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 그룹 생성 절차를 재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유 그룹은, 공유 후보 선별, 공유 그룹 생성, 공유 그룹 확정을 통해 결정된다. 상기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전자 장치들 간 탐색을 위한 시그널링 및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 전자 장치들 간 시그널링이 가능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들 간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이 지원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들 간 시그널링이 수행될 수 없다.
상기 시그널링에 적용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 빔폭, 빔 집합은 카메라로 보여지는 화각 범위를 기초하여 결정된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을 구별하도록 결정된다. 즉, 상기 시그널링, 특히, 상기 탐색을 위한 시그널링은 상기 공유 영역 내의 전자 장치들을 식별하기 위해 수행된다. 따라서, 다른 전자 장치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면, 상기 위치 파악으로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시그널링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중 접속 망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들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중 접속 망은, 기지국, AP, PCP 등 제3의 제어 노드(node)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서, 예를 들어, 셀룰러 망, 무선 랜,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장치들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지 아니하고, 제어 노드를 통한 간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하기 도 22와 같은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직접 통신이 지원되지 아니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2를 참고하면, 촬영 장치(2210) 및 다수의 다른 전자 장치들(2251 내지 2255)이 기지국(2220)의 셀(cell) 내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촬영 장치(2210)의 카메라 화각 범위 내에 피사체들이 소유한 전자 장치들(2252 내지 2254)이 위치한다. 그러나, 상기 촬영 장치(2210) 및 다른 전자 장치들(2251 내지 2255) 간 직접 통신은 가능하지 아니하고, 상기 기지국(2220)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촬영 장치(2210)는 하기 도 23과 같이 상기 다른 전자 장치들(2251 내지 2255)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중 접속 망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3을 참고하면, 기지국(2320)이 촬영 장치(2310) 및 다른 전자 장치들(2351 내지 2355)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더라도, 상기 기지국(2320)을 기준한 위치 정보로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촬영 장치(2310)의 화각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들(2352 내지 2354)이 식별될 수 없다. 상기 기지국(2320)의 입장에서, 특정 전자 장치가 상기 촬영 장치(2310)의 화각 범위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촬영 장치(2310)의 위치뿐 아니라 상기 촬영 장치(2310)의 지향 각도(orientation)를 알아야 한다. 상기 지향 각도는 해당 전자 장치의 카메라 렌즈의 정면이 향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기지국(2320) 및 상기 촬영 장치(2310) 간 접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기지국(2320) 및 상기 촬영 장치(2310) 간 빔 정렬(beam alignment)가 완료되어 있다. 상기 빔 정렬은, 빔 훈련(beam training) 절차 또는 별도의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신호 세기 등을 기준으로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빔 정렬을 통해, 상기 기지국(2320) 및 상기 촬영 장치(2310)는 상호 간 방향을 알 수 있다. 상기 기지국(2320) 및 상기 촬영 장치(2310) 모두 상기 상대방에 대한 방향을 기준(reference)로 정의하면, 지향 방향에 대한 상대적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 23의 경우, 상기 기지국(2320)은 빔#5를 통해, 상기 촬영 장치(2310)는 빔#3을 통해 빔 정렬을 이루었다. 즉, 상기 기지국(2320)은 상기 빔#5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 장치(2310)는 빔#3의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도 23의 경우, 상기 촬영 장치(2310)의 지향 방향의 각도 차이가 A로 표현되었다. 상기 촬영 장치(2310)는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할 때, 상기 각도 차이 A를 상기 그룹 요청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2320)은 상기 촬영 장치(2310)의 지향 각도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 장치(2310)는 자동 초점을 통해 획득한 피사체와의 거리 정보 및 화각 정보, 빔 정렬 후 기준 대비 각도 차이 정보를 상기 기지국(2320)에 송신한다. 상기 기지국(2320)은 상기 촬영 장치(2310)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들(2351 내지 2355)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들(2351 내지 2355) 중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2322 내지 2324)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접속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촬영 장치(2310) 및 상기 기지국(2320)의 구체적인 동작 절차는 하기 도 24 및 하기 도 25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중 접속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2401단계에서 자동 초점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 초점은 장치 스스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일치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자동 초점은 적외선이나 초음파의 반사를 포착함으로써 산출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거나, 또는, 입력되는 이미지의 선명도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2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 및 화각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화각 및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동작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초점 거리, 자동 초점 수행 수 렌즈 및 이미지 센서 간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 초점에 의해 렌즈 및 이미지 센서 간 거리가 결정되고, 화각에 관련된 초점 거리 및 상기 렌즈와 이미지 센서 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각은 상기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관계를 이용하여 화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학식 2>와 같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2405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와 빔 정렬을 수행한다. 상기 빔 정렬은,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기지국 간 서로를 향한 빔 방향을 결정하는 절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기지국 중 일방이 서로 다른 방향의 송신 빔들로 미리 약속된 신호(예: 훈련 신호, 동기 신호, 프리앰블 등)를 반복적으로 송신하고, 타방은 반복적으로 송신되는 신호들을 서로 다른 수신 빔들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는 가장 큰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최적의 송신 빔 및 수신 빔의 쌍(pair)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최적의 빔 쌍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빔 정렬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기지국은 동일한 각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빔 정렬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2407단계로 진행하여 정렬된 빔 및 지향 방향 간 각도 차이를 계산한다. 상기 지향 방향은 해당 전자 장치의 카메라 렌즈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정렬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향 방향의 상대적인 각도를 계산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2409단계로 진행하여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요청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다른 전자 장치들로 공유 그룹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으로서, 메시지 또는 프레임 타입, 사용자 식별 정보, 공유될 컨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 처리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피사체와의 거리, 지향 각도, 화각, 상기 각도 차이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지향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의 동작 파라미터로 대체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2411단계로 진행하여 후보 장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후보 장치에 대한 정보는 그룹 응답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는 상기 그룹 요청 신호를 수신한 다른 전자 장치가 그룹이 참여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으로서, 메시지 또는 프레임 타입, 사용자 식별 정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상기 후보 장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후보 장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한다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후보 장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2409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후보 장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241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확인 절차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후보 장치들의 수 및 피사체의 수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일부 후보 장치를 제거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보 장치들의 수 및 상기 피사체의 수의 일치 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2415단계로 진행하여 공유 그룹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확인 절차로 인해 확정된 후보 장치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공유 그룹을 확정한다.
상기 공유 그룹을 결정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2417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을 통해 그룹 내 다른 전자 장치들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즉, 장치들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데이터는 사진 촬영 후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사진,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중 접속 망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2501단계에서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에 대한 위치 추정을 수행한다. 상기 위치 추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위치 추정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각 전자 장치로부터 추정된 위치 정보를 피드백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추정은 빔 방향, 신호 전력,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25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빔 정렬이 요청되는지 판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빔 정렬을 요청한 전자 장치는 '요청 장치' 또는 '소스 장치'라 지칭된다.
상기 빔 정렬이 요청되면, 상기 기지국은 2505단계로 진행하여 빔 정렬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빔 정렬은, 상기 요청 장치 및 상기 기지국 간 서로를 향한 빔 방향을 결정하는 절차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위치 추정 시 획득한 신호의 도달각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요청 장치 및 상기 기지국 중 일방이 서로 다른 방향의 송신 빔들로 미리 약속된 신호(예: 훈련 신호, 동기 신호, 프리앰블 등)를 반복적으로 송신하고, 타방은 반복적으로 송신되는 신호들을 서로 다른 수신 빔들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은 가장 큰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최적의 송신 빔 및 수신 빔의 쌍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최적의 빔 쌍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요청 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요청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빔 정렬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기지국은 동일한 각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2507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상기 요청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들로 공유 그룹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으로서, 메시지 또는 프레임 타입, 사용자 식별 정보, 공유될 컨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 처리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상기 요청 장치 및 피사체 간 거리, 상기 요청 장치의 지향 각도, 상기 요청 장치의 화각, 상기 요청 장치의 지향 각도 및 상기 기준 각도 간 각도 차이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상기 요청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 장치의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로 특정되는 공유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2509단계로 진행하여 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요청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요청 장치의 지향 방향을 추정하고, 공유 영역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도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장치의 지향 방향을 추정하고, 상기 요청 장치의 위치, 상기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공유 영역을 추정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2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화각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을 후보 장치로 선정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2501단계에서 위치 추정된 전자 장치들 중 상기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데이터를 공유할 후보 장치로 선택한다.
상기 후보 장치를 선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2513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장치로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상기 요청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들로 공유 그룹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으로서, 메시지 또는 프레임 타입, 사용자 식별 정보, 공유될 컨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 처리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2515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는 상기 그룹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그룹이 참여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으로서, 메시지 또는 프레임 타입, 사용자 식별 정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기지국은 2517단계로 진행하여 응답한 전자 장치들의 리스트를 상기 요청 장치로 송신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그룹에 참여할 것을 알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요청 장치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도 25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기지국은 상기 요청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응답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도 22 내지 상기 도 2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들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지 아닌 상황을 전제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도 22 내지 상기 도 25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어 노드를 통한 위치 인식 절차는, 상기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직접 통신이 가능하지만 주변 위치 인식이 어렵거나 불가한 경우, 또는, 주변 위치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제어 노드는 상술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어 노드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 소유되거나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 소유되거나 측정된 상대적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화각 내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들을 식별한 후,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직접 통신이 가능하더라도, 상기 전자 장치는 빔 정렬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지향 각도 및 정렬된 빔 간 각도 차이를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도 차이를 이용하여 화각 내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들을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노드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들 간 그룹 요청/응답 신호의 교환이 수행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화각 내에 위치한 모든 다른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도 25에서, 상기 2513단계 및 251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5의 상기 2507단계에서 수신되는 그룹 요청 신호는, 데이터 공유에 대한 정보(예: 공유될 컨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 처리 기법 등)를 배제하고, 공유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예: 화각, 지향 각도 및 기준 각도 간 각도 차이 등)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4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2411단계에서 후보 장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후보 장치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4의 상기 2417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기지국이 아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을 통한 탐색을 보충하기 위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송신에 더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시그널링에 의한 직접적 탐색 및 상기 제어 노드를 통한 간접적 탐색은 함께 수행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룹 라이프타임 기반의 동적 그룹 관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상기 라이프타임은 생성된 공유 그룹이 유효하게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라이프타임은 상기 공유 그룹이 생성된 후 진행되며, 상기 라이프타임이 만료되기 전까지 상기 공유 그룹은 재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프타임은 한번 생성된 공유 그룹을 재활용할 목적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유 그룹에 라이프타임을 부여하고, 상기 라이프타임 만료 전까지의 기간 동안 자유로이 컨텐츠를 공유하며, 상기 라이프타임 만료 후 공유 관계를 해지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타임을 이용함으로 인해, 동적인 공유 그룹 관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여행 중 일행들과 각자 찍은 사진 및 비디오 영상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여행 기간을 라이프타임으로 정의하면, 해당 여행 동안 자유로운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다.
상기 라이프타임 기반한 데이터 공유 절차는 하기 도 26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라이프타임 기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2601단계에서 그룹 라이프타임을 결정한다. 상기 라이프타임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라이프타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2603단계로 진행하여 공유 그룹 생성 시 라이프타임 정보를 송신한다. 즉, 상기 도 26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 그룹 생성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공유 그룹 생성 절차 중, 상기 전차 장치는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그룹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 요청 신호에 상기 라이프타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프타임 정보는 원소 ID(element identifier)(2702), 길이(length)(2704), 그룹 라이프타임(2706), 라이프타임 단위(unit)(270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라이프타임(2706)은 공유 그룹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고, 상기 라이프타임 단위(2708)는 그룹 라이프타임(2706)에 설정된 값의 단위를 지시한다. 상기 그룹 라이프타임(2706)은 일(day), 시(hour), 분(minite), 초(second) 등으로 다양한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타임이 1시간인 경우, 상기 '그룹 라이프타임(2706)'은 '1'로, 상기 '라이프타임 단위(2708)'는 '시간(hour)'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라이프타임이 3일인 경우, 상기 '그룹 라이프타임(2706)'은 '3'으로, 상기 '라이프타임 단위(2708)'는 '일(day)'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라이프타임 정보는 그룹 라이프타임 IE(Information Element)로 지칭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2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라이프타임 정보를 포함한 공유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라이프타임은 공유 그룹 별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공유 그룹들이 결정된 경우, 라이프타임은 공유 그룹 별로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상기 라이프타임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2607단계로 진행하여 촬영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상기 공유 그룹에 속한 다른 공유자들도 다른 장소에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촬영 후, 상기 전자 장치는 2609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가능 거리 내 공유자, 즉, 공유 그룹의 다른 전자 장치를 탐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탐색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장치들 간 직접 통신이 지원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기지국 등의 제어 노드로 다른 전자 장치와의 거리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통신 가능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261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자가 발견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공유 그룹에 속한 다른 전자 장치가 발견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2609단계로 되돌아가 탐색을 반복한다. 단, 상기 공유 그룹에 속한 다른 전자 장치가 발견되더라도, 또 다른 전자 장치가 발견될 수 있으므로, 상기 2609단계는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공유 그룹에 속한 다른 전자 장치가 발견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2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유 그룹의 라이프타임 내에 촬영된 데이터를 선택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공유 그룹 생성 후 상기 라이프타임 만료 전에 생성된 이미지,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확인한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2615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공유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2609단계에서 발견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송신한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발견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사용자 요청에 기반한 개별 공유 절차는 다음과 같다.
공유될 소스(source) 데이터를 보유한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촬영자의 전자 장치 및 공유 그룹 내 다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능력 및 소프트웨어 능력, 자원 상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그룹 내의 일부 전자 장치는 특정 해상도, 특정 압축 형식을 지원하지 아니할 수 있다. 또는, 일부 전자 장치는 특정 해상도, 특정 압축 형식을 지원하더라도, 가용 자원 상태에 따라 다른 방식을 선호할 수 있다. 또한, 전송 기술, 대역폭 능력(bandwidth capacity)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전송 기술 등에 대한 적응적 처리(adaptation)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 그룹 내에서 공유하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능력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른 해상도 및 압축 형식으로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공유되는 컨텐츠는 공유자의 전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형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요청에 기반한 개별 공유 절차를 위해, 그룹 생성을 위한 시그널링 시, 각 전자 장치에 대한 능력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상기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요청 신호 및 그룹 응답 신호는 하기 도 2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특성을 고려한 공유를 위한 제어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8에서, (a)는 그룹 요청 신호의 구성, (b)는 그룹 응답 신호의 구성, (c)는 능력 정보의 구성을 예시한다.
상기 도 28의 (a)를 참고하면,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타입(2802), 사용자 ID(2804), 소스 타입(source type)(2806), 해상도(2808), 압축 방식(2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입(2802)은 상기 그룹 요청 신호 및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구분하는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ID(2804)는 상기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상기 소스 타입(2806)은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소스, 즉, 공유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타입(2806)은 사진, 동영상, 데이터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해상도(2808)는 사진, 동영상 등의 표시의 형태로 소비되는 컨텐츠를 공유 시 데이터의 해상도를 나타낸다. 상기 압축 방식(2810)은 공유되는 데이터가 압축된 경우 압축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축 방식(2810)은 압축 기법, 압축 해제에 필요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상기 도 27과 같은 라이프타임 정보 및 상기 도 28의 (c)와 같은 능력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8의 (b)를 참고하면, 상기 그룹 응답 신호는 타입(2812), 사용자 ID(2814), 해상도 선택(resolution select)(2816), 압축 방식 선택(28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입(2812)은 상기 그룹 요청 신호 및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구분하는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ID(2814)는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상기 해상도 선택(2816)은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가 원하는 해상도를, 상기 압축 방식 선택(2818)은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가 원하는 압축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도 28의 (c)를 참고하면, 능력 정보는 원소 ID(2822), 길이(2824), 지원되는 해상도(2826), 지원되는 압축 방식(28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능력 정보는 능력 IE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능력 정보는 공유의 주체가 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능력을 공유 그룹 내에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지원되는 해상도(2826)는 전자 장치에 현재 설정된 해상도 외 지원 가능한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지원되는 압축 방식(2828)은 지원 가능한 압축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능력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는, 상기 그룹 응답 신호의 해상도 선택(2816) 및 상기 압축 방식 선택(2818)을 통해 원하는 해상도 및 압축 방식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도 28과 같은 제어 정보를 통해, 하기 도 29와 같은 데이터 공유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장치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공유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9를 참고하면, 촬영자의 전자 장치(2910)는 다른 전자 장치들(2951 내지 2954)로 촬영된 이미지 등을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2910)는 전자 장치(2951)의 능력 정보 및 자원 상태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해상도를 1920×1080로 조정하고, 파일 형식을 BMP(BitMaP)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2910)는 전자 장치(2954)의 능력 정보 및 자원 상태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해상도를 720×480로 조정하고, 파일 형식을 JP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로 인코딩할 수 있다. 또는, 동영상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2910)는 상기 전자 장치(2951)로 송신되는 파일의 형식을 MP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로, 상기 전자 장치(2954)로 송신되는 파일의 형식을 AVI(audio video interleaved)로 인코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들을 통해,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다. 데이터 공유를 위해 전자 장치가 데이터를 다른 전자 장치로 송신하나, 언제나 수신이 성공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수신 실패 시, 하기 도 30과 같이 재전송을 위한 UI/UX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UI/UX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30의 (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고, 공유 그룹의 생성을 위한 버튼(3006)을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유 그룹의 생성을 위한 버튼(3006)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공유 그룹 생성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17과 같이 상기 공유 그룹 생성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유 그룹이 생성되면, (b)와 같이, 생성된 공유 그룹에 속한 공유자 수를 나타내는 지시자(3008)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사체의 수 및 공유자의 수를 비교하고,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사체의 수 및 상기 공유자의 수가 일치하면, 사용자는 촬영을 명령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피사체의 수 및 상기 공유자의 수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지시자(3008)을 선택하여, 공유자를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명령 없이, 상기 전자 장치가, 프리뷰 이미지에서의 얼굴 인식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수 및 상기 공유자의 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30의 경우, 본 발명은 상기 피사체의 수 및 상기 공유자의 수가 일치하고, 바로 촬영이 수행됨을 가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공유자들의 전자 장치들로 송신한다. 이때, 공유자 '홍길동'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실패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의 실패 여부는, 데이터에 대한 ACK(Acknowledge)/NACK(Non-ACK) 수신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30의 (c)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는 전송 실패된 공유자의 리스트(3010)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의된 규칙은, 재전송의 수행 여부, 재전송 시점 등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재전송은 상기 데이터 전송의 실패 시 사용된 무선 인터페이스와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초기 전송 및 재전송 시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함으로써, 재전송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결 설정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프타임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라이프타임은 UI/UX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라이프타임을 나타내는 UI/UX는 하기 도 31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공유 시 라이프타임을 표시하는 UI/UX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31을 참고하면, 공유 그룹(3002)내 3개의 전자 장치들이 포함된다. 이때, 라이프타임을 표시하는 UI/UX는 해당 공유 그룹(3002)에 포함되는 공유자들의 목록(3104), 그룹 라이프타임(3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라이프타임(3106)은 시간 및 분을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프타임을 이용하여, 하기 도 32와 같은 방식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라이프타임을 활용한 데이터 공유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3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A(3211), 전자 장치B(3212), 전자 장치C(3213)는 동일한 공유 그룹의 공유자들이다. (a)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A(3211)의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고, (b)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B(3112)의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한다. 이후, (c)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A(3211), 상기 전자 장치B(3212), 상기 전자 장치C(3213)가 상호 간 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공유 그룹의 라이프타임이 만료되기 전이면, 상기 전자 장치A(3211) 및 상기 전자 장치B(3212)는 상기 공유 그룹 내 다른 전자 장치들로 촬영한 이미지를 송신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33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3301단계에서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공유 영역을 결정한다. 상기 공유 영역은 데이터를 공유할 공유자들이 위치한 지리적/물리적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수신되는 광선을 이미지 센서로 인식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카메라의 상기 화각 및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화각을 통해 상기 공유 영역의 각도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통해 상기 공유 영역의 거리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12와 같이 상기 공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3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공유 영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에 수신 가능하고, 상기 공유 영역 외에 위치한 전자 장치에 수신 가능하지 아니하도록, 신호의 송신 전력, 빔폭, 빔 집합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결정된 송신 전력, 빔폭, 빔 집합을 적용하여 탐색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기지국 등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기지국의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정면 방향 간 각도 차이, 상기 화각,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 등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7 또는 상기 도 24와 같이 상기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 및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에 더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보다 정확히 식별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3305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결정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3303단계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들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들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상기 3303단계에서, 상기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330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그룹 결정을 위한 시그널링은 상기 제어 노드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 간 수행되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한다. 나아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시그널링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해 확인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 즉, 공유 그룹에서 사용자의 보정을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자를 추가하거나,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보정은 상기 도 20 또는 상기 도 21과 같은 UX/UI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3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촬영 명령이 상기 데이터 송신 명령으로 해석될 수 있고, 명시적인 데이터 송신 명령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버튼의 누름, 음성, 또는 다양한 센서들로 인식 가능한 전자 장치의 움직임(예: 회전, 떨림, 충격, 특정 패턴의 이동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신에 앞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들과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그룹 결정을 위한 시그널링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거나, 독립적으로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기지국 등의 제어 노드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설정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34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3401단계에서 그룹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데이터 공유를 위한 공유자들의 그룹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이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 또는 기지국과 같은 제어 노드로부터 수신된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공유 그룹의 유효 기간 정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능력에 대한 정보(예: 해상도, 압축 방식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전자 장치는 3403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는 상기 공유 그룹에 참여함을 알리는 신호이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데이터 공유를 지원하는 모드로 동작 중에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소스 장치 또는 상기 제어 노드로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컨텐츠의 형식(예: 해상도, 압축 방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3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소스 장치 또는 상기 제어 노드로부터 수신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는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통해 전달된 컨텐츠의 형식에 따라 가공될 수 있다. 단,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소스 장치에 의해 공유자에서 제외된 경우, 상기 340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노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 노드는 무선 랜의 AP, 셀룰러 망의 기지국과 같은 다중 접속 망에서 다수의 단말들에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상기 도 35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노드는 3501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로부터 공유 영역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공유 영역 관련 정보는, 상기 제어 노드가 상기 공유 영역을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영역 관련 정보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노드를 향한 방향 및 상기 소스 장치의 지향 방향 간 각도 차이, 상기 소스 장치의 화각, 상기 소스 장치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노드는 3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유 영역 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데이터 공유를 위한 그룹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이다. 즉, 상기 제어 노드는 상기 소스 장치의 위치,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공유 영역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노드는 상기 공유 영역 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후보 장치로 선정하고, 상기 그룹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3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그룹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는 상기 그룹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그룹이 참여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프레임이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해상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압축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룹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전자 장치들 중 일부로부터 상기 그룹 응답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기지국은 3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장치로 송신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그룹에 참여할 것을 알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요청 장치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도 35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 노드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36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RF(Radio Frequency)처리부(36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3620), 저장부(3630), 카메라(3640), 입출력부(3650), 제어부(3660)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36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36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36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36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전자 장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36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36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36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는 상기 RF처리부(36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 및 상기 RF처리부(36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 및 상기 RF처리부(36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 및 상기 RF처리부(36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통신 규격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 및 상기 RF처리부(36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630)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3630)는 데이터 공유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공유 관련 정보는 공유 그룹에 속한 공유자들의 정보(예: 식별 정보, 능력 정보 등), 공유 그룹의 라이프타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630)는 상기 제어부(366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3640)는 이미지 센서, 렌즈, 렌즈 구동 장치 등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즉, 상기 카메라(3640)는 이미지 촬영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로서, CCD(charged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3640)는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빛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인식된 이미지를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입출력부(3650)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인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부(3630)는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은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결합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부(36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입력 수단으로서, 물리적인 버튼, 스위치, 다이얼(dial), 스틱(stick)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LED(Flexible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3650)는 이미지 및 그래픽을 표시하므로, '표시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 및 상기 RF처리부(36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저장부(365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36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66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or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3650)는 데이터 공유를 위한 공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공유 영역 내의 다른 전자 장치들로 송신할 신호의 송신 전력, 빔폭, 빔 집합을 결정하는 공유영역 판단부(3662), 공유 그룹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공유그룹 관리부(366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도 1 내지 상기 도 35를 통해 설명된 전자 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366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카메라(3640)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공유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화각을 통해 상기 공유 영역의 각도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통해 상기 공유 영역의 거리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공유 영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에 수신 가능하고, 상기 공유 영역 외에 위치한 전자 장치에 수신 가능하지 아니하도록 결정된, 신호의 송신 전력, 빔폭, 빔 집합을 적용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 및 상기 RF처리부(3610)를 통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3660)는 기지국 등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공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시그널링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해 확인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 즉, 공유 그룹에서 사용자의 보정을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자를 추가하거나, 제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 및 상기 RF처리부(3610)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의 직접 통신 또는 기지국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3620) 및 상기 RF처리부(3610)를 통해 그룹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그룹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그룹 요청 신호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또는 기지국 등의 제어 노드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그룹 응답 신호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또는 기지국 등의 제어 노드로 송신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660)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는 상기 그룹 응답 신호를 통해 전달된 컨텐츠의 형식에 따라 가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다중 접속 망의 제어 노드로 기능하는 기지국 및 AP 등의 장치도, 상기 도 36과 유사하게, 제어부, 통신부,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지국은 백홀 망(backhaul network)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홀 망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백홀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37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안테나부(3702), 무선 송수신부(3704), 카메라 렌즈부(3706), 화각 및 거리측정부(3708), 빔포밍 및 전송전력 제어부(3710), 공유영역 정의부(3712), 프로세서(3714), 공유그룹 생성 및 관리부(3716), UI 모듈(3718), 메모리부(372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부(3702)는 다수의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물리적인 빔 방사 패턴 형성 및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3704)는 무선 통신 기술이 구현된 부분으로서 변복조기, FEC(Forward Error Correction), 고주파 처리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신호를 무선으로 정상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부(3706)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된 빛을 처리하여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며, 자동 초점 기능, 이미지 확대/축소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각 및 거리 측정부(3708)는 현재 뷰 파인더에 표시되는 화각 정보 및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 또는 계산한다. 상기 공유영역 정의부(3710)는 화각 및 피사체거리를 바탕으로 공유를 위한 공유지역을 정의한다. 상기 빔포밍 및 전송전력 제어부(3712)는, 공유 영역에서 공유그룹을 생성할 수 있도록, 빔 및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3714)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스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3714)는 상기 공유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공유 영역 내에서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 및 논리적인 판단, 계산 과정 등을 수행한다. 상기 공유그룹 생성 및 관리부(3716)는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상기 UI 모듈(3718)은, 상기 공유 그룹을 생성 및 관리하는 과정을 사용자 입장에서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된 UI/UX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3720)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38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AP(3810), 통신 모듈(38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3824), 메모리(3830), 센서 모듈(3840), 입력 장치(3850), 디스플레이(3860), 인터페이스(3870), 오디오 모듈(3880), 카메라 모듈(3891), 전력관리 모듈(3895), 배터리(3896), 인디케이터(3897) 및 모터(38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3810)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38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38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38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820)(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3820)은 셀룰러 모듈(3821, Wifi 모듈(3823), BT 모듈(3825), GPS 모듈(3827), NFC 모듈(3828) 및 RF 모듈(382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38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38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38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3821)은 상기 AP(38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모듈(38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3821)은 C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38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6에서는 상기 셀룰러 모듈(3821)(예: CP), 상기 메모리(3830) 또는 상기 전력관리 모듈(3895)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381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3810)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38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38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3821)(예: CP)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38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38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3823), 상기 BT 모듈(3825), 상기 GPS 모듈(3827) 또는 상기 NFC 모듈(38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6에서는 셀룰러 모듈(3821), Wifi 모듈(3823), BT 모듈(3825), GPS 모듈(3827) 또는 NFC 모듈(38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821), Wifi 모듈(3823), BT 모듈(3825), GPS 모듈(3827) 또는 NFC 모듈(38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3821), Wifi 모듈(3823), BT 모듈(3825), GPS 모듈(3827) 또는 NFC 모듈(38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3821)에 대응하는 CP 및 Wifi 모듈(38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3829)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3829)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3829)는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6에서는 셀룰러 모듈(3821), Wifi 모듈(3823), BT 모듈(3825), GPS 모듈(3827) 및 NFC 모듈(3828)이 하나의 RF 모듈(3829)을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821), Wifi 모듈(3823), BT 모듈(3825), GPS 모듈(3827) 또는 NFC 모듈(38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38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38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830)는 내장 메모리(3832) 또는 외장 메모리(38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38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38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38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38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38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38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3840)A, 자이로 센서(3840)B, 기압 센서(3840)C, 마그네틱 센서(3840)D, 가속도 센서(3840)E, 그립 센서(3840)F, 근접 센서(3840)G, color 센서(38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3840)I, 온/습도 센서(3840)J, 조도 센서(38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38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38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38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38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38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3854, 키(key)(38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38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8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38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38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38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38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38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38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에서 마이크(예: 마이크(38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382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860)은 패널(3862), 홀로그램 장치(3864 또는 프로젝터(38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38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38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3862)은 상기 터치 패널(38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38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38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3860)은 상기 패널(3862), 상기 홀로그램 장치(3864), 또는 프로젝터(38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38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3872), USB(universal serial bus)(38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3876) 또는 D-sub(D-subminiature)(38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38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38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3880)은, 예를 들면, 스피커(3882), 리시버(3884), 이어폰(3886) 또는 마이크(38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38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3895)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38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38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896)는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8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3897)는 상기 전자 장치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38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38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도 39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장치 발견 프로토콜(device discovery protocol)(3951), 기능 교환 프로토콜(capability exchange protocol)(3953), 네트워크 프로토콜(network protocol)(3955)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application protocol)(39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3951)은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3910) 또는 전자 장치(3930)이 자신과 통신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를 감지하거나 감지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910)은,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3951)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3910)에서 사용 가능한 통신 방법(예: Wifi, BT 또는 USB 등)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3910)와 통신 가능한 기기(device)로, 전자 장치(3930)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910)는, 상기 전자 장치(3930)과의 통신 연결을 위해,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3951)을 이용하여, 감지된 전자 장치(393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910)는, 예를 들면, 적어도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3930)와의 통신 연결을 개설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3951)은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910)는 적어도 전자 장치(3930)와 연결을 위한 통신 정보(예: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SSID(subsystem identification), IP(internet protocol) address)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3910)와 상기 전자 장치(3930) 간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 교환 프로토콜(3953)은 전자 장치(3910) 또는 전자 장치(39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910) 및 전자 장치(3930)은 상기 기능 교환 프로토콜(3953)을 통하여, 각각이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교환 가능한 정보는 전자 장치(3910) 및 전자 장치(3930)에서 지원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들 중에서 특정 서비스를 가리키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910)는 상기 기능 교환 프로토콜(3953)을 통해 전자 장치(3930)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393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3910)는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3910)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3955)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3910), 전자 장치(3930) 간에, 예컨대, 서비스를 연동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송수신 되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910) 또는 전자 장치(39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3955)을 이용하여, 오류 제어, 또는 데이터 품질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3955)은 전자 장치(3910)와 전자 장치(393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3910) 또는 전자 장치(39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3955)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세션(session)을 관리(예: 세션 연결 또는 세션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3957)은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절차 또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9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3957)을 통해 전자 장치(3930)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표준 통신 프로토콜, 개인 또는 단체에서 지정한 통신 프로토콜(예: 통신 장치 제조 업체 또는 네트워크 공급 업체 등에서 자체적으로 지정한 통신 프로토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진 촬영을 예로 들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사진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능 및 렌즈를 통한 이미지 획득 기능을 구비한 모든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스마트 폰, 랩탑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는 물론, 안경(glasses), 시계(watch) 등의 형태를 가진 웨어러블(wearable) 장치에 의해서도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의 경우, 안구 이동(eyeball mevement) 추적(tracking) 기술을 적용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예: 그룹 생성 요청 등)을 용이하게 인식하고, 상술한 실시 예들을 실시할 수 있다. 또는, 버튼을 통한 명령 입력, 음성을 통한 명령 입력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 WPAN(Wireless P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8)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 중 하나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가 위치한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화각의 범위에 속하는 지향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거리에 따른 요구 수신 전력을 만족하는 최소 송신 전력 및 최대 빔폭을 적용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은,
    기지국으로, 상기 기지국을 향한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지향 방향 간 각도 차이, 상기 화각, 상기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에 참여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그룹의 유효 기간 정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해상도 정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압축 방식 정보, 연결 설정을 요청함을 알리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통해 피사체의 수가 변경되면, 상기 요청 신호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에 참여함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해상도 정보,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압축 방식 정보, 연결 설정을 수락함을 알리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을 설정(establishment)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은,
    응답 신호를 송신한 다른 전자 장치들 중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외된 전자 장치 외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그룹의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형식으로 가공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및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의 생성을 명령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 중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신을 실패한 전자 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신을 실패한 전자 장치로, 초기 전송 시 사용된 인터페이스와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에 참여함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들의 수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에 참여함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는,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들 각각을 공유자에서 제외하기 위한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각도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다중 접속 망에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제어 노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전자 장치의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로 특정되는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영역 내 위치하는 제2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제1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노드를 향한 방향 및 상기 제1전자 장치의 지향 방향 간 각도 차이, 상기 제1전자 장치의 화각, 상기 제1전자 장치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에 참여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에 참여함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그룹의 유효 기간 정보, 상기 제1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해상도 정보, 상기 제1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압축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제2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해상도 정보, 상기 제2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압축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전자 장치에 있어서,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 중 하나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가 위치한 영역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화각의 범위에 속하는 지향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거리에 따른 요구 수신 전력을 만족하는 최소 송신 전력 및 최대 빔폭을 적용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기지국으로, 상기 기지국을 향한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지향 방향 간 각도 차이, 상기 화각, 상기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에 참여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그룹의 유효 기간 정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해상도 정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압축 방식 정보, 연결 설정을 요청함을 알리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통해 피사체의 수가 변경되면, 상기 요청 신호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해상도 정보,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압축 방식 정보, 연결 설정을 수락함을 알리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을 설정(establishment)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다른 전자 장치들 중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외된 전자 장치 외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그룹의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형식으로 가공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및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의 생성을 명령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 중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신을 실패한 전자 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신을 실패한 전자 장치로, 초기 전송 시 사용된 인터페이스와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에 참여함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들의 수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에 참여함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는,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들 각각을 공유자에서 제외하기 위한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각도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다중 접속 망에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제어 노드 장치에 있어서,
    제1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전자 장치의 카메라의 화각 및 피사체와의 거리로 특정되는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영역 내 위치하는 제2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제1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노드를 향한 방향 및 상기 제1전자 장치의 지향 방향 간 각도 차이, 상기 제1전자 장치의 화각, 상기 제1전자 장치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에 참여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에 참여함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그룹의 유효 기간 정보, 상기 제1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해상도 정보, 상기 제1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압축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제2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해상도 정보, 상기 제2전자 장치에서 요청하는 압축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40108429A 2014-08-20 2014-08-20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2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29A KR102226820B1 (ko) 2014-08-20 2014-08-20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201580054529.4A CN106797543B (zh) 2014-08-20 2015-08-20 数据共享方法和用于其的电子设备
PCT/KR2015/008679 WO2016028093A2 (ko) 2014-08-20 2015-08-20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5/505,234 US10748005B2 (en) 2014-08-20 2015-08-20 Data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15833464.9A EP3185594B1 (en) 2014-08-20 2015-08-20 Data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29A KR102226820B1 (ko) 2014-08-20 2014-08-20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30A true KR20160022630A (ko) 2016-03-02
KR102226820B1 KR102226820B1 (ko) 2021-03-11

Family

ID=5535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429A KR102226820B1 (ko) 2014-08-20 2014-08-20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48005B2 (ko)
EP (1) EP3185594B1 (ko)
KR (1) KR102226820B1 (ko)
CN (1) CN106797543B (ko)
WO (1) WO201602809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34A1 (ko) * 2020-07-16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전송 방법
WO2022097892A1 (ko) * 2020-11-04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공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3049B (zh) * 2016-01-18 2017-12-22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共享无线接入点的方法、设备、系统和存储介质
JP7271179B2 (ja) 2016-05-12 2023-05-11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mWAVEワイヤレス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ビームフォーミング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334515B2 (en) 2017-01-13 2019-06-25 ENK Wireless, Inc. Conveying information via auxiliary device selection
US10820034B2 (en) 2017-05-26 2020-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viding streaming video from mobile computing nodes
US10749920B2 (en) 2017-06-09 2020-08-1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onitoring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quipped therewith
WO2019037041A1 (en) * 2017-08-24 2019-02-2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INTELLIGENT DEVICE OF INCREASED REALITY FOR RECOGNIZING EACH DEVICE OF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TWI669976B (zh) * 2018-10-08 2019-08-2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系統及方法
CN109617947A (zh) * 2018-11-07 2019-04-12 重庆光电信息研究院有限公司 依管理类别设置的城市异源物联网边缘计算系统及方法
CN109587641B (zh) * 2018-11-30 2020-11-03 武汉科技大学 移动智能设备中基于用户匹配的数据流量共享方法
CN110164345A (zh) * 2019-06-06 2019-08-23 深圳市福瑞达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fpga的旋转显示装置及拼接系统
CN110111728A (zh) * 2019-06-06 2019-08-09 深圳市福瑞达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超高频通信的风扇屏显示系统
CN115868182A (zh) * 2020-07-15 2023-03-28 高通股份有限公司 实施经由无线传输共享的信息的射程可靠性
US11671892B2 (en) * 2021-05-12 2023-06-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target cells for aerial equipment communicating over a terrestrial network
CN115209191A (zh) * 2022-06-14 2022-10-1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终端设备和设备间共享摄像头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5380A (ja) * 2009-12-24 2011-07-07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撮像装置、画像共有方法および画像共有プログラム
JP2011155385A (ja) * 2010-01-26 2011-08-11 Sony Corp 電子機器、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35282A (ja) * 2011-04-28 2012-11-29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撮像データ共有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3211742A (ja) * 2012-03-30 2013-10-10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3005A (ja) 1988-10-12 1990-04-16 Minolta Camera Co Ltd 測距範囲可変装置
US8275397B2 (en) * 2005-07-14 2012-09-25 Huston Charles D GPS based friend loca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458753B2 (en) * 2006-02-27 2013-06-04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capabilities discovery and utilization within a content-based network
WO2008029803A1 (fr) * 2006-09-04 2008-03-13 Nikon Corporation Système de partage de vidéo, système de support d'imagerie et caméra
JP2008158583A (ja) * 2006-12-20 2008-07-10 Hitachi Software Eng Co Ltd 画像関連情報表示システム
TWI351224B (en) * 2006-12-28 2011-10-21 Pixart Imaging Inc Cursor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4845817B2 (ja) * 2007-06-14 2011-12-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レンズユニット,撮像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512322B1 (ko) * 2008-06-04 2015-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상 공유를 위한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US8909810B2 (en) 2008-08-05 2014-12-09 Isabella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edia content sharing
JP5376874B2 (ja) * 2008-09-05 2013-12-25 任天堂株式会社 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8825034B2 (en) * 2008-09-17 2014-09-02 Amdocs Software System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computer as a bridge for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a cellular device and a computer network
KR20110063776A (ko) * 2008-09-26 2011-06-14 쿄세라 코포레이션 액세스 포인트, 무선 통신 단말, 및 서버
JP5148542B2 (ja) * 2009-03-31 2013-02-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共有システム、共有データ管理装置、共有データ管理装置の制御方法
GB201014842D0 (en) 2010-09-08 2010-10-20 Zappware Nv Media content sharing
US8824964B2 (en) * 2010-12-08 2014-09-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for proximity based ad-hoc data sharing across devices with intuitive interfaces
FR2971657A1 (fr) 2011-02-11 2012-08-17 Alcatel Lucent Determination d'objets reels actifs pour mise en œuvre d'une application logicielle
CN102110370A (zh) * 2011-02-28 2011-06-29 保定维特瑞交通设施工程有限责任公司 利用摄像机等距拍照的车辆测速方法
US9344707B2 (en) * 2011-06-29 2016-05-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babilistic and constraint based articulated model fitting
US9342817B2 (en) * 2011-07-07 2016-05-1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Auto-creating groups for sharing photos
KR101784523B1 (ko) * 2011-07-28 2017-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US10089327B2 (en) 2011-08-18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Smart camera for sharing pictures automatically
EP2600316A1 (en) * 2011-11-29 2013-06-05 Inria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n Informatique et en Automatique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gram for shooting and editing a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image of a 3D computer-generated animation
US20140223028A1 (en) * 2011-12-30 2014-08-07 Paul J. Peng Sharing Data Among Smart Devices and a Cloud Network
US9563265B2 (en) * 2012-01-12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Augmented reality with sound and geometric analysis
KR101984823B1 (ko) * 2012-04-26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에 주석을 부가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1475323B1 (ko) * 2012-05-03 2014-12-23 (주)티아이스퀘어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3184744A2 (en) * 2012-06-05 2013-12-12 Nike International Ltd. Multi-activity platform and interface
US20130332156A1 (en) * 2012-06-11 2013-12-12 Apple Inc. Sensor Fusion to Improve Speech/Audio Processing in a Mobile Device
KR101901919B1 (ko) * 2012-08-27 2018-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메신저 영상 서비스 운용 방법
TWI645718B (zh) * 2013-01-11 2018-12-21 新力股份有限公司 電子機器,資料區塊之送訊方法,送訊訊號之內容決定方法及收送訊系統
CN105229720B (zh) * 2013-05-21 2018-05-15 索尼公司 显示控制装置、显示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WO2014188583A1 (ja) * 2013-05-24 2014-11-2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KR102067057B1 (ko) * 2013-07-24 2020-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1997454B1 (ko) * 2013-07-31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JP2015041323A (ja) * 2013-08-23 2015-03-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処理装置
KR102008458B1 (ko) * 2013-08-30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의 무선 기기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1904951B1 (ko) * 2013-11-13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셀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2171178B1 (ko) * 2013-12-11 2020-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 방법 및 장치
JP6635382B2 (ja) * 2013-12-25 2020-01-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及び画像出力システム
US9426568B2 (en) * 2014-04-15 2016-08-2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an audio output from a target source
KR102124483B1 (ko) * 2014-05-12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히클 및 그 제어 방법
EP3153976A4 (en) * 2014-06-03 2018-01-3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hotographing device, image sha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70000686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거리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5380A (ja) * 2009-12-24 2011-07-07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撮像装置、画像共有方法および画像共有プログラム
JP2011155385A (ja) * 2010-01-26 2011-08-11 Sony Corp 電子機器、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35282A (ja) * 2011-04-28 2012-11-29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撮像データ共有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3211742A (ja) * 2012-03-30 2013-10-10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34A1 (ko) * 2020-07-16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전송 방법
WO2022097892A1 (ko) * 2020-11-04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공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820B1 (ko) 2021-03-11
CN106797543B (zh) 2020-08-28
WO2016028093A2 (ko) 2016-02-25
EP3185594A4 (en) 2018-03-07
EP3185594B1 (en) 2020-04-01
US10748005B2 (en) 2020-08-18
EP3185594A2 (en) 2017-06-28
CN106797543A (zh) 2017-05-31
US20180218220A1 (en) 2018-08-02
WO2016028093A3 (ko)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820B1 (ko)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225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US10587847B2 (en) Content capture and transmission of data of a subject to a target device
CN110719584B (zh) 近距离传输信息的方法和电子设备
US945152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3423106B (zh) 移动网络热点的共享方法、装置和热点共享设备
US1006399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mediating wireless communications for external apparatus
JP6755081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503734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089279A1 (zh) 一种设备方位调整的方法和终端设备
WO2021197354A1 (zh) 一种设备的定位方法及相关装置
KR1020366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28503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89515A1 (zh) 双Wi-Fi连接方法及电子设备
CN115250428A (zh) 一种定位方法和装置
US10798540B2 (en) Inform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JP2017103650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7103552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47329A1 (en) Wi-fi access method and related device
US11178343B2 (en) Combining images from different devices according to a determined wipe shape
JP2018011269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367123A (zh) 基于Wi-Fi P2P的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