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05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058A
KR20160018058A KR1020140101984A KR20140101984A KR20160018058A KR 20160018058 A KR20160018058 A KR 20160018058A KR 1020140101984 A KR1020140101984 A KR 1020140101984A KR 20140101984 A KR20140101984 A KR 20140101984A KR 20160018058 A KR20160018058 A KR 20160018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ver
section
member cov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740B1 (ko
Inventor
하주영
민들레
박미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740B1/ko
Priority to EP15179919.4A priority patent/EP2982919B1/en
Priority to US14/821,346 priority patent/US9429354B2/en
Priority to CN201510483779.1A priority patent/CN105371560B/zh
Publication of KR2016001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Abstract

식품의 보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 출납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결합되는 수납부재커버 및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단차를 가지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식품의 보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냉장고는 저장실과 도어의 형태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측에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TMP(Top Mounted Freezer)형 냉장고와,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냉장고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저장실이 수직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일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며 타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SBS(Side By Side)형 냉장고가 있으며,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되 상측의 냉장실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 냉장고가 있다.
냉장고의 저장실에는 식품 수납을 위한 수납부재가 출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고자 할 때 적절한 습도 유지를 위해 수납부재의 밀폐성 향상이 요구된다.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식품이 가진 수분을 빼앗겨 수납부재 내부의 식품 신선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장실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냄새와 수납부재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냄새가 섞여 식품 고유의 풍미를 잃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납부재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수납부재의 집수성(集水性)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 출납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부재, 상기 식품 저장을 위한 수납부재는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결합되는 수납부재커버 및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단차를 가지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 및 상기 수납부재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납부재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에 결합되는 주름부 및 상기 주름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주름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저장실의 전후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커버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제 1구간 및 상기 저장실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 1구간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기 제 1구간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 2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커버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커버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2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납부재에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하방을 향하여 상기 수납부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2구간을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수납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상기 수납부재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간에는 상기 롤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일 면에는 집수(集水)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 패턴은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집수 패턴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육각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 출납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과 마주하는 일 면에 집수(集水) 패턴이 형성되는 수납부재커버,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 및 상기 수납부재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를 가지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 패턴은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집수 패턴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집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복수의 집수부의 일 면은 상기 복수의 집수부에 집수되는 물방울과의 접촉면적이 넓도록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 패턴은 상기 복수의 집수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집수부에 집수된 물방울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집수부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는 브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집수부 및 상기 브리지의 함몰정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커버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제 1구간, 상기 저장실의 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기 제 1구간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 2구간 및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을 연결하는 경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저장실의 수납공간과 마주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2구간을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수납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상기 수납부재에서 이격될 수 있다.
수납부재 및 수납부재커버 사이에 실링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수납부재의 수납공간 내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수납부재커버를 여닫을 수 있도록 수납부재커버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납부재에 대한 수납부재커버의 밀폐기능을 인식한 상태에서 수납부재 및 수납부재커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단차 내지 경사를 가지는 레일을 배치함으로써,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단차 내지 경사를 가지는 레일을 배치함으로써, 수납부재커버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실링부재가 수납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에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물방울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에 저장되는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를 일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 및 실링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실링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에 포함되는 패널을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에 포함되는 패널에 있어서, 패널에 형성되는 다양한 패턴에 따른 집수(集水)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본체(10)의 내부에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20),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 및 도어(3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힌지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모듈(40)은 상부 힌지(41) 및 하부 힌지(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 및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상(11) 및 외상(13)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15)가 발포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저장실(20)을 냉장실(21) 및 냉동실(23)로 구획하는 격벽(17)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21) 및 냉동실(23)은 각각 저장실(20)의 우측 및 좌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냉장실(21) 및 냉동실(23)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51) 및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기계실(29)이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식품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실(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25) 및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는 수납부재커버(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본체(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격벽(17)에 의해 구획되는 냉장실(21) 및 냉동실(23)은 각각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는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힌지(41) 및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힌지(43)를 포함하는 힌지모듈(40)에 의해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의 배면에는 식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드(35)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51), 응축기, 증발기(53), 송풍팬(55) 및 냉기덕트(57)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51) 및 응축기는 기계실(29)에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53), 송풍팬(55) 및 냉기덕트(57)는 저장실(2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는 출납 가능하도록 저장실(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는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여 출납 가능하도록 저장실(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내부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공간(110)은 케이싱(1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케이싱(120)은 개방된 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20)의 전면(前面) 및 상면(上面)은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는 케이싱(120)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30)은 케이싱(120)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패널(130)에는 사용자가 저장실(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를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핸들(140)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14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전면패널(13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140)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전면패널(130)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핸들(14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전면패널(130) 및 케이싱(12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수납공간(110)의 식품 수납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외관은 케이싱(120) 및 전면패널(1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외관은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싱(120) 및 전면패널(1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는 접촉면(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150)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개방된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면(150)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접촉면(150)은 수납부재커버(200)와 마주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에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밀폐시키는 경우 접촉면(150)에 접촉 내지 밀착될 수 있다. 또는, 실링부재(260)(도5참고)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밀폐시키는 경우 접촉면(150)에 접촉 내지 밀착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수납부재커버(200)(도4참고)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레일(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160)은 저장실(20)의 전후방향(A)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레일(160)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외측면 또는 저장실(20)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일(160)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200)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레일(160)을 따라 저장실(20)의 전후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려면 수납부재커버(200)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구조가 되므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밀폐상태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레일(160)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160)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16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움직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의 밀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레일(16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움직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의 밀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레일(160)은 제 1구간(161) 및 제 2구간(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구간(161)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구간(162)은 저장실(20)의 후방을 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구간(162)은 제 1구간(16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구간(161) 및 제 2구간(162)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구간(162)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제 1구간(161)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구간(162)에는 수납부재커버(200)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스토퍼(stopper)(164)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64)는 롤러(250)(도4참고)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제 2구간(162)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64)는 수납부재커버(200)의 움직임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수납부재커버(200)가 저장실(20)의 후방을 향하여 움직이는 과정에서 저장실(20)의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64)는 레일(160)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64)는 제 2구간(162)으로부터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스토퍼(164)는 레일(160)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64)는 제 2구간(162)으로부터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하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스토퍼(164)는 레일(160) 및 가이드레일(170)을 연결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64)는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레일(160) 및 가이드레일(170)을 연결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스토퍼(164)는 수납부재커버(200)에 결합되는 롤러(25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64)는 저장실(20)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레일(160)은 경사구간(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구간(163)은 제 1구간(161) 및 제 2구간(162)을 연결할 수 있다. 즉, 경사구간(163)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1구간(161) 및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2구간(162)을 연결할 수 있다. 경사구간(163)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에 대하여 저장실(20)의 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장고(1)는 레일(160)과 함께 수납부재커버(2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0)은 레일(160)과 함께 수납부재커버(200)에 결합되는 롤러(2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0)은 레일(160)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레일(160)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0)은 저장실(20)의 전후방향(A)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0)은 레일(160)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레일(16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0)은 레일(16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170)은 레일(160)의 제 2구간(16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레일(160)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여 가이드레일(170)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레일(170)은 경사구간(163) 및 제 2구간(162)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레일(17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경사구간(163) 및 제 2구간(16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레일(170)은 레일(160)과 함께 저장실(20)의 전후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 롤러(2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 2구간(162)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레일(170)이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제 1구간(161)의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제 1구간(161) 및 제 2구간(162) 사이를 움직이는 롤러(250)의 움직임을 간섭 내지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7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제 2구간(162)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레일(160)의 제 1구간(161)은 수납부재커버(200)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밀폐시키는데 관여할 수 있다. 레일(160)의 제 2구간(162)은 수납부재커버(200)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저장실(20)의 전후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데 관여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0)은 제 2구간(162)과 함께 수납부재커버(200)가 저장실(20)의 전후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데 관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를 일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 및 실링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수납부재커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에 대응하는 개수의 수납부재커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냉장고(1)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커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부재커버(200)는 레일(16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케이싱(120)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200)는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개방된 개구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11)는 프레임(210)의 상면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은 롤러결합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결합부(212)는 프레임(2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롤러결합부(212)는 프레임(210)의 측면에서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롤러결합부(212)는 프레임(21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은 복수의 고정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213)는 개구부(211)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213)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과 마주하는 프레임(210)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213)는 패널(230)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231)과 결합할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200)는 커버핸들(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핸들(220)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수납부재커버(2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핸들(22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수납부재커버(200)의 프레임(210)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핸들(22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버핸들(220)은 프레임(21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핸들(220)은 수납부재커버(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핸들(220)은 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200)는 패널(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230)은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230)은 패널(230)의 일부가 프레임(210)의 개구부(2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23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프레임(2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230)에는 집수(集水) 패턴(2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수 패턴(240)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과 마주하는 패널(23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 패턴(2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패널(230)에는 복수의 고정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홀(231)은 집수 패턴(2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패널(230)은 프레임(210)의 복수의 고정부(213)가 패널(230)의 복수의 고정홀(23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230)에는 실링부재결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결합부(232)는 집수 패턴(2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결합부(232)는 집수 패턴(240) 및 복수의 고정홀(2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결합부(232)는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210) 및 패널(23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납부재커버(200)에는 레일(160)을 따라 움직이는 롤러(250)가 결합될 수 있다. 롤러(250)는 프레임(210)의 롤러결합부(2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200)는 롤러(250)가 레일(160)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저장실(20)의 전후방향(A)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냉장고(1)는 실링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에는 수분 함유량이 많은 과일이나 야채가 보관 내지 저장될 수 있다. 과일이나 야채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의 습도 유지가 중요하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의 습도 유지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에 밀폐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의 밀폐구조는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 및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링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 및 수납부재커버(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260)는 수납부재커버(2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260)는 패널(230)에 마련되는 실링부재결합부(232)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26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260)는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링부재(260)의 재질은 고무 및 실리콘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링부재(26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은 도 6의 실링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260)는 주름부(261) 및 밀착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주름부(261)에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름부(261)는 수납부재커버(2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부(261)는 패널(230)에 마련되는 실링부재결합부(232)에 결합될 수 있다.
밀착부(262)는 주름부(26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밀착부(262)는 수납부재커버(200)의 움직임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에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착부(262)는 레일(160)을 따라 저장실(20)의 전후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는 수납부재커버(200)의 움직임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접촉면(150)에 밀착될 수 있다. 밀착부(262)는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에 대하여 실링부재(260)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주름부(26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에 포함되는 패널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에 포함되는 패널에 있어서, 패널에 형성되는 다양한 패턴에 따른 집수(集水)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또한, 패널(230)에 관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이미 언급한 바, 이하, 집수 패턴(24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과 마주하는 수납부재커버(200)의 일 면에는 집수 패턴(2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집수 패턴(240)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과 마주하는 패널(23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이 밀폐구조를 가지는 경우, 수납부재커버(200)에는 물방울이 맺힐 수 있다. 즉, 수납부재커버(200)에는 결로현상에 의해 물방울이 맺힐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200)에 맺힌 물방울은 크기가 커짐에 따라 중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에 보관되는 야채 또는 과일은 수납부재커버(200)에서 낙하하는 물방울에 의해 짓무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부재커버(200)에 맺힌 물방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에 보관되는 야채 또는 과일이 짓무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수납부재커버(200)에 집수 패턴(240)을 형성할 수 있다.
집수 패턴(240)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5참고)
집수 패턴(240)은 복수의 집수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집수부(241)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집수부(241)는 복수의 집수부(241)에 포집된 수분(물방울)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집수부(241)는 기둥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집수부(241)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집수부(241)는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육각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육각기둥형상은 기준형상에 비해 복수의 집수부(241)에 집수 가능한 최대 집수 가능량이 많다. 또한, 육각기둥형상은 기준형상에 비해 충격에 의해 복수의 집수부(241)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수분(물방울)양이 월등하게 적다. 기준형상은 사각뿔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복수의 집수부(241) 및 복수의 집수부(241)에 포집된 수분(물방울)과의 접촉면적 내지 표면장력의 크기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집수부(241)가 육각기둥형상을 가지는 경우, 복수의 집수부(241) 및 복수의 집수부(241)에 포집된 수분(물방울)의 접촉면적이 크므로, 다시 말하면, 복수의 집수부(241) 및 복수의 집수부(241)에 포집된 수분(물방울) 사이에 표면장력이 크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집수 능력이 우수하다.
복수의 집수부(241)의 너비는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상방을 향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집수부(241)의 너비가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과 마주하는 복수의 집수부(241)의 일 면은 복수의 집수부(241)에 집수 내지 포집되는 수분(물방울)과의 접촉면적이 넓도록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 패턴(240)은 브리지(bridge)(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242)는 복수의 집수부(24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집수부(241)에 집수 내지 포집된 수분(물방울)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집수부(241)보다 좁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브리지(242)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브리지(242)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브리지(242)는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집수부(241) 및 브리지(242)의 함몰정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집수부(241)의 함몰정도가 브리지(242)의 함몰정도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재커버(200)는 롤러(250)가 레일(160)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저장실(20)의 전후방향(A)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수납부재커버(200)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은 닫힌 상태에 해당한다. 수납부재커버(200)가 저장실(20)의 후방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은 열린 상태에 해당한다.
수납부재커버(200)는 롤러(250)가 레일(160)의 제 1구간(161)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밀폐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에 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실링부재(260)는 롤러(250)가 레일(160)의 제 1구간(161)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밀폐시키도록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하방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롤러(250)가 레일(160)의 제 1구간(161)에 위치하는 경우, 수납부재커버(200) 또는 실링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접촉면(150)에 밀착될 수 있다. 롤러(250)가 레일(160)의 제 1구간(161)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은 닫힌 상태, 구체적으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수납부재커버(200)는 롤러(250)가 레일(160)의 제 2구간(162)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이 개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에서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실링부재(260)는 롤러(250)가 레일(160)의 제 2구간(162)을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실링부재(260)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상방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에서 이격될 수 있다. 즉, 롤러(250)가 레일(160)의 제 2구간(162)에 위치하는 경우, 수납부재커버(200) 또는 실링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접촉면(15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롤러(250)가 레일(160)의 제 2구간(162)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의 개폐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여 핸들(140)을 잡아당기면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 및 수납부재커버(200)가 일체로 인출된다. 그 후, 사용자는 수납부재커버(200)를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상방을 향하여 들어올린 후, 저장실(20)의 후방을 향하여 밀어낸다. 사용자는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으로부터 원하는 야채 또는 과일을 꺼낸다. 그 후,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를 저장실(20)의 후방을 향하여 밀어내면 수납부재커버(200)는 레일(160)을 따라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수납부재커버(200)는 저장실(20)에서 수납부재커버(200)의 결합방향(B)으로 하방을 향하여 내려앉아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의 수납공간(110)을 밀폐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 및 수납부재커버(200)는 복수의 김치저장고(300)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1a)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100) 및 수납부재커버(200)는 냉장고(1)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a : 김치냉장고
10 : 본체 11 : 내상
13 : 외상 15 : 단열재
17 : 격벽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3 : 냉동실
25 : 선반 29 : 기계실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3 : 냉동실 도어 35 : 도어가드
40 : 힌지모듈 41 : 상부 힌지
43 : 하부 힌지 51 : 압축기
53 : 증발기 55 : 송풍팬
57 : 냉기덕트 100 : 수납부재
110 : 수납공간 120 : 케이싱
130 : 전면패널 140 : 핸들
150 : 접촉면 160 : 레일
161 : 제 1구간 162 : 제 2구간
163 : 경사구간 164 : 스토퍼
170 : 가이드레일 200 : 수납부재커버
210 : 프레임 211 : 개구부
212 : 롤러결합부 213 : 고정부
220 : 커버핸들 230 : 패널
231 : 고정홀 232 : 실링부재결합부
240 : 집수 패턴 241 : 집수부
242 : 브리지 250 : 롤러
260 : 실링부재 261 : 주름부
262 : 밀착부 300 : 김치저장고

Claims (25)

  1.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
    출납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결합되는 수납부재커버; 및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단차를 가지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 및 상기 수납부재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납부재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에 결합되는 주름부; 및
    상기 주름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주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저장실의 전후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커버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제 1구간; 및
    상기 저장실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 1구간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기 제 1구간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 2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커버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커버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2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납부재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하방을 향하여 상기 수납부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2구간을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수납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상기 수납부재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간에는 상기 롤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일 면에는 집수(集水)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패턴은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패턴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육각기둥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
    출납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과 마주하는 일 면에 집수(集水) 패턴이 형성되는 수납부재커버;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 및 상기 수납부재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의 밀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를 가지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패턴은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패턴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복수의 집수부의 일 면은 상기 복수의 집수부에 집수되는 물방울과의 접촉면적이 넓도록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패턴은 상기 복수의 집수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집수부에 집수된 물방울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집수부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는 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수부 및 상기 브리지의 함몰정도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커버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제 1구간;
    상기 저장실의 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기 제 1구간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 2구간; 및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을 연결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저장실의 수납공간과 마주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 2구간을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수납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납부재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상기 수납부재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101984A 2014-08-07 2014-08-07 냉장고 KR10223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984A KR102236740B1 (ko) 2014-08-07 2014-08-07 냉장고
EP15179919.4A EP2982919B1 (en) 2014-08-07 2015-08-06 Refrigerator
US14/821,346 US9429354B2 (en) 2014-08-07 2015-08-07 Refrigerator
CN201510483779.1A CN105371560B (zh) 2014-08-07 2015-08-07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984A KR102236740B1 (ko) 2014-08-07 2014-08-0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058A true KR20160018058A (ko) 2016-02-17
KR102236740B1 KR102236740B1 (ko) 2021-04-06

Family

ID=5378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984A KR102236740B1 (ko) 2014-08-07 2014-08-07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9354B2 (ko)
EP (1) EP2982919B1 (ko)
KR (1) KR102236740B1 (ko)
CN (1) CN10537156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772A (ko) * 2016-07-14 2018-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9027753A (ja) * 2017-08-03 2019-02-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200112323A (ko) * 2019-03-21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4058362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9398B2 (en) 2015-09-18 2019-02-26 Heathkit Company, Inc. Electronics enclosure systems and methods
CN107709910B (zh) 2015-11-04 2020-11-24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2373219B1 (ko) * 2015-12-10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401642B1 (ko) * 2017-08-04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775099B1 (en) 2019-08-27 2020-09-15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shelf
CN211876510U (zh) * 2019-12-16 2020-11-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抽屉组件及冰箱
DE102020210280A1 (de) 2020-08-13 2022-02-17 BSH Hausgeräte GmbH Lebensmittel-Aufnahmeschale mit nach hinten verjüngter Führungsschiene, sowie Führungsvorrichtung und Haushaltskältegerä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693A (ko) * 2003-03-20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설치구조
KR20060032439A (ko) *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KR100674039B1 (ko) * 2006-03-14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WO2009125922A2 (en) * 2008-04-07 2009-10-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drawer cover
KR20110067928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US20130257254A1 (en) * 2012-04-03 2013-10-03 Whirlpool Corporation Crisper pan guide system for a domestic refrigerator
KR20130116741A (ko) * 2012-04-16 201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박스 밀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614A (ko) 1999-09-03 2001-04-06 구자홍 냉장고의 야채실커버
US4729613A (en) * 1986-11-13 1988-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Household refrigerator pan assembly
US5040856A (en) * 1987-02-27 1991-08-20 Sub-Zero Freezer Company, Inc. Comestible storage compartment for refrigeration unit
US5273354A (en) * 1991-03-07 1993-12-28 Donnelly Corporation Molded refrigerator shelf and support bracket
KR20010017917A (ko) 1999-08-16 2001-03-05 구자홍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
KR20030026103A (ko) 2001-09-24 2003-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보관실
KR20040061384A (ko) 2002-12-30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DE202004017136U1 (de) * 2004-11-05 2006-03-16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Teleskopschinensystem und Kühl- und/oder Gefriergerät
KR101125888B1 (ko) 2005-05-03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보관함
KR100766112B1 (ko) 2005-09-23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야채박스 밀폐구조
US20070262686A1 (en) * 2006-05-10 2007-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414095B2 (en) * 2008-01-23 2013-04-09 Ssw Holding Company, Inc. Full extension refrigerator shelf and basket system
US8286561B2 (en) * 2008-06-27 2012-10-16 Ssw Holding Company, Inc. Spill containing refrigerator shelf assembly
KR101601265B1 (ko) 2008-12-08 201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35677B1 (ko) 2008-12-08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KR101132515B1 (ko) 2009-04-16 2012-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333469B1 (en) * 2009-11-30 2018-05-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CN201787787U (zh) * 2010-01-06 2011-04-06 海尔集团公司 一种冰箱用保湿抽屉
KR20120015129A (ko) * 2010-08-11 2012-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장치를 갖는 냉장고용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028022B1 (ko) * 2013-04-05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693A (ko) * 2003-03-20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설치구조
KR20060032439A (ko) *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KR100674039B1 (ko) * 2006-03-14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WO2009125922A2 (en) * 2008-04-07 2009-10-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drawer cover
KR20110067928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US20130257254A1 (en) * 2012-04-03 2013-10-03 Whirlpool Corporation Crisper pan guide system for a domestic refrigerator
KR20130116741A (ko) * 2012-04-16 201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박스 밀폐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772A (ko) * 2016-07-14 2018-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9027753A (ja) * 2017-08-03 2019-02-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200112323A (ko) * 2019-03-21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4058362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740B1 (ko) 2021-04-06
CN105371560B (zh) 2018-06-29
CN105371560A (zh) 2016-03-02
US20160040922A1 (en) 2016-02-11
US9429354B2 (en) 2016-08-30
EP2982919B1 (en) 2021-11-03
EP2982919A1 (en)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8058A (ko) 냉장고
KR102629953B1 (ko) 냉장고
KR20140121536A (ko) 냉장고
KR101203424B1 (ko) 냉장고
US20170370631A1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assembly
KR100662404B1 (ko) 냉장고용 수납용기
US10718559B2 (en) Air filter bracket
KR101564101B1 (ko) 냉장고
WO2022140018A1 (en) On door drawer and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same
KR20070020832A (ko) 냉장고
JP4250643B2 (ja) 冷蔵庫
JP2017194186A (ja) 冷蔵庫
KR20060032439A (ko) 냉장고의 야채박스
JP6008477B2 (ja) 冷蔵庫
KR101884349B1 (ko) 냉장고
JPH09133459A (ja) 冷蔵庫
US2317212A (en) Food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s
JP6688951B2 (ja) 冷蔵庫
KR20130053215A (ko) 냉장고
KR100550215B1 (ko)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커버 조립구조
JP6847064B2 (ja) 冷蔵庫
JP6854596B2 (ja) 冷蔵庫
JP6460620B2 (ja) 冷蔵庫
JP2023091432A (ja) 収納容器
KR100833326B1 (ko) 식품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