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731A -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지지 및 조정하기 위한 헤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지지 및 조정하기 위한 헤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731A
KR20160018731A KR1020167000425A KR20167000425A KR20160018731A KR 20160018731 A KR20160018731 A KR 20160018731A KR 1020167000425 A KR1020167000425 A KR 1020167000425A KR 20167000425 A KR20167000425 A KR 20167000425A KR 20160018731 A KR20160018731 A KR 2016001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housing
axis
insert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바 칼라이
발라즈 칼만
라슬로 노박
Original Assignee
사바 칼라이
라슬로 노박
발라즈 칼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HU1300365A external-priority patent/HUP1300365A2/hu
Priority claimed from HU1300738A external-priority patent/HU230566B1/hu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칼라이, 라슬로 노박, 발라즈 칼만 filed Critical 사바 칼라이
Publication of KR2016001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F16C11/0609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made from two or mor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F16C11/103Arrangements for locking frictionally clamped
    • F16C11/106Arrangements for locking frictionally clamped for 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7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03B17/56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2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지지와 위치조절을 위한 헤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housing)(1)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housing) 내부에는 어떤 방향으로 가이드된 이동을 허용하는 구 연결에 의해 배열되는 쉘(shell)(3)이 존재하고, 여기서 상기 쉘(shell)(3)은 원통형 대칭 케버티(cavity), 상기 하우징(housing)를 갖고, 상기 쉘(shell)은 어떤 조절된 위치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고 장치를 지지하는 본체(body)(4)는 상기 본체(body)(4)가 상기 케버티(cavity)관련하여 두 개의 상호 수직인 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기 위해 상기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에서 배열되고 그것의 위치는 하나의 조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해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쉘(shell)(3)과 상기 본체(body)(4) 사이의 연결은 상기 쉘(shell)(3)과 상기 하우징(housing)(1) 사이에 연결로부터 독립적이다.

Description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지지 및 조정하기 위한 헤드 어셈블리{Head assembly for supporting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optical 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지지 및 조정하기 위한 헤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헤드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삼각대 헤드로 지칭하며 기본적인 작업은 지지체 또는 삼각대와 사진 또는 비디오카메라 또는 유사한 광학 또는 광전자 장치에 배치할 수 있는 점이다. 이하에서 “카메라”는 신속히 헤드 조립체의 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런 과업은 상기 헤드 조립체는 단지 카메라를 보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 의해 요구되는 임의의 위치에 카메라를 조절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어셈블리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첫 번째 유형은 구면 조인트를 가지며, 즉, 이것은 임의의 방향으로 카메라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 유형은 두 개의 상호 법선 축 주위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이것은 두 개의 자유 각도를 갖고 여기서 이러한 축 방향이 일반적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이다.
전문 사진 또는 비디오 레코딩의 경우, 하나의 기본 요건은 카메라가 수평면을 유지하는 것 즉, 카메라가 수평면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의 이런 위치를 허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 시스템의 조정이 폭넓게 받아들여지는 이유이며 그러나 상기 시스템에서 별도로 헤드 어셈블리를 잡아주는 상기 삼각대의 상부표면이 수평임을 증명한다. 삼각대 최상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지만, 삼각대 또는 다른 카메라 지지대는 정밀한 수평 위치를 확신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 헤드 어셈블리가 사용될 별도로 기본 수평면의 수평 위치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신속하게 조정될 필요가 특별한 방향 (수평 및 수직 카메라 위치)가 있기 때문에 수평 기본 평면의 조정은 또한, 3 개의 자유도를 가진 헤드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필요하다.
3개의 자유도를 가진 시스템의 예는 복수의 조절 노브(knobs)와 컴팩트 방식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는 점이 공보 EP 2,613,074 A1 호에 기술되어있다.
2개의 자유도를 가진 시스템에 대한 전형적인 예는 또한 연결된 축 주변을 돌아선 후의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는 복수의 조절과 고정 노브(knobs)를 갖는 다는 점이 US 8,418,973에 기재되어있다.
상기 기술한 유형의 어떤 것도 보조의 기본평면을 레벨할 수 없으며 즉 기존의 수평 기본 평면의 레벨링(leveling)이 요구된다.
헝가리어로 공지된 HU P98 00084에서 수평 레벨링(leveling)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헤드 어셈블리는 세 개축 주위를 하우징(housing) 관점에서 조절이 되고 이에 의해 삼각대 위에 결합한 후에 수평 위치에서 조절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하우징(housing)과 홀딩 요소가 고정 멤버에 의해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기본 홀딩 요소에 관해서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없다. 두 개축 주위를 헤드 어셈블리를 조절하기 위해, 별개의 조절 및 고정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 요소가 기본 홀딩 요소에 고정된 하우징(housing)을 고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쉽고 빠른 체결이 해결할 새로운 문제에 부과됨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은, 조정자의 선택에 따라, 별개로 조절과 고정 요소를 사용하는 대신에 두 개의 자유도로 조정하는 동안 세 개의 자유도 또는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 카메라의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단일 요소의 필요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 과제는 이러한 모든 필요성과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헤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과제는 보다 소규모이며 조정 시스템이 단일 조정 수단을 사용하는 두개의 자유도로 제공되어야 하는 중요한 목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지지하거나 조절을 위한 헤드 어셈블리로서, 하우징(housing)(1), 상기 하우징(housing)(1)에 고정된 본체(body)(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body)(4)는 상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지지부(8)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지지부(8)와 함께 상기 본체(body)(4)는 두 개의 상호 수직인 첫 번째 및 두 번째 축(19;21,40)주위에 각각의 각도범위에서 회전, 조절 및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housing)(1)은 상기 쉘(shell)(3)이 상기 하우징(housing)(1)과 관련하여 어떠한 위치에서도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조절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기 위해 상기 하우징(housing)(1)에서 배열되는 쉘(shell)(3)로 구성될 수 있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housing)(1)은 구 내부 케버티(cavity)를 갖고 상기 쉘(shell)(3)은 상기 하우징(housing)(1)의 상기 내부 케버티(cavity)에 결합하는 구 외부면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고정된 구 표면을 이용하여 상기 쉘(shell)(3)은 예정된 범위에서 어떤 방향에서도 상기 하우징(housing)(1)에 관련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housing)(1)의 상기 내부 케버티(cavity)에서 정렬되며, 상기 어셈블리는 추가적으로 어떠한 예비적 조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housing)(1)에 상기 쉘(shell)(3)의 해제될 수 있는 고정된 쉘(shell)(3)과 상기 하우징(housing) 사이에 배열되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쉘(shell)(3)은 적어도 하나의 축(19) 주위에 회전하는 대칭 형태를 갖는 내부 케버티(cavity)로 구성되며, 상기 쉘(shell)(3)과 상기 하우징(housing)(1) 사이에 상기 결합에 영향을 주는 것 없이 상기 조정 장치가 어떠한 조절 위치에서도 상기 쉘(shell)(3)에 상기 본체(body)(4)를 해제할 수 있는 범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첫 번째 축(19)에 수직인 상기 두 번째 축(21,40) 주위와 상기 첫 번째 축 주위에서 상기 본체(body)(4)의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 상기 쉘(shell)(3)에 관련하여 상기 본체(body)(4)의 위치 자유 조정을 허용하는 상기 본체(body)(4)와 상기 쉘(shell)(3)사이에 배열되는 조정 장치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 자유도를 갖는 상기 조정 장치는 어떠한 조절위치에서 상기 본체(body)(4)를 상기 쉘(shell)(3)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의 공통 조정구성부(adjusting member)(24)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body)(4)는 예상되는 길이에서 상기 본체(body)(4)를 따라 확장되고 두 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상기 본체(body)(4)를 나누는 갭(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정구성부(adjusting member)(24)는 수동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두 개의 분리된 본체(body)부분 사이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body)(4)는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에 원형 대칭적인 외부면으로 구성되는 바닥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따라 상기 바닥부분의 상기 외부면에 결합하는 내부 케버티(cavity)를 갖는 인서트(insert)(26,37,53)에 의해 둘러싸이며, 또한 두 번째 영역에 상기 쉘(shell)(3)의 상기 회전 대칭 케버티(cavity)에 결합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 상기 인서트(insert)(26,37,53)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body)(4)의 본체(body)부분은 서로 분리되도록 압력을 받을 때, 이것은 상기 쉘(shell)(3)의 상기 케버티(cavity)에 가압될 수 있는 상기 인서트(insert)(26,37,53)의 상기 외부면의 탄성 팽창 효과를 가져오도록 상기 인서트(insert)(26,37,43,53)에 상기 본체(body)의 상기 표면에 가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쉘(shell)은 상기 인서트(insert)(26,37,53)와 상기 본체(body)(4) 모두에 결합과 고정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된 인서트(insert)(26,37,53)에 상기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의 표면이 원통 표면을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body)(4)의 외부면의 모양과 상기 인서트(insert)(26,37,43)의 케버티(cavity)의 모양은 상기 첫 번째 축(19) 주위에 인서트(insert)(26,37,43)와 관련하여 상기 본체(body)(4)의 회전을 방지하나 상기 수직인 확장된 두 번째 축(21,40) 주위에서 회전은 허용하며, 그리고 상기 인서트(insert)(26,37,43)는 외부 표면을 갖고 여기서 상기 쉘(shell)(3)의 상기 케버티(cavity)의 내부 표면과 함께 원통형 표면을 고정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서트(insert)(26,37,43)의 내부에 결합하는 본체(body)(4)의 표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원통 또는 구 표면인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서트(insert)(43)와 결합된 본체(body)(4)의 표면은 구 표면이고, 상기 구(41)의 본체(body)를 관통하여 직행하는 보어(bore)가 상기 구의 적도 면에서 정렬되는 축을 갖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첫 번째 축(19)에 수직이고 그리고 상기 보어(bore)의 연장선에서 각각의 보어(bore)는 상기 쉘(shell)(3)의 대칭 벽에서 제공되고, 샤프트(shaft)(44)는 놓여져 있고 각각의 말단을 갖는 상기 보어(bore)를 관통하게 확장되고, 홈(groove) 형태의 링은 상기 첫 번째(19)에 수직인 중앙 면을 갖는 상기 쉘(shell)(3)의 내부 벽면에서 제공되고, 상기 홈(groove)의 내부 및 홈(groove)의 방향으로 상기 끝 부분은 배열되고 가이드 되며, 상기 본체(body)(4)는 상기 샤프트(shaft)(4)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서트(insert)(53)에 고정된 상기 본체(body)(4)의 표면은 구 표면이고 상기 쉘(shell)(3)을 향하는 상기 구(50)의 본체(body)에서 예상된 폭과 깊이를 갖는 홈(groove)(51)은 상기 첫 번째 축(19)에 평행한 예상된 길이를 따라 확장을 제공하고, 상기 핀(pin)(55)의 축이 상기 첫 번째 축(19)에 배열되기 위해 상기 쉘(shell)(3)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쉘(shell)(3)의 내부 케버티(cavity)의 축을 따라 핀(pin)(55)은 외부로 확장하고 상기 구(50)의 홈(groove)(51)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본체(body)(4)는 상기 핀(pin)(55)에 의해 홈(groove)(51)을 따라 가이드 되고, 상기 핀(pin)(55)는 상기 첫 번째 축(19) 주위에 본체(body)(4)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가이드부(56)는 상기 홈(groove)(51)의 형태와 적합한 형태를 갖는 상기 홈(groove)(51)에 인입하고 상기 가이드부(56)는 직행하는 보어(bore)로 구성되고 상기 보어(bore) 내부에서 상기 핀(pin)(55)이 인입되고 관통을 이끄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쉘(shell)(3)은 상기 첫 번째 축(19)과 상기 쉘(shell)(3)의 외부 면의 축에 직각인 평형 상부면을 갖고 상기 쉘(shell)의 내부 케버티(cavity)의 축은 서로 평행하게 확장하고 상기 축들은 첫 번째 축(19)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오프셋(offset)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쉘(shell)(3)의 벽면은 다양한 두께를 갖고 ,단면에서 상기 벽 두께는 가장 두꺼우며, 버블 레벨(18)은 상기 벽의 상부 면에서 인입되고 상기 벽은 상기 수평 및 상기 하우징(housing)(1)의 어떤 위치에서 수직인 상기 첫 번째 축(19)에 상기 쉘(shell)(3)의 상기 평행 표면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 개구부(opening)(20)는 상기 하우징(housing)(1)의 측벽에서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housing)은 상기 하우징(housing)(1)과 상기 쉘(shell)(3) 사이의 연결의 해제상태에서 허용되고, 상기 하우징(housing)은 본체(body)(4)의 축이 수평 위치를 갖는 첫 번째 축(19)에 수직인 위치에서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정된 위치에서 두 개의 본체(body)를 함께 고정하고 두 개의 상호 수직인 축(19; 21, 40, 52) 주위에서 조정할 수 있는 하나의 공통 조정 장치(24)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호 수직인 두 개의 축(19; 21, 40, 52) 주위에서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도록 상호 본체(body)를 연결할 수 있는 조정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두 개 본체(body)(3,4)중 하나는 원형 대칭을 갖는 케버티(cavity)를 갖고, 다른 본체(body)(4)의 유사한 원형 대칭부분은 상기 첫 번째 본체(body)(3)의 케버티(cavity)에서 확장할 수 있는 인서트(insert)(insert)를 통해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원형 대칭 부분에서 갭은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예상된 깊이를 따라 확장하고, 그리고 상기 일반 조정 장치(24)는 분할된 부분을 서로 멀리 이동시키고 상기 분할된 부분과 상기 인서트(insert)(insert)와 상호 결합한 본체(body)에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부분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본체(body)(4)가 상호 그것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게 해제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정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정의된 요구에 더불어 또한 헤드 어셈블리는 쉬운 조작에 의한 수평위치을 유지하고 확신할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 조절이 가능하고 여기서 조절과 자유 터닝은 이전의 조절된 수평과 수직축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 정의된 요구 사항은 단지 하나의 조절수단이 요구될 수 있도록 소규모와 간단한 디자인으로 충족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헤드 어셈블리의 제 1 실시예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d는 본체(body)의 회전된 다른 면을 도1과 유사한 크기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완전힌 경사 상태에서 제 1 실시예 이다.
도 5는 하부 조정볼트(16)의 도면이다.
도 6은 작은 규모의 인서트(insert)(27)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받침(8)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헤드 어셈블리의 제2 일시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헤드 어셈블리의 제3 일시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작은 규모의 도 9의 본체(body)(4)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작은 규모의 도 9의 인서트(insert)(37)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헤드 어셈블리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헤드 어셈블리의 제5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경사진 본체(body)(4)와 관련된 상대적인 90도 더 회전된 도 13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5는 작은 규모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5 실시예의 확장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확장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 과제는 이러한 모든 필요성과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헤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과제는 보다 소규모이며 조정 시스템이 단일 조정 수단을 사용하는 두개의 자유도로 제공되어야 하는 중요한 목표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헤드 어셈블리는 광학 또는 전자장치의 지지와 위치조절을 위해 제공되며 이는 하우징(housing)을 갖으며 상기 하우징(housing) 쉘(shell)은 어느방향에서 정해진 운동을 허락하는 구면 연결에 의해 조절되고 여기서 쉘(shell)은 실린더 대칭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housing)과 쉘(shell)은 어떠한 조정 위치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에 연결된 바디는 상기 바디가 구멍에 관해서 두 개의 상호 기본 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쉘(shell)의 구멍에서 배열되고 상기 위치는 고정될 수 있고 하나의 조정수단에 의해 풀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쉘(shell)과 본체(body) 사이의 연결은 쉘(shell)과 하우징(housing) 사이에 연결로부터 독립적이다.
따라서, 헤드 어셈블리는 하우징(housing)과, 하우징(housing)에 고정된 본체(body)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body)는 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 보조요소로 구성되며, 여기서 보조 요소와 함께 본체(body)는 두 개의 상호 일반적인 첫 번째 두 번째 축 주위에서 각각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 조정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housing)은 쉘(shell)이 상기 하우징(housing)에 관해서 자유로운 위치에서 조절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housing) 내에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housing)은 구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쉘(shell)은 상기 하우징(housing)에서 배열된 쉘(shell)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쉘(shell)은 상기 하우징(housing)의 내부 공간에 고정하는 구 외부면을 갖고 있고 두 개의 고정 구면에 의해 상기 쉘(shell)은 예측된 한계 내에서 상기 쉘(shell)이 어떤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housing) 관련해서 회전할 수 있는 상기 하우징(housing) 내부 공간에 배열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더욱이 상기 하우징(housing)과 상기 쉘(shell) 사이에 배열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쉘(shell)은 어떤 조절된 위치에서 하우징(housing)에 쉘(shell)의 해체 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되며, 상기 쉘(shell)은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에 회전 대칭 형태를 갖는 케버티(cavity)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어셈블리는 조정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조정 장치는 쉘(shell)과 본체(body) 사이에 위치하며 쉘(shell)과 하우징(housing) 사이에 연결된 영향에 관계없이 어떠한 조정된 위치에서 조정장치가 쉘(shell)에 본체(body)를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도록 첫 번째 축에 정상적인 두 번째 축 주위와 첫 번째 축 주위에 본체(body)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 상기 쉘(shell)의 관점에서 본체(body)의 위치의 자유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쉘(shell)과 본체(body) 사이에 배열된다.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 조정 장치가 임의의 위치에 조정 쉘(shell)에 본체(body)를 고정할 수 있는 하나의 공통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조절은 실질적으로 더 간단해질 것이다.
공통 조정 장치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body)는 소정의 길이의 본체(body)를 따라 연장되고 두 개의 분리 된 부분에서 본체(body)를 분할하는 갭(gap)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정 부재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절 요소로 구성되며 상기 조정 요소는 상기 분리된 두 개의 본체(body)부분 사이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본체(body)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축 주위를 둘러싼 원형 대칭을 갖는 외부면으로 구성된 저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은 내부 케버티(cavity)를 갖는 인서트(insert)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내부 케버티(cavity)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함께 저면의 외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인서트(insert)는 두 번째 영역에 쉘(shell)의 회전 대칭 공간에 고정된 외부면을 갖는다.
바람직한 예로, 본체(body)부분이 상호 떨어져서 압력을 받을 때 상기 압력은 상기 쉘(shell)의 공간에 가압할 수 있는 인서트(insert)의 외부면의 탄성 팽창을 야기시키는 인서트(insert)에 본체(body) 표면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쉘(shell)은 인서트(insert)와 상기 본체(body)에 커플이 되고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인서트(insert)가 장착되는 쉘(shell)의 케버티(cavity)의 표면은 구면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본체(body)의 외부 표면의 형태와 인서트(insert)의 케버티(cavity)의 형태는 제1축 주위에서 인서트(insert)에 관해서 본체(body)의 회전을 방지하나 제2축 주위에서는 회전 가능하고, 상기 인서트(insert)는 상기 쉘(shell)이 원통면에 고정되 있는 케버티(cavity)의 내부면과 함께하는 외부면을 갖는다.
삽입물의 내부에 고정되는 본체(body)의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 또는 구의 표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트(insert)에 고정된 본체(body)의 표면은 구 표면이고 상기 구면 본체(body)를 관통하여 직행하는 상기 보어(bore)는 상기 공간의 수평면에 배열하고 있는 축을 갖고 있으며 첫 번째 축에는 수직이고, 보어(bore)의 확장에 있어서, 상기 보어(bore)는 쉘(shell)의 대응벽에서 제공되고 샤프트(shaft)가 대신하고 상기 보어(bore)를 통해 확장하며 각각의 끝단을 갖고 있고 홈(groove)이 있는 형태의 링은 상기 첫 번째 축에 수직인 중심면을 갖는 쉘(shell)의 내부 벽에서 제공되며 상기 홈(groove)을 따라 그리고 그 내부에 상기 끝단이 배열되고 안내되며 상기 본체(body)는 상기 샤프트(shaft)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서트(insert)에 고정된 표면은 구 표면이고, 상기 쉘(shell)을 향해 마주보는 구면의 본체(body)에서 홈(groove)은 첫 번째 축에 평행한 예상된 길이에 따라 연장되는 예상된 폭과 깊이가 제공되고 쉘(shell)의 벽면의 저면으로부터 쉘(shell)의 내부 케버티(cavity)의 축을 따라 핀(pin)은 외부로 확장되고 첫 번째 축에 상기 핀(pin) 축이 정렬되기 위해 구의 홈(groove)에 고정되고 외부로 확장된다. 이로써 상기 본체(body)는 핀(pin)에 의해 홈(groove)을 따라 가이드 되고 상기 핀(pin)은 첫 번째 축 주위를 따라 본체(body)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번 실시예에서 만약에 간단한 가이드요소가 상기 홈(groove)에 적합한 형태로 홈(groove)에 인입되고 상기 가이드 요소가 상기 핀(pin)이 인입되고 내부로 안내되는 직행하는 보어(bore)로 구성된다.
쉘(shell)이 제1축에 수직인 상부 평면인 표면을 가지는 경우 수평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쉘(shell)의 외부면의 축과 상기 쉘(shell)의 내부 케버티(cavity)의 축이 상호 평행하게 확장되고 상기 축들이 첫 번째 축에 수직방향으로 상호 오프셋(offset)되고 여기서 상기 쉘(shell)의 벽면은 두께가 다양하고 단면에서 상기 벽면의 두께는 가장 두꺼우며 버블레벨(bubble level)은 상기 벽면 표면 상부에 삽입되고 상기 벽면은 수평한 쉘(shell)의 평면 표면을 조절 및 하우징(housing)의 어떤 포지션에서 수직인 첫 번째 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의 신속한 수직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측면 개구부(opening)가 하우징(housing)의 측면에서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housing)은 하우징(housing)과 상기 쉘(shell) 사이에 연결의 해제상태에서 허용되고, 상기 쉘(shell)은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위치에서 첫 번째 축에 수직인 위치로 본체(body)의 축과 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 조정 어셈블리는 본체의 위치가 두 개의 상호 수직축 주위에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도록 그리고 어떤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호 본체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조정장치는 두 개의 축 주위에 조정을 허용하고 어떤 조정 위치에서도 상기 두 개의 본체(body)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의 일반적인 조정장치로 구성된다.
이번 실시예에서 만약 두 개의 본체(body) 중 하나가 원형 대칭부를 갖는 케버티(cavity)을 구성하고 있다면, 다른 본체(body)의 유사한 원형 대칭 부분이 첫 번째 본체(body)의 구멍에 확대되어 인입되어 철저하게 고정되어 있다면, 갭(gap)이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눠진 예측된 깊이를 따라 확장되고, 일반적인 조정 장치가 상기 두 부분을 멀리 이격시키고 이것에 의해 상기 부분, 상기 인서트(insert) 및 상기 고정된 본체를 서로 가압하여 이것에 의해 이런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부분이 상호 움직일 때 그곳으로부터 상호 이동이 가능한 본체(body)가 해제가 된다.
본 발명의 해결방법은 하우징(housing)과 쉘(shell) 사이에 3개 자유도를 갖는 이동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만약 쉘(shell)이 하우징(housing)에 고정된다면, 이때 2개 자유도를 갖는 움직임은 쉘(shell)과 본체(body) 사이에 제공된다. 여기서 수직방향의 쉘(shell) 축의 사전적인 조정은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일반적인 단일 조정 수단에 의해 두 개의 자유도 함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제 참조가 첨부 도면에 이루어질 것이다 이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 될 것이다.
도 1은 헤드 어셈블리의 제 1 실시예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d는 본체(body)의 회전된 다른 면을 도1과 유사한 크기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완전힌 경사 상태에서 제 1 실시예 이다.
도 5는 하부 조정볼트(16)의 도면이다.
도 6은 작은 규모의 인서트(insert)(27)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받침(8)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헤드 어셈블리의 제2 일시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헤드 어셈블리의 제3 일시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작은 규모의 도 9의 본체(body)(4)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작은 규모의 도 9의 인서트(insert)(37)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헤드 어셈블리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헤드 어셈블리의 제5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경사진 본체(body)(4)와 관련된 상대적인 90도 더 회전된 도 13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5는 작은 규모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5 실시예의 확장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확장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헤드 어셈블리10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헤드 어셈블리10은 구조적으로 4개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은 하부 받침대2를 갖는 하우징(housing)1에 의해 구성되고 일반적인 구조 유닛을 형성한다. 두 번째 부분은 구면의 외부면을 갖는 쉘(shell) 3이다. 세 번째 부분은 두 개의 상호 수직축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수직축은 하부 본체(body) 부분5을 갖고 상부방향으로 상기 하부본체(body)의 확장된 선호되는 원통형 넥(neck)6을 갖고 상기 연결이 되고 상기 넥(neck)6 말단에 헤드부분7을 갖는다. 네 번째 부분은 상기 헤드 부분7에 의해 본체(body)4에 결합될 수 있는 상부 받침대8이고 상기 헤드 어셈블리10이 카메라, 비디오 장치, 시각 또는 다른 전자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게 조정된다.
상기 하우징(housing)1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대칭을 갖는 수직 축을 갖는 본체(body)로 구성되며, 하우징(housing)의 상기 하부 받침대2는 중앙을 관통하는 구명으로 제공받는 평면 하부면을 갖고 이것에 의해 하부 받침대2는 삼각대, 카메라 받침대 또는 유사한 어떤 지지장치의 정상에 느슨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housing)1의 바닥은 예를 들면 실모양의 연결장치에 의해 하부 받침대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housing)1의 일반적인 특징은 도 3처럼 구 내부면12과 근접하여 마주하고 있으며 쉘(shell)3의 외부면이 결합할 수 있다. 구의 내부면12은 가장 큰 직경을 갖는 구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부 테두리(upper rim)13을 갖고 예를 들면 상부 테두리13은 상기 구의 적도 위에 부분과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구의 쉘(shell)3은 하우징(housing)1의 벽면의 유연성과 탄성 변형 후에 단지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오프닝 조절을 위해서 도3의 갭(gap)14는 하우징(housing)1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housing)은 하우징(housing) 축에 평행하게 확장되고, 여기서 하우징(housing)1의 측면은 상기 쉘(shell)3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하우징(housing)1의 벽면에서 나사 구멍(threaded bore)15는 하부 조정 볼트16를 받아들이는 갭14의 평면에 수직적으로 확장되고 상기 하부 조정 볼트16의해 갭14의 폭이 증가되거나 하우징(housing)1의 탄성 저항 재질에 대해 감소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커버티에 삽입된 쉘(shell)3의 위치는 단단히 연결되거나 느슨해질 수 있다. 도 1,3 및 5에서 하부 조정 볼트16은 조작하기 편리한 큰 평면 머리 부분17을 갖는다.
정확한 동작의 관점에서 하부 조정 볼트16의 조임과 느슨함에 의해 쉘(shell)3이 조절될 수 있고 예상하는 각도의 범위 내에서 받침대 또는 삼각대에 고정된 하우징(housing)1에 관련된 어떤 요구되는 각도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삼각대 머리의 상부평면이 수평면에서 각도가 좁혀지고 정확한 수평위치가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발명의 구조의 요점은 심지어 하우징(housing)1의 하부 면의 평면이 일반적인 위치를 갖고 있더라도 수평면에 쉘(shell)3의 상부 테두리13에 의해 정해지는 평면의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레벨러 장치(leveler device) 즉 버블 레벨(bubble level)18은 쉘(shell)3의 상부 면에 배열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버블 레벨(bubble level)18은 작은 디스크이고 상기 쉘(shell)3은 바람직하게는 가장 두꺼운 벽면에서 버블 레벨(bubble level)18을 받아들이기 위한 케버티(cavity)가 제공될 수 있도록 벽면 두께를 변화한다. 물론, 쉘(shell)3의 상부 테두리의 벽면에 인입될 수 있는 약간 경사진 관 형태 버블 레벨(bubble level)이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쉘(shell)은 일정한 두꺼운 벽면을 갖는다. 쉘(shell)3의 수평 위치를 따라 구형 내부 케버티(cavity)의 대칭 축19은 수직위치를 갖는다. 쉘(shell)3의 비대칭 디자인 벽면 때문에 축19은 하우징(housing)1의 축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되고 상기 하우징(housing) 축의 오프셋(offset) 위치는 물건 장치의 운영과 조정의 관점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연속적인 위치이동 동안 쉘(shell)3은 항상 예비 조정된 수평 위치를 유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우징(housing)1의 디자인을 고려하면 상기 하우징(housing)1의 상부와 같은 슬리브(sleeve)에서 개구부(opening)20이 제공되고 도 4에서 보여주며 이것은 장치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며 제공된 헤드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될 때 인물사진을 준비하는데 요구되는 수직 위치로 변경이 되고 본체(body)4의 축은 수평상태이다. 상기 위치는 쉘(shell)3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확보될 수 있고 개구부(opening)20의 깊이는 삽입된 넥(neck)6을 위해 장소를 제공할 정도로 충분히 깊다.
쉘(shell)3에서 중앙 케버티(cavity)의 일반적인 기능과 상기 본체(body)4의 하부 본체(body) 부분5을 포함하는 결합된 구조적인 부분은 2개 자유도를 갖는 본체(body)4의 자유이동과 조정을 위해 존재하고 이는 본체(body)4가 제공된 수직방향으로 유지하나 자유롭게 회전하고 조정될 수 있고 어떤 각도에서도 수직축과 수평축 부근에서 모두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두 개의 자유도를 갖고 움직일수 있는 몇몇 디자인은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음에서 단지 몇 개의 제한적이지 않은 샘플이 보여질 것이며 도 1 내지 4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각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종류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본체(body)4는 도 1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수직축 19과 수평축21 주위에 쉘(shell) 3에 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체(body)의 넥(neck)6은 조정을 위해 운전하는 동안 헤드 부분7에 결합된 상부 받침대8과 여기에 연결된 카메라가 헤드 어셈블리10에 의해 막힐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길다. 도3의 분해도에서 본체(body)4, 하부 본체(body)부분 5, 넥(neck)6 및 헤드 부분7이 도시되며 도 7에서 카메라를 받아들이는 움푹파인 부분이 있는 상부 받침대8과 스크류(screw)22을 고정시키는 위치가 도시되어있다.
본체(body)4의 디자인에 관해 슬롯(slot)23이 본체(body)4의 중앙 부분을 통해 제공되고 슬롯(slot)23에 의해 구분된 두 개의 본체(body)가 좀 더 밀접하게 또는 본체(body) 재질의 탄성한계 내에서 서로 더 멀리 떨어지게 조정될 수 있다. 헤드부분7에서 나사 구멍(threaded bore)은 조정 볼트24의 나사부를 받도록 제공된다. 조정 볼트24는 갭23에 의해 분리된 본체(body)부분의 다른 부분의 안쪽 면을 밀어내는 다른 면을 갖는 원통형 핀(pin)안에 말단이 있고 척력의 정도는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의 회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체(body)4는 상호간으로부터 두 개의 본체(body)를 밀어냄으로써 쉘(shell)의 내부 케버티(cavity)안으로 밀어들어올 수 있고, 여기서 본체4의 위치는 양 축 주위에 고정된다.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의 느슨한 상태에서 본체(body)4의 위치는 양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내지 7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해 참조로 도 3의 분해도를 들수 있고 여기서 본체(body)4의 하부 본체(body) 부분5는 수평축과 연결된 튜부25에 의해 구성되고 한쌍의 수직 끝면을 갖는다. 어셈블리는 더욱이 두 부분으로 구성된 인서트(insert)26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도 6에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두 부분이 상호 연결될 때, 상기 인서트(insert)는 수직축을 갖는 원통 외부면을 갖는다. 인서트(insert)26는 수직축을 갖고 있는 원통형 케버티(cavity)에 느슨하게 결합될 수 있고 쉘(shell)3의 내부에서 만들어지고 하부 끝단에서 인서트(insert)26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좁은 지지대에 의해 받쳐진다.
인서트(insert)26의 내부에서 케버티(cavity)27는 튜브25의 길이와 같은 공간을 갖는 반대편에 위치한 평면 벽28 한쌍을 갖도록 제공된다. 상기 평면에 수직인 표면은 본체(body)4의 하부 본체(body) 부분5을 구성하는 튜브25의 원통 표면의 직경에 맞는 직경과 수평 축을 갖는 분리된 두 개의 원통 표면을 갖는다.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에 본체(body)4의 인입은 첫째로 인서트(insert)26의 두 개 부분 위에 올려노움으로써 그리고 하부 본체(body)부분5을 구성하는 튜브25의 주위에 위치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케버티(cavity)27은 튜브25의 두 개의 끝단이 평면 벽28을 받침하는 방법으로 튜브25을 받아들이고 주위에 놓고 상기 튜브25의 원통형 외주면은 인서트(insert)26의 원통형 내주면을 고정시킴으로써 둘러싸인다. 이 위치에서 하부 바디부분5을 둘러싼 인서트(insert)26와 함께 본체(body)4는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에 인입되고 상기 인서트(insert) 26의 바닥은 케버티(cavity)의 낮은 받침대 의해 지지된다. 상기 인서트(insert)26의 위치는 그것의 상부에 위치한 클로징 링30과 쉘(shell)3의 내부벽에 있는 링 모양의 홈(groove)에 인입되고 결합된 워셔 스프링31에 의해 보호된다.
도 2a 내지 2d에서 본체(body)의 이동의 다른 방법이 보여주고, 전에 쉘(shell)3이 수평위치에서 조정되어왔고 하부 조정 볼트16을 조임으로써 하우징(housing)1에 고정되어왔다. 도 2a 내지 2d는 32방향의 화살표로 회전할 때 상호 90도와 밀접하게 두 개의 서로 다른 각도에서 수직 축19 주위에서 본체(body)4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보여준다. 화살표 32의 방향으로 수직축19 주위를 따라 본체(body)4를 회전시킬 때 본체(body)4의 하부 본체(body)부분5를 구성하는 튜브25의 두 개의 평면이 인서트(insert)26의 평면벽28과 인서트(insert)26을 회전시키려고 노력하는 튜브25 위에 작동하는 토크와 만난다. 이런 효과하에서 상기 인서트(insert)는 상기 인서트(insert)26 주위의 수직축을 갖는 상기 쉘(shell)의 원통형 움푹 패인 곳에서 자유롭게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본체(body)4는 도 2a와 2b에서 보여준 두 개의 포지션을 포함하는 어떤 각의 위치에서 존재할수 있다. 어떤 요구되는 위치에서 다음의 본체(body)4의 조정 뒤에 이어서 조정 볼트24가 상기 갭(gap)23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본체(body)부분이 서로 멀리 떨어질 수 있도록 위해 회전되고 본체(body) 부분의 미세한 개구부(opening)은 쉘(shell)3의 원통형 케버티(cavity)에 대항한 인서트(insert)26 부분에 압력을 가하고 여기서 본체(body)의 위치는 고정된다. 이 조여진 위치는 다른 방향에서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를 회전시킴으로써 느슨해 질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정교한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다.
만약에 기존에 설명한 것 예를 들면 도 2c 및 2d의 평면에 수직으로 확장된 튜브(tube)25의 축 주위에 수직인 방향으로 본체(body)를 회전시키길 원한다면, 이때 상기 회전은 인서트(insert) 26의 내부표면(inner surface) 29의 원통 디자인에 의해 허용된다. 도 2c 및 2d에서 본체(body)4는 화살표33,34의 회전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을 보여준다. 자유회전은 본체(body)4의 하부 엣지(edge)가 쉘(shell)3의 상부 테두리와 접할 때가지 가능하다. 실제 상기 회전 각도범위는 충분히 넓은 조절 기능을 제공한다. 조절가능한 면에서 본체(body)4의 고정은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에 의해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왜냐하면 두 개의 분리된 본체(body)부분을 조이기 위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인서트(insert)26에서 튜브25의 위치를 조이고 동시에 또한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에서 인서트(insert)26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를 기초로 본체(body)4의 위치와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상부 받침대8에 의해 두 개의 자유도로 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요구되는 수평 위치에서 하우징(housing)1에 고정된 쉘(shell)3의 위치의 경우에 수평과 수직축 주위의 회전에 의한 경우가 있다. 기존의 해결방법과 비교해서 차이점은 본체(body)4와 헤드 어셈블리10이 말하자면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의 하나의 조정 요소에 의해 고정과 해제가 될 수 있다. 수직과 수평방향에 축의 위치는 쉘(shell)3의 위치 조절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만약에 어떤 이유로 카메라의 조절이 어느 방향에서 위치할 수 있는 두 개가 아닌 3개의 자유도를 요구한다면, 이때 이것은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를 조임으로써 쉘(shell)3에 본체(body)4를 고정함으써 해결될 수 있고 하부 조정 볼트16을 느슨하게 한 후에 3개의 자유도로 조정될 수 있는 종전의 구면 결합처럼 쉘(shell)3이 하우징(housing) 1에서 위치할 수 있다. 이것은 도 4에서처럼 카메라의 하부면의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이중 기능의 분리된 실행과 이해는 본체(body)4의 고정에 의해 단지 쉘(shell)3에서 가능하며 하우징(housing)1에서는 불가능하고 따라서 본체(body)4와 쉘(shell)3의 상대적인 위치의 조절이 하우징(housing)1과 쉘(shell)3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에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8의 실시예는 단지 쉘(shell)3이 도1에서처럼 하부 구면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적인 구면인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무게와 제조비용은 줄어들고 쉘(shell)3의 조절범위가 현저하게 줄어들지는 않는다.
도9내지11에서 본체(body)4와 쉘(shell)3사이의 연결을 위한 더 선호되는 실시예를 제시하고 설명한다. 차이점은 본체(body)4의 하부부분이 각각의 원형 윤곽선을 갖는 면처럼 한 쌍의 대칭적으로 위치한 평행한 면을 갖는 구형 35에 의해 구성된다. 구36과 다른 본체(body)부분에서 즉 넥과 상부 받침대8에서 유사한 갭23은 제공되고 상기 갭23에 의한 분리된 본체(body)부분의 조절은 조정 볼트24에 의해 또한 발생한다. 도 11은 구35를 수용하는 인서트(insert)37에 관한 사시도이다. 상기 인서트(insert)37은 약간의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거기에서 두 개의 슬롯(slot)38이 제공되고 이는 팽창을 가능하게 하고 쉘(shell)3에서 만들어진 수직축을 갖는 원통형 케버티(cavity)에 맞는 원통 외부면을 갖는다. 인서트(insert)37의 내부 케버티(cavity)는 본질상 구 쉘(shell)이고 구(sphere)35의 외부면에 결합이 되고 적도부분이 중앙위치에 정렬한다. 예를 들면 상부와 하부 오프닝의 직경이 가장 큰 내부 직경보다 작다. 상기 쉘(shell)의 내부면의 특징은 대칭적으로 위치한 평면39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39는 하나의 사이즈와 구형35에서 평면(plane)36에 대응하는 공간의 거리를 갖는다.
상기 설명한 구조 때문에 구35는 인서트(insert)37의 내부에서의 압력에 의해 인입이 될 수 있고 이때 갭38은 다소 개방이 되고, 또한 평면36이 인서트(insert)37의 내부에서 평행 표면(planar surface)39에 적합할 때 이때 수직축 주위에 구의 어떤 회전이 인서트(insert)37의 유사한 회전에 뒷 따른다. 본체(body)4는 이때 쉘(shell)3의 원통 케버티(cavity)안으로 구35를 받아들이는 인서트(insert)37와 함께 인입된다. 상기 어셈블리의 위치는 폐쇄 링(closure ring)과 유연한 와셔(washer)에 의해 도1과 같이 유사한 방법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직축19 주위에 본체(body)4를 회전하고자 할 때, 앞선 설명에 의한 것처럼, 인서트(insert)37은 쉘(shell)3의 원통 케버티(cavity)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이전의 실시예에서 설명되었던 것처럼 두 개의 본체(body)부분의 약간의 이동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수평 축40 주위의 회전이 요구될 때, 상기 인서트(insert)37은 쉘(shell)3의 원통형 케버티(cavity)와 자신의 매칭되는 원통형 외부면이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반면에 두 개의 구형은 자유롭게 수평축40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다른 방향에서 회전은 구35의 평면(plane)36과 인서트(insert)37의 평행 표면(planar surface)39사이에 적합한 연결에 의해서 방지된다.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은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에 의해 두 개의 본체(body) 부분이 상호 멀어지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은 만약 압력이 풀릴 때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두 개 상호 수직인 축 주위에 본체(body)4의 회전에 관한 4번째 샘플은 도12에 도시되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존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체(body)4의 하부는 구41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구를 따라 하나의 적도면을 따라 보어(bore)의 축이 수평면에서 정렬하기 위해 직선으로 이동하는 보어(bore)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슬롯(slot)23은 상기 보어(bore)을 가로지르지 못하도록 약간의 경사진 방향에서 확장되고 보다 큰 홀 42에서 본체 하부에서 끝난다. 쉘(shell)3에서 종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원통 케버티(cavity)는 수직축19으로 제공되고 여기서 선호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인서트(insert)43는 이전의 실시예처럼 고정된 구조와 위치로써 적합할 수 있다. 인서트(insert)43의 내부는 구 케버티(cavity)가 제공되고 따라서 이전의 실시예와 비교시 차이점은 평행 표면(planar surface)39의 결핍이며 다시말하면, 구 표면이 어떤 평면에 의해 깨지지 않는다. 동시에 구41의 중간에 형성된 직선으로 움직이는 보어(bore)의 연장에 있어서 유사한 한쌍의 보어(bore)가 인서트(insert)43의 벽면에서 제공된다. 인서트(insert)43의 개구가 구41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인서트(insert)43에서 구41의 인입의 가능성은 인서트(insert)43의 재질에서 갭의 형성을 요구하며 따라서 그것의 변형과 탄력적인 팽창은 구41의 인입을 허용한다.
샤프트(shaft)44는 구41와 도 1,2에서 제공되는 위치에서 알 수 있듯이 인서트(insert)43의 벽면의 보어(bore)을 통해서 이끌어진다. 어셈블리는 다음의 순서로 행해져야 한다: 첫째로 구41는 그것의 보어(bore)의 축이 동일 선상에서 정렬하기 위해 인서트(insert)43에서 설명된 방향으로 인입되어야하고 이때 상기 샤프트(shaft)는 상기 쉘(shell)이 하우징(housing)1에 아직 인입되지 않을 때 쉘(shell)3의 벽면에 제조된 보어(bore)45를 통해 상기 보어(bore)안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shaft)44의 양쪽 말단에 각각의 가이드 핀(pin)이 제공된다, 샤프트(shaft)44의 인입후 위치는 보어(bore)45에서 위치된 적합한 고정요소에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구41의 가장 큰 직경의 높이에서 쉘(shell)3의 내부 케버티(cavity)에서 내부 원형 홈(groove)은 가이드 핀(pin)46,47의 직경에 대응한 폭을 갖도록 제공받는다.
수평축 주위의 얻어진 어셈블리의 뒤틀림(회전)은 자동적으로 상기 보어(bore)에서 보어(bore)와 샤프트(shaft)44의 존재에 의해서 가능하다. 수직축19 주위에서 회전이 요구될 때 가이드 핀(pin)46,47은 자유롭게 쉘(shell)3에서 원형 홈(groove)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만약에 상기 갭23에 의한 구41의 일부분이 조정 볼트24에 의해 상호이격되도록 압력을 받는 다면, 상기 인서트(insert)43은 조종된 위치에서 어셈블리를 유지되도록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의 내부벽면에 대해 압력을 가하게 될 것이다. 상기 압력은 또한 수평축 주위에서 회전또는 이동을 방지할 것이고 따라서 본체(body)4는 기존의 조정된 위치를 유지할 것이다.
본 발명인 헤드 어셈블리의 제5의 실시예는 도 13내지17에 도시되어있다. 본체(body)4의 구조는 이전의 실시예와 아주 유사하며 다시말하면, 본체(body)부분5의 하부는 구51이고 구41과 비교시 차이점은 구50이 직선으로 이동하는 보어(bore)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예상된 폭을 갖는 중앙 수직 홈(groove)51에 대칭적인점이고 깊이는 예상되는 각도범위을 따라 확장된다는 것이다. 도 3에서 홈(groove)51은 도면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으며 반면에 도14는 측면에서 볼 수 있고 도 14에서 수평축52의 주위를 회전할 때 홈(groove)51의 기능은 수직면에서 본체(body)4을 유지하고 가이드하는 것이다.
구50은 이전의 실시예의 인서트(insert)처럼 유사하게 디자인된 인서트(insert)53에 의해 둘러싸이고 즉, 인서트(insert)53은 수직축19을 갖는 쉘(shell)3의 원통형 케버티(cavity)에서 인입되고 고정되는 원통형 외부면을 갖으며 상기 인서트(insert)53는 상기 구형50의 사이즈에 적합한 구형 케버티(cavity)을 갖는다. 상기 인서트(insert)53의 케버티(cavity)에 상기 구50의 인입은 이전의 실시예처럼 도15에서처럼 갭(gap)54의 존재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미 언급된 원통형 보어(bore)아래서 쉘(shell)3의 내부 케버티(cavity)는 원통형 케버티(cavity)에서 인입된 구50을 만족시킬수 없는 곡선 디자인을 갖고 있으나, 도17의 확장된 자세한 단면에서 볼 수 있듯이 동시에 쉘(shell)3의 바닥은 상부로 향한 원통형 핀(pin)55으로 제공되고 상기 핀(pin)의 상단은 확장되고 상기 홈(groove)51의 내부에 어울린다. 홈(groove)51을 따라 정교하게 핀(pin)55의 가이드는 상기 핀(pin)55을 받아들이고 조화될 수 있는 직선으로 움직이는 보어(bore)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직각의 가이드부56의해 제공된다. 도 16,17의 확장된 도면에서 가이드부56가 정교하게 홈(groove)51에 조화가 되고, 구50와 함께 홈(groove)51이 고정된 쉘(shell)3과 상기 쉘(shell)3에 고정된 핀(pin)과 관련하여 이동할 때 가이드부56은 상기 홈(groove)51을 따라 이동한다.
도13내지17에 보여진 실시예의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순서에 따라 실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housing)에서 쉘(shell)3의 레벨링(leveling)과 고정이 되는 인입이 발생된다. 이때 인서트(insert)53은 본체(body)4의 구50에 힘으로 고정이 되고 이후 가이드부56는 이의 수직방향은 상기 홈(groove)51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핀(pin)55의해 위치한다. 더욱 특이한 점은 본체(body)4와 인서트(insert)53는 핀(pin)55과 이의 가이드부56이 홈(groove)51에 인입되고 고정되도록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에서 정렬되고 인입된다.
수직19과 수평축52 양축 주위의 회전은 도 13,14에서 도시되었다. 본체(body)는 언제든 수직축19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왜냐하면 이것은 구50과 인서트(insert)53사이에 연결에 의해서 그리고 또한 인서트(insert)53와 쉘(shell)3의 원통 케버티(cavity) 사이의 원통 연결에 의해서 허용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실시예에서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서 회전하는 인서트(insert)53를 허용할 필요가 없다. 본체(body)4의 어떤 위치에서 상기 핀(pin)55과 홈(groove)51사이에 연결은 수직 축19주위에서 회전하며 따라서 본체(body)5는 도13에 알 수 있듯이 양방향 화살표57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수평축12 주위에 회전은 도14에서 도시 되있다. 이 경우에 회전화살표58은 홈(groove)51의 길이에 의해 한정된다. 이런 회전이동에서 가이드부56는 홈(groove)51을 따라 이동하고 본체(body)4의 움직임은 수직평면에서 존재함을 확인시킨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본체(body)의 두 개의 부분이 개방을 위해 가압될 때 구50이 인서트(insert)53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인서트(insert)는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조정은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에 의해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실시예는 쉘(shell)3에 관하여 본체(body)4는 두 개의 상호 수직선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는 수직 및 수평 위치를 갖기 위해 미리 레벨이 될 수 있고 반면에 본체(body)4의 위치고정은 간단한 조정 볼트(adjusting bolt)24의 사용으로 충분하다.
모든 실시예에서 쉘(shell)4은 하우징(housing)1에 관련하여 어느 방향으로 회절할 수 있고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며 즉, 삼각대에 의한 어느 위치에서 쉘(shell)3의 상부 평면은 수평면을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헤드 어셈블리10에 고정된 카메라 또는 기계는 어떤 방향에서 두 개의 상호 수직축 주위를 편리하게 회전할 수 있고 어떤 위치에서도 고정될 수 있고, 쉘(shell)3과 본체(body)4가 상호 고정될 경우에, 상기 쉘(shell)3은 하우징(housing)1과 관련하여 어느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housing)1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20는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 요구되는 본체(body)의 완전한 틸팅(tilting)이 가능하게 한다.
헤드 어셈블리10의 보다 바람직한 성향은 작은 구조적 차원과 제조 방법에서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포함하며, 반면에 간단한 핸들링은 용이한 사용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설명되고 요약된 성질은 예시된 실시예뿐만 아니라 당업자가 기본적인 발명적인 컨셉으로부터 동떨어짐이 없이 수많은 다른 실시예을 이해할수 있다.
1: 하우징(housing) 2: 하부 받침대
3: 쉘(shell) 4: 본체(body)
5: 하부 본체 부분 6: 넥(neck)
7: 헤드부분 8: 상부 받침대(지지부)
10: 헤드 어셈블리 12: 구 내부면
13: 상부 테두리(upper rim) 15: 나사 구멍(threaded bore)
16: 하부 조정 볼트 17:머리 부분(head part)
18: 버블 레벨(bubble level) 19: 첫 번째 축
20: 개구부(opening) 21,40: 두 번째 축
22: 스크류(screw) 23: 갭(gap), 슬롯(slot)
24: 조정구성부(adjusting member), 조정장치(adjustment device)
조정 볼트(adjusting bolt)
25: 튜브(tube) 28: 평면 벽(planar wall)
29: 내부표면( inner surface) 30: 클로징 링(closing ring)
31: 워셔 스프링(washer spring)
35,41,50: 구(sphere) 36:평면(plane)
38: 슬롯(slot) 39:평행 표면(planar surface)
26,37,43,53 : 인서트(insert) 42:홀(hole)
44: 샤프트(shaft) 45:보어(bore)
51: 홈(groove) 46,47,55: 핀(pin)
54: 갭(gap) 56: 가이드부

Claims (15)

  1.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지지하거나 조절을 위한 헤드 어셈블리로서, 하우징(housing)(1), 상기 하우징(housing)(1)에 고정된 본체(body)(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body)(4)는 상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지지부(8)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지지부(8)와 함께 상기 본체(body)(4)는 두 개의 상호 수직인 첫 번째 및 두 번째 축(19;21,40)주위에 각각의 각도범위에서 회전, 조절 및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housing)(1)은 상기 쉘(shell)(3)이 상기 하우징(housing)(1)과 관련하여 어떠한 위치에서도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조절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기 위해 상기 하우징(housing)(1)에서 배열되는 쉘(shell)(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housing)(1)은 구 내부 케버티(cavity)를 갖고 상기 쉘(shell)(3)은 상기 하우징(housing)(1)의 상기 내부 케버티(cavity)에 결합하는 구 외부면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고정된 구 표면을 이용하여 상기 쉘(shell)(3)은 예정된 범위에서 어떤 방향에서도 상기 하우징(housing)(1)에 관련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housing)(1)의 상기 내부 케버티(cavity)에서 정렬되며, 상기 어셈블리는 추가적으로 어떠한 예비적 조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housing)(1)에 상기 쉘(shell)(3)의 해제될 수 있는 고정된 쉘(shell)(3)과 상기 하우징(housing)사이에 배열되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쉘(shell)(3)은 적어도 하나의 축(19) 주위에 회전하는 대칭 형태를 갖는 내부 케버티(cavity)로 구성되며, 상기 쉘(shell)(3)과 상기 하우징(housing)(1)사이에 상기 결합에 영향을 주는 것 없이 상기 조정 장치가 어떠한 조절 위치에서도 상기 쉘(shell)(3)에 상기 본체(body)(4)를 해제할 수 있는 범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첫 번째 축(19)에 수직인 상기 두 번째 축(21,40) 주위와 상기 첫 번째 축 주위에서 상기 본체(body)(4)의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두 개의 자유도를 갖는 상기 쉘(shell)(3)에 관련하여 상기 본체(body)(4)의 위치 자유 조정을 허용하는 상기 본체(body)(4)와 상기 쉘(shell)(3) 사이에 배열되는 조정 장치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 자유도를 갖는 상기 조정 장치는 어떠한 조절위치에서 상기 본체(body)(4)를 상기 쉘(shell)(3)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의 공통 조정구성부(adjusting member)(24)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body)(4)는 예상되는 길이에서 상기 본체(body)(4)를 따라 확장되고 두 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상기 본체(body)(4)를 나누는 갭(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정구성부(adjusting member)(24)는 수동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두 개의 분리된 본체(body)부분 사이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body)(4)는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에 원형 대칭적인 외부면으로 구성되는 바닥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따라 상기 바닥부분의 상기 외부면에 결합하는 내부 케버티(cavity)를 갖는 인서트(insert)(26,37,53)에 의해 둘러싸이며, 또한 두 번째 영역에 상기 쉘(shell)(3)의 상기 회전 대칭 케버티(cavity)에 결합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 상기 인서트(insert)(26,37,53)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body)(4)의 본체(body)부분은 서로 분리되도록 압력을 받을 때, 이것은 상기 쉘(shell)(3)의 상기 케버티(cavity)에 가압될 수 있는 상기 인서트(insert)(26,37,53)의 상기 외부면의 탄성 팽창 효과를 가져오도록 상기 인서트(insert)(26,37,43,53)에 상기 본체(body)의 상기 표면에 가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쉘(shell)은 상기 인서트(insert)(26,37,53)와 상기 본체(body)(4)모두에 결합과 고정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인서트(insert)(26,37,53)에 상기 쉘(shell)(3)의 케버티(cavity)의 표면이 원통 표면을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body)(4)의 외부면의 모양과 상기 인서트(insert)(26,37,43)의 케버티(cavity)의 모양은 상기 첫 번째 축(19) 주위에 인서트(insert)(26,37,43)와 관련하여 상기 본체(body)(4)의 회전을 방지하나 상기 수직인 확장된 두 번째 축(21,40) 주위에서 회전은 허용하며, 그리고 상기 인서트(insert)(26,37,43)는 외부 표면을 갖고 여기서 상기 쉘(shell)(3)의 상기 케버티(cavity)의 내부 표면과 함께 원통형 표면을 고정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8. 제 5항 내지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insert)(26,37,43)의 내부에 결합하는 본체(body)(4)의 표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원통 또는 구 표면인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insert)(43)와 결합된 본체(body)(4)의 표면은 구 표면이고, 상기 구(41)의 본체(body)을 관통하여 직행하는 보어(bore)가 상기 구의 적도 면에서 정렬되는 축을 갖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첫 번째 축(19)에 수직이고 그리고 상기 보어(bore)의 연장선에서 각각의 보어(bore)는 상기 쉘(shell)(3)의 대칭 벽에서 제공되고, 샤프트(shaft)(44)는 놓여져 있고 각각의 말단을 갖는 상기 보어(bore)를 관통하게 확장되고, 홈(groove) 형태의 링은 상기 첫 번째(19)에 수직인 중앙 면을 갖는 상기 쉘(shell)(3)의 내부 벽면에서 제공되고, 상기 홈(groove)의 내부 및 홈(groove)의 방향으로 상기 끝 부분은 배열되고 가이드되며, 상기 본체(body)(4)는 상기 샤프트(shaft)(4)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insert)(53)에 고정된 상기 본체(body)(4)의 표면은 구 표면이고 상기 쉘(shell)(3)을 향하는 상기 구(50)의 본체(body)에서 예상된 폭과 깊이를 갖는 홈(groove)(51)은 상기 첫 번째 축(19)에 평행한 예상된 길이를 따라 확장을 제공하고, 상기 핀(pin)(55)의 축이 상기 첫 번째 축(19)에 배열되기 위해 상기 쉘(shell)(3)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쉘(shell)(3)의 내부 케버티(cavity)의 축을 따라 핀(pin)(55)은 외부로 확장하고 상기 구(50)의 홈(groove)(51)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본체(body)(4)는 상기 핀(pin)(55)에 의해 홈(groove)(51)을 따라 가이드 되고, 상기 핀(pin)(55)는 상기 첫 번째 축(19) 주위에 본체(body)(4)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11. 제 10항에 있어서,
    간단한 가이드부(56)는 상기 홈(groove)(51)의 형태와 적합한 형태를 갖는 상기 홈(groove)(51)에 인입하고 상기 가이드부(56)는 직행하는 보어(bore)로 구성되고 상기 보어(bore)내부에서 상기 핀(pin)(55)이 인입되고 관통을 이끄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shell)(3)은 상기 첫 번째 축(19)과 상기 쉘(shell)(3)의 외부 면의 축에 직각인 평형 상부면을 갖고 상기 쉘(shell)의 내부 케버티(cavity)의 축은 서로 평행하게 확장하고 상기 축들은 첫 번째 축(19)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오프셋(offset)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쉘(shell)(3)의 벽면은 다양한 두께를 갖고 ,단면에서 상기 벽 두께는 가장 두꺼우며, 버블 레벨(18)은 상기 벽의 상부 면에서 인입되고 상기 벽은 상기 수평 및 상기 하우징(housing)(1)의 어떤 위치에서 수직인 상기 첫 번재 축(19)에 상기 쉘(shell)(3)의 상기 평행 표면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개구부(opening)(20)는 상기 하우징(housing)(1)의 측벽에서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housing)은 상기 하우징(housing)(1)과 상기 쉘(shell)(3) 사이의 연결의 해제상태에서 허용되고, 상기 하우징(housing)은 본체(body)(4)의 축이 수평 위치를 갖는 첫 번째 축(19)에 수직인 위치에서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헤드 어셈블리.
  14. 조정된 위치에서 두 개의 본체(body)를 함께 고정하고 두 개의 상호 수직인 축(19; 21, 40, 52) 주위에서 조정할 수 있는 하나의 공통 조정 장치(24)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호 수직인 두 개의 축(19; 21, 40, 52) 주위에서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도록 상호 본체(body)를 연결할 수 있는 조정 어셈블리.
  15. 상기 1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본체(body)(4)중 하나는 원형 대칭을 갖는 케버티(cavity)를 갖고, 다른 본체(body)(4)의 유사한 원형 대칭부분은 상기 첫 번째 본체(body)(3)의 케버티(cavity)에서 확장할 수 있는 인서트(insert)(insert)를 통해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원형 대칭 부분에서 갭은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예상된 깊이를 따라 확장하고, 그리고 상기 일반 조정 장치(24)는 분할된 부분을 서로 멀리 이동시키고 상기 분할된 부분과 상기 인서트(insert)(insert)와 상호 결합한 본체(body)에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부분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본체(body)(4)가 상호 그것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게 해제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정 어셈블리.
KR1020167000425A 2013-06-07 2014-05-07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지지 및 조정하기 위한 헤드 어셈블리 KR20160018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1300365A HUP1300365A2 (en) 2013-06-07 2013-06-07 Spherical joint retainer especially for camera
HUP1300365 2013-06-07
HU1300738A HU230566B1 (hu) 2013-12-18 2013-12-18 Fejszerkezet optikai vagy elektronikai készülék tartására és helyzetének beállítására
HUP1300738 2013-12-18
PCT/HU2014/000040 WO2014195745A1 (en) 2013-06-07 2014-05-07 Head assembly for supporting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optical or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731A true KR20160018731A (ko) 2016-02-17

Family

ID=8999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425A KR20160018731A (ko) 2013-06-07 2014-05-07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지지 및 조정하기 위한 헤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626912B2 (ko)
EP (1) EP3004716B1 (ko)
JP (1) JP6571637B2 (ko)
KR (1) KR20160018731A (ko)
CN (1) CN105378366B (ko)
AU (1) AU2014276590B2 (ko)
CA (1) CA2914221A1 (ko)
EA (1) EA030425B1 (ko)
NZ (1) NZ715504A (ko)
SG (1) SG11201509902WA (ko)
WO (1) WO2014195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638B1 (ko) * 2021-09-08 2022-03-23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의 영상 탐색기와 항법장치 간 축 정렬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4006983U1 (de) * 2014-08-26 2015-11-27 Dieter Ramsauer Gelenkiger Stellfuß für Maschinen oder Geräte
DE202015106815U1 (de) * 2015-09-17 2016-12-20 Rk Rose + Krieger Gmbh Verbindungs- Und Positioniersysteme Gelenkanordnung zur Positionierung von Bauteilen
WO2017081502A1 (en) * 2015-11-09 2017-05-18 Kármán Balázs Spherical head assembly for attaching an optical and/or electronic device to a stander
DK179217B1 (da) * 2016-05-26 2018-02-12 Agner Mou Juletræsfod
HU230971B1 (hu) * 2016-11-30 2019-06-28 Balázs Kármán Felső tartókengyel háromlábakhoz
EP3640520A4 (en) * 2017-06-16 2021-03-24 Sugatsune Kogyo Co., Ltd. BEARING FASTENING
JP2019155628A (ja) * 2018-03-08 2019-09-1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BE1026391B1 (fr) * 2018-06-18 2020-01-28 Schreder Sa Systeme de luminaire a dispositif de support
JP6836560B2 (ja) * 2018-09-12 2021-03-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関節カバー、ロボットおよびパラレルリンクロボット
GB2580440A (en) 2019-01-07 2020-07-22 Portable Multimedia Ltd Housing and device
CN112066204B (zh) * 2020-07-15 202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调角装置
CN111981289A (zh) * 2020-09-18 2020-11-24 国网青海省电力公司海东供电公司 一种电力计量物资周转柜监控装置
CN215003173U (zh) * 2021-01-06 2021-12-03 叶小惠 万向支撑机构
US20220260112A1 (en) * 2021-02-12 2022-08-18 Really Right Stuff, Llc Ball head with anti-rotation self-aligning interface
CN113074300B (zh) * 2021-03-29 2023-02-14 郑维洁 绕球心动作结构
CN113276103B (zh) * 2021-04-22 2022-11-04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一种多自由度操作平台
CN113374780B (zh) * 2021-05-27 2022-04-22 安徽工程大学 一种空间位置调节装置
CN114645999B (zh) * 2022-03-10 2023-12-22 赫比(上海)家用电器产品有限公司 一种可多方向旋转的支架总成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3459A (en) * 1929-12-20 1933-06-13 O & S Bearing Company Ball stud
US2576830A (en) * 1948-08-07 1951-11-27 Columbus Auto Parts Universal joint with wide angle of oscillation
CA934777A (en) * 1972-05-05 1973-10-02 M. Tulk George Vise
EP0070336B1 (en) * 1981-07-20 1984-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 tiltable and/or rotatabl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CH680466A5 (ko) * 1988-07-06 1992-08-31 Philippe Vogt
US5249766A (en) * 1988-07-06 1993-10-05 Philippe Vogt Tripod head
US5118058A (en) * 1991-06-20 1992-06-02 Panavise Products, Inc. Universal adjustable mount
DE19540298C2 (de) * 1995-10-28 1997-12-11 Loh Kg Rittal Werk Neigungsadapter für ein Tragarmsystem
JPH09152091A (ja) * 1995-11-30 1997-06-10 Yoichi Ogawara 独立回転型複球状継手雲台
US5769370A (en) * 1995-12-29 1998-06-23 Javad Positioning, Llc Knock-dow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JP3212535B2 (ja) * 1997-04-15 2001-09-25 ハクバ写真産業株式会社 カメラ用雲台
HUP9800084A1 (hu) 1998-01-19 2000-05-28 Balázs Kármán Gömbcsuklós állványfej, különösen fényképezőgépeknek fotoállványokra rögzítéséhez
EP1473510B1 (de) * 2003-05-01 2009-11-25 Philippe Vogt Stativkopf
JP4324647B2 (ja) * 2003-07-11 2009-09-02 有限会社梅本製作所 球継ぎ手および自由雲台
ITPD20050143A1 (it) * 2005-05-18 2006-11-19 Lino Manfrotto & Co Spa Supporto per attrezzature video fotografiche
US8002806B2 (en) * 2005-10-20 2011-08-23 Warsaw Orthopedic, Inc. Bottom loading multi-axial screw assembly
US7281693B2 (en) * 2005-12-29 2007-10-16 Ta-Ching Chou Ball head assembly with anti-escape mechanism for a tripod
KR100914384B1 (ko) * 2008-02-29 2009-08-28 최상일 삼각대용 하프-콜렛 타입 볼 헤드
KR100975714B1 (ko) * 2008-09-05 2010-08-12 강필식 전후 각도조절이 기계적인 조작에 의하여 미세하게 조정되어지는 카메라 삼각대용의 볼헤드.
IT1394084B1 (it) * 2009-03-25 2012-05-25 Manfrotto Lino & C Spa Testa di supporto per apparecchiature video-fotografiche
CN101598886B (zh) 2009-07-07 2010-12-29 刘昊 四轴摄影云台
US8894316B2 (en) * 2009-07-22 2014-11-25 Music Express, Llc Adjustable joint for microphone
DE102010036405A1 (de) * 2010-07-14 2012-01-19 Philippe Vogt Stativkopf
CN101922599A (zh) 2010-09-01 2010-12-22 中山立信摄影器材有限公司 云台面板装置
US8083190B1 (en) * 2010-09-07 2011-12-27 Giga-Byte Technology Co., Ltd Angular adjustment mechanism
DE102011108881A1 (de) * 2011-07-28 2013-01-31 Trw Automotive Gmbh Gelenkgehäuse eines Kugelgelenks sowie Verfahren zur Montage des Gelenkgehäuses an einem Trägerelement
ITVR20130006A1 (it) * 2013-01-11 2014-07-12 Tecres Spa Giunto sferico regolabile
EP2963304B1 (en) * 2014-07-01 2017-01-11 SKF Aerospace France Spherical plain bearing with inner sleeve
DE202014006983U1 (de) * 2014-08-26 2015-11-27 Dieter Ramsauer Gelenkiger Stellfuß für Maschinen oder Geräte
US9964141B2 (en) * 2016-06-30 2018-05-08 Rexnord Industries, Llc Bearing assembly with inner race having one or more fla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638B1 (ko) * 2021-09-08 2022-03-23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의 영상 탐색기와 항법장치 간 축 정렬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509902WA (en) 2016-01-28
EA030425B1 (ru) 2018-08-31
CN105378366B (zh) 2017-03-29
EP3004716A1 (en) 2016-04-13
EP3004716B1 (en) 2020-03-11
CA2914221A1 (en) 2014-12-11
NZ715504A (en) 2019-03-29
US20160076583A1 (en) 2016-03-17
AU2014276590B2 (en) 2017-08-24
US10626912B2 (en) 2020-04-21
WO2014195745A1 (en) 2014-12-11
JP6571637B2 (ja) 2019-09-04
AU2014276590A1 (en) 2016-01-28
JP2016521865A (ja) 2016-07-25
CN105378366A (zh) 2016-03-02
EA201592249A1 (ru)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8731A (ko) 광학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지지 및 조정하기 위한 헤드 어셈블리
US5419522A (en) Universal optical mount
US11036116B2 (en) Panoramic camera mount
JP6880018B2 (ja) 光学及び/又は電子装置をスタンダに取り付けるための球形ヘッド組立体
US6516821B1 (en) Stageless adjusting/locating device for sticks
EP2669736B1 (en) Support device
US9736376B1 (en) Tilt head, camera stage, multi-post monitor mount and camera stabilizer encompassing the same
US9208761B2 (en) Musical instrument tilter and cymbal stand
US20130163978A1 (en) Support head of the ball joint type for videophotographic apparatuses
US8979399B1 (en) Monopod turret support
US10578243B2 (en) Anti-tilt spring mechanism and tension mounting mechanism for a ball and socket mounting device
JP2005090730A (ja) 雲台装置
US20060232837A1 (en) Reduced error kinematic mount
US20140326839A1 (en) Support for positioning an article in a free standing manner
US11226063B2 (en) Top bracket for tripods
US20090304377A1 (en) Rotary joint device, support frame and camera apparatus
KR101950481B1 (ko) 높이 조절 기구
SE519064C2 (sv) Verktyg med fastspänningsanordning för skär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TWM541936U (zh) 標線器之承接裝置
HU230566B1 (hu) Fejszerkezet optikai vagy elektronikai készülék tartására és helyzetének beállításá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