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769A -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769A
KR20160017769A KR1020140099919A KR20140099919A KR20160017769A KR 20160017769 A KR20160017769 A KR 20160017769A KR 1020140099919 A KR1020140099919 A KR 1020140099919A KR 20140099919 A KR20140099919 A KR 20140099919A KR 20160017769 A KR20160017769 A KR 2016001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heat exchanger
storage tank
glycol wat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769A/ko
Publication of KR2016001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메인 열교환기; 상기 메인 열교환기에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보조 열교환기; 및 상기 보조 열교환기에 열원을 공급하며 상기 메인 열교환기 및 상기 보조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격리된 장소에 구비되는 열원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가스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스팀에서 발생되는 열원을 간접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글리콜워터를 이용하도록 하여 위험한 액화가스가 안전구역인 엔진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본 발명은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을 사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크랭크 축에 연결된 샤프트가 회전되어 프로펠러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LNG 연료공급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엔진의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은 LNG 운반선 외의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NG는 청정연료이고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한 설비라고 알려져 있고, 채광과 이송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LNG는 주성분인 메탄을 1기압 하에서 -162℃도 이하로 온도를 내려서 액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액화된 메탄의 부피는 표준상태인 기체상태의 메탄 부피의 600분의 1 정도이고, 비중은 0.42로 원유비중의 약 2분의 1이 된다. 그러나 엔진이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온도 및 압력 등은,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LNG의 상태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LNG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제어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를 가열하는 경우 엔진룸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열원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메인 열교환기; 상기 메인 열교환기에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보조 열교환기; 및 상기 보조 열교환기에 열원을 공급하며 상기 메인 열교환기 및 상기 보조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격리된 장소에 구비되는 열원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리된 장소는, 안전을 요구하는 장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리된 장소는, 엔진 룸이며 상기 보조 열교환기는, 선박의 모터 룸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열교환기는, 강제기화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임시적으로 기화된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기화기;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내부 검사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온도를 높여주기위한 열원을 공급하는 제2 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원은, 스팀이며, 상기 열교환매체는, 글리콜 워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코퍼 댐의 온도를 유지하는 코퍼 댐 열교환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오일 저장탱크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가스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스팀 열원을 간접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글리콜워터를 이용하도록 하여 위험한 액화가스가 안전구역인 엔진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탑재한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탑재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탑재한 선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탑재한 선박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2)은 보조 열교환기(10,11), 메인 열교환기(20,30,40), 스팀 저장탱크(60), 코퍼 댐(200), 오일 저장탱크(7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이나 가압에 의해 액체 상태가 아닌 경우 등도 편의상 액화가스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증발가스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LNG는 편의상 액체 상태인 NG(Natural Gas) 뿐만 아니라 초임계 상태 등인 NG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는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뿐만 아니라 액화된 증발가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박(1)은, LNG 운반선, LNG FSRU선 등 LNG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선박이면 적용가능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10,11)는, 메인 열교환기(20,30,40)에 열교환매체를 공급한다. 보조 열교환기(10,11)는 선박(1)의 모터 룸(6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 구비되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 룸(600)은 안전 구역(Safety Zone)이며, 거주 공간(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엔진 룸(4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열교환기(10,11)는, 메인 열교환기(20,30,40)에 열교환매체를 공급하여 열교환매체가 액화가스와 열교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열교환매체는 글리콜 워터일 수 있다. 글리콜 워터라 함은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과 물을 혼합한 유체로서 보조 열교환기(10,11)에서 가열되고, 메인 열교환기(20,30,40), 후술할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 및 후술할 오일 저장탱크(700)에서 냉각되어 순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열교환기(10,11)는, 제1 글리콜 열교환기(10) 및 제2 글리콜 열교환기(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리콜 열교환기(10)와 제2 글리콜 열교환기(2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갯수와 형태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렬의 형태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10,11)는, 열교환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코퍼 댐(200)의 온도를 유지하는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오일 저장탱크(700)로도 공급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10,11)는, 메인 열교환기(20,30,40),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 및 오일 저장탱크(700)에서 공급받는 약 섭씨 60도 내지 80도(바람직하게는 섭씨 약 75도)의 글리콜워터를 섭씨 약 85도 내지 100도(바람직하게는 섭시 약 90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섭씨 약 85도 내지 100도(바람직하게는 섭시 약 90도)의 글리콜 워터를 메인 열교환기(20,30,40),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 및 오일 저장탱크(700)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글리콜워터 제1 공급라인(13) 및 글리콜워터 분기라인(1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글리콜워터 제1 공급라인(13)은, 제1 글리콜 열교환기(10)와 후술할 강제기화기(20)를 연결하여 글리콜워터를 강제기화기(20)로 공급할 수 있고, 강제기화기(20)에서 액화가스와 열교환하고 난 후의 글리콜워터를 제1 글리콜 열교환기(10)로 복귀시킬 수 있다.
글리콜워터 분기라인(13a)은, 글리콜워터 제1 공급라인(13)에서 분기되어 메인 열교환기(20,30,40), 후술할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 및 후술할 오일 저장탱크(700)에 공급할 글리콜워터를 보충할 수 있다.
이때, 글리콜워터 제1 공급라인(13) 및 글리콜워터 분기라인(13a)에는 각각 글리콜워터 제1 공급밸브(도시하지 않음) 및 글리콜워터 분기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각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글리콜 워터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펌프(50,5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펌프(50,51)는 제1 펌프(50) 및 제2 펌프(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펌프(50)는, 글리콜워터 제1 공급라인(13)에 구비되어 글리콜 워터가 제1 글리콜 열교환기(10)에서 메인 열교환기(20,30,40),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 및 오일 저장탱크(700)로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펌프(51)는, 글리콜워터 분기라인(13a)에 구비되어 글리콜 워터가 글리콜워터 제1 공급라인(13)에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펌프(50,51)는 원심형 펌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 열교환기(20,30,40)는, 액화가스를 기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메인 열교환기(20,30,40)는, 강제기화기(20), 제1 기화기(30) 및 제2 기화기(40)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글리콜워터 제2 공급라인(14) 및 글리콜워터 제3 공급라인(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글리콜워터 제2 공급라인(14)은 글리콜워터 제1 공급라인(13)에서 분기되어 제1 기화기(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글리콜워터 제3 공급라인(15)은 글리콜워터 제2 공급라인(14)에서 분기되어 제2 기화기(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글리콜워터 제2 공급라인(14) 및 글리콜워터 제3 공급라인(15)에는 각각 글리콜워터 제2 공급밸브(도시하지 않음) 및 글리콜워터 제3 공급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각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글리콜 워터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강제기화기(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에서 발생되는 자연 증발가스(NBOG)의 양이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양보다 적은 경우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강제로 기화시켜 강제 증발가스(FBOG)를 생산할 수 있다.
강제기화기(20)는, 글리콜워터 제1 공급라인(13)을 통해 글리콜워터를 공급받아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로부터 공급받는 액화가스를 열교환시켜 강제 증발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제1 기화기(3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에 임시적으로 기화된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화기(30)는 글리콜워터 제2 공급라인(14)과 연결되어 보조 열교환기(10,11)에서 공급되는 글리콜워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기화기(3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로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전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00) 내부에 존재하는 불활성 가스(Inert Gas)를 기화된 액화가스(LNG vapour; 바람직하게는 natural gas)로 치환시키는 경우에 필요한 기화된 액화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또는, 선박(1)이(LNG 운송선인 경우) 목적지에 도착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도착지의 타 액화가스 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로 이송하는 경우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내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기화된 액화가스(LNG vapour)를 생산할 수 있다.
제2 기화기(4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내부 검사시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화기(40)는 글리콜워터 제3 공급라인(15)과 연결되어 보조 열교환기(10,11)에서 공급되는 글리콜워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기화기(4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열원으로 기화된 액화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웜업 히터(Warm up heater) 또는 보일러 오프 히터(Boiler Off Heater)일 수 있다.
메인 열교환기(20,30,40)는, 콤프레서 룸(5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가 누수될 수 있으므로 통상 선박(1)의 위험 구역(Dangerous Zone)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열교환기(20,30,40)는 Shell&tube타입일 수 있다.
스팀 저장탱크(60)는, 보조 열교환기(10,11)에 열원을 공급하며 메인 열교환기(20,30,40) 및 보조 열교환기(10,11)가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격리된 장소에 구비된다. 여기서 격리된 장소는 안전을 요구하는 장소로서 예를 들어 엔진 룸(400)일 수 있다. 보통 엔진 룸(400)은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 공간(3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팀 저장탱크(60)는 열원으로 스팀을 저장할 수 있다. 스팀 저장탱크(60)는 보일러(Boiler) 또는 이코노마이저(Economizer)일 수 있으며 스팀을 저장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메인 열교환기(20,30,40)의 액화가스를 열교환할 열원을 스팀 저장탱크(60)에서 직접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때, 메인 열교환기(20,30,40)는 shell&tube타입으로 메인 열교환기(20,30,40)에서 누수가 발생되게 되면 액화가스와 스팀이 섞이게 되고 이러한 경우, 액화가스가 스팀 저장탱크(60)로 공급될 수 있어 안전 구역(Safety Zone)에 위치한 스팀 저장탱크(60)에 폭발의 위험성이 존재하였으며 이로써 선박(1) 전체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열교환기(20,30,40)와 스팀 저장탱크(60) 사이에 보조 열교환기(10,11)를 구비하여 메인 열교환기(20,30,40)에 존재하는 액화가스와 스팀 저장탱크(60)의 스팀이 혼합될 수 없도록 원천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안전 구역의 안전성이 매우 높아지며, 그에 따라 선박(1)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팀 저장탱크(60)는 보조 열교환기(10,11)로 스팀을 약 섭씨 150도 내지 200도(바람직하게는 섭씨 180도)로 공급할 수 있으며, 보조 열교환기(10,11)에서 공급되는 약 섭씨 100도 내지 140도(바람직하게는 섭씨 120도)의 스팀을 약 섭씨 150도 내지 200도(바람직하게는 섭씨 180도)로 가열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팀 공급라인(12) 및 스팀 분기라인(12a)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공급라인(12)은, 스팀 저장탱크(60)와 제1 글리콜 열교환기(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글리콜 워터와 스팀이 열교환할 수 있도록 제1 글리콜 열교환기(10)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스팀 분기라인(12a)은, 스팀 공급라인(12)에서 분기되어 제2 글리콜 열교환기(11)를 연결할 수 있으며, 글리콜 워터와 스팀이 열교환할 수 있도록 스팀 공급라인(12)을 유동하는 스팀의 적어도 일부를 제2 글리콜 열교환기(1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스팀 공급라인(12) 및 스팀 분기라인(12a)은 각각 스팀 공급밸브(도시하지 않음) 및 스팀 분기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각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스팀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코퍼 댐(20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 구비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퍼 댐(200)은, 선박(1)의 선수에서부터 선미까지 구비되는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사이에 차례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횡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0)의 종방향 폭보다는 작을 수 있다.
코퍼 댐(200)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를 복수 개 구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밀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00) 각각에 설치된 액화가스의 서로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코퍼 댐(200)은 약 섭씨 3도 내지 섭씨 7도(바람직하게는 섭씨 5도)로 유지되도록 보조 열교환기(10,11)로부터 섭씨 약 85도 내지 100도(바람직하게는 섭시 약 90도)의 글리콜 워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퍼 댐 열매체 공급라인(201),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 및 코퍼 댐 열매체 회수라인(2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퍼 댐 열매체 공급라인(201)은 글리콜워터 제3 공급라인(15)에서 분기되어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과 연결될 수 있어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에 글리콜 워터를 공급할 수 있다.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은, 코퍼 댐(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그재그형태 등으로 코퍼 댐(200)의 겉면들 예를 들어 하우징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은 글리콜 워터를 코퍼 댐(200)에 흐르도록 할 수 있어 코퍼 댐(200)이 약 섭씨 3도 내지 섭씨 7도(바람직하게는 섭씨 5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코퍼 댐 열매체 회수라인(203)은, 코퍼 댐 열교환라인(202)과 연결되어 코퍼 댐(200)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열을 빼앗긴 글리콜 워터를 가열하기 위해 보조 열교환기(10,11)로 글리콜 워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코퍼 댐 열매체 공급라인(201) 및 코퍼 댐 열매체 회수라인(203)에는 각각 코퍼 댐 열매체 공급밸브(도시하지 않음) 및 코퍼 댐 열매체 회수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각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글리콜 워터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오일 저장탱크(700)는, 선박(1)의 최선수부(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오일을 처리할 오일 처리 시스템(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오일 저장탱크(700)는 오일을 상온에서 액체상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오일의 저장이 용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오일은 섭씨 약 40도 내지 60도(바람직하게는 섭씨 약 50도)에서 고체화(Wax)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섭씨 약 85도 내지 100도(바람직하게는 섭시 약 90도)의 글리콜 워터를 보조 열교환기(10,11)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글리콜워터 제4 공급라인(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글리콜워터 제4 공급라인(16)은 코퍼 댐 열매체 공급라인(201)에서 분기되어 오일 저장탱크(7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오일 저장탱크(700)로 글리콜 워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글리콜워터 제4 공급라인(16)은 글리콜워터 제4 공급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글리콜워터 제4 공급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글리콜 워터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2)은, 액화가스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스팀에서 발생되는 열원을 간접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글리콜워터를 이용하도록 하여 위험한 액화가스가 안전구역인 엔진룸(4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선박(1)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2: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10: 제1 글리콜 열교환기 11: 제2 글리콜 열교환기
12: 스팀 공급라인 12a: 스팀 분기라인
13: 글리콜워터 제1 공급라인 13a: 글리콜워터 분기라인
14: 글리콜워터 제2 공급라인 15: 글리콜워터 제3 공급라인
16: 글리콜워터 제4 공급라인 20: 강제 기화기
30: 제1 기화기 40: 제2 기화기
50: 제1 펌프 51: 제2 펌프
60: 스팀 저장탱크 100: 액화가스 저장탱크
200: 코퍼 댐 201: 코퍼 댐 열매체 공급라인
202: 코퍼 댐 열교환라인 203: 코퍼 댐 열매체 회수라인
300: 거주 공간 400: 엔진 룸
500: 콤프레서 룸 600: 모터 룸
700: 오일 저장탱크

Claims (7)

  1.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메인 열교환기;
    상기 메인 열교환기에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보조 열교환기; 및
    상기 보조 열교환기에 열원을 공급하며 상기 메인 열교환기 및 상기 보조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격리된 장소에 구비되는 열원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장소는,
    안전을 요구하는 장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장소는, 엔진 룸이며
    상기 보조 열교환기는, 선박의 모터 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열교환기는,
    강제기화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임시적으로 기화된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기화기;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내부 검사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온도를 높여주기위한 열원을 공급하는 제2 기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스팀이며,
    상기 열교환매체는, 글리콜 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코퍼 댐의 온도를 유지하는 코퍼 댐 열교환라인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오일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0140099919A 2014-08-04 2014-08-0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60017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19A KR20160017769A (ko) 2014-08-04 2014-08-0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19A KR20160017769A (ko) 2014-08-04 2014-08-0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769A true KR20160017769A (ko) 2016-02-17

Family

ID=5545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919A KR20160017769A (ko) 2014-08-04 2014-08-0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7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0134A (zh) * 2022-01-24 2022-05-06 长江三星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紧凑型lng供气系统乙二醇水换热撬装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0134A (zh) * 2022-01-24 2022-05-06 长江三星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紧凑型lng供气系统乙二醇水换热撬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200B2 (ja) 船舶のためのlng燃料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127551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EP2775129B1 (en) System for supplying liquefied natural gas fuel
EP3412555A1 (en) Ship including gas re-vaporizing system
KR102189715B1 (ko) 연료공급시스템
KR102338967B1 (ko) 부체
KR102064037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80060214A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00137758A (ko) 선박용 이산화탄소 이송탱크의 증발기체 배출장치
KR101246064B1 (ko)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장치
US10823335B2 (en) Ship including gas re-vaporizing system
KR101763708B1 (ko) 액화가스 저장 선박
KR20160017769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210042722A (ko) 선박
KR102327400B1 (ko) 선박의 열원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113790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10013499A (ko) 선박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배출 시스템
KR101657482B1 (ko) 증발가스의 재액화가 가능한 엘엔지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KR102283344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0492110Y1 (ko) 가스 재기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237206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120559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538527B1 (ko) 액화가스 급유선
KR20240043547A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230034118A (ko) 가스 공급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