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364A -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 Google Patents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364A
KR20160018364A KR1020150106041A KR20150106041A KR20160018364A KR 20160018364 A KR20160018364 A KR 20160018364A KR 1020150106041 A KR1020150106041 A KR 1020150106041A KR 20150106041 A KR20150106041 A KR 20150106041A KR 20160018364 A KR20160018364 A KR 20160018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ing member
lock
tubular bod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178B1 (ko
Inventor
미키오 네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6001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Abstract

(과제) 관형상체를 원터치로 하우징에 로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중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눈으로 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관형상체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과 관형상체를 로크 및 해제 가능한 로크 부재와, 하우징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로서, 상기 링 부재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피걸림고정부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에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를 해제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관형상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정부가 걸림 고정 해제되어 상기 로크 부재에 축적된 탄지력이 해방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링 부재와 함께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하며, 로크 후에 상기 링 부재를 상기 관형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링 부재에 설치된 끼워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춰 상기 링 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므로, 관형상체를 원터치로 로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중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눈으로 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LOCKING MECHANISM OF THE TUBULAR BODY}
이 발명은 유체 배관의 접속 등에 이용되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용 배관 등의 접속 및 해제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 이음매의 로크 기구에는 신속한 삽입 장착을 실현하기 위해, 로크 기구 본체(소켓)에 관형상체(플러그)를 삽입하면, 소켓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배치 설치된 슬리브가 자동 회전하여 원터치로 소켓과 플러그의 로크가 완료되는 구성의 것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관 이음매 기구는 소켓에 슬리브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 설치됨과 아울러, 소켓과 슬리브의 사이에 개재하는 조작자[操作子, 전 볼(front ball)], 시정자[施錠子, 후 볼(rear ball)], 소켓측에 설치된 조작자 수용 구멍, 시정자 수용 구멍 및 슬리브측에 설치된 조작자 수용 홈, 조작자 수용 홈 사면(斜面), 시정자 수용 홈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조작자가 압출(押出)되어 슬리브가 회전하여 조작자 수용 홈에 수용된다. 계속해서, 시정자가 압출되어 시정자 수용 홈에 수용되고, 시정자의 압출이 없어지면 시정자가 플러그 홈에 수용되어 시정이 완료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78768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에서는, 로크 기구 본체(소켓)에 관형상체(플러그)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슬리브가 자동 회전하여 원터치로 접속할 수 있지만, 접속 전과 접속 후의 외관에 변화가 없고, 확실하게 접속되었는지 아닌지의 확인이 곤란했었다. 또, 플러그를 압입(押入)하는 힘을 이용하여 슬리브를 회동시키기 위해, 직경이 작은 관 이음매에 적합하지만, 대구경(大口徑)의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특히, 엔진 룸 등의 과밀화에 의해 작업 영역이 좁고, 낮은 삽입력으로 조작하는 것이 요구되는 대구경용 관체에는 이용이 곤란했었다.
이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관형상체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 및 해제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로서, 상기 링 부재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피걸림고정부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에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를 해제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관형상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정부가 걸림 고정 해제되어 상기 로크 부재에 축적된 탄지력이 해방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링 부재와 함께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하며, 로크 후에 상기 링 부재를 상기 관형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링 부재에 설치된 끼워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춰 상기 링 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므로, 관형상체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로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로크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반끼워맞춤상태를 회피하여 확실한 로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경 치수의 증가를 저지함과 아울러, 로크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이하의 같은 내용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관형상체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 및 해제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로서, 상기 링 부재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피걸림고정부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에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를 해제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관형상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정부가 걸림 고정 해제되어 상기 로크 부재에 축적된 탄지력이 해방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링 부재와 함께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하며, 로크 후에 상기 링 부재를 상기 관형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링 부재에 설치된 끼워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춰 상기 링 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또, 상기 걸림고정부는 탄성편이며, 상기 피걸림고정부는 구멍부이고, 상기 탄성편이 상기 구멍부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관형상체는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가 상기 탄성편을 상기 구멍부로부터 압출하는 것에 의해, 걸림 고정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축선 방향으로 굴곡한 굴곡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링 부재는 상기 굴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굴곡부와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링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하우징은 슬라이드 이동 사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링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로크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 사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로크 부재가 확장 개방되어 해제 위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하우징측에 구비된 식별부를 눈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로크 부재의 자유단을 덮는 커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상기 로크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線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관형상체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 및 해제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로서, 상기 링 부재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피걸림고정부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에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를 해제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관형상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정부가 걸림 고정 해제되어 상기 로크 부재에 축적된 탄지력이 해방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링 부재와 함께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하며, 로크 후에 상기 링 부재를 상기 관형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링 부재에 설치된 끼워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춰 상기 링 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므로, 관형상체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탄지력의 복귀에 의해 원터치로 하우징에 로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링 부재를 슬라이딩시키면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이중 로크 상태로서 확실하게 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링 부재를 슬라이딩 조작시키는 것에 의해, 로크 상태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가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일이 없고, 좁은 장소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다. 또, 공구에 의한 해제가 불필요함과 아울러, 공구에 의해서 주위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 상기 걸림고정부는 탄성편이며, 상기 피걸림고정부는 구멍부이고, 상기 탄성편이 상기 구멍부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관형상체는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가 상기 탄성편을 상기 구멍부로부터 압출하는 것에 의해, 관형상체를 완전하게 안쪽까지 삽입하지 않으면 링 부재가 회동하지 않기 때문에, 불완전한 상태에서 로크 조작이 실행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축선 방향으로 굴곡한 굴곡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링 부재는 상기 굴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굴곡부와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링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가 일체적으로 회동하므로, 로크 부재의 굴곡부에 직접 손가락을 걸 필요가 없고,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공구에 의한 해제가 불필요하다.
또, 상기 하우징은 슬라이드 이동 사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링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로크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 사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로크 부재가 확장 개방되어 해제 위치로 되므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링 부재를 회동하는 것만으로 로크 부재를 해제하여 안정된 해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하우징측에 구비된 식별부를 눈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로크 작업의 완료를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로크 부재의 자유단을 덮는 커버부를 구비했으므로, 로크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부주의로 해제되는 위험성을 저감하여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로크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로 구성되었으므로, 높은 로크 강도가 얻어지고, 관형상체를 로크 기구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내구성이 우수한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저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 로크 기구와 관형상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일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동일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동일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일 링 부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동일 링 부재의 또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로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동일 로크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동일 로크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대기 상태의 로크 기구와 관형상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대기 상태의 로크 기구를 나타내는 로크 부재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동일 로크 기구와 관형상체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일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동일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링 부재를 슬라이딩시킨 체결 확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관형상체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 및 해제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링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 부재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림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피걸림고정부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에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를 해제 위치로 유지하며, 상기 관형상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정부가 걸림 고정 해제되어 상기 로크 부재에 축적된 탄지력이 해방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링 부재와 함께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하고, 로크 후에 상기 링 부재를 상기 관형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링 부재에 설치된 끼워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춰 상기 링 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므로, 원터치로 로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눈으로 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로크 기구와 관형상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10)는 걸어맞춤부(11)를 구비한 관형상체(12)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하우징(13)과, 하우징(13)과 관형상체(12)를 로크 및 해제 가능한 로크 부재(14)와, 하우징(13)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로크 부재(14)를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링 부재(15)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 부재(15)는 걸림고정부(16)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림고정부(16)가 상기 하우징(13)의 피걸림고정부(17)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14)에 탄지력(탄성에너지)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14)를 해제 위치로 유지하며, 상기 관형상체(12)가 상기 하우징(13)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정부(16)가 걸림 고정 해제되어 상기 로크 부재(14)에 축적된 탄지력이 해방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14)가 상기 링 부재(15)와 함께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관형상체(12)를 로크하고, 로크 후에 상기 링 부재(15)를 상기 관형상체(12)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링 부재(15)에 설치된 끼워맞춤부(18)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끼워맞춤부(19)에 끼워 맞춰 상기 링 부재(15)의 회동을 방지한다. 또한, 걸어맞춤부(11)는 환상 홈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걸어 맞춤 단차부라도 좋다.
관형상체(12)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호스가 접속되는 기단부(12b)에 플랜지(20)를 가짐과 아울러, 대략 중간부의 외주에 환상 홈인 걸어맞춤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3)에 장착되는 선단부(12a)는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형상체(12)는 선단부(12a)의 외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12c)를 구비하고 있으며,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12c)가 탄성편인 걸림고정부(16)를 구멍부인 피걸림고정부(17)로부터 압출하는 것에 의해 걸림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관형상체(12)는 폐지전(閉止栓)이나 플러그 캡(블라인드 덮개)과 같이 유체를 차단하는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또, 관형상체(12)는 금속제라도 좋다. 또한, 관형상체(12)는 호스를 접속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구조물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우징(13)은 일단에 호스가 접속되는 호스 접속부(13a)와 타단에 관형상체 (12)가 장착되는 장착구(13b)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3)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호스 접속부(13a)의 외주에는 호스의 빠짐 방지용의 복수의 환 형상 요철을 가지고 있다. 또, 직경 확대한 장착구(13b)의 외주 꼭대기부에는 로크 부재(14)의 굴곡부(24)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간극(H)을 가지고 안내벽 (21)이 중앙 꼭대기부로부터 좌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안내벽(21)과 대향하여 로크 부재(14)를 하우징(13)의 외주를 따라서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돌기(22)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3)의 외주에는 돌기(22)와 안내벽(25)의 사이에 유지된 로크 부재(14)의 다리부(14b)가 통과 가능한 슬릿(26)이 형성되고, 하우징(13)에 장착된 관형상체(12)의 외주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1)와 걸어 맞춘다. 또한, 하우징(13)의 외주에는 로크 부재(14)의 내향으로 절곡된 다리부(14b)의 선단부(14a)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이동 사면(27)을 가지고 있으며, 링 부재 (15)의 회동 조작에 의해 로크 부재(14)의 선단부인 선단부(14a)가 슬라이드 이동 사면(27)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14)가 확장 개방되어 해제 위치가 된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 사면(27)은 단일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에 한정되는 일없이, 복수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조합이나 경사가 다른 직선의 조합이라도 좋다.
또, 하우징(13)의 외주 하단에서 좌우 대칭 위치에 제 1 슬라이드 이동면 (27a)과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이 1쌍 형성되어 있다. 제 1 슬라이드 이동면 (27a)과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은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다른 경사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라이드 이동면(27a)이 경사 각도가 크고,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이 경사 각도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슬라이드 이동면(27a)은 급한 경사이며,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은 완만한 경사이다. 그리고 돌기(22)와 안내벽(25)의 사이에 유지된 로크 부재(14)의 선단부(14a)가 그 회동에 수반하여 제 1 슬라이드 이동면(27a) 혹은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에 맞닿도록 배치 설치되어 있다. 제 1 슬라이드 이동면(27a)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수직에 가까운 경사를 가지고 있으며,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은 완만한 원호 형상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3)은 도 3,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 접속부(13a)와 안내벽 (21) 사이의 외주에 빨강색 등의 눈에 띄는 색채가 붙여진 식별부(28)가 형성 되어 있으며, 링 부재(15)를 하우징(13)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에, 나타나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별부(28)는 색채 외에 문자 등으로 표기해도 좋다. 또한, 하우징(13)의 장착구(13b)의 안쪽 단에는 도 2,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링 등의 밀봉 부재(32)가 배치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된 관형상체 (12)와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밀봉 부재는 O링에 한정되는 일없이, V링이나 X링 등의 다른 밀봉 부재라도 좋다.
또, 하우징(13)의 호스 접속부(13a)의 개구를 폐색하여, 폐지전이나 플러그 캡(블라인드 덮개)과 같이 유체를 차단하는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로크 부재(14)는 도 8∼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한 연결부(23)와, 이 연결부(23)의 양측(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서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다리부(14b)와, 내향으로 절곡된 다리부(14b)의 선단의 절곡부(14c)로부터, 다리부(14b)와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선단부 (14a)를 구비하도록 굴곡 형성된, 예를 들면 금속제의 탄성 선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23)의 꼭대기부에는 하우징(13)의 축선 방향으로 팽출하는 ㄷ자 형상의 굴곡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굴곡부(24)에 회전 부하를 가하여 조작할 수 있다. 또, 굴곡부(24)는 하우징(13)에 형성된 안내벽(21)의 간극(H)보다 작은 치수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수납된다. 또한, 다리부(14b)의 직경은 슬릿(26)의 폭보다 작고, 슬릿(26)을 통과할 수 있다. 다리부(14b)의 길이 치수는 슬릿(26)의 길이(높이 치수)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부재(14)는 금속제, 합성수지제의 판재라도 좋다. 즉, 선재에 한정되는 일없이, 가늘고 긴 판재로 구성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링 부재(15)는 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3)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로크 부재(14)를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링 부재(1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꼭대기부 내주의 로크 부재(14)의 굴곡부(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가진 돌기부(29)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29)의 간격은 정확히 굴곡부(24)가 그 사이에 수용되는 크기이다. 따라서, 링 부재(15)가 회동함으로써, 로크 부재(14)를 일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 링 부재(15)에는 환 형상 벽으로부터 탄성편으로서 잘라 떼어낸 걸림고정부(16)를 구비하고 있으며, 걸림고정부(16)는 내측에 걸어 맞춤 돌기(16a)를 가지고 있다.
또, 링 부재(15)는 하우징(13)에 끼워 맞추었을 때에 하우징(13)측에 설치된 피끼워맞춤부(19)와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끼워맞춤부(18)는 삼각형 형상의 노치(18a)와 뿔 형상의 노치(18b)로 구성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부(18)는 삼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형상 등이라도 좋다. 또한, 링 부재(15)는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에, 로크 부재(14)의 자유단[선단부(14a)]을 덮는 커버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링 부재(15)는 하우징(13)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에, 슬라이딩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 고정 돌기(15b)를 가지고 있다. 걸림 고정 돌기(15b)는 걸림고정부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13)측의 돌기(31)와 걸림 고정한다. 링 부재(15)를 하우징(13)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하우징측에 구비된 식별부(28)를 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링 부재(15)는 로크 부재 (14)의 자유단[선단부(14a)]을 덮는 커버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10)를 조립할 경우, 먼저, 하우징 (13)에 로크 부재(14)를 상측 방향에서 장착한다. 로크 부재(14)의 장착 순서는 돌기(22)와 안내벽(25)의 사이에 다리부(14b)를 좌우로 개방하도록 하여 삽입 해방하면, 선재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14a)가 제 1 슬라이드 이동면(27a)과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14)의 굴곡부(24) 및 선단부(14a)를 하우징(13)의 호스 접속부(13a) 방향으로 향하여 장착한다. 장착한 다리부(14b)의 일부는 하우징(13)의 슬릿(26)에서 장착구(13b) 내로 돌출된다. 또한, 외주로부터 링 부재(15)를 그 돌기부(29)가 로크 부재(14)의 굴곡부(24)와 일치하도록 하여 장착하고, 하우징(13)의 외주를 따라서 회동시켜 걸림고정부(16)의 걸어 맞춤 돌기(16a)를 하우징(13)의 피걸림고정부(17)에 걸림 고정시킨다. 이 작업 중은 링 부재(15)의 걸림 고정 돌기(15b)가 안내벽(21)에 닿는 것에 의해, 링 부재(15)가 후방으로 빠지는 일이 없다.
다음에, 관형상체(12)와 하우징(13)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형상체(12)의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12c)가 하우징(13)의 피걸림고정부(17)와 일치하도록 하여 장착구(13b)로부터 장착한다. 관형상체(12)를 안쪽까지 삽입하면, 링 부재(15)의 걸어 맞춤 돌기(16a)가 피걸림고정부(17)로부터 압출된다. 그러면, 로크 부재(14)에 축적된 탄지력이 해방되어 로크 부재(14)가 링 부재 (15)와 함께 로크 위치로 회전 이동하고, 다리부(14b)가 슬릿(16)으로부터 돌출 되어 걸어맞춤부(11)와 걸어 맞춤으로써 관형상체(12)를 로크한다(도 13∼16 참조). 이와 같이, 관형상체(12)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탄지력이 해방되어 자동적으로 로크되므로, 로크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 관형상체(12)를 안쪽까지 삽입하지 않으면 로크 부재(14)가 해방되지 않아 반끼워맞춤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관형상체(12)를 안쪽까지 삽입된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32)가 관형상체(12)의 선단부 (12a) 외주와 하우징(13) 장착구(13b)의 내주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압압되어 수밀성이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도 17,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부재(15)를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끼워맞춤부(18)와 피끼워맞춤부(19)를 끼워 맞추게 한다. 끼워맞춤부(18)와 피끼워맞춤부(19)를 끼워 맞추게 함으로써, 링 부재(15)는 회동 불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하우징(13)측에 형성한 식별부(28)가 나타나서 눈으로 보는 것으로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링 부재(15)의 걸림 고정 돌기(15b)가 하우징(13)의 돌기(31)와 걸림 고정하고, 이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중 로크 상태로 되어 확실한 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이중 로크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링 부재(15)를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로크 부재(14)의 선단부 (14a)의 외주가 커버부(30)에 의해서 덮이므로, 외부로부터 부주의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관형상체(12)와 하우징(13)의 걸어 맞춤을 해제할 경우는, 먼저,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부재(15)를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끼워맞춤부 (18)와 피끼워맞춤부(19)를 이간시킨다. 다음에, 링 부재(15)를 해제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로크 부재(14)의 일방의 선단부(14a)는 밀려 제 1 슬라이드 이동면(27a)에 올라앉아 외주 방향으로 확장 개방한다. 또한, 제 1 슬라이드 이동면 (27a)은 대략 수직에 가까운 경사를 가지므로, 짧은 선회 스트로크라도 로크 부재 (14)의 다리부(14b)를 크게 확장 개방시킬 수 있어 로크 부재(14) 및 링 부재(15)의 선회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로크 부재(14)의 다리부(14b)의 선단이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4c)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리부(14b)가 개방되어도 하우징(13)의 외주로부터 거의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굴곡부(24) 및 링 부재(15)의 회동 범위는 안내벽(21)에 형성된 간극(H)에 의해 제한되므로, 지나치게 회전될 우려도 없다.
로크 부재(14)의 타방의 선단부(14a)는 이끌려서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에 올라앉음과 아울러, 슬릿(26)의 단 가장자리가 지점(支點)으로 되어 외주 방향으로 확장 개방한다. 즉, 해제 조작의 시작은 선단부(14a)만이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에 올라앉기 때문에 움직임의 시작이 가볍다. 더욱 회동하면 단 가장자리를 지점으로 하고, 로크 부재(14)의 선단부(14a)를 작용점으로서 개방하므로, 짧은 선회 스트로크로 선단부(14a)가 더욱 크게 확장 개방하여 걸어맞춤부(11)로부터의 해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선단부(14a)가 개방됨으로써, 다리부(14b)가 좌우로 확장 개방되어 관형상체(12)의 걸어맞춤부(11)로부터 벗어나서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관형상체(12)를 뽑아낼 수 있다(도 2 참조).
본 발명에서는 링 부재(15)를 단지 가로(하우징의 원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해제 조작이 가능하므로, 돌출되는 부위가 없고, 좁은 장소라도 해제할 수 있다. 또, 로크 부재(14)가 다른 경사의 제 1 슬라이드 이동면(27a)과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의 슬라이드 이동면에 의해 넓혀지므로, 작은 힘으로 해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로크 상태라도 해제 상태라도 굴곡부(24)가 돌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협소한 공간에서의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링 부재(15)를 해제 방향으로 회동하고, 해제 후에 링 부재(15)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링 부재(15)의 걸어 맞춤 돌기(16a)가 하우징(13)의 피걸림고정부 (17)로 들어가 있어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대기 상태). 즉, 링 부재(15)는 회전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오작동의 우려가 적다.
또, 이 상태에서 로크 부재(14)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14a)가 각각 제 1 슬라이드 이동면(27a), 제 2 슬라이드 이동면(27b)에 올라앉은 위치에 있으며, 탄성 변형하고 있다. 즉, 로크 부재(14)는 탄성 에너지를 축적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대기 상태에서는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 (18)와 피끼워맞춤부(19)의 위치가 어긋나 맞닿아 있으므로, 링 부재(15)를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로크 부재(14)의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 링 부재(15)를 회전시키면서 무거운 호스를 삽입할 필요가 없고, 양손으로 호스를 쥐고 삽입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관형상체의 로크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떼어낼 경우에 다른 부품을 손상시킬 우려도 없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관형상체(12)측에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12c)를 설치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걸어 맞춤 돌기(16a)의 하우징의 삽입장착구 (13b) 내주(內周)로의 돌출량을 크게 함으로써,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12c)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관형상체(12)를 삽입 장착할 때에 피걸림고정부(17)와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12c)의 위치 맞춤이 불용이 된다.
본 발명의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는 배관용의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로서, 건설기계의 라디에이터나 인테이크 파이프(스로틀 밸브 주변)나 인터쿨러나 배터리 팩 등의 배관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주택 설비나 농업용수용의 배관에 사용 가능하다. 또한,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체는 폐지전이나 플러그 캡(블라인드 덮개)과 같이 유체를 차단하는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10: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11: 걸어맞춤부
12: 관형상체 12a: 선단부
12b: 기단부 12c: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
13: 하우징 13a: 호스 접속부
13b: 장착구 14: 로크 부재
14a: 선단부 14b: 다리부
14c: 절곡부 15: 링 부재
15b: 걸림 고정 돌기 16: 걸림고정부
16a: 걸어 맞춤 돌기 17: 피걸림고정부
18: 끼워맞춤부 18a: 노치
18b: 노치 19: 피끼워맞춤부
20: 플랜지 21: 안내벽
22: 돌기 23: 연결부
24: 굴곡부 25: 안내벽
26: 슬릿 27: 슬라이드 이동 사면
27a: 제 1 슬라이드 이동면 27b: 제 2 슬라이드 이동면
28: 식별부 29: 돌기부
30: 커버부 31: 돌기
32: 밀봉 부재

Claims (7)

  1.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관형상체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 및 해제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로서,
    상기 링 부재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피걸림고정부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에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를 해제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관형상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정부가 걸림 고정 해제되어 상기 로크 부재에 축적된 탄지력이 해방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링 부재와 함께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하며, 로크 후에 상기 링 부재를 상기 관형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링 부재에 설치된 끼워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춰 상기 링 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는 탄성편이며, 상기 피걸림고정부는 구멍부이고, 상기 탄성편이 상기 구멍부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관형상체는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림 고정 해제 돌기부가 상기 탄성편을 상기 구멍부로부터 압출하는 것에 의해, 걸림 고정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축선 방향으로 굴곡한 굴곡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링 부재는 상기 굴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굴곡부와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링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슬라이드 이동 사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링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로크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 사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로크 부재가 확장 개방되어 해제 위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하우징측에 구비된 식별부를 눈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로크 부재의 자유단을 덮는 커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KR1020150106041A 2014-08-07 2015-07-27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KR101714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1506A JP6168559B2 (ja) 2014-08-07 2014-08-07 管状体のロック機構
JPJP-P-2014-161506 2014-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364A true KR20160018364A (ko) 2016-02-17
KR101714178B1 KR101714178B1 (ko) 2017-03-08

Family

ID=5526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041A KR101714178B1 (ko) 2014-08-07 2015-07-27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56309B2 (ko)
EP (1) EP3179148B1 (ko)
JP (1) JP6168559B2 (ko)
KR (1) KR101714178B1 (ko)
WO (1) WO2016021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7085B1 (de) * 2015-10-07 2016-11-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ES2651907B1 (es) * 2016-07-29 2018-11-16 Cikautxo, S.Coop. Racor hembra de conector enchufable y conector enchufable
US11480277B2 (en) * 2016-12-01 2022-10-25 Illinois Tool Works Inc. Quick connector with positive lock indication
BR112020008719A2 (pt) 2017-11-22 2020-11-03 Oetiker Ny, Inc. verificador de conexão
DE112018006538T5 (de) * 2017-12-21 2020-11-05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und verfahren für eine verbinderanordnung
CN111699337B (zh) * 2018-01-31 2022-04-26 三星Sdi株式会社 用于车辆电池包的流体分配系统的管组件和用于车辆的电池包
EP3522291B1 (en) * 2018-01-31 2021-09-29 Samsung SDI Co., Ltd. Tube assembly for a fluid distribution system of a battery pack of a vehicle and battery pack for a vehicle
FR3077615B1 (fr) * 2018-02-02 2020-02-21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DE102018122597A1 (de) * 2018-09-14 2020-03-19 Norma Germany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röhrenförmiger Objekte
JP7198044B2 (ja) * 2018-10-31 2022-12-28 芦森工業株式会社 ホースの継手金具
JP7209252B2 (ja) * 2018-11-30 2023-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継手
ES2784649A1 (es) * 2019-03-28 2020-09-29 Hutchinson Dispositivo de conexión de fluido
IT201900004659A1 (it) * 2019-03-28 2020-09-28 Hutchinson Dispositivo di connessione di fluido.
DE102019113825B3 (de) * 2019-05-23 2020-11-26 ECO Holding 1 GmbH Aktua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ktuators
KR200492610Y1 (ko) * 2019-07-22 2020-11-11 이응선 수전금구 체결유닛
AT522804B1 (de) 2019-09-03 2021-02-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DE102020108073A1 (de) * 2020-03-24 2021-09-30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mit Vormontagesicherung
AT523066B1 (de) 2020-05-27 2021-05-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US20220341525A1 (en) * 2021-04-23 2022-10-2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Quick action fluid coupler
AT524862B1 (de) 2021-11-09 2022-10-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AT525044B1 (de) 2022-01-11 2022-12-15 Henn Gmbh & Co Kg Steckerbaugruppe mit einem Steckverbinder und einem Gegensteckverbinder
WO2023133605A1 (de) 2022-01-11 2023-07-20 Henn Gmbh & Co Kg. Steckerbaugruppe mit einem steckverbinder und einem gegensteckverbinder
AT525974B1 (de) 2022-09-27 2023-10-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sowie ei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eckverbindung zwischen dem Steckverbinder und einem Gegensteckverbind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8190U (ja) * 1991-06-21 1992-12-2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4787682B2 (ja) 2006-06-02 2011-10-05 日東工器株式会社 継手及びこの継手に用いるソケット
WO2013166536A1 (de) * 2012-05-07 2013-11-14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unter druck gesetzte flüssigkeiten oder gase
JP2014224600A (ja) * 2013-04-25 2014-12-04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KR101586535B1 (ko) * 2012-09-26 2016-01-1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1571A (en) * 1935-06-08 1937-05-25 Bendix Prod Corp Coupling
US2805089A (en) * 1954-12-30 1957-09-03 Hansen Mfg Co Pipe coupling with wedged spring ring detent means
US2898130A (en) * 1958-01-20 1959-08-04 Hansen Mfg Co Safety seal
US3428340A (en) * 1967-03-20 1969-02-18 Harry L Pelton Hose coupling
US4991880A (en) * 1989-08-28 1991-02-12 Handy And Harman Automotive Group,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twist release
JPH0533891A (ja) * 1990-11-26 1993-02-09 Nitta Moore Co Ltd 管継手
DE102006002565A1 (de) 2006-01-05 2007-07-1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Kupplungsteil für Steckverbinderanordnung
DE102006002564A1 (de) * 2006-01-05 2007-07-1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teckteil für Steckverbinderanordnung
JP5059570B2 (ja) * 2007-12-04 2012-10-24 日東工器株式会社 継手及びソケット
JP5518529B2 (ja) * 2010-03-04 2014-06-11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KR20130098171A (ko) 2010-05-04 2013-09-04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커넥터 어셈블리
JP6147210B2 (ja) 2014-03-17 2017-06-14 株式会社ニフコ 管状体のロック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8190U (ja) * 1991-06-21 1992-12-2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4787682B2 (ja) 2006-06-02 2011-10-05 日東工器株式会社 継手及びこの継手に用いるソケット
WO2013166536A1 (de) * 2012-05-07 2013-11-14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unter druck gesetzte flüssigkeiten oder gase
KR101586535B1 (ko) * 2012-09-26 2016-01-1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커넥터
JP2014224600A (ja) * 2013-04-25 2014-12-04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38019A (ja) 2016-03-22
WO2016021612A1 (ja) 2016-02-11
US20170227153A1 (en) 2017-08-10
EP3179148A1 (en) 2017-06-14
KR101714178B1 (ko) 2017-03-08
EP3179148A4 (en) 2018-05-16
EP3179148B1 (en) 2019-11-27
JP6168559B2 (ja) 2017-07-26
US10156309B2 (en)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178B1 (ko)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US9958098B2 (en) Tubular-member lock mechanism
AU771633B2 (en) Coupling part for a fluid coupling device, especially a hose coupling, as well as a fluid coupling device itself
EP1154190B1 (en) Apparatus relating to tube couplings
US6722703B2 (en) Quick connector with function of verifying complete connection
US8469406B2 (en) Socket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US20040066034A1 (en) Connection verifying device and connection verifying structure for a pipe and a connector
US20190242510A1 (en) Connector
US10119307B2 (en) Vehicle handle device
US11098833B2 (en) Quick connector
TW201515618A (zh) 飲料用容器
WO2018077196A1 (zh) 连接器
US7401818B2 (en) Quick connector
EP2327581B1 (en) Lockable cap for fuel tank
US20180112807A1 (en) Plug connection for fluid lines, including a retaining part and a secondary lock
US8839973B2 (en) Fuel inlet device with a cap member for a fuel tank
CA303901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assurance cap onto a fluid connector using optical and induction sensors
US20150354742A1 (en) Hose couplers
JP6083869B2 (ja) コネクタ
EP1596118A1 (en) Dustproof cap for quick connector and quick connector
US20160348821A1 (en) Rapid coupling
KR200475865Y1 (ko) 가스기구 연결 어댑터
JP2013254092A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の半挿し防止兼誤脱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