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912A -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8912A KR20160018912A KR1020140101703A KR20140101703A KR20160018912A KR 20160018912 A KR20160018912 A KR 20160018912A KR 1020140101703 A KR1020140101703 A KR 1020140101703A KR 20140101703 A KR20140101703 A KR 20140101703A KR 20160018912 A KR20160018912 A KR 201600189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oard
- printed circuit
- display device
- folding
- rear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1—Arrangements for reducing stress or warp in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e.g. caused by loads, vibrations or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회로기판을 표시장치의 후면에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는, XY축으로 형성된 평면으로 구성된 스테이지; 바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이지에 배치된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폴딩시키는 폴딩바; 상기 폴딩바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인접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후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될 정렬위치에 배치시키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후면에 밀착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고정 테이프를 상기 후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시키는,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태블릿PC, 노트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에는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가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영동표시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이하, 간단히 '표시장치'라 함)들 중에서, 액정표시장치(LCD)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박형, 소형, 저소비전력 및 고화질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표시장치들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빠른 응답속도, 높은 발광효율, 높은 휘도 및 큰 시야각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커버, 상기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패널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패널의 전면에는 커버글라스가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터치감지를 위한 터치패널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패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커버의 후면에 부착시키는 폴딩 공정이 요구된다.
종래의 폴딩 공정은 수동으로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커버의 후면으로 폴딩시킨 후,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커버의 후면에 밀착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커버의 후면에 부착시켰다.
이 경우, 작업자는 지그(Jig) 및 각인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부착위치를 결정하고, 인쇄회로기판을 부착위치에 위치시킨 후,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눌러줌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을 커버의 후면에 부착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폴딩 공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이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인쇄회로기판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부정확한 누름 작업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빛샘 불량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폴딩 공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작업자가 요구되며, 따라서, 표시장치의 제조 비용이 상승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을 표시장치의 후면에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는, XY축으로 형성된 평면으로 구성된 스테이지; 바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이지에 배치된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폴딩시키는 폴딩바; 상기 폴딩바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인접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후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될 정렬위치에 배치시키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후면에 밀착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고정 테이프를 상기 후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을 폴딩 시키는 공정이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의 부착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고, 균등한 힘으로 누름 공정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이 표시장치에 부착된 후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빛샘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의 일실시예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표시장치가 놓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적용되는 폴딩바가 인쇄회로기판을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적용되는 이동부가 표시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적용되는 이동부가 인쇄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의 일실시예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표시장치가 놓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적용되는 폴딩바가 인쇄회로기판을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적용되는 이동부가 표시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적용되는 이동부가 인쇄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의 일실시예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폴딩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축으로 형성된 평면으로 구성된 스테이지(120), 바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이지(120)에 배치된 표시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 방향으로 폴딩시키는 폴딩바(150), 상기 폴딩바(150)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에 인접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후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140), 상기 이동부(14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부착될 정렬위치에 배치시키는 정렬부(180) 및 상기 정렬부(180)에 의해 정렬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후면에 밀착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에 부착된 고정 테이프를 상기 후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바(150), 상기 이동부(140), 상기 정렬부(180) 및 상기 부착부(160)는,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되어,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표시장치(200)는, 패널이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210), 상기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투명기판(240), 상기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23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패널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패널(미도시)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픽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픽셀의 구조는 상기 패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이 유기발광패널인 경우, 상기 패널은, 유기발광다이오드,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들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는 하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을 밀봉시키기 위한 상부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패널은, 두 장의 유리기판과, 상기 두 개의 유리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기판에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부들 각각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에 형성되는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or)들, 상기 픽셀에 형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픽셀전극들이 형성된다.
둘째,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패널을 보호한다. 상기 패널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케이스(210)에는 상기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가 장착된다.
셋째, 상기 투명기판(240)은 상기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다. 도 2에는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상기 투명기판(240)은 상기 케이스(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상기 표시장치(200)에서는, 상기 투명기판(240)의 전면이 상기 스테이지(120)의 평면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 투명기판(240)은 상기 패널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강화유리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패널에서의 터치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이 될 수도 있다.
넷째,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에는 상기 패널로 각종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각종 전자소자들이 장착되어 있다.
다섯째,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패널의 패드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패드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20)는 플렉서블한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스테이지(120)는 지지대(110)에 의해 지지되며, XY축으로 형성된 평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지(120)의 평면에는 상기 표시장치(200)가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장치(200)의 상기 투명기판(240)의 전면이 상기 스테이지(120)의 평면에 밀착된다.
상기 스테이지(120)에는 상기 표시장치(200)를 기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배치시키기 위해, 얼라인바들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표시장치의 상단부, 하단부 및 일측면을 정렬시키기 위한 세 개의 얼라인바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제1얼라인바(131)는 상기 스테이지(12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표시장치(200)의 상단부를 정렬시키고, 제2얼라인바(132)는 상기 스테이지(12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표시장치(200)의 하단부를 정렬시키며, 제3얼라인바는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표시장치(200)의 일측면을 정렬시킨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이하, 간단히 '폴딩 장치'라 함)에서, 상기 표시장치(200)는 상기 폴딩 장치의 우측을 통해 상기 스테이지(120)에 놓여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표시장치(200)는 상기 제3얼라인바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200)가 상기 제3얼라인바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얼라인바(132)는 상기 제1얼라인바(13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얼라인바(131)와 상기 제3얼라인바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얼라인바(132)가 상기 제1얼라인바(13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의 상단부는 상기 제1얼라인바(131)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스테이지(120)의 기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장치(20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스테이지(120)의 기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120)에는 복수의 흡착홀(12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200)가 상기 스테이지(120)의 기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되면, 상기 흡착홀(121)들을 통해 상기 표시장치(200)가 흡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200)는 상기 스테이지(120)의 평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폴딩바(150)는 상기 스테이지(110)에 배치된 상기 표시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 방향으로 폴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얼라인바(131)가 장착되어 있는 부분에서, 상기 표시장치(200)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표시장치(200)의 전면, 즉, 투명기판(240)의 전면이 상기 스테이지(120)의 평면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폴딩바(1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 즉, 상기 케이스(210)의 후면 방향으로 폴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폴딩바(150)는, Z축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120)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스테이지(120)에 배치된 상기 표시장치(20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 즉, 상기 케이스(210)의 후면 방향으로 폴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폴딩바(15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바(150)는 하나만이 구비될 수 있으나, 두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폴딩 장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길이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폴딩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기 폴딩바(150)를 포함하는 상기 폴딩 장치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다음, 상기 이동부(140)는, 상기 폴딩바(150)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에 인접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후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상기 폴딩바(150)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으로 폴딩될 때, 상기 폴딩바(15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밀착 위치 등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 중,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배치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기 설정된 정렬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140)는, Z축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120)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에 인접된 후, 상기 정렬부(180)가 배치되어 있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40)가 상기 폴딩바(150)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140)와 상기 폴딩바(150)가 충돌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14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바(150)가 삽입될 수 있는 이동부 삽입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140)가 상기 폴딩바(15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140)와 상기 폴딩바(150)가 맞닿게 되더라도, 상기 폴딩바(150) 상기 폴딩바 삽입홈(141)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140)와 상기 폴딩바(150)는 충돌하지 않는다.
상기 이동부(14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는, 상기 폴딩부(150)와 맞닿지 않도록,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정렬부(180)는, 상기 이동부(14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부착될 정렬위치에 배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렬부(18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동부(14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140)가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정렬부(180)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타측면이 상기 정렬부(180)에 밀착되면, 상기 이동부(140)는 더 이상 상기 정렬부(180)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이동부(140)와 상기 정열부(180) 사이에서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놓여져 있는 위치가 상기 정렬위치가 된다.
즉, 상기 정렬부(180)는, 상기 이동부(140)와 함께,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배치되어야 할 정렬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장치(200)의 크기,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정렬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정렬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정렬부(180)의 위치 역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에 부착시키는 공정에서, 상기 정렬부(18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14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이동시키기 전 또는 이동시킬 때, 상기 정렬부(180)는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정렬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착부(160)는, 상기 정렬부(180)에 의해 정렬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후면에 밀착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에 부착된 고정 테이프를 상기 후면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부(140)에 의해 상기 정렬부(180) 방향으로 이동되던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상기 정렬부(180)에 의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정렬위치에 놓여진다.
이 경우, 상기 부착부(160), Z축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120)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밀착시킨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30) 중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과 마주보고 있는 면에는,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부(16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고정 테이프가 상기 후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상기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부(16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누르기 위해, Z축 방향으로 하강할 때, 상기 폴딩바(150)는 여전히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누르고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부(160)와 상기 폴딩바(150)가 충돌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착부(16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바(150)가 삽입될 수 있는 부착부 삽입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착부(160)가 하강하여, 상기 폴딩바(150)와 겹쳐지는 경우, 상기 폴딩바(150)는 상기 부착부 삽입홈(161)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부착부(160)와 상기 폴딩바(15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착부(160)는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의 동작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표시장치가 놓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적용되는 폴딩바가 인쇄회로기판을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적용되는 이동부가 표시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적용되는 이동부가 인쇄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제조된 상기 표시장치(200)의 전면, 즉, 상기 투명기판(240)의 전면이 상기 스테이지(120)의 평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표시장치(200)가 상기 스테이지(120)에 로딩된다.
상기 표시장치(200)가 상기 스테이지(120)에 배치되면, 상기 얼라인바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여, 상기 표시장치(200)를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킨다.
상기 표시장치(200)는, 패널이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210), 상기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투명기판(240), 상기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23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패널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은, 유기발광패널일 수도 있으며, 액정패널일 수도 있다. 상기 패널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케이스(210)에는 상기 액정패널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투명기판(240)은 상기 패널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강화유리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패널에서의 터치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장치(200)가 상기 스테이지(120)에 정렬되면, 상기 흡착홀(121)을 통해 공기가 흡착되어, 상기 표시장치(200)가 상기 스테이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과정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120)에 정렬된 상기 표시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상기 스테이지(120)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한 필름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휘어질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200)가 상기 스테이지(120)에 정렬될 때, 상기 제1얼라인바(131) 또는 상기 정렬부(180) 또는 기타 다양한 구조물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바(15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상단에 배치된 후,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 방향으로 누른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폴딩바(150)는, XY축으로 형성되는 상기 스테이지의 평면에 수직한 Z축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120)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스테이지(120)에 배치된 상기 표시장치(20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 즉, 상기 케이스(210)의 후면 방향으로 폴딩시킨다.
상기 폴딩바(15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Z축을 따라 하강한다.
이 경우, 상기 폴딩바(150)는 일차적으로 Y축을 따라 이동된 후, Z축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상기 폴딩바(150)에 의해 눌려지더라도, 상기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면이,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과 마주볼 수 없는 경우, 상기 폴딩바(150)는, 일차적으로, 도 4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좌측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30) 중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면이, 상기 후면과 마주보도록 한 후, 2차적으로 Z축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폴딩바(150)는, 상기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면이, 상기 후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후면 방향으로 눌러준다.
이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후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테이프가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정렬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140)가 Z축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40)와 상기 폴딩바(150)가 겹쳐지더라도, 상기 폴딩바(150)가 상기 이동부 삽입홈(141)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140)와 상기 폴딩바(150)는 충돌하지 않는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140)는, 상기 폴딩바(150)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후면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Z축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120) 방향으로 하강하며, 2차적으로 상기 정렬부(180)가 배치되어 있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정렬부(180) 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40)가 상기 폴딩바(150)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140)와 상기 폴딩바(150)가 충돌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140)에는, 상기 폴딩바(150)가 삽입될 수 있는 이동부 삽입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40)가 상기 정렬부(180)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이동부(140)와 상기 폴딩바(150)는 충돌하지 않는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렬부(180)는, 상기 이동부(14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부착될 정렬위치에 배치시킨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과 상기 정렬부(180) 사이에 간격(X)이 발생된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정렬위치에 배치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140)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간격(X) 만큼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140)가 Y축 방향으로 상기 간격(X) 만큼 이동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부(180)와 밀착되면, 상기 이동부(140)는 더 이상 Y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이동부(140)와 상기 정열부(180) 사이에서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놓여져 있는 위치가 상기 정렬위치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이동부(140)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정렬부(18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동부(14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부착부(160)는, 상기 정렬부(180)에 의해 정렬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후면에 밀착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에 부착된 고정 테이프를 상기 후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이동부(140)에 의해 상기 정렬부(180) 방향으로 이동되던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상기 정렬부(180)에 의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정렬위치에 놓여진다.
이 경우, 상기 부착부(160), Z축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120)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밀착시킨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30) 중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과 마주보고 있는 면에는,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부(16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상기 표시장치(200)의 후면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고정 테이프가 상기 후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이 상기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부(16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누르기 위해, Z축 방향으로 하강할 때, 상기 폴딩바(150)는 여전히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을 누르고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부(160)와 상기 폴딩바(150)가 충돌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착부(16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바(150)가 삽입될 수 있는 부착부 삽입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착부(160)가 하강하여, 상기 폴딩바(150)와 겹쳐지는 경우, 상기 폴딩바(150)는 상기 부착부 삽입홈(16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지그 및 각인 등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정렬하였고, 작업자가 직접 인쇄회로기판을 표시장치의 후면에 밀착시켜 인쇄회로기판을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시켰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조립 공정 시 수동으로 진행 되던 인쇄회로기판 폴딩 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수작업과 대비할 때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부착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고, 균등한 힘으로 누름 공정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이 표시장치에 부착된 후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빛샘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0 : 스테이지
140 : 이동부
150 : 폴딩바 160 : 부착부
170 : 제어부 180 : 정렬부
150 : 폴딩바 160 : 부착부
170 : 제어부 180 : 정렬부
Claims (5)
- XY축으로 형성된 평면으로 구성된 스테이지;
바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이지에 배치된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폴딩시키는 폴딩바;
상기 폴딩바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인접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후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될 정렬위치에 배치시키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후면에 밀착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고정 테이프를 상기 후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바는,
Z축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배치된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Z축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인접된 후, 상기 정렬부가 배치되어 있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폴딩바가 삽입될 수 있는 이동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동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Z축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밀착시키며,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폴딩바가 삽입될 수 있는 부착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703A KR102365455B1 (ko) | 2014-08-07 | 2014-08-07 |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703A KR102365455B1 (ko) | 2014-08-07 | 2014-08-07 |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8912A true KR20160018912A (ko) | 2016-02-18 |
KR102365455B1 KR102365455B1 (ko) | 2022-02-21 |
Family
ID=5545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1703A KR102365455B1 (ko) | 2014-08-07 | 2014-08-07 |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54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0327A (ko) * | 2016-10-12 | 2018-04-20 |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 수평형 피씨비 본딩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10663A1 (ja) * | 2008-07-25 | 2010-01-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部品実装装置及びその方法 |
KR200461804Y1 (ko) * | 2012-04-12 | 2012-08-09 | 백영선 | 터치패널의 fpcb 벤딩 접착장치 |
US20130081756A1 (en) * | 2011-09-30 | 2013-04-04 | Jeremy C. Franklin | Methods for Forming Electronic Devices with Bent Display Edges |
KR20140016487A (ko) * | 2012-07-30 | 2014-02-10 | (주)아이콘 | 카메라 모듈용 폴딩장치 |
-
2014
- 2014-08-07 KR KR1020140101703A patent/KR1023654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10663A1 (ja) * | 2008-07-25 | 2010-01-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部品実装装置及びその方法 |
US20130081756A1 (en) * | 2011-09-30 | 2013-04-04 | Jeremy C. Franklin | Methods for Forming Electronic Devices with Bent Display Edges |
KR200461804Y1 (ko) * | 2012-04-12 | 2012-08-09 | 백영선 | 터치패널의 fpcb 벤딩 접착장치 |
KR20140016487A (ko) * | 2012-07-30 | 2014-02-10 | (주)아이콘 | 카메라 모듈용 폴딩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0327A (ko) * | 2016-10-12 | 2018-04-20 |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 수평형 피씨비 본딩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5455B1 (ko) | 2022-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69388B2 (en) | Display device | |
KR102117265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용 벤딩 장치 | |
KR102233565B1 (ko) | 표시장치 | |
CN101178490B (zh) | 电光装置的制造方法 | |
KR101741820B1 (ko) | 터치방식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TWI619987B (zh) | 顯示裝置之製造設備及方法 | |
KR20160044174A (ko) | 협 베젤 평판 표시장치 | |
KR102365455B1 (ko) |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 |
KR20120056568A (ko)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247937B1 (ko) | 패널 합착장치 | |
KR20150078440A (ko) |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방법 | |
KR101515161B1 (ko) | 휴대폰용 엘씨디 액정화면과 백라이트 접합장치 | |
KR20210035148A (ko) | 표시장치 | |
KR102009487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 |
KR101338882B1 (ko) | 탭 아이씨 및 피씨비 부착 장치 및 그 부착 방법 | |
KR102283144B1 (ko) | 표시장치 | |
KR102023926B1 (ko) | 평판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 |
KR102218438B1 (ko) | 표시장치 | |
KR101470921B1 (ko) | 기판 합착장치 및 기판 합착 방법 | |
KR20070121286A (ko) |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
JP2007192853A (ja) |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 |
CN113547490A (zh) | 显示装置的制造装置 | |
KR101543784B1 (ko) | 터치스크린 모듈 로딩 장치 | |
KR20220149477A (ko) | 흡착 행거를 포함하는 부품 검사 장치 | |
KR20140000367A (ko) | 기판의 합착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