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691A -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 Google Patents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691A
KR20160017691A KR1020140098357A KR20140098357A KR20160017691A KR 20160017691 A KR20160017691 A KR 20160017691A KR 1020140098357 A KR1020140098357 A KR 1020140098357A KR 20140098357 A KR20140098357 A KR 20140098357A KR 20160017691 A KR20160017691 A KR 20160017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ship
escape
hu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691A/ko
Publication of KR2016001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는, 선체에 마련되는 선실을 포함하되, 상기 선실의 벽면은, 그립이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형태의 그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는 일정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사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는, 선박 내부의 폭발사고 등로 인한 선박으로의 해수 유입, 선박의 전복 등으로 인하여 선박이 침몰할 위기에서 선박으로부터 비상탈출을 시도할 때, 선실에 거주하는 승선인들의 탈출을 용이하게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cabin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이나 여객선과 같이 대형 선박은 수십 명에서 수천 이상의 승무원 및 승선인이 승선하고, 긴 시간 동안 조류, 기상악화 등 거친 환경 속에서 운항되는 선체에 승선인들이 머무르기 때문에 승선자들을 위한 근무 공간이나 편안한 휴식 공간 및 생활 공간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근무, 휴식, 생활 공간을 위해 선박에는 선실이 설치된다. 선실은 선박을 운항하는데 필요한 항해 설비, 통신 설비 등과 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필요한 컨트롤 설비가 마련되는 근무 공간(데크 하우스로 구분됨)과 선원, 승선인들이 생활하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특히, 생활 공간으로서의 선실은 여객선 등에 머무는 수많은 승선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거나 복도를 사이에 두고 여러 방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층에 폐쇄된 공간 내에 마련되는 구조물을 이룬다.
여기서, 승무원들이 근무하는 공간으로서의 데크 하우스는 생활 공간과 달리 상갑판 상에서 예를 들어 선박의 선미에 돌출되는 복층의 구조로 마련되어, 생활 공간에 머무는 승선인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상 탈출이 용이할 수 있다.
즉, 생활 공간을 이루기 위한 선실은 수백에서 수천 이상의 승선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상갑판의 하부에 복수의 층으로 구획되며, 하나의 층에서도 복도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일렬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져 근무 공간에 비하여 비상 탈출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의 전복 등과 같은 비상 시 생활 공간으로서의 선실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선박의 전복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이 바뀌어 탈출을 위한 문이 천장에 마련되는 것처럼, 벽을 타고 문으로 이동할 수 없는 등 비상시 대피가 어려워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실이 상,하,좌,우 방향이 바뀌어 이동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용이하게 선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는, 선체에 마련되는 선실을 포함하되, 상기 선실의 벽면은, 그립이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형태의 그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는 일정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사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부는, 승선인이 그립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용이하게 걸림되도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홈이 상기 선실의 내측벽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부는, 단면도가 절단된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부는, 단면도가 사다리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는, 선박 내부의 폭발사고 등로 인한 선박으로의 해수 유입, 선박의 전복 등으로 인하여 선박이 침몰할 위기에서 선박으로부터 비상탈출을 시도할 때, 선실에 거주하는 승선인들의 탈출을 용이하게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선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를 도시한 수직 절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를 도시한 수직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의 그립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의 그립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선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100)는 선실(110) 및 그립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실 구조(100)는 선체(1)에 마련되는데, 선체(1)는 예를 들어 여객선을 이루는 구조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객선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여객선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선박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평면도), 선실 구조(100)가 마련되는 여객선의 선체(1)는 층을 이루는 데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데크는 상하 일렬로 복수의 공간을 구획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수평하게 선체(1)의 외곽 내부를 가로질러 복수의 공간을 이루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층에는 폐쇄된 공간에 수용공간(10)이 마련되고 도어(12) 등을 통해 개방되어 출입이 가능하거나, 계단(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층간 이동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10)에는 여러개의 선실(110)이 마련되는데, 이는 수백 명에서 수천 명 이상의 승선인들이 생활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많은 수의 방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선실(110)은 수용공간(10)의 양측에 일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렬로 마련되는 선실(110) 사이에 수용공간(10)을 관통하는 통로로서 복도(11)가 마련될 수 있다. 복도(11)는 수용공간(10)의 중심을 관통할 뿐만 아니라, 승선인들이 수용공간(10)의 양측으로 갈라져 출입할 수 있도록 선미와 선수 방향에 각각 인접하여 좌우측으로 갈라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체(1)에 마련되는 선실 구조(100)는 복수의 선실(110)을 포함하는데, 선실(110)은 승선인들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복도(11)를 향해 개방되는 도어(11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111)는 서로 마주하는 다른 선실(110)의 도어(111)와 간섭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마주하는 선실(110)의 도어(111)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선실(110)의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도어(111)는 외여닫이문, 쌍여닫이문 등 여닫이문 뿐만 아니라 레일 상을 수평이동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미닫이문으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수직절단된 모습), 제1 실시예에 따른 선실 구조(100)의 그립부(120)는 선실(110)의 내측벽에 마련되되, 그립이 가능하도록 선실(110)의 내측벽을 따라 복수개로 오목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서는 벽면에 세로 방향으로 예시되었으나, 수평방향 또는 수직과 수평 방향의 조합으로 그립부(12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립부(120)는 승선인이 그립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용이하게 걸림되도록 선실(110)의 내측벽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그립부(120)는 곡면을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면도는 절단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200)의 그립부(220)에 예시된 것과 같이 다면체의 공간을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면도가 사다리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200)는 제1 실시예와 그립부(120)의 형상만을 달리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서는 선실(110)에 일렬로 형성되는 복수의 그립부(120,220)가 모두 곡면을 이루거나, 모두 다각면체를 이루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그립부(120,220)의 형상이 곡면과 다각면체가 서로 조합된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곡면과 다각면체의 그립부(120,220)가 서로 번갈아 이루어 지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그립부(120,220)는 천장 및 좌우 사방 둘레 벽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그립부(120,220)가 평시에는 도배지(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때, 선실(110)은 도배지를 포함하여, 선실(110)의 벽면 및 천장은 도배지가 부착되어 그립부(120,220)의 내주면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립부(120,220)의 위치는 점, X, 형광물질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되어 위급 상황시 그립부(120,220)의 위치를 인식하여 도배지를 찢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서는 도배지를 적용하여 선실(110)의 내부를 일반적인 방의 구조와 유사하게 돌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선실(110)의 내부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선실(110)의 벽면에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승선인들이 벽면을 오르 내릴 수 있는 구조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선박의 전복사고 등 선실(110)로부터 승선인들이 탈출이 필요할 때, 선실(110)의 벽면을 오를 수 있도록 그립부(120,220)가 형성되어,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300)는 선실(110) 및 그립부(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제1, 2 실시예의 그립부(120,220)와 조합되거나 개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그립부(320)는 선체(1)의 전복과 같은 비상 사태시 승선인들이 용이하게 탈출하기 위해 벽을 타고 오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선실(110)의 내부에 마련되되, 선체(1)가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펼쳐진다. 여기서, 그립부(320)는 보관부재(322) 및 사다리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를 예시하였으나, 선실(110) 벽면, 천장 등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부재(322)는 선체(1)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부재(322)는 선실(110)의 측벽(또는 천장, 바닥 등)의 상부(또는 하부, 도어에 인접한 위치) 등에 마련될 수 있다. 보관부재(322)의 위치는 측벽, 천장, 바닥의 모서리 등 선체(1)에서 선실(110)이 위치된 장소, 선체(1)의 전복 상황 등에 대비하여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부재(322)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및 전면이 개구됨), 평시 상태에서 선체(1)가 수평하게 위치되어 운항 및 정박하는 경우, 보관부재(322)는 사다리부재(321)의 하측을 두를 수 있다. 일례로, 보관부재(322)는 곡면(또는 평판)을 이루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선실(110)의 측벽에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선반과 같이 적재 공간을 이루어 사다리부재(321)가 안착될 수 있다.
사다리부재(321)는 비상 사태시 상,하,좌,우 방향이 변경된 선실(110)의 공간에서 도어(111, 도 1 참조) 등을 통해 외부로 탈출하기 위해 승선인들이 오르내릴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보관부재(322)에 마련되되, 선체(1)가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보관부재(322)로부터 이탈되어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사다리부재(321)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321A)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줄사다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1)가 기울어지면 보관부재(322) 상에 안착되는 사다리부재(321)는 선체(1)의 기울임에 의해 기울어져 구속을 받지 않는 타단(321A)이 보관부재(322)로부터 이탈되고, 자중에 의해 떨어져 사다리부재(321)의 일단으로부터 늘어져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실(110)에 그립부(320)가 마련되어, 승선인들이 선체(1)가 기울어져 몸을 가누지 못하거나, 지지가 필요한 경우, 펼쳐진 사다리부재(321)를 잡고 이동하거나,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어, 선실(110)의 외부로 용이하게 탈출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의 그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5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400)는 선실(110) 및 그립부(420,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제1, 2, 3 실시예들의 그립부(120,220,320)와 하나 이상 조합되거나 개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그립부(420)는 선실(110)에 마련되고, 그립부(420)는 보관부재(422) 및 사다리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부재(422)는 사다리부재(321)를 보관하는 구성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부재(422)는 선체(1)의 선실(11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부재(422)는 선실(110)의 측벽(또는 바닥)의 하부(또는 상부, 도어에 인접한 위치)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부재(422)의 위치는 선체(1)에서 선실(110)이 위치된 장소, 선체(1)의 전복 상황 등에 대비하여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부재(422)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평시 상태에서 선체(1)가 수평하게 위치되어 운항 및 정박하는 경우, 보관부재(422)는 사다리부재(321)를 내측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부재(422)는 박스(4221), 도어부재(4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4221)는 사다리부재(321)를 지지하며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박스(422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삼각뿔 등 다양한 형태의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박스(4221)가 선실(110)의 내부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실(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부재(4222)는 박스(4221)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어 박스(4221)를 폐쇄하되, 선체(1)가 일정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박스(422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선체(1)가 기울어지는 경우, 선실(110)에 고정된 박스(4221)는 선실(110)에 연동하여 기울어지게 되고, 박스(4221)를 폐쇄한 상태에서 박스(4221)의 기울어짐에 의해 도어부재(4222)가 받는 하중의 방향이 변경되어 도어부재(4222)는 박스(4221)를 개방하게 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박스(4221)는 여러개의 판이 조립된 상자형태로 이루어지고, 박스(4221)의 개구된 일측에 힌지(4221A)가 마련되어, 도어부재(4222)가 힌지결합으로 회전방향에 따라 박스(4221)를 개폐하는 것과 같다.
이때, 도어부재(4222)의 일단은 힌지(4221A)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중량체(4221B)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어부재(4222)는 사다리부재(321)가 보관되는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는 곡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중량체(4221B)는 도어부재(4222)의 개폐에 따라 여닫음이 용이하도록 도어부재(4222)에 중량을 가할 수 있고, 자석으로 이루어져 일정각도(예를 들어, 선박의 기울기가 5도) 이하에서는 자력에 의해 박스(4221)와 자성으로 결합하고, 일정각도(예를 들어, 선박의 기울기가 5도) 이상에서는 자체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자력의 강도는 도어부재(4222)의 전체 중량에 따라 선체(1)의 기울임각도에 의한 열림 방지 및 열림을 이루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520)의 박스(5221)와 도어부재(5222)의 형상은 삼각뿔 형상, 곡판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면체 형상의 박스(5221)와, 평판의 도어부재(5222)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설실(110)에 그립부(420,520)가 마련되어, 선체(1)가 일정각도 이상기울어지는 경우 자체 하중에 의해 도어부재(4222,5222)가 개방됨은 물론, 사다리리부재(321)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선실(110)에 거주하는 승선인들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체 10: 수용공간
11: 복도 12,111: 도어
110: 선실 120,220,320,420: 그립부
321: 사다리부재 322,422: 보관부재
4221,5221: 박스 4221A: 힌지
4222,5222: 도어부재 4221B: 중량체
100,200,300,400: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Claims (4)

  1. 선체에 마련되는 선실을 포함하되,
    상기 선실의 벽면은, 그립이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형태의 그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는 일정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사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승선인이 그립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용이하게 걸림되도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홈은 상기 선실의 내측벽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단면도가 절단된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단면도가 사다리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KR1020140098357A 2014-07-31 2014-07-31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KR20160017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357A KR20160017691A (ko) 2014-07-31 2014-07-31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357A KR20160017691A (ko) 2014-07-31 2014-07-31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691A true KR20160017691A (ko) 2016-02-17

Family

ID=5545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357A KR20160017691A (ko) 2014-07-31 2014-07-31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6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037B2 (en) Personnel transport and transfer system
EP2720939B2 (en) An evacuation system
JP5982523B1 (ja) 二種類の荷役装置による同時荷役貨物船
KR101546783B1 (ko) 선실용 안전 사다리 시스템
KR20160009201A (ko) 선실구조
KR101267995B1 (ko) 데크 하우스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선
KR20160017691A (ko)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선실 내 탈출 장비
JP6820179B2 (ja) 船舶の居住区構造及び貨物運搬船
KR101757274B1 (ko) 로우어 카고 홀드 침수 방지용 수밀 장치를 구비한 선박
CN117222577A (zh) 货柜堆叠协助装置、具有货柜堆叠协助装置的货柜载具及货柜装载和卸除方法
KR20160017764A (ko) 선실구조
US20140076227A1 (en) Marine Vessel Having Modular Mission Pods
KR20190012561A (ko)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4267614A (en) Life-saving apparatus
CN205854448U (zh) 一种多用途救生浮岛
JP2024511838A (ja) コンテナ運搬船
KR101607686B1 (ko)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JPH09507187A (ja) 貨物ハッチ装置
US20090197490A1 (en) Crew Overboard Rescue Hoist
JP6842589B1 (ja) 客船用避難艇
KR20130054531A (ko) 구명정
KR20180002424U (ko) 선박용 승하선 장치
US7436324B2 (en) Maritime port inspection and ingress control
RU2282554C2 (ru) Коллективное судовое спас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US20150183491A1 (en) System for evacuation of personnel from a capsized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