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311A -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 Google Patents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311A
KR20160021311A KR1020140105339A KR20140105339A KR20160021311A KR 20160021311 A KR20160021311 A KR 20160021311A KR 1020140105339 A KR1020140105339 A KR 1020140105339A KR 20140105339 A KR20140105339 A KR 20140105339A KR 20160021311 A KR20160021311 A KR 20160021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search
suppl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654B1 (ko
Inventor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주)폭스앤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폭스앤플래닛 filed Critical (주)폭스앤플래닛
Priority to KR102014010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6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4Graphs; Linked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문업체와 납품업체를 중개해서, 주문업체가 기획하는 화장품을 최고의 품질과 최적의 가격 조건으로 납품할 수 있는 납품업체를 손쉽게 선별해 안내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최적의 ODM 산업방식을 실현하는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성분DB와,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화장품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처리모듈과, 상기 검색처리모듈에 검색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입력하고 검색된 화장품 정보를 출력시키는 직접조합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협업 중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성분DB는 납품업체의 정보와, 상기 납품업체가 등록한 화장품별로 구성 성분들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해서 저장하고; 상기 검색처리모듈은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이 입력한 화장품 성분의 조합 화장품과 납품업체 정보를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검색해서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에 전달하되,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화장품 성분을 분류별로 검색해서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은 상기 검색처리모듈로부터 분류별로 전달된 화장품 성분을 분류별로 출력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화장품 성분으로 조합된 화장품과 납품업체의 정보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INTERMEDIATION SYSTEM FOR COSMETIC BUSINESS BASED ODM}
본 발명은 주문업체와 납품업체를 중개해서, 주문업체가 기획하는 화장품을 최고의 품질과 최적의 가격 조건으로 납품할 수 있는 납품업체를 손쉽게 선별해 안내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최적의 ODM 산업방식을 실현하는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술력이 없는 유통업체 또는 제조와 개발력은 있으나 영업망이 부족한 제조업체 등은 자신들의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서 상대 업체들을 찾아 계약해서, 특정 상품의 판매를 위한 개발,제조,유통을 협업한다. 이러한 산업방식을 대표적으로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이라고 한다. 여기서, ODM은 주문자가 제조자에게 자사 제품의 생산을 위탁하면 제조자는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해서 납품하고, 주문자는 납품된 제품을 유통하고 판매하는 공지,공용의 산업 구조이다. 참고로, 최근들어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자사의 부족한 유통망 또는 부족한 제조,개발력을 보완하는 co-work 기술이라는 점에서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들도 선호하는 산업방식이다.
한편, 화장품 관련 사업분야에서 OEM-ODM 산업이 지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 전체 화장품 시장이 한 자릿수 성장에 주춤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화장품 OEM-ODM 분야는 평균 10%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추산한다.
2000년대 초반 이후 브랜드샵 성장과 대형 유통업체의 화장품 산업 진입 등에 힘입어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평가된다. 90년대 말 IMF 구제금융 위기 이후 기업들이 체질개선에 나서면서 전문 영역이 세분화된 것도 한 몫했다. 여기서 뷰티 한류를 이끌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도 국내 화장품 OEM-ODM 산업이었다는 평가다.
이 같은 요소들이 맞물려 국내 화장품 OEM-ODM 시장 규모도 1조원 대로 커졌다. 전체 화장품 시장의 10% 대의 비중으로 올라선 것이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국내 OEM-ODM 시장규모는 전체 화장품 시장의 5% 대의 비중에 머물렀다. 브랜드샵이 본격적으로 성장한 2000년대 중반 이전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비중이 높아진 셈이다. 더욱이, 소비자 가격으로 환산하면 전체 시장의 절반 가까운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실제 소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이보다 더 큰 것으로 예상한다. 그만큼 OEM-ODM 산업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편, 화장품 분야에서 OEM-ODM 산업이 성장하면서 중,소규모의 제조개발업체가 우후죽순처럼 새롭게 설립되었고, 고기능의 새로운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맞춰서 유통업체 또한 수많은 제조개발업체들 중에서 필요한 제품을 납품할 수 있는 업체를 선별해 찾아야 하는 고됨이 증가하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통업체는 소비자들의 소비성향과 현재 트랜드를 고려해서 새로운 제품을 기획하고 예산 등을 편성한다. 그런데, 제품을 기획하고 예산을 편성한 이후 이에 맞는 제조개발업체를 찾기 위해서는 담당자가 직접 제조개발업체에 일일이 방문해서 확인해야 하고, 납품비용을 협상해서 상기 기획에 맞추어야 했다. 즉, 담당자는 직접 발로 뛰며 수많은 제조개발업체를 찾아다녀야 했고, 비용을 협상해서 예산에 맞추지 못하면 다시 다른 제조개발업체를 다니면서 협상을 진행해야 했으며, 출하시기에도 맞춰서 업무를 진행해야 업무부담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화장품 사업의 종래 ODM 산업은 담당자의 업무 강도를 높이며 시간을 불필요하게 소비하게 하는 비효율성이 있었고, 화장품 납품이 가능한 최적의 제조개발업체를 찾는데도 무리가 있었다.
더불어, 제조개발업체도 다른 제조개발업체와 차별화된 자사의 업무특성과 능력 등을 유통업체에 충분히 홍보할 수 없어서, 고가치의 제조,생산능력을 갖추고도 시장에서 도태되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7217호(2006.08.02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유통업체는 기획한 제품을 최고의 품질과 최적의 가격조건으로 납품받아 판매하고, 제조개발업체는 자사의 개발 성과를 충분히 홍보해서 고가치 기술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품성분DB와,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화장품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처리모듈과, 상기 검색처리모듈에 검색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입력하고 검색된 화장품 정보를 출력시키는 직접조합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협업 중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성분DB는 납품업체의 정보와, 상기 납품업체가 등록한 화장품별로 구성 성분들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해서 저장하고;
상기 검색처리모듈은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이 입력한 화장품 성분의 조합 화장품과 납품업체 정보를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검색해서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에 전달하되,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화장품 성분을 분류별로 검색해서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은 상기 검색처리모듈로부터 분류별로 전달된 화장품 성분을 분류별로 출력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화장품 성분으로 조합된 화장품과 납품업체의 정보를 출력시키는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자사가 기획한 화장품을 납품할 납품업체를 손쉽게 검색 및 선별해서 ODM 산업방식의 CO-WORK 상대로 선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단시간에 최고의 품질과 최적의 생산비용으로 제품을 완성에서 기획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납품업체는 자사에서 개발한 화장품을 주문업체에 손쉽게 홍보해서 활용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고품질의 화장품이 사장되는 불합리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통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을 기반으로 주문업체와 납품업체 간의 중개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제1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제2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제3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다른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을 기반으로 주문업체와 납품업체 간의 중개가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제4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통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은 유통업체인 주문업체와 제조개발업체인 납품업체를 중개해서, 주문업체가 기획하는 화장품을 최고의 품질과 최적의 가격으로 제조해 납품할 수 있는 납품업체를 손쉽게 선별해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중개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주문업체에게 제공해야 하는 납품업체의 관련 정보를 수집해서 DB화해야 하고, 주문업체는 수집된 납품업체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이 전술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납품업체 정보를 보관하며 관련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서버(100)와, 서버(100)에 접속해서 납품업체 정보를 검색하는 클라이언트(200)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은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로 반드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200)에서 납품업체 정보를 저장하면서 검색하는 등의 일체의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납품업체 정보와 화장품 성분 정보를 저장하며 업데이트하고, 클라이언트(200)의 요청데이터에 따라 해당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를 위한 서버(100)는 화장품을 개발, 제조 및 납품하는 납품업체에 대한 정보와 화장품 성분 정보를 저장하는 화장품성분DB(110)와, 클라이언트(200)에서 요청한 요청데이터에 따라 화장품성분DB(110)에 저장된 관련 납품업체정보를 검색하고 지정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검색처리모듈(150)로 구성된다.
더 나아가 서버(100)는 화장품을 기획해서 유통하는 주문업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문업체DB(120)를 더 포함해서, 서버(100)에 접속하는 납품업체의 클라이언트(200)가 주문업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서버(100)는 주문업체와 납품업체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해당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회원으로 등록한 주문업체와 납품업체의 각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130)와, 로그인 접속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모듈(160)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에서 전송된 조합정보의 유해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조합정보를 검토하는 조합검토모듈(180)과, 화장품 성분 조합의 여부에 대한 분석정보를 저장하면서 상기 조합정보에 대응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분석정보DB(140)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서버(100)는 DB(110, 120, 130, 140)의 정보들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모듈(170)을 더 포함한다.
클라이언트(200)는 납품업체 또는 주문업체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통신 단말기의 '설치 앱(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서버(100)에 접속해서 납품업체 또는 주문업체가 조작해 생성한 요청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는 기능과, 서버(100)의 검색데이터를 수신해서 이를 처리해 출력하는 기능을 갖춘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온라인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태블릿PC, 일반 컴퓨터 등 다양할 수 있다.
계속해서, 설치 앱 타입의 클라이언트(200)는 단말기의 OS 및 통신수단과 연동해서 서버(100)와 통신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앱의 기능이므로, 여기서는 클라이언트(200)가 OS 및 통신수단과 연동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클라이언트(200)는 접속한 서버(100)에서 검색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관련 창을 출력하고, 요청데이터를 전송하며, 검색데이터를 수신하는 입출력 처리모듈(240)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클라이언트(100)는 화장품의 타입과 성분을 제시하고, 선택된 성분들을 조합해서 조합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조합정보를 요청데이터로 서버(100)에 전송하는 직접조합 처리모듈(210)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클라이언트(100)는 화장품의 타입을 제시하고, 선택된 화장품의 타입에 따라 임의의 화장품 성분들을 자동 조합해서 조합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조합정보를 요청데이터로 서버(100)에 전송하는 자동조합 처리모듈(260)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클라이언트(100)는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로그인모듈(220)과, 로그인한 주문업체가 이전에 조합했던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고 서버(100)의 검색데이터를 수신해서 출력시키는 이력정보모듈(230)을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아래의 동작설명과 더불어 상세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을 기반으로 주문업체와 납품업체 간의 중개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플로차트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10; 로그인 단계
주문업체 또는 납품업체는 서버(100)에 접속하고, 본인 인증 등을 위해서 통상적인 로그인 절차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서 로그인모듈(220)은 도 4(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제1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입출력 처리모듈(240)을 통해서 납품업체 또는 주문업체의 ID와 PW 입력을 위한 로그인 창을 출력시킨다.
상기 로그인 창에 ID와 PW가 입력되면, 로그인모듈(220)은 ID와 PW에 대한 로그인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고, 인증모듈(160)은 상기 로그인정보를 회원정보DB(130)에서 검색해서 로그인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로그인 과정은 통상의 인증절차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클라이언트(200)가 서버(100)에 접속해서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전제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클라이언트(200)는 로그인 없이 납품업체 또는 주문업체에 대한 정보 검색 서비스와, 화장품 성분 조합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S11; 메뉴선택단계
납품업체 또는 주문업체가 로그인하면, 입출력 처리모듈(240)은 납품업체 또는 주문업체에 제공할 서비스 메뉴를 출력해서 납품업체 또는 주문업체가 후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화장품 성분 조합 서비스는 주문업체가 주로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주문업체를 클라이언트(200)의 사용자로 하고 설명한다.
주문업체는 도 4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200)에 출력되는 메뉴를 확인하고 하나를 선택해 클릭한다. 예시된 메뉴는 '나의 조합상품 이력', '자동 조합', '새로운 나의 상품'인데, 이외에도 클라이언트(200)가 제공하는 메뉴는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메뉴의 명칭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문업체는 그동안 조합했던 화장품을 이력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상기 메뉴 중 '나의 조합상품 이력'을 선택해 클릭한다.
주문업체는 새로 기획한 화장품과 관련해서 사전 지식이 없거나 샘플 등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조합 가능한 화장품 성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메뉴 중 중계시스템이 화장품 성분을 자동으로 조합해 생성하는 서비스 메뉴인 '자동 조합'을 선택해 클릭한다.
주문업체는 새로 기획한 화장품을 개발, 제조 및 납품할 수 있는 납품업체를 검색하기 위해서 '새로운 나의 상품'을 선택해 클릭한다.
각 메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한다.
S12,13; 이력 제공을 위한 회원정보 검색단계
주문업체가 '나의 조합상품 이력'을 선택하면 이력정보모듈(230)은 관련 요청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데이터는 입출력 처리모듈(240)을 통해서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100)는 상기 요청데이터를 수신하면 검색처리모듈(150)은 회원정보DB(130)를 검색해서 해당 납품업체에 대한 회원정보인 이력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이력정보는 주문업체가 조합했던 화장품 성분의 조합 이력에 관한 것으로서, 도 4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화장품 성분 조합의 명칭과 조합날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검색처리모듈(150)이 검색을 완료하면 해당 검색데이터를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한다.
S14; 이력정보 출력단계
상기 검색데이터를 수신한 이력정보모듈(230)은 상기 검색데이터에 포함된 이력정보를 도 4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200)가 설치된 단말기에 출력시킨다. 납품업체는 이렇게 출력된 이력을 보면서 후속 화장품 기획에 참고할 수 있다.
참고로, 리스트 형태로 출력된 이력정보 중 하나를 선택해 클릭하면, 도 4의 (c)도면에서 게시한 내용(명칭, 일자) 이외에 구체적인 화장품 성분 조합과 납품업체 정보 및 납품단가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c)도면에서 보인 내용은 이력정보에 대한 일실시 예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S15; 종료 여부 확인단계
클라이언트(200)는 이력정보 서비스를 완료하고 시스템 종료를 주문업체에 질의할 수 있다. 질의결과 주문업체가 종료를 선택하면 시스템을 종료하고, 주문업체가 다른 메뉴를 선택하면 메뉴선택단계(S11)를 반복한다.
S21,S22; 자동조합 선택을 통한 화장품 타입 선택단계
주문업체가 '자동 조합'을 선택하면 자동조합 처리모듈(260)은 도 5(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제2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의 (a)도면에서 보인 화장품 타입에 대한 메뉴를 출력한다. 주문업체는 클라이언트(200)가 단말기에 출력한 메뉴를 확인해서 기획한 또는 기획할 화장품의 타입을 선택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화장품 타입으로 CREAM, GEL, LOTION, STICK을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타입이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계속해서, 주문업체가 예시된 화장품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화장품 타입을 포함하는 요청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데이터는 입출력 처리모듈(240)을 통해서 서버(100)로 전송한다.
S24; 자동조합단계
서버(100)가 상기 요청데이터를 수신하면, 검색처리모듈(150)은 선택된 화장품 타입에 해당하는 관련 화장품 성분을 화장품성분DB(11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화장품 성분을 무작위로 선별해서 이를 조합하며, 이렇게 조합해 완성한 조합정보는 검색데이터로 해서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화장품성분DB(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납품업체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납품업체 정보는 납품업체가 자신이 개발한 화장품 성분 조합들을 서버(100)에 등록한 것으로서, 상기 화장품 성분 조합에 대해 납품단가를 링크해 저장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화장품성분DB(110)는 납품업체가 등록한 화장품 성분 조합에 구성된 화장품 성분들을 요소 단위로 분류해 관리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완성 화장품에 구성된 화장품 성분은 크게 베이스 요소와 액티브 요소와 보강 요소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납품업체가 자사의 화장품 성분 조합을 등록하면, 화장품성분DB(110)는 상기 화장품 성분 조합에서 베이스부는 베이스 요소로 분류해 등록하고, 액티브부는 액티브 요소로 분류해 등록하며, 보강부는 보강 요소로 분류해 등록한다. 참고로, 베이스 요소는 화장품의 기본을 이루는 성분으로서, 물, 보습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액티부 요소는 베이스 요소의 강화를 위해 추가되는 성분으로서, Ascorbic Acid 19%, SOLVENT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요소는 다른 화장품과의 차별화를 위해서 특화되는 성분으로서, Phroletin, Alpha Lipoic Acid, Coenzyme Q10, Folic Acid, Cobalamin, Linoletic Acid, Riboflavin 등일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화장품 성분의 분류와 그 예시는 화장품의 상태 및 재질과 기능적 특성 등을 기준으로 요소들을 분류한 것인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이며, 이외에도 분류 기준은 다양할 수 있고, 각 분류에 해당하는 화장품 성분 또한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계속해서, 화장품성분DB(110)는 납품업체가 등록한 화장품 성분 조합을 화장품 타입별로 분류해 관리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장품 타입은 도 5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CREAM, GEL, LOTION, STICK 등이 있고, 이외에도 EMULSION, SERUM 등이 더 분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화장품의 용도와 성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이렇게 분류한 화장품 타입에 따라서 상기 화장품 성분 조합에 구성된 화장품 성분들을 분류하고 이를 등록한다.
결국 검색처리모듈(150)은 주문업체가 선택한 화장품 타입에 따라 해당하는 화장품 성분들을 서로 무작위로 조합하고, 이를 통해서 화장품 구성을 위한 조합을 완성한다.
참고로, 전술한 화장품 타입의 분류와 그 예시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이며, 이외에도 화장품 타입의 분류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S25; 조합검토단계
검색처리모듈(150)이 화장품 성분의 조합정보를 완성하면, 조합검토모듈(180)은 분석정보DB(140)를 검색해서 상기 조합정보에 대한 유해성 여부를 확인한다.
분석정보DB(140)는 화장품 성분들 중 기피 대상인 화장품 성분의 정보, 피부에 유해한 조합의 정보, 피부에 유익한 최적의 조합 정보 등을 저장하므로, 조합검토모듈(180)이 제시하는 상기 조합정보를 기초로 관련 정보를 검색해서 유해 또는 유익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분석정보DB(140)가 저장한 분석정보는 실제 사례 등에 의한 정보, 연구에 의한 확인 정보 등 다양할 수 있고, 해당 정보들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6; 재조합 여부 확인단계
검색처리모듈(150)은 조합검토모듈(180)이 확인한 검토정보와 함께 해당 조합정보에 대한 검색데이터를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200)의 자동조합 처리모듈(260)은 입출력 처리모듈(240)을 통해 상기 검색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5의 (b)도면은 자동조합 처리모듈(260)이 출력한 조합정보와 검토정보를 예시한 것으로, 주문업체는 단말기에 출력되는 상기 조합정보와 검토정보를 보고 화장품 기획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5의 (b)도면에서 보인 안내문구와 안내형식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이며, 이외에도 안내문구와 안내형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특히 조합정보와 검토정보는 예시한 내용보다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게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주문업체는 자동조합 처리모듈(260)의 안내 내용을 확인해서, 검토결과에 만족하면 '확인' 버튼을 클릭해서 후속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고, 검토결과가 좋지 못하거나 기획한 화장품과는 차이가 있으면 '다시' 버튼을 클릭해서 재조합을 신청할 수 있다.
자동조합 처리모듈(260)은 재조합 신청에 대한 입력신호를 확인하면, 주문업체가 타입선택단계(S22)에서 선택했던 화장품 타입으로 재조합이 이루어지도록 검색처리모듈(150)에 요청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요청데이터를 수신한 검색처리모듈(150)의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S27; 관련 납품업체 정보 출력단계
주문업체가 만족의 의사인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입출력 처리모듈(240)은 상기 조합정보에 포함된 화장품 성분 조합을 등록한 납품업체를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요청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고, 검색처리모듈(150)은 화장품성분DB(110)에서 상기 화장품 성분 조합을 등록한 납품업체를 검색해서 관련 리스트에 대한 검색데이터를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한다.
입출력 처리모듈(240)은 수신된 상기 검색데이터를 확인해서 도 5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단말기에 게시되도록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납품업체는 납품업체를 등록할 때 화장품 성분 조합별 납품단가를 추가해 등록할 수 있고, 주문업체가 이를 참고하도록 검색결과에 납품단가를 함께 기재할 수 있다.
한편, 주문업체는 단말기에 출력된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납품업체의 상세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화장품 성분의 자동 조합 서비스가 완료되면, 중개시스템의 종료는 질의하는 종료 여부 확인단계(S15)를 수행한다.
S31,S32; 직접조합 선택을 통한 화장품 타입 선택단계
주문업체가 '새로운 나의 상품'을 선택하면 직접조합 처리모듈(210)은 도 5의 (a)도면에서 보인 화장품 타입에 대한 메뉴를 출력한다.
화장품 타입과 관련한 설명은 자동조합 선택을 통한 화장품 타입 선택단계(S21)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자동조합 선택을 통한 화장품 타입 선택단계(S21)에서 동작한 자동조합 처리모듈(260)은 직접조합 처리모듈(210)이 대체한다.
S33; 조건선택단계
주문업체가 기획한 화장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화장품 성분 검토와 더불어서 납품단가도 중요한 검토 대상이 된다. 따라서 주문업체는 화장품 성분 검색과 더불어서 상기 화장품 성분의 화장품을 납품할 납품업체가 제시하는 납품단가도 검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직접조합 처리모듈(210)은 주문업체가 납품단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관련 입력창을 출력하고, 주문업체가 상기 입력창에 납품단가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면 해당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
이외에도 납품업체 검색 시 고려해야 할 조건은 납품업체의 위치, 제조량, 인지도 등 다양할 수 있다.
참고로, 자동 조합 서비스에서는 자동조합 처리모듈(260)을 설명하면서 조건정보 입력 기능에 대해서는 미설명하였으나, 자동조합 처리모듈(260) 또한 조건정보 입력 기능이 있으며, 이를 통해서 자동조합에 따른 납품업체 검색시 상기 조건정보가 참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가 화장품 타입 선택과 더불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납품업체 검색 이전에는 언제든지 직접조합 처리모듈(210)의 조건정보 입력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S34; 성분출력단계
검색처리모듈(150)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전송된 요청데이터를 확인해서 해당하는 화장품 타입의 화장품 성분을 화장품성분DB(110)에서 검색하고 이에 대한 리스트를 검색데이터로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한다.
화장품성분DB(110)가 저장하는 납품업체 정보와 화장품 성분 정보 저장 방식은 자동조합단계(S24)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S35; 성분선택단계
직접조합 처리모듈(210)은 상기 검색데이터를 수신하고 입출력 처리수단(240)을 통해서 도 6(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제3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검색데이터를 출력한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접조합 처리모듈(210)은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화장품 성분 정보를 분류별로 나누어 게시하고, 주문업체가 각 분류의 화장품 성분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씩을 선택해서 화장품 성분에 대한 조합을 완성하면, 해당 조합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
도면에서 보인 분류별 화장품 성분들은 주문업체가 최초 선택한 화장품 타입으로 분류된 화장품 성분들이며, 주문업체는 베이스, 액티브, 보강별로 각각 하나씩을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액티브, 보강(미도시함)이 한 페이지에 모두 게시되어서 주문업체가 한번에 선택할 수 있는 형식인 것으로 했으나, 이외에도 주문업체가 베이스를 선택하면 액티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화장품 성분이 게시되고, 액티브를 선택하면 보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화장품 성분이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S36; 조합검토단계
조합검토모듈(180)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조합정보를 수신하고 분석정보DB(140)를 검색해서 상기 조합정보에 대한 유해성 여부를 확인한다.
조합검토에 대한 기술설명은 조합검토단계(S25)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S37; 재조합 여부 확인단계
검색처리모듈(150)은 조합검토모듈(180)이 확인한 검토정보와 함께 해당 조합정보에 대한 검색데이터를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200)의 직접조합 처리모듈(210)은 입출력 처리모듈(240)을 통해 상기 검색데이터를 수신한다.
재조합 여부 확인단계에 대한 기술설명은 재조합 여부 확인단계(S26)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재조합 여부 확인단계(S26)에서 주체적으로 실행된 자동조합 처리모듈(260)은 직접조합 처리모듈(210)이 대체한다.
이후, 관련 납품업체 정보 출력단계(S2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문업체가 만족의 의사인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입출력 처리모듈(240)은 상기 조합정보에 포함된 화장품 성분 조합을 등록한 납품업체를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요청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고, 검색처리모듈(150)은 화장품성분DB(110)에서 상기 화장품 성분 조합을 등록한 납품업체를 검색해서 관련 리스트에 대한 검색데이터를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검색처리모듈(150)은 주문업체가 제한한 조건정보를 고려해서 화장품성분DB(110) 검색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서 주문업체는 자신이 제시한 조건에 근접하는 납품업체 정보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납품업체 정보 출력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다른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을 기반으로 주문업체와 납품업체 간의 중개가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제4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서버(100')는 주문업체가 검색대상을 등록하거나 주문업체의 이력정보를 분석해서 해당하는 새로운 화장품의 등록이 확인되면 이를 통지하는 알림모듈(190)을 더 포함하고, 클라이언트(200')는 알림모듈(190)이 발송한 알림메시지를 수신해 처리하는 알림메시지 처리모듈(250)을 더 포함한다.
알림모듈(190)은 주문업체가 검색한 화장품이 화장품성분DB(110)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도 9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문업체의 클라이언트(200')에 알림등록 여부를 질의하고, 주문업체가 이를 수락하면 회원정보DB(130)의 해당 주문업체 파일에 상기 알림등록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알림모듈(190)은 검색처리모듈(150)이 확인한 신규등록된 화장품을 알림등록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화장품과 비교하고, 일치할 경우 해당 주문업체의 클라이언트(200')에 통지한다.
또한 알림모듈(190)은 회원정보DB(130)에서 해당 주문업체의 이력정보를 검색처리모듈(150)을 통해 검색하고, 검색한 이력정보를 분석해서 해당 주문업체의 관심동향을 판단해서 관심동향정보로 회원정보DB에 저장한다. 이후 신규등록된 화장품을 상기 관심동향정보의 관심동향 대상 화장품과 비교하고, 일치할 경우 해당 주문업체의 클라이언트(200')에 통지한다.
여기서, 알림모듈(190)의 이력정보 분석은 이력정보에 포함된 화장품들의 조합순서와, 최근 조합한 화장품 등을 참고해서, 이전에는 조합하지 않았던 화장품 또는 이전에 조합했던 화장품과 유사한 화장품 등을 관심동향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이력정보 분석은 특정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알림메시지 처리모듈(250)은 서버(100')의 알림모듈(190)로부터 알림메시지를 수신하면 주문업체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 5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에 출력시킨다. 주문업체는 단말기에 출력된 알림메시지를 확인하고 서버(100')로의 접속을 결정하고, 주문업체가 서버(100')로의 접속을 승인하면 주문업체에게 제시하고자 했던 화장품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업체의 이력정보에 저장한다.
이상 설명한 중개시스템을 기반으로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 간의 실시과정을 설명한다.
S40; 알림등록단계
검색처리모듈(150)은 주문업체가 검색을 시도한 화장품 성분 조합이 화장품성분DB(110)에서 검색되지 않으면, 도 5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은 메시지를 클라이언트(200')의 입출력 처리모듈(240)을 통해 출력시킨다.
주문업체는 상기 메시지를 확인하고 관심이 없으면 '취소' 버튼을 클릭하고, 검색을 지속할 의지가 있다면 '요청' 버튼을 클릭해서 알림모듈(190)이 회원정보DB(130)의 알림등록정보에 이를 등록하도록 처리한다.
S41,S42; 등록여부 확인 후 알림메시지 발송단계
알림모듈(190)은 신규등록한 화장품을 확인해서 상기 이력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알림등록정보에서 주문업체가 등록한 화장품인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주문업체의 클라이언트(200')로 알림메시지를 발송한다.
S43; 서버접속단계
알림메시지 처리모듈(250)은 서버(100')로부터 발송된 알림메시지를 수신해서 출력하고, 주문업체는 수신한 알림메시지를 확인하고 서버(100')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한다.
주문업체는 '요청' 버튼을 클릭해서 서버(100')에 접속하고, 검색처리모듈(150)은 해당하는 화장품 성분 정보를 검색데이터로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한다. 입출력 처리모듈(240)은 수신한 검색데이터에서 해당하는 화장품 성분 정보를 출력해서 주문업체가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관련 납품업체 정보 출력단계(S27)를 통해서 납품업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S44; 이력정보 등록단계
주문업체는 상기 화장품 성분 정보를 확인하고 도 5의 (b)도면의 안내메시지에 따라 이력정보로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문업체는 안내에 따라 상기 화장품 성분 정보를 이력정보로 등록해서 해당 회원정보DB(130)에 등록시킨다.
S45; 이력정보 분석단계
알림모듈(1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력정보를 분석해서 해당 주문업체의 관심동향을 파악하고, 이렇게 파악한 관심동향의 화장품 성분 정보와 동일한 화장품 성분 정보가 등록되면 등록여부 확인 후 알림메시지 발송단계(S41,S42)를 반복해서 알림메시지를 해당 주문업체 클라이언트(200')로 발송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화장품성분DB와,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화장품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처리모듈과, 상기 검색처리모듈에 검색 대상 화장품의 성분을 입력하고 검색된 화장품 정보를 출력시키는 직접조합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협업 중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성분DB는 납품업체의 정보와, 상기 납품업체가 등록한 화장품별로 구성 성분들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해서 저장하고;
    상기 검색처리모듈은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이 입력한 화장품 성분의 조합 화장품과 납품업체 정보를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검색해서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에 전달하되,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화장품 성분을 상기 특정 기준에 따른 분류별로 검색해서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은 상기 검색처리모듈로부터 분류별로 전달된 화장품 성분을 분류별로 출력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화장품 성분으로 조합된 화장품과 납품업체의 정보를 출력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처리모듈은 상기 화장품성분DB에서 화장품 성분을 분류별로 검색하고, 검색된 화장품 성분으로 조합한 화장품과 납품업체 정보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처리모듈로부터 전달된 상기 화장품과 납품업체 정보를 출력시키는 자동조합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조합 처리모듈과 자동조합 처리모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은 조건정보를 입력받아 검색처리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검색처리모듈은 상기 조건정보에 따라 납품업체 정보를 선별해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품 성분의 특정 조합의 유해성 여부가 기록된 분석정보를 저장하는 분석정보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처리모듈은 납품업체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확인한 화장품 성분 조합의 분석정보를 상기 분석정보DB에서 검색해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처리모듈이 미검색한 화장품 성분 관련 정보를 알림등록정보로 생성해서 회원정보DB에 저장하고, 화장품 성분의 검색 이력정보를 분석해서 관심대상 화장품 성분을 확인하고 해당 화장품 성분 관련 정보를 관심동향정보로 생성해서 회원DB에 저장하며, 상기 알림등록정보 또는 관심동향정보와 신규등록 화장품 성분을 비교해서 동일한 경우에 알림메시지를 발송하는 알림모듈; 및
    상기 알림메시지를 수신해서 출력시키는 알림메시지 처리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KR1020140105339A 2014-08-13 2014-08-13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KR10164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339A KR101643654B1 (ko) 2014-08-13 2014-08-13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339A KR101643654B1 (ko) 2014-08-13 2014-08-13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311A true KR20160021311A (ko) 2016-02-25
KR101643654B1 KR101643654B1 (ko) 2016-07-29

Family

ID=5544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339A KR101643654B1 (ko) 2014-08-13 2014-08-13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17B1 (ko) * 2019-09-09 2020-03-02 도기환 화장품 원료검색을 통한 비교 견적 제공 및 자동 발주 관리방법
CN113569058A (zh) * 2021-08-05 2021-10-29 武汉美之修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查询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461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씨와이 화장품 신제품 기획과 개발 및 생산 협업 시스템
KR102379181B1 (ko) 2021-09-03 2022-03-25 주식회사 오일오엠 인공지능 기반 뷰티 사업 기획 및 전략안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217A (ko) 2005-01-28 2006-08-02 이상열 화장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62903A (ko) * 2008-12-02 2010-06-10 (주)지에프씨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KR20130111753A (ko) * 2012-04-02 2013-10-11 이중용 화장품 소비자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140056861A (ko) * 2012-11-01 2014-05-1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장품 제조 카운슬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217A (ko) 2005-01-28 2006-08-02 이상열 화장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62903A (ko) * 2008-12-02 2010-06-10 (주)지에프씨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KR20130111753A (ko) * 2012-04-02 2013-10-11 이중용 화장품 소비자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140056861A (ko) * 2012-11-01 2014-05-1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장품 제조 카운슬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17B1 (ko) * 2019-09-09 2020-03-02 도기환 화장품 원료검색을 통한 비교 견적 제공 및 자동 발주 관리방법
CN113569058A (zh) * 2021-08-05 2021-10-29 武汉美之修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查询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654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072B2 (en) Online live video sales management system
US9852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media sales
Giménez et al. e‐SCM: internet's impact on supply chain processes
CN102402648B (zh) 选药辅助抉择系统
US11783250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harmonizing procurement across distribution networks with heterogeneous product availability
US20140081766A1 (en) Transaction Arbiter System and Method
US201202782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establishments and items based on consumption history of similar consumers
US10817522B1 (en) Product information integration
EP28844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analysis in network transaction
KR101643654B1 (ko)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KR20170017378A (ko) 구매데이터 기반 구매자와 판매자 매칭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5840A (ko) 챗봇을 활용한 보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0102188A (ja) 中間流通業者を経由して最初供給者及び購買者を連結する流通サービス提供方法
EP2884449A1 (en) Transaction support system
CN103797504A (zh) 用于计划和预订旅程的方法和系统
Shah et al. Innovation in procurement from rural India using enterprise mobility strategy: a case study
Liu et al. Platform opening and cooperation: a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KR20210081690A (ko) 기업특성에 기반한 mro 상품 추천 및 수요 예측에 따른 자재소요계획 시스템 제공방법
KR20190084145A (ko) 온라인 특허 경매 시스템을 이용한 유망 기술 발굴 인공지능 시스템
US20230196140A1 (en)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for balanced unit recommendation
CN112384942A (zh) 全球资产分配及资产管理服务系统
KR20050092681A (ko) 온라인 마켓(장터)에서의 상품등록시 실시간 가격시세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ADUGNA INFORMATION SYSTEM SUCCESS ANALYSIS AND THE FLOW OF E-COMMERCE: CASE STUDY ON BAE FOREIGN TRADE AND EXPORT
KR20170099558A (ko) 오픈마켓 창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1691A (ko) 기업전용 그룹웨어형 마켓플레이스 제공방법 및 이에 수반되는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전자결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