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937A -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937A
KR20160018937A KR1020140101880A KR20140101880A KR20160018937A KR 20160018937 A KR20160018937 A KR 20160018937A KR 1020140101880 A KR1020140101880 A KR 1020140101880A KR 20140101880 A KR20140101880 A KR 20140101880A KR 20160018937 A KR20160018937 A KR 2016001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region
brightness
area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585B1 (ko
Inventor
변석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585B1/ko
Priority to US14/558,233 priority patent/US9153161B1/en
Priority to CN201410740094.6A priority patent/CN105719617B/zh
Publication of KR2016001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53Controlling or limiting the speed of brightness adjustment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휘도 조절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와,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을 토대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설정하는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와,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TIMING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상(Image, 본 명세서에서는 "오브젝트"라고도 함)이 사라진 이후, 이전의 상이 남아있는 잔상(After-Image)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화상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화소 내 회로 소자(예: 트랜지스터, 유기발광다이오드 등)의 열화(Degradation)가 진행된 경우, 더욱 심각한 또는 영구적인 잔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잔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주어 화상 품질을 높여주는 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잔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별로 차등화된 잔상 방지 처리를 해줌으로써, 화상 품질을 높여주는 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적응적인 휘도 조절을 통해 잔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화상 품질을 높여주는 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 조절을 차등화하여 적응적으로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로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휘도 조절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을 토대로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설정하는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 및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형성된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패널에서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동일한 상(Image)이 지속적으로 표출되는 동안, 상기 상(Image)의 휘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형성된 표시패널;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일부의 영역을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하고,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을 토대로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휘도에 따라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은, 잔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주어 화상 품질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잔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별로 차등화된 잔상 방지 처리를 해줌으로써, 화상 품질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적응적인 휘도 조절을 통해 잔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화상 품질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 조절을 차등화하여 적응적으로 제공하여, 화상 품질을 효율적으로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휘도 조절 영역(LCA: Luminance Control Area) 검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적응적인 휘도 조절을 위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적응적인 휘도 조절을 위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 설정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휘도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휘도 조절 시, 휘도 회복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 m: 자연수) 및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 n: 자연수)이 형성된 표시패널(110)과,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120)와,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130)와,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표시패널(110)에는,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 및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마다 화소(P: Pixel)가 형성된다.
전술한 표시패널(110)에 형성된 각 화소에는,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각 화소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에 형성된 회로 소자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열화(Degradation)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들에서 방지하고자 하는 잔상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전술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 등의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부(130)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한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2개로 나누어져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130)는, 다수의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Gate 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수의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동부(12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Data)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해두고,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해당 영상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Vdata)으로 변환하여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으로 공급함으로써,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을 구동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부(120)는 다수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ata Driver IC, 소스 구동 집적회로(Source Driver IC)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수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적응적인 휘도 조절(Adaptive Luminance Control)을 통해, 장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상(Image)가 표출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상(Image)에 대한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적응적인 휘도 조절에 따르면, 일정 시간(예: 몇 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오브젝트가 지속적으로 표출될 때, 이 오브젝트의 휘도(Luminance)가 조절되어 변할 수 있다.
또한, 적응적인 휘도 조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두 상(Image)의 경우, 각 상(Image)의 휘도가 변하는 정도(뒤에서 언급되는 타겟 최저 휘도값 또는 최대 휘도 저감폭 등으로 정의될 수 있음) 또는 속도(뒤에서 언급되는 휘도 조절 속도 인자인 휘도 조절 시간 및 휘도 저감 기울기 등으로 정의될 수 있음)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상(Image)"은, 오브젝트(Object)라고 하며, 아래에서는, 오브젝트로도 기재한다.
또한, "휘도의 조절 및 변화"는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표출된 오브젝트의 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휘도의 조절 및 변화를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휘도의 조절 및 변화에 따른 "잔상 방지"는, 잔상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잔상이 존재하더라도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도록 해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전술한 잔상 방지 기능은, 일 예로,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잔상 방지 기능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일부의 영역을 "휘도 조절 영역(LCA: Luminance Control Area)"으로 검출하고,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 Input Luminance)"을 토대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예: 타겟 최저 휘도값 등)"를 설정하며,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휘도에 따라 보정된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Data)를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 전압을 변환하여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영역"은, 블록(Block)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하나의 화소 영역 또는 둘 이상의 화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휘도 조절 영역"은, 잔상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동일한 오브젝트가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표출되는 영역을 의미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표출되는 오브젝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전술한 잔상 방지 기능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동일한 오브젝트가 지속적으로 표출되었다가, 오브젝트가 사라진 이후에도, 오브젝트가 계속해서 보이는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상 품질을 상당히 개선해줄 수 있다.
또한, 잔상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에 해당하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 각각에 대하여, 타겟 최저 휘도값 등의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 각각에 대한 휘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개별적인 잔상 방지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상 품질을 상당히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에 간략하게 도시된 표시장치(100)는, 일 예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상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잔상 방지 기능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 휘도 조절부(230) 등을 포함한다.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는, 각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한다.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을 토대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Luminance Control Reference Information)를 설정한다.
휘도 조절부(230)는,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고,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조절된 휘도에 따라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적응적인 휘도 조절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동일한 오브젝트가 지속적으로 표출되었다가, 오브젝트가 사라진 이후에도, 다른 영상 이미지와 함께, 오브젝트가 계속해서 보이는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상 품질을 상당히 개선해줄 수 있다.
특히, 잔상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에 해당하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각 영역의 잔상 발생 정도가 다른 경우에도,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인 잔상 방지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상 품질을 상당히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잔상 발생 정도는, 일 예로, 해당 영역의 입력 휘도값의 높고 낮음에 따라 달라질 수 있거나, 잔상이 없을 때의 휘도값에 비해, 잔상이 있을 때의 휘도값이 얼마나 차이가 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포함된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 및 휘도 조절부(230) 각각에 의해 수행되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 기능, 휘도 조절 기준 정보 설정 기능 및 휘도 조절 기능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의 휘도 조절 영역 검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화면에 표출되는 오브젝트의 예시도이다. 도 4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을 위한 영상 데이터 분석 범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는, 외부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각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입력 휘도값이 일정 휘도 범위 이내에서 유지되는 영역을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이 충족되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한다.
즉,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는, 장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입력 휘도값이 바뀌지 않는 또는 바뀌더라도 미미하게 바뀌는 영역이 있다면, 이 영역을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이 충족되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력 휘도값을 기준으로 휘도 조절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휘도 조절 영역을 쉽고 빨리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에 의해 휘도 조절 영역(LCA)으로 검출된 영역은, 화면(300)에서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표출되는 오브젝트(310) 그 자체이거나,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동일한 오브젝트(310)를 지속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300)의 우측 상단과 좌측 상단에는, "TALK SHOW"와 "CH 11"이라는 문구의 오브젝트(310)가 표출되어 있다. 여기서, "TALK SHOW"와 "CH 11"가 오브젝트일 수 있고, 해석에 따라서는, "T", "A", "L", "K", "C", "H", "1", "1" 각각을 오브젝트로 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CH 11"이라는 문구에서 "1"이 표출되는 부분의 확대도를 보면, "1"을 표출하기 위하여 주변보다 밝게 표시되는 여러 개의 영역이 휘도 조절 영역(LCA)으로 검출된다.
장시간 고정된 위치에서 표출되는 오브젝트에 의한 잔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잔상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화상 품질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브젝트(대상)"는, 일 예로, 로고(Logo),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날씨 정보, 채널 정보, 콘텐츠 관련 정보,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및 자막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이러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매 프레임마다 변하지 고정된 위치에서 표출되어 잔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그 어떠한 대상일 수도 있다.
장시간 고정된 위치에서 표출되는 로고(Logo),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날씨 정보, 채널 정보, 콘텐츠 관련 정보,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및 자막 등에 의한 잔상을 방지하여, 화상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오브젝트의 예시에 의하면, 오브젝트는 전체 화면에서 임의의 위치에 표출될 수도 있지만, 화면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의 시청에 큰 방해를 주지 않는 제한된 위치(예: 테두리 영역, 코너 영역 등)에 표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는, 오브젝트의 표출 가능 위치를 고려하여, 전체 화면의 화면 전체 영역 중 일정 비율의 부분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조절 영역을 검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휘도 조절 영역 검출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 분석의 범위를 제한된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영상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분석량 및 분석 시간을 크게 줄여줄 수 있게 되어, 휘도 조절 영역의 고속 검출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휘도 조절 영역의 고속 검출은 잔상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큰 휘도 조절 영역에 대하여 휘도 조절을 적절한 타이밍에 해줄 수 있다.
따라서, 휘도 조절 영역의 검출이 늦어져서 발생할 수 있는 잔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가 휘도 조절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제한된 영상 데이터 분석 범위에 해당하는 부분 영역은, 일 예로, 오브젝트의 표출 가능 위치를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300)에서 테두리 영역(EA: Edge Area)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 영역(CA: Corner Area, CA1, CA2, CA3, CA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 영역(EA) 및 코너 영역(CA)은 영상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된다.
이와 같이, 휘도 조절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테두리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 영역의 제한된 범위에서만 영상 데이터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휘도 조절 영역의 검출 정확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영상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분석량 및 분석 시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다음으로,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의 휘도 조절 기준 정보 설정 기능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적응적인 휘도 조절(Adaptive Luminance Control)을 위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적응적인 휘도 조절을 위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 설정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에 의해 휘도 조절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이 검출되고 나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 조절을 위하여,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을 위한 기준 정보를 설정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되는 휘도 조절 기준 정보는, 일 예로, 해당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 Input Luminance), 해당 영역의 휘도 조절의 한계치인 타겟 최저 휘도값(Lt: Target Minimum Luminance) 및/또는 최대 휘도 저감폭(△L)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타겟 최저 휘도값(Lt)은, 입력 휘도값(Lin) 및 최대 휘도 저감폭(△L)이 정해지면 결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휘도 조절 기준 정보는, 입력 휘도값(Lin)에서 타겟 최저 휘도값(Lt)까지 휘도가 변하는 속도(휘도 조절 속도)를 정의할 수 있는 휘도 저감 기울기(S: Slope, S는 절대값) 또는 휘도 조절 시간(△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에 의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하여, 입력 데이터로부터 입력 휘도값(Lin)을 확인하고, 확인된 입력 휘도값(Lin)으로부터 최대한 낮아질 수 있는 휘도값에 해당하는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설정하거나, 확인된 입력 휘도값(Lin)으로부터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최대 휘도 저감폭(△L) 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를 입력 휘도값(Lin)에서 타겟 최저 휘도값(Lt)까지 어느 정도의 휘도 조절 속도로 낮출지를 정의하기 위하여, 또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를 입력 휘도값(Lin)에서 최대 휘도 저감폭(△L) 만큼을 어느 정도의 휘도 조절 속도를 낮출지를 정의하기 위하여,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에 따라, 휘도 저감 기울기(S) 또는 휘도 조절 시간(△T=Tt-Td)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Td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 시점 또는 휘도 조절 영역이 검출된 후 휘도 조절 기준 정보가 모두 설정된 후, 휘도 조절이 시작된 시점이다. Tt는 휘도 조절에 따라,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가 원하는 타겟 최저 휘도값(Lt)이 되거나 원하는 최대 휘도 저감폭(△L) 만큼 낮아졌을 때의 시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가장 기본적으로,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에 의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을 영상 데이터로부터 확인하여, 확인된 입력 휘도값(Lin)에 따라,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타겟 최저 휘도값(Lt) 또는 최대 휘도 저감폭(△L)을 차등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각 영역별로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차등화하여 개별적으로 설정함으로써, 개별적이고 차등화된 휘도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각 영역에 맞는 잔상 방지 처리와 그에 따른 효과적인 화상 품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에 따라,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차등화하여 개별적으로 설정함에 있어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이 높은 휘도값(밝은 휘도값, Lin_1)일수록, 낮은 휘도값(Lt_1)으로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설정하거나, 큰 저감폭(△L1)으로 최대 휘도 저감폭(△L)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에 따라,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차등화하여 개별적으로 설정함에 있어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이 낮은 휘도값(어두운 휘도값, Lin_2)일수록, 높은 휘도값(Lt_2)으로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설정하거나, 작은 저감폭(△L2)으로 최대 휘도 저감폭(△L)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Td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 시점 또는 휘도 조절 영역이 검출된 후 휘도 조절 기준 정보가 모두 설정된 후, 휘도 조절이 시작된 시점이다. Tt는 휘도 조절에 따라,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가 원하는 타겟 최저 휘도값(Lt)이 되거나 원하는 최대 휘도 저감폭(△L) 만큼 낮아졌을 때의 시간이다.
전술한 타겟 최저 휘도값(Lt) 및/또는 최대 휘도 저감폭(△L)의 차등화된 설정과 관련하여 다시 설명하면, 잔상 현상이 더욱 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고 위험군의 영역과, 잔상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고 위험군의 영역에 비해, 잔상 현상이 덜 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저 위험군의 영역이 있다고 할 때,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저 위험군의 영역에 비해, 고 위험군의 영역에 대한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더욱 낮게 설정하거나, 저 위험군의 영역에 비해, 고 위험군의 영역에 대한 최대 휘도 저감폭(△L)을 더욱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잔상 현상이 심한 정도는, 육안으로 잔상이 인지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일 예로, 잔상이 없을 때의 휘도값과 잔상이 있을 때의 휘도값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잔상 현상이 심하다고 할 수 있다. 또는, 입력 휘도값과 실제로 보이는 휘도값 간의 차이가 클수록, 잔상 현상이 심하다고 할 수 있다. 대체로, 입력 휘도값(Lin)이 높은 경우, 즉, 밝은 휘도값을 갖는 경우, 잔상 현상이 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이, 입력 휘도값(Lin)에 반비례하도록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설정하거나, 입력 휘도값(Lin)에 비례하도록 최대 휘도 저감폭(△L)을 설정함으로써, 잔상 현상이 더욱 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고 위험군의 영역과, 잔상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고 위험군의 영역에 비해, 잔상 현상이 덜 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저 위험군의 영역 각각에 맞는 휘도 조절 처리를 적응적(Adaptive)이고 차등적(Differential)으로 해줄 수 있어, 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잔상 현상이 더욱 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고 위험군의 영역의 경우,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거나 최대 휘도 저감폭(△L)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휘도 조절이 부족하지 않도록 해주어, 잔상 방지 처리가 완전하게 될 수 있도록 해준다.
잔상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고 위험군의 영역에 비해, 잔상 현상이 덜 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저 위험군의 영역에 대해서는, 타겟 최저 휘도값(Lt)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거나 최대 휘도 저감폭(△L)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휘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써, 불필요한 화상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에 따라, 휘도 조절 속도 인자인 "휘도 조절 시간(△T)"을 휘도 조절 기준 정보로서 더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등화된 휘도 조절을 위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로서, 휘도 조절의 최종 한계치와 관련된 타겟 최저 휘도값(Lt) 또는 최대 휘도 저감폭(△L) 이외에, 휘도 조절 시간(△T)을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별로 차등화하여 더 설정함으로써, 휘도 조절 속도를 적응적으로 차등화하여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잔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휘도 조절 속도를 차등화하여 조절하기 위하여, 휘도 조절 시간(△T)을 차등화하여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이 높은 휘도값(Lin_1)일수록, 짧은 시간값(△T1=Tt1-Td)으로 휘도 조절 시간(△T)을 설정하고,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이 낮은 휘도값(Lin_2)일수록, 긴 시간값(△T2=Tt2-Td)으로 휘도 조절 시간(△T)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서, Td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 시점 또는 휘도 조절 영역이 검출된 후 휘도 조절 기준 정보가 모두 설정된 후, 휘도 조절이 시작된 시점이다. Tt1 및 Tt2는 휘도 조절에 따라,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가 원하는 타겟 최저 휘도값(Lt)이 되거나 원하는 최대 휘도 저감폭(△L) 만큼 낮아졌을 때의 시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각 영역에 맞게 휘도 조절 시간(△T)을 차등화하여 설정함에 있어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이 높은 휘도값(Lin_1)을 갖는 경우, 즉, 잔상 현상이 더욱 심각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휘도 조절 시간(△T)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휘도 조절이 더욱 빨리 진행되도록 해줄 수 있다. 휘도 조절이 빨리 진행된 만큼 잔상 발생 가능성을 더욱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에 따라, 휘도 조절 속도 인자인 휘도 저감 기울기(S)를 휘도 조절 기준 정보로서 더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등화된 휘도 조절을 위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로서, 휘도 조절의 최종 한계치와 관련된 타겟 최저 휘도값(Lt) 또는 최대 휘도 저감폭(△L) 이외에, 휘도 저감 기울기(S)를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별로 차등화하여 더 설정함으로써, 휘도 조절 속도를 적응적으로 차등화하여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잔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는,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이 높은 휘도값(Lin_1)일수록, 큰 기울값(S1)으로 휘도 저감 기울기(S)를 설정하고,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이 낮은 휘도값(Lin_2)일수록, 작은 기울값(S2)으로 휘도 저감 기울기(S)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각 영역에 맞게 휘도 저감 기울기(S)를 차등화하여 설정함에 있어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이 높은 휘도값(Lin_1)을 갖는 경우, 즉, 잔상 현상이 더욱 심각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휘도 저감 기울기(S)를 급한 기울기 값(S1)으로 설정함으로써, 휘도 조절이 더욱 빨리 진행되도록 해줄 수 있다. 휘도 조절이 빨리 진행된 만큼 잔상 발생 가능성을 더욱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휘도 조절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휘도 조절 시간(△T) 및 휘도 저감 기울기(S)를 설정함에 있어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각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이 높은 휘도값, 즉, 밝은 휘도값일 수록, 휘도 조절 시간(△T)를 짧게 설정하거나, 휘도 저감 기울기(S)를 크게 설정하여, 휘도 조절 속도를 빠르게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휘도 급변에 따른 화상 품질의 이질감을 줄여주기 위하여,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각 영역의 입력 휘도값(Lin)에 관계없이, 휘도 조절 시간(△T) 및 휘도 저감 기울기(S)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휘도 조절 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또 다음으로, 휘도 조절부(230)의 휘도 조절 기능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휘도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휘도 조절 시, 휘도 회복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휘도 조절부(230)는,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에서 설정된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Td 시점에서,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에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입력 휘도값(Lin)에서부터 낮추기 시작하여, 휘도를 낮추는 도중에, Tt 시점에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값이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포함된 타겟 최저 휘도값(Lt)이 되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값을 더 떨어뜨리지 않고 타겟 최저 휘도값(Lt)으로 유지시켜준다.
여기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는, 타겟 최저 휘도값(Lt) 및 최대 휘도 저감폭(△L) 중 적어도 하나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휘도 저감 기울기(S), 휘도 조절 시간(△T)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따른 휘도 조절을 통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낮추더라도, 타겟 최저 휘도값(Lt)보다 낮게는 휘도를 낮추지 않음으로써, 과도한 휘도 저하에 따른 화상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휘도 조절부(230)는,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220)에서 설정된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Td 시점에서,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210)에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입력 휘도값(Lin)에서부터 낮추기 시작하여, 휘도를 낮추는 도중에, Tc 시점에서,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되었던 해당 영역이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되었던 영역을 휘도 미조절 영역으로 변경하고, 휘도 미조절 영역으로 변경된 영역의 휘도를 Tc 시점에서의 휘도값(Lc)에서 입력 휘도값(Lin)으로 회복(Recovery)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휘도 조절 도중에,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되었던 영역이 잔상 발생 특성이 바뀌는 경우, 즉, 잔상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작은 휘도 미조절 영역으로 바뀌는 경우, 적응적인 휘도 조절 처리를 해주어, 불필요한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휘도 저하에 따른 화상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휘도 조절 도중에,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되었던 영역이 잔상 발생 특성이 바뀌어 휘도 미조절 영역으로 변경된 경우, 불필요한 휘도 저하를 막기 위하여, 휘도 미조절 영역으로 변경된 시점(Tc)까지 조절된 휘도를 입력 휘도값(Lin)으로 회복시킴에 있어서, 도 10a와 같이, Tc 시점의 휘도 저감 기울기(S)와 대응되는 휘도 상승 기울기(S')로, Tc 시점에서의 휘도값(Lc)에서 입력 휘도값(Lin)으로 휘도 미조절 영역으로 변경된 영역의 휘도를 회복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도 10b와 같이, 도 10a와 같이, Tc 시점의 휘도 저감 기울기(S)와 대응되는 휘도 상승 기울기(S')로, 휘도 미조절 영역으로 변경된 영역의 휘도를 Tc 시점에서의 휘도값(Lc)에서 입력 휘도값(Lin)으로 즉각적으로 회복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잔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주어 화상 품질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잔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별로 차등화된 잔상 방지 처리를 해줌으로써, 화상 품질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적응적인 휘도 조절을 통해 잔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화상 품질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 조절을 차등화하여 적응적으로 제공하여, 화상 품질을 효율적으로 높여줄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데이터 구동부
130: 게이트 구동부
140: 타이밍 컨트롤러

Claims (17)

  1.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휘도 조절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을 토대로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설정하는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 및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입력 휘도값이 일정 휘도 범위 이내에서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상기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이 충족되는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영역 검출부는,
    화면 전체 영역 중 일정 비율의 부분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휘도 조절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타이밍 컨트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역은,
    상기 화면 전체 영역에서의 테두리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은,
    일정 시간 동안 오브젝트를 지속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화면에 표출되는 상(Image)로서, 로고(Logo),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날씨 정보, 채널 정보, 콘텐츠 관련 정보,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는,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에 따라,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로서 타겟 최저 휘도값 또는 최대 휘도 저감폭을 차등화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는,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이 높을수록, 상기 타겟 최저 휘도값을 낮게 설정하거나 상기 최대 휘도 저감폭을 크게 설정하고,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이 낮을수록, 상기 타겟 최저 휘도값을 높게 설정하거나 상기 최대 휘도 저감폭을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는,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에 따라, 휘도 조절 속도 인자인 휘도 조절 시간을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로서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는,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이 높을수록, 상기 휘도 조절 시간을 짧게 설정하고,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이 낮을수록, 상기 휘도 조절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는,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에 따라, 휘도 조절 속도 인자인 휘도 저감 기울기를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로서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설정부는,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이 높을수록, 상기 휘도 저감 기울기를 크게 설정하고,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이 낮을수록, 상기 휘도 저감 기울기를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부는,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낮추는 도중,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값이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포함된 타겟 최저 휘도값이 되면,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값을 상기 타겟 최저 휘도값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부는,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낮추는 도중,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되었던 영역이 상기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되었던 영역을 휘도 미조절 영역으로 변경하고, 상기 휘도 미조절 영역으로 변경된 영역의 휘도를 입력 휘도값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15.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형성된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패널에서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동일한 상(Image)이 지속적으로 표출되는 동안, 상기 상(Image)의 휘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다른 두 상의 경우, 휘도가 변하는 정도 또는 속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형성된 표시패널;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조절 영역 조건을 만족하는 일부의 영역을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하고,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입력 휘도값을 토대로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휘도 조절 기준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휘도 조절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휘도에 따라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휘도 조절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01880A 2014-08-07 2014-08-07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 KR10212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80A KR102123585B1 (ko) 2014-08-07 2014-08-07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
US14/558,233 US9153161B1 (en) 2014-08-07 2014-12-02 Timing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CN201410740094.6A CN105719617B (zh) 2014-08-07 2014-12-05 定时控制器以及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80A KR102123585B1 (ko) 2014-08-07 2014-08-07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937A true KR20160018937A (ko) 2016-02-18
KR102123585B1 KR102123585B1 (ko) 2020-06-17

Family

ID=5420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880A KR102123585B1 (ko) 2014-08-07 2014-08-07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53161B1 (ko)
KR (1) KR102123585B1 (ko)
CN (1) CN10571961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4596B2 (en) 2020-04-17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2225247A1 (ko) * 2021-04-23 2022-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752B1 (ko) * 2016-12-28 2023-08-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장치
KR20220089808A (ko) 2020-12-21 2022-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30118222A (ko) * 2022-02-03 2023-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1842A1 (en) * 2003-06-10 2004-12-16 Hitachi,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with static image detection
KR20100030978A (ko) * 2008-09-11 201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3116C (zh) * 2000-10-31 2008-06-0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显示图像的系统和方法
KR100454027B1 (ko) * 2002-06-14 2004-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잔상 방지 방법과 장치, 그 장치를갖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장치
KR100520833B1 (ko) * 2003-10-21 2005-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균화상레벨을 이용한 잔상 감소방법 및 장치
US20050212726A1 (en) * 2004-03-16 2005-09-29 Pioneer Plasma Display Corporation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burn-in reduction device for reducing burn-in on display device
JP2006047617A (ja) * 2004-08-04 2006-02-16 Hitachi Displays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613091B1 (ko) * 2004-12-24 2006-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구동방법
US7466340B1 (en) * 2005-02-09 2008-12-16 William Herz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against pixel burn-in
JP4996065B2 (ja) * 2005-06-15 2012-08-08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CN101681586A (zh) * 2007-03-30 2010-03-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体显示装置以及该等离子体显示装置所使用的驱动方法
KR20080101700A (ko) * 2007-05-18 2008-11-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00026739A (ko) * 2008-09-01 201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1249895A (ja) * 2010-05-24 2011-12-08 Panasonic Corp 信号処理システム及び信号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1842A1 (en) * 2003-06-10 2004-12-16 Hitachi,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with static image detection
KR20100030978A (ko) * 2008-09-11 201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4596B2 (en) 2020-04-17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942016B2 (en) 2020-04-17 2024-03-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2225247A1 (ko) * 2021-04-23 2022-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19617A (zh) 2016-06-29
KR102123585B1 (ko) 2020-06-17
US9153161B1 (en) 2015-10-06
CN105719617B (zh)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33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로고 영역 휘도 조절 방법
US10026367B2 (en) Backlight adjustment method, backlight adjustment system and display device
US10262569B2 (en)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grayscale of a displayed image in which flicker is easily recognizab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JP5495228B2 (ja) 光源装置
KR20160018937A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
US87494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8175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89896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9189999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liquid cryst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6085395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200088546A (ko) 잔상 보상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37829B1 (ko) 로고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70003213A (ko) 타이밍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열화보상방법
KR102148207B1 (ko) 열화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34870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03856A (ko) 표시장치, 그 표시패널 및 그 타이밍 컨트롤러
KR102215986B1 (ko) 소비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8022561A (zh) 用以减轻拖尾现象的图像处理方法与电路及相关显示装置
KR101136220B1 (ko) 액정표시장치
US11187931B2 (en) Polymer networ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KR101192778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70012009A (ko) Pat 기능을 갖는 피디피 티비의 경계 잔상제거방법
KR10155678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461033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65796B1 (ko) 광 단속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