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411A - 청과물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청과물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411A
KR20160017411A KR1020140100792A KR20140100792A KR20160017411A KR 20160017411 A KR20160017411 A KR 20160017411A KR 1020140100792 A KR1020140100792 A KR 1020140100792A KR 20140100792 A KR20140100792 A KR 20140100792A KR 20160017411 A KR20160017411 A KR 2016001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air
washing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현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411A/ko
Publication of KR2016001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7/152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comprising other gases in addition to CO2, N2, O2 or H2O ; Elimination of such other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4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comprising other gases in addition to CO2, N2, O2 or H2O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청과물 보관장치는 청과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청과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세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과물 보관장치{Storage apparatus for fruits and vegetables}
본 개시(disclosure)는 청과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과물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청과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채소나 과일과 같은 원예산물을 저장 보관할 때, 저장 기간 동안 채소나 과일로부터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ethylene gas)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및 저장성을 열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에틸렌은 야채 또는 과일이 숙성되면서 발생되는 가스의 일종으로, 과일 및 야채의 노화를 촉진하는 노화 촉진 호르몬으로 작용하며, 강화 피드백(positive feedback) 과정을 통해 에틸렌의 발생량이 급증할 수 있다. 야채 및 과일의 보관 과정에서 에틸렌 가스를 통제하지 못할 경우 과채류의 과성숙 또는 노화가 촉진될 수 있다. 채소나 과일과 같은 원예산물을 냉장고에 저장 보관하는 경우, 에틸렌의 노화 및 부패 작용을 회피하기 위해 과일이나 야채류를 함께 보관하지 않고 구분하여 보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채소나 과일과 같은 원예산물을 세척하더라도 잔류 농약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고, 원예산물의 표면에 잔류할 수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virus)에 의한 부패, 오염 및 저장성의 감소가 우려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청과물을 보관한 상태로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세척수를 이용하여 청과물의 표면을 살균 처리하는 것에 의해 청과물의 저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청과물 보관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관점에 따르는 청과물 보관장치는 청과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청과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세척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케이스부에 청과물을 보관한 상태에서 살균세척부를 이용해 세척수를 공급하며 청과물의 세척을 용이하게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청과물 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케이스부로 공급된 세척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청과물의 표면을 살균 처리함으로써 청과물의 신선도 또는 저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청과물 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정화부를 이용해 케이스부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청과물의 신선도 또는 저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청과물 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청과물 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살균세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살균세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살균세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온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온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청과물을 보관한 상태로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세척수를 이용하여 청과물의 표면을 살균 처리하는 것에 의해 청과물의 저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청과물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청과물 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살균세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살균세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살균세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온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온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청과물 보관장치는 케이스부(10), 살균세척부(20), 공기정화부(3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는 청과물과, 청과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살균세척부(20)는 케이스부(10)의 내부로 청과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고, 케이스부(10)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미생물을 살균한다. 공기정화부(30)는 케이스부(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는 내부케이스(11), 외부케이스(15), 덮개(17), 카메라장치(18), 보관바구니(19)를 포함한다.
내부케이스(11)는 청과물과 세척수가 수용되는 케이스부(10)의 내면부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내부케이스(11)의 내부에는 청과물과 세척수가 담길 수 있는 중공의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공간부(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본체부(13)와, 세척수를 하향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본체부(13)의 하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다른 표현으로 하측으로 뾰족한 원뿔 형상의 배출유도부(14)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진다. 내부케이스(11)의 측면부 또는 상부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구(121)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케이스(11)의 하단부에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구(122)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세척수유입구(121)로 유입된 세척수가 수용공간부(12)에 담긴 청과물을 세척할 수 있는 수류를 형성하면서 하향 유동된 후 세척수배출구(122)를 통해 수용공간부(12)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내부케이스(11)에는 수용공간부(12)상의 공기가 공기정화부(30)와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123)와 공기유입구(124)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수용공간부(12)상의 공기는 공기배출구(123)를 통해 공기정화부(30)로 유동되고 공기정화부(30)를 통과하며 정화된 후 공기유입구(124)를 통해 다시 수용공간부(12)로 유입된다.
외부케이스(15)는 본 개시에 따른 청과물 보관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 내부케이스(11), 살균세척부(20), 공기정화부(30)를 커버링한다. 외부케이스(15)는 내부케이스(11)와의 사이에 살균세척부(20), 공기정화부(30)가 설치될 수 있는 중공의 설치공간부(16)를 구비하여 내부케이스(11)의 외부에 설치된다. 즉, 살균세척부(20)와 공기정화부(30)는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5)의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6)상에 설치된다.
덮개(17)는 내부케이스(11)의 개방부를 개폐가능하게 외부케이스(15)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17)는 외부케이스(15)의 상단부에 상향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덮개(17)를 상측으로 젖히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내부케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방시킬 수 있고, 덮개(17)를 하측으로 내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내부케이스(11)의 개방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덮개(17)를 아크릴, 유리 등 투시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면, 덮개(17)를 개방시키지 않고도 외부케이스(15)의 내부를, 즉, 내부케이스(11)에 담긴 청과물의 보관, 세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덮개(17)를 투명한 소재로 구성함에 있어서는, 덮개(17) 중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을 발수 코팅하거나,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의 주변에 열선 등을 배치함으로써 습기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부케이스(11)의 내부 상태를 확인함에 있어서는, 카메라장치(18)를 이용할 수도 있다. 카메라장치(18)를 덮개(17)의 내면부에 설치하고, 외부케이스(15) 또는 덮개(17)의 외면부에 카메라장치(18)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를 구비하면 케이스부(10)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케이스부(10)의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보관바구니(19)는 청과물이 담길 수 있는 바구니 형상을 가지고 내부케이스(11)의 내부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관바구니(19)는 내부케이스(11)의 원통형 본체부(13)의 내면부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보관바구니(19)에 청과물을 담은 상태로 내부케이스(11)에 내부에 삽입하면, 보관바구니(19)가 내부케이스(11)의 배출유도부(14) 상측의 본체부(13)상에 위치된다. 또한, 보관바구니(19)는 세척수가 내외부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망 구조를 가짐에 따라, 내부케이스(11)로 세척수를 공급 시, 내부케이스(11)로 유입된 세척수가 자연히 보관바구니(19)의 내부로 유입되어 보관바구니(19)에 담긴 청과물을 세척하게 된다. 또한, 내부케이스(11)의 외부로 세척수를 배출 시, 보관바구니(19) 내부의 세척수가 내부케이스(11)의 배출유도부(14)측으로 신속하게 하향 배출되고, 이후에도 청과물의 표면이나 홈 등에 잔류된 세척수가 배출유도부(14)측으로 지속적으로 하향 낙하되어 세척수의 잔류로 인한 세척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관바구니(19)를 내부케이스(11)의 외부로 이탈시키는 것에 의해 보관 및 세척 대상이 되는 청과물을 내부케이스(11)의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살균세척부(20)는 세척수순환부(21)와 자외선조사부(27)를 포함한다.
세척수순환부(21)는 케이스부(10)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청과물의 세척이 완료된 후 케이스부(10) 내부의 세척수를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세척수순환부(21)는 세척수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 중인 세척수를 케이스부(10)의 내부로 다시 공급하는 세척수 순환 작동과, 케이스부(10) 내부의 세척수를 순환시키기 않고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 작동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세척수순환부(21)는 세척수유입부(22), 세척수배출부(23), 순환펌프부(26)를 포함한다.
세척수유입부(22)는 세척수를 케이스부(10)의 내부로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세척수유입부(22)는 외부케이스(15)의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유입받아 내부케이스(11)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5)의 외면부에서 세척수유입구(121)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세척수배출부(23)는 세척수를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세척수배출부(23)는 내부케이스(11) 내부의 세척수를 외부케이스(15)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세척수배출구(122)에서 외부케이스(15)의 외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세척수의 흐름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펌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세척수 배출 시에는 중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세척수배출부(23)는 순환부(24)와 배출부(25)를 포함한다.
순환부(24)는 세척수배출부(23)가 형성하는 세척수 배출 경로상에서 순환펌프부(26) 및 세척수유입부(22)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세척수 순환 작동 시, 세척수배출부(23)를 통해 배출 중인 세척수는 순환부(24)를 통해 순환펌프(23) 및 세척수유입부(22)측으로 이동되어 내부케이스(11)의 내부로 순환된다. 배출부(25)는 세척수 배출 경로상에서 외부케이스(15)의 외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세척수 배출 작동 시, 세척수배출부(23)를 통해 배출 중인 세척수는 배출부(25)를 통해 외부케이스(15)의 외부로 배출, 제거된다.
순환펌프부(26)는 상기와 같은 세척수 순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세척수배출부(23)측의 세척수를 세척수유입부(22)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펌프를 구비하여 세척수유입부(22)와 세척수배출부(23)의 사이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순환펌프부(26)의 일측부는 순환부(24)와 연결되고, 타측부는 세척수유입부(22)와 연결되어, 순환펌프부(26)의 구동 시 순환부(24)측의 세척수는 세척수유입부(22)측으로 강제 유동된다. 상기와 같은 순환펌프부(26)의 구동 시, 일정량의 세척수를 케이스부(10)의 내부에서 순환시키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케이스(11)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세척수 흐름을 발생시키면서 청과물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의 오염도 또는 세척수 순환 횟수 등을 고려하여 내부케이스(11) 내부의 세척수를 외부로 완전히 배수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순환펌프부(26)의 구동 없이 배출부(25)를 개방시킴으로써 세척수를 외부케이스(15)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자외선조사부(27)는 케이스부(10)로 공급된 세척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산화 라디칼(radical)(OH·)을 생성한다. 세척수로서 수돗물을 적용하면, 수돗물 내의 잔류 염소와 자외선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고도산화수를 제조할 수 있다. 고도산화수란 고도산화공정을 통하여 생성되어,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는 수산화 라디칼(OH·)을 포함하는 용액을 의미한다. 잔류 염소와 자외선을 반응시켜 수산화 라디칼(radical)(OH·)을 생성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살균 또는 소독을 위해 정수장에서 첨가되는 염소는 수돗물 내에서 식 (1)과 같이, 차아염소산(HOCl)과 염산(HCl)의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차아염소산은 식 (2)에서와 같이, 수소 이온(H+)과 하이포아염소산이온(OCl-)으로 분해되어 수돗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Cl2 + H2O -> HOCl + HCl --------------- (1)
HOCl -> H+ + OCl- ---------------- (2)
식 (2) 에 있어서, 20℃에서의 pKa는 7.6 으로서, 차아염소산 내의 수소이온이 충분히 해리되어, 수소 이온(H+)과 하이포아염소산이온(OCl-)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돗물 내에 존재하는 차아염소산은 식 (3)에서와 같이, 자외선 광원이 제공하는 자외선에 의해 광분해되어, 수산화 라디칼(OH·) 및 염소 라디칼(Cl·)을 생성한다. 수돗물 내에 존재하는 하이포아염소산이온은 식 (4)에서와 같이, 자외선 광원이 제공하는 자외선에 의해 광분해되어, 산소 라디칼(O·-)과 염소 라디칼(Cl·)을 생성한다. 상기 산소 라디칼은 식 (5)에서와 같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 라디칼과 수산화 이온을 생성한다. 상기 자외선은 약 200 nm 내지 300 nm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HOCl + 자외선 -> OH· + Cl· ------------------ (3)
OCl- + 자외선 -> O·- + Cl· ------------------ (4)
O·- + H2O -> OH· + OH- ------------------ (5)
상술한 반응식 (3) 내지 (5)를 통해 생성되는 수산화 라디칼(OH·) 또는 염소 라디칼(Cl·)은 강한 산화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유기 물질 등을 분해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약 0.1 mg/L 내지 2.0 mg/L의 염소를 포함하므로, 이러한 염소와 자외선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 라디칼(OH·)과 염소 라디칼(Cl·)에 의해 고도산화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자외선조사부(27)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덮개(17)의 내면부상에 내부케이스(11)와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자외선조사부(27)를 이용해, 내부케이스(11)에 담긴 세척수에 자외선을 하향 조사하면서 고도산화수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자외선조사부(27)는 자외선을 전방위로 조사하도록 덮개(17), 내부케이스(11)의 하부 등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개소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 점멸 동작은 제어 패널(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자외선조사부(27)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고도산화수를 생성하는 외에도, 내부케이스(11) 또는 보관바구니(19)에 수납된 청과물의 안정성 및 저장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써, 자외선조사부(27)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일렬 또는 원형으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조사부(27)는 상기와 같이 고도산화수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약 200 nm 내지 300 nm 파장대의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1발광다이오드 외에도, 약 200㎚ 내지 280㎚ 파장대인 UV-C 영역의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2발광다이오드와, 약 280㎚ 내지 400㎚ 파장대인 UV-A 영역 또는 UV-B 영역의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3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조사부(27)는 약 400㎚ 내지 700㎚ 파장대인 가시광 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제4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자외선조사부(27)는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 상기 제2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3발광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자외선조사부(27)는 상기 제4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발광다이오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약 1nm 내지 35 nm의 범위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을 가질 수 있다. 이로서, 요청되는 파장 대역의 기능성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2발광다이오드는 약 200㎚ 내지 280㎚ 파장대인 UV-C 영역의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직접적인 조사에 의한 살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직접적인 조사에 의해 잔류 농약 성분을 분해하여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안정성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청과물인 채소나 과일은 세척에 의해서도 잔류 농약이 검출될 수 있는 데, 이러한 잔류 농약을 제거함으로써 잔류 농약에 의한 위험성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3발광다이오드는 280㎚ 내지 400㎚ 파장대인 UV-A 영역 또는 UV-B 영역의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을 통한 원예산물의 기능성 물질 증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UV-A 영역 또는 UV-B 영역의 자외선광을 채소나 과일에 조사함으로써, 원예산물이 2차 대사 산물을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대사 산물은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하는 기능성 증진 물질일 수 있다. 제3발광다이오드는 일 예로서, UV-A 영역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 UV-B 영역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발광다이오드는 400㎚ 내지 700㎚ 파장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하여, 원예산물의 광합성을 유도, 원예산물의 호흡을 억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저장산물의 소모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과물의 신선도를 보다 길게 유지할 수 있어 저장성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부(30)는 필터부(31), 습도조절부(35), 온도조절부(39)를 포함한다.
필터부(31)는 내부케이스(11) 내부의 공기를 살균, 탈취, 정화하는 부분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부(31)는 바이패스부(32), 자외선발광부(33), 광촉매필터부(34)를 포함한다.
바이패스부(32)는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로서, 내부케이스(11)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통과할 수 있는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내부케이스(11)상의 공기는 바이패스부(32)로 유입되어 바이패스부(32)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살균, 탈취, 정화된 후 내부케이스(11)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의 흐름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팬(fan)(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바이패스부(32)는 필터설치부(321), 공기흡입부(322), 공기배출부(323)를 포함한다.
필터설치부(321)는 자외선발광부(33)와 광촉매필터부(34)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구비하여 내부케이스(11)의 외부에 설치되며, 내부케이스(11)상의 공기가 우회하여 통과할 수 있는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공기흡입부(322)는 케이스부(10) 내부의 공기가 필터설치부(321)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공기흡입부(322)는 필터설치부(321)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내부케이스(11)의 공기배출구(123)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공기배출부(323)는 필터설치부(321)를 통과한 공기가 케이스부(10)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공기배출부(323)는 필터설치부(321)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내부케이스(11)의 공기유입구(124)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자외선발광부(33)는 광촉매필터부(34)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필터설치부(321)의 내부에 설치된다. 자외선발광부(33)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광촉매필터부(34)에 포함된 광촉매 소재에 작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산화, 분해한다. 자외선발광부(33)에 마련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광촉매필터부(34)에 작용하여 활성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300 내지 4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광촉매를 이용해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살균, 탈취하게 된다.
자외선발광부(33)에 마련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중 일부를 200 내지 3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하면,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는 것에 의해 공기를 살균, 탈취시킬 수도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와 같은 파장 범위에 따라 명확하게 광촉매 작용 또는 직접 살균 작용을 택일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주요한 작용을 달리 구현하게 되는 것이므로, 300 내지 4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 중 일부는 광촉매필터부(34)와의 작용이 아니라 유기물질에 직접 조사되는 것에 의해 살균, 탈취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200 내지 3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 중 일부도 광촉매필터부(34)와의 작용에 의해 살균, 탈취를 구현할 수 있다.
자외선발광부(33)에 마련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파장이 400nm보다 긴 경우, 광촉매필터부(34)의 광촉매 자체가 가지는 밴드갭 에너지(band gap energy)보다 작은 에너지의 광이 발생되므로 광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자외선발광부(33)에 마련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파장이 200nm보다 짧은 경우,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발광부(33)에 마련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근자외선(NUV) 발광다이오드 또는 심자외선(DUV)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촉매필터부(34)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촉매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필터설치부(321)의 내부에 자외선발광부(33)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자외선발광부(33)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한다. 광촉매필터부(14)는 필터설치부(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필터체의 표면에 광촉매 소재를 도포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필터체는 공기와 접하는 일측면을 구비한 면재(판재) 또는 양재(덩어리)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공기가 투과될 수 있도록 망이나 스펀지 형상을 가지는 메탈폼(metal foam)이나 다공성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촉매필터부(34)는 광촉매 매질로서 광촉매 반응이 제공하는 물질, 예컨대,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또는 지르코늄산화물(ZnO)을 포함하는 층이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부(34)에 자외선광이 조사되면 광촉매필터부(34)의 표면에서 광촉매 반응이 발생된다. 광촉매 반응을 통해 저장 중인 과일 또는 채소와 같은 원예산물을 포함하는 청과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에틸렌을 이산화탄소(CO2)가스로 분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촉매필터부(34)에 광촉매 자체가 가지는 밴드갭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의 자외선광이 조사되면 광촉매 표면에 전자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전자가 수분에 포함된 수소 분자와 반응하면 수산화 라디칼(OH·)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수산화 라디칼(OH·)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다른 기체와 반응하는 것에 의해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즉 분해하는 작용을 구현하게 된다. TiO2 광촉매가 활성화 될 경우, 공기 중의 수분(H2O)하에서 에틸렌 가스는 상기와 같은 광산화 분해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수소 가스(H2)를 부산물로 발생시키는 광분해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에틸렌은 식물 노화 호르몬이어서 노화를 가속하는 물질이므로, 에틸렌을 분해 제거함으로써 청과물의 노화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생성물인 이산화탄소가 누적되면 청과물의 호흡을 억제하여 노화를 지연시킴으로써 저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광촉매 반응을 통해 내부케이스(11) 또는 보관바구니(19)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취 또는 악취 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유해균을 살균하여 저장 공간의 안정성을 높여주고 청결함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필터부(31)에서 상기와 같은 광분해 반응에 의해 에틸렌 가스가 제거된 정화 공기는, 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 흐름을 타고 공기배출부(323)와 공기유입구(124)를 통해 내부케이스(11)로 회송된다. 내부케이스(11)로 회송된 공기는 공기정화부(30)로 다시 흡입되고 광촉매 반응에 의해 에틸렌 제거, 살균, 탈취 등의 정화 작용을 거친 후 다시 내부케이스(11)로 회송되는 순환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내부케이스(11)의 내부에는 에틸렌이 제거되고 탈취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내부케이스(11)에 저장된 청과물, 예컨대 채소 또는 과일은 신선한 상태로 보다 긴 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습도조절부(35)는 필터부(3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내부케이스(11) 내부의 공기는 청과물에서 증발된 수분, 잔류 세척수 등에 의해 외부 환경과 비교해 수분을 과량 포함한 상태이기 쉽다. 습도조절부(35)는 이러한 습한 공기를 직접 배출하거나, 공기의 응결에 의해 형성된 응결수를 배출하는 것에 의해 내부케이스(11) 내부 공기의 습도를 조절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습도조절부(35)는 습기배출부(36), 응결수 배출부(37), 기압유지부(38)를 포함한다.
습기배출부(36)는 내부케이스(11) 내부 공기의 습도가 설정치를 초과 시 필터부(3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습기배출부(36)는 필터설치부(321)에서 케이스부(10)의 외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공기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습기배출유로와, 습기배출유로부를 통한 공기의 배출 흐름을 유도하는 습기배출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11) 또는 필터설치부(321) 내부의 습도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습도계를 이용할 수 있다. 습도가 설정치를 초과한 공기를 습기배출부(36)를 통해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필터부(31)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추게 되고, 보다 습도가 낮춰진 공기를 내부케이스(11)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응결수배출부(37)는 필터부(3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결되어 형성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필터부(31)를 통과하는 공기는 필터부(31)와 연결된 온도조절부(39)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응결되어 필터설치부(321)의 내면부에 부착되거나, 필터설치부(321)의 내면부를 타고 흘러내려 필터설치부(321)의 바닥부의 일측으로 유동된다. 응결수배출부(37)는 상기와 같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결되어 형성된 응결수가 고이는 필터설치부(321)의 바닥부에서 케이스부(10)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필터설치부(321)의 내부에서 생성된 응결수는 응결수배출부(37)를 통해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러한 응결수의 배출량에 비례하여 필터부(31)를 통과하는 공기는 건조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결수배출부(37)를 통해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필터부(31)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추게 되고, 보다 습도가 낮춰진 공기를 내부케이스(11)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응결수배출부(37)를 케이스부(10)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함에 있어서는, 세척수배출부(23)와 연통되게 연결하는 것에 의해, 세척수배출부(23)에 해당되는 하나의 경로를 통해 세척수와 응결수의 배출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0)의 외면부측에 응결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통을 별도로 설치하고, 저장통과 응결수배출부(37)를 연결함으로써, 저장통에 담긴 응결수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비우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필터부(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된 것이 아니라, 내부케이스(11)상에서 온도조절부(39)에 의해 직접 냉각된 공기에 포함되었던 응결수는 배출유도부(14)측으로 유동되고, 세척수배출부(23)를 통해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기압유지부(38)는 습기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을 보상하여 케이스부(10)와 필터부(31) 내부의 공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습기배출부(36)를 통한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는 동안, 기압유지부(38)를 개방되게 유지하면, 습기배출부(36)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량과 동일한 양의 외부 공기가 필터부(31)의 내부로 유입되며, 케이스부(10)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기압유지부(38)는 바이패스부(32)의 상류측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압유지부(38)의 단부는 공기흡입부(322)에 근접하고, 공기배출부(323)로부터는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압유지부(38)를 통해 필터설치부(32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필터설치부(321)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자외선발광부(33) 및 광폭매필터부(34)에 의해 정화된 후 내부케이스(11)로 공급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39)는 필터부(31)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내부케이스(11)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는 부분으로, 필터설치부(321) 또는 내부케이스(11)와 접하도록 설치된다. 온도조절부(39)는 필터설치부(321) 또는 내부케이스(11)와 접한 상태로 열교환되는 것에 의해 내부케이스(11) 내부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내부케이스(11) 또는 필터설치부(32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온도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조절부(39)는 펠티에 효과에 의해 공기를 냉각하는 열전소자(熱電素子, Thermoelectric Module; TEM)를 포함한다.
서로 다른 두개의 소자 양단에 직류 전압을 가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일측면에서는 흡열을, 타측면에서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을 펠티에(Peltier) 효과라 한다. 열전소자의 구체적인 구조와 형상에 대해서는 비스모트와 테르르의 화합물(Bi2Te3) 등의 반도체로 만든 pn접합 구조를 가지는 열전소자의 공지 기술을 따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온도조절부(39)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나, 공기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면 공지의 히트 싱크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상에는 설명의 편의상 온도조절부(39)를 필터부(31)의 하부에 도시하였으나, 온도조절부(39)는 내부케이스(11)의 둘레 뿐만 아니라, 필터부(31)의 둘레에도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39) 중 내부케이스(11)와 접하는 부분은 내부케이스(11) 내부의 공기 및 자외선조사부(27)에서 발산된 열기를 직접적으로 냉각시키게 되고, 필터부(31)와 접하는 부분은 필터부(31)를 통과하면서 정화 중인 공기 및 자외선발광부(33)에서 발산된 열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부(39)를 다각형의 외면부 형상을 가지는 필터부(31), 원형의 외면부 형상을 가지는 내부케이스(11)와 접하도록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의 길이를 조정, 배열함으로써,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동판을 필터부(31) 또는 내부케이스(11)의 외면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내부케이스(11) 또는 필터부(31)의 외면부가 각각 원형, 다각형이 아닌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의 길이, 동판의 설치 각도 등을 조절하여 배치함으로써, 열전소자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케이스부(10) 내부 공기의 냉각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개시에 따르는 청과물 보관장치에 의하면, 청과물이 담긴 보관바구니(19)를 내부케이스(11)에 넣고 덮개(17)를 덮은 후, 살균세척부(20)의 작동을 개시하면, 세척수가 내부케이스(11)의 내부로 공급되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참조) 내부케이스(11)의 내면부를 따라 원형의 세척수 흐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세척수의 흐름에 의해 청과물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세척수유입구(121)의 분사단부를 내부케이스(11)의 중앙부가 아닌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내부케이스(11)의 접선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원형의 세척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세척수순환부(21)를 가동시키면 일정량의 세척수를 케이스부(10) 내부에서 순환시키면서, 즉 내부케이스(11)의 하단부에 형성된 세척수배출구(122)로 하향 배출시킨 세척수를 세척수유입구(121)를 통해 내부케이스(11)로 재공급하면서, 상기와 같은 청과물의 세척을 지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세척수 순환에 의해 청과물을 세척하면, 새로운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경우와 비교해 물 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세척수로서 수돗물을 적용하면, 청과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동안 자외선조사부(27)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세척수가 유기 물질 등을 분해하여 살균시키는 고도산화수의 작용을 하게 된다.
세척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내부케이스(11)의 하단부에 형성된 세척수배출구(122)와, 세척수배출부(23)의 배출부(25)를 통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참조) 케이스부(10) 외부로 하향 세척수를 배출,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를 배출한 이후에도 자외선조사부(27)의 작동을 유지하면, 자외선을 청과물에 직접 조사하는 것에 의한 살균, 잔류 농약 제거, 기능성 증진 물질 배출, 청과물의 호흡 억제 효과 등에 의해 청과물의 신선도 및 저장성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세척 공정이 종료된 후, 청과물을 내부케이스(11)의 내부에 그대로 보관한 상태에서 공기정화부(30)의 작동을 개시하면, 내부케이스(11) 내부의 공기가 내부케이스(11)의 상부에 마련된 공기배출구(123)를 통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참조) 필터부(31)로 유입되고, 필터부(31)를 통과하면서 정화 및 온·습도 조절된 후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3중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참조) 내부케이스(11)로 다시 유입된다. 공기유입구(124)의 분사단부를 본체부(13)의 하부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함으로써, 공기유입구(124)에서 분사된 청정 공기를 본체부(13)에 위치한 청과물을 향해 직접적으로 분사하면서 청과물의 신선도와 저장성 개선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공기정화부(30)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31)를 통과하면서 자외선발광부(33)와 광촉매필터부(34)의 광촉매 작용에 의해 살균 및 탈취되고, 청과물에서 배출되어 공기에 포함된 에틸렌은 분해·제거되어 다시 내부케이스(11)로 순환되는 것을 지속하게 된다. 공기정화부(30)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내부케이스(11)에 보관된 청과물의 저장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또한, 공기정화부(30)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31)를 통과하면서 습도조절부(35)와 온도조절부(39)에 의해 청과물의 보관에 적정한 설정 범위로 냉각 및 건조되므로, 내부케이스(11) 내부 공기를 청과물의 보관에 적정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절, 유지하면서 청과물의 저장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케이스부 11 : 내부케이스
12 : 수용공간부 13 : 본체부
14 : 배출유도부 15 : 외부케이스
16 : 설치공간부 17 : 덮개
18 : 카메라장치 19 : 보관바구니
20 : 살균세척부 21 : 세척수순환부
22 : 세척수유입부 23 : 세척수배출부
24 : 순환부 25 : 배출부
26 : 순환펌프부 27 : 자외선조사부
30 : 공기정화부 31 : 필터부
32 : 바이패스부 33 : 자외선발광부
34 : 광촉매필터부 35 : 습도조절부
36 : 습기배출부 37 : 응결수배출부
38 : 기압유지부 39 : 온도조절부
121 : 세척수유입구 122 : 세척수배출구
123 : 공기배출구 124 : 공기유입구
321 : 필터설치부 322 : 공기흡입부
323 : 공기배출부

Claims (17)

  1. 청과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청과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세척부;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청과물과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와,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구와,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살균세척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개방부를 개폐가능하게 상기 외부케이스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발수 코팅된 투명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과물 보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덮개에 마련되는 카메라장치;를 더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청과물이 담길 수 있는 바구니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는 망 구조를 가지는 보관바구니;를 더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척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순환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순환부는
    세척수를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세척수유입부;
    세척수를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세척수배출부; 및
    상기 세척수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유입부로 이동시켜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부;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케이스부로 공급된 세척수와 반응하여 수산화 라디칼(radical)(OH·)을 생성할 수 있는 200㎚ 내지 300㎚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직접적인 조사에 의해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는 200㎚ 내지 280㎚ 파장대, 및 기능성 물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280㎚ 내지 400㎚ 파장대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청과물의 광합성을 유도하고 호흡을 억제할 수 있는 400㎚ 내지 700㎚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공기정화부;를 더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습도조절부; 및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케이스부와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바이패스부에 설치되는 자외선발광부; 및
    자외선에 의해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촉매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발광부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외선발광부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필터부;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자외선발광부와 상기 광촉매필터부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구비하고,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필터설치부;
    상기 필터설치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필터설치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흡입부; 및
    상기 필터설치부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설치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케이스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부는
    습도가 설정치를 초과 시 상기 필터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배출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결되어 형성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결수배출부;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부는
    상기 습기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을 보상하여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필터부 내부의 공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기압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펠티에 효과에 의해 공기를 냉각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청과물 보관장치.
KR1020140100792A 2014-08-06 2014-08-06 청과물 보관장치 KR20160017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792A KR20160017411A (ko) 2014-08-06 2014-08-06 청과물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792A KR20160017411A (ko) 2014-08-06 2014-08-06 청과물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11A true KR20160017411A (ko) 2016-02-16

Family

ID=5544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792A KR20160017411A (ko) 2014-08-06 2014-08-06 청과물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4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5726A1 (zh) * 2020-02-03 2021-08-12 周星 食品消毒装置
GB2614028A (en) * 2021-09-24 2023-06-28 Finsen Tech Limited UV-C disinfection cabin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5726A1 (zh) * 2020-02-03 2021-08-12 周星 食品消毒装置
GB2614028A (en) * 2021-09-24 2023-06-28 Finsen Tech Limited UV-C disinfection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1156B (zh) 具有选择性地在设备的内部和外部进行不同消毒模式的配置的杀菌设备
KR102376809B1 (ko) 자동차용 공기정화시스템
US20190321499A1 (en) Dry sterilizing device and dry sterilizing method
US9651293B2 (en) Cooled storing system for photo catalytic decomposition of ethylene
WO2021170029A1 (zh) 一种消毒消杀系统及消杀方法
JP6893397B2 (ja) 殺菌処理装置
EP1566103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ethylene in ethane and freshness keeping apparatus for fresh agricultural product
CA28558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active species in a media by uv radiation
JP6841631B2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1663371B1 (ko) TiO2의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모자 살균기
JP2016090088A (ja) 鮮度保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コンテナ
JP2000152884A (ja) 青果物洗浄方法および青果物洗浄機
KR20150006326A (ko) 보관 장치
KR101575560B1 (ko) 신선도유지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한 에어 탈취기
KR20160017411A (ko) 청과물 보관장치
US20200298290A1 (en) Arrangement for decontamination of a surface of objects and method for decontamination of a surface of objects
US20210030915A1 (en) Air purification module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432071B1 (ko) 항균에어를 이용한 클린 살균기
KR20150050022A (ko) 냉장고용 신선도 유지 장치
KR20170037736A (ko) 선도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JP3892277B2 (ja) 保鮮庫
JP6752488B2 (ja) 殺菌装置及び殺菌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2253400A (ja) 保鮮庫
KR100643671B1 (ko) 신발내 정화방법 및 장치 및 혼합촉매 및 그것을 사용한허니콤
JP2001017144A (ja) 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