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917A -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917A
KR20010017917A KR1019990033667A KR19990033667A KR20010017917A KR 20010017917 A KR20010017917 A KR 20010017917A KR 1019990033667 A KR1019990033667 A KR 1019990033667A KR 19990033667 A KR19990033667 A KR 19990033667A KR 20010017917 A KR20010017917 A KR 20010017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tray
cover member
vegetables
vegetabl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7917A/ko
Publication of KR20010017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91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서 하단부에 설치되는 야채실트레이와 구획판을 포함하는 야채보관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야채실트레이(12)의 상부에 커버부재(14)를 설치한다. 그리고 야채실트레이(12)는 냉장실에 설치되는 구획판(16)에 의하여 덮히도록 구성한다. 커버부재(14)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성형되고 메쉬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야채실트레이(12) 내부에서 커버부재(14)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슬이 성장하여 물방울이 되면, 상기 메쉬형상의 커버부재(14)에 맺혀 있게 된다. 즉 종래의 구획판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관중인 야채에 물방울이 떨어져서 야채가 짓무르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야채실트레이 내부에 대한 보습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Structure of Vegitable storage portion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야채 보관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실트레이의 내부 상측에 금속재 메쉬상태의 커버부재를 설치하여 내부에서 듀잉현상으로 맺히는 물방울이 보관중인 야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야채 보관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냉장실(4)의 하부에는 야채를 보관하기 위한 야채실(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야채실(6)에는 야채를 담아서 보관하는 야채실트레이(8)가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야채실트레이(8)는, 냉장실측벽에 설치되는 구획판(9)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냉장실의 내부에 설치된 야채실트레이(8)은, 상부가 열린 상태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판(9)이 야채실트레이(8)의 상부를 덮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야채실트레이(8)은 사용자가 서랍식으로 앞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어넣는 것에 의하여 개폐된다. 따라서 상기 야채실트레이(8)을 앞으로 잡아당기면 야채실트레이(8)의 열린상부가 노출되며, 이러한 상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보관하고자 하는 야채 등을 넣거나, 보관중인 야채를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야채실트레이(8)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것은, 통상 두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간접냉각방식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냉장실(4)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실덕트에서의 냉기를 야채실트레이(8)의 주위로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야채실트레이(8)가 냉각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하여, 상기 냉장실덕트에서의 냉기를 야채실트레이(8)의 내부로 직접 공급하는 방식이 채용되기도 하는바, 이러한 직접 냉각방식은 냉장실덕트에서의 냉기를, 야채실트레이(8)의 후방에서 구획판(9)과의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야채실트레이(8)의 내부로 직접 냉기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야채실트레이(8)의 내부가 냉각되더라도 야채실트레이(8)의 내부온도는, 냉장실의 온도에 비하여 약간 높은 상태가 된다. 즉 야채의 보관특성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야채실트레이(8)의 내부온도는 냉장실의 온도에 비하여 약간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야채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상기 야채실트레이(8)의 내부와 냉장실(4) 사이에는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차는, 야채실트레이(8)를 덮고 있는 구획판(9)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상기 구획판(9)의 상면은 냉장실에 노출되어 있어서 저온상태인 반면, 구획판(9)의 하면은 야채실트레이(8)의 내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상대적으로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구획판(9)의 이러한 온도차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야채실트레이(8) 내부의 습기가 상기 구획판(9)의 저면에 맺히는 듀잉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듀잉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구획판(9)의 저면에 맺히는 물방울이 성장하게 되고, 이렇게 성장하는 물방울의 표면장력이 자중을 이기지 못하게 되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획판(9)의 저면에 맺혀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은, 야채실트레이(8)에 보관중인 야채에 떨어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보관중인 야채에 상기와 같은 물방울이 적하하게 되면, 야채가 짖무르게 되어 선도면에서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구획판의 하면에서 생기는 듀잉현상에 의한 물방울이 보관중인 야채로 떨어지게 되어, 보관하는 야채의 선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97-14694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보에 의하면, 냉장고의 야채실 내부에 흡착성이 우수한 활성탄을 혼합한 보습필터를 부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즉, 야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야채실커버의 저면에, 흡착성이 우수한 활성탄을 혼합한 보습필터를 적소에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보습필터는 야채에서 증발한 수분을 흡착하여 습도를 유지하고, 공기의 유입에 따른 산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에틸렌가스를 흡수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상기 활성탄을 혼합한 보습필터는, 야채에서 증발된 수분이 흡착되지만, 야채실에서 증발되는 모든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능력이 충분하지 못하다.
그리고 활성탄이 에틸렌가스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은 흡착에 의한 것이나, 수분이 활성탄의 다공질 부분에 흡착되어 포화되면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야채실 커버의 저면에 듀잉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야채실커버의 상면측과 저면측의 온도차에 기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활성탄을 혼합한 보습필터가 커버의 저면에서 적소에 설치되더라도, 야채실커버의 전면에서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 현상을 본질적으로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97-28396호에는, 활성탄과 파라듐(Pd) 촉매를 혼합한 흡착층을 봉입한 형상기억막의 보습필터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냉장고의 내부에서는, 냉장실을 순환한 냉기는, 통상 냉동실의 후방에 마련된 열교환챔버, 즉 열교환에 의하여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챔버로 귀환한다. 그리고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증발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다시 저온상태의 냉기로 생성되어 냉장실 내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순환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냉장고 내부의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가 증발기와 접촉할 때 성애로 착상된다. 즉, 상대적으로 매우 저온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증발기의 표면에,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가 착상되는 것에 의하여, 냉장고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는 건조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냉장고 내부의 공기가 건조해지면, 야채 등의 보관식품에 함유된 습기가 더욱 쉽게 건조하게 되기 때문에, 높은 선도로 장기간 식품을 보관해야 하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야채실트레이 내부의 습기에 의하여 구획판의 저면에 생성되는 물방울이 보관중인 야채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야채를 더욱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채실트레이 내부를 일정한 습도로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식품 보관이 더욱 유리한 야채보관부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야채실의 내부에 듀잉현상에 의하여 생성되는 물방울이 야채실트레이의 내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야채가 물방울의 적하에 의한 선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야채보관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보관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야채실 커버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버부재에서 듀잉현상이 일어나서 성장하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야채실 12 ..... 야채실트레이
14 ..... 커버부재 16 ..... 구획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는, 냉장실의 하측에 마련되는 야채실에 수납되는 야채실트레이와; 상기 야채실트레이를 덮을 수 있도록 냉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판; 그리고 금속재의 메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야채실트레이의 상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성형되고, 메쉬형상을 가지는 커버부재가, 내부의 습기에 의한 맺히는 물방울을 하방으로 낙하시키지 않고,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듀잉현상에 의하여 맺히는 물방울이 야채실트레이의 내부에 보관중인 야채에 떨어져서 야채가 짓무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야채를 높은 선도로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재는 구획판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부재와 구획판을 일체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냉장고 전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야채실트레이의 수납을 더욱 편리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실부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4)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야채실(10)에는 야채를 담아서 보관하기 위한 야채실트레이(12)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야채실트레이(12)의 상부에는 구획판(16)이 야채실을 덮을 수 있도록 냉장실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야채실(12)의 상단부에는 커버부재(14)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부재(14)는, 야채실트레이(12)의 내부에서 듀잉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방울을 하방으로 낙하시키지 않고 일정 범위까지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잡고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재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부재(14)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부재(14)는,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 예를 들면 금속재로 성형되고, 메쉬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14)는, 메쉬형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단위 셀(14c)(도 4 참조)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4)는 금속재와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야채실이 냉각되게 되면, 상기 커버부재(14)가 가장 신속하게 저온으로 된다. 즉, 통상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야채실트레이(12)에 비하여 열전도성이 현저하게 높기 때문에, 야채실트레이(12)의 내부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부재(14)가 가장 신속하게 저온상태로 된다.
그리고 야채실트레이(12)의 내부에 새로운 보관식품, 즉 신규부하를 투입하게 되면 야채실트레이(12)의 내부온도는 상승하여, 상기 커버부재(14)가 가장 저온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야채실트레이(1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듀잉현상은, 내부에서 가장 저온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커버부재(14)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커버부재(14)에서 듀잉현상이 발생하여, 물방울이 성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한 것은, 메쉬상의 커버부재(14)의 하나의 단위 셀(14c)의 내측에서, 듀잉현상의 발생초기에 이슬이 착상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4a 및 14b는, 메쉬상의 커버부재(14)에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메쉬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금속성 망사이다.
메쉬상태의 커버부재(14)에서 만들어지는 각각의 셀(14c)의 내측에는 듀잉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게 되는데, (a)에 도시한 초기상태에서는 각각의 망사 (14a,14b)에 각각 독립적으로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방울이 성장하게 되면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생성된 물방울이 서로 결합되면서 브릿지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성장하는 물방울이 브릿지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은, 독립적으로 생성된 각각의 물방울 사이에 작용하는 물의 표면장력과, 물방울과 상기 망사(14a,14b) 사이에서 발생하는 물의 표면장력에 의한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물방울이 브릿지 형상으로 커버부재(14)에 맺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상술한 물의 표면장력이 합쳐진 물방울 전체의 자중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버부재(14)에 맺히는 물방울은, 그 자중이 물방울과 망사 사이의 표면장력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는 물방울이 떨어지지 못하고 커버부재(14)에 맺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쉬상의 커버부재(14)에 의하여, 하방으로 낙하하지 못하고 커버부재(14)에 맺혀있는 물방울은, 종래의 평판상의 구획판의 저면에서 낙하하지 않고 달려 있을 정도의 물방울의 크기보다 크게 됨은 당연하다. 즉 종래의 구획판에 맺혀있는 물방울은, 오직 구획판의 저면과의 관계에서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나, 본 발명에 의하여 커버부재(14)에 맺혀있는 물방울은, 커버부재(14)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망사(14a,14b)에 의하여 물방울의 전체 둘레에서 표면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야채실트레이(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 (14)에 의하여 야채실트레이의 내부에서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방울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4)는, 실질적으로 야채실트레이(12)의 내부 습기를 물방울 상태로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냉장고에 있어서, 야채실을 포함하는 냉장실 내부의 공기가 순환함에 따라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는 증발기에서 성애로 착상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건조해진다. 이렇게 공기가 건조해지는 것은, 특히 야채실트레이(12)에 보관하는 야채에게는 상당히 불리하다. 즉 야채실트레이 (12) 내부의 공기가 건조해지면, 보관하는 야채에서 수분이 더욱 빨리 증발하게 되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의 면에서 상당히 불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재(14)가 야채실 내부에서 듀잉현상으로 발생한 물방울을 그대로 야채실트레이의 내부에서 포함하고 있는 결과로 되기 때문에, 이러한 면에서 상당히 유리하다. 즉 커버부재(14)의 물방울은, 공기가 건조해짐에 따라 자연적으로 증발하게 되어, 야채실 트레이 내부의 보습의 면에서도 상당한 장점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부재(14)는,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야채실트레이(12)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부재(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야채실트레이(12)의 내부에서 상측에 설치되어, 온도차에 의한 듀잉현상이 집중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생성된 물방울이 하방의 야채를 향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4)를 구획판(16)과 일체화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 예를 들면 금속재로 만들어지는 상기 커버부재 (14)를 구획판(16)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구획판(16)과 커버부재(14)를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양자를 일체화하여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냉장고의 전체적인 조립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냉장고의 사용사 상기 야채실트레이(12)를 수납하는 것이 편리하게 되는 사용상의 잇점이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메쉬상의 커버부재(14)에 의하여, 듀잉현상으로 맺히는 물방울이 야채실트레이의 내부에서 적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에 보관중인 야채에 물방울이 적하하는 것에 의하여, 야채가 짓무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선도를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야채를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가 물방울을 야채실트레이의 내부에서 유지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야채실트레이의 내부에 대한 보습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의 공기순환에 의하여 건조해지는 야채실트레이의 내부에서 적절하게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야채의 장기간 보관에 더욱 유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야채실트레이의 내부로 냉기를 직접 공급하여 야채실트레이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야채실트레이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는 통상 그 상단부에서 공급된다. 즉 구획판(16)과 야채실트레이(12)의 틈새를 통하여 냉기가 공급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획판(16)의 직하면에는 상술한 커버부재(14)가 설치되기 때문에, 야채실트레이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커버부재(14)를 경유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부재(14)를 메쉬상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야채실트레이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는 부수적인 잇점도 기대된다. 즉, 야채실트레이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가 야채실트레이의 후단부에만 집중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메쉬상의 커버부재를 거치는 것에 의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전체적으로 분산되는 냉기의 흐름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야채실트레이 내부에 균일하게 냉기를 공급하는 부수적인 장점도 기대되는 것이다.

Claims (1)

  1. 냉장실의 하측에 마련되는 야채실에 수납되는 야채실트레이와;
    상기 야채실트레이를 덮을 수 있도록 냉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판; 그리고
    금속재의 메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야채실트레이의 상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
KR1019990033667A 1999-08-16 1999-08-16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 KR20010017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667A KR20010017917A (ko) 1999-08-16 1999-08-16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667A KR20010017917A (ko) 1999-08-16 1999-08-16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17A true KR20010017917A (ko) 2001-03-05

Family

ID=1960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667A KR20010017917A (ko) 1999-08-16 1999-08-16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79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9354B2 (en) 2014-08-07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90075208A (ko) * 2017-12-21 2019-07-01 육숙희 무동력 냉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9354B2 (en) 2014-08-07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90075208A (ko) * 2017-12-21 2019-07-01 육숙희 무동력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276B1 (en) Vegetable compartment in refrigerator
CN101368782B (zh) 冰箱
JP4619379B2 (ja) 冷蔵庫
CN108278825B (zh) 冰箱
US4075866A (en) Refrigerator defroster-humidifier
CN100410604C (zh) 具有冷却空气循环风扇的泡菜储藏器的保湿除臭装置
JP2010139183A (ja) 冷蔵庫
KR100830463B1 (ko)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KR20050031603A (ko) 냉장고 탈취제
KR20010029614A (ko) 냉장고의 야채실커버
CN109869974A (zh) 冰箱
KR20010017917A (ko) 냉장고의 야채보관부 구조
KR20100090420A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JP2006010162A (ja) 冷蔵庫
JP3205308B2 (ja) 冷蔵庫
JP2647920B2 (ja) 冷蔵庫
JP2017089977A (ja) 冷蔵庫
CN2425332Y (zh) 一种冰箱用湿度补偿器及保湿冰箱
JP3366145B2 (ja) 冷蔵庫
KR200221578Y1 (ko) 냉장고의 저장고 커버
JP2001174127A (ja) 冷蔵庫
JPH09289829A (ja) 低温保存庫
KR0176886B1 (ko) 냉장고의 선도유지장치
KR0130079Y1 (ko) 냉장고의 야채실
KR930000042Y1 (ko) 냉장고의 야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