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903A -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903A
KR20100062903A KR1020090088785A KR20090088785A KR20100062903A KR 20100062903 A KR20100062903 A KR 20100062903A KR 1020090088785 A KR1020090088785 A KR 1020090088785A KR 20090088785 A KR20090088785 A KR 20090088785A KR 20100062903 A KR20100062903 A KR 20100062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s
buyer
server
cosmetic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주)지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프씨 filed Critical (주)지에프씨
Publication of KR2010006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화장품의 종류, 각 화장품별 성분 및 함량을 확인 후 필요한 용량을 구매자가 선택하여 구매하고, 배송된 화장품 성분을 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구매자 자신이 구매한 화장품 성분을 직접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제1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매자가 선택하여 구매한 사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다음 화장품 구매시 이를 다시 재활용하거나, 이용했던 화장품의 성분 및 배합을 재선택 및 재배합할 수 있도록 한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제2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소비자의 연령대 및 피부상태에 따른 화장품의 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하여 내장된 서버(S)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너트를 통해 서버에서 구매자의 입력상항을 받아 이를 처리하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가 상기 클라이언트(C1~Cn)를 통해 상기 서버(S)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00) 상기 구매자는 자기의 피부상태 및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제 2단계(S200); 서버를 통해. 상기 구매자의 피부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S)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령대 및 피부상태에 따른 화장품 표준 원료에서 피부 상태에 따라 변동이 필요한 화장품 원료들을 산출하는 제 3단계(S300); 상기 산출된 화장품 원료 로부터 상기 구매자가 취향에 맞는 화장품 원료를 조절선택하여 상기 서버(S)에서 입력받는 제 4단계(S400); 상기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구매자가 결정한 항목에 대하여 상기 서버(S)를 통해 구매하게 하는 제5단계(S500); 상기 구매가 완료되면, 상기 서버(S)는 구매한 화장품원료에 대한 배합비율을 산출하여 배합방법의 팁을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제 6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객별 맞춤 화장품 판매방법으로 달성된다.
화장품 성분 선택, 함량 조절, 동영상, 화장품 용기 선택

Description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Method for Customized Cosmetics}
본 발명은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화장품의 종류, 각 화장품별 성분 및 함량을 확인 후 필요한 용량을 구매자가 선택하여 구매하고, 배송된 화장품 성분을 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구매자 자신이 구매한 화장품 성분을 직접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건강 뿐만 아니라 미를 추구할 수 있다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여성 뿐만 아니라 남성에게서도 많이 애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화장품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특화된 화장품, 즉 기능성 화장품들이 많이 선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여드름이라든가 주름 기미, 잡티 등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에는 여러가지 화장품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각 화장품 성분은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그 함량이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기능성 화장품 인 경우, 그 기능에 맞는 성분을 더 함유하게 된다.
화장품 제조업자는 이러한 다양한 화장품 성분을 원액 형태로 미리 제조해 놓고, 화장품의 종류라든가 사용자에 따라 화장품의 성분이라든가 함량을 달리하여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하고 있다. 그리고, 구매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향료액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화장품이 구매자의 평균적인 기호를 고려하여 대량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피부의 상태가 서로 다른 구매자(이용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기가 어렵다. 이는 구매자로 하여금 부작용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기게 된다.
2) 피부 상태의 구분에 있어, 그 중간 영역, 예를 들어서 건성과 지성의 사이에 있는 피부를 가진 구매자의 경우라든가, 건성이 심한 구매자의 경우처럼, 특정한 피부 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구매하기가 어렵다.
3) 구매자의 피부에 최적인 화장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화장품 회사에 별도 구매신청을 통해 제조해야 한다. 이는 구매자로 하여금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이 요구되게 된다.
4) 화장품의 내용물을 제조업자가 제공하는 용기에 담겨져서 판매가 되기 때문에 소비량이 적은 구매자일 경우 낭비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화장품을 보관하기 위한 부수적인 시설(예를 들어, 화장품용 냉장고)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화장품의 종류, 각 화장품별 성분 및 함량을 확인 후 필요한 용량을 구매자가 선택하여 구매하고, 배송된 화장품 성분을 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구매자 자신이 구매한 화장품 성분을 직접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제1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매자가 선택하여 구매한 사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다음 화장품 구매시 이를 다시 재활용하거나, 이용했던 화장품의 성분 및 배합을 재선택 및 재배합할 수 있도록 한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제2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조방법은,
소비자의 연령대 및 피부상태에 따른 화장품의 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하여 내장된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너트를 통해 서버에서 구매자의 입력상항을 받아 이를 처리하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가 상기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 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구매자는 자기의 피부상태 및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제 2단계; 서버를 통해. 상기 구매자의 피부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령대 및 피부상태에 따른 화장품 표준 원료에서 피부 상태에 따라 변동이 필요한 화장품 원료들을 산출하는 제 3단계; 상기 산출된 화장품 원료로부터 상기 구매자가 취향에 맞는 화장품 원료를 조절선택하여 상기 서버에서 입력받는 제 4단계; 상기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구매자가 결정한 항목에 대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구매하게 하는 제5단계; 상기 구매가 완료되면, 상기 서버는 구매한 화장품원료에 대한 배합비율을 산출하여 배합방법의 팁을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합방법의 팁을 구매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화장품의 사용결과를 입력받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구매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별 데이터베이스로 축적관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S)는, 소비자의 연령대 및 피부상태에 따른 화장품의 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매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별 데이터베이스, 화장품의 원료 배합 비율 대한 팁의 데이터베이스, 배합 방법을 알려주는 팁데이터베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분석 및 진단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구매자(화장품 이용자)가 화장품 사용으로 얻어지는 경험치 등을 통해 자신의 피부에 가장 적합한 화장품 성분이라든가 함량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장품 성분 및 함량을 통해 피부 트러블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자신의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직접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2) 구매자가 자신이 사용하였던 화장품의 성분과 함량을 데이터화함으로써, 다음 화장품의 구매시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는 그 다음 화장품 구매시 사용중이던 화장품 성분이라든가 함량을 조절하여 가장 적합한 화장품 구매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고객별 맞춤 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S)와, 구매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화장품 관련 정보 를 정보통신망(N)을 통해 서버(S)에 입력하여 결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C1~Cn)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버-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은 6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S100)는 구매자의 회원확인과 함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구매자가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C1~Cn)를 통해 로그인을 하게 되면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서버(S)는 구매자가 ID와 패스워드가 없어 로그인을 하지 못하는 경우, 회원가입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서버(S)를 통해 로그인을 유도하게 된다. 이처럼 구매자가 로그인을 하게 되면 제2단계(S200)로 진행한다.
제2단계(S200)는 구매자의 피부상태 및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하는 단계다. 이 단계는 구매자의 피부상태 및 개인정보를 입력된 정보를 서버의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나중에 구매자가 1번 이상 화장품 원료를 구입하여 그 관료자료 남아 있는 가에 구매자별로 서버(S)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화장품 원료 데이타베이스를 활용할 것인가를 먼저 질의하게 된다.
여기서, 화장품 데이타베이스란 구매자가 사전에 구입한 화장품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자료를 데이타베이스한 것으로서, 구매했던 화장품의 원료, 사용한 결과들을 기록한 것이다. 이러한 화장품의 데이타베이스는 후술하게 될 화장품 목록리스트에서 보여주는 자료들을 군으로서 구매자가 구매했던 화장품에 대해 리스트화한 것이다.
그리고, 화장품 원료 데이타베이스가 없는 경우, 즉 신규회원으로 가입한 경우라든가 기존회원이더라도 화장품 구입을 하지 않은 구매자의 경우 자신의 피부 상태를 입력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매자의 화장품 원료의 데이타베이스 리스트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대분류(L1), 중분류(L2), 소분류(L3) , 성분와 함량테이블 및 원료 배합 팁(L4), 기타(L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대분류(L1)란 구매자의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 성별이나 연령, 또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람을 구분하기 위한 항목, 중분류(L2)는 구매했던 하는 화장품의 원료종류, 예를 들어, 스킨로션, 선크림이라든가 기초화장품이라든가 실질적으로 구매한 원료의 명칭을 항목, 소분류(L3)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 즉 자용자의 피부가 지성인지 건성 또는 민감성 피부를 상태, 성분와 함량테이블 및 배합 팁(L4)은 상술한 대분류(L1), 중분류(L2) 및 소분류(L3)에 따라 화장품의 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화장품의 성분 및 함량과 이를 제조할 수 있는 배합 팁을 보여주게 항목, 화장품의 사용결과은 이렇게 화장품의 원료를 배합하여 사용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항목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리스트하여 저장된다.
도 4는 이러한 성분 및 함량테이블(L4)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제 3단계(S300)는 구매자의 피부상태 및 연령 등이 기입된 데이터베이스와 서버의 미리 저장된 연령대 및 피부상태를 분석 및 진단하여 최상 화장품 원료를 산출할 하는 보여주고 단계로 상기 분석 및 진단은 서버의 분석 및 진단하는 프레세스에 의해 연산되어 산출되는 것이다. 즉 구매자의 피부상태 및 연령 등이 기입 된 데이터 베이스와 이와 동일하게 한국 표준 소비자의 연령대 및 피부상태 등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제 4단계(S400)는 화장품 사양의 개별성분 선택 및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S400)는 상술한 화장품 산출된 원료 성분 및 함량테이블(L4)에서 진행하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구매자가 선택한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성분의 품목 중에서 구매자가 임의로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화장품 성분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게 한다.
즉, 구매자가 기존의 화장품이 있어서 화장품 원료 데이터로부터 화장품 목록리스트(L)를 불러온 경우라면, 구매자가 화장품을 사용하면서 불편했었던 점,예를 들어 수분 함량이 부족했던점이라든가, 새로운 성분의 추가삭제, 예를 들어 향료라든가 자극성 등을 고려하여 성분 및 함량테이블(L4)을 통해 새로운 성분의 추가 및/또는 삭제라든가 함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신규로 가입한 구매자인 경우 성분 및 함량테이블(L4)에서 제공하는 성분 및 함량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성분 및 함량을 토대로 주문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4단계(S400)는 상술한 화장품 원료데이터를 서버(S)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구매자가 구매를 마치기 전에 사이트의 접속을 차단한다든가 구매 시기를 늦추는 등의 이유로 구매자가 다시 처음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지속하여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나중에 구매자가 다시 서버(S)에 접속시 상술한 화장품 원료 데이타를 통해 보여주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매 자가 로그인한 후 바로 계속해서 용이하게 구매를 지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4단계(S400)는 화장품의 용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구매자가 자신이 배합한 화장품을 자신만의 고유한 화장품 용기에 담아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S500)는 상술한 화장품 원료 데이타으로부터 서버(S)로 전송된 자료를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매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데이터로는 크게 성분 및 함량 , 화장품의 용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5단계(S500)는 이들 항목의 수정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5-1단계(S510)와, 확정된 항목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결제하는 제5-2단계(S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5-1단계(S510)는 구매자가 결제에 앞서 데이터의 수정이 있는 경우에 수행된다. 즉, 구매 확인시 선택항목(데이터)의 수정을 원하는가를 확인하여 구매 의사가 없으면 제2단계(S100)이나 제4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구매자가 선택항목(데이터)을 수정하여 구매하기로 결정하게 되면 제5-2단계(S520)를 수행하게 된다.
제5-2단계(S520)는 제5-1단계(S510)에서 수정후 구매 결정시라든가 구매를 결정하게 되면 수행된다. 이때의 결제는 상술한 선택항목, 즉 화장품 원료 데이타의 선택사항에서 선택된 화장품의 성분 및 함량, 그리고 화장품 용기라든가 등의 구매 여부를 통해 결제금액이 정해지게 된다. 그리고, 구매의 결제는 서버(S)의 결제수단(SM)을 통해 이루어진다. 결제수단(SM)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넷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용 결제 프로그램(MPI)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제방식 으로는 신용카드, 지로 및 마일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은 결제단계인 제4-2단계(S420) 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8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데이터는 결제에 필요한 데이터 뿐만 아니라 구매자 피부에 대한 산술된 화장품 원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데이터는 서버(S)의 각 고결별 데이터에 저장되어, 구매자가 다시 고객별 맞춤 화장품을 구매시 기본 자료로서 제3단계(S300)에서 설명한 구매자별 화장품 원료 데이타를 불려와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단계(S600)는 제 5단계에서 결재를 이루어진 화장품의 원료 데이터에 관한 배합비율을 서버에서 분석 및 진단하여 최상의 배합방법의 팁을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합방법의 팁은 동영상과 배합시 효능을 설명하는 팁이다.
제 7단계(S700)는 이와 같이 구매한 화장품의 원료 배합하여 사용 후 구매자가 사용한 수기를 기록하여 구매자의 데이터에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한 수기는 재 구입시 서버의 분석 및 진단하는 프로세스가 최상의 원료를 산출하는 자료로 사용되는 것이다.
제 8단계(S800)는 제 3단(S300)∼7단계(S600)의 정보를 상기 서버(S)의 고객별 데이터베이스에 축적관리하여 구매자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은 제 3단계(S200)~제6단계(S600)에서 구매자가 클라이언트(C1~Cn)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프린트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매자가 자신이 선택한 화장품 관련 정보라든가 함량 그리고 결제 상황을 프린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클라이언트(C1~Cn)는 서버,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 이동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화장품 목록리스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및 함량테이블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테이블.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1~Cn : 클라이언트
L1 : 대분류
L2 : 중분류
L3 : 소분류
L4 : 성분 및 함량 테이블
L5 : 기타
N : 정보통신망
S : 서버

Claims (4)

  1. 소비자의 연령대 및 피부상태에 따른 화장품의 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하여 내장된 서버(S)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너트를 통해 서버에서 구매자의 입력상항을 받아 이를 처리하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가 상기 클라이언트(C1~Cn)를 통해 상기 서버(S)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00);
    상기 구매자는 자기의 피부상태 및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제 2단계(S200);
    서버를 통해. 상기 구매자의 피부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S)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령대 및 피부상태에 따른 화장품 표준 원료에서 피부 상태에 따라 변동이 필요한 화장품 원료들을 산출하는 제 3단계(S300);
    상기 산출된 화장품 원료로부터 상기 구매자가 취향에 맞는 화장품 원료를 조절선택하여 상기 서버(S)에서 입력받는 제 4단계(S400);
    상기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구매자가 결정한 항목에 대하여 상기 서버(S)를 통해 구매하게 하는 제5단계(S500);
    상기 구매가 완료되면, 상기 서버(S)는 구매한 화장품원료에 대한 배합비율을 산출하여 배합방법의 팁을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제 6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판매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방법의 팁을 구매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화장품의 사용결과를 입력받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별 맞춤화장품 제공방법.
  3. 제 1 항 ,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구매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별 데이터베이스로 축적관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별 맞춤화장품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S)는, 소비자의 연령대 및 피부상태에 따른 화장품의 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매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별 데이터베이스, 화장품의 원료 배합 비율 대한 팁의 데이터베이스, 배합 방법을 알려주는 팁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분석 및 진단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판매방법.
KR1020090088785A 2008-12-02 2009-09-19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KR20100062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438 2008-12-02
KR20080121438 2008-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903A true KR20100062903A (ko) 2010-06-10

Family

ID=4236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785A KR20100062903A (ko) 2008-12-02 2009-09-19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290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24B1 (ko) * 2012-04-02 2014-03-19 이중용 화장품 소비자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101490987B1 (ko) * 2014-03-25 2015-02-09 아람휴비스(주)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방법
WO2015088079A1 (ko) * 2013-12-12 2015-06-18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맞춤형 개별 화장품 생산 시스템
WO2015102543A1 (en) 2013-12-31 2015-07-09 Vastok D.O.O. Process for preparation and purchase of individualized cosmetics under a principal brand and device according to the said process
KR20160021311A (ko) * 2014-08-13 2016-02-25 (주)폭스앤플래닛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KR101660920B1 (ko) * 2015-04-14 2016-09-28 주식회사 클레오시스 맞춤형 화장품 코드 생성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9858685B2 (en) 2016-02-08 2018-01-02 Equality Cosmet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ulation and dispensing of visually customized cosmetics
US10575623B2 (en) 2018-06-29 2020-03-03 Sephora USA, Inc. Color capture system and device
KR20200056597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체질 및 피부유형에 따른 개인 맞춤형 화장품 키트와 이를 이용한 화장품의 제공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24B1 (ko) * 2012-04-02 2014-03-19 이중용 화장품 소비자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WO2015088079A1 (ko) * 2013-12-12 2015-06-18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맞춤형 개별 화장품 생산 시스템
US10332174B2 (en) 2013-12-31 2019-06-25 Vastok D.O.O. Process for preparation and purchase of individualized cosmetics under a principal brand and device according to the said process
WO2015102543A1 (en) 2013-12-31 2015-07-09 Vastok D.O.O. Process for preparation and purchase of individualized cosmetics under a principal brand and device according to the said process
KR101490987B1 (ko) * 2014-03-25 2015-02-09 아람휴비스(주)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방법
KR20160021311A (ko) * 2014-08-13 2016-02-25 (주)폭스앤플래닛 Odm 기반의 화장품 사업을 위한 협업 중개시스템
KR101660920B1 (ko) * 2015-04-14 2016-09-28 주식회사 클레오시스 맞춤형 화장품 코드 생성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6167492A1 (ko) * 2015-04-14 2016-10-20 주식회사 클레오시스 맞춤형 화장품 코드 생성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7408260A (zh) * 2015-04-14 2017-11-28 克莱奥西斯有限公司 定制化妆品代码生成系统及其控制方法
US9858685B2 (en) 2016-02-08 2018-01-02 Equality Cosmet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ulation and dispensing of visually customized cosmetics
US11004238B2 (en) 2016-02-08 2021-05-11 Sephora US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ulation and dispensing of visually customized cosmetics
US10575623B2 (en) 2018-06-29 2020-03-03 Sephora USA, Inc. Color capture system and device
KR20200056597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체질 및 피부유형에 따른 개인 맞춤형 화장품 키트와 이를 이용한 화장품의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2903A (ko)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JP6285070B2 (ja) カラー調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Gupta et al. Risk profile and consumer shopping behavior in electronic and traditional channels
Javalgi et al. Service loyalty: implications for service providers
US20060178904A1 (en) Interactive system that is useful in cosmetics and a method of building a database
US20030065636A1 (en)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oviding beauty advice
US200501022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olving credit product offer customization
Shih Cognitive lock‐in effect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in the context of B 2 CW eb sites
US20030149504A1 (en) Personal color ordering system and personal color ordering method
US20040249719A1 (en) Customer decision support at point-of-sale
JP2009540457A (ja) 顧客別のカスタマイズド化粧品の提供方法及び提供システム
US20040078796A1 (en) Business improvement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Wibowo et al. Impact of price, product quality, and promotion on consumer satisfaction in cosmetics and skincare
US7747467B2 (en) Selection set evaluation device and sale management device
CN107944897A (zh) 数据标签分发系统、方法、服务器和客户端
Mahendratmo et al. Analysis of E-marketing mix to consumer purchase decisions Traveloka
JP2005235139A (ja) 化粧品評価情報分析システム及び方法
Herweg et al. Salience in markets
JPWO2002069215A1 (ja) 個別対応化粧品調製システム
JP2002056281A (ja) 肌の改善の為のアドバイスの選択方法及びその表示方法
JP2002123723A (ja) セミオーダー化粧品提供システム
KR100975588B1 (ko) 온라인 여행상품 비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3186962A (ja) 化粧品レシピのオンライン検索・作成支援プログラム、及び該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化粧品のオンライン検索支援装置及び化粧品レシピのオンライン検索・作成支援装置
Artik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trust, and consumer satisfaction on consumer loyalty
KR20210069259A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조제 및 판매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