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190A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190A
KR20160020190A KR1020140105227A KR20140105227A KR20160020190A KR 20160020190 A KR20160020190 A KR 20160020190A KR 1020140105227 A KR1020140105227 A KR 1020140105227A KR 20140105227 A KR20140105227 A KR 20140105227A KR 20160020190 A KR20160020190 A KR 2016002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port
compression chamber
scroll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201B1 (ko
Inventor
최용규
이강욱
김철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201B1/ko
Priority to US14/710,704 priority patent/US10041493B2/en
Priority to CN201510297352.2A priority patent/CN105370572B/zh
Publication of KR2016002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190A/ko
Priority to US15/817,531 priority patent/US10132314B2/en
Priority to US15/817,584 priority patent/US10202978B2/en
Priority to US15/817,657 priority patent/US10208752B2/en
Priority to US16/239,620 priority patent/US1090763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04C18/0261Details of the ports, e.g. location, number,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04C18/0292Ports or channels located in the w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2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토출구를 가지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과 맞물려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및 상기 제1 스크롤 또는 제2 스크롤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부를 가지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압축실들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토출입구와 토출출구를 가지며, 상기 토출입구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는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각 압축실의 냉매가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하여 토출지연에 따른 과압축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출구가 복수 개인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롤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으면서 냉매의 흡입,압축,토출 행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오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크롤 압축기의 거동 특성은 고정스크롤의 고정랩과 선회스크롤의 선회랩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고정랩과 선회랩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가공이 용이한 인볼류트 곡선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인볼류트 곡선은 임의의 반경을 갖는 기초원의 주위에 감겨있는 실을 풀어낼 때 실의 단부가 그리는 궤적에 해당되는 곡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볼류트 곡선을 이용하는 경우 랩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어 용적변화율도 일정하게 되므로, 충분한 정도의 압축비를 얻기 위해서는 랩의 권수를 늘려야 한다. 하지만, 랩의 권수가 늘어나면 그만큼 압축기의 크기도 함께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은 통상적으로는 원판 형태로 경판이 형성되고, 상기 경판의 일측면에 상술한 선회랩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랩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경판의 타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보스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전동부의 회전자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편심지게 결합되어 상기 선회스크롤을 선회구동시킨다. 이러한 형태는 경판의 거의 전 면적에 걸쳐서 선회랩을 형성할 수 있어, 동일한 압축비를 얻기 위한 경판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는 선회랩과 보스부가 축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압축시 냉매의 반발력이 작용되는 작용점과 상기 반발력을 상쇄하기 위한 반력이 작용되는 작용점이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이로 인해 압축기의 구동시 반발력과 반력이 서로 우력으로 작용하면서 상기 선회스크롤이 기울어져 진동이나 소음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특허등록된 스크롤 압축기(등록번호 : 10-1059880호)와 같이, 회전축과 선회스크롤이 결합되는 지점이 선회랩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는 형태의 스크롤 압축기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형태의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의 반발력이 작용하는 작용점과 그 반발력에 대한 반력의 작용점이 동일한 높이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선회스크롤이 기울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각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한 개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선회랩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압축실과 상기 선회랩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한 개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토출구가 한 개인 경우에는 그 토출구가 압축부의 중심에 형성되어야 양쪽 압축실에서의 토출 시점을 동일하게 설계하기가 용이하나, 상기 회전축이 선회랩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형태의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상기 회전축이 선회스크롤의 중심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토출구는 압축부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토출구(DP)가 제1 압축실(S11)에 대해 개방되는 시점과 제2 압축실(S12)에 대해 개방되는 시점이 상이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늦게 냉매가 토출되는 압축실에서는 토출지연에 따른 과압축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회전축이 선회랩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형태의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상기 제2 압축실(S12)이 제1 압축실(S11)에 비해 압축비가 더 높은데도 상기 제2 압축실(S12)이 제1 압축실(S11)이 늦게 개방될 뿐만 아니라 토출면적이 동일하게 되므로, 상기 제2 압축실(S12)에서의 과압축 손실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1 압축실과 상기 제2 압축실의 냉매가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토출유로를 분리하여 토출지연에 따른 과압축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의 냉매가 더욱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하여 토출지연에 따른 과압축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출구를 가지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과 맞물려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및 상기 제1 스크롤 또는 제2 스크롤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부를 가지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압축실들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토출입구와 토출출구를 가지며, 상기 토출입구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는 상기 편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은 압축비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 중에서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낮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출구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출구는 각 토출입구와 독립적으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출구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 중에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대응되는 토출입구에 연통되는 토출출구의 면적이 다른 쪽 토출출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크롤의 일측면에는 상기 토출입구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토출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출구는 각각의 밸브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크롤의 일측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와 연통되는 한 개의 토출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개의 토출출구는 한 개의 밸브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은 압축비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 중에서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개방 시점이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낮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개방 시점보다 앞서거나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는 개방 상태가 적어도 일부는 중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출구를 가지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과 맞물려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및 상기 제1 스크롤 또는 제2 스크롤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부를 가지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압축실들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한 개의 토출입구와 복수 개의 토출출구를 가지며, 상기 토출입구는 편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은 압축비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토출입구는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인접되는 쪽의 면적이 다른 압축실과 인접되는 쪽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입구는, 상기 제1 압축실과 인접되는 제1 토출입구부, 상기 제2 압축실과 인접되는 제2 토출입구부 및 상기 제1 토출입구부와 제2 토출입구부를 연통시키는 토출연통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크롤의 일측면에는 상기 토출입구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토출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출구는 각각의 밸브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출구를 가지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과 맞물려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및 상기 제1 스크롤 또는 제2 스크롤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부를 가지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압축실들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토출입구와 토출출구를 가지며, 상기 토출입구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는 상기 편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압축실과 연통되는 제1 토출입구 및 상기 제2 압축실과 연통되는 제2 토출입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 중에서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개방 시점이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낮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개방 시점보다 앞서거나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는 개방 상태가 적어도 일부는 중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는, 상기 제1 압축실의 토출구와 상기 제2 압축실의 토출구를 각각 분리 형성함으로써 각 압축실의 냉매가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하여 토출지연에 따른 과압축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의 토출구를 압축비가 낮은 압축실의 토출구보다 먼저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갖는 압축실과 대응되는 토출구의 면적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갖는 압축실의 냉매가 더욱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하여 과압축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에서 양쪽 압축실의 냉매가 토출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토출구의 주변을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각 압축실에 연통된 토출구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2에서 토출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토출구의 주변을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토출구(DP)의 주변을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각 압축실(S11, S12)에 연통된 토출구(DP)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하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1)의 내부공간(1a)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부(2)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부(2)의 하측에는 그 전동부(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은 밀폐용기를 이루는 원통 쉘(11), 상기 원통 쉘(11)의 상부를 덮어 함께 밀폐용기를 이루는 상부 쉘(12) 및 상기 원통 쉘(11)의 하부를 덮어 함께 밀폐용기를 이루는 동시에 저유공간(1b)을 형성하는 하부 쉘(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통 쉘(11)의 측면으로 냉매 흡입관(15)이 관통하여 상기 압축부(3)의 흡입실에 직접 연통되고, 상기 상부 쉘(12)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싱(1)의 내부공간(1a)과 연통되는 냉매 토출관(1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토출관(16)은 상기 압축부(3)에서 상기 케이싱(1)의 내부공간(1a)으로 토출되는 압축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26)에 해당되며, 토출되는 냉매에 혼입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세퍼레이터(미도시)가 상기 냉매 토출관(1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의 상부에는 상기 전동부(2)를 이루는 고정자(2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21)의 내부에는 그 고정자(21)와 함께 상기 전동부(2)를 이루며 상기 고정자(2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21)는 그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슬롯(미도시)이 형성되어 코일(25)이 권선되며, 그 외주면에는 디컷(D-cut) 모양으로 절단되어 상기 원통 쉘(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냉매 또는 오일이 통과하도록 통로(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21)의 하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압축부(3)를 이루는 메인프레임(31)이 상기 케이싱(1)의 하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저면에는 후술할 회전축(5)에 편심 결합된 선회스크롤(이하, 제2 스크롤과 혼용함)(33)을 사이에 두고 고정스크롤(이하, 제1 스크롤과 혼용함)(32)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은 상기 메인프레임(31)과 상기 고정스크롤(32)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은 선회운동을 하면서 상기 고정스크롤(32)과 함께 흡입실, 중간압실, 토출실로 이루어진 두 개 한 쌍의 압축실(S1)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스크롤(32)은 상기 메인프레임(3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31)은 그 외주면이 상기 원통 쉘(11)의 내주면에 열박음되거나 용접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중심에는 후술할 회전축(5)의 제1 베어링부(5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메인베어링(311)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스크롤(32)과 상기 선회스크롤(33)과 함께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선회스크롤(33)을 지지하도록 배압실(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32)은 경판부(321)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판부(321)의 상면에는 후술할 선회랩(332)과 맞물려 압축실(S1)을 이루는 고정랩(3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랩(322)은 랩곡선이 비정형성을 가지도록 직경과 원점이 서로 다른 다수의 원호를 연결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랩(322)의 안쪽 단부에는 돌기부(322a)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322a)의 일측면에는 후술할 선회랩(332)의 증가부(53b)와 맞물리도록 감소부(322b)가 형성되어 제1 압축실(S11)의 압축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랩(322)의 일측에는 냉매 흡입관(15)과 연결되는 흡입구(323)가 형성되고, 상기 경판부(321)에는 상기 토출실과 연통되어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DP)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DP)는 입구(325a, 325b)와 출구(326a, 326b)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스크롤(32)에는 토출구(DP) 입구(325a, 325b)를 형성하는 반면,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구(DP) 입구(325a, 325b)와 연통되도록 토출구(DP) 출구(326a, 326b)를 가지는 밸브 플레이트(32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저면에는 소정 깊이로 플레이트 자리홈(324)을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 자리홈(324)에 밸브 플레이트(326)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상기 토출구(DP)의 사체적을 줄이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DP) 입구(325a, 325b)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구(DP) 입구(325a, 325b)는 제1 압축실(S11)과 연통되는 제1 토출입구(325a) 및 상기 제2 압축실(S12)과 연통되는 제2 토출입구(32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실(S11)은 선회랩(33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압축실이고, 상기 제2 압축실(S12)은 선회랩(33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압축실이다. 상기 제1 압축실(S11)은 제2 압축실(S12)에 비해 냉매가 먼저 흡입되고 압축경로가 상대적으로 길지만 상기 선회랩(332)이 비정형성을 가지고 형성됨에 따라 압축비가 제2 압축실(S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또, 상기 제2 압축실(S12)은 제1 압축실(S11)에 비해 냉매가 나중에 흡입되고 압축경로가 상대적으로 짧지만 압축비가 선회랩(332)이 비정형성을 가지고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압축실(S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상기 제1 압축실(S11)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유속보다 상기 제2 압축실(S1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유속이 빠르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제2 토출입구(325b)의 면적이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의 면적과 제2 토출입구(325b)의 면적이 동일하거나 오히려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의 면적이 더 넓은 경우에는 냉매가 상기 제2 토출입구(325b)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토출압력과 빠른 유속으로 토출되려고 하지만 제2 토출입구(325b)의 면적, 즉 토출면적이 좁아 유로저항이 증가하면서 원활하게 토출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토출입구(325b)의 면적이 제1 토출입구(325a)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야 상대적으로 높은 토출압력과 빠른 유속을 가지는 제2 압축실(S12)의 냉매가 신속하게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DP) 출구(326a, 326b)는 상기 토출구(DP) 입구(325a, 325b)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구(DP) 출구(326a, 326b)는 제1 토출입구(325a)와 연통되는 제1 토출출구(326a) 및 상기 제2 토출입구(325b)와 연통되는 제2 토출출구(326b)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는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2 토출출구(326b)의 면적이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토출출구(326b)의 면적이 제1 토출출구(326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출구(326b)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앞서 토출구(DP) 입구(325a, 325b)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압축실(S12)의 압축비가 제1 압축실(S11)의 압축비보다 높아 제2 압축실(S1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유속이 빠르더라도 그만큼 유로저항이 작아 제2 압축실(S12)에서의 과압축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는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가 랩 곡선에 따라 비정형화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는 제1 토출입구(325a) 및 제2 토출입구(325b)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는 후술할 제1 밸브(327a)와 제2 밸브(327b)의 설치를 감안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의 각 면적은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사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제1 토출입구(325a) 및 제2 토출입구(325b)와 동일한 면적이거나 약간 작게 형성하는 것이 역시 제1 밸브(327a)와 제2 밸브(327b)의 설치를 감안하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토출구(DP) 출구(326a, 326b)가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 토출구(DP) 출구(326a, 326b)에 제1 밸브(327a)와 제2 밸브(327b)를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327a)와 제2 밸브(327b)는 토출된 냉매가 압축실(S1)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로서, 피스톤 밸브 또는 리드 밸브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토출구(DP) 출구는 한 개만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가 한 개의 토출구(DP) 출구(326c)를 분점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출구(DP) 출구(326c)는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의 면적을 합한 전체 면적과 같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상기 토출구(DP) 출구(326c)의 면적이 너무 커져 그만큼 체크밸브를 설치하기도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 압축실(S11, S12)에도 냉매가 토출되는 시점도 상이하므로 사체적이 증가할 수 있다. 그렇다고 상기 토출구(DP) 출구(326c)의 면적이 너무 적으면 각 압축실(S11, S12)에서 토출되는 냉매에 대해 유로저항이 증가하여 과압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DP) 출구(326c)가 한 개인 경우에는 평면 투영시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 중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쪽인 제2 토출입구(325b)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되,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의 각 면적 중 30%~60% 정도의 면적이 포함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토출구(DP) 출구(326c)는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 중에서 면적이 큰 쪽인 제2 토출입구(325b)쪽으로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제2 압축실(S12)에서의 과압축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DP)가 하부 쉘(13)을 향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저면에는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여 후술할 냉매유로(PG)로 안내하기 위한 토출커버(3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커버(34)는 냉매의 토출유로와 저유공간(1b)을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저면에 밀봉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커버(34)는 그 내부공간이 상기 토출구(DP)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스크롤(32)과 메인프레임(31)을 관통하여 압축실(S1)에서 토출커버(34)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된 냉매를 케이싱(1)의 상측 내부공간(1a)으로 안내하는 냉매유로(PG)의 입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커버(34)에는 후술할 회전축(5)의 제2 베어링부(52)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의 저유공간(1b)에 잠기는 오일피더(6)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3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크롤(32)의 경판부(321) 중심부에는 후술할 회전축(5)의 제2 베어링부(52)가 관통 결합되는 서브베어링(328)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서브베어링(328)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베어링부(52)의 하단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부(32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은 경판부(331)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판부(331)의 저면에는 고정랩(322)과 맞물려 압축실(S1)을 이루는 선회랩(3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판부(331)의 중심부에는 후술할 회전축(5)의 편심부(53)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부(333)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333)의 외주부는 상기 선회랩(332)과 연결되어 압축과정에서 상기 고정랩(322)과 함께 압축실(S1)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선회랩(332)은 고정랩(322)과 함께 인볼류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회랩(332)은 상기 고정랩(322)과 같이 랩곡선이 비정형성을 가지도록 직경과 원점이 서로 다른 다수의 원호를 연결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회랩(332)의 회전축 결합부(333)의 외주면에는 오목부(53a)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53a)에 인접한 상기 회전축 결합부(333)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랩(322)의 감소부(322b)와 맞물리도록 증가부(53b)가 형성되어 제1 압축실(S11)의 압축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결합부(333)에는 상기 회전축(5)의 편심부(53)가 삽입되어, 그 편심부(53)가 상기 선회랩(332) 또는 고정랩(322)과 압축기의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압축시에는 냉매의 반발력이 상기 고정랩(322)과 선회랩(332)에 가해지게 되고, 이에 대한 반력으로서 회전축 결합부(333)와 편심부(53) 사이에 압축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5)의 편심부(53)가 선회스크롤(33)의 경판부(331)를 관통하여, 선회랩(332)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경우 냉매의 반발력과 압축력이 경판부(331)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 평면에 가해지면서 서로 상쇄된다. 이로 인해서, 압축력과 반발력의 작용에 의한 선회스크롤(33)의 기울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5)은 그 상부는 회전자(22)의 중심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반면 하부는 압축부(3)에 결합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5)은 전동부(2)의 회전력을 압축부(3)의 선회스크롤(33)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5)에 편심 결합된 선회스크롤(33)이 고정스크롤(32)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5)의 하반부에는 상기 메인프레임(31)의 메인베어링(311)에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1 베어링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어링부(51)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서브베어링(328)에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2 베어링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베어링부(51)와 제2 베어링부(52)의 사이에는 상기 선회스크롤(33)의 회전축 결합부(333)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편심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부(51)와 제2 베어링부(52)는 동일 축중심을 가지도록 동축 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편심부(53)는 제1 베어링부(51) 또는 제2 베어링부(5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어링부(52)는 제1 베어링부(51)에 대해 편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편심부(53)는 그 외경이 상기 제1 베어링부(51)의 외경보다는 작게, 상기 제2 베어링부(52)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상기 회전축(5)을 각각의 축수구멍과 회전축 결합부(333)를 통과하여 결합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편심부(53)가 회전축(5)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베어링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베어링부(52)의 외경이 편심부(5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지 않고도 회전축(5)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의 내부에는 상기 각 베어링부(51, 52)와 편심부(53)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유로(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유로(5a)는 압축부(3)가 전동부(2)보다 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5)의 하단에서 대략 고정자(21)의 하단이나 중간 높이, 또는 상기 제1 베어링부(51)의 상단보다는 높은 높이까지 홈파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의 하단, 즉 상기 제2 베어링부(52)의 하단에는 상기 저유공간(1b)에 채워진 오일을 펌핑하기 위한 오일피더(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일피더(6)는 회전축(5)의 오일유로(5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오일공급관(61) 및상기 오일공급관(61)의 내부에 삽입되어 오일을 흡상하도록 프로펠러와 같은 오일흡상부재(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일공급관(61)은 상기 토출커버(34)의 관통구멍(341)을 통과하여 저유공간(1b)에 잠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베어링부(51, 52)와 편심부(53), 또는 상기 각 베어링부(51, 52)의 사이에는 상기 오일유로(5a)를 통해 흡상되는 오일이 각 베어링부(51, 52)와 편심부(53)의 외주면으로 공급되도록 급유구멍 및/또는 급유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551,553,556은 각각 급유구멍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상기 전동부(2)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그 전동부(2)의 회전자(22)에 결합된 회전축(5)이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5)의 편심부(53)에 결합된 선회스크롤(33)이 선회운동을 하면서 상기 선회랩(332)과 고정랩(322) 사이에 연속으로 이동하면서 흡입실, 중간압실, 토출실로 된 두 개 한 쌍의 압축실(S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압축실(S1)은 중심방향으로 점차 체적이 좁아지면서 연속하여 여러 단계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케이싱(1)의 외부에서 냉매 흡입관(15)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매는 압축실(S1)로 직접 유입되고, 이 냉매는 선회스크롤(33)의 선회운동에 의해 압축실(S1)의 토출실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었다가 토출실에서 고정스크롤(32)의 토출구(DP)를 통해 토출커버(34)의 내부공간(1a)으로 토출된다.
그러면, 상기 토출커버(34)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압축된 냉매는 고정스크롤(32)과 메인프레임(31)에 연속 형성되는 냉매유로(PG)를 통해 케이싱(1)의 내부공간(1a)으로 토출되었다가 냉매 토출관(16)을 통해 케이싱(1)의 외부로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DP)는 복수 개의 토출구(DP) 입구(325a, 325b)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압축실(S11)과 제2 압축실(S12)에서 압축된 냉매가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로 분리되어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구(DP)가 한 개인 경우에 비해 각 압축실(S11, S1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병목현상을 줄어 지연토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과압축 손실을 낮출 수 있다.
또,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의 면적이 상이하되,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제2 압축실(S12)에 대응하는 제2 토출입구(325b)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낮은 제1 압축실(S11)에 대응하는 제1 토출입구(325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압축실(S12)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압축 손실을 미연에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가 각각의 토출구(DP) 출구(326a, 326b)와 독립적으로 연통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압축실(S1)에서 압축된 냉매가 더욱 원활하게 토출되면서 각 압축실(S11, S12)에서의 과압축 손실을 더욱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 중에서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제2 압축실(S12)과 대응하는 제2 토출출구(326b)의 면적이 상기 제1 토출출구(326a)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압축비를 가지는 제2 압축실(S12)의 냉매가 원활하게 토출되면서 제2 압축실(S12)의 과압축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가 한 개의 토출구(DP) 출구(326c)와 연통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토출구(DP) 출구(326a, 326b)를 가지는 경우에 비해 토출밸브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토출구(DP) 출구(326c)가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의 중앙에 형성되면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가지는 상기 제2 압축실(S12)에서 과압축 손실이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DP) 출구(326c)가 한 개인 경우에는 그 토출구(DP) 출구(326c)가 상기 제2 토출입구(325b)측에 더 가깝거나 넓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제2 압축실(S12)에서의 과압축 손실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구(DP)에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구(DP)의 입구(325a, 325b)가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로 분리 형성되어 제1 압축실(S11)과 제2 압축실(S12)에 독립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는 상기 토출구(DP)의 입구(325a, 325b)를 이루는 토출입구가 한 개로 형성되어 양쪽 압축실(S1)에 대응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DP)는 한 개의 토출입구(325c)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토출입구(325c)는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없으므로 상기 제1 압축실(S11)과 제2 압축실(S12)의 토출 개시 시점에서 각 압축실(S11, S12)에 신속하게 연통될 수 있도록 비교적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토출입구(325c)가 제1 압축실(S11)과 제2 압축실(S12) 모두를 수용하도록 길게 형성될 경우 사체적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와 토출유속을 가지는 제2 압축실(S12)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압축비와 토출유속을 가지는 제1 압축실(S11)로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입구(325c)는 한 개로 형성되더라도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1 토출입구부(325c1)와 제2 토출입구부(325c2)로 형성하고, 상기 제1 토출입구부(325c1)와 제2 토출입구부(325c2)의 사이에 작은 간격을 가지는 토출연통부(325c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토출연통부(325c3)는 관통 형성할 수도 있고, 일부만 연통되도록 홈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토출입구부(325c1)와 제2 토출입구부(325c2)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1 토출입구(325a)와 제2 토출입구(325b)와 같이 상기 제2 토출입구부(325c2)의 면적이 제1 토출입구부(325c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토출입구부(325c1)와 제2 토출입구부(325c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에 연통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토출구(DP) 출구(326c)에 연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토출출구(326b)의 면적이 제1 토출출구(326a)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개의 토출구(DP) 출구(326c)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토출입구부(325c2)에 가깝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2 토출입구부(325c2)쪽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DP) 입구(325a, 325b)와 토출구(DP) 출구(326a, 326b)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스크롤(32)에는 토출구(DP) 입구(325a, 325b)를 형성하는 반면,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구(DP) 입구(325a, 325b)와 연통되도록 제1 토출출구(326a)와 제2 토출출구(326b) 또는 한 개의 토출구(DP) 출구(326c)를 가지는 밸브 플레이트(32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저면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소정 깊이로 플레이트 자리홈(324)을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 자리홈(324)에 밸브 플레이트(326)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상기 토출구(DP)의 사체적을 줄이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토출입구(325b)는 상기 제1 토출입구(325a)보다 먼저 열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제2 압축실(S12)의 냉매가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낮은 제1 압축실(S11)의 냉매보다 먼저 토출되어 상기 제2 압축실(S12)에서의 과압축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토출입구(325b)는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와 동일 시점에서 열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출입구(325b)의 개방 상태는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의 개방 상태와 일부 중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토출입구(325b)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 토출입구(325a)의 토출 개시 시점 이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 압축실(S12)에서의 부족토출로 인한 과압축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압축부(3)가 전동부(2)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토출구(DP)를 보인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구를 압축부(3)가 전동부(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케이싱(1) 내부의 하측에는 전동부(2)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부(2)의 상측에는 압축부(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3)는 고정랩(352)을 가지는 프레임(35)이 상기 케이싱(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35)의 상면에 플레이트(36)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35)과 플레이트(36) 사이에는 상기 고정랩(352)에 맞물려 두 개 한 쌍의 압축실(S1)을 형성하도록 선회랩(372)을 가지는 선회스크롤(37)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7)에는 상기 전동부(2)의 회전자에 결합된 회전축(5)의 편심부(53)가 편심 결합되도록 회전축 결합부(3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373)는 상기 편심부(53)가 압축실(S1)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스크롤(37)에는 압축된 냉매를 케이싱(1)의 내부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복수 개의 토출입구(375a, 375b)와 토출출구(376a, 376b)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토출입구와 한 개의 토출출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토출구는 한 개의 토출입구와 복수 개의 토출출구로 형성되거나, 또는 한 개의 토출입구와 한 개의 토출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입구와 토출출구의 형상이나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 케이싱 2: 전동부
3: 압축부 5: 회전축
15: 냉매 흡입관 16: 냉매 토출관
21: 고정자 22: 회전자
31: 메인프레임 32: 고정스크롤
33: 선회스크롤 34: 토출커버
35: 프레임 36: 플레이트
37: 선회스크롤 53a: 오목부
53b: 증가부 53: 편심부
311: 메인베어링 321: 고정스크롤의 경판부
322b: 감소부 322: 고정랩
322a: 고정스크롤의 돌기부 324: 플레이트 자리홈
325a: 제1 토출입구 325b: 제2 토출입구
325c1: 제1 토출입구부 325c2: 제2 토출입구부
325c3: 토출연통부 325c: 토출입구
326: 밸브 플레이트 326a: 제1 토출출구
326b: 제2 토출출구 327a: 제1 밸브
327b: 제2 밸브 331: 선회스크롤의 경판부
332: 선회랩 333: 회전축 결합부
352: 고정랩 372: 선회랩
373: 회전축 결합부

Claims (14)

  1. 토출구를 가지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과 맞물려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및
    상기 제1 스크롤 또는 제2 스크롤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부를 가지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압축실들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토출입구와 토출출구를 가지며,
    상기 토출입구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는 상기 편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은 압축비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 중에서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낮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출구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출구는 각 토출입구와 독립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토출출구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 중에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출구의 면적이 다른 쪽 토출출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의 일측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토출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출구는 각각의 밸브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의 일측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와 연통되는 한 개의 토출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개의 토출출구는 한 개의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은 압축비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 중에서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개방 시점이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낮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개방 시점보다 앞서거나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는 개방 상태가 적어도 일부는 중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9. 토출구를 가지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과 맞물려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및
    상기 제1 스크롤 또는 제2 스크롤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부를 가지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압축실들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한 개의 토출입구와 복수 개의 토출출구를 가지며, 상기 토출입구는 상기 편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은 압축비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토출입구는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인접되는 쪽의 면적이 다른 압축실과 인접되는 쪽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입구는,
    상기 제1 압축실과 인접되는 제1 토출입구부;
    상기 제2 압축실과 인접되는 제2 토출입구부; 및
    상기 제1 토출입구부와 제2 토출입구부를 연통시키는 토출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의 일측면에는 상기 토출입구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토출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출구는 각각의 밸브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3. 토출구를 가지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과 맞물려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및
    상기 제1 스크롤 또는 제2 스크롤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부를 가지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압축실들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토출입구와 토출출구를 가지며,
    상기 토출입구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는 상기 편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압축실과 연통되는 제1 토출입구 및 상기 제2 압축실과 연통되는 제2 토출입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 중에서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높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개방 시점이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낮은 압축실과 연통되는 토출입구의 개방 시점보다 앞서거나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토출입구는 개방 상태가 적어도 일부는 중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KR1020140105227A 2014-08-13 2014-08-13 스크롤 압축기 KR10224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27A KR102241201B1 (ko) 2014-08-13 2014-08-13 스크롤 압축기
US14/710,704 US10041493B2 (en) 2014-08-13 2015-05-13 Scroll compressor
CN201510297352.2A CN105370572B (zh) 2014-08-13 2015-06-03 涡旋压缩机
US15/817,531 US10132314B2 (en) 2014-08-13 2017-11-20 Scroll compressor
US15/817,584 US10202978B2 (en) 2014-08-13 2017-11-20 Scroll compressor
US15/817,657 US10208752B2 (en) 2014-08-13 2017-11-20 Scroll compressor
US16/239,620 US10907634B2 (en) 2014-08-13 2019-01-04 Scroll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27A KR102241201B1 (ko) 2014-08-13 2014-08-13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190A true KR20160020190A (ko) 2016-02-23
KR102241201B1 KR102241201B1 (ko) 2021-04-16

Family

ID=5530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227A KR102241201B1 (ko) 2014-08-13 2014-08-13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5) US10041493B2 (ko)
KR (1) KR102241201B1 (ko)
CN (1) CN105370572B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646A (ko) 2017-01-13 201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180085285A (ko) 2017-01-18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WO2018230827A1 (ko) * 2017-06-14 2018-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190000688A (ko)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 성능을 개선한 압축기
KR20190006400A (ko) * 2017-07-10 2019-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 구조를 개선한 압축기
KR102043157B1 (ko) * 2018-07-26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WO2019221400A1 (ko) * 2018-05-17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밸브 시트와 스토퍼 시트가 구비되는 압축기
KR20190135375A (ko) * 2018-05-28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 구조를 개선한 스크롤 압축기
KR20190142568A (ko) * 2018-06-18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KR20200007548A (ko)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KR20200027169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진공펌프
KR102189105B1 (ko) 2019-07-01 2020-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EP3757391A1 (en) 2019-06-25 2020-12-30 LG Electronics Inc. Suction valve assembly of compressor
KR20210000692A (ko) 2020-07-20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흡입밸브 어셈블리
US11306719B2 (en) 2018-06-18 2022-04-19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KR20220148376A (ko) * 2021-04-28 202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240017262A (ko) 2022-07-29 202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2000397B2 (en) 2018-05-28 2024-06-04 Lg Electronics Inc. Scroll compressor having enhanced discharge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126B1 (ko) * 2017-04-12 2021-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180136282A (ko) 2017-06-14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및 차압 급유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101974272B1 (ko) 2017-06-21 2019-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유로 구조가 구비되는 압축기
KR102396559B1 (ko) 2017-06-22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러스트면 윤활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102383135B1 (ko) 2017-07-24 2022-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급유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FR3070446B1 (fr) * 2017-08-29 2020-02-07 Danfoss Commercial Compressors Un compresseur a spirales ayant un orifice de refoulement principal central et un orifice de refoulement auxiliaire
KR102013614B1 (ko) * 2018-04-09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N111971477B (zh) * 2018-04-23 2022-03-22 三菱电机株式会社 涡旋压缩机
KR102043155B1 (ko) 2018-05-09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EP3567212B1 (en) * 2018-05-10 2024-01-17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having oldham's ring
KR102483710B1 (ko) * 2018-05-17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2086349B1 (ko) 2018-08-31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JP7035216B2 (ja) * 2018-11-01 2022-03-14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または、ロータリ圧縮機
KR102191874B1 (ko) 2019-02-14 2020-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US20230160386A1 (en) * 2020-04-08 2023-05-2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Suzhou) Co., Ltd. Compression mechanism and scroll compres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9489B2 (ja) * 2007-05-17 2009-12-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059880B1 (ko) * 2011-03-09 2011-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8979A (ja) * 1985-08-27 1987-03-03 Hitachi Ltd スクロ−ル圧縮機
JPS62197684A (ja) * 1986-02-26 1987-09-01 Hitachi Ltd スクロ−ル圧縮機
JP3132888B2 (ja) 1992-04-01 2001-02-0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スクロール型可変容量圧縮機
JP2002221171A (ja) 2001-01-23 2002-08-09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924895B1 (ko) * 2002-05-24 2009-11-02 파나소닉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N102418698B (zh) * 2008-05-30 2014-12-10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具有包括活塞致动的输出调节组件的压缩机
US8568118B2 (en) * 2009-05-29 2013-10-2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piston assembly
CN102042224B (zh) 2009-10-14 2014-03-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涡旋式压缩机
US9267501B2 (en) 2011-09-22 2016-02-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including biasing passage located relative to bypass por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9489B2 (ja) * 2007-05-17 2009-12-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059880B1 (ko) * 2011-03-09 2011-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646A (ko) 2017-01-13 201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0890182B2 (en) 2017-01-18 2021-01-12 Lg Electronics Inc. Scroll compressor having check valve and passage that communicates a discharge port with a discharge space when the check valve is closed
KR20180085285A (ko) 2017-01-18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WO2018230827A1 (ko) * 2017-06-14 2018-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180136210A (ko) * 2017-06-14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190000688A (ko)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 성능을 개선한 압축기
KR20190006400A (ko) * 2017-07-10 2019-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 구조를 개선한 압축기
WO2019221400A1 (ko) * 2018-05-17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밸브 시트와 스토퍼 시트가 구비되는 압축기
KR20190135375A (ko) * 2018-05-28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 구조를 개선한 스크롤 압축기
US12000397B2 (en) 2018-05-28 2024-06-04 Lg Electronics Inc. Scroll compressor having enhanced discharge structure
US11428229B2 (en) 2018-05-28 2022-08-30 Lg Electronics Inc. Scroll compressor having enhanced discharge structure
KR20190142568A (ko) * 2018-06-18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US11306719B2 (en) 2018-06-18 2022-04-19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KR20200007548A (ko)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US11209003B2 (en) 2018-07-13 2021-12-28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with a muffler
KR102043157B1 (ko) * 2018-07-26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KR20200027169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진공펌프
US11111920B2 (en) 2019-06-25 2021-09-07 Lg Electronics Inc. Suction valve assembly for a compressor and a compressor having a suction valve assembly
KR20210000435A (ko) 2019-06-25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EP3757391A1 (en) 2019-06-25 2020-12-30 LG Electronics Inc. Suction valve assembly of compressor
EP3760868A1 (en) 2019-07-01 2021-01-06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US11221007B2 (en) 2019-07-01 2022-01-11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including rotational shaft with refrigerant flow path
KR102189105B1 (ko) 2019-07-01 2020-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KR20210000692A (ko) 2020-07-20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흡입밸브 어셈블리
KR20220148376A (ko) * 2021-04-28 202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240017262A (ko) 2022-07-29 202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1493B2 (en) 2018-08-07
US20180073506A1 (en) 2018-03-15
US20160047378A1 (en) 2016-02-18
CN105370572B (zh) 2017-09-26
US10132314B2 (en) 2018-11-20
US10202978B2 (en) 2019-02-12
US10907634B2 (en) 2021-02-02
US20180073507A1 (en) 2018-03-15
KR102241201B1 (ko) 2021-04-16
US20190136857A1 (en) 2019-05-09
CN105370572A (zh) 2016-03-02
US10208752B2 (en) 2019-02-19
US20180073505A1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201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234708B1 (ko) 스크롤 압축기
US11339785B2 (en) Scroll compressor with recesses and protrusions
US10815994B2 (en) Mutual rotating scroll compressor
KR102365394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462941B1 (ko) 횡형 스크롤 압축기
JP5832325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2226457B1 (ko) 스크롤 압축기
US9157438B2 (en) Scroll compressor with bypass hole
KR20130102351A (ko) 횡형 스크롤 압축기
JP2007154761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771391A (ja) スクロ−ル型圧縮機
KR20090043989A (ko) 스크롤 압축기
JP200903046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565824B1 (ko) 스크롤 압축기
KR20170122020A (ko) 스크롤 압축기
JP519577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190006400A (ko) 토출 구조를 개선한 압축기
US11674510B2 (en) Scroll compressor with axially slidable suction passage opening and closing valve
KR20190000688A (ko) 토출 성능을 개선한 압축기
KR101275190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608742B1 (ko) 로터리 압축기
US11668302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oil supply passage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compression chambers
KR102507073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964961B1 (ko) 점차적 유로 면적 변화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